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997A -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997A
KR20150046997A KR1020130126685A KR20130126685A KR20150046997A KR 20150046997 A KR20150046997 A KR 20150046997A KR 1020130126685 A KR1020130126685 A KR 1020130126685A KR 20130126685 A KR20130126685 A KR 20130126685A KR 20150046997 A KR20150046997 A KR 20150046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wave signal
screen data
intensit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명
이희승
박성민
사성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6997A/ko
Priority to US14/142,250 priority patent/US9696901B2/en
Priority to DE201410200306 priority patent/DE102014200306A1/de
Priority to CN201410030655.3A priority patent/CN104571884B/zh
Publication of KR20150046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9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보리스트,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외부로부터 발생된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에 대한 음파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음파센서, 음파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대응되도록 출력부의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e of Touch of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입력에 따른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여 출력부에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단말,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에서는 일반 톱니휠 타입, 관성 휠 타입, 등척 타입의 마우스를 이용하여 화면데이터를 스크롤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에 구비된 출력부에 표시된 화면데이터에서 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터치패드에서의 플리킹(flicking)을 통해 화면데이터를 스크롤하여 출력부에 표시된 화면데이터 정보를 검색한다.
그러나, 마우스의 경우 형상적 한계 및 공간 자유도가 부족하고, 터치기반의 스마트 기기에서는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터치패드의 경우, 화면데이터 정보를 검색할 때 플리킹의 속도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화면데이터의 페이지가 많은 경우 정보 검색이 수월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터치에 대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여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는 정보리스트,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외부로부터 발생된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에 대한 음파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음파센서, 상기 음파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출력부의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는 플리킹 또는 태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는 상기 음파센서에 발생하는 입력의 강도에 의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검색 방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에서 정보 검색 시 스크롤 검색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핑의 패턴에 의거하여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손톱, 손가락 관절, 손바닥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손 또는 입력부재를 통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방법은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발생된 입력에 따른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파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대응되도록 출력부에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가 플리킹 또는 태핑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의해 발생됨을 확인하고,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를 상기 입력의 강도에 의해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검색 방식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의 스크롤 범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가 태핑일 경우, 상기 태핑의 패턴에 의거하여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식을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된 터치에 대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여 화면데이터를 제어함으로써 화면데이터에서 다양한 터치로 정보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에 대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종류 및 화면데이터의 검색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에 대한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100, 이하, 터치인식장치(100)라 함)는 입력부(110), 음파센서(120), 컨버터(130), 출력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터치인식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일반적인 키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음파센서(120)는 마이크 또는 피에조 센서를 의미하며, 터치인식장치(100)의 후면, 전면, 측면을 포함하는 어느 부분에라도 구비될 수 있다. 음파센서(120)는 음파센서(120)에 발생된 입력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음파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컨버터(130)로 제공한다.음파센서(120)에서 발생되는 입력은 플리킹(flicking), 태핑(tapping)을 기반으로 터치의 종류 및 세기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다.
컨버터(130)는 음파센서(120)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한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웹 페이지, 정보리스트 등을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저장부(150)는 음파센서(120)에서 입력될 수 있는 터치의 종류 및 세기에 해당하는 기능을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플리킹 또는 태핑에 대한 화면제어 기능을 각각 저장하고, 플리킹의 경우 플리킹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신호의 세기에 따른 화면제어 정도를 계산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컨버터(130)에서 제공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음파센서(120)에 발생된 입력에 따른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고,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대응되도록 출력부(140)의 화면데이터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음파신호의 종류가 플리킹인지 태핑인지 확인하고, 음파센서(120)에서 발생된 입력의 강도에 의해 음파신호의 세기를 확인한다. 제어부(160)는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검색 방식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출력부(140)에 표시된 화면데이터에서의 스크롤 또는 화면데이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범위를 설정하여 출력부(140)의 화면데이터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음파신호의 세기에 의거하여 화면데이터의 스크롤 검색범위를 설정하고 출력부(140)의 화면데이터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태핑의 패턴에 의거하여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식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화면데이터 간의 멀티 뷰, 새 화면데이터 열기, 화면데이터 닫기, 화면데이터 전환, 색인 설정, 현재 표시된 화면데이터의 저장, 상기 설정된 색인 검색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종류 및 화면데이터의 검색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S11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음파센서(120)에서 음파신호가 발생되면 S13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발생된 음파신호를 수신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음파센서(120)에서 획득된 음파신호는 전기신호로 변환되어 컨버터(130)로 제공된다. 컨버터(130)는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하고, 최종적으로 제어부(160)는 컨버터(13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분석한다.
이어서, S15단계에서 제어부(160)는 분석된 음파신호로부터 음파신호의 종류를 확인한다. 도 3을 살펴보면, 도 3(a) 및 도 3(b)는 사용자가 음파센서(120)가 구비된 위치를 플리킹하는 것을 나타내고, 도 3(c) 및 도 3(d)는 사용자가 음파센서(120)가 구비된 위치를 태핑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킹 또는 태핑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신호의 형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제어부(160)는 음파신호의 분석을 통해 음파센서(120)가 구비된 위치를 통한 입력이 플리킹인지 태핑인지 확인할 수 있다.
S17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음파신호의 세기를 확인한다. 도 3을 살펴보면, 플리킹 및 태핑의 강도에 따라 음파신호에 변화가 발생한다. 즉, 도 3(a)와 같이 플리킹 할 때보다 도 3(b)와 플리킹을 할 경우에 발생되는 음파신호의 세기가 더 크고, 도 3(c)과 같이 손가락으로 태핑을 할 때보다 도 3(d)와 같이 손톱으로 태핑을 할 경우에 발생되는 음파신호의 세기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S19단계에서 제어부(160)는 S15단계와 S17단계에서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대응하도록 출력부(140)에 출력된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검색 방식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출력부(140)에 도 4a)와 같은 화면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도 3(a)와 같은 플리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도 4b)와 같이 스크롤 양을 적게 조절하여 화면데이터를 적게 스크롤하고, 도 3(b)와 같은 플리킹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도 4c)와 같이 스크롤 양을 크게 조절하여 화면데이터를 많이 스크롤한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어부(160)는 도 4a)와 같은 화면데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도 3(c)와 같이 손가락 태핑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화면데이터를 스크롤하지 않고, 특정 범위만큼 하향이동하고, 도 3(d)와 같이 손톱 태핑이 입력되면 제어부(160)는 화면데이터를 특정 범위만큼 상향이동한다. 이때, 화면데이터의 이동 방향 및 이동 범위는 기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50)에는 도 5와 같이 음파센서(120)가 구비된 위치에 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한 손의 부위와 음파신호의 종류에 따른 기능이 저장된다. 출력부(140)에 표시된 화면데이터가 웹 페이지인 것을 예로 설명하면, 제어부(160)에서 확인된 음파신호가 도 5(a)와 같이 단순한 플리킹이면 제어부(160)는 입력된 플리킹에 대응되도록 출력부(140)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스크롤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킹의 입력 강도를 확인하여 확인된 음파신호의 세기에 맞게 출력부(140)에 표시된 웹 페이지의 스크롤 검색범위 즉, 스크롤 양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파신호의 세기에 따라 출력부(140)에 표시되는 정보검색 방식을 제어하여 출력부(140)에 표시되는 정보의 라인간 이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발생된 음파신호의 종류에 따라 이동속도 및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음악데이터의 리스트와 같이 특정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리스트일 경우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따라 한 곡 이동, 여러 곡 이동, 폴더간 이동 등 정보 간의 이동을 수행하여 정보 검색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에서 확인된 음파신호가 도 5(b)와 같이 손바닥에 의해 발생된 음파신호이면 제어부(160)는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식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출력부(140)에 표시된 웹 페이지와 동일한 웹 페이지를 새로운 창에서 열거나, 출력부(140)에 표시된 웹 페이지를 종료한다.
제어부(160)에서 확인된 음파신호가 도 5(c)와 같이 손가락 관절에 의해 발생된 음파신호이면 제어부(160)는 출력부(140)에 현재 표시된 웹 페이지와, 현재 터치인식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웹 페이지 전체를 종료한다.
제어부(160)는 확인된 음파신호가 도 5(d)와 같이 상하가 아닌 좌우로 발생된 플리킹에 의한 음파신호이면 실행 중인 웹 페이지 간의 이동을 수행하여 현재 표시된 웹 페이지가 아닌 다른 웹 페이지를 출력부(140)에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확인된 음파신호가 도 5(e)와 같이 손가락 태핑 및 손바닥에 의해 발생된 음파신호이면 제어부(160)는 출력부(140)에 현재 표시된 웹 페이지의 화면을 캡쳐하여 저장하거나, 현재 표시된 웹 페이지로 바로가기를 설정한다.
특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어부(160)는 태핑으로부터 발생된 음파신호에 특정 패턴이 확인되면, 저장부(150)에 기저장된 특정 패턴에 매핑된 기능을 확인하고, 특정 패턴에 따라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식 즉, 화면데이터 간의 멀티 뷰, 새 화면데이터 열기, 화면데이터 닫기, 화면데이터 전환, 색인 설정, 현재 표시된 화면데이터의 저장, 상기 설정된 색인 검색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터치인식장치 110: 입력부
120: 음파센서 130: 컨버터
140: 출력부 150: 저장부
160: 제어부

Claims (11)

  1. 정보리스트,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외부로부터 발생된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음파에 대한 음파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음파센서;
    상기 음파센서로부터 수신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출력부의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는
    플리킹 또는 태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는
    상기 음파센서에 발생하는 입력의 강도에 의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검색 방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에서 정보 검색 시 스크롤 검색범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핑의 패턴에 의거하여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식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은
    사용자의 손가락, 손톱, 손가락 관절, 손바닥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손 또는 입력부재를 통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8. 제어부가 외부로부터 발생된 입력에 따른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파신호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에 대응되도록 출력부에 표시된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 및 세기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가 플리킹 또는 태핑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의해 발생됨을 확인하고,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를 상기 입력의 강도에 의해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된 음파신호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검색 방식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음파신호의 세기에 의거하여 상기 화면데이터의 스크롤 범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데이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음파신호의 종류가 태핑일 경우, 상기 태핑의 패턴에 의거하여 화면데이터에서의 정보 표현 방식을 제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방법.
KR1020130126685A 2013-10-23 2013-10-23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5004699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85A KR20150046997A (ko) 2013-10-23 2013-10-23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
US14/142,250 US9696901B2 (en) 2013-10-23 2013-12-27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touch of user terminal based on acoustic wave signal
DE201410200306 DE102014200306A1 (de) 2013-10-23 2014-01-10 Gerät und Verfahren für das Erkennen einer Berührung eines Benutzer-Datenendgeräts
CN201410030655.3A CN104571884B (zh) 2013-10-23 2014-01-22 用于识别用户终端的触摸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685A KR20150046997A (ko) 2013-10-23 2013-10-23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97A true KR20150046997A (ko) 2015-05-04

Family

ID=5277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685A KR20150046997A (ko) 2013-10-23 2013-10-23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6901B2 (ko)
KR (1) KR20150046997A (ko)
CN (1) CN104571884B (ko)
DE (1) DE1020142003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66098B (zh) * 2015-05-22 2018-10-09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一种超声波触觉反馈系统及其制造方法
KR20170085419A (ko) * 2016-01-14 2017-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에 기반한 동작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718061B (zh) * 2016-01-20 2019-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存储空间的清理方法和装置
US10503467B2 (en) * 2017-07-13 2019-12-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sound emanation activity class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919B1 (ko) 2006-12-01 2008-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스처 기반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8689132B2 (en) * 2007-01-07 2014-04-0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s and lists
US8411050B2 (en) * 2009-10-14 2013-04-0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Touch interface having microphone to determine touch impact strength
KR20120002737A (ko) 2010-07-01 2012-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10538B1 (ko) 2010-07-07 2012-12-10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 인터페이스 장치,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US9262002B2 (en) * 2010-11-03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 screen
KR101220633B1 (ko) 2011-03-04 2013-01-10 한국과학기술원 소리를 이용한 터치세기 검출방법, 이를 위한 입력장치 및 사용자 단말
KR20130005335A (ko) 2011-07-06 2013-01-16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압력 측정 방법
KR101340028B1 (ko) 2011-11-02 2013-12-10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단말의 터치 검출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US20130113760A1 (en) 2011-11-07 2013-05-09 Google Inc. Techniques for providing localized tactile feedback to a user via an electro-acoustic touch display of a user device
KR101821210B1 (ko) 2011-12-22 201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9684379B2 (en) * 2011-12-23 2017-06-20 Intel Corporation Computing system utilizing coordinated two-hand command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09216A1 (en) 2015-04-23
DE102014200306A1 (de) 2015-04-23
CN104571884B (zh) 2019-06-14
CN104571884A (zh) 2015-04-29
US9696901B2 (en) 2017-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737B1 (ko) 후면 터치를 이용한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69176B1 (ko) 오브젝트 실행 방법 및 장치
CN102662462B (zh) 电子装置、手势识别方法及手势应用方法
AU20132750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touch sensing
KR101873787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멀티 터치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78234A (ko) 듀얼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12910A (ko)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JP2013105310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10010906A (ko)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74856B1 (ko) 음성인식을 통해 이벤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549532A (zh) 使用触摸面板的电子装置和其设置值修改方法
JP2013105312A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113253A (ko) 힘 감응 입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시스템
JP2011227854A (ja) 情報表示装置
JP2013546066A (ja) デバイスとのユーザのタッチ及び非タッチベースのインタラクション
WO2014109262A1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
JP2013105311A (ja) 情報処理装置
CN103970451B (zh) 用于控制内容播放的方法和设备
KR20150046997A (ko) 사용자 단말의 터치 인식 장치 및 방법
US20210278902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electronic device
CN103885696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9359187A (zh) 语句条目交互方法与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722207B1 (ko) 오브젝트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140082606A (ko) 압력 모델링을 통한 전자책 페이지 전환 방법 및 그 장치
CN112015291B (zh)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