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908A -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908A
KR20150042908A KR20130121657A KR20130121657A KR20150042908A KR 20150042908 A KR20150042908 A KR 20150042908A KR 20130121657 A KR20130121657 A KR 20130121657A KR 20130121657 A KR20130121657 A KR 20130121657A KR 20150042908 A KR20150042908 A KR 20150042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ubstrate
opening
light emitting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671B1 (ko
Inventor
전희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1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671B1/ko
Priority to US14/512,234 priority patent/US9478767B2/en
Publication of KR20150042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8Vertical spacers, e.g. arranged between the sealing arrangement and th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발광영역의 제1 전극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상기 노출된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층;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유기발광층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상부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구비되되,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부분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에 따라 TV 및 모니터와 같은 가정용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노트북, 핸드폰 및 PMP 등의 휴대용 기기에 표시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경량화 및 박형화 추세에 따라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등이 각광받고 있다.
상술한 장치 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소재를 이용하여 자체발광 하는 특성을 가지며, 낮은 소비전력 및 높은 휘도 특성을 나타내는 장점을 갖는다.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갖는 차세대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에 비해 시야각, 콘트라스트 (contrast), 응답속도, 소비전력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키면서, 더 낮은 소비전력 및 더 높은 휘도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지 기판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력에 의한 봉지 기판에 전사되는 얼룩과 발광층과의 중첩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규한 개구부 및 스페이서의 형상을 제공하여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투과도에 따른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발광영역의 제1 전극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상기 노출된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층;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 상기 유기발광층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상부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부분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정의막에 인접한 부분인 하부측 폭이 상부측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가 라운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기판에 수직한 단면적이 반구형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상에 상기 스페이서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가장 좁은 폭으로 구비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제2 및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에서 제2 부분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부분에서 제3 부분의 끝단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에서 가장 넓은 폭은 상기 제3 부분에서 가장 넓은 폭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의 제1 부분의 폭은 제2 부분 또는 제3 부분의 가장 넓은 폭에 대하여 20% 내지 60%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부의 제1 부분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개구부의 제1 부분의 단면의 형상과 서로 상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의 단면은 원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제1 기판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 기판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에 의한 봉지 기판에 전사되는 얼룩과 발광층과의 중첩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한 개구부 및 스페이서의 형상을 제공하여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고, 투과도에 따른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스페이서 및 개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개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개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두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제1 기판 (100) 상에 복수개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화소 영역 (110)과 비화소 영역 (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화소 영역 (120)은 화소 영역 (110)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화소 영역 (1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영역 (110)은 제1 기판 (100) 상에 주사 라인 (130) 및 데이터 라인 (140) 사이에 매트릭스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가 배치된다. 비화소 영역 (120)은 기판 (100) 상에 상기 화소 영역 (110)의 주사 라인 (130) 및 데이터 라인 (140)에서터 연장되는 주사 라인 (130) 및 데이터 라인 (140),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 라인(도시안됨) 그리고 패드 (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된 신호를 처리하여 주사 라인 (130) 및 데이터 라인 (140)으로 공급하는 주사 구동부 (150) 및 데이터 구동부 (160)가 배치된다. 주사 구동부 (150) 및 데이터 구동부 (160)는 패드 (17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주사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각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가 형성된 제1 기판 (100) 상부에는 화소 영역 (110)을 밀봉시키기 위하여 제2 기판 (300), 예컨대 봉지 기판이 상기 제1 기판 (10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기판 (100) 및 제2 기판 (300)의 측면은 밀봉재 (310)에 의하여 합착될 수 있다. 이 때 제2 기판 (300)은 상기 제1 기판 (10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 (230)에 의하여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b의 스페이서 및 개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230)는 행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개구부 (240)와 이격되도록 상기 개구부 (240)의 도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240)를 통하여 발광하도록 상기 개구부 (240)에 적어도 일부가 대응하도록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에는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신호를 유지시키기 위한 캐패시터가 연결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210) 및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만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제1 기판 (10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 (221); 상기 제1 전극 (221)을 포함하는 제1 기판 (100) 상에 형성되며, 발광영역의 제1 전극 (221)이 노출되도록 개구부 (240)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222); 상기 노출된 제1 전극 (221)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층 (223); 상기 화소정의막 (222)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 (230); 상기 유기발광층 (223) 및 스페이서 (230)를 포함하는 상부에 형성된 제2 전극 (224);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개구부 (240)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 (240)는 상기 스페이서 (230)와 인접한 부분의 폭 (S3)이 다른 부분 (S1, S2)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 (224) 상에 상기 스페이서 (230)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막 (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보호막 (250)은 하부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물은 LiF, Liq, Alq3, NPB, TPD, m-MTDATA, TCTA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소자 (220)는 제1 전극 (221), 제2 전극 (224)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221, 224) 사이에 구비되는 유기발광층 (2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전극 (221)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전극 (221)은 기판 (100) 상에 각각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층 (223)은 화소정의막 (222)에 의해 정의되는 발광영역인 개구부 (제1 전극(221)이 노출되는 영역; 240)를 덮도록 형성되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224)은 유기발광층 (223)을 포함하는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210)는 상기 제1 전극 (2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채널 영역을 제공하는 반도체층 (204), 게이트 절연막 (203)에 의해 반도체층 (204)과 절연되는 게이트 전극 (202), 그리고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의 반도체층 (204)과 연결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 (20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 (202)의 하부에는 버퍼층 (201)이 구비되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205)의 상부에는 평탄화 절연층 (206)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 (230)는 화소정의막 (222) 상에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 (240) 외측에 인접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230)는 유기물을 선택적으로 증착하기 위한 마스크(도시안됨) 또는 제2 기판 (300)과 제1 기판 (100)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트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제2 기판 (300)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소정의막 (222)에 인접한 부분인 하부측 폭 (T1)이 상부측 폭 (T2)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스페이서 (230)의 상부, 예컨대 상기 스페이서 (230)와 상기 제2 기판 (300)이 대면하는 부분이 라운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제1 기판 (100)에 수직한 단면적이 반구형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230)에서 상기 화소정의막 (222)과 인접한 부분인 하부측 폭 (T1)을 상부측 폭 (T2)보다 더 넓게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기판 (300)이 하부로 쳐졌을 때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제2 기판 (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230) 상에는 제2 전극 (224) 및 보호막 (250)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기판 (300)이 상기 보호막 (250)과 접촉하는 경우에 상기 제2 기판 (300)과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상기 제2 기판 (300)에 전사되는 얼룩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 (230)의 상부를 라운드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기판 (300)과의 접촉면적으로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며 동시에 상기 제2 기판 (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스페이서 (230) 상에 순차적으로, 제2 전극 (224), 보호막 (250) 및 제2 기판 (3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2 기판 (300)은 봉지기판으로, 내부의 소자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외부 충격에 대한 불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볼드롭 테스트 (Ball Drop TEST)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볼드롭 테스트는 제 스틸볼 (Steel Ball, 43.75g, 직경 22mm)을 이용하여 제2 기판 (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2 기판 (300) 측으로 소정 지점으로 낙하시켜 상기 제2 기판 (300)의 크랙 또는 처짐 등을 확인하는 테스트이다. 이는 표시장치 특성상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충격을 모사한 테스트로, 상기 볼드롭 테스트 시 상기 제2 기판 (300)은 하부측으로 처져 보호막 (25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막 (230)은 예컨대,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보호막 (230)의 일부는 상기 제2 기판 (300)에 전사되어 얼룩으로 남을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 (300)에 전사된 얼룩은 상기 제2 기판 (300)을 통과하는 빛을 가로막을 수 있다.
통상, 상기 제2 기판이 처져 상기 보호막 접촉하는 경우,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보호막을 가압하면서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제2 기판에 전사되는 얼룩은 상기 보호막 상부의 형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기판이 원상태로 복귀된 후에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된 얼룩은 개구부, 즉 발광영역을 가리게 되며, 상기 얼룩에 의하여 가려진 부분은 투과도 차이에 의한 휘도 차이가 발생하여 얼룩으로 시현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2 기판 (300)이 상기 보호막 (250)과 접촉하여 얼룩이 전사되는 경우에도, 상기 발광영역인 개구부 (240)를 가리지 않는 형태로 디자인된 스페이서 (230) 및 개구부 (240)의 형성을 갖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스페이서 (230)가 갖는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동시에 상기 개구부 (240)의 면적을 증가시켜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막 (250)과 제2 기판 (300)이 서로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보호막 (250) 하부에 구비된 스페이서 (230)에 의하여 좌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 (240)의 크기는 발광효율과도 관련되므로, 상기 개구부 (240)의 크기를 최대화하면서, 상기 스페이서 (230)의 상부형태에 의하여 상기 제2 기판 (300)에 전사되는 보호막 (250)에 의한 얼룩이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구부 (240)는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을 커지는 아령형태 또는 리본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개구부 (240)에서 가장 좁은 폭으로 구비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구부 (240)는 가장 좁은 폭 (S3)으로 구비되는 제1 부분 (241)과, 상기 제1 부분 (241)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제2 및 제3 부분 (242, 2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 (241)에서 제2 부분 (242)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부분 (241)에서 제3 부분 (243)의 끝단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구비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부분 (242)에서 가장 넓은 폭 (S2)은 상기 제3 부분 (243)에서 가장 넓은 폭 (S3)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개구부 (240)의 제1 부분 (241)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 (240)는 상기 제1 부분 (241)이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 및 제 3 부분 (242, 243)은 서로 대칭이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개구부 (240)에서 가장 좁은 폭으로 구비되는 제1 부분 (241)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페이서 (230)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개구부 (240)의 제1 부분 (241)의 단면의 형상과 서로 상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개구부 (240)에 이격되되, 상기 개구부 (240)의 가장 좁은 폭인 제1 부분 (241)에 인접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 (230)에 의한 상기 보호막 (250)에 의하여 제2 기판 (300)으로 전사되는 얼룩은 상기 개구부 (240)인 발광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따라서 휘도 등 균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 (240)의 제1 부분 (241)에 대응하도록 구비시킴으로써 발광효율은 동일 또는 그보다 좋게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2 기판 (300)에 전사된 얼룩에 의한 개구부 (240)의 빛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230)의 끝단은 라운드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2 기판 (300)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얼룩의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개구부 (240)와 스페이서 (230)와의 이격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제2 기판 (300) 상이 전사되는 얼룩에 의한 상기 개구부 (240)의 가림효과를 방지할 수 있을 지 몰라도, 상기 개구부 (240)의 면적은 발광효율과 관련되는 것이므로 상기 개구부 (240)와 스페이서 (230)를 이격시킴으로써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발광효율을 전체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발광효율을 동일 또는 그보다 좋게 유지하면서, 상기 제2 기판 (300)에 전사되는 얼룩과 개구부 (240)가 중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개구부 (240)의 제1 부분 (241)의 폭 (S1)은 제2 부분 (242) 또는 제3 부분 (243)의 가장 넓은 폭 (S2, S3)에 대하여 20% 내지 60%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분 (241)의 폭 (S1)은 제2 부분 (242) 또는 제3 부분 (243)의 가장 넓은 폭 (S2, S3)에 대하여 20% 미만인 경우에는 발광효율이 감소하거나 또는 상기 개구부 (240)에 가해지는 전류에 의한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 (241)의 폭 (S1)은 제2 부분 (242) 또는 제3 부분 (243)의 가장 넓은 폭 (S2, S3)에 대하여 60%를 초과하면, 상기 스페이서 (230)가 상기 제1 부분 (241)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스페이서 (230)에 의하여 제2 기판 (300)으로 전사된 얼룩은 상기 제2 부분 (242) 또는 제3 부분 (243)과 중첩될 수 있고, 따라서 부분적으로 투과도 차이가 생겨서 휘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230)는 발광영역인 개구부 (240)의 외측으로 도트형태로 배열되되 상부가 라운드되고, 상기 상부에서 하부로 더 넓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 (240)에만 유기물을 선택적으로 증착하기 위한 마스크가 도트 형태로 배열된 스페이서 (23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유기발광층이 정확한 패턴(형태)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 (230)는 제2 기판 (300)과 점접촉을 이루며 제1 기판 (100)과 제2 기판 (3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제2 기판 (300)과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어 얼룩으로 인한 외관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화소정의막 (222)과 구별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화소정의막의 개구부 (240)를 패터닝하는 것과 유시하게, 상기 스페이서 (230)도 상기 화소정의막 (222)의 일부를 패터닝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230)는 상기 화소정의막 (22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개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230a)의 형상으로 상기 스페잇서 (230a)는 개구부 (240)의 가장 좁은 폭으로 구비되는 부분은 제1 부분 (241)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분 (241)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판 (100)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 (230, 230a)의 단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및 개구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a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판 (100) 상에는 상기 제1 전극 (221)을 노출시키도록 개구부 (240)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222)이 구비되고, 유기발광층 (223)은 상기 개구부 (240)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 (240)의 외측에는 스페이서 (233)가 구비되어 상기 제1 기판 (100)에 대향하는 봉지기판인 제2 기판 (30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233)는 상기 화소정의막 (222)에 인접하는 지지부 (231)과 상기 지지부 (231)에서 상기 제2 기판 (300)을 향하여 돌출되는 접촉부 (2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 (231)와 상기 접촉부 (232)는 서로 다른 두께로 구비될 수 있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 (231)는 상기 화소정의막 (222)을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 (231)는 별도의 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 (231)와 상기 접촉부 (232)를 서로 연속하는 형상이 아닌 별도의 형상으로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스페이서 (233)를 형성하는 공정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231)는 더 넓은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 기판 (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접촉부 (232)를 더 얇게 구비시킴으로써 제2 기판 (300)에 형성되는 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기판 110: 화소 영역
120: 비화소 영역 130: 주사 라인
140: 데이터 라인 150: 주사 구동부
160: 데이터 구동부 170: 패드
201: 버퍼층 202: 게이트 전극
203: 게이트 절연막 204: 반도체층
205: 소스 및 드레인 전극 206: 평탄화 절연층
210: 박막 트랜지스터 220: 유기전계발광 소자
221: 애노드 전극 222: 화소 정의막
223: 유기 발광층 224: 캐소드 전극
230, 233: 스페이서 240: 개구부
300: 제2 기판 310: 밀봉재

Claims (14)

  1.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며, 발광영역의 제1 전극이 노출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화소정의막;
    상기 노출된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발광층;
    상기 화소정의막 상에 형성된 스페이서; 및
    상기 유기발광층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상부에 형성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스페이서와 인접한 부분의 폭이 다른 부분보다 좁게 형성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화소정의막에 인접한 부분인 하부측 폭이 상부측 폭보다 넓은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의 상부가 라운드되도록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1 기판에 수직한 단면적이 반구형 또는 사다리꼴형으로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 상에 상기 스페이서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막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가장 좁은 폭으로 구비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의 일단 및 타단에서 각각 폭이 점차 증가하도록 구비되는 제2 및 제3 부분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서 제2 부분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1 부분에서 제3 부분의 끝단까지의 거리와 같도록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에서 가장 넓은 폭은 상기 제3 부분에서 가장 넓은 폭과 동일하게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제1 부분의 폭은 제2 부분 또는 제3 부분의 가장 넓은 폭에 대하여 20% 내지 60%로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개구부의 제1 부분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단면의 형상은 상기 개구부의 제1 부분의 단면의 형상과 서로 상보적으로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의 단면은 원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구비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에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제1 기판과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제2 기판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30121657A 2013-10-14 2013-10-14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14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657A KR102142671B1 (ko) 2013-10-14 2013-10-14 유기전계발광소자
US14/512,234 US9478767B2 (en) 2013-10-14 2014-10-1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657A KR102142671B1 (ko) 2013-10-14 2013-10-14 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08A true KR20150042908A (ko) 2015-04-22
KR102142671B1 KR102142671B1 (ko) 2020-08-10

Family

ID=5300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657A KR102142671B1 (ko) 2013-10-14 2013-10-14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78767B2 (ko)
KR (1) KR102142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3460A (zh) * 2021-04-09 2021-07-1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054B1 (ko) * 2015-11-13 2023-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CN107425045A (zh) * 2017-09-18 2017-1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器件和阵列基板的制造方法
CN107871775B (zh) * 2017-10-27 2020-08-2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显示装置
KR20210094190A (ko) * 2020-01-20 2021-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15241166A (zh) * 2021-04-22 2022-10-2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422A (ja) * 2002-03-14 2003-09-25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による材料の配置方法、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00070023A (ko) * 2008-12-17 2010-06-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93221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JP2011029195A (ja) * 2003-11-27 2011-02-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半導体装置、電気光学装置用基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110080051A (ko) * 2010-01-04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10081695A (ko) * 2010-01-08 2011-07-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101B1 (ko) * 2007-08-08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12252834A (ja) 2011-06-01 2012-12-20 Canon Inc 表示装置
KR101427593B1 (ko) 2013-04-26 2014-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422A (ja) * 2002-03-14 2003-09-25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による材料の配置方法、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1029195A (ja) * 2003-11-27 2011-02-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半導体装置、電気光学装置用基板、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100070023A (ko) * 2008-12-17 2010-06-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93221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KR20110080051A (ko) * 2010-01-04 2011-07-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10081695A (ko) * 2010-01-08 2011-07-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13460A (zh) * 2021-04-09 2021-07-1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113460B (zh) * 2021-04-09 2022-08-3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23102A1 (en) 2015-05-07
US9478767B2 (en) 2016-10-25
KR102142671B1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1100B2 (en) Display device
US7538488B2 (en) Flat panel display
US8044582B2 (en) Organic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moisture propagation preventing means
US10263212B2 (en) OLED device with auxiliary electrode connected to cathode
CN109004010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100669710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52352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225702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4133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6103395A (ja) 表示装置
US20070205719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42671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56877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1007144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595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22117B1 (ko) 초고 해상도를 갖는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80014380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US2015001463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reduced power consumption
KR102476562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978779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6561B1 (ko)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293507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박막 증착용 마스크
KR100771607B1 (ko) 유기 el 디스플레이
KR20160060832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10071646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