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779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5779A KR20150045779A KR20130125466A KR20130125466A KR20150045779A KR 20150045779 A KR20150045779 A KR 20150045779A KR 20130125466 A KR20130125466 A KR 20130125466A KR 20130125466 A KR20130125466 A KR 20130125466A KR 20150045779 A KR20150045779 A KR 201500457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or
- output unit
- light output
- mobile terminal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8 hair col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되며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본 발명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되며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색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색상정보는, 상기 인물이 착용한 복장의 색상에 기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상정보에 따른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으로 상기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케이스 전방의 제1 카메라와 상기 케이스 후방의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광출력유닛은, 상기 케이스 전방의 제1 광출력유닛과 상기 케이스 후방의 제2 광출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의 제1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으로 상기 제1 광출력유닛이 동작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의 제2 색상정보에 따른 제2 색상으로 상기 제2 광출력유닛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표정, 상기 이동 단말기가 송수신한 메시지,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상기 케이스를 감싸는 커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인물의 상태, 무선 통싱부를 통해 획득한 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색상정보에 기초하여, 케이스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이 착용한 복장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색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정보에 따른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으로 상기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 전방의 제1 카메라로 제1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 후방의 제2 카메라로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의 제1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으로 상기 케이스 전방의 제1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의 제2 색상정보에 따른 제2 색상으로 상기 케이스 후방의 제2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20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일 수 있다. 바 형태의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케이스(101)와 배터리커버(102)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케이스(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부분일 수 있다. 전면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151)와,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121a), 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전면케이스(101)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1)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화음을 출력하거나,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52)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카메라(121a)는 사용자 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카메라(121a)를 통하여 촬영한 자신의 영상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정전식으로 감지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31)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131)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마이크(122)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
광출력유닛(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광출력유닛(10)은,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광출력유닛(10)은, 다양한 색상의 LED 및/또는 발광체로 구성될 수 있다.
광출력유닛(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외측 적어도 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 후면측, 측면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출력유닛(10)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에 마련된 제1 광출력윤시(10a)을 포함할 수 있다.
광출력유닛(10)은, 사용자의 상태 및/또는 주위의 상태에 기초한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복장, 사용자의 목소리, 주위의 밝기, 주위의 색상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사용자의 복장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21)를 통해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80)는 광출력유닛(10)의 발광여부, 발광정도, 발광색상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는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된 후면에는, 이어폰잭(171)과, 안테나(124)와, 후면 카메라(121b), 사이드키버튼(170), 제2 광출력유닛(10b)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이어폰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단자 뿐 아니라, 이어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신호의 수신을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24)는 DMB 등의 시청을 위한 방송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의 원활한 수신을 위하여 사용자는 바디에서 안테나(124)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입체화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left eye)용 영상과 우안(right eye)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후면 카메라(121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영상의 촬영시에 작동할 수 있다.
사이드키버튼(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17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푸쉬(push)하는 동작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광출력유닛(1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기초해 동작할 수 있다. 제2 광출력유닛(10b)은, 카메라(121b)의 플래쉬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위치한 조작버튼(BK)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후면 중앙의 상측 부분에 적어도 한쌍의 버튼이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작버튼(BK)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했던 버튼을 대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던 버튼의 역할을 후면에 위치한 조작버튼(BK)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조작버튼(BK)이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의 버튼조작이 보다 편리해질 수 있다.
제3 광출력유닛(10c)은, 조작버튼(BK)과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버튼(BK)의 상측, 하측, 측면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b)에 의하여 촬영된 주위의 영상 등에 기초하여 제3 광출력유닛(10c)의 발광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폴더 형태일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광출력유닛(10d)은, 폴더 형태인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5 광출력유닛(10e)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4 및/또는 5 광출력유닛(10d, 10e)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폴딩되어 있는 경우에도 발광을 통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6 광출력유닛(10f) 및 제7 광출력유닛(10g)은 이동 단말기(1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6,7 광출력유닛(10f, 10g)은, 이동 단말기(10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폴딩 또는 언폴딩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에 따라 제4,5 광출력유닛(10d, 10e) 또는 제6,7 광출력유닛(10f, 10g)을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언폴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6,7 광출력유닛(10f, 10g)이 발광되도록 하고, 폴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4,5 광출력유닛(10d, 10e)이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도 1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주위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S10)를 진행할 수 있다.
주위 영상은,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 및/또는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는 카메라(121)를 통해 주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촬영되는 주위 영상은,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다른 사람 및/또는 외부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촬영한 주위 영상에서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가 진행될 수 있다.
색상정보는 촬영한 영상의 분위기를 반영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착용한 복장이 밝은 색인가, 어두운 색인가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획득한 색상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등의 감정, 기분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감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획득한 색상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다.
색상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환경을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정보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감정을 반영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감정은, 사용자의 옷차림 등을 통해 추정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 환경 및/또는 사용자의 감정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옷차림 색상과 유사한 색상으로 광출력유닛(10)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에 위치한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사용자(U)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에는 제1 광출력유닛(10a)이 위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51)에는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촬영하고 있는 촬영영상(CI)이 표시될 수 있다.
촬영영상(CI)은, 다양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머리를 촬영한 제1 촬영영상(C1),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한 제2 촬영영상(C2), 사용자의 옷을 촬영한 제3 촬영영상(C3) 및 배경을 촬영한 제4 촬영영상(C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촬영영상(CI)은, 사용자의 상태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눈의 형상을 촬영한 제1 상태영상(G1) 및 사용자 입의 형상을 촬영한 제2 상태영상(G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촬영영상(CI) 중 적어도 일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영영상(C1)을 통해 사용자 머리색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촬영영상(C2)을 통해 사용자 피부색을 감지할 수 있다. 제3 촬영영상(C3)을 통해 사용자 복장의 색상 및/또는 형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4 촬영영상(C4)을 통해 날씨,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제1,2 상태영상(G1, G2)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3 촬영영상(C3)인 사용자 복장의 색상 및/도는 형태에 대응된 색상의 계열로 광출력유닛(1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되고 있는 사용자의 복장이 파란색인 경우에, 광출력유닛(10)이 파란색 계열의 색상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출력유닛(10)의 색상은, 촬영하고 있는 대상이 착용하고 있는 복장의 색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측에 위치한 제1 광출력유닛(10a)와 후면측에 위치한 제2 광출력유닛(10b)의 발광색상이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이 향하고 있는 사용자는 파란색 복장을 착용하고 있고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이 향하고 있는 다른 사람은 붉은색 복장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에, 전면측 제1 광출력유닛(10a)은 파란색 계열의 빛을 발광하고 후면측 제2 광출력유닛(10b)은 붉은색 계열의 빛을 발광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제1,2 광출력유닛(10a, 10b)가, 전면측에서 촬영한 영상의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과 후면측에서 촬영한 영상의 색상정보에 따른 제2 색상으로 각각 다르게 발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영상(CI)을 통한 색상의 분석은 색상테이블(AI)로 표현될 수 있다. 색상테이블(AI)은, 촬영영상(CI)의 전체적인 분위기 및/또는 특정 부분이 어떠한 색상인지 여부 및/또는 명암은 어떠한지 여부 등을 반영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한 영상의 색상테이블(AI)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출력유닛(10)의 발광여부, 발광위치, 발광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광출력유닛(10)의 발광여부, 발광위치, 발광색상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 감성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입고 있는 옷의 색상에 따라서 광출력유닛(10)의 색상이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성 포인트로 어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0 내지 도 20 도 1 이동 단말기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위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마이크(122)를 사용하여 주위의 환경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음성 및/또는 주위에서 들리는 소리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이크(122)를 사용하여 감지한 소리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통화음성을 감지하는 경우에 특정 시점에는 낮은 목소리 톤이지만 다른 시점에서는 높은 목소리 톤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기준(RF)을 중심으로 사용자 통화음성에 대한 판단을 진행할 수 있다. 설정된 기준(RF)은 사용자의 현재 감정을 감지할 수 있는 척도일 수 있다.
목소리의 크기가 설정된 기준(RF)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180)는 광출력유닛(10)을 통해 이를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목소리 톤이 설정된 기준(RF)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광출력유닛(10)이 부드러운 불빛을 방출하다가, 목소리 톤이 설정된 기준(RF)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광출력유닛(10)이 강렬한 불빛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음성 자체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단어, 어조 등을 분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음성을 분석한 제어부(180)는, 그 결과를 광출력유닛(10)의 색상 등으로 반영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송수신하거나 사용자가 보고 있는 문장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도11 의(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 문자메시지(M1) 또는 제2 문자메시지(M2)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문자메시지(M1)에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단어들이 포함되고, 제2 문자메시지(M2)에는 전체적으로 부정적인 단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2 문자메시지(M1, M2)의 종류에 따라 광출력유닛(10)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긍정적인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제1 문자메시지(M1)를 송수신하는 경우와 부정적인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제2 문자메시지(M2)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광출력유닛(10)이 서로 다르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기분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이 서로 다르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입모양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2의 (a) 내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된 인물의 입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웃고 있는 입의 모양이거나, 화가 난 입의 모양이거나, 굳게 다물고 있는 입의 모양일 수 있다. 각각의 입 모양은 그 당시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입의 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 감정을 판단한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하여 광출력유닛(10)의 동작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감정은,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인물의 눈 모양 등을 통해서도 감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커버(CV)의 색상, 종류 등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CV)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CV)의 일 영역에는 개구(OA)가 마련되어, 커버(CV)가 닫혀진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151)의 일부 영역을 관측할 수 있을 수 있다.
커버정보(CD)는, 커버(CV)의 일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정보(CD)는, 카메라(121) 등으로 감지할 수 있는 코드일 수 있다.
커버(CV)에 마련된 커버정보(CD)는, 디스플레이(151)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즉, 영상을 표시하는 역할 및 외부 영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51)가 구성된 경우에, 커버(CV)가 닫히면 디스플레이(151)에 커버정보(CD)가 밀착되며 정보가 스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커버정보(CD)의 정보를 스캔하면, 제어부(180)는 그에 대응되도록 광출력유닛(10)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CV)의 색상, 재질 등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CV)가 이동 단말기(100)에 밀착된 경우에도 이동 단말기(100)의 일부 디스플레이 영역(151a)이 개구(OA)를 통해 관측될 수 있다. 또한, 커버(CV)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을 통해 제1 광출력유닛(10a)이 관측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 단말기(100) 후면에는 제3 광출력유닛(10c)이 커버(CV)의 또 다른 관통공을 통해 관측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광출력유닛(10)을 통하여 인물촬영의 진행상태를 알릴 수 있다.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한 사진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사진촬영 모드 중에는, 타이머 모드가 있을 수 있다. 즉, 사진촬영을 개시한 시점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실재로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촬영은 t4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t4 시점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광출력유닛(10)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는, 사진이 촬영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그 방향의 광출력유닛(1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한 광출력유닛(10)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발광하는 광출력유닛(10)의 색상 및/또는 강도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발광인 t1 시점에서는 옅은 색상으로 약하게 발광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강하게 발광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최종적인 t4 시점에서는 적절할 촬영에 필요한 정도의 생상 및/또는 강도로 발광할 수 있다. 광출력유닛(10)을 통해 피촬영자에게 촬영시점을 알려줄 수 있음으로 인하여, 피촬영자가 촬영에 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는 촬영시점을 알려주는 광출력유닛(10) 자체로서 플래쉬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광출력유닛(10)을 통해 촬영되고 있는 인물의 숫자를 알려줄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하여 복수의 인물에 대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인물(U1, U2)에 대한 사진촬영이 진행될 수 있다. 제1 인물(U1)의 경우는 카메라(121)의 촬영범위 내에 위치하지만, 제2 인물(U2)의 경우는 카메라(121)의 촬영범위를 벗어나 있을 수 있다. 즉, 현재 상태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제2 인물(U2)은 정확히 촬영되지 못하는 상황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광출력유닛(10)을 통해 정상적인 촬영이 가능한 인물의 숫자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한 광출력유닛(10)의 발광횟수를 통해 현재 촬영되고 있는 인물의 숫자를 알려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5의 (a)와 같은 상황에서, 제어부(180)는 1회 발광하여 정상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인물이 1명이라는 점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촬영된 사진을 확인 후 재촬영하는 불편함을 겪지 않고서도 원하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인물(U1, U2)이 모두 정상적인 촬영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어부(180)는 2회 발광하여 현재 정상적으로 촬영되고 있는 인물이 2명이라는 점을 알릴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수신되는 콜의 종류에 따라서 광출력유닛(10)의 출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콜의 발신인에 따라서 광출력유닛(10)의 발광 여부, 정도,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수신된 콜의 발신인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콜의 중요성을 구분할 수 있다. 수신된 콜의 중요도가 높은 경우에는 광출력유닛(10)이 보다 강한 색상, 강도 등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수신된 콜의 중요도가 낮은 경우에는 광출력유닛(10)이 부드라운 색상, 강도 등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알람의 횟수에 따라서 광출력유닛(10)의 출력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알람(snooze)을 선택한 횟수에 따라서 광출력유닛(10)의 색상, 강도 등을 다르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알람시에는 색상 A, 두 번째 알람시에는 색상 B, 세 번째 알람시에는 색상 C로 광출력유닛(1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200, 300, 4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광출력유닛(10)의 동작을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의 통신 여부 등을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디바이스(200)와 페어링(paring)되면 제어부(180)는, 광출력유닛(1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2, 3 디바이스(300, 400)와 페어링되는 경우에도 광출력유닛(1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내지 3 디바이스(200, 300, 400)이 페어링 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색상, 강도로 광출력유닛(1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페어링 되는 시점 및/또는 대상에 따라 광출력유닛(10)의 동작이 달라지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페어링 사실 및/또는 대상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IM 카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사용자가 특정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A가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자 B가 사용하는 경우에 광출력유닛(10)이 서로 다르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의 USIM 카드가 삽입된 경우에는 노란색 계통, 사용자 B의 USIM 카드가 삽입된 경우엔느 붉은색 계통으로 빛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획득한 정보에 따라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광출력유닛(10)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증권정보 및/또는 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건강정보는,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의 생체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시계 형태 등의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맥박, 체온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한 정보를 반영하여 광출력유닛(10)의 동작 색상 등이 변경되므로, 사용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에도 직관적으로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획득한 주식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동작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가지수 등이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붉은색 계열의 색상으로 동작하고, 하락하고 있는 경우에는 푸른색 계열의 색상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어부(180)는 획득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광출력유닛(10)의 동작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활동량이 활발한 경우에는 붉은색 계열의 색상으로 동작하고, 부족한 경우에는 푸른색 계열의 색상으로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140 : 센싱부 151 : 디스플레이부
180 : 제어부
Claims (10)
-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마련되며 복수의 색상으로 발광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의 색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정보는,
상기 인물이 착용한 복장의 색상에 기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색상정보에 따른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으로 상기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케이스 전방의 제1 카메라와 상기 케이스 후방의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광출력유닛은, 상기 케이스 전방의 제1 광출력유닛과 상기 케이스 후방의 제2 광출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의 제1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으로 상기 제1 광출력유닛이 동작하고,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의 제2 색상정보에 따른 제2 색상으로 상기 제2 광출력유닛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표정, 상기 이동 단말기가 송수신한 메시지, 상기 사용자의 음성, 상기 케이스를 감싸는 커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인물의 상태, 무선 통싱부를 통해 획득한 콜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한 영상에서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한 색상정보에 기초하여, 케이스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광출력유닛의 발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에 포함된 인물이 착용한 복장의 색상에 기초하여 상기 색상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정보에 따른 색상과 동일한 계열의 색상으로 상기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 전방의 제1 카메라로 제1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 후방의 제2 카메라로 제2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1 영상의 제1 색상정보에 따른 제1 색상으로 상기 케이스 전방의 제1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제2 영상의 제2 색상정보에 따른 제2 색상으로 상기 케이스 후방의 제2 광출력유닛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5466A KR20150045779A (ko) | 2013-10-21 | 2013-10-2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US14/185,381 US20150111611A1 (en) | 2013-10-21 | 2014-02-20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25466A KR20150045779A (ko) | 2013-10-21 | 2013-10-2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5779A true KR20150045779A (ko) | 2015-04-29 |
Family
ID=5282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25466A KR20150045779A (ko) | 2013-10-21 | 2013-10-2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111611A1 (ko) |
KR (1) | KR20150045779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14403B2 (ja) * | 2014-07-17 | 2018-10-31 | 株式会社ダイフク | 物品収納設備 |
US20160112615A1 (en) * | 2014-10-17 | 2016-04-21 | Cori Elizabeth Consevage | Apparatus and processes for a mobile device case with front facing illumination |
EP3458948A4 (en) * | 2016-06-16 | 2019-05-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45269A (ja) * | 2000-02-25 | 2001-09-07 | Sony Corp | コミュニケーション・データ作成装置及び作成方法、コミュニケーション・データ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
JP4088313B2 (ja) * | 2004-01-23 | 2008-05-21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処理システム、院内処理システム |
US20090002178A1 (en) * | 2007-06-29 | 2009-01-01 | Microsoft Corporation | Dynamic mood sensing |
WO2011158143A1 (en) * | 2010-06-17 | 2011-12-22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Display and lighting arrangement for a fitting room |
CA2824694C (en) * | 2011-03-24 | 2016-04-12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s on a mobile device |
-
2013
- 2013-10-21 KR KR20130125466A patent/KR2015004577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4
- 2014-02-20 US US14/185,381 patent/US20150111611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111611A1 (en) | 2015-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5003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79505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생체신호 측정 방법 | |
EP309620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object | |
US10205814B2 (en) | Wireless earpiece with walkie-talkie functionality | |
CN109088815A (zh) | 消息提醒方法、装置、存储介质、移动终端及穿戴式设备 | |
KR20160128119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5003935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40112984A (ko)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50009032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CN108154121A (zh) | 基于智能镜的化妆辅助方法、智能镜及存储介质 | |
CN107705245A (zh) | 图像处理方法及装置 | |
CN110012258A (zh) | 最佳音视频感知点获取方法、系统、可穿戴设备及存储介质 | |
KR2015004577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18991B1 (ko) | 헬스 케어 기능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50029452A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 |
CN109117819A (zh) | 目标物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穿戴式设备 | |
CN105277193B (zh) | 提示信息输出方法、装置及系统 | |
KR20190018906A (ko) | 증강현실이나 가상현실에 기초하여 가상의 인체 장기를 렌더링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 |
KR20160070529A (ko) | 웨어러블 디바이스 | |
KR20180006571A (ko) | 물품 수납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의복 및 그 제어방법 | |
CN110083248A (zh) | 消息交互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KR101727082B1 (ko) |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 |
KR10197443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727081B1 (ko) |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 |
CN110049253A (zh) | 一种对焦控制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