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5284A -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5284A
KR20150045284A KR20130124809A KR20130124809A KR20150045284A KR 20150045284 A KR20150045284 A KR 20150045284A KR 20130124809 A KR20130124809 A KR 20130124809A KR 20130124809 A KR20130124809 A KR 20130124809A KR 20150045284 A KR20150045284 A KR 20150045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rows
row
content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4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4008B1 (ko
Inventor
송화준송화준
송화준
이우철이우철
이우철
Original Assignee
(주)투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비소프트 filed Critical (주)투비소프트
Priority to KR1020130124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008B1/ko
Priority to US14/507,850 priority patent/US20150109345A1/en
Priority to JP2014208732A priority patent/JP5989054B2/ja
Priority to CN201410531354.9A priority patent/CN104571809A/zh
Publication of KR20150045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20Linear transl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은 그리드 생성부가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단계, 내용 출력부가 복수의 행 각각에 배열되는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드 이동부가 스크롤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복수의 행과 복수의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함께 이동시키고, 복수의 행의 이동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유닛 상에서 사라진 행 중 적어도 하나의 행을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내용 변환부가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 및 화면 출력부가 이동된 행과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에 변경된 내용을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GRID DISPLAY CONTROL DEVICE OF MOBILE AND METHOD FOR CONTROL DISPLAY OF GRI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롤바의 이동시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그리드를 형성하는 복수의 행 중 디스플레이 상에서 사라진 행의 일부를 모바일 기기에 표시되는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그리드가 표시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인프라의 확충과 인터넷의 보급,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현대인들은 언제 어디서나 통신 서비스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가 발달함으로써 사용자들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서버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인터넷 상의 웹서버에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웹서버는 다양한 정보가 정렬된 그리드정보가 존재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는 웹서버를 구성하는 화면에 대한 정보와 함께 그리드정보를 전달받아 웹서버의 화면 및 그리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모바일 기기가 웹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그리드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행 및 전체 행 각각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로딩하고, 로딩된 전체 행 중 디스플레이유닛의 화면 크기에 대응하는 소정개수의 행으로 형성된 그리드를 렌더링하여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였다. 이때, 전체 행 및 전체 행 각각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로딩하는 시간은 모바일 기기의 사양이 낮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즉, 성능이 낮은 모바일 기기는 전체 행 및 전체 행 각각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로딩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되어 디스플레이유닛에 그리드를 표시하는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성능이 낮은 모바일 기기에서도 디스플레이유닛을 통해 그리드를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터넷 상의 웹서버에 존재하는 그리드가 모바일 기기에서 표시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제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방법은 그리드 생성부가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단계; 내용 출력부가 상기 복수의 행 각각에 배열되는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드 이동부가 스크롤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행과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함께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행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서 사라진 행 중 적어도 하나의 행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내용 변환부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 및 화면 출력부가 이동된 행과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에 변경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내용 변환부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한 경우, 상기 내용 변환부가 해당 격자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내용 변환부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중에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격자를 제외한 나머지 격자의 내용만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버튼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그리드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행 각각에 배열되는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 출력부와, 스크롤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행과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함께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행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서 사라진 행 중 적어도 하나의 행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그리드 이동부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는 내용 변환부와, 이동된 행과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에 변경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용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한지 판단하고,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하면, 해당 격자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중에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격자를 제외한 나머지 격자의 내용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버튼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유닛 상에서 사라진 행을 소멸시키지 않고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사양이 낮은 모바일 기기에서도 복수의 행으로 형성되는 그리드의 출력이 보다 원활하게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가 설치된 모바일 기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그리드가 표시되는 제 1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그리드가 표시되는 제 2 화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및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100)가 설치된 모바일 기기(1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 하면, 모바일 기기(10)는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되어 웹서버에서 제공되는 여러 가지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피씨(PC)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을 구비한 기기일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는 모바일 기기(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유닛(11), 제어유닛(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웹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그리드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12), 제어유닛(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웹서버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유닛(13), 제어유닛(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웹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및 하기에서 설명할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100)에 의해 생성되는 그리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유닛(14) 및 제어유닛(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소정의 입력수단으로 형성되는 인터페이스유닛(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100)는 모바일 기기(10)의 제어유닛(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100)는 제어유닛(11)으로부터 메모리유닛(12)에 저장된 상기 그리드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그리드정보를 이용하여 그리드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100)는 스크롤바가 움직이는 것을 근거로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이동시킬 수 있다.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100)는 그리드 생성부(110), 내용 출력부(120), 그리드 이동부(130), 내용 변환부(140) 및 화면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드 생성부(110)는 제어유닛(11)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그리드정보를 이용하여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생성하고,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복수의 행을 표시할 수 있다.
내용 출력부(120)는 제어유닛(11)으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그리드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행 각각에 배열되는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드 이동부(130)는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스크롤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그리드 이동부(130)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사라진 행 중 적어도 하나의 행을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출력 제어 방법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내용 변환부(140)는 그리드 이동부(130)에 의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화면 출력부(150)는 그리드 이동부(130) 및 내용 변환부(140)에 의해 이동된 행 및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의 내용을 디스플레이유닛(14)에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의 순서를 보여주는 도면인 도 3을 참고하여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그리드가 출력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그리드 생성부(110)가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한다(S110). 이때, 모바일 기기(10)는 웹서버로부터 그리드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부(12)에 저장할 수 있으며, 그리드 생성부(110)는 모바일 기기(10)의 제어유닛(11)으로부터 상기 그리드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그리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그리드정보에 포함된 전체 행 및 전체 행 각각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 중 디스플레이유닛(14)의 화면 크기에 대응되는 소정개수의 행만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리드정보에 포함된 전체 행의 수가 15이고, 디스플레이유닛(14) 화면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행의 수가 10 이면, 그리드 생성부(110)는 디스플레이유닛(14) 화면 크기에 대응하여 전체 행 중 1행부터 10행 까지만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할 수 있다(도 4 참고).
다음으로, 내용 출력부(120)가 그리드의 복수의 행 각각에 배열되는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한다(S120). 이때,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버튼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도 4 참고).
다음으로, 그리드 이동부(130)가 스크롤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과 복수의 행에 배열된 복수의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함께 이동시킨다(S130). 이때, 그리드 이동부(130)는 스크롤바가 움직이는 정도를 근거로 그리드의 복수의 행과 복수의 행에 배열된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이 이동되는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드 이동부(130)가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과 복수의 행에 배열된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이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 중 일부가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드 이동부(130)가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위로 행 하나 정도의 높이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행 중 1행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도 5 참고). 또는, 그리드 이동부(130)가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를 위로 두 행 두개 정도의 높이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행 중 1행과 2행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행 중 첫 번째 행이 고정된 행이고, 그리드 이동부(130)가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를 위로 행 하나 정도의 높이로 이동시키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행 중 2행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리드 이동부(130)가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행을 이동시켜 그리드의 행 중 1행이 사리진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드 이동부(130)가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서 사라진 행 중 적어도 하나의 행을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킨다(S140). 예를 들어, 그리드 이동부(130)에 의해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행이 이동되어 1행이 사라지면, 그리드 이동부(130)는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서 사라진 1행을 디스플레이유닛(14)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10행의 하부로 이동시켜 사라진 1행을 그리드의 11행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도 5 참고)
즉, 그리드 이동부(130)는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서 사리진 행을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되는 그리드의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롤의 이동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새로 표시될 행을 새로 생성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그리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 출력 제어 방법은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그리드가 표시되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내용 변환부(140)가 그리드의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한다(S150). 그리드의 10행의 하부로 이동된 그리드의 1행과 1행에 배열되는 격자에 대응되는 내용이 그대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그리드 11행의 격자에 대응되는 내용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그리드의 10행의 하부로 이동된 1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그리드의 11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내용 변환부(140)는 그리드의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하면, 내용 변환부(140)는 해당 격자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내용 변환부(140)는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격자를 제외한 나머지 격자의 내용만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은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모든 격자의 내용을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내용을 제외한 일부만 변경함으로써 그리드에 내용을 표시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면 출력부(150)가 그리드 이동부(130) 및 내용 변환부(140)에 의해 이동된 행과 이동된 행에 배열된 격자 각각에서 유지 또는 변경된 내용을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한다(S160, 도 5 참고). 따라서,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는 스크롤바의 이동에 따라 그리드의 새로운 행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은 종래의 그리드 출력 방법과는 다르게 디스플레이유닛(14) 상에 표시될 그리드의 복수의 행만 생성하여 표시하고, 복수의 행의 이동으로 인해 사라진 행의 일부를 재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유닛(14)에 그리드의 행을 표시하는 프로세스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은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으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스마트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 DVD, 블루레이,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이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110: 그리드 생성부
120: 내용 출력부
130: 그리드 이동부
140: 내용 변환부
150: 화면 출력부

Claims (9)

  1. 그리드 생성부가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단계;
    내용 출력부가 상기 복수의 행 각각에 배열되는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그리드 이동부가 스크롤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행과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함께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행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서 사라진 행 중 적어도 하나의 행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내용 변환부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는 단계; 및
    화면 출력부가 이동된 행과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에 변경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내용 변환부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및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한 경우, 상기 내용 변환부가 해당 격자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내용 변환부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중에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격자를 제외한 나머지 격자의 내용만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버튼 중 하나로 형성되는,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 그리드의 복수의 행을 생성하여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그리드 생성부와,
    상기 복수의 행 각각에 배열되는 복수의 격자 각각의 내부에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내용 출력부와,
    스크롤바의 이동을 감지하여 상기 복수의 행과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함께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의 행의 이동으로 인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서 사라진 행 중 적어도 하나의 행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그리드 이동부와,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을 변경하는 내용 변환부와,
    이동된 행과 이동된 행에 배열되는 격자에 변경된 내용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 상에 표시하는 화면 출력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각각에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한지 판단하고, 표시된 내용과 변경할 내용이 동일하면, 해당 격자의 내용을 그대로 유지시키는,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 변환부는 상기 복수의 행 중 마지막 행의 하부로 이동되는 행에 배열되는 격자 중에서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격자를 제외한 나머지 격자의 내용만 변경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용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버튼 중 하나로 형성되는,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KR1020130124809A 2013-10-18 2013-10-18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KR101544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809A KR101544008B1 (ko) 2013-10-18 2013-10-18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US14/507,850 US20150109345A1 (en) 2013-10-18 2014-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rid output in a mobile device
JP2014208732A JP5989054B2 (ja) 2013-10-18 2014-10-10 モバイル機器のグリッド出力制御装置及びグリッドの出力制御方法
CN201410531354.9A CN104571809A (zh) 2013-10-18 2014-10-10 移动设备的网格输出控制装置及利用该装置的网格输出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809A KR101544008B1 (ko) 2013-10-18 2013-10-18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84A true KR20150045284A (ko) 2015-04-28
KR101544008B1 KR101544008B1 (ko) 2015-08-13

Family

ID=52825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809A KR101544008B1 (ko) 2013-10-18 2013-10-18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09345A1 (ko)
JP (1) JP5989054B2 (ko)
KR (1) KR101544008B1 (ko)
CN (1) CN1045718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8641B2 (en) * 2014-12-15 2018-0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resenting a system using viewpoin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461A (ja) * 1986-07-17 1988-02-01 Toshiba Corp 複合文書処理装置
JPH05232934A (ja) * 1992-02-26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の表示方法
JPH064528A (ja) * 1992-03-25 1994-01-14 Nec Software Ltd スプレッドシートの矩形スクロール表示方式
JPH06118939A (ja) * 1992-09-30 1994-04-28 Okuma Mach Works Ltd 数値制御装置における表のスクロール装置
JP2972560B2 (ja) * 1995-10-27 1999-11-08 神戸日本電気ソフトウェア株式会社 表形式データの表示制御方法
JP4637426B2 (ja) * 1999-06-01 2011-02-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プログラム情報のオン・スクリーン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コードを有する手段
JP4330233B2 (ja) * 1999-12-15 2009-09-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処理装置
US20080162509A1 (en) * 2006-12-29 2008-07-03 Becker Wolfgang A Methods for updating a tenant space in a mega-tenancy environment
JP5039903B2 (ja) * 2008-02-18 2012-10-0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アプリケーションを実行する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00597B2 (en) 2008-07-23 2016-07-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enting dynamic grids
JP2010108320A (ja) * 2008-10-31 2010-05-13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
US8938672B2 (en) * 2008-11-04 2015-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mending the display property of grid elements
US8219927B2 (en) * 2009-01-06 2012-07-10 Microsoft Corporation Revealing of truncated content on scrollable grid
US8839128B2 (en) * 2009-11-25 2014-09-16 Cooliris, Inc. Gallery application for content viewing
JP5592744B2 (ja) * 2010-09-28 2014-09-1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272867B1 (ko) * 2012-11-30 2013-06-10 (주)인스웨이브시스템즈 모바일 단말기의 그리드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89054B2 (ja) 2016-09-07
US20150109345A1 (en) 2015-04-23
KR101544008B1 (ko) 2015-08-13
CN104571809A (zh) 2015-04-29
JP2015079507A (ja)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142B2 (ja) ユーザ介入なくレイアウトに従った画像識別及び編成
CN106161628B (zh) 拍摄文件上传方法及装置
US11929097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editing multimedia fil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183413B1 (ko) 콘텐트 표현 방법 및 시스템
US9769516B2 (en) Application sharing by dynamic partitioning
CN102937861B (zh) 用于显示环境的共享边缘
CN109669657B (zh) 一种用于进行远程文档协作的方法与设备
CN105453024B (zh) 用于显示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09002486A (zh) 一种页面显示的处理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KR20150083636A (ko)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 운영 방법 및 장치
CN109446025B (zh) 一种操作行为的回放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WO2015062337A1 (en) Displaying lyrics of a song on a mobile computing device in a lock screen state
KR20130008746A (ko) 3d 영상변환장치, 그 구현방법 및 그 저장매체
US93802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544008B1 (ko)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US20120162523A1 (en) Using screen captures to provide automatic contextual smart input-in device selection menu
CN114063945B (zh) 移动终端及其图像显示方法
KR101544009B1 (ko) 모바일 기기의 그리드 출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리드의 출력 제어 방법
US2020008620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6482452B2 (ja) 画面遷移特定装置、画面遷移特定システム及び画面遷移特定方法
CN115879436B (zh) 一种电子图书质检方法
CN107422886A (zh) 输入点切换方法和电子设备
CN113901255A (zh) 一种图像处理终端和方法
CN117956213A (zh) 一种语音播报方法及显示设备
KR20240070298A (ko) 전자 장치 및 그 캡쳐 이미지 획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