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700A - 모터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700A
KR20150045700A KR20130125288A KR20130125288A KR20150045700A KR 20150045700 A KR20150045700 A KR 20150045700A KR 20130125288 A KR20130125288 A KR 20130125288A KR 20130125288 A KR20130125288 A KR 20130125288A KR 20150045700 A KR20150045700 A KR 20150045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pacitor
turned
contact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582B1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58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모터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서로 턴온 동작하는 제1, 2 스위치소자,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가 턴온 동작되게, 충전된 제1 전원을 방전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제1 전원이 충전되게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제1 전원이 방전 제어하는 차지펌프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 구동 장치{Motor drive apparatus}
실시 예는 모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 장치의 구동 보조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배터리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용이한 모터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을 위한 파워스티어링 조향장치는 유압식 또는 모터구동식이 있으며, 최근 모터구동식(MDPS: Motor Driven Power Steering)이 유압식을 대체하고 있으며, 소형차에서 대형차로 그 적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모터구동식 조향장치는 조향휠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고, 그 회전방향에 따라서 모터가 조향축을 회전시키거나 랙바를 좌우로 움직여서, 운전자의 조향력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조향축의 단부에 장착되는 피니언과 이에 결합되는 랙바에 있어서, 상기 랙바에 형성된 랙기어와 상기 피니언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 사이에 기어비가 일정하여 운전상태에 따라서 조향특성을 가변시키지 못하는 구조를 갖는다.
최근에 랙바의 움직임에 따라서 그 조향특성을 가변시키는 가변조향기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조향상태에 따라서 조향의 민감도가 높아 민첩한 조향성능을 구현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조향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모터구동식 조향장치에 구비된 모터로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조향 장치의 구동 보조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배터리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용이한 모터 구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는, 모터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서로 턴온 동작하는 제1, 2 스위치소자,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가 턴온 동작되게, 충전된 제1 전원을 방전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제1 전원이 충전되게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제1 전원이 방전 제어하는 차지펌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스위치소자는, 턴온 동작시, 입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스위치소자는, 턴온 동작시, 상기 제1 스위치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는, N채널 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스위치소자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입력되는 제1 드레인단, 상기 배터리 전원이 출력되는 제1 소오스단 및 상기 제1 전원을 포함하는 스위칭 전원 입력시, 상기 제1 드레인단 및 상기 제1 소오스단을 턴온시키는 제1 게이트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소자는, 상기 제1 소오스단과 제1 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오스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이 입력되는 제2 소오스단,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제2 드레인단 및 상기 스위칭 전원 입력시, 상기 제2 소오스단 및 상기 제2 드레인단을 턴온시키는 제2 게이트단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 사이의 제1 접점과 접지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패스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스부는,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의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되게 턴온 동작하는 패스 스위치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는, 상기 차지펌프로 제1, 2 PWM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커패시터로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는,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 사이의 제1 접점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의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되게 턴온 동작하는 패스 스위치를 포함하는 패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 스위치가 턴온 동작되게 제1 패스신호 및 상기 패스 스위치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2 패스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지펌프는, 상기 제1, 2 PWM 신호 입력시, 턴온 및 턴오프 동작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턴온 동작시, 턴온 동작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배터리 전원이 충전되게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턴온 동작시, 턴온 동작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스위칭 전원이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로 방전되게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3 스위치는, npn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 스위치는, pnp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는,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1 전원을 포함하는 제2 전원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 사이의 제1 접점에서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 및 상기 제1 전원의 합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는, N채널 MOSFET인 제1, 2 스위치소자 각각의 소오스단이 제1 접점에 연결하고, 제1, 2 스위치소자의 턴오프동작시 제1 접점이 접지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접점에서 그라운드 전원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제1, 2 스위치소자의 턴온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모터 구동 장치에서 제1 접점의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모터 구동 장치에서 커패시터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모터 구동 장치에서 제1, 2 스위치소자의 최초 턴온 동작에 대한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1, 2 스위치소자의 최초 턴온동작 후 턴온동작 유지시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개념적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 구동 장치는 전자식 릴레이(110), 패스부(120), 커패시터(cp), 차지펌프(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식 릴레이(110)는 N채널 MOSFET인 제1, 2 스위치소자(F1, F2)를 포함할 수 있으며, P채널 MOSFET일 수 있으며 이 외에 다른 반도체 소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서, 제1, 2 스위치소자(F1, F2)는 N채널 MOSFET인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스위치소자(F1)는 배터리(BAT)로부터 배터리 전원(미도시)이 입력되는 제1 드레인단(미도시), 상기 제1 드레인으로 입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는 제1 소오스단(미도시) 및 스위칭 전원(미도시) 입력시 상기 제1 드레인 및 상기 제1 소오스를 턴온시키는 제1 게이트단(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소자(F2)는 상기 제1 소오스단과 제1 접점(A)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오스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이 입력되는 제2 소오스단(미도시), 상기 배터리 전원을 모터(M)로 공급하는 제2 드레인단 및 상기 스위칭 전원 입력시, 상기 제2 소오스단 및 상기 제2 드레인단을 턴온시키는 제2 게이트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2 스위치소자(F1, F2)는 상기 스위칭 전원 입력시, 서로 동일하게 턴온 동작하여, 모터(M)로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패스부(120)는 제1 접점(A)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d1) 및 제1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p) 사이의 제2 접점(B)에 연결되어, 제1, 2 접점(A, B)와 접지(미도시)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되게 턴온 동작하는 패스 스위치(sw)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다이오드(d1)는 제1, 2 스위치소자(F1, F2)의 턴온 동작 후 턴오프 동작시 제1 접점(A)의 잔류전원(미도시)을 패스 스위치(sw)의 턴온 동작시 상기 접지로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패스 스위치(sw)는 제어부(140)의 패스 신호(미도시)에 의해 턴온 및 턴오프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제1, 2 스위치소자(F1, F2)가 최초 턴온 동작 후 턴온 동작 유지시, 제1 다이오드(d1)는 제1 접점(A)의 상기 배터리 전원을 제3 접점(C)으로 전달한다. 이때, 제3 접점(C)과 제1, 2 스위치소자(F1, F2)의 상기 제1, 2 게이트단 사이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D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접점(C)은 커패시터(cp)에 충전된 제1 전원(미도시) 또는 상기 제1 전원 및 제1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입력된 제1 접점(A)의 상기 배터리 전원의 합 전원인 상기 스위칭 전원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다이오드(d2)는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스위칭전원을 제1, 2 스위치소자(F1, F2)의 상기 제1, 2 게이트단으로 공급하여, 제1, 2 스위치소자(F1, F2)가 턴온 동작되게 할 수 있다.
차지펌프(130)는 제어부(140)에서 인가된 제1, 2 PWM 신호에 따라 커패시터(dp)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차지펌프(130)는 상기 제1, 2 PWM 신호 입력시, 턴온 및 턴오프 동작하는 제1 스위치(s1), 제1 스위치(s1))의 턴온 동작시, 턴온 동작하여 커패시터(cp)에 상기 배터리 전원이 충전되게 제어하는 제2 스위치(s2) 및 제1 스위치(s1)의 턴오프 동작시, 턴온 동작하여 커패시터(cp)에 충전된 상기 제1 전원이 제1, 2 스위치소자(F1, F2)로 방전되게 제어하는 제3 스위치(s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패스 스위치(sw)의 턴온 및 턴오프 동작에 대한 상기 패스신호 및 상기 제1, 2 PWM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모터로 상기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모터 구동 장치에서 제1 접점의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모터 구동 장치에서 커패시터에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는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 구동 장치는 제1, 2 스위치소자(F1, F2)의 턴오프 동작시점에 제1, 2 스위치소자(F1, F2) 사이의 제1 접점(A)의 잔류 전원(미도시)가 접지(미도시)로 전달되게 제1 전류패스(①)를 형성한다.
우선, 제어부(140)는 제1 전류패스(①)를 형성하기 위하여, 패스 스위치(sw)로 제1 패스신호(ps_on)를 인가하여, 패스 스위치(sw)가 턴온 동작시킨다.
이때, 제1 전류패스(①)는 제1 접점(A), 제1 다이오드(d1), 제2 접점(b) 및 패스 스위치(sw)를 통하여 접지까지 형성된다.
이후, 도 3을 참조하면, 모터 구동 장치는 제1 전류패스(①)를 형성하여, 제1 접점(A)이 접지, 즉 접지 전원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커패시터(cp)에 배터리(BAT)의 배터리 전원이 충전되게 제2 전류패스(②)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2 전류패스(①, ②)는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제어부(140)는 차지펌프의 제1 스위치(s1)가 턴온 동작되게 제1 PWM 신호(pwm_on) 및 패스 스위치(sw)로 턴오프 동작되게 제2 패스신호(ps_off)를 출력한다.
이때, 제1 스위치(s1)는 제1 PWM 신호(pwm_on)에 따라 턴온 동작하여 배터리(BAT)에서 공급되는 배터리전원을 접지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2 스위치(s2)는 pnp 트랜지스터이며, 베이스(미도시)와 이미터(미도시) 사이에 전위가 발생되어, 상기 이미터 및 컬랙터가 턴온 동작하여 상기 이미터에 연결된 배터리(BAT)로부터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컬렉터에 연결된 커패시터(cp)로 공급하는 제2 전류패스(②)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스위치(s3)는 npn 트랜지스터이므로, 제2 스위치(s2)와 반대로 턴오프로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모터 구동 장치에서 제1, 2 스위치소자의 최초 턴온 동작에 대한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 및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제1, 2 스위치소자의 최초 턴온동작 후 턴온동작 유지시 전류패스를 나타낸 동작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터 구동 장치는 커패시터(cp)에 충전된 제1 전원이 제1, 2 스위치소자(F1, F2)로 공급되는 제3 전류패스(③)를 형성한다.
즉, 제어부(140)는 제1 스위치(s1)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2 PWM 신호(pwm_off)를 전달한다.
이때, 제1 스위치(s1)은 턴오프 동작시 연결된 배터리(BAT)의 배터리 전원이 제3 스위치(s3)의 베이스로 전달되어, 제3 스위치(s3)가 턴온 동작한다.
여기서, 커패시터(cp)는 제1 스위치(s1)가 턴온 동작하여 공급된 상기 배터리 전원에 의해 상기 제1 전원을 충전하며, 제1 스위치(s1)가 턴오프 동작하면 충전된 상기 제1 전원을 제1, 2 스위치소자(F1, F2)로 방전할 수 있다.
제3 전류패스(③)는 커패시터(cp), 제3 접점(C)에 연결된 제2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제1, 2 스위치소자(F1, F2)로 상기 제1 전원이 공급되게 형성된다.
도 4는 제1 스위치(s1)가 최초 턴오프 동작시, 제3 접점(C)에 상기 제1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 구동 장치는 제1 스위치(s1)로 턴오프 동작되게 제2 PWM 신호(pwm_off)를 공급한다.
제1 내지 제3 스위치(s1 ~ s3)는 제2 PWM 신호(pwm_off) 공급시 동작방법이 도 4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커패시터(cp)는 제1 스위치(s1)의 턴온 동작시 충전된 제1 전원을 제3 접점(C)으로 전달하며, 제1 다이오드(d1)는 제1 접점(A)의 배터리 전원을 제3 접점(C)으로 전달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제4 전류패스(④)는 제3 접점(C)을 기준으로 커패시터(cp),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제1, 2 스위치소자(F1, F2)로 형성된다.
이때, 제2 다이오드(d2)에는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배터리 전원의 합 전원인 스위칭 전원이 입력되고, 제1, 2 스위치소자(F1, F2)로 상기 스위칭 전원을 공급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1 전원은, 커패시터(cp)의 충전 용량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나, 배터리(BAT)에서 출력되는 배터리 전원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실시 예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전자식 릴레이 120: 패스부
130: 차지펌프 140: 제어부

Claims (12)

  1. 모터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서로 턴온 동작하는 제1, 2 스위치소자;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가 턴온 동작되게, 충전된 제1 전원을 방전하는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제1 전원이 충전되게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제1 전원이 방전 제어하는 차지펌프;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소자는,
    턴온 동작시, 입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제2 스위치소자는,
    턴온 동작시, 상기 제1 스위치소자로부터 출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는,
    N채널 MOSF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소자는,
    상기 배터리 전원이 입력되는 제1 드레인단;
    상기 배터리 전원이 출력되는 제1 소오스단; 및
    상기 제1 전원을 포함하는 스위칭 전원 입력시, 상기 제1 드레인단 및 상기 제1 소오스단을 턴온시키는 제1 게이트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스위치소자는,
    상기 제1 소오스단과 제1 접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소오스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배터리 전원이 입력되는 제2 소오스단;
    상기 배터리 전원을 상기 모터로 공급하는 제2 드레인단; 및
    상기 스위칭 전원 입력시, 상기 제2 소오스단 및 상기 제2 드레인단을 턴온시키는 제2 게이트단;을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 사이의 제1 접점과 접지 사이에 전류 패스를 형성하는 패스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부는,
    상기 제1 접점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의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되게 턴온 동작하는 패스 스위치;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펌프로 제1, 2 PWM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커패시터로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 사이의 제1 접점에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커패시터 사이의 제2 접점에 연결되어, 상기 제1, 2 접점과 상기 접지 사이에 전류패스가 형성되게 턴온 동작하는 패스 스위치를 포함하는 패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스 스위치가 턴온 동작되게 제1 패스신호 및 상기 패스 스위치가 턴오프 동작되게 제2 패스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지펌프는,
    상기 제1, 2 PWM 신호 입력시, 턴온 및 턴오프 동작하는 제1 스위치;
    상기 제1 스위치의 턴온 동작시, 턴온 동작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상기 배터리 전원이 충전되게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턴온 동작시, 턴온 동작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제1 전원이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로 방전되게 제어하는 제3 스위치;를 포함하는 모터 구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3 스위치는,
    npn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 스위치는,
    pnp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는,
    상기 제1 전원 및 상기 제1 전원을 포함하는 상기 스위칭 전원에 의해 스위칭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은,
    상기 제1, 2 스위치소자 사이의 제1 접점에서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 및 상기 제1 전원의 합 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 장치.
KR1020130125288A 2013-10-21 2013-10-21 모터 구동 장치 KR10213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288A KR102131582B1 (ko) 2013-10-21 2013-10-21 모터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288A KR102131582B1 (ko) 2013-10-21 2013-10-21 모터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700A true KR20150045700A (ko) 2015-04-29
KR102131582B1 KR102131582B1 (ko) 2020-08-06

Family

ID=5303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288A KR102131582B1 (ko) 2013-10-21 2013-10-21 모터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55A (ko) * 2018-07-26 2020-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516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제어 유닛의 전원 릴레이 방전 회로
JP2010114957A (ja) * 2008-11-04 2010-05-20 Jtekt Corp モータ駆動回路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44737A (ko) * 2011-10-24 2013-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모터 구동회로
WO2013140906A1 (ja) * 2012-03-22 2013-09-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電気自動車、電子制御スロットル、電動ブレー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3516A (ko) * 2007-12-14 2009-06-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 제어 유닛의 전원 릴레이 방전 회로
JP2010114957A (ja) * 2008-11-04 2010-05-20 Jtekt Corp モータ駆動回路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30044737A (ko) * 2011-10-24 2013-05-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조향장치의 모터 구동회로
WO2013140906A1 (ja) * 2012-03-22 2013-09-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電気自動車、電子制御スロットル、電動ブレー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155A (ko) * 2018-07-26 2020-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릴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582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6790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JP7082755B2 (ja) 電源装置
WO2009002541A1 (en) Gate driving scheme for depletion mode devices in buck converters
JP5786629B2 (ja) 電力変換装置
US20130320906A1 (en)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and method for checking initial driving thereof
KR101721616B1 (ko) 모터의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50045700A (ko) 모터 구동 장치
CN110868201B (zh) 低功耗快响应电平变换电路
CN220210238U (zh) 高边驱动电路及电子设备
JP513597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モータ制御装置
CN101546538B (zh) 用于液晶显示面板驱动集成电路的锁存效应保护电路
CN112740503A (zh) 电源控制装置及电源装置
CN109478780B (zh) 极性变换保护电路
JP2020108286A (ja) 補助電源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90133664A (ko) 하이-사이드 스위치를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AU2002360492A1 (en) Switch mode power supply and driving method for efficient rf amplification
JP2013258549A (ja) ドライバ回路
US9960760B2 (en) Multi-level output cascode power stage
US8604758B1 (en)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y
KR102525436B1 (ko) 차량의 전원 장치
KR20210048851A (ko) 배터리 차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장치
JP6147317B2 (ja) 給電制御装置
KR101049334B1 (ko) 자동차용 반도체 전원 스위치
KR10231367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모터 구동 회로
KR20120127060A (ko) 돌입전류의 차단 회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