KR20150048185A -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8185A KR20150048185A KR1020157007430A KR20157007430A KR20150048185A KR 20150048185 A KR20150048185 A KR 20150048185A KR 1020157007430 A KR1020157007430 A KR 1020157007430A KR 20157007430 A KR20157007430 A KR 20157007430A KR 20150048185 A KR20150048185 A KR 201500481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nch cutter
- rectangular
- cutter
- punch
- tubula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02—Perforating by punching, e.g. with relatively-reciprocating punch and bed
- B26F1/14—Punching tools; Punching d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1/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overed by none or more than one of the groups B23D15/00 - B23D29/00; Combinations of shearing machines
- B23D31/001—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overed by none or more than one of the groups B23D15/00 - B23D29/00; Combinations of shearing machines for trimming deep drawn produ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2—Deflashing outside the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15—Edge treatment of cans or t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2646—Of particular non cylindrical shape, e.g. conical, rectangular, polygonal, bulg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596—Cutting wall of hollow wor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384—By tool inside hollow work
- Y10T83/395—One tool having only rectilinear motion[s]
- Y10T83/40—Multiple external activ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각형 용기의 트리밍에 있어서 균열이나 거스러미(burr, 깔쭉깔쭉한 부분)가 억제된 양호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최초로 펀치 커터(6)를 트림 전의 각형 용기(1a)의 각형 통모양부(10)에 베어 들어가게 할 때 그 각형 통모양부(10)의 절단 영역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펀치 커터(6)를 베어 들어가게 하고, 이어서 상기 펀치 커터(6)를 그 각형 통모양부(10)의 트림 라인(TL)에 따라 주회 이동시켜 절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형 용기(角形容器)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사각형 단면(rectangular cross section)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로잉(drawing) 혹은 드로잉-아이어닝(drawing-ironing) 등에 의해 성형되는 각형 용기는 상기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각형 용기의 개구부의 불규칙한 가장자리를 후 공정으로 트리밍(trimming)할 필요가 있고, 여러 가지의 트리밍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3).
특허 문헌 1∼3 외에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형 용기의 트리밍에 있어서는, 최초로 절단 하중이 작은 단변 벽부로부터 제거하고(도 13a), 그 후 절단 하중이 큰 장변 벽부를 제거하는(도 13b)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4변 절단(cut)의 트리밍 방법에서는 도 14에 점선으로 나타낸 부위에 트리밍 후의 단면에 있어서 단변 벽부와 장변 벽부의 경계에 단차가 형성되기 쉽다. 또, 1변마다 펀치 커터(punch cutter)를 스트로크시켜 절단하는 공정으로 되기 때문에, 적어도 4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트랜스퍼 프레스(transfer press)로 절단하기 때문에, 캠 수명의 면으로부터 생산 속도는 20∼50cpm(can per minute: 1분당 생산 개수) 정도가 한계이다.
공정 단축의 관점으로부터는, 특허 문헌 2,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inner-frame, 내부 틀)인 커터(펀치)를 용기에 대해 상대적으로 주회(周回) 이동시켜 트리밍하는 트리밍 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트리밍 장치에서는, 제거부와 제품부(잔존부)의 일부가 최후까지 연결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사각형 단면의 각형 용기의 경우, 제거부가 커터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기 쉬워 제거부와 제품부의 경계선에 큰 부하가 걸린다. 그 결과, 응력 집중에 의해 상기 경계선의 갈라짐이 진행되어 제품에 균열(crack)이나 거스러미(burr, 깔쭉깔쭉한 부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형 용기의 트리밍에 있어서 가공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은,
최초로 펀치 커터를 트림 전의 각형 용기의 각형 통모양부에 베어 들어가게 할 때,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서의 벽부분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베어 들어가게 하고,
이어서,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 따라 주회 이동시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1.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이다.
2. 상기 펀치 커터의 칼끝 부분 전체 둘레가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이다.
3.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삼각형 모양이다.
4.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볼록한 곡선모양이다.
5. 상기 경사진 상태에서의 베어 들어간 부분이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벽부분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어 들어간 부분이다.
6. 상기 각형 용기가 대략 장방형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최초로 각형 통모양부의 단변 벽부에 상기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게 한다.
7. 상기 펀치 커터의 주회 이동의 궤적이 만곡 궤도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는,
트림 전의 각형 용기의 각형 통모양부의 제품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다이 커터와,
상기 제품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커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품부를 사이에 끼워넣는 맨드릴과,
상기 다이 커터 및 상기 맨드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둘레를 따라 주회 이동하고,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제거부를 절제하는 펀치 커터를 구비하되,
최초로 펀치 커터를 트림 전의 각형 용기의 각형 통모양부에 베어 들어가게 할 때, 그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서의 벽부분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고,
이어서, 상기 펀치 커터를 그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 따라 주회 이동시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1.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이다.
2. 상기 펀치 커터의 칼끝 부분 전체 둘레가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이다.
3.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삼각형 모양이다.
4.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볼록한 곡선모양이다.
5.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벽부분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6. 상기 각형 용기가 대략 장방형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최초로 각형 통모양부의 단변 벽부에 상기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게 한다.
7. 상기 펀치 커터의 주회 이동의 궤적이, 만곡 궤도만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펀치 커터를 각형 통모양부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베어 들어가게 함으로써 제거부와 제품부를 최후까지 연결하는 접속부를 보다 더 크게 남길 수 있고, 접속부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펀치 커터의 주회 이동 중에 접속부의 갈라짐이 진행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품에 균열이나 거스러미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차가 없는 양호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각형 통모양부의 적어도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벽부에 대해 비평행의 칼끝 부분을 구비한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함으로써, 최초의 베어 들어갈 때의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최초의 베어 들어가는 부분에서 형성하는 경계선의 경사각도를 칼끝 부분의 벽부분에 대한 각도에 의해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각형 통모양부에 있어서 장변 벽부보다 비교적 강성이 높은 단변 벽부로 최초로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게 함으로써, 최초의 베어 들어갈 때의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펀치 커터의 주회 이동의 궤적을, 만곡 궤도만으로 함으로써, 펀치 커터의 이동을 고속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각형 용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a는 각형 용기 중간체의 트림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각형 용기 중간체의 트림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에 사용되는 펀치 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도 2a는 펀치 커터와 각형 용기 중간체의 절단 예정면의 모식도이고, 도 2b는 펀치 커터의 중심점의 이동 경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경로 C1∼C5를 더듬어 간 경우의 펀치 커터와 각형 용기 중간체의 절단 예정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펀치 커터의 단변 칼끝 부분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단변 칼끝 부분을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의 단면도, 도 4b은 경사지게 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펀치 커터의 변형례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펀치 커터의 변형례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펀치 커터의 변형례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펀치 커터의 변형례4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의 정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에 의한 트림 라인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하부 프레임 예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4변 절단의 트리밍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3a는 단변 벽부를 절제한 상태, 도 13b는 그 후 장변 벽부를 절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종래의 4변 절단의 트리밍에 의한 절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에 사용되는 펀치 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도 2a는 펀치 커터와 각형 용기 중간체의 절단 예정면의 모식도이고, 도 2b는 펀치 커터의 중심점의 이동 경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경로 C1∼C5를 더듬어 간 경우의 펀치 커터와 각형 용기 중간체의 절단 예정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펀치 커터의 단변 칼끝 부분의 일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단변 칼끝 부분을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의 단면도, 도 4b은 경사지게 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펀치 커터의 변형례1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펀치 커터의 변형례2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펀치 커터의 변형례3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펀치 커터의 변형례4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의 정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에 의한 트림 라인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하부 프레임 예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종래의 4변 절단의 트리밍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3a는 단변 벽부를 절제한 상태, 도 13b는 그 후 장변 벽부를 절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종래의 4변 절단의 트리밍에 의한 절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구성의 재질, 형상, 그들의 상대 배치 등은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하의 본 실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각형 용기의 개략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형 용기(1a)는 중간체(1)로부터 제거부(1b)가 트리밍(절제)됨으로써 제조(제품 형상이 부여)된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형 용기(1a)는 각형 통모양부(10)와 바닥부(11)가 일체로 성형된 바닥이 있는 통모양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형 통모양부(10)는 대략 장방형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대략 장방형 모양의 개구 단면(12)과, 대략 장방형 단면의 단변(短邊)을 형성하는 한 쌍의 단변 벽부(13)와, 대략 장방형 단면의 장변(長邊)을 형성하는 한 쌍의 장변 벽부(14)를 포함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체(1)는 바닥부(11), 단변 벽부(13), 장변 벽부(14)를 구비하고, 도 1b에 나타낸 제거부(1b)를 갖는 구성으로 성형된다. 중간체(1)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드로잉(디프 드로잉), 혹은 드로잉-아이어닝, 혹은 임팩트 가공 등을 이용하여 성형하면 좋으므로, 가공 방법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바닥부(11)의 반대측인 중간체(1)의 개방단은 상기 종래 공지의 가공에서는 가장자리(높이)를 가지런히 하기 어려워 불규칙한 형상으로 된다. 이 불규칙 형상부인 제거부(1b)를 트림 라인(TL)에 따라 트림함으로써, 각형 통모양부(10)에 개구 단면(12)이 형성되고, 각형 용기(1a)의 최종 제품 형상이 얻어지게 된다.
각형 용기(1a)는, 예를 들어 순수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과 SPCE(냉간 압연 강판), SUS(스테인레스 스틸), 철 니켈 강판 등의 금속 판으로 제조된다. 각형 용기(1a)의 용도로는, 예를 들어 전지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의 발전 요소(예를 들어, 전극이나 세퍼레이터 등)을 내부에 수납하고, 개구부를 도시하지 않은 뚜껑으로 입구를 봉쇄함으로써, 각형 전지의 외장 캔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도 2∼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트리밍 방법은, 상술한 특허 문헌 2,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펀치 커터를 통모양부의 개방단 가장자리의 내주면 측으로부터 외주면 측을 향해 베어 들어가게 하고, 통모양부의 원주 방향으로 선회 이동시킴으로써, 트리밍에 의해 제거해야 할 개방단 가장자리 제거부를 제품부로부터 분리하는 트리밍 방법이다.
<< 펀치 커터 >>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에 사용하는 펀치 커터(6)의 칼끝 부분(60)의 외주 형상은 개략적으로 중간체(1)의 각형 통모양부(10)의 내주 형상을 모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칼끝 부분(60)은 각형 통모양부(10)의 한 쌍의 단변 벽부(13a, 13b)에 각각 대향하는 단변 칼끝 부분(61a, 61b)과, 한 쌍의 장변 벽부(14a, 14b)에 각각 대향하는 장변 칼끝 부분(62a, 62b)을 갖춘다. 단변 칼끝 부분(61a, 61b)과 장변 칼끝 부분(62a, 62b) 사이는 만곡 칼끝 부분에서 각각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리 모양의 칼끝 부분(60)을 형성하고 있다. (칼끝 부분(60)은 도 10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펀치 커터(6)는 칼끝 부분(60) 중 한쪽의 단변 벽부(13a)에 대향하는 단변 칼끝 부분(61a)이 단변 벽부(13a)에 대해 비평행으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칼끝 부분에 있어서는 각각 대향하는 벽부에 대해 평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 펀치 커터의 이동 경로 >>
도 2a에 나타낸 각 화살표 C1∼C6은 펀치 커터(6)가 이동할 때의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이동하는 경로(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a에서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의 이동 방향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화살표의 크기를 중심점의 실제 이동량보다 크게 나타내고 있다.) 또, 각 화살표 C1∼C6 사이의 중계점 P0∼P5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을 경유하는 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P2∼P4는 펀치 커터(6)가 중간체(1)의 벽부(14a, 13b, 14b)를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는 베어 들어간 양을 얻기 위해,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경유해야 각 포인트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P2로 이동한 경우, 펀치 커터(6)의 장변 칼끝 부분(62a)은 각형 용기 장변 벽부(14a)의 외부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도 2b의 큰 점선의 화살표 SC는 쇼트 커트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쇼트 커트 경로 SC는, 최초의 중계점 P1은 경유시키지 않고 쇼트 커트시키며, 각 중계점 P0, P2∼P5를 각각 경유하도록 만곡 경로만으로 형성되어 있다. 최초의 중계점 P1은 최초의 베어 들어감에 의해 후술하는 경사의 경계선의 형성이 보장되는 한, 근방을 통과하면 다다르지 않아도 좋다. 그에 따라, 홈 포지션(home position, 홈 위치) P0로부터 중계점 P2까지의 이동 거리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펀치 커터(6)가 도 2b의 쇼트 커트 경로 SC와 같은 만곡 경로를 더듬어 가면, 중계점 P0로부터의 중심점의 거리가 화살표 C3∼C5의 선보다 외측으로 떨어진만큼 다이 커터(die cutter; 3)에 대한 오버랩량(도 10 중의 치수 L을 참조)이 증대한다. 그 때문에, 제거부(1b) 중 중간체(1)의 제품부로부터 분리된 부분이 펀치 커터(6)의 이동에 의해 노출되기 쉬워 중간체(1)의 제거부(1b)와 제품부(각형 용기(1a))의 경계선에 부하가 걸리기 쉬워진다. 따라서, 응력 집중에 의한 경계 부분의 갈라짐의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펀치 커터(6)의 이동 경로의 만곡의 정도, 즉 도 2a, 도 2b의 직선 궤도 C1∼C6으로부터 어느 정도 도 2b에 나타낸 쇼트 커트 경로 SC와 같은 만곡 궤도에 접근하는가는, 제품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한다.
이와 같이, 펀치 커터(6)의 이동 경로를 만곡 경로만으로 구성하고, 펀치 커터(6)의 급격한 방향 전환을 없애거나, 혹은 적게 함으로써, 펀치 커터(6)의 구동의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펀치 커터(6)의 이동 경로를 직선 경로로 구성하고, 예를 들어 고속으로 직각으로 펀치 커터(6)를 방향 전환시키는 경우, 충격에 의한 장비 파손 등이 우려되고, 또 장치 구동 부분의 관성 질량상, 급정지 후에 방향을 바꾸는 급가속도 가감속에 한계가 있다. 한편, 곡선 궤도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X-Y의 2방향 동시에 무리없이 효율 좋게 가속 감속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X방향을 완만하게 감속시키고 있는 사이에 Y방향을 완만하게 가속시킴으로써 방향의 변경이 자유 자재로 된다. 따라서, 직선 궤도로 이동시키는 경우보다 다소 우회하게 된다고 해도, 만곡 궤도 쪽이 구동기구(7)에 기계적인 부하를 걸지 않아도 되므로, 고속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직선 궤도와 만곡 궤도를 결합한 경로로 해도 좋다. 즉, 펀치 커터(6)의 급격한 방향 전환이 없는 경로가 형성되면, 직선 궤도와 만곡 궤도를 적절히 조합한 경로로 하면 좋다.
도 3은 도 2a에 나타낸 경로 C1∼C5를 더듬어 간 경우의 펀치 커터(6)와 중간체(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중간체(1)의 각형 통모양부(10)의 외형과 다이 커터(3)의 내주면 형상이 거의 동일하며, 양자 사이에 클이어런스(clearance, 틈새)가 없는 것으로서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는 설계상의 클이어런스가 설치된다.
도 3a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홈 포지션(P0)에 있을 때의 펀치 커터(6)와 중간체(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중간체(1)가 트리밍을 위한 소정 위치에 세트된 상태이다.
도 3b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1에 있을 때의 펀치 커터(6)와 중간체(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홈 포지션(P0)으로부터 도 2a의 경로 C1을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계점 P1까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에 의해, 단변 칼끝 부분(61a)이 단변 벽부(13a)에 베어 들어간다. 단변 칼끝 부분(61a)은 단변 벽부(13a)에 대해 경사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펀치 커터(6)는 트림 라인 상의 단변 벽부(13a)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베어 들어가고, 또 단변 칼끝 부분(61a)을 단변 벽부(13a)에 관통시킴으로써 단변 벽부(13a)에 형성되는 벤 자리는 트림 라인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대략 산 형태로 된다. 즉, 트림 라인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 단변 칼끝 부분(61a)에 의해 형성되는 단변 벽부(13a)의 절단 영역과 비절단 영역의 경계선(베어 들어가는 선)의 한쪽은 단변 벽부(13a)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계선(9)으로 된다. 이 경계선(9)은, 본 실시 형태의 펀치 커터(6)에 의한 트리밍 공정에 있어서, 제거부(1b)를 중간체(1)의 제품부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최후의 절단 공정까지 남겨지게 된다.
도 3c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2에 있을 때의 펀치 커터(6)와 중간체(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1으로부터 도 2a의 경로 C2를 따라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계점 P2까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에 의해, 장변 벽부(14a)의 대부분과, 장변 벽부(14a)와 단변 벽부(13a)의 접속부가 절단된다. 즉, 최초의 펀치 커터(6)의 베어 들어감에 의해 형성된 벤 자리가 경계선(9)을 남기고 장변 벽부(14a)의 대부분의 영역까지 확장된다(다른쪽의 경계선이 단변 벽부(13b) 근방까지 이동한다).
도 3d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3에 있을 때의 펀치 커터(6)와 중간체(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2로부터 도 2a의 경로 C3를 따라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계점 P3까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에 의해, 장변 벽부(14a)의 나머지 부분과, 장변 벽부(14a)와 단변 벽부(13b)의 접속부와, 단변 벽부(13b)의 대부분이 절단된다. 즉, 최초의 펀치 커터(6)의 베어 들어감에 의해 형성된 벤 자리가 경계선(9)을 남기고 더 단변 벽부(13b)의 대부분의 영역까지 확장된다(다른쪽의 경계선이 장변 벽부(14b) 근방까지 이동한다).
도 3e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4에 있을 때의 펀치 커터(6)와 중간체(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3으로부터 도 2a의 경로 C4를 따라 앞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중계점 P5까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동에 의해, 단변 벽부(13b)의 나머지 부분과, 단변 벽부(13b)와 장변 벽부(14b)의 접속부와, 장변 벽부(14b)의 대부분이 절단된다. 즉, 최초의 펀치 커터(6)의 베어 들어감에 의해 형성된 벤 자리가 경계선(9)을 남기고 더 장변 벽부(14b)의 대부분의 영역까지 확장된다(다른쪽의 경계선이 단변 벽부(13a) 근방까지 이동한다). 이 시점에서, 제거부(1b)와 중간체(1)의 제품부(각형 용기(1a)) 사이에 남겨진 접속부분은, 장변 벽부(14b)의 나머지의 약간의 부분과, 장변 벽부(14b)와 단변 벽부(13a)의 접속부와, 단변 벽부(13a)의 경계선(9)을 경계로 남겨진 접속 영역으로 된다.
도 3f는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5에 있을 때의 펀치 커터(6)와 중간체(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즉, 펀치 커터(6)의 중심점이 중계점 P4로부터 도 2a의 경로 C5를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절단 종점 P5까지 도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바, 펀치 커터(6)가 제거부(1b)를 중간체(1)의 제품부(각형 용기(1a))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최후의 절단 공정으로 된다. 또한, 도 3f에 있어서 펀치 커터(6)는 장변 벽부(14b)와 단변 벽부(13a)의 접속부를 완전히 뚫고 나가는 약간 앞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때의 충격으로 제거부(1b)의 최후에 잘리고 남겨진 부분을 분리하고 있지만, 재료, 펀치 커터 등의 조건에 따라서는 펀치 커터(6)를 완전히 뚫고 나가 제거부(1b)를 분리해도 좋다. 최후의 절단이 끝나면, 펀치 커터(6)는 절단 종점 P5로부터 도 2a의 경로 C6를 따라 홈 포지션(P0)까지 되돌아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펀치 커터(6)는 중간체(1)에 대해 각도를 변경하지 않고 상대 이동하기 때문에, 단변 칼끝 부분(61a)의 경사 각도와 경계선(9)의 경사 각도는 트리밍 공정에 있어서 시종 일치한다. 따라서, 이 최후의 절단 공정에 있어서, 펀치 커터(6)는 이동의 도중에 단변 칼끝 부분(61a)이 경계선(9)과 겹친다. 그리고, 최초의 베어 들어감에 의해 단변 벽부(13a)에 형성한 벤 자리가, 단변 칼끝 부분(61a)(경로에 따라서는 더 단변 칼끝 부분(61a)과 장변 칼끝 부분(62a) 사이의 만곡 칼끝 부분)에 의해 상술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퍼져 남겨진 접속부분을 모두 절단한다.
도 4는 펀치 커터(6)의 단변 칼끝 부분(61a)을 경사지게 한 경우와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기 위한 펀치 커터(6)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변 칼끝 부분(61a)을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는, 단변 벽부(13a)의 절단 영역과 비절단 영역의 경계선(9')은, 단변 벽부(13a)의 두께 방향에 대략 따라 형성된다. 이 경우, 단변 벽부(13a)는 대부분의 영역이 절단되어 비절단 영역이 거의 남지 않는다. 또, 제거부(1b)에 있어서 절단된 부분(1b')은 펀치 커터(6)의 베어 들어간 양(다이 커터(3)에 대한 오버랩량)에 따라 제품부에 대해 크게 변위함과 더불어, 경계선(9')의 근방에 있어서 제품부에 대해 크게 변형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변 칼끝 부분(61a)을 경사지게 한 경우는, 경계선(9)은 단변 벽부(13a)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펀치 커터(6)의 주회 방향(단변 벽부(13a)의 내주면에 따른 방향)으로 크게 기울어져 연장된다. 이 경우, 단변 칼끝 부분(61a)을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보다 넓은 범위에서 비절단 영역이 단변 벽부(13a)에 남겨진다. 또, 펀치 커터(6)의 다이 커터(3)에 대한 오버랩량이 커지는 것은 베어 들어가는 선(9)보다 이전의 영역으로 되기 때문에, 절단 부분(1b')의 제품부에 대한 변위는 작아지고, 제품부에 대한 변형의 방향도 베어 들어가는 선(9)에 따라 완만한 모양으로 된다.
이와 같이 비절단 영역을 더 크게 단변 벽부(13a)에 남김으로써, 절단 부분과 제품부를 연결하는 접속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이러한 접속부를 제거부(1b)의 최후의 분리 공정까지 유지함으로써 펀치 커터(6)의 이동에 따른 제거부(1b)의 절단 부분(1b')의 노출에 의한 접속부에 대한 응력 집중을 완화하고, 접속부에서의 갈라짐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경사진 단변 칼끝 부분(61a)을 단변 벽부(13a)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베어 들어가게 하는 구성, 즉 단변 칼끝 부분(61a)에 소위 시어 각(shear angle, 전단각)을 갖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최초의 베어 들어가는 부분에서의 절단 하중이 저감되어 베어 들어갈 때의 갈라짐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전술한 펀치 커터(6)의 번형례1을 나타내는 모식도로, 펀치 커터(61)는 단변 칼끝 부분(61a)뿐만 아니라 단변 칼끝 부분(61b1), 장변 칼끝 부분(62a1, 62b1)에도 시어 각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각 단변 칼끝 부분 및 장변 칼끝 부분이 중간체(1)의 각 단변 벽부 및 장변 벽부에 대해 모두 비평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간체(1)의 대략 전체 둘레에 걸쳐 절단 하중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평행의 칼끝 부분과 비평행의 칼끝 부분을 여러 가지로 조합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6은 펀치 커터(6)의 번형례2를 나타내는 모식도로, 펀치 커터(62)는 한쪽의 단변 칼끝 부분(61a2)이 삼각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변 칼끝 부분(61a2)을 최초로 베어 들어가게 함으로써 중간체(1)에 2개의 경사진 경계선(92)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펀치 커터를 반시계 방향뿐만 아니라 시계 방향으로도 잘라 내어 트리밍 가능으로 된다. 또, 단변 칼끝 부분(61a2)은 도 6과 같은 이등변 삼각형 모양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삼각형의 정점(각 모퉁이(角隅))은 적절하게 떨어뜨려도 좋다. 또, 단변 칼끝 부분(61b2), 장변 칼끝 부분(62a2, 62b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 7은 펀치 커터(6)의 번형례3을 나타내는 모식도로, 펀치 커터(63)는 한쪽의 단변 칼끝 부분(61a3)이 볼록한 곡선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변 칼끝 부분(61a3)에서 최초로 단변 벽부(13a)에 베어 들어가게 함으로써, 중간체(1)에 2개의 원호 모양으로 경사진 경계선(93)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펀치 커터를 반시계 방향뿐만 아니라 시계 방향으로도 잘라 내어 트리밍 가능으로 된다. 또한, 61a3의 볼록한 곡선모양 형상은 도 7과 같은 원호 모양이나 타원호, 2차 곡선 등이어도 좋다. 또, 단변 칼끝 부분(61b3), 장변 칼끝 부분(62a3, 62b3)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도 8은 펀치 커터(6)의 번형례4와 그 사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로, 펀치 커터(64)는 전술한 도 2에 따른 펀치 커터(6)보다 얇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장변 칼끝 부분(62a4, 62b4)의 구성을 도 2에 따른 펀치 커터(6)와 마찬가지로 하고, 단변 칼끝 부분(61a4, 61b4)의 폭도 좁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최초로 펀치 커터(64)에서 중간체(1)의 단변 벽부(13a)를 베어 들어갈 때, 펀치 커터(64)를 단변 벽부(13a)에 대해 대략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켜 베어 들어감으로써, 중간체(1)에 경사진 경계선(94)을 형성한다.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이어서,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는 펀치 커터의 주회 이동에 의해 중간체(1)의 트리밍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2)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상부 프레임(2a)과 하부 프레임(2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2a)은 다이 커터(3)와 바닥 패드(4)를 구비한다. 하부 프레임(2b)은 맨드릴(mandrill; 5), 펀치 커터(6), 펀치 커터(6)를 맨드릴(5)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기구(7), 제품에 맨드릴(5)을 삽입할 때에는 진공으로 하고 뽑아 낼 때에는 공기(air)를 보내기 위한 에어 진공구멍(8)을 구비한다.
상부 프레임(2a)과 하부 프레임(2b)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접리(接離, 접속 분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중간체(1)는 제거부(1b)를 아래로 하여 상부 프레임(2a)에 유지되고, 상부 프레임(2a)과 하부 프레임(2b)이 접근하여 하부 프레임(2b)의 맨드릴(5)에 씌워진다.
바닥 패드(4)는 핀(40)이 상부 프레임(2a)의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41)에 의해 상하 스트로크를 안내하고, 에어 실린더(42)에 의해 내리 누르는 힘을 조정하면서 중간체(1)의 바닥부(11)의 하면에 꽉 눌린다. 그에 따라, 트리밍 중에 중간체(1)가 상하로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한다. 또, 핀(40)에는 트리밍 후에 제품(각형 용기(1a))을 맨드릴(5)로부터 뽑아내기 위한 진공 구멍(43)이 설치되어 있다.
맨드릴(5)은 중간체(1)를 맨드릴(5)에 씌울 때 중간체(1)의 내주면을 안내하는 안내부(5a)와, 각형 통모양부(10)의 내주면의 트림 라인보다 중간체 안쪽(內方) 측(바닥부(11) 측)의 영역을 지지하는 지지부(5b)를 구비한다. 지지부(5b)는 각형 통모양부(1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클이어런스(예를 들면, 0.1mm)가 형성되도록 설계되지만, 트리밍 중에 중간체(1)가 닳아서 줄어드는 상처, 이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클이어런스는 작게 설정된다.
맨드릴(5)의 지지부(5b)의 하면과 펀치 커터(6)의 상면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 닿아 있으며, 양자의 경계선의 높이는 중간체(1)의 트림 라인과 일치한다. 맨드릴(5)은 후술하는 구동기구(7)에 의해 펀치 커터(6)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중간체(1)를 매개로 다이 커터(3)에 의해 이동이 규제된다.
맨드릴(5)과 펀치 커터(6)의 슬라이딩면에는, 종래 알려진 위치 결정 핀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맨드릴(5)이 다이 커터(3)에 의한 이동 제한을 해제시켰을 때 맨드릴(5)과 펀치 커터(6)가 평면에서 보아 거의 같은 위치에 겹치는 홈 포지션(원점)에 복귀하도록 자동적으로 서로 위치 결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펀치 커터(6)의 슬라이딩면에 스프링 등의 부세(付勢) 수단에 의해 맨드릴(5)의 슬라이딩면을 향해 부세한 핀(44)을 설치하고, 홈 포지션에서의 맨드릴(5)의 슬라이딩면의 핀(44)의 선단에 대향하는 위치에, 핀 선단의 공 머리부보다 단면 곡률이 커서 핀 직경보다 대경(大徑, 큰 직경)의 접시 모양의 오목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수평 방향으로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부세 수단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핀 선단이 오목부의 최심부(最深部, 중앙부)에 접하는 상태로 되도록 맨드릴(5)과 펀치 커터(6)가 상대 이동하고, 맨드릴(5)과 펀치 커터(6)의 중심이 일치한다. 또한, 당해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다른 종래 기술을 적절히 적용해도 좋다.
펀치 커터(6)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하는 칼끝 부분(60)을 가지고 있다. 칼끝 부분(60)은 펀치 커터(6)의 외주면에서의 맨드릴(5)의 지지부(5b)의 경계선으로 되는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펀치 커터(6)는, 후술하는 구동기구(7)에 의해 맨드릴(5)에 대해 수평 방향(트림 라인에 따른 방향)으로 상대 이동됨으로써, 중간체(1)로부터 제거부(1b)를 트리밍할 수 있다.
<펀치 커터의 구동기구>
도 9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기구(7)는 회전 운동과 왕복 운동을 조합시킴으로써, 고정된 다이 커터(3)(상부 프레임(2a)) 및 맨드릴(5)에 대해 펀치 커터(6)를 상대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기구(7)는, 개략적으로 맨드릴(5)과 펀치 커터(6)를 지지하는 상부 받침(71), 상부 받침(71)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받침(72), 상부 받침(71)을 하부 받침(7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기구(73), 하부 받침(72)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직동기구(74)를 구비한다.
회전기구(73)는 서보 모터(75)에 연결된 기어(73a)와, 기어(73a)를 매개로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편심 핀(73b)를 구비한다. 한 쌍의 편심 핀(73b)은 각각 기어(73a)와 맞물리는 동일 직경, 동일 피치의 기어(73c)를 가지고 있다. 상부 받침(71)은 한 쌍의 편심 핀(73b)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부 받침(71)은 한 쌍의 편심 핀(73b)의 각각에 대해 동위상의 편심 위치(73d)에서 지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각도(방향)를 변경하지 않고 회전 운동한다. 또, 상부 받침(71)은 하부 받침(72)에 설치된 누름부(76)에 의해 수평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하부 받침(72)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눌려져 있다.
직동기구(74)는 소위 링크기구(크랭크기구)를 이용한 직동기구이며, 서보 모터(77)에 의한 편심 핀(74a)(크랭크 축)의 축회전 운동을 하부 받침(72)의 좌우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74b)와 연접 부재(74c)를 구비한다. 하부 받침(72)은 하부 프레임(2b)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설치된 누름부(78)에 의해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눌려지면서, 전후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의 이동 방향이 규제된다.
구동기구(7)는 서보 모터(75, 77)의 기어(73a), 편심 핀(74a)의 회전 각도를 세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펀치 커터의 궤도를 X-Y 수평 방향 자재(自在)로 제어할 수 있다. 또, 펀치 커터에 만곡 궤적을 그리게 함으로써 고속화가 가능하고, 더욱이 각 편심 핀의 편심량을 변경함으로써 펀치 커터의 이동량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부 프레임(2b)에 펀치 커터(6)의 구동기구를 설치하여 맨드릴(5)과 펀치 커터(6)를 상대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상부 프레임(2a)에 다이 커터(3)의 구동기구를 설치하고, 다이 커터(3)의 이동에 의해 맨드릴(5)과 펀치 커터(6)를 상대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에서의 다른 하부 프레임 예를 나타내는 평면에서 본 도면으로, 구동기구(7')를 상술한 직동기구(74)를 2개 조합시킨 구성으로 한 것이다. 즉, 구동기구(7')는, 개략적으로 맨드릴(5)과, 펀치 커터(6)를 지지하는 상부 받침(71')과, 상부 받침(71')을 지지하는 하부 받침(72')과, 상부 받침(71')을 하부 받침(72')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직동기구(73')와, 하부 받침(72')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직동기구(74')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직동기구(73')는 하부 받침(72') 상에 설치되어 상부 받침(71')을 하부 받침(72')에 대해 도 12의 평면에서 본 방향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고, 한편 직동기구(74')는 하부 받침(72')을 도 4의 평면에서 본 방향에 있어서 전후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직동기구(73')는 상기 직동기구(74)와 마찬가지로 이른바 링크기구를 이용한 직동기구이며, 서보 모터(75)'에 의한 편심 핀(73a')의 축회전 운동을 상부 받침(71')의 좌우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73b')와 연접 부재(73c')를 구비한다. 직동기구(74')도 상기 직동기구(74, 73')와 마찬가지의 기구이며, 서보 모터(77)'에 의한 편심 핀(74a')의 축회전 운동을 하부 받침(72')의 전후 왕복 운동(도 12에 따른 평면에서 본 도면에서는 상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링크부(74b')와 연접 부재(74c')를 구비한다. 또, 상부 받침(71')은 하부 받침(72')에 설치된 누름부(76')에 의해, 하부 받침(72')과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눌려지면서, 전후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의 이동 방향이 규제된다. 또, 하부 받침(72')은 하부 프레임(2b')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설치된 누름 부(78')에 의해, 프레임과의 사이의 상하 방향(연직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눌리면서, 좌우 방향의 이동 방향이 규제된다.
구동기구(7')도 구동기구(7)와 마찬가지로, 서보 모터(75', 77')의 편심 핀(73a', 74a')의 회전 각도를 세밀하게 제어함으로써, 펀치 커터의 궤도를 X-Y 수평 방향 자재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형 용기의 설명으로서 대략 장방형 모양의 직사각형 단면의 용기를 예로 들었지만, 예를 들어 정방형 단면의 용기이어도 좋고, 그들 단면과 유사한 단면 형상이어도 좋다.
1
각형 용기 중간체
1a 각형 용기(제품)
1b 제거부
10 각형 통모양부
11 바닥부
12 개구 단면
13 단변 벽부
14 장변 벽부
2 각형 용기 트리머
2a 상부 프레임
2b 하부 프레임
3 다이 커터
4 바닥 패드
5 맨드릴
6 펀치 커터
60 칼끝 부분
61 단변 칼끝 부분
62 장변 칼끝 부분
7 구동기구
8 에어 진공구멍
9 경계선
1a 각형 용기(제품)
1b 제거부
10 각형 통모양부
11 바닥부
12 개구 단면
13 단변 벽부
14 장변 벽부
2 각형 용기 트리머
2a 상부 프레임
2b 하부 프레임
3 다이 커터
4 바닥 패드
5 맨드릴
6 펀치 커터
60 칼끝 부분
61 단변 칼끝 부분
62 장변 칼끝 부분
7 구동기구
8 에어 진공구멍
9 경계선
Claims (16)
-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에 있어서,
최초로 펀치 커터를 트림 전의 각형 용기의 각형 통모양부에 베어 들어가게 할 때,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서의 벽부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베어 들어가게 하고,
이어서,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 따라 주회 이동시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칼끝 부분 전체 둘레가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삼각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볼록한 곡선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상태에서의 베어 들어간 부분이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벽부분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어 들어간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 용기가 대략 장방형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최초로 각형 통모양부의 단변 벽부에 상기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주회 이동의 궤적이 만곡 궤도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에 있어서,
트림 전의 각형 용기의 각형 통모양부의 제품부의 외주를 둘러싸는 다이 커터와,
상기 제품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다이 커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품부를 사이에 끼워넣는 맨드릴과,
상기 다이 커터 및 상기 맨드릴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둘레를 따라 주회 이동하고, 상기 각형 통모양부의 제거부를 절제하는 펀치 커터를 구비하되,
최초로 펀치 커터를 트림 전의 각형 용기의 각형 통모양부에 베어 들어가게 할 때, 그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서의 벽부분의 두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고,
이어서, 상기 펀치 커터를 그 각형 통모양부의 트림 라인에 따라 주회 이동시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칼끝 부분 전체 둘레가 상기 벽부분에 대해 비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삼각형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적어도 상기 각형 통모양부에 최초로 베어 들어가는 칼끝 부분이 볼록한 곡선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를 상기 벽부분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형 용기가 대략 장방형의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최초로 각형 통모양부의 단변 벽부에 상기 펀치 커터를 베어 들어가게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펀치 커터의 주회 이동의 궤적을, 만곡 궤도만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88730 | 2012-08-29 | ||
JP2012188730A JP5488656B2 (ja) | 2012-08-29 | 2012-08-29 | 角形容器のトリミング方法及び装置 |
PCT/JP2013/072886 WO2014034670A1 (ja) | 2012-08-29 | 2013-08-27 | 角形容器のトリミング方法及び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8185A true KR20150048185A (ko) | 2015-05-06 |
KR101649084B1 KR101649084B1 (ko) | 2016-08-17 |
Family
ID=5018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07430A KR101649084B1 (ko) | 2012-08-29 | 2013-08-27 |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764493B2 (ko) |
EP (1) | EP2891530B1 (ko) |
JP (1) | JP5488656B2 (ko) |
KR (1) | KR101649084B1 (ko) |
CN (1) | CN104602837B (ko) |
TW (1) | TWI555632B (ko) |
WO (1) | WO201403467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0078B1 (ko) * | 2019-07-08 | 2020-05-13 | 송익수 | 알루미늄 캔의 하부 커팅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0890B1 (ko) * | 2014-08-04 | 2016-03-10 | 김환수 | 대형 배터리용 알루미늄 케이스의 트리밍장치 |
DE102017116498B4 (de) * | 2017-07-21 | 2020-12-17 | Mammut Werkzeugmaschinenfabrik Gmbh | Beschneidemaschine zum Beschneiden eines Behälters und Verfahren zum Beschneiden eines Behälters mit der Beschneidemaschine |
CN107745032A (zh) * | 2017-11-14 | 2018-03-02 | 深圳市强浪机械设备有限公司 | 双板切边机 |
CN110385364B (zh) * | 2018-04-19 | 2021-01-19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一种面板切割装置 |
JP7119988B2 (ja) | 2018-12-26 | 2022-08-17 | 東洋製罐株式会社 | 角形缶の製造方法 |
JP7384503B1 (ja) * | 2023-03-16 | 2023-11-21 | 冨士発條株式会社 | トリミング装置 |
JP2024141507A (ja) * | 2023-03-29 | 2024-10-10 |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角形容器のトリミング装置、方法、及び角形容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45491A (ko) | 1972-09-08 | 1974-04-30 | ||
JPS5985623U (ja) | 1982-12-01 | 1984-06-09 |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トリミング金型 |
JPH048357A (ja) | 1990-04-25 | 1992-01-13 | Alpha:Kk | 歯科技工用模型作製のためのダウエルピン植立用キット |
JP2008162676A (ja) * | 2006-12-28 | 2008-07-17 | Toyota Tsusho Corp | 缶、缶の製造装置及び缶の製造方法 |
JP2012157959A (ja) * | 2011-02-02 | 2012-08-23 | Mizuho Techno Kk | 筒体切断機、筒体切断システム、および筒体切断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665432A (ko) * | 1965-06-15 | 1965-12-15 | ||
US3432586A (en) * | 1966-07-29 | 1969-03-11 | American Can Co | Process for forming plastic containers |
FR1582242A (ko) * | 1968-08-07 | 1969-09-26 | ||
US3783724A (en) * | 1971-01-04 | 1974-01-08 | Owens Illinois Inc | Plastic bottle manufacture |
US3768101A (en) * | 1972-02-18 | 1973-10-30 | Vulcan Corp | Trimming apparatus |
US3795162A (en) * | 1973-02-05 | 1974-03-05 | B Jaeger | Method and apparatus for trimming plastic bottles |
US3862698A (en) * | 1973-06-01 | 1975-01-28 | Ethyl Dev Corp | Blow molded article of manufacture |
US4017243A (en) * | 1975-09-22 | 1977-04-12 | Doric Foods Corporation | Adjustable flash removal assembly for molded containers |
US4895743A (en) * | 1985-04-30 | 1990-01-23 | Phillips Petroleum Company | Blow molded article |
US4892018A (en) * | 1985-09-03 | 1990-01-09 | Allied-Signal Inc. | Deflashing method and apparatus |
JPH0435820U (ko) | 1990-07-20 | 1992-03-25 | ||
JPH07241936A (ja) * | 1994-03-07 | 1995-09-19 | Bridgestone Sports Co Ltd | 球状体の製造方法 |
US6602458B1 (en) * | 2000-06-28 | 2003-08-05 | Rubbermaid Incorporated | Reduced flash molding |
US6555033B2 (en) * | 2001-06-27 | 2003-04-29 | Graham Packaging Company, L.P.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combination |
US6530301B1 (en) * | 2001-07-10 | 2003-03-11 | Owens-Brockway Plastic Products Inc.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handling tandem containers |
US6666997B2 (en) * | 2001-10-02 | 2003-12-23 | Micron Technology, Inc. | Method for removing cleaning compound flash from mold vents |
US20070089573A1 (en) * | 2005-10-24 | 2007-04-26 | Lectro Engineering Company | Spin trimmer and method of trimming |
GB0807237D0 (en) * | 2008-04-21 | 2008-05-28 |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
-
2012
- 2012-08-29 JP JP2012188730A patent/JP5488656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8-27 EP EP13833475.0A patent/EP2891530B1/en active Active
- 2013-08-27 US US14/424,519 patent/US9764493B2/en active Active
- 2013-08-27 WO PCT/JP2013/072886 patent/WO201403467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8-27 CN CN201380045390.8A patent/CN104602837B/zh active Active
- 2013-08-27 KR KR1020157007430A patent/KR10164908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08-29 TW TW102131021A patent/TWI555632B/zh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945491A (ko) | 1972-09-08 | 1974-04-30 | ||
JPS5985623U (ja) | 1982-12-01 | 1984-06-09 | アイダ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 トリミング金型 |
JPH048357A (ja) | 1990-04-25 | 1992-01-13 | Alpha:Kk | 歯科技工用模型作製のためのダウエルピン植立用キット |
JP2008162676A (ja) * | 2006-12-28 | 2008-07-17 | Toyota Tsusho Corp | 缶、缶の製造装置及び缶の製造方法 |
JP2012157959A (ja) * | 2011-02-02 | 2012-08-23 | Mizuho Techno Kk | 筒体切断機、筒体切断システム、および筒体切断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0078B1 (ko) * | 2019-07-08 | 2020-05-13 | 송익수 | 알루미늄 캔의 하부 커팅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49084B1 (ko) | 2016-08-17 |
US20150224668A1 (en) | 2015-08-13 |
JP5488656B2 (ja) | 2014-05-14 |
TW201420327A (zh) | 2014-06-01 |
JP2014046313A (ja) | 2014-03-17 |
EP2891530A1 (en) | 2015-07-08 |
TWI555632B (zh) | 2016-11-01 |
EP2891530A4 (en) | 2016-08-24 |
WO2014034670A1 (ja) | 2014-03-06 |
US9764493B2 (en) | 2017-09-19 |
CN104602837B (zh) | 2016-06-29 |
EP2891530B1 (en) | 2017-06-14 |
CN104602837A (zh) | 2015-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9084B1 (ko) | 각형 용기의 트리밍 방법 및 장치 | |
CN104289600A (zh) | 一种支撑件多工位级进模具及制作方法 | |
EP2939755A1 (en) | Deburring tool for laser beam machine and deburring method therefor | |
CN104526044B (zh) | 对称液压闸式剪板机 | |
CN210452914U (zh) | 一种锂离子动力电池极片飞切机构 | |
JP5688305B2 (ja) | 筒体切断システム、および筒体切断方法 | |
US20120247300A1 (en) | Cutting apparatus | |
KR100959232B1 (ko) | 핵연료 저장대의 슬롯 가공방법 | |
US12070788B2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rectangular can | |
CN105619488A (zh) | 一种纸张剪切设备 | |
JP2012148348A (ja) | シャーリング装置の運転方法 | |
JP2016198804A (ja) | プレス装置 | |
US20150314380A1 (en) | Cutting method and cutting apparatus | |
CN204620850U (zh) | 一种带切四角的车轮轮辐制作拉伸模具 | |
JP6601388B2 (ja) | ガラス板の折割方法 | |
JP2000102895A (ja) | ハイスピードパンチプレス | |
JP2017064723A (ja) | プレス加工機 | |
JP2018192486A (ja) | パンチプレス及び切断加工方法 | |
JP2024151482A (ja) | 金型装置 | |
KR102524606B1 (ko) | 필름 커팅장치 | |
JP7381431B2 (ja) | スクラップカッター | |
KR20240146546A (ko) | 각형 용기의 트리밍 장치, 방법 및 각형 용기 | |
CN104722683B (zh) | 适用于线材剪切的液压剪 | |
JP2024141507A (ja) | 角形容器のトリミング装置、方法、及び角形容器 | |
JP2012254495A (ja) | 板状材料の打抜工法、打抜装置およびプリント基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