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899A -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 Google Patents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899A
KR20150045899A KR20140141634A KR20140141634A KR20150045899A KR 20150045899 A KR20150045899 A KR 20150045899A KR 20140141634 A KR20140141634 A KR 20140141634A KR 20140141634 A KR20140141634 A KR 20140141634A KR 20150045899 A KR20150045899 A KR 20150045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ember
work
main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1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59811B1 (en
Inventor
마사히로 아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50045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8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14Stack holders or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Su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capable of absorbing earth quake energy efficiently through a vibration control means by generating shaking with different phases among frames equipped with a pair of supporting members to support a work at an earthquake. (Solution) A frame having a spherical plane of structure surrounded by a post member and a beam member is disposed in parallel from each other and has a frame space which can accommodate a walk (W) between a plurality of frames. A frame on one side is equipped with a first supporting member (24) installed toward a frame space, whereas a frame on the other side is installed toward the frame space to equip a second supporting member (25) in opposite to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whereas in a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an accommodation shelf equipped with a walk (W) which is accommodat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is equipped with a damper (32) which allows relative displacement in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walk (W) and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whereas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is equipped with a regulating segment (38) to regulate relative displacement in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Description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본 발명은, 기둥 부재(post member)와 들보 부재(beam member)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frame)을 구비한 수용 선반의 제진(制震;vibration control)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a receiving shelf having a plurality of frames having a post member and a beam member.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rack)과 제진 방법이 알려져 있다. BACKGROUND ART [0002] 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ing to a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a receiving rack, for example, a vibration damping rack and a vibration damping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re known.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에서는, 제진 랙의 장변(長邊)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의 기둥이 설치되어 있고, 이 2개의 기둥이 단변(短邊) 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In the vibration damping rack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wo columns are provided at intervals i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rack, and these two columns are provided in pair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기둥에 완목(cross arm)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완목에는 선반 받이 본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Cross arms are attached to pillars on both sides in the direction of the long side, respectively, and shelf receiving bodie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shorts.

선반 받이 본체와 완목과의 사이에는 제진 부재로서 점탄성체가 끼워져 있다.A viscoelastic body is sandwiched between the shelf receiving body and the bracket as a vibration suppression member.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과 제진 방법에 의하면, 한 쌍의 선반 받이 본체에 물품이 지지되어 있는 경우, 제진 랙의 진동 에너지를 물품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동안에 진동 에너지를 흡수 산일(散逸)하여, 물품을 제진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vibration damping rack and the vibration damping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hen the article is supported by the pair of shelf receiving bodies, the vibration energy is absorbed and scattered while the vibration energy of the vibration damping rack is converted into the vibration energy of the article , And the article is damped.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18818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3-118818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은, 물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선반 받이 본체의 양측에 제진 부재가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However, the vibration damping rack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vibration damping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a pair of shelf receiving bodie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이 때문에, 제진 부재의 변형량은, 지진에 의해 다리부로부터 제진 랙이 흔들렸을 때에, 물품이 그 장소에 계속 위치하고자 하는 힘(물품의 관성력)에 따를 수밖에 없어, 물품의 질량이나, 선반 받이 본체와의 마찰 계수에 따라서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vibration damping member is inevitably dependent on the force (inertial force of the article) that the article is intended to continuously position at the position when the vibration damper rack is shaken from the leg portion due to the earthquak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can not be exerted depending o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and.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과 제진 방법에서는, 물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선반 받이 본체의 양측에 제진 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점에서,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Further, in the vibration damping rack and vibration damping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since the vibration damping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shelf receiving bodie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시에 워크(workpiece)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프레임끼리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을 발생시켜, 제진 수단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의 제공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bration damping device, which generates vibration in which phas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 frame having a pair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a workpiece during an earthquake, Which is capable of efficiently absorbing earthquake energy by the earthquak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 부재와 복수의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plane of structure)을 각각 갖는 프레임이, 상기 구면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워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한쪽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공간으로 향하여 설치된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다른 한쪽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공간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워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워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워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rame each having a plane of structur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column members and a plurality of beam members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the spherical surfaces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Wherein a frame space for accommodating a workpiece is formed between the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one of the frames forming the frame space has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toward the frame space, And the other frame to be formed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which is provided toward the frame space and faces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work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a receiving shelf to be supported, the first support member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Having a vibration suppression means which allow the displacement, the second support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displacement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ork (W)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본 발명에서는, 수용 선반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수용 지지되는 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수용 선반이 지진 에너지를 받으면, 한쪽의 프레임 및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서는 각각 흔들림이 발생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where a work is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the receiving shelf, when the receiving shelf receives the earthquake energy, shaking occurs in one frame and the other frame .

이때, 다른 한쪽의 프레임측에서는, 워크가 변위 규제 수단에 의해 구속되고, 제2 지지 부재와 워크가 일체로 되어 다른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과 함께 함들린다.At this time, on the other frame side, the work is restrained by the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nd the work are integrated and heard together with the swing of the other frame.

한쪽의 프레임측에서는, 워크가 제진 수단을 통하여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다른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에 따라서 변위한다. On one side of the frame, the workpiece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ing member through vibration suppress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other frame.

워크와 일체로 되어 흔들리는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한쪽의 프레임보다도 흔들림이 커지는 점에서,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킨다.One frame and the other frame swing in different phases due to the difference in horizontal load, which is shaken together with the work and swung together with each other, because the swing is greater than that of one frame.

이때, 한쪽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제1 지지 부재에 설치한 제진 수단이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용 선반의 흔들림을 감쇠시킨다.At this time, the vibration suppression mean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in one frame absorbs the earthquake energy and attenuates the vibration of the receiving shelf.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지지 부재에 제진 수단을 설치하고, 제2 지지 부재에 변위 규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워크를 이용하여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제진 수단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vibration suppressing means o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providing the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fluctuations of phase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 one frame and the other frame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bsorb seismic energy by the vibration suppression means.

상기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주기둥 부재(main post member)와 복수의 주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주구면(main plane of structure)을 갖는 주프레임과, 복수의 종속 기둥 부재(suboardinate post member)와 복수의 종속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종속 구면(suboardinate plane of structure)을 갖고, 상기 주프레임보다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을 갖고, 상기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 및 상기 종속 프레임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 및 상기 종속 프레임 중 어느 다른 한쪽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bration damping structure for a receiving shelf, comprising: a main frame having a main plane of a structur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main post members and a plurality of main beam members; and a plurality of subordinate members and a slave frame having a subordinate plane of the structur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subordinate beam members and being more deformable than the main frame, wherein the one frame is a subordinate frame of the main frame and the subordinate frame And the other frame may be any one of the main frame and the dependent frame.

이 경우, 프레임 공간이, 주프레임과 종속 프레임과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In this case, the frame space is constituted by a combination of a main frame and a dependent frame.

따라서, 워크를 이용하여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사이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구조상의 상위에 의해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not only to generate shakes of different phases among the frames forming the frame space by using the work, but also to cause shakes of different phases from each oth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frame.

상기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진 수단은, 상기 워크와 상기 제진 수단과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the above-described vibration damping structure for a receiving shelf, the vibration damp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regulating member for regula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ork and the vibration damping mea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 경우, 제진 수단과 워크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가 규제 부재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워크외 제1 지지 부재와의 상대 변위가 확실하게 제진 수단에 입력되어, 제진 수단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확실한 흡수가 가능하다. In this case, since the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vibration suppression means and the work is regulated by the restriction member, the relative dis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other than the workpiece is reliably input to the vibration suppression means, Absolute absorption is possible.

상기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가재(horizontal member)가, 상기 프레임 공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복수 개소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공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수평 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shelf, horizontal members horizontally connecting the adjacent frames are horizontally arrang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rame space,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louv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space.

이 경우,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에서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평 가재의 사이가 되는 부위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fluctuations of phases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generated with respect to a portion between a plurality of horizontal crawls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평 가재의 사이가 되는 부위에 설치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에 수용 지지되는 워크를 이용하여, 제진 수단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Therefore, the earthquake energy can be efficiently absorbed by the vibration suppressing means by using the work that is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provided at the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ribs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이고,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종속 프레임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shelf, the one frame may be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frame may be the subordinate frame.

이 경우, 한쪽의 프레임이 주프레임이고, 다른 한쪽의 프레임이 종속 프레임임으로써, 워크를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흔들림이 커지기 쉬운 종속 프레임의 흔들림을 크게 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one frame is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frame is the slave frame, it is possible not only to generate fluctuations of phase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using the work, but also to increase the fluctuation of the slave frame which is likely to increase shaking.

그 결과, 프레임의 구조상의 상위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의 흔들림의 차이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As a result,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tructure of the frame,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difference in shaking of neighboring frames.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시에 워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프레임끼리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을 발생시켜, 제진 수단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ibration damping structure for a receiving shelf, which is capable of generating vibrations in phases different from each other between frames having a pair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work during an earthquake, Can be provided.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A-A 화살 표시선에 따른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있어서의 B-B 화살 표시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3은 자동 창고(automated storge and retrieval warehouse)의 수용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댐퍼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와 규제편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a)는 댐퍼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와 규제편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있어서의 A-A 화살 표시선에 따른 도면이고, 도 6(c)는 도 6(a)에 있어서의 B-B 화살 표시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7(a)는 지진 발생시에 워크(W)가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전방으로 상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있어서의 C-C 화살 표시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10은 댐퍼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와 규제편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1(a)는 다른 예에 따른 로터리 댐퍼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와 규제편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있어서의 D-D 화살 표시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automatic warehous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 2 (a) is a view along arrow AA in Fig. 1, and Fig. 2 (b) is a view along a line BB in Fig.
Figure 3 is a side view of a receiving shelf of an automated warehouse and retrieval warehous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main part of a receiving shelf of an automatic warehou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upporting member having a damper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having a restricting piece.
Fig. 6 (a)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first supporting member having a damper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having a restricting piece, Fig. 6 (b) is a view along the AA arrow in Fig. 6 , And Fig. 6 (c) is a view along the BB arrow line in Fig. 6 (a).
7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relatively displaced forward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t the time of occurrence of an earthquake, and Fig. 7 (b)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main part of a receiving shelf of an automatic warehous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main part of a receiving shelf of an automatic warehous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
10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first supporting member having a damper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having a restricting piece.
11 (a)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first supporting member having a rotary dampe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having a restricting piece. Fig. 11 (b)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 main part of a receiving shelf of an automatic warehous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ra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 형태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를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에 적용한 예이다. This embodiment is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shelf is applied to a receiving shelf of an automatic warehouse.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창고(10)는, 복수의 수용 선반(11)과, 수용 선반(11)의 사이에 설치한 레일(12) 상을 왕복 주행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13)과, 제어 장치로서의 지상 제어반(S/R machine control panel;C)을 구비하고 있다. 1, the automatic warehouse 10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shelves 11, a stacker crane 13 that reciprocates on a rail 12 provided between the receiving shelves 11, And a S / R machine control panel (C) as a control device.

워크 이송 장치로서의 스태커 크레인(13)은, 수용 선반(11)과 수용 선반(11)의 단부(端部)에 설치한 입출고대(storage and retrieval table;14)와의 사이에서 워크(W)를 반송하는 것 외에,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워크(W)의 재배치를 위해 워크(W)를 반송한다. The stacker crane 13 as a workpiece conveying device transports the workpiece W between a receiving shelf 11 and a storage and retrieval table 14 provided at an end of the receiving shelf 11 The work W is carried for rearrangement of the work W in the receiving shelf 11. In addition,

지상 제어반(C)은, 워크(W)의 입출고 관리나 재고 관리를 행하는 것 외에, 수용 선반(11)에 수용되어 있는 워크(W)의 재배치 계획을 행하여, 입출고 관리나 재고 관리, 워크(W)의 재배치 계획을 위한 지령을 스태커 크레인(13)으로 전달한다. The ground control panel C not only performs the input / output management and inventory management of the work W but also performs the rearrangement plan of the work W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helf 11 to perform input / output management, inventory management, ) To the stacker crane (1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태커 크레인(13)의 주행 방향을 수용 선반(11)의 길이 방향으로 하고, 스태커 크레인(13)과 수용 선반(11)과의 사이에서 워크(W)의 출입 방향을, 수용 선반(11)의 전후 방향으로 한다.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stacker crane 13 is set to be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helf 11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 W is carried out between the stacker crane 13 and the receiving shelf 11 Rear direction of the shelf 11. [

또한, 수용 선반(11)에 수용되는 다수의 워크(W)의 중량은 서로 동일하다. Further, the weights of the plurality of workpieces W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helf 11 are the same.

또한, 워크(W)는, 팔레트와 팔레트에 탑재된 물품을 포함하고, 물품이 탑재되는 팔레트는, 변형시키고자 하는 외력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다. The workpiece W includes a pallet and an article mounted on the pallet, and the pallet on which the article is mounted has sufficient rigidity to resist an external force to be deforme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11) 및 스태커 크레인(13)은, 수용 선반(11), 스태커 크레인(13), 수용 선반(11), 수용 선반(11), 스태커 크레인(13), 수용 선반(11), 수용 선반(11), 스태커 크레인(13), 수용 선반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1, the receiving shelf 11 and the stacker crane 13 are fixed to the receiving shelf 11, the stacker crane 13, the receiving shelf 11, the receiving shelf 11, the stacker crane 13, The receiving shelf 11, the receiving shelf 11, the stacker crane 13, and the receiving shelf are arranged in this order.

각 수용 선반(11)은, 서로 동일한 구성이다. Each receiving shelf 11 has the same configuration.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11)의 상하 방향 및 길이 방향에는, 워크(W)를 수용하는 다수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shelf 11, a plurality of work receiving spaces S for accommodating the work W are formed.

도 2(a), 도2(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은, 수용 선반(11)의 주된 골격이 되는 3개의 주프레임(15)과, 주프레임(15)보다도 강성이 작은 4개의 종속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s. 2 (a), 2 (b) and 3, the receiving shelf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ree main frames 15, which are the main skeleton of the receiving shelf 11, And four subordinate frames 20 whose rigidity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rame 15.

우선, 프레임으로서의 주프레임(15)에 대해서 설명하면, 주프레임(15)은, 전후에 배치된 기둥 부재로서의 한 쌍의 주기둥 부재(16)와, 주기둥 부재(16)의 정부(頂部), 하부 및 중간부를 접속하는 들보 부재로서의 주들보 부재(17)를 구비하고 있다. First of all, the main frame 15 as a frame will be described. The main frame 15 has a pair of main pillar members 16 as front and rear pillar members and a pair of main pillar members 16, And a main beam member 17 as a beam member connecting the lower and middle portions.

각 주기둥 부재(16)의 하단은 바닥면(F)에 고정되어 있다. The lower ends of the main column members 16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F. [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주프레임(15)에는, 주기둥 부재(16)와 주들보 부재(17)로부터 둘러싸인 구면으로서의 복수의 주구면(18)이 형성되어 있고, 각 주구면(18)에는 래티스(lattice;19)가 상하 방향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2 (a), in the main frame 15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main spherical surfaces 18 as spherical surfaces surrounded by the main column member 16 and the main beam member 17 are formed, A lattice 19 is disposed on each main spherical surface 18 in the vertical direction.

래티스(19)는 주구면(18)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사재(斜材)이고, 주기둥 부재(16)에 대하여 경사져 전후의 주기둥 부재(16)를 접속한다.The lattice 19 is a vertical slant member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main spherical surface 18 and connects the main column member 16 on the front and rear side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main column member 16. [

주프레임(15)은, 수용 선반(11)에 필요한 강도를 주로 담당하는 요소이다.The main frame 15 is an element mainly responsible for the strength required for the receiving shelf 11.

주기둥 부재(16), 주들보 부재(17) 및 래티스(19)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기둥 부재(16)는 강관이다. The main column member 16, the main beam member 17 and the lattice 19 are formed of a steel material, and the main column member 16 is a steel pipe.

다음으로, 프레임으로서의 종속 프레임(20)에 대해서 설명하면, 종속 프레임(20)은, 전후에 배치된 기둥 부재로서의 한 쌍의 종속 기둥 부재(21)와, 종속 기둥 부재(21)의 정부, 하부 및 중간부를 접속하는 들보 부재로서의 종속 들보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lave frame 20 as a frame. The slave frame 20 includes a pair of slave column members 21 as front and rear column members, And a dependent beam member 22 as a beam member connecting the intermediate portion.

각 종속 기둥 부재(21)의 하단은 바닥면(F)에 고정되어 있다. The lower ends of the subsidiary post members 21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F. [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속 프레임(20)에는, 종속 기둥 부재(21)와 종속 들보 부재(22)로부터 둘러싸인 구면으로서의 복수의 종속 구면(23)이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slave spherical surfaces 23 as spherical surfaces surrounded by the slave column member 21 and the dependent beam member 22 are formed in the slave frame 20 as shown in Fig.

종속 구면(23)에는 래티스(19)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속 구면(23)은 주구면(18)과 비교하면 전후 방향의 외력을 받으면 용이하게 변형하기 쉽다.Since the slave spherical surface 23 is easily deformed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compared with the sphere spherical surface 18, the slave spherical surface 23 is not easily arranged.

종속 프레임(20)은, 워크(W)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갖고, 수용 선반(11)의 지진에 대한 강도로의 공헌은 거의 없으며, 주프레임(15)과 비교하면 현저하게 강성이 작다. The slave frame 20 has a strength enough to support the work W and has little contribution to the strength against earthquake of the receiving shelf 11. The slave frame 20 is remarkably stiff Is small.

종속 기둥 부재(21) 및 종속 들보 부재(22)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종속 기둥 부재(21)는 주기둥 부재(16)보다 소경(小俓)의 강관이다.The slave column member 21 and the dependent beam member 22 are formed of a steel material and the slave column member 21 is a steel pipe of a smaller diameter than the main column member 16. [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프레임(15)의 주구면(18)과 종속 프레임(20)의 종속 구면(23)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A plurality of main frames 15 and subordinate frames 20 are arranged with the main spherical surface 18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spherical surfaces 23 of the slave frames 20 parallel to each other .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이, 주프레임(15), 종속 프레임(20), 종속 프레임(20), 주프레임(15), 종속 프레임(20), 종속 프레임(20), 주프레임(15)의 순으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main frame 15 and the dependent frame 20 are divided into a main frame 15, a slave frame 20, a slave frame 20, a main frame 15, (20), a slave frame (20), and a main frame (15).

즉, 주프레임(15)과 주프레임(15)의 사이에 2개의 종속 프레임(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That is, two subordinate frames 20 are successively arranged between the main frame 15 and the main frame 15.

또한,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의 배치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 선반(11)의 양단부에는 주프레임(1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A main frame 15 is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receiving shelf 11 in the arranging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s 20, respectively.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사이에는 제1 프레임 공간(R1)이 형성되고, 서로 연달아 설치되는 종속 프레임(20)의 사이에 제2 프레임 공간(R2)이 형성된다. The first frame space R1 is formed between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and the second frame space R2 is provided between the slave frames 20 that are installed in succession to each other. .

제1 프레임 공간(R1) 및 제2 프레임 공간(R2)에는, 다단(多段) 형상으로 10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first frame space R1 and the second frame space R2, ten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are formed in a multi-stage shap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 수용 공간(S)에 대해서는 아래부터 1단째, 2단째로 세고, 최상부의 워크 수용 공간(S)을 10단째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 receiving space S is counted from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from the bottom, and the topmost work receiving space S is set to the tenth stage.

수용 선반(11)은, 4개의 제1 프레임 공간(R1)과 2개의 제2 프레임 공간(R2)을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간(R1, R2)에 10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최대 60개의 워크(W)를 수용 가능하다. The receiving shelf 11 has four first frame spaces R1 and two second frame spaces R2 and ten work accommodating spaces S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frame spaces R1 and R2 ,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maximum of 60 works (W).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프레임(15)에는, 한 쌍의 주기둥 부재(16)에 고정된 대략 コ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main frame 15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U-shaped first support member 24 fixed to a pair of main pillar members 16.

종속 프레임(20)에는, 제1 지지 부재(24)와 대향하도록 한 쌍의 종속 기둥 부재(21)에 고정된 대략 コ자 형상의 제2 지지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The subordinate frame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member 25 of a substantially U-shape fixed to a pair of subsidiary pillar members 21 so as to face the first support member 24. [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는 워크(W)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are members for supporting the work W.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 공간(R1)에 있어서의 워크 수용 공간(S)은,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구획되고, 제2 프레임 공간(R2)에 있어서의 워크 수용 공간(S)은,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구획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 space S in the first frame space R1 is partition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and the second frame space R2 is partition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 The work receiving space S is partitioned by the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25. [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가 워크(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하고,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25)가 워크(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In the first frame space R1,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 to a pair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work W. In the second frame space R2, And a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25 correspond to a pair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work W.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Detail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will be described later.

수용 선반(11)은, 주프레임(15)의 후부측(後部側)의 주기둥 부재(16) 및 종속 프레임(20)의 후부측의 종속 기둥 부재(21)를 연결하는 수평 가재(26)를 구비하고 있다.The receiving shelf 11 includes a horizontal lid member 26 connecting the main pillar member 16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column members 21 on the rear side of the slave frame 20, .

수평 가재(26)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고,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The horizontal crawler 26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and dispos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

구체적으로는, 수평 가재(26)는, 주기둥 부재(16) 및 종속 기둥 부재(21)의 최상부와 하부에 수평하게 가설(架設)되어 있는 것 외에, 2단째, 4단째, 6단째 및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있어서 각각 수평하게 가설되어 있다. Concretely, the horizontal rib member 26 is horizontally erected at the uppermost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lumn member 16 and the slave column member 21, and the second, fourth, sixth, Are horizontally laid in the lower part of the work space (S) in the first stage.

수용 선반(11)은, 후부측의 수평 가재(26)와 동일하게, 주프레임(15)의 전부측(前部側)의 주기둥 부재(16) 및 종속 프레임(20)의 전부측의 종속 기둥 부재(21)를 연결하는 수평 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The receiving shelf 11 has a sidewall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column member 16 and the slave frame 20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5 in the same manner as the horizontal side member 26 on the rear side, And a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for connecting the pillar members 21 to each other.

수용 선반(11)의 전부 및 후부에 있어서, 연달아 설치된 2개의 종속 기둥 부재(21)를 사이에 끼우는 양측의 2개의 주기둥 부재(16)와, 최상부의 수평 가재(26)와, 6단째의 하부의 수평 가재(26)는, 수용 선반(11)의 전부 및 후부에 수직 구면을 형성한다.Two main pillar members 16 on both sides sandwiching the two cascade-mounted subsidiary pillar members 21, an uppermost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and an uppermost horizontal lumber member 26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eiving shelf 11, The lower horizontal reservoir 26 forms vertical spherical surfaces on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receiving shelf 11.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후부의 수직 구면에는 대각선상으로 브레이스(brace;27)가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3 and 4, a brace 27 is disposed diagonally on the vertical spherical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receiving shelf 11. As shown in Fig.

브레이스(27)의 양단부는, 주기둥 부재(16)와 수평 가재(26)가 교차하는 개소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Both ends of the brace 27 are connected to the intersection of the main column member 16 and the horizontal luggage member 26, respectively.

또한,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해 워크 수용 공간(S)에 대한 워크(W)의 출입을 행하는 점에서,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전부의 수직 구면에는 브레이스(27)는 설치되지 않는다.The brace 27 is not provided on the vertical spherical surface of the whole of the receiving shelf 11 in order to allow the worker W to enter and exit the work receiving space S by the stacker crane 13.

수평 가재(26) 및 브레이스(27)는 수용 선반(1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요소이다.The horizontal rib member 26 and the brace 27 are elements for enhancing the strength of the receiving shelf 11.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은,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의 최상부 및 하부에 수평 사재로서의 연결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있어서 연결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The receiving shelf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28 as the horizontal straining material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in the first frame space R1 The second, the fourth, the sixth, and the eighth stage of the work space S,

또한, 수용 선반(11)은,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서로 연달아 설치되는 종속 프레임(20)의 최상부 및 하부에 수평 사재로서의 연결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연결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The receiving shelf 11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28 as the horizontal straining material at the uppermost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lave frame 20 provided in succession in the second frame space R2, A connecting member 28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the fourth, sixth, and eighth stages.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28)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member 28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연결 부재(28)는, 제1 프레임 공간(R1) 및 제2 프레임 공간(R2)에 있어서 수평하게 가설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28 is horizontally laid in the first frame space R1 and the second frame space R2.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연결 부재(28)는, 전부의 주기둥 부재(16)와 후부의 종속 기둥 부재(21)와의 사이, 또는 후부의 주기둥 부재(16)와 전부의 종속 기둥 부재(21)와의 사이를 연결한다.In the first frame space R1, the connecting member 28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column member 16 and the rear subordinate column member 21 or between the rear main column member 16 and all the subordinate columns And the member (21).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연결 부재(28)는, 전부의 종속 기둥 부재(21)와 후부의 종속 기둥 부재(21)와의 사이를 연결한다.In the second frame space R2, the connecting member 28 connects all of the subsidiary post members 21 and the rear subsidiary post members 21 to each other.

즉, 연결 부재(28)는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을 연결하고,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종속 프레임(20)끼리를 연결한다.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28 connects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in the first frame space R1 and connects the slave frames 20 in the second frame space R2 .

연결 부재(28)의 길이 방향은, 주들보 부재(17)및 종속 들보 부재(22)의 각각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즉, 연결 부재(28)는, 주구면(18) 및 종속 구면(23)에 대하여 경사진다.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28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main beam member 17 and the dependent beam member 22,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28 has the main spherical surface 18, (23).

다음으로,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제1 지지 부재(24)부터 설명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4)는, 대략 コ자 형상의 부재로서, 전후의 주기둥 부재(16)에 각각 고정되며, 선단이 제1 프레임 공간(R1)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아암부(30)와, 아암부(30)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31)를 갖고 있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first support member 24 is a substantially U-shaped member fixed to the front and rear main column members 16, respectively, An arm portion 30 whose tip projects horizontally in the first frame space R1 and a connecting portion 31 which connects the tip of the arm portion 30. [

주프레임(15)에는, 1∼10단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가 구비되어 있다.The main frame 15 is provided with a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work receiving spaces S in the first to tenth stages.

본 실시 형태에서는,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는, 제진 수단으로서의 댐퍼(32)를 구비하고,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는 댐퍼(32)를 구비하지 않는다.The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stages includes a damper 32 as vibration suppressing means, The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the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stages does not have the damper 32.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에 댐퍼(32)를 구비하지 않는 이유는, 이들 제1 지지 부재(24)의 바로 아래에 수평 가재(26)가 구비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damper 32 is not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is that the first support member 24 Since the horizontal crawler 26 is provided immediately below the horizontal crawler.

따라서,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는, 수평 가재(26)를 갖는 제1 지지 부재(24)이고,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는, 수평 가재(26)가 없는 제1 지지 부재(24)이다.The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is the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the horizontal rib member 26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work accommodating spaces S is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without the horizontal rib member 26.

도 5, 도 6(a),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가재(26)가 없는 제1 지지 부재(24)의 접속부(31) 상에는, 2개의 댐퍼(32)가 전후로 부착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6A and 6B, two dampers 32 are attach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1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without the horizontal rib member 26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have.

댐퍼(32)의 상면에는 워크(W)를 지지하는 받이판(support table;33)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32, a support table 33 for supporting the work W is provided.

댐퍼(32)는, 진동을 감쇠시키는 제진 수단으로서, 댐퍼(32)의 재료인 점탄성의 고무계 재료를 전단 변형시켜 진동을 흡수한다.The damper 32 is a vibration damping means for damping vibration, and absorbs vibration by shearing deformation of a viscoelastic rubber material which is a material of the damper 32.

진동시의 전단력이 댐퍼(32)에 작용하여 댐퍼(32)가 변형할 때, 댐퍼(32)가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한다. When the shear force at the time of vibration acts on the damper 32 to deform the damper 32, the damper 32 absorbs the vibration energy and converts it into thermal energy.

받이판(33)은, 댐퍼(32)의 상부에 있어서 접속부(31)를 덮도록 설치된 평판으로, 워크(W)의 저부(底部)(팔레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받이부(34)와, 받이부(34)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 절곡에 의해 형성된 기립부(35)를 구비한다.The receiving plate 33 is a flat plate provided so as to cover the connecting portion 31 at the upper portion of the damper 32 and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34 for supporting a part of a bottom portion (pallet) of the work W, And an upstanding portion (35) formed by bending at an end portio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34).

기립부(35)는, 받이판(33)에 대한 워크(W)의 전후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를 규제한다.The standing portion 35 regulates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ork W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plate 33 in the front-rear direction.

즉, 기립부(35)는, 워크(W)와 받이판(33)과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고, 나아가서는 워크(W)와 댐퍼(32)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에 상당한다.That is, the rising section 35 restricts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ork W and the receiving plate 3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urther regulates a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work W and the damper 32 And corresponds to a regulating member.

따라서, 댐퍼(32) 및 받이판(33)을 통하여 제1 지지 부재(24)에 지지되어 있는 워크(W)는, 댐퍼(32)의 변형의 범위 내에서의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가 허용되어 있다. The work W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through the damper 32 and the support plate 33 is mov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within the range of deformation of the damper 32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s allowed.

또한, 기립부(35)는 받이부(34)로부터 상방으로 향할수록 받이부(34)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The standing portion 35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so as to be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34 as it goes up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34. [

받이부(34)부터 기립부(35)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한 워크(W)의 출입에 지장이 생기지 않을 높이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The height from the receiving portion 34 to the upper end of the rising portion 35 is set to be equal to or less than a height at which no obstacle will be caused to the work W by the stacker crane 13.

기립부(35)가 경사면을 갖고 있음으로써, 워크 수용 공간(S)으로 워크(W)의 수용시에 있어서, 워크(W)를 하강할 때에, 기립부(35)가 워크(W)의 저부를 받이부(34)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Since the rising section 35 ha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rising section 35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ork W when the work W is lowered when the work W is received in the work receiving space S, To the receiving portion (34).

다음으로,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will be described.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25)는, 대략 コ자 형상의 부재로서, 전후의 종속 기둥 부재(21)에 각각 고정되며, 선단이 제1 프레임 공간(R1)(또는 제2 프레임 공간(R2))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아암부(36)와, 아암부(36)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37)를 갖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is a substantially U-shaped member fixed to the front and rear dependent pole members 21, respectively, and has a distal end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space R1 An arm portion 36 projecting horizontally in a frame space R2 and a connecting portion 37 connecting the tip end of the arm portion 36. [

제2 지지 부재(25)의 아암부(36)는 제1 지지 부재(24)의 아암부(30)와 동일한 구성이고, 또한, 제2 지지 부재(25)의 접속부(37)는 제1 지지 부재(24)의 접속부(31)와 동일한 구성이다.The arm portion 36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arm portion 30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connection portion 37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 And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nection portion 31 of the member 24.

종속 프레임(20)에는, 1∼10단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가 구비되어 있다.The subordinate frame 20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work receiving spaces S in the first to tenth stages.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32)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워크(W)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을 변위하는 규제편(regulating piece;38)을 구비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oppos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the damper 32 is provided with a regulating piece 24 for displacing the movement of the workpiece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8).

한편, 댐퍼(32)를 구비하지 않는 제1 지지 부재(24)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규제편(38)을 구비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oppos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which does not include the damper 32, does not have the restricting piece 38.

본 실시 형태에서는,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변위 규제 수단으로서의 규제편(38)을 구비하고,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규제편(38)을 구비하지 않는다.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work receiving space S in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stages has the restricting piece 38 as the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does not have the restricting pieces 38.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에 규제편(38)을 구비하지 않는 이유는, 이들 제2 지지 부재(25)의 바로 아래에 수평 가재(26)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not providing the restricting pieces 38 i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s 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 accommodating spaces S is that the second supporting members 25, the horizontal crawler 26 is provided.

따라서,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수평 가재(26)를 갖는 제2 지지 부재(25)이고,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수평 가재(26)가 없는 제2 지지 부재(25)이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is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the horizontal rib member 26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work accommodating spaces S is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without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26.

접속부(37)는, 워크(W)가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지지된 상태에서, 워크(W)가 수평이 되도록, 제1 지지 부재(24)의 받이판(33)의 높이에 맞추어 설정되어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37 is formed so that the work W is supported by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so that the work W is horizontal while the work W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 Is set to match the height of the plate (33).

본 실시 형태의 규제편(38)은 금속판의 펀칭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restricting piece 38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by punching a metal plate.

도 5,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25)에 있어서의 접속부(37)의 전후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규제편(38)의 일부는 접속부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c),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connection portion 37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and a part of the restriction piece 38 protrudes upward from the connection portion have.

규제편(38)은,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한 워크(W)의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 수단에 상당한다.The restricting piece 38 corresponds to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displacement of the workpiece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

또한, 규제편(38)은 접속부(37)로부터 상방으로 향할수록 접속부(37)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39)을 구비하고 있다.The restricting piece 38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39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7 as it goes upward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7.

접속부(37)부터 경사면(39)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한 워크(W)의 출입에 지장이 생기지 않을 높이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The height from the connecting portion 37 to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39 is set to be equal to or less than a height at which the work W can be prevented from coming in and out by the stacker crane 13.

규제편(38)이 경사면(39)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워크 수용 공간(S)으로의 워크(W)의 수용시에 있어서, 워크(W)를 하강할 때에, 경사면(39)이 워크(W)의 저부를 제2 지지 부재(25)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The inclined surface 39 is provided on the workpiece holding space S at the time of lowering the workpiece W when the workpiece W is received in the workpiece accommodation space S because the restricting piece 38 has the inclined surface 39 W)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not shown).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은, 댐퍼(32)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와 규제편(38)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와, 댐퍼(32)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와 규제편(38)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수용 지지된 워크(W)를 이용한 제진 구조로 되어 있다.The receiving shelf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supporting member 24 having a damper 32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25 having a restricting piece 38, 1 is a vibration damping structure using a work W received and supported by a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a support member 24 and a restricting piece 38. [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11)의 제진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vibration damping action of the receiving shelf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워크 수용 공간(S)에 워크(W)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work W is accommodated in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워크(W)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지지된다.In the first frame space R1, the work W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and in the second frame space R2, the pair of second support members 25).

대지진이 발생하여,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의 전후 방향의 진동(주구면(18) 및 종속 구면(23)과 평행한 흔들림)이 발생하면, 충분한 강도가 설정되어 있는 주프레임(15)과, 주프레임(15)과 비교하면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20)에는, 서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이 발생한다.When a large earthquake occurs and vibra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shaking in parallel with the main and auxiliary spherical surfaces 18 and 23) occur, And the subordinate frame 20, which is easy to deform as compared with the main frame 15, fluctuates in phase from each other.

강성이 큰 주프레임(15)에서는 변형이 작은 흔들림이고, 종속 프레임(20)은 외력에 대하여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변형이 큰 흔들림이 된다.In the main frame 15 having a large rigidity, the deformation is small and the deformation of the slave frame 20 is easy due to the external force.

특히, 수용 선반(11)의 상부는 하부와 비교하여 흔들림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Particularly,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helf 11 tends to be shaky as compared with the lower portion.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수평 가재(26)와 수평 가재(26)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의 워크 수용 공간(S)에서는,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상측의 수평 가재(26)와 하측의 수평 가재(26)와의 사이의 부위와,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상측의 수평 가재(26)와 하측의 수평 가재(26)와의 사이와의 변형은 서로 상이하다. In the plurality of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existing between the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and the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horizontal member 26 and the lower horizontal member 26 in the main column member 16 Deformation between a portion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26 on the upper side and a horizontal support member 26 on the upper side in the subsidiary post member 2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예를 들면,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2, 3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2, 3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와 비교하여 변형은 적다.For exampl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ork space S in the second and third tiers in the main column member 16 is located in the second and third tier work space S in the slave column member 21, The deformation is small as compared with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마찬가지로,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4, 5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4, 5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와 비교하여 변형은 적다.Likewise,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work accommodation spaces S in the fourth and fifth tiers in the main column member 16 correspond to the work accommodation spaces S in the fourth and fifth tiers in the slave column member 21 The deformation is small compared to the area where it is made.

또한,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6, 7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6, 7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와 비교하여 변형은 적다.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work space S in the sixth and seventh tiers of the main column member 16 correspond to the work space S in the sixth and seventh tiers in the slave column member 21 The deformation is small compared to the area where it is made.

또한,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8∼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8∼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와 비교하여 변형은 적다.The portions of the main column member 16 corresponding to the 8th to 10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correspond to the 8th to 10th workpiece accommodating spaces S in the slave column member 21 The deformation is small compared to the area where it is made.

규제편(38)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에서는, 규제편(38)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하여 변위가 규제되는 워크(W)가,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제2 지지 부재(25) 부근의 부위와 일체로 되어 전후 방향으로 흔들린다.In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the restricting piece 38, the work W whose displacement is regulated relative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by the restricting piece 38 is provided on the slave column member 21 And is swu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unison with the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워크(W)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릴 때, 워크(W)에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하중(이하, 「수평 하중」이라고 표기함)은,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가 각각 부담하지만, 제1 지지 부재(24)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과 제2 지지 부재(25)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은 상이하다.The lo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horizontal load ") generated in the work W when the work W shak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The horizontal load impos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horizontal load impos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편(38)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은, 제1 지지 부재(24)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보다도 크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rizontal load impos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the restricting piece 38 is larger than the horizontal load impos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따라서,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규제편(38)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와 대향하는 제1 지지 부재(24) 부근의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제2 지지 부재(25) 부근의 부위와 상이한 위상으로 흔들리고, 이 종속 기둥 부재(21)보다 흔들림은 작다.The portion of the main column member 16 near the first support member 24 opposed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the restricting piece 38 is located at a position 2 supporting member 25, and the shaking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ubsidiary pillar member 21. [0051]

댐퍼(32)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에서는, 받이판(33)에 대한 워크(W)의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는 기립부(35)에 의해 규제된다.I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provided with the damper 32, the displacement of the workpiece W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lative to the receiving plate 33 is regulated by the rising portion 35.

이 때문에, 워크(W)는, 받이판(33)과 함께 댐퍼(32)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상대 변위하고, 워크(W)의 전후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에 수반하여 댐퍼(32)는 변형한다.Therefore, the work W is relatively displ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the damper 32 together with the receiving plate 33, and the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W The damper 32 is deformed.

도 7(a)는, 워크(W)가 종속 기둥 부재(21)와 일체로 되어 거리 d만큼 전방으로 변위함과 함께, 워크(W)가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거리 d만큼 전방으로 상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낸다.7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displaced forward by a distance d in unison with the slave column member 21 and the work W is moved forward by a distance d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s shown in Fig.

도 7(b)는, 워크(W)가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거리 d만큼 전방으로 상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낸다.7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relatively displaced forward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by a distance d.

워크(W)와 종속 기둥 부재(21)는, 일체로 되어 전방으로 변위할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변위한다.The work W and the slave column member 21 are integrally displaced not only forward but also rearward.

또한, 워크(W)는, 도 7(b)에 나타내는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전방으로의 상대 변위뿐만 아니라,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후방으로도 상대 변위한다.The work W is relatively displaced not only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in the forward direction but also rearward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s shown in Fig. 7 (b).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에 의해 댐퍼(32)가 변형되고, 댐퍼가 변형함으로써 지진 에너지가 댐퍼(32)에 흡수되어, 댐퍼(32)에 있어서 열에너지로 변환된다.The damper 32 is deformed by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ork W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damper is deformed so that the seismic energy is absorbed by the damper 32 and converted into thermal energy in the damper 32 do.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워크(W)의 종속 기둥 부재(21)와 일체로 된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가 클수록,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가 커진다.The larger the displacement of the work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egral with the slave column member 21 is, the more the displacement of the work W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becomes, The relative displacement becomes large.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가 클수록, 댐퍼(32)의 변형도 커지고, 댐퍼(32)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흡수도 많아진다. The larger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orkpiece W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the greater the deformation of the damper 32 and the greater the absorption of seismic energy by the damper 32. [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의 제진 구조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shelf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exhibits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1)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수용 지지되는 워크(W)가 존재하는 경우, 수용 선반(11)이 지진 에너지를 받으면,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에서는 각각 흔들림이 발생한다. 이때, 종속 프레임(20)에서는, 워크(W)가 규제편(38)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5)와 일체로 되어 종속 프레임(20)과 함께 흔들린다. 워크(W)와 일체로 되어 흔들리는 종속 프레임(20)은,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주프레임(15)보다도 흔들림이 커지는 점에서,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은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주프레임(15)에서는, 워크(W)가 댐퍼(32)를 통하여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종속 프레임(20)의 흔들림에 따라서 변위한다. 이때, 주프레임(15)에 있어서의 제1 지지 부재(24)에 설치한 댐퍼(32)가 변형하여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고, 수용 선반(11)의 흔들림을 감쇠시킨다. 주프레임(15)의 제1 지지 부재(24)에 댐퍼를 설치하고, 제2 지지 부재(25)에 규제편(38)을 설치함으로써, 워크(W)를 이용하여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댐퍼(32)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1) When there is a work W to be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when the receiving shelf 11 receives the earthquake energy, the main frame 15 and the subordinate Shake occurs in the frame 20,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the slave frame 20, the work W is shaken together with the slave frame 20 integrally with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by the restricting piece 38. The slave frame 20 which is shaken integrally with the work W has a larger shake than the main frame 15 due to the difference in horizontal load of the work W to be burdened, (20) causes shaking of different phases. Therefore, in the main frame 15, the work W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via the damper 32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of the slave frame 20. At this time, the damper 32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of the main frame 15 is deformed to absorb the earthquake energy, and the shake of the receiving shelf 11 is attenuated. A damper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of the main frame 15 and a restricting piece 38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so that the main frame 15 and the subordinate It is possible to cause the frame 20 to swing in different phases from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bsorb seismic energy by the damper 32.

(2)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워크(W)를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복수의 프레임에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의 구조상의 상위를 이용하여,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의 흔들림의 위상차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2) Since it is constitu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ubordinate frame 20, not only the fluctuation of the phases in different phases is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frames by using the work W,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hase shift in the main frame 15 and the subordinate frame 20,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using the structural upper order of the subordinate frame 20 and the subordinate frame 20. Therefor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shake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can be further increased.

(3) 댐퍼(32)와 워크(W)와의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받이판(33)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워크(W)와 댐퍼(32)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와의 상대 변위가 확실하게 댐퍼(32)에 입력되어, 댐퍼(32)를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댐퍼(32)의 변형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확실하고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또한, 받이판(33)이 댐퍼(32)와 워크(W)와의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점에서, 워크(W)의 팔레트와 받이판(33)과의 사이의 마찰 계수에 관계없이, 댐퍼(32)를 확실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3) Since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damper 32 and the workpiece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gulated by the receiving plate 33,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damper 32 and the workpiece W The relative displacement can be surely inputted to the damper 32, so that the damper 32 can be deformed. Therefore, seismic energy can be reliably and efficiently absorbed by the deformation of the damper 32. Regardless of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pallet of the work W and the receiving plate 33 in that the receiving plate 33 restricts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damper 32 and the work W in the front- , The damper 32 can be reliably deformed.

(4) 주프레임(15)의 제1 지지 부재(24)에 댐퍼(32)를 설치하고, 주프레임(15)보다도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20)의 제2 지지 부재(25)에 규제편(38)을 설치함으로써, 워크(W)는 종속 프레임(20)과 일체로 되어 흔들린다. 이 때문에, 종속 프레임(20)은 주프레임(15)에 대하여 보다 큰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댐퍼(32)에 지진 에너지를 흡수시킬 수 있다.(4) The damper 32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of the subordinate frame 20, which is more deformable than the main frame 15, The work W is shaken integrally with the slave frame 20. In this case, Therefore, the slave frame 20 can cause a larger swing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15, so that the damper 32 can absorb the earthquake energy more efficiently.

(5)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 중, 제1 지지 부재(24)에만 댐퍼(32)를 설치하기 때문에,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양쪽에 댐퍼(32)를 설치하는 것 보다도 댐퍼(32)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수용 선반(11)의 제작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용 선반이 구비하는 제1 지지 부재에 댐퍼(32)를 추가하고, 제2 지지 부재에 규제편(38)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수용 선반의 제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Since the damper 32 is provided only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ou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The number of the dampers 32 can be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ceiving shelf 11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damper 3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racks 25. Further, by adding the damper 32 to the first supporting member of the existing receiving shelf and adding the regulating piece 38 to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the vibration damping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receiving shelf can be improved.

(6) 수평 가재(26)를 갖는 제1 지재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워크 수용 공간(S)에서는, 수평 가재(26)에 의해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이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수평 가재(26)가 설치되는 워크 수용 공간(S)에 있어서의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상대 변위는 작아진다. 따라서, 수평 가재(26)를 갖는 제1 지지 부재(24)에 댐퍼(32)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제2 지지 부재(25)에 규제편(38)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6) In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4 and 25 having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26, the horizontal member 26 supports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s The relative displacement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in the workpiece receiving space S where the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is provided are reduced.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damper 32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the horizontal rib member 26, and the restricting member 38 need not be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7) 댐퍼(32)를 구비하는 제1 지지 부재(24)와 규제편(38)을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25)를 갖는 워크 수용 공간(S)에 반드시 워크(W)가 수용되어 있으면, 수용 선반(11)의 제진 기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32)를 구비하는 제1 지지 부재(24)와 규제편(38)을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25)를 갖는 워크 수용 공간(S)에 우선적으로 워크(W)를 수용하면, 수용 가능한 워크(W)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수용 선반(11)의 제진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7) A workpiece W is always contained in a workpiece receiving space S having a first supporting member 24 having a damper 32 and a second supporting member 25 having a restricting piece 38 The vibration damping function of the receiving shelf 11 can be maximized. Therefore, when the workpiece W is preferentially placed in the workpiece accommodation space S having the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the damper 32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the restricting piece 38 , It is possible to exert the vibration damping function of the receiving shelf 11 even when the number of workpieces W that can be accommodated is limited.

(8) 워크(W)는 물품 및 팔레트를 갖지만, 팔레트만의 워크(W)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댐퍼(32)를 구비하는 제1 지지 부재(24)와 규제편(38)을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25)를 갖는 워크 수용 공간(S)에 팔레트만의 워크(W)를 수용해도 수용 선반(11)의 제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8) The workpiece W has an article and a pallet, but may be a pallet-only workpiece W. In this case, only the pallet workpiece W is placed in the workpiece receiving space S having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having the damper 32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having the restricting piece 38 The vibration damping function of the water receiving shelf 11 can be exhibited.

(제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rac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는,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한 주프레임과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한 종속 프레임이 교대로 배치되는 수용 선반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a receiving shelf in which a main frame having a first supporting member and a slave frame having a second supporting member are alternately arranged.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에 있어서의 주프레임 및 종속 프레임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고, 부호를 공통적으로 이용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main frame and the subordinate frame in the receiving shelf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hence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and the reference numerals are commonly used.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41)은,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이 주구면(18)과 종속 구면(23)을 서로 평행하게 함과 함께 교대로 배치된 구조를 갖고 있다.8, the receiving shelf 4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are arranged so that the main spherical surface 18 and the slave spherical surface 23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s a deployed structure.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사이에는 제1 프레임 공간(R1)이 형성되지만, 종속 프레임(20)은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제2 프레임 공간(R2)은 존재하지 않는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frame space R1 is formed between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but since the slave frames 20 are not continuously arranged, R2) does not exist.

주프레임(15)에는 제1 지지 부재(24)가 설치되고, 종속 프레임(20)에는 제2 지지 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A first support member 24 is provided on the main frame 15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5 is provided on the slave frame 20. [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는, 워크(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 to a pair of support members for supporting the work W.

제1 프레임 공간(R1)에 있어서,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수평 가재(26)가 없는 제1 지지 부재(24)는, 댐퍼(32) 및 받이판(33)을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no horizontal rib member 26 corresponding to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stages in the first frame space R1, And includes a damper 32 and a receiving plate 33.

제1 프레임 공간(R1)에 있어서,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수평 가재(26)가 없는 제2 지지 부재(25)는 규제편(38)을 구비하고 있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no horizontal rib member 26 corresponding to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stages in the first frame space Rl is regulated (38).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하부에는 수평 가재(26)가 설치되어 있다. A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is provided below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4 and 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have.

이 때문에,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는 댐퍼(32) 및 받이판(33)을 구비하지 않는다.Therefore, the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does not have the damper 32 and the receiving plate 33.

또한,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규제편(38)을 구비하지 않는다.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piece receiving spaces S does not have the restricting piece 38.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수용 지지되는 워크(W)가 존재하는 경우, 수용 선반(41)이 지진 에너지를 받으면,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에서는 각각 흔들림이 발생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re is a workpiece W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24 and 25, when the receiving shelf 41 receives earthquake energy, And the subordinate frame 20, respectively.

이때, 종속 프레임(20)에서는, 워크(W)가 규제편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5)와 일체로 되어 종속 프레임(20)의 흔들림과 함께 흔들린다.At this time, in the slave frame 20, the work W is integrated with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by the restraining piece and is shaken with the sway of the slave frame 20.

워크(W)와 일체로 되어 흔들리는 종속 프레임(20)은, 주프레임(15)보다도 흔들림이 커지는 점에서,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은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킨다.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generate fluctuations of different phases in that the slave frame 20 which is shaken integrally with the work W has greater shaking than the main frame 15.

이 때문에, 주프레임(15)에서는, 워크(W)가 댐퍼(32)를 통하여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종속 프레임(20)의 흔들림에 따라서 변위한다.Therefore, in the main frame 15, the work W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via the damper 32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of the slave frame 20.

이때, 주프레임(15)에 있어서의 제1 지지 부재(24)에 설치한 댐퍼(32)가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용 선반(41)의 흔들림을 감쇠시킨다.At this time, the damper 32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of the main frame 15 absorbs the earthquake energy, so that the vibration of the receiving shelf 41 is attenuated.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1)∼(8)과 동등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The present embodiment exhibits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e operational effects (1) to (8) of the first embodiment.

(제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rack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본 실시 형태는, 수용 선반이 종속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고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한 주프레임과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한 주프레임이 교대로 배치되어 구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receiving shelf is constituted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main frame having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main frame having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without the slave frame.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에 있어서의 주프레임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고, 부호를 공통적으로 이용한다. Since the basic structure of the main frame of the receiving shelf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plan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used, and reference numerals are commonly used.

또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원용하고, 부호를 공통적으로 이용한다.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re also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s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and the reference numerals are commonly used.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51)은, 주기둥 부재(16), 주들보 부재(17) 및 래티스(19)를 구비한 주프레임(15)이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9, the receiving shelf 51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main frame 15 having a main column member 16, a main beam member 17 and a lattice 19 is disposed have.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는 되지 않지만, 7개의 주프레임(15)이, 서로 주구면(18)을 평행하게 하여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seven main frames 15 are arranged in order with their principal spherical surfaces 18 parallel to each other.

주프레임(15)끼리의 사이에 프레임 공간(R)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공간(R)에는, 다단 형상으로 10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A frame space R is formed between the main frames 15 and ten work accommodating spaces S are formed in the frame space R in a multistage manner.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 수용 공간(S)에 대해서는 아래부터 1단째, 2단째로 세고, 최상부의 워크 수용 공간(S)을 10단째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ork receiving space S is counted from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from the bottom, and the topmost work receiving space S is set to the tenth stage.

수용 선반(51)은, 6개의 프레임 공간(R)을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간(R)에 10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최대 60개의 워크(W)를 수용 가능하다. The receiving shelf 51 can accommodate up to 60 pieces of work W in that six frame spaces R are provided and ten work accommodating spaces S are formed in each frame space R Do.

수용 선반(51)은, 주프레임(15)의 후부측의 주기둥 부재(16)를 연결하는 수평 가재(26)를 구비하고 있다.The receiving shelf 51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lid member 26 connecting the main column member 16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frame 15. [

수평 가재(26)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고, 주프레임(15)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The horizontal crawler members 26 are formed of a steel material and arrang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frame 15. [

구체적으로는, 수평 가재(26)는, 주기둥 부재(16)의 최상부와 하부에 수평하게 가설되어 있는 것 외에, 2단째, 4단째, 6단째 및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있어서 각각 수평하게 가설되어 있다. Concretely, the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is horizontally laid on the uppermost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lumn member 16, and in addition, the horizontal crawler member 26 is horizontally lai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 receiving space S in the second, fourth, sixth, As shown in Fig.

또한, 수용 선반(51)은, 주프레임(15)의 전부측의 주기둥 부재(16)를 연결하는 수평 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The receiving shelf 51 also has a horizontal lid member 26 connecting the main column member 16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frame 15.

수용 선반(51)의 전부 및 후부에 있어서, 연달아 설치된 4개의 주기둥 부재(16)와, 상하의 수평 가재(26)는, 수용 선반(51)의 전부 및 후부에 수직 구면을 형성한다. Four consecutive main pillar members 16 and upper and lower horizontal members 26 form a vertical spherical surface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receiving shelf 51 at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receiving shelf 51.

수용 선반(51)에 있어서의 후부의 수직 구면에는 대각선상으로 브레이스(27)가 배치되어 있다.A brace 27 is arranged diagonally on the rear vertical plane of the receiving shelf 51.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의 한쪽의 주프레임(15)에는 제1 지지 부재(24)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주프레임(15)에는 제2 지지 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A first support member 24 is provided on one main frame 15 of the adjacent main frame 15 and a second support member 25 is provided on the other main frame 15.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이 주프레임(15)만인 경우라도,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 중, 한쪽의 주프레임(15)에 설치한 지지 부재를 제1 지지 부재(24)로 하고, 다른 한쪽의 주프레임(15)에 설치한 지지 부재를 제2 지지 부재(25)로 하고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frame is the main frame 15 alone, the support member provided on one of the main frames 15 adjacent to each other is used as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upport member provided on the other main frame 15 is referred to as a second support member 25.

프레임 공간(R)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워크(W)가 지지된다. In the frame space R, the work W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제1 지지 부재(24)에는 댐퍼(32) 및 받이판(33)이 설치되고, 제2 지지 부재(25)에는 규제편(38)이 설치되어 있다. A damper 32 and a receiving plate 33 are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and a restricting piece 38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51)의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주프레임(15)은, 댐퍼(32) 및 받이판(33)이 구비된 제1 지지 부재(24)를 갖고 있다.10, the main frame 15 located at the edge of the receiving shelf 51 includes a first support member 24 provided with a damper 32 and a receiving plate 33, .

댐퍼(32) 및 받이판(33)이 구비된 제1 지지 부재(24)를 가진 주프레임(15)과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은, 규제편(38)이 구비된 제2 지지 부재(25)를 갖고 있다. The main frame 15 having the first support member 24 provided with the damper 32 and the receiving plate 33 and the main frame 15 adjacent to the main frame 15 are fixed to each other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댐퍼(32) 및 받이판(33)이 구비된 제1 지지 부재(24) 및 규제편(38)이 구비된 제2 지지 부재(25)는, 워크(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provided with the damper 32 and the receiving plate 33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provided with the restricting piece 38 are provided on the pair of supporting members 25 for supporting the work W, .

본 실시 형태에서는,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는, 제진 수단으로서의 댐퍼(32)를 구비하고,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는 댐퍼(32)를 구비하지 않는다. The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stages includes a damper 32 as vibration suppressing means, The first support member 24 corresponding to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the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stages does not have the damper 32.

또한, 3단째, 5단째, 7단째, 9단째, 10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변위 규제 수단으로서의 규제편(38)을 구비하고, 1단째, 2단째, 4단째, 6단째, 8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는 규제편(38)을 구비하지 않는다.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work receiving space S in the third, fifth, seventh, ninth and tenth stages is provided with the restricting piece 38 as the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fourth, sixth, and eighth work accommodating spaces S does not have the restricting piece 38. [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51)의 제진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vibration damping action of the receiving shelf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수용 선반(51)에 워크(W)가 전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지진이 발생하면, 수용 선반(51)의 각 주프레임(15)은 거의 동일한 위상의 흔들림이 발생한다.When a large earthquake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not received in the receiving shelf 51 at all, the main frames 15 of the receiving shelf 51 are shaken in almost the same phase.

한편, 일부 또는 모든 워크 수용 공간(S)에 워크(W)가 수용된 상태에서 대지진이 발생하면, 워크(W)가 수용되어 있는 워크 수용 공간(S)에서는,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은,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보다도 크게 흔들린다.On the other hand, when a large earthquake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accommodated in some or all of the work accommodating spaces S, in the work accommodating space S in which the work W is accommodated, The main frame 15 swings more greatly than the main frame 15 on the first support member 24 side.

즉, 규제편(38)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과 댐퍼(32) 및 받이판(33)을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과는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킨다.The main frame 15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4 having the regulating piece 38 and the main frame 15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the damper 32 and the receiving plate 33 15) in a phase different from each other.

그 이유는, 규제편(38)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은,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규제편(38)에 의해 워크(W)를 구속하여 워크(W)와 일체로 되어 흔들리고, 댐퍼(32) 및 받이판(33)을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에서는, 워크(W)가 댐퍼(32)의 변형에 따라서 상대 변위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the main frame 15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provided with the restricting piece 38 is deformed by the restricting piece 38 due to the difference in horizontal load of the work W to be burdened, In the main frame 15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provided with the damper 32 and the receiving plate 33, the work W is moved in the main frame 15, And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deformation of the damper 32.

따라서, 규제편(38)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은, 댐퍼(32) 및 받이판(33)을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보다도 크게 흔들린다.The main frame 15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provided with the restricting piece 38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having the damper 32 and the receiving plate 33, (15).

규제편(38)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과 댐퍼(32) 및 받이판(33)을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은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키는 점에서, 댐퍼(32)는 변형에 따라서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고, 열에너지로 변환한다.The main frame 15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having the restricting piece 38 and the main frame 15 on the side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having the damper 32 and the receiving plate 33, The damper 32 absorbs seismic energy in accordance with the deformation and converts it into heat energy.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프레임(15)에 의해 구성되고, 종속 프레임(20)을 구비하지 않는 수용 선반(51)이라도,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에 대해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댐퍼(32)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흡수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n the receiving shelf 51 constituted by the main frame 15 and not provided with the slave frame 20, due to the difference in horizontal load of the work W to be burdened, The vibration of the frame 15 can be generated in different phases, and the earthquake energy can be absorbed by the damper 32.

또한, 기존의 수용 선반이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제1 지지 부재(24)에 댐퍼(32)를 추가하고, 제2 지지 부재(25)에 규제편(38)을 추가함으로써, 기존의 수용 선반의 제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onventional receiving shelf has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the damper 32 is added to the first supporting member 24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25 By adding the restricting piece 38 to the receiving shelf, the vibration damping performance of the existing receiving shelf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the following changes may be made.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수용 선반에 본 발명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를 적용한 예였지만, 자동 창고 이외의 수용 선반이라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the receiving shelf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ceiving shelf of the automatic warehouse, but it may be a receiving shelf other than the automatic warehouse.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진 수단으로서 점탄성 재료인 고무계 재료에 의한 댐퍼를 이용했지만, 제진 수단은 점탄성 재료의 댐퍼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오일 댐퍼를 이용해도 좋다. 제진 수단이 오일 댐퍼인 경우, 오일의 저항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다. 이 경우도 점탄성 재료의 댐퍼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In the above embodiment, a damper made of a rubber material, which is a viscoelastic material, is used as the vibration damping means. However, instead of the damper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an oil damper which stretches and shrink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used. When the vibration damping means is an oil damper, the vibration can be damped using the resistance of the oil. This case also has the same effect as the damper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 본 발명에서는, 제진 수단을, 점탄성 재료의 댐퍼를 대신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다른 예와 같이 로터리 댐퍼(61)로 해도 좋다. 로터리 댐퍼(61)는 제1 지지 부재(24)의 접속부(31)에 있어서 전후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로터리 댐퍼(61)의 케이스 내에 로터와 오일을 구비하고, 로터와 동축(同軸)이며 워크(W)를 지지하는 고무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고무 롤러가 급격하게 회전하고자 해도 오일이 로터의 저항이 되어, 고무 롤러의 급격한 회전을 제동한다. 워크(W)가 고무 롤러에 의해 지지되고, 워크(W)가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상대 변위할 때, 고무 롤러가 상대 변위에 따라서 회전된다. 고무 롤러가 회전하면 로터리 댐퍼(61)가 고무 롤러의 급격한 회전을 제동함으로써 지진 에너지를 로터리 댐퍼(61)에 흡수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damping means may be replaced with a rotary damper 61 instead of the damper of the viscoelastic material, as in another example shown in Fig. A pair of rotary dampers (61) are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3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4). And a rubber roller provided with a rotor and an oil in a case of the rotary damper 61 and coaxial with the rotor and supporting the work W. For example, even if the rubber roller suddenly attempts to rotate, the oil becomes a resistance of the rotor, thereby braking the abrupt rotation of the rubber roller. When the work W is supported by the rubber roller and the work W is relatively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member 24, the rubber roller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displacement. When the rubber roller rotates, the rotary damper 61 brakes the abrupt rotation of the rubber roller, so that the seismic energy can be absorbed by the rotary damper 61.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진 수단으로서의 댐퍼(32)의 상면에 받이판(33)이 설치되고, 규제 부재로서의 받이판(33)의 기립부(35)에 의해 워크(W)와 받이판(33)과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고, 나아가서는 워크(W)와 댐퍼(32)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고 있지만, 댐퍼(32)가 워크(W)와 댐퍼(32)와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기립부(35)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ceiving plate 3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amper 32 serving as the vibration damping means and the rising portion 35 of the receiving plate 33 serving as the regulating member serves as the work W and the receiving plate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work W and the damper 32 is regul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the work W and the damper 32 and the relative displac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work W and the damper 32 is restricted, And a rising portion 35 for restrict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 수단으로서 금속판의 펀칭에 의해 형성된 규제편으로 했지만, 변위 규제 수단은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워크의 전후 방향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변위 규제 수단의 구체적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isplacement restriction means is a restriction piece formed by punching a metal plate. However, the displacement restriction means may be configured so as to restrict the displacement of the work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 부재로서, 받이판에 형성한 기립부를 이용했지만, 워크(W)와 댐퍼와의 마찰력이 충분한 등, 워크와 댐퍼와의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경우는, 제1 지지 부재에 규제 부재를 적극적으로 설치할 필요는 없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tanding portion formed on the receiving plate is used as the regulating member. However, when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work and the damper in the back-and-forth direction can be regulated, for example, sufficient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ork W and the damper is sufficient It is not necessary to positively provide a regulating member on the first supporting member.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상하의 수평 가재의 사이에 있어서, 하부에 수평 가재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에 제진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하부에 수평 가재를 갖는 제2 지지 부재에는 변위 규제 수단을 설치하지 않도록 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하부에 수평 가재를 갖는 제1 지지 부재에 제진 수단을 설치하고, 하부에 수평 가재를 갖는 제2 지지 부재에는 변위 규제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하부에 수평 가재가 없는 제1 지지 부재의 전부에 제진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고, 하부에 수평 가재가 없는 제2 지지 부재의 전부에 변위 규제 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수평 가재가 없는 일부의 제1 지지 부재에 제진 수단을 설치하고, 수평 가재가 없는 일부의 제1 지지 부재와 쌍을 이루는 제2 지지 부재에 변위 규제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member having the horizontal crawler at the lower portion is not provided with the vibration suppressing means,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having the horizontal crawler at the lower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For example, the vibration suppression means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member having the horizontal crawler on the lower side and the displacement control means is not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having the horizontal crawler on the lower sid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vibration suppressing means on the entire first support member having no horizontal crawler in the lower portion and the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on the entire second support member without the horizontal crawler on the lower portion. For example, the vibration suppression means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without the horizontal crawler, and the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member paired with the part of the first support member without the horizontal crawler.

○ 상기의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주프레임이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종속 프레임이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했지만, 주프레임이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종속 프레임이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적어도,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프레임이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면,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에 대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의 조합은 자유이다.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lthough the main frame has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lave frame has the second support member, the main frame has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the slave frame has the first And a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At least the frame including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frame including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re configured to generate the shaking in different phases,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for the plurality of frames forming the frame space The union is free.

○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규제편(38)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가 종속 프레임(20)에 반드시 고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종속 프레임(20) 중, 한쪽의 종속 프레임(20(20A))에 제2 지지 부재(25)만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의 종속 프레임(20(20B))에 있어서, 한쪽의 종속 프레임(20(20A))의 제2 지지 부재(25)와 대향하도록 댐퍼(32)를 구비한 제1 지지 부재(24)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다른 한쪽의 종속 프레임(20(20B))에는, 이웃하는 주프레임(15)의 제1 지지 부재(24)와 대향하도록 제2 지지 부재(25)를 설치하면 좋다. 이 경우, 종속 프레임(20(20A), 20(20B)) 사이에 워크(W)가 수용된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종속 프레임(20(20A), 20(20B))이 각각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은 상이하다. 이 때문에,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사이뿐만 아니라, 지진의 흔들림에 의해 종속 프레임(20(20A), 20(20B)) 사이에 있어서도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having the restricting piece 38 is fixed to the slave frame 20, but this is not necessarily the case. For example, as in the modification shown in Fig. 12, only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is fixed to one of the slave frames 20 (20A) out of the two adjacent slave frames 20, A first support member 24 having a damper 32 may be provided so as to face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of one slave frame 20 (20A) in the slave frame 20 (20B) . The second support member 25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ubordinate frame 20 (20B) so as to face the first support member 24 of the adjacent main frame 15. In this case, when an earthquake occurs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lave frames 20 (20A, 20 (20B)), each of the slave frames 20 (20A, 20 W are different. Therefore, not only between the main frame 15 and the slave frame 20 but also between the slave frames 20 (20A, 20 (20B)) due to the earthquake shake can cause fluctuations of different phases .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사재로서 강재인 연결 부재를 이용했지만, 수평 사재에 오일 댐퍼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일부의 수평 사재를 강재에 의한 연결 부재로 하고, 나머지의 수평 사재를 오일 댐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오일 댐퍼에 의한 제진 기능이 부가되기 때문에, 상기의 실시 형태보다도 수용 선반의 제진 특성이 향상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rizontal sliding member is a steel member, but the horizontal slid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n oil damper. Further, a part of the horizontal strainer may be a connecting member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the remaining horizontal strainer may be an oil damper. In this case, since the vibration damping function by the oil damper is added, the vibration damping characteristics of the receiving shelf ar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를 지지함으로써 댐퍼의 두께가 워크의 중량에 따라서 작아지지만, 댐퍼의 두께가 과도하게 작아지지 않도록, 예를 들면, 접속부와 받이판과의 사이에 받이판을 지지하는 지지 인도 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pport of the workpiece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damper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the work.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he damper from being excessively reduced in thickness, for example, Support delivery means may be provided.

10 : 자동 창고
11, 41, 51 : 수용 선반
13 : 스태커 크레인
15 : 주프레임
16 : 주기둥 부재
17 : 주들보 부재
18 : 주구면
19 : 래티스
20 : 종속 프레임
21 : 종속 기둥 부재
22 : 종속 들보 부재
23 : 종속 구면
24 : 제1 지지 부재
25 : 제2 지지 부재
26 : 수평 가재
27 : 브레이스
28 : 연결 부재
30, 36 : 아암부
31, 37 : 접속부
32 : 댐퍼(제진 수단으로서의)
33 : 받이판
35 : 기립부
38 : 규제편(변위 규제 수단으로서의)
61 : 로터리 댐퍼
C : 지상 제어반(제어 장치)
F : 바닥면
S : 워크 수용 공간
W : 워크
10: Automatic warehouse
11, 41, 51: receiving shelf
13: Stacker crane
15: Main frame
16: Main column member
17: Main beam member
18: main spherical surface
19: Lattice
20: dependent frame
21: Dependent column member
22: Dependent beam member
23: Dependent spherical surface
24: first supporting member
25: second supporting member
26: Horizontal crawler
27: Brace
28:
30, 36:
31, 37: connection
32: Damper (as a damping means)
33:
35:
38: Regulating piece (as displacement regulating means)
61: Rotary damper
C: Ground control panel (control device)
F: bottom surface
S: Work space
W: Walk

Claims (5)

복수의 기둥 부재(post member)와 복수의 들보 부재(beam member)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plane of structure)을 각각 갖는 복수의 프레임이, 상기 구면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워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한쪽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공간으로 향하여 설치된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다른 한쪽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공간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워크는,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수용 선반의 제진(制震)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워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는 제진(制振)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워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A plurality of frames respectively having a plane member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post members and a plurality of beam members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spherical surfaces,
A frame space for accommodating a workpiece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frames,
Wherein one of the frames forming the frame space has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toward the frame space,
And the other frame forming the frame space includes a second support member which is provided toward the frame space and faces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work includes a vibration damping structure of a receiving shelf supported by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Wherein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vibration damping means for allowing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orkpiece and the first support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support member includes displacement restricting means for restricting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orkpiece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主)기둥 부재와 복수의 주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주구면을 갖는 주프레임과,
복수의 종속 기둥 부재와 복수의 종속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종속 구면을 갖고, 상기 주프레임보다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을 갖고,
상기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 및 상기 종속 프레임 중 어느 한쪽이고,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 및 상기 종속 프레임 중 어느 다른 한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in frame having a main spherical surfac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main column members and a plurality of main beam members,
A slave frame having a slave spherical surfac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slave column members and a plurality of slave beam members and having a slave frame that is more deformable than the main frame,
Wherein the one frame is one of the main frame and the subordinate frame,
And the other frame is one of the main frame and the subordinate fram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 수단은, 상기 워크와 상기 제진 수단과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damping means comprises a restricting member for restricting relative displacement of said workpiece and said damping means in a horizontal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가재(horizontal member)가, 상기 프레임 공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복수 개소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프레임 공간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상기 수평 가재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adjacent frames is horizontally arrang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rame space,
Wherein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are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louv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ame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주프레임이고,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상기 종속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ne frame is the main frame and the other frame is the slave frame.
KR1020140141634A 2013-10-21 2014-10-20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KR1016598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7949 2013-10-21
JP2013217949A JP5821923B2 (en) 2013-10-21 2013-10-21 Suppression structure of containment shel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899A true KR20150045899A (en) 2015-04-29
KR101659811B1 KR101659811B1 (en) 2016-09-27

Family

ID=53011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634A KR101659811B1 (en) 2013-10-21 2014-10-20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21923B2 (en)
KR (1) KR101659811B1 (en)
CN (1) CN104555210B (en)
TW (1) TWI533826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8997A1 (en) * 2012-04-19 2015-03-12 Tokai Rubber Industries, Ltd. Automated Warehouse R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6710A1 (en) * 2017-11-28 2019-06-06 中洲電機株式会社 Conveyance device and conveyance system
WO2020049862A1 (en) * 2018-09-07 2020-03-12 村田機械株式会社 Rack for automated warehous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809A (en) * 1995-06-16 1997-03-04 Takenaka Komuten Co Ltd Fence for preventing stored article from dropping down
JPH11208830A (en) * 1998-01-20 1999-08-03 Murata Mach Ltd Rack for automated warehouse
JP2003118818A (en) 2001-10-11 2003-04-23 Murata Mach Ltd Vibration damping rack and rack vibration damping method
JP2013234067A (en) * 2012-04-13 2013-11-21 Toyota Industries Corp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shel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6343A (en) * 1977-08-18 1978-09-26 Palmer-Shile Company Storage rack
KR0136670B1 (en) * 1995-11-28 1998-04-27 이종수 Prevention device of swing in stacker crane
IT1294287B1 (en) * 1997-07-30 1999-03-24 Fata Automation CELL WAREHOUSE WITH HYDROPNEUMATIC HANDLING TRANSPORT WAGONS
JP4716111B2 (en) * 2006-01-24 2011-07-06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storage shelf
JP5610231B2 (en) * 2011-12-15 2014-10-22 株式会社ダイフク Goods storage shel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8809A (en) * 1995-06-16 1997-03-04 Takenaka Komuten Co Ltd Fence for preventing stored article from dropping down
JPH11208830A (en) * 1998-01-20 1999-08-03 Murata Mach Ltd Rack for automated warehouse
JP2003118818A (en) 2001-10-11 2003-04-23 Murata Mach Ltd Vibration damping rack and rack vibration damping method
JP2013234067A (en) * 2012-04-13 2013-11-21 Toyota Industries Corp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shel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68997A1 (en) * 2012-04-19 2015-03-12 Tokai Rubber Industries, Ltd. Automated Warehouse Rack
US9296559B2 (en) * 2012-04-19 2016-03-29 Sumitomo Riko Company Limited Automated warehouse r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81146A (en) 2015-04-27
CN104555210B (en) 2017-04-12
TWI533826B (en) 2016-05-21
TW201524428A (en) 2015-07-01
JP5821923B2 (en) 2015-11-24
KR101659811B1 (en) 2016-09-27
CN104555210A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45542B (en) The shelf of automated warehouse
KR101659811B1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JP5610231B2 (en) Goods storage shelf
TW201311526A (en) Automatic warehouse rack apparatus
JP5670368B2 (en) Rack damping device
JP2014201385A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automatic rack warehouse
JP5835184B2 (en) Suppression structure of containment shelf
KR101639658B1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KR101574598B1 (en) Goods storage rack
JP4765847B2 (en) Load support device for load storage rack
JP7233280B2 (en) Rack damping structure
KR101445593B1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JP5825355B2 (en) Automatic warehouse rack equipment
JP6593264B2 (en) Goods storage shelf
JP2015020816A (en) Storage shelf
JP5664330B2 (en) Connected structure
WO2014141905A1 (en) Multi-tier shelf group, automated warehouse, and method for adding vibration suppression mechanism thereto
JP6399868B2 (en) Seismic isolation system for automatic warehouse racks
JP4722027B2 (en) Goods storage shelf
JP5855977B2 (en) Rack damping device
JP2002234604A (en) Structure of warehouse
JP2010203133A (en) 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eel frame
JP2017160032A (en) Shelf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