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661A -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661A
KR20160109661A KR1020150034486A KR20150034486A KR20160109661A KR 20160109661 A KR20160109661 A KR 20160109661A KR 1020150034486 A KR1020150034486 A KR 1020150034486A KR 20150034486 A KR20150034486 A KR 20150034486A KR 20160109661 A KR20160109661 A KR 2016010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nter
collecting container
vegetation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주
박서형
Original Assignee
박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형 filed Critical 박서형
Priority to KR1020150034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09661A/ko
Publication of KR2016010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Y02P60/24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생매트 및 관수부재를 연결 및 단절하고, 관수부재의 물이 식생매트로 직접 들어가지 못하게 단절하는 기능, 또는 하나씩 쌓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플랜터와, 식생매트에 수분을 공급하는 심지가 담기며, 집수용기에 어느 정도 용수가 채워지면 하단으로 물이 내려가는 오버플로우 기술이 적용된 관수부재와, 고형화 토양과, 고형화 토양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심지를 포함하는 식생블록체를 갖추어서 실내의 벽면에 녹지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균일한 수분공급이 유지되어 식물의 성장상태가 균일하여 환경적으로는 물론 미관상으로 안정감이 제공되며, 특히 기존의 재료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립할 수도 있어 환경교육용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GreenPile System }
본 발명은 실내의 환경을 식물이 성장되는 플랜터로 자연 친화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식생블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개별 플랜터를 조합하여 벽면 전체를 자연 친화적으로 조경할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과 관리를 용이하고 균일하게 할 수 있는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내 또는 실외의 벽면에 지속적으로 성장되는 식물로 조경하기 위한 식생 블록구조는,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의 공급이 지속적 또는 일정 간격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구조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공급을 일정하게 또는 균일한 시간마다 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토양구성과 용수 공급구성이 분리되게 하고, 토양구성과 용수 공급구성을 삼투압 또는 흡수하는 재료로 된 심지로 연결한 급수구조를 갖추어 식생 블록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벽면녹화 식생장치는 대한민국 특허10-1316013호에 의거 소개된 바 있다.
선등록된 벽면녹화용 식생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덕트(14)가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저수덕트(14)의 내부 또는 본체(10)의 전면식생블록(40) 또는 식생매트(50)가 구비되어, 식물을 상기 식생블록(40)이나 식생매트(50)에 심어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벽면이 식물로 덮인 느낌을 주어 실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저수덕트(14)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0)이 구비되어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므로,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송풍팬(20)을 이용하여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선등록 특허의 본체는 일체형으로 되어 벽면의 크기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저수덕트의 에 식생매트(50)가 설치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되므로 식생매트의 식물성장에 알맞는 물 공급이 이루어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저수덕트(14)에 물이 가득 채워질 때 오버플로우되는 구조이므로 효율적인 급수관리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 0991340호
본 발명은 벽면에 구성되는 식생블록체 전체에 직접 관수구성을 갖추어 균일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지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녹지가 부족한 집중 거주지역의 실내에 간단한 구성으로 벽면녹화를 이루어 대중화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벽면녹화를 대중화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조립할 수 있게 시중 제품을 부품화 및 간편 조립이 가능하게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실내의 인테리어와 건강한 환경을 이루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이 심겨진 고형화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용기가 내부의 공간으로 장착되는 플랜터; 상기 플랜터를 실내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 형성시키는 적치공간과, 상기 적치공간으로 복수개의 플랜터를 적층 배열하여 실내에 식생체가 구비되게 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하는 용수를 프레임의 상단으로 이동시키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플랜터의 집수용기로 각각 분리 공급되게 하는 공급부재; 상기 공급부재를 통해 상측플랜터의 집수용기에 공급되는 용수가 각각의 식생매트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플랜터의 집수용기로 순차적 공급되는 관수부재로 이루어진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따라서 충분히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플랜터는, 상기 식생매트가 설치되는 플랜터의 내부공간 바닥면을 천공시켜 관수부재가 설치되는 통공과, 상기 내부공간의 테두리 상단에 플랜터의 적층을 위해 형성되는 삽입홈과, 상기 플랜터의 저면 테두리에는 적층되는 플랜터의 삽입홈과 형합을 위해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식생매트는, 상기 집수용기의 용수를 흡수하는 부직포로 심지를 형성하여, 상기 심지의 일단은 식생매트에 삽입되고, 심지의 타단은 집수용기내에 위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공급부재는, 상기 프레임 하단으로 구비되는 용수가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용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용수를 프레임의 식생블록체(220) 상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주공급관, 상기 주공급관에 연결돠어 용수를 상측 플랜터로 분리 공급되게 하는 분기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관수부재는,상기 플랜터에 설치된 집수용기의 내부바닥에 형성하는 통공과, 상기 통공을 통해 플랜터의 바닥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패킹과, 상기 패킹으로 삽입되어 집수용기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유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유도관은, 상기 집수용기내에서 설치되는 유도관높이가 집수용기높이 보다 낮게 설치되어 집수용기내의 저장수위를 상기 유도관높이로 유지되게 하고, 상기 저장수위이상 되는 용수는 유도관을 넘쳐 집수용기 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관수부재는, 상기 플랜터에 유도관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통공들의 중심축선을 이격시켜 형성하되 집수용기의직경을 범위내에 천공시켜 관수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플랜터의 적층에 의한 식생블록체 형성 시 각각의 유도관이 지그재그형태로 되어 상기 상측플랜터에서 배수되는 용수가 하측플랜터의 집수용기 내로 직접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플랜터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플랜터 구성을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
도 3는 도 2의 A-A'선 단면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식생블록체에서 관수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벽면녹화용 식생대블록체에 대한 관수상태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플랜터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벽면녹화용 식생블록시스템을 구성하는 플랜터(100)는,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토양을 담을 수 있는 체적이 구비된 용기형태이고, 상기 용기형태의 플랜터(100)를 좌, 우, 상, 하 방향으로 적층 할 수 있도록 형합구성을 구비한다.
이처럼 상부 개방형태의 플랜터(100)는, 식물을 심고 성장기반이 되는 토양을 담을 수 있도록 내부공간(102)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102)의 바닥면에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용수의 공급과 이상 공급되는 용수의 배수를 돕기 위한 통공(103)이 천공된다.
상기 플랜터(100)의 내부공간(102)으로는 식물의 성장기반을 이루는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의 성장을 위해 용수가 공급되는 것으로, 토양은 통상의 상토와 무기물과 코코넛 섬유를 혼합하여 고형화를 이루고 불록화하여 외면을 그물망으로 감싼 식생매트(110)로 대체하고, 용수는 적정량 저장되는 용적을 갖는 집수용기(130)가 설치된다.
상기 플랜터(100)는 취급의 편리함과 사용상의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합성수지제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통상 사출성형 금형에 의해 생산된다.
따라서, 사출금형으로 플랜터(100)를 생산하여 시용할 수 있지만, 이미 생산되어 시중에 공급되고 있는 합성수지제 상자를 구매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재가공하여 사용함도 가능하다.
상기 플랜터(100)의 내부공간(102)으로 공급하는 식생매트(110)에는 식물의 성장 시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용수가 흡수되는 부직포 소재로 심지(113)를 형성하여서 심지(113)의 일단를 식생매트(110)에 심고, 타단은 노출되는 상태로 되게 한다.
도 2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플랜터 구성을 보인 조립상태 단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A-A'선 단면 확대도로서, 상기 플랜터(100)의 구조와 식생매트(110) 및 집수용기(130)의 구성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플랜터(100)를 적층시키기 위하여 테두리 저면에 리브(105)를 돌출형성 시키고, 테두리 상면으로는 적층되는 플랜터(100) 저면의 리브(105)가 형합되는 삽입홈(104)이 형성되게 한다.
또한, 플랜터(100)의 후면에는 플랜터(100)의 설치 시 후술하는 프레임(200)의 적치공간(210)에 결속되는 철사 등에 걸어두거나, 기타 설치공간의 돌출물에 걸어둘 수 있는 걸림편 (106)이 돌출되게 형성한다.
상기 플랜터(100)의 내부공간(102)에는 고형화된 식생매트(110)와, 수분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한 용수를 저장하는 집수용기(130)가 설치되며, 식생매트(110)에 삽입된 심지(113)의 타단이 집수용기(130)내에 담궈지는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식생체에서 관수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인데, 상기 관수부재(400)는, 하나의 플랜터(100) 또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적층 결합된 각각의 블랜터(100,100a...100n)에 수분공급을 안정되게 공급하는 구성을 갖추기 위하여 상기 플랜터(100)의 내부공간(102) 바닥에 천공된 통공(103)위치로 집수용기(130)를 위치시키고, 상기 집수용기(130)의 바닥으로 관수부재(400)의 패킹(410)을 삽입시켜 플랜터(100) 바닥의 통공(103)으로 관통되게 한다.
상기 집수용기(130)의 바닥과 플랜터(100)의 내부공간(102) 바닥을 관통하는 에 패킹(410)에 의해 집수용기(130)와 플랜터(100)는 연결 고정된다.
상기 플랜터(100)의 내부공간(102)바닥에 고정된 패킹(410) 중앙으로는 삽입공이 뚫려 있으며, 이 삽입공으로 유도관(430)이 삽입되게 한다.
상기 유도관(430)을 패킹(410)에 설치함에 있어 집수용기(130)에는 용수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일정량 이상 용수가 저장되는 경우 하측으로 용수가 오버플로우되게 하는 배수 구성이 형성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배수 구성을 갖추기 위해 집수용기(130)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관(420)의 유도관높이(h)를 집수용기(130)의 집수용기높이(H)보다 낮게 형성한다.
상기 유도관(430)의 설치로 인해 집수용기(130)에는 유도관높이(h)로 용수의 저장수위(W)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이상공급되는 용수는 유도관(430)을 통해 오버플로우되는 상태가 되므로, 저장수위(W)는 유도관높이(h)로 집수용기(130)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저장된 용수는 부직포로 된 심지(113)를 통해서만 식생매트(110)에 수분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벽면녹화용 식생체에 대한 관수상태도인데, 이는 식물이 심겨진 하나의 플랜터(100)를 좌우 및 상하로 배열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벽면 크기에 대응하여 각각의 플랜터(100, 100a,...100n)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적치공간(210)을 형성하는 프레임(200)은 실내의 벽면 크게에 따라 적치공간(210)의 변형 및 증감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200)의 하단으로 용수를 저장하며, 상측으로부터 배수되는 용수를 모으는 수조(310)가 구비된다.
상기 수조(310)에는 용수를 흡입하여 프레임(200)의 상단으로 이동시키며, 또는 외부의 용수를 수조로 공급하는 공급펌프(320)가 장착된다.
그리고, 공급펌프(320)에는 펌핑되는 용수를 안내하는 주공급관(330)이 연결되고, 주공급관(330)의 끝단에는 상측플랜터(100a)의 집수용기(130)로 각각 분리되게 하는 분기관(340)이 연결된다.
상기 식생블록체(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플랜터(100,100a,.. 100n)에서 용수를 배수시키는 유도관(430)은 각각의 통공(103)들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에 의해 지그재그형으로 설치되므로, 상기 상측플랜터(100a)의 유도관(430)을 통해 오버플로우 배수되는 용수도 지그재그형태로 배수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식생블록체(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플랜터(100,100a,100n) 내부바닥에 관수부재(400)를 설치하기 위한 천공시키는 통공(103)의 상하위치 중심축선이 일치되지 않는 간격(d)을 두고 천공하되 집수용기의 직경(D)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플랜터(100, 100a,100n) 적층으로 형성되는 식생블록체(220)로 조립된 상태에서 유도관(430)이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상기 상측플랜터(100a)에서 오버플로우 배수되는 용수가 하측플랜터(100n)의 집수용기(130)내로 직접공급되게 한다.
이는 식생매트(110)에 수분이 직접 공급되지 않으므로 식생매트(110)에 용수가 과도하게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리고, 집수용기(130)에서 유도관(430)의 높이(h)로 인해 용수의 적정수위가 유지되며 집수용기(130)에 담궈진 심지(113)를 통해 수분이 식생매트(110)로 공급되므로 수분의 공급량이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공급펌프(320)에 연결된 주공급관(330)과 분기관(340)을 통해 수조(310)의 용수는 식생블록체(220)의 상측플랜터(100a)를 통해 지그재그 배수되어 하측플랜터(100n)로 공급되는 용수는 하측플랜터(100n)를 통해 수조(310)로 회수되므로 식생블록체(220)전체에 용수량의 공급상태는 동일하게 관리된다.
또한, 집수용기(130)에 설치되는 유도관(430)의 높이(h)를 식생블록체(220)전체에 균일하게 하므로 수분보유상태도 균일하게 관리된다.
뿐만 아니라, 식생매트(110)로의 용수공급이 심지(113)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 공급량이 균일하게 되므로 식물의 성장상태가 식생블록체(220)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벽면녹화 식생 블록시스템에서 식생블록체(220)는 개별적인 플랜터(100)의 리브(105)와, 삽입홈(104)이 상호 형합 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식생블록체(220)의 조립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조립된 식생블록체(220)에서 어느 하나의 플랜터(100)를 교체해야하는 경우 해당 부분의 플랜터(100)상부에 위치한 플랜터(100)를 들면 교체대상의 플랜터(100)를 별도의 공구 없이 분리해 내고, 새로운 플랜터(100)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플랜터 100a: 상측플랜터 100n: 하측플랜터
102 : 내부공간 103 : 통공 104 : 삽입홈
105 : 리브 110 : 식생매트 113 : 심지
130 : 집수용기 200 : 프레임 210 : 적치공간
220 : 식생블록체 300 : 공급부재 310 : 수조
320 : 공급펌프 330 : 주공급간 340 : 분기관
400 : 관수부재 410 : 패킹 420 : 유도관
d : 간격 W : 저장수위 H : 집수용기높이
h : 유도관높이 D : 집수용기의직경

Claims (7)

  1. 식물(A)이 심겨진 고형화식생매트(110)와, 상기 식생매트(11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집수용기(130)가 내부의 공간으로 장착되는 플랜터(100);
    상기 플랜터(100)를 실내 벽면에 설치하기 위해 형성시키는 적치공간(210)과, 상기 적치공간(210)으로 각각의 플랜터(100, 100a..100n)를 적층 배열하여 실내에 식생블록체(220)가 구비되게 하는 프레임(200);
    상기 프레임(2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용수를 프레임(200)의 상단으로 이동시키며,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플랜터(100a)의 집수용기(130)로 각각 분리 공급되게 하는 공급부재(300);
    상기 공급부재(300)를 통해 상측플랜터(100a)의 집수용기(130)에 공급되는 용수가 각각의 식생매트(110)와,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플랜터(100n)의 집수용기(130)로 순차적 배수되는 관수부재(400)로 이루어진 벽면녹화 식생 블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터(100)는,
    상기 식생매트(110)가 설치되는 플랜터(100)의 내부공간(102) 바닥면을 천공시켜 관수부재(400)가 설치되는 통공(103)과,
    상기 내부공간(102)의 테두리 상단에 플랜터의 적층을 위해 형성되는 삽입홈(104)과,
    상기 플랜터(100)의 저면 테두리에는 적층되는 플랜터의 삽입홈(104)과 형합을 위해 리브(10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식생 블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매트(110)는,
    상기 집수용기(130)의 용수를 흡수하는 부직포로 심지(113)를 형성하여, 상기 심지(113)의 일단은 식생매트(110)에 삽입되고, 심지(113)의 타단은 집수용기(130)내에 위치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식생 블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재(300)는,
    상기 프레임(200) 하단으로 구비되는 용수가 채워지는 수조(310)와, 상기 수조(310)의 용수를 펌핑하는 공급펌프(320)와, 상기 공급펌프(320)에 연결되어 용수를 프레임(200)의 식생블록체(220) 상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주공급관(330)과, 상기 주공급관(330)에 연결돠어 용수를 상측플랜터(100a)로 분리 공급되게 하는 분기관 (3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식생 블록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부재(400)는,
    상기 플랜터(100)에 설치된 집수용기(130)의 내부바닥에 형성하는 통공(103)과, 상기 통공(103)을 통해 플랜터(100)의 바닥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패킹(410)과, 상기 패킹(410)으로 삽입되어 집수용기(130)를 관통하게 설치되는 유도관(4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식생 블록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430)은,
    상기 집수용기(130)내에서 설치되는 유도관높이(h)가 집수용기높이(H)보다 낮게 설치되어 집수용기(130)내의 저장수위(W)를 상기 유도관높이(h)로 유지되게 하고, 상기 저장수위(W) 이상 되는 용수는 유도관(430)을 넘쳐 집수용기 (130)외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식생 블록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부재(400)는,
    상기 각각의 플랜터(100,100a,100n)에 유도관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통공(103)의 상하위치의 중심축선이 일치되지 않게 간격(d)을 두고 천공하되 집수용기의직경(D)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형성하여 상기 각각의 플랜터(100, 100a, 100n) 적층으로 형성되는 식생블록체(220)에서 유도관(130)이 지그재그로 설치되어 상기 상측플랜터(100a)에서 배수되는 용수가 하측플랜터(100n)의 집수용기(130)내로 직접공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 식생 블록시스템.
KR1020150034486A 2015-03-12 2015-03-12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KR20160109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86A KR20160109661A (ko) 2015-03-12 2015-03-12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486A KR20160109661A (ko) 2015-03-12 2015-03-12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661A true KR20160109661A (ko) 2016-09-21

Family

ID=5708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486A KR20160109661A (ko) 2015-03-12 2015-03-12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0966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782A1 (ko) * 2019-09-27 2021-04-01 전효찬 수경 재배 장치
KR102235843B1 (ko) * 2019-09-27 2021-04-05 전효찬 수경 재배 장치
CN114269150A (zh) * 2019-09-27 2022-04-01 全晓燦 水培块
KR20220108251A (ko) 2021-01-25 2022-08-03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개별 관수 제어가 가능한 다기능 식생장치
KR20220146144A (ko) 2021-04-23 2022-11-01 (주) 에스피데이타 다면형의 다기능 식생장치
KR20220147334A (ko) 2021-04-27 2022-11-03 (주) 에스피데이타 다기능 식생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340B1 (ko) 2008-02-21 2010-11-01 윤영춘 이중 심지급수구조를 가지는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340B1 (ko) 2008-02-21 2010-11-01 윤영춘 이중 심지급수구조를 가지는 화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0782A1 (ko) * 2019-09-27 2021-04-01 전효찬 수경 재배 장치
KR102235843B1 (ko) * 2019-09-27 2021-04-05 전효찬 수경 재배 장치
CN114269150A (zh) * 2019-09-27 2022-04-01 全晓燦 水培块
CN114269150B (zh) * 2019-09-27 2023-12-15 全晓燦 水培块
KR20220108251A (ko) 2021-01-25 2022-08-03 에스그린랩 주식회사 개별 관수 제어가 가능한 다기능 식생장치
KR20220146144A (ko) 2021-04-23 2022-11-01 (주) 에스피데이타 다면형의 다기능 식생장치
KR20220147334A (ko) 2021-04-27 2022-11-03 (주) 에스피데이타 다기능 식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9661A (ko) 벽면 녹화용 식생 블록시스템
US20210161088A1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US10492377B2 (en) Unique rollable five-device-in-one system comprising rollable clawed-foot flower container, rollable adjustable-receiver umbrella stand, rollable water reservoir, rollable water-regulating irrigation system, and rollable water-circulating system
US9374947B2 (en) Wall planting module
JP2016518120A (ja) 垂直ガーデンシステム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CN202444860U (zh) 壁式花盆
US20120297679A1 (en) Farm in a box
KR101126188B1 (ko) 물받침이 없는 화분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101371128B1 (ko) 교체식 식재모듈을 가지는 식물 재배기
CN203762001U (zh) 垂直绿化植物墙种植盒
KR102324733B1 (ko) 수직 정원
CN210746545U (zh) 一种立体绿植毛毡种植架
KR102081449B1 (ko) 입형화분 프레임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20150103390A (ko) 무동력 관수 화분
KR101460852B1 (ko) 사계절용 식물재배 용기
KR20150094277A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102083841B1 (ko) 실내 장식용 화분
KR101548155B1 (ko) 기능성 화분
KR101576540B1 (ko) 화분조립체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