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772A -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 - Google Patents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772A
KR20150043772A KR20130122585A KR20130122585A KR20150043772A KR 20150043772 A KR20150043772 A KR 20150043772A KR 20130122585 A KR20130122585 A KR 20130122585A KR 20130122585 A KR20130122585 A KR 20130122585A KR 20150043772 A KR20150043772 A KR 2015004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ail
assembly
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원
백종필
김정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든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든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든포유
Priority to KR2013012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3772A/ko
Publication of KR2015004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65D85/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for living plants; for growing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대하여도 화분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내,외케이스가 조립되어 케이스조립체를 이루며, 내케이스에는 식물이 심어지는 구조의 조립식 화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케이스(2) 상부에는 덮개(60)를 형성하여, 흙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하며, 상기 내케이스(2) 외면에는 결합홈(64)을 형성하고, 상기 외케이스(1)에는 레일(65)을 형성하여 상기 레일(65)에 결합홈(64)이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외케이스(1) 외면에는 상기 레일(65)과 소통하는 레일홈(63)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63)에는 돌출레일(73)을 갖춘 연결판(71)이 결합되게 구성하여, 다른 케이스조립체(70)와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외케이스(1)는 외케이스(1) 상부의 전면벽(72)과, 전면벽(72)과 대향하는 배면벽(5)의 면이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판(71)에 형성되는 돌출레일(73)은 두둘로 이루어지는 "11"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 보다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11"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조립체(70)의 외케이스(1) 후방에는 수직벽(81)이 이루어지되, 수직벽(81) 부위에는 오목한 홈부(83)를 형성하여, 모서리를 갖는 화분벽구조물(41)의 모서리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조립체(70)들을 상호 연결시, 원형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호 형상으로 연결되어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flower pot assembly for decorating the rounded surface}
본 발명은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벽걸이식으로 여러 개의 화분을 연속하여 걸어 설치 가능하고 이러한 구조의 화분에 관수시 상부에서 하부로 관수가 이루어지는 구조의 화분 조립체에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면에 대하여도 화분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등록 10-113767 호(2012.04.10)
[문헌2] 실용신안등록 20-104842 호(1997.04.15)
[문헌3] 실용신안등록 20-229430 호(2001.04.23)
[문헌4] 특허출원 제 2012-104483 호(2012. 9. 20)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한 선출원인 문헌 4 의 개선 발명이다.
종래 문헌4의 발명을 실시하여 본 결과 발견된 문제는 화분의 흙이 기울어지거나 화초 등의 식물을 옮겨 담는 등의 경우 흙이 잘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외케이스의 조립성이 좋지 않고 내케이스는 별도도의 두 개의 망체를 내케이스에 형성하는 단점이 있어 여러 가지 부재가 소요되고 가공상 불편한 점도 발견되었다.
또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하여는 화분조립체를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모든 문제를 해결토록하고 아울러 케이스 조립체의 조립성이 우수하고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벽면에 대하여도 화분 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추가로 흡수재에 의한 물의 흡수가 양호하고 물 흡수를 위한 흡수재의 고정이 편리한 구조의 화분 조립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내,외케이스가 조립되어 케이스조립체를 이루며, 내케이스에는 식물이 심어지는 구조의 조립식 화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케이스(2) 상부에는 덮개(60)를 형성하여, 흙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하며, 상기 내케이스(2) 외면에는 결합홈(64)을 형성하고, 상기 외케이스(1)에는 레일(65)을 형성하여 상기 레일(65)에 결합홈(64)이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외케이스(1) 외면에는 상기 레일(65)과 소통하는 레일홈(63)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63)에는 돌출레일(73)을 갖춘 연결판(71)이 결합되게 구성하여, 다른 케이스조립체(70)와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외케이스(1)는 외케이스(1) 상부의 전면벽(72)과, 전면벽(72)과 대향하는 배면벽(5)의 면이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결판(71)에 형성되는 돌출레일(73)은 두둘로 이루어지는 "11"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 보다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11"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조립체(70)의 외케이스(1) 후방에는 수직벽(81)이 이루어지되, 수직벽(81) 부위에는 오목한 홈부(83)를 형성하여, 모서리를 갖는 화분벽구조물(41)의 모서리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케이스조립체(70)들을 상호 연결시, 원형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호 형상으로 연결되어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조립체를 설치할 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곳에 대하여도 케이스조립체를 설치할 수 있어 매우 아름다운 벽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화분의 흙이 기울어지거나 화초 등의 식물을 옮겨 담는 등의 경우 흙이 잘 떨어지지 않으며, 내,외케이스의 조립이 레일 구조에 의한 슬라이딩 식으로 조립되어 조립성이 우수하고, 내케이스는 별도의 두 개의 망체를 내케이스에 형성할 필요 없이 하나의 몸체로 성형 가능한 장점이 있어 재료 절감, 가공의 편리 및 제조비 절감에 기여한다.
또한 흡수재에 의한 물의 흡수가 양호하고 물 흡수를 위한 흡수재의 고정이 편리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블럭의 조립 사시도
도 2 는 조립블럭의 덮개(10)를 개방하여 본 도면
도 3 은 도 1 의 좌측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 는 조립블럭 내케이스(2)의 저면 쪽을 보여주는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두 개의 케이스조립체(70)를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
도 6 은 도 5 의 다른 실시 예
도 7 은 케이스조립체가 화분벽구조물에 장착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
도 9 내지 도 12는 화분 조립체를 설치할 면이 곡면이거나 모서리 부분일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케이스 조립체의 구성과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상기 문헌4의 종래 기술에서, 개선된 부분에 대하여만 집중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외케이스(1) 안에 수납되는 내케이스(2) 상부에 덮개(60)를 형성하였다. 덮개(60)를 형성한 이유는 화분 내에 수납되는 흙이 화초 등을 옮길 때 흙이 외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덮개(60)는 내케이스(2) 상부 테두리 부분을 일부 덮는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의 화초를 보호하고 화초 주변의 흙이 이탈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바, 이 덮개의 구조는 여러 다른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곽테두리는 사각 형사잉되, 안쪽 테두리 형상은 화초 주변을 둘러 싸는 호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덮개(60)는 도 2에서 보듯이, 개폐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서 보듯이, 덮개(60)에는 돌기(61)를 형성하고 내케이스(2) 상부 부위에는 홈(62)을 형성하여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다시 도 1에서, 외케이스(1)에는 레일홈(63)을 형성하여 케이스조립체(70)를 상호 연결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는 도 1 의 조립 상태를 분리하여 본 도면이다.
외케이스(1)에는 레일(63)을 형성하고 내케이스(2)에는 결합홈(64)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이 용이하게 하였다. 결합홈(64)은 돌출된 형상의 레일(65)을 수용하는 정도의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레일(65)은 사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한쪽이 개방된 레일홈(63)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결합홈(64)과 레일(65)의 구성은 도면의 죄측엔 맞은편에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3 은 도 1의 조립 상태에서 좌측 상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내케이스(2)의 저부엔 물의 흡수를 도와주는 흡수재23)를 끼울 수 있는 흡수재 가이드(66)가 형성된다. 가이드(66)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기로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기타 단면상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가이드(66)의 기능은 이 가이드(66)를 통하여 천이나 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흡수재질의 소재가 끼워질 때 쉽게 끼워지게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단면이 원형상인 흡수재를 끼울 경우엔 그 끼움이 더욱 편리하다.
종래엔 이러한 구조가 없어 도4 에 도시한 흡수재(23)를 끼워 넣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도 4 는 내케이스(2)를 분리하여 본 도면으로 흡수재(23)가 끼워져 돌출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 에 도시한 가이드(66)를 통하여 흡수재(23)가 내케이스(2) 저부 아래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 경우, 흡수재(23) 하단은 여러 가닥의 갈기(67)를 주어 흡수 효율이 좋도록 한다.
또한 흡수재(23)의 일정 길이 높이에 매듭(미도시)을 주어, 도 3 의 가이드(66)를 통하여 끼워 넣으면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 이상 외부에서 당겨도 완전히 빠져 나오지 못하게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서 보듯이, 종래에는 망체부(27)와 하부망체부(28)를 별도의 망체와 하부망체를 만들어 부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내케이스(2)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즉 금형에 의해 사출 성형하였다. 그리하여 별도의 망체 부재를 부착할 필요가 없도록 하였다.
도 5 는 두 개의 케이스조립체(70)를 연결판(71)으로 연결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케이스(1)의 배면벽(5)에는 레일홈(63)이 형성된다.
이 레일홈(63)은 반대편의 전면벽(72)(도 1 및 도 6 참조)에도 형성된다.
연결판(71)에는 돌출레일(73)이 형성되어 레일홈(63)에 끼워져 들어간다. 돌출레일(73)은 단면상 "ㄱ"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레일홈(63)은 도 3에서 보듯이, 레일홈(63) 입구는 좁고 안쪽은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돌출레일(73)이 위에서 끼워져 들어가면, 반드시 상부에서 연결판(71)을 제거하지 않고는 분리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판(71)이 결합되면 그 결합 상태에서 두 개의 케이스조립체(70)를 분리할 수 없다.
도 6 은 도 5 의 반대편 즉, 배면벽(5) 반대편의 전면벽(72)에도 동일한 구조의 레일(63)이 형성됨을 보여 준다. 아울러 연결판(71)은 하부에 돌출레일(73)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단부에는 돌출된 구조의 걸림턱(74)을 형성한다.
걸림턱(74)은 연결판(71)이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지 않게 하고 아울러 인출시 그 뽑아냄이 용이하도록 한다.
돌출레일(73)은 도면과 같이 하부에 구성할 수도 있고 도 5 와 같이 상하부에도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판(71)의 전면에는 돌출레일(73)이 상하부에 구성되고 연결판(71)의 배면에는 도 6 과 같이, 하부에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돌출레일(73)의 구조의 변경은 외케이스(1)의 전면 또는 후면 어디에서든지 결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타 여러 다양한 구조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은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이 화분벽구조물(41)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형상으로 화분벽구조물(41)을 구축하고 여기에 가로로 걸이대(14)를 설치하고 이 걸이대(14)에 도 1 에 도시한 외케이스(1)의 걸이(3)를 걸어 둔다. 이러한 식으로 여러 개의 케이스조립체(70)를 조랍하되 각각의 케이스조립체(7)0 사이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71)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져 견고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분벽구조물(41) 상부에는 물공급파이프(76)를 설치하여 이들이 각각의 연결호스(32)로 분배되어, 하나의 연결호스(32)의 제일 상측에 있는 케이스조립체(70)에 물이 공급되면 그 하부에 설치되는 여러 개의 케이스조립체(70)에도 물이 공급된다. 이러한 물 공급의 원리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종래 기술에서 충분히 설명한바 더 이상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완성된 실내 공간의 화분벽 구조를 예시한다. 상기 구조는 실내 뿐만 아니라 실외벽에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8 의 경우는 벽면이 평면일 경우에는 설치가 편리하나 곡면인 경우에는 그 설치가 불편하다.
그러면 도 9 및 도 10 에서는 곡면에서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 9 는 2개의 케이스조립체(70)를 나란히 세워 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80)을 나란히 붙이면 도 10에서 보듯이, 상부에서 보면 조립체가 호 형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이유는 전면벽(72) 및 그 반대편인 배면벽(5)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진 6면체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여러개의 케이스조립체(70)를 연결하면, 도 11에서 보듯이, 원통형상의 외주에도 빙 둘러 설치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판(71)은 상기 구조에 맞게 레일홈(63)에 삽입 가능한 구조의 돌출레일(73)을 만들면 된다. 즉 레일홈(63)의 형상에 맞게, 돌출레일의 하부가 안으로 모여지는 "11" 자 형상의 돌출레일(73)을 만들면 두 케이스조립체(70)를 조립할 수 있다.
도 12는 화분벽구조물(41)이 사각체 형상일 경우, 모서리 부분에서의 케이스조립체를 설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벽구조물(41)의 모서리 부분에 케이스조립체(70)를 설치할 경우에는 케이스조립체(70) 형상을 달리하였다. 즉 수직벽(81) 부분을 오목한 홈부(83)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화분벽구조물(41)의 모서리부분에도, 보기 흉하지 않게 케이스조립체(70)가 설치되어 미감이 우수하게 된다.
1 외케이스 2 내케이스
23 흡수재 60 덮개
61 돌기 62 홈
63 레일홈 64 결합홈
65 레일 67 갈기
70 케이스조립체 71 연결판
72 전면벽 73 돌출레일
80 측벽 81 수직벽
83 홈부

Claims (4)

  1. 내,외케이스가 조립되어 케이스조립체를 이루며, 내케이스에는 식물이 심어지는 구조의 조립식 화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케이스(2) 상부에는 덮개(60)를 형성하여, 흙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토록하며,
    상기 내케이스(2) 외면에는 결합홈(64)을 형성하고, 상기 외케이스(1)에는 레일(65)을 형성하여 상기 레일(65)에 결합홈(64)이 결합되게 구성하고,
    상기 외케이스(1) 외면에는 상기 레일(65)과 소통하는 레일홈(63)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63)에는 돌출레일(73)을 갖춘 연결판(71)이 결합되게 구성하여, 다른 케이스조립체(70)와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외케이스(1)는 외케이스(1) 상부의 전면벽(72)과, 전면벽(72)과 대향하는 배면벽(5)의 면이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장식용 화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71)에 형성되는 돌출레일(73)은 두둘로 이루어지는 "11"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 보다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11"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장식용 화분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조립체(70)의 외케이스(1) 후방에는 수직벽(81)이 이루어지되, 수직벽(81) 부위에는 오목한 홈부(83)를 형성하여, 모서리를 갖는 화분벽구조물(41)의 모서리에 설치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장식용 화분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조립체(70)들을 상호 연결시, 원형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호 형상으로 연결되어 조립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장식용 화분 조립체

KR20130122585A 2013-10-15 2013-10-15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 KR20150043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585A KR20150043772A (ko) 2013-10-15 2013-10-15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2585A KR20150043772A (ko) 2013-10-15 2013-10-15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772A true KR20150043772A (ko) 2015-04-23

Family

ID=5303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2585A KR20150043772A (ko) 2013-10-15 2013-10-15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3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990A (ko) * 2015-07-10 2017-01-18 이현륜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990A (ko) * 2015-07-10 2017-01-18 이현륜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941B1 (ko) 화분조립체
KR20160109661A (ko)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KR20150043772A (ko) 곡면 장식용 화분조립체
KR200470506Y1 (ko) 구멍 없는 화분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KR101389567B1 (ko) 식물 생육이 원활하고 이취가 없는 화분 조립체
KR20120007204A (ko) 조경용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경용 화분 조립체
KR101491565B1 (ko) 다용도 화분 조립체
KR20130113652A (ko) 조립식 식재유니트
KR100689626B1 (ko) 동식물 생육 공간이 구비된 벽걸이용 실내 장식물
KR20180000313U (ko)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KR20140040946A (ko)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KR102157856B1 (ko) 조립식 포트
KR101002206B1 (ko) 화분이 결합된 식재형 도로경계석
KR20100112370A (ko) 조립식 화분
CN204907299U (zh) 一种墙面垂直绿化种植装置
CN205712616U (zh) 一种墙面绿化水幕墙
CN205266431U (zh) 一种新型种植盆
KR200481744Y1 (ko) 착탈식 화분
JP6083073B2 (ja) プランター、プランターの製造方法、プランターを用いた植栽方法、プランター装置、および、プランター装置を用いた植栽方法
KR200470730Y1 (ko) 벽걸이형 식재장치
CN220830967U (zh) 一种挂置式种植装置
KR101502840B1 (ko) 벽면 장식용 화분걸이
KR101326125B1 (ko) 이동 가능한 화분
KR20130002620A (ko) 비닐섬유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