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823A -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823A
KR20150043823A KR20130122731A KR20130122731A KR20150043823A KR 20150043823 A KR20150043823 A KR 20150043823A KR 20130122731 A KR20130122731 A KR 20130122731A KR 20130122731 A KR20130122731 A KR 20130122731A KR 20150043823 A KR20150043823 A KR 20150043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oute information
route
navigation device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7836B1 (ko
Inventor
설순욱
민병휘
조효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2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8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을 개시한다. 상기 이동 단말은는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경로정보 저장부;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경로정보 관리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NAVIGATION DEVICE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본 명세서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과 내비게이션 장치간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는 이용자가 직접 찾고자 하는 목적지의 주소나 전화번호, 명칭 등을 입력해서 이용자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의 형태로 표시해주는 기능을 한다.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조작할 때에는 대개 차량을 정지한 상태에서, 또는 차량을 운전하는 상태에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목적지의 주소나 전화번호, 명칭 등을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입력할 때,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터치화면의 민감도가 현재 이동 단말기(스마트폰)보다 떨어져서 여러 차례의 수정과정을 거쳐야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차량을 이동하는 중에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내비게이션 단말기에 입력하는 경우, 운전에 대한 집중력의 저하로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목적지 경로 설정의 편리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된다
본 명세서는 내비게이션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로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근거리 통신 포맷으로 저장하는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과 내비게이션 장치 간에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고,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로정보를 통해 운행경로를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 단말은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경로정보 저장부;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경로정보 관리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는 상기 경로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 형식으로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NFC 방식의 통신을 통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경로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주소 정보,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웹 페이지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 사진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경로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는 소정의 시간 또는 거리 간격 마다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 관리부는 목적지가 동일하고 출발지가 상이한 경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되, 상기 하나의 그룹 중에서 목적지 및 출발지가 동일하더라도 경유지가 다른 경로는 서로 다른 경로로서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이 내비게이션 장치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NFC 방식의 통신을 통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경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주소 정보,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웹 페이지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 사진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경로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또는 거리 간격 마다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조작 과정을 단순한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대체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하게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하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단말기의 조작 과정으로 인한 운전자의 집중력 분산을 최소화하여 교통사고 발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정보 저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내비게이션 장치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시스템은 내비게이션 장치(10)에 주행경로의 설정에 필요한 정보를 간편하게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비게이션 장치(10) 및 이동 단말(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2G/3G/4G 이동 단말에 한정되지 않으며, PMP 단말기, MP3 단말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무선 이동 통신이 가능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예: 블루투스, NFC, zigbee, Wi-Fi 등)이 가능한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으로 연결될 외부 장치로는 내비게이션 장치(10)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100)은 제어부,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및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 등 다양한 요소의 하드웨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100)은 여러 출처에서 획득한 위치/지리 정보를 경로정보로 만들고,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형식(예: NFC 태그)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경로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설치/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길 찾기, 경로 안내 등의 고유 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이동 단말(100)로부터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전용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도 있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가 장착된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다양한 유형의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상기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형식으로 구성/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100)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지원한다면, 상기 이동 단말(100)은 여러 출처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NFC 태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NFC 태그 형식으로 저장된 정보는 NFC 리더(reader) 기능을 갖는 외부 장치(예: NFC 기능이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이 상기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예를 들면, ① 명함, 전단지 등에 부착된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을 인식하여 획득하거나, ② 이동 단말에 기 저장된 연락처, 상호, 주소 등으로부터 획득하거나, ③ 타인에게서 수신한 문자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거나, ④ 웹 서핑, 인터넷 검색 등을 하다가 특정 웹 페이지 등에서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추출하거나, ⑤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사진, 동영상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거나, ⑥ GPS를 사용하여 현재위치의 주소를 추출하는 방법이 그 예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의 방법으로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에 전달할 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경로정보는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는 주소지, 상호명, 전화번호, 위/경도 좌표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의 일 예는 아래와 같다.
경로정보 1
출발지 02-753-5477
경유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306-7
목적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생성한 경로정보를 특정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NFC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은 생성한 경로정보를 NFC 태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위치정보 획득 및 경로정보 생성을 위해 제작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위치정보 획득 및 경로정보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검색, 사진, 현 위치 직접 수신(GPS 이용) 등의 메뉴를 통해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주소,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정보, 웹 페이지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 사진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위치 정보 등에서 추출한 위치정보를 경로정보가 담긴 태그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태그 형태로 생성된 경로정보는 NFC 태깅(tagging)을 통해 외부 장치(예컨대, 내비게이션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다수의 경로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다수의 경로정보를 분류(grouping)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생성된 다수의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은 목적지가 동일하고 출발지가 상이한 경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며, 더 나아가 목적지 및 출발지가 동일하더라도 경유지가 다른 경로는 서로 다른 경로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이로써 같은 출발지->목적지를 선택하더라도 시간, 날씨, 교통상황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길 수 있다. 경로정보의 분류 및 관리의 일 예는 아래 표 2와 같다.
경로그룹 1 목적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부가 정보
1-1 서울-> A-> B-> C->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비올 때
1-2 서울-> A-> D-> F->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막힐 때
1-3 서울-> G-> L-> P->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무료
2 대전-> M-> N-> O-> 한국기술교육대학교
3 광주-> S-> T-> 한국기술교육대학교
4 부산-> W-> X-> Y-> Z->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상기 이동 단말(100)은 저장/관리하고 있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 특히 내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NFC인 경우라면, 상기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태깅(tagging)이 될 것이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의 사용자는 경로정보 저장 및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전송할 경로정보를 1 또는 2 이상 선택한 후, 상기 이동 단말을 내비게이션 장치(10)와 태깅하면, 선택한 경로정보가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전송된다. 이러한 태깅이 이루어지면, 내비게이션 장치는 수신한 경로정보를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가 경로정보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최종적으로 설정된 경로정보(출발지, 경유지, 목적지 등)을 기반으로 길 안내 및 주행 안내를 수행한다.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이동 단말(100)은 기존의 경로정보 갱신 또는 새로운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100)은 소정의 시간(예: 10분) 또는 거리(예: 전체 주행거리의 1/10) 간격으로 위치(좌표)정보 수신하여 해당 경로정보의 경유지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 또는 거리 간격으로 수신하는 위치(좌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목적지와 출발지만 포함된 특정 경로정보에 경유지를 추가하고 싶을 때, 또는 이미 지정된 경유지를 변경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100)은 저장하고 있는 경로정보를 타 단말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타 단말로 저장하고 있는 경로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달해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부(110), 경로정보 저장부(120), 경로정보 관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100)은 메모리,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요소의 하드웨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2G/3G/4G 이동 단말에 한정되지 않으며, PMP 단말기, MP3 단말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 NFC, zigbee, Wi-Fi 등)이 가능한 외부 장치(예: 내비게이션 장치)로 경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100)은 여러 출처에서 획득한 위치/지리 정보를 경로정보로 만들고,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형식(예: NFC 태그)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경로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설치/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길 찾기, 경로 안내 등의 고유 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통하여 이동 단말(100)로부터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전용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도 있고,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가 장착된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100) 및 외부 장치가 상호 접속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경로정보를 외부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로정보는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는 주소지, 상호명, 전화번호, 위/경도 좌표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NFC인 경우라면, 상기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태깅(tagging)이 될 것이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의 사용자는 경로정보 저장 및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전송할 경로정보를 1 또는 2 이상 선택한 후, 상기 이동 단말을 내비게이션 장치(10)와 태깅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110)는 선택한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전송한다. 이러한 태깅이 이루어지면, 내비게이션 장치는 수신한 경로정보를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가 경로정보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다양한 유형의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상기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형식으로 구성/저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100)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지원한다면,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여러 출처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NFC 태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일 예로 NFC 태그 형식으로 저장된 정보는 NFC 리더(reader) 기능을 갖는 외부 장치(예: NFC 기능이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이 상기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예를 들면, ① 명함, 전단지 등에 부착된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을 인식하여 획득하거나, ② 이동 단말에 기 저장된 연락처, 상호, 주소 등으로부터 획득하거나, ③ 타인에게서 수신한 문자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거나, ④ 웹 서핑, 인터넷 검색 등을 하다가 특정 웹 페이지 등에서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추출하거나, ⑤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사진, 동영상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거나, ⑥ GPS를 사용하여 현재위치의 주소를 추출하는 방법이 그 예일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상기의 방법으로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에 전달할 경로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경로정보는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는 주소지, 상호명, 전화번호, 위/경도 좌표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이동 단말(100)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주소 정보,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사진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위치 정보 또는 웹 페이지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경로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소정의 시간 또는 거리 간격 마다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차량의 주행 중에 기존의 경로정보 갱신 또는 새로운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120)는 소정의 시간(예: 10분) 또는 거리(예: 전체 주행거리의 1/10) 간격으로 위치(좌표)정보 수신하여 해당 경로정보의 경유지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 또는 거리 간격으로 수신하는 위치(좌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목적지와 출발지만 포함된 특정 경로정보에 경유지를 추가하고 싶을 때, 또는 이미 지정된 경유지를 변경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상기 경로정보 관리부(130)는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경로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경로정보 관리부(130)는 상기 다수의 경로정보를 분류(grouping)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로정보 관리부(130)는 생성된 다수의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즉, 상기 경로정보 관리부(130)는 목적지가 동일하고 출발지가 상이한 경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며, 더 나아가 목적지 및 출발지가 동일하더라도 경유지가 다른 경로는 서로 다른 경로로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이 내비게이션 장치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100)은 여러 출처에서 획득한 위치/지리 정보를 경로정보로 만들고,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 형식(예: NFC 태그)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경로정보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설치/실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다양한 유형의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510). 상기 이동 단말(100)이 상기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예를 들면, ① 명함, 전단지 등에 부착된 태그, 바코드, QR 코드 등을 인식하여 획득하거나, ② 이동 단말에 기 저장된 연락처, 상호, 주소 등으로부터 획득하거나, ③ 타인에게서 수신한 문자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추출하거나, ④ 웹 서핑, 인터넷 검색 등을 하다가 특정 웹 페이지 등에서 위치정보를 선택하여 추출하거나, ⑤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사진, 동영상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추출하거나, ⑥ GPS를 사용하여 현재위치의 주소를 추출하는 방법이 그 예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의 방법으로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획득하여 내비게이션 장치에 전달할 경로정보를 생성한다(S520). 여기서 경로정보는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는 주소지, 상호명, 전화번호, 위/경도 좌표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단말은 지원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형식으로 상기 생성된 경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S530). 일 예로 상기 이동 단말(100)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지원한다면, 상기 이동 단말(100)은 여러 출처에서 획득한 위치정보, 지리정보를 NFC 태그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NFC 태그 형식으로 저장된 정보는 NFC 리더(reader) 기능을 갖는 외부 장치(예: NFC 기능이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읽혀질 수 있다.
다수의 경로정보가 생성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상기 다수의 경로정보를 분류(grouping)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100)은 생성된 다수의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은 목적지가 동일하고 출발지가 상이한 경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며, 더 나아가 목적지 및 출발지가 동일하더라도 경유지가 다른 경로는 서로 다른 경로로서 관리할 수 있다. 이로써 같은 출발지->목적지를 선택하더라도 시간, 날씨, 교통상황 등에 따라 가장 적합한 경로를 지정할 수 있는 이점이 생길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100)은 저장/관리하고 있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 특히 내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540).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NFC인 경우라면, 상기 경로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태깅(tagging)이 될 것이다. 즉, 상기 이동 단말(100)의 사용자는 경로정보 저장 및 전송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전송할 경로정보를 1 또는 2 이상 선택한 후, 상기 이동 단말을 내비게이션 장치(10)와 태깅하면, 선택한 경로정보가 내비게이션 장치(10)로 전송된다. 이러한 태깅이 이루어지면, 내비게이션 장치는 수신한 경로정보를 화면에 보여주고, 사용자가 경로정보를 최종적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제공한다.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최종적으로 설정된 경로정보(출발지, 경유지, 목적지 등)을 기반으로 길 안내 및 주행 안내를 수행한다.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이동 단말(100)은 기존의 경로정보 갱신 또는 새로운 경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S550).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100)은 소정의 시간(예: 10분) 또는 거리(예: 전체 주행거리의 1/10) 간격으로 위치(좌표)정보 수신하여 해당 경로정보의 경유지로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소정 시간 또는 거리 간격으로 수신하는 위치(좌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100)에 구비된 GPS 수신기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1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목적지와 출발지만 포함된 특정 경로정보에 경유지를 추가하고 싶을 때, 또는 이미 지정된 경유지를 변경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한편, 본 명세서의 방법은, 상기 도 5에서 서술한 각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내비게이션 장치
100 : 이동 단말
110 : 근거리 무선통신부
120: 경로정보 저장부
130 : 경로정보 관리부

Claims (11)

  1.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고,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이동 단말;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로정보를 통해 운행경로를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시스템.
  2.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경로정보 저장부;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경로정보 관리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는 상기 경로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 형식으로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부는 NFC 방식의 통신을 통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경로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주소 정보,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웹 페이지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 사진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경로정보로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저장부는
    소정의 시간 또는 거리 간격 마다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관리부는
    목적지가 동일하고 출발지가 상이한 경로들을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관리하되,
    상기 하나의 그룹 중에서 목적지 및 출발지가 동일하더라도 경유지가 다른 경로는 서로 다른 경로로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7. 이동 단말이 내비게이션 장치로 경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경로정보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tag)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는, NFC 방식의 통신을 통하여 내비게이션 장치로 상기 경로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또는 주소 정보, 수신한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 웹 페이지에서 선택된 지역 정보, 사진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경로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소정의 시간 또는 거리 간격 마다 수신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이동 단말이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로서,
    출발지, 경유지 또는 목적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경로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에 대응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경로정보를 목적지 별로 분류하여 관리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경로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30122731A 2013-10-15 2013-10-15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KR10155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731A KR101557836B1 (ko) 2013-10-15 2013-10-15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731A KR101557836B1 (ko) 2013-10-15 2013-10-15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23A true KR20150043823A (ko) 2015-04-23
KR101557836B1 KR101557836B1 (ko) 2015-10-06

Family

ID=5303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731A KR101557836B1 (ko) 2013-10-15 2013-10-15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8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3159A (ko) * 2016-07-28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CN107677284A (zh) * 2015-11-12 2018-02-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提供路线信息的导航设备及导航方法
KR20190087213A (ko) * 2018-01-16 2019-07-2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101097B1 (ko) * 2018-10-26 2020-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20094326A (ko) *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키 연동형 스마트폰의 주행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646A (ja) 2002-02-07 2003-08-22 Hitachi Ltd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車載端末、目的地の設定方法、および、地図情報取得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7284A (zh) * 2015-11-12 2018-02-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提供路线信息的导航设备及导航方法
US10139240B2 (en) 2015-11-12 2018-11-27 Hyundai Motor Company Navigation device providing path information and method of navigation
CN107677284B (zh) * 2015-11-12 2024-05-2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提供路线信息的导航设备及导航方法
KR20180013159A (ko) * 2016-07-28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KR20190087213A (ko) * 2018-01-16 2019-07-2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101097B1 (ko) * 2018-10-26 2020-05-1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내비게이션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20094326A (ko) * 2020-12-29 2022-07-06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키 연동형 스마트폰의 주행 경로 추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836B1 (ko) 201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1237B2 (en) Navigation devic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557836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장치 제어 방법
US8635020B2 (en) GPS location and favorite prediction based on in-vehicle meta-data
US992233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tinerary
US1055426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002019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information
KR20170018695A (ko) 적응형 여행 일정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0553111B2 (en) Traffic information update method and apparatus
KR20160042827A (ko) 교통 정보의 푸싱 방법 및 장치
US20140067956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140172983A1 (en) System,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istributing content easily seen by terminal device having small display part
KR20110124966A (ko) 차량 네비게이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및 그 장치
US9207083B2 (en) Electronic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for tracking target device
KR102073551B1 (ko) 지점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20039177A (ko) 위치 안내 방법
KR101698518B1 (ko) 지오펜스 설정방법, 이를 적용한 차량 전자 시스템, 차량 관리 센터,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US20170322690A1 (en) Context-aware application
JP2008298490A (ja) 車載用電子機器
KR10161293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이들의 제어 방법
CN103943026B (zh) 一种基于像素距离的目标点自动排布方法
US9823080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facility map
JP2012150684A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60016102A (ko) 내비게이션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68796B1 (ko) 내비게이션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7219445A (ja) 案内情報表示装置、案内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