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035A -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035A
KR20150042035A KR20130120756A KR20130120756A KR20150042035A KR 20150042035 A KR20150042035 A KR 20150042035A KR 20130120756 A KR20130120756 A KR 20130120756A KR 20130120756 A KR20130120756 A KR 20130120756A KR 20150042035 A KR20150042035 A KR 20150042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mbustion
unit
heat exchan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535B1 (ko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김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환 filed Critical 김일환
Priority to KR102013012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5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8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 F23B80/04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ans creating a distinct flow path for flue gases or for non-combusted gases given off by the fuel by means for guiding the flow of flue gases, e.g.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7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목이 연소하는 연소실과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실을 별도로 분리하여 온수에 의한 난방과 열풍에 의한 난방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며 연소실에 가득 적재된 화목이 하부에서 연소되므로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고 열효율이 향상되어 난방면적에 따라 연소실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는 화목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유닛과, 연소유닛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유닛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난방유체를 가열하는 열교환유닛과, 열교환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열교환유닛으로 유입시키는 흡기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Wood combustor for heating}
본 발명은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목이 연소하는 연소실과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실을 별도로 분리하여 온수에 의한 난방과 열풍에 의한 난방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며 연소실에 가득 적재된 화목이 하부에서 연소되므로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고 열효율이 향상되어 난방면적에 따라 연소실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는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각종 보일러는 버너 등에서 점화분사된 열원(즉 화염)이 수직으로 직상승하면서 연소실 상에 설치된 수실, 또는 스파이럴 상으로 구성된 수관 등을 통하여 연소열이 갖는 열에너지를 수실내의 물에 전열하여 난방 및 온수공급 등을 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화석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의 경우 연료의 비용이 비싸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대체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농어촌이나 도심 변두리의 일부 주택에서 겨울철 난방비를 절감하고자 나무나 또는 폐목재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화목 보일러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화목 보일러는 농어촌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와 폐목재 등을 연료로 사용하므로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 및 전기보일러에 비하여 연료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설비 및 유지관리비 또한 저렴하여 최근 보급율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종래 나무나 또는 폐목재 등의 인화성 물질을 주연료로 사용하는 화목 보일러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1323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화목 보일러는 내부에 연소실이 구비된 제1벽과, 제1벽의 외측으로 제1벽과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 제2벽으로 이루어진 몸체로 이루어지되, 제2벽으로는 난방수유입구와 난방수유출구가 설치되어 제1벽과 제2벽 사이로 난방수가 순환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화목보일러는 연소열이 수직으로 상승하여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무나 폐목재 등의 연료를 주기적으로 투입해야 불씨가 꺼지지 않으므로 보일러의 관리와 사용이 어렵다. 또한, 상기 화목보일러는 연소실의 벽체에 난방수가 순환하는 구조이므로 온수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화목이 연소하는 연소실과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실을 별도로 분리하여 온수에 의한 난방과 열풍에 의한 난방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시간 난방이 가능하며 열효율이 우수한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는 화목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유닛과; 상기 연소유닛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유닛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난방유체를 가열하는 열교환유닛과; 상기 열교환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열교환유닛으로 유입시키는 흡기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소유닛은 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목이 수용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화목을 연소시키며 상기 흡기유닛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실의 하부로 주입하는 화격자와, 상기 화격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화격자의 상하를 관통하는 화구와 연결되는 화염실과, 상기 화염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재를 포집하는 재받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격자는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는 화목을 지지하며 공기가 상기 연소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측벽에 다수의 공기유통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방유체로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저장통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실과, 상기 저장통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유닛과 연통되는 상부공간실과, 상기 하부공간실을 제 1실과 제 2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하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격벽과, 상기 상부공간실을 제 3실과 제 4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상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격벽의 위치와 어긋나게 형성된 제 2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 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패널과, 상부가 상기 제 1패널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 2패널에 연결되는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제 2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실과, 상기 제 1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유닛과 연통되는 상부공간실과, 상기 하부공간실을 제 1실과 제 2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하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격벽과, 상기 상부공간실을 제 3실과 제 4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상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격벽의 위치와 어긋나게 형성된 제 2격벽과, 상기 제 1패널과 제 2패널 사이로 상기 난방유체인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화목이 연소하는 연소유닛과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유닛을 별도로 분리하여 온수에 의한 난방과 열풍에 의한 난방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실의 하부에서만 연소가 진행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소실에 가득 적재된 화목이 자중에 의해 차례로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연소된다. 따라서 수시로 화목을 투입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한번의 화목 적재로 장시간의 난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흡기유닛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열교환유닛으로 유입된 열이 지그재그로 유동함으로써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목 연소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연소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적용된 열교환유닛을 나타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목 연소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본 발명은 크게 연소유닛(10)과, 열교환유닛(40)과, 흡기유닛(80)을 구비한다.
연소유닛(10)은 화목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킨다. 연소유닛은 통형의 본체(11)와, 본체의 내부 상부측에 마련된 연소실(13)과, 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는 화격자(20)와, 화격자(20)의 하부에 마련되는 화염실(30)과, 화염실(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재를 포집하는 재받이(35)를 구비한다.
본체(11)는 직육면체 형상의 통 구조를 갖는다. 본체(11)의 내부에는 연소실(13)과, 화염실(30), 화격자(20), 재받이(35)가 구비된다.
화격자(20)를 중심으로 화격자의 상부에 연소실(13)이 마련되고, 화격자(20)의 하부에 화염실(30)이 마련된다.
연소실(13)에는 한번에 많은 양의 화목(5)이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화격자(20) 위에 놓인 화목(5)에 불씨를 점화시키면 연소실(13)의 하부에 놓인 화목이 연소된다. 하부에 놓인 화목이 연소되면 그 위에 놓인 화목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연소한다. 따라서 한번에 많은 양의 화목(13)을 수용실(13)에 적재하면 장시간 동안 연소가 가능하다. 연소실(13)은 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상부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화격자(20)는 연소실(13)의 하부에 설치된다. 화격자(20)의 중앙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화구(27)가 형성된다. 화격자(20)는 흡기유닛(80)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연소실(13)의 하부로 주입시킨다. 연소실(13)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화구(27)를 통해 화염실(30)로 이동한다.
화격자(20)는 본체(11)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베이스패널(25)과, 베이스패널(25)과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연소실에 수용되는 화목을 지지하는 지지부(21)를 구비한다. 지지부(21)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 구조로 형성된다. 지지부(21)의 측벽에는 공기가 연소실(13)로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유통홀(23)이 형성된다.
베이스패널(25)과 지지부(21)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실(22)이 마련된다. 화격자(20)의 전면에는 공기유입구(24)가 마련된다.
흡기유닛(80)이 작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24)를 통해 유입실(22)로 유입된다. 유입실(22)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통홀(23)을 통해 연소실(13) 하부로 유입된다. 연소실(13) 하부로 유입된 공기는 화구(27)를 통해 화염실(30)로 향한다. 연소실(13)의 하부에서 화목이 연소되면서 발생된 연소가스는 화구(27)를 통해 화염실(30)로 이동하면서 화염을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된 연소열은 연결관(90)을 통해 열교환 유닛(40)으로 유입된다.
화염실(30)은 본체(11)의 전면에 설치된 중간도어(31)에 의해 개폐된다. 중간도어(31)에는 화격자(20)에 형성된 공기유입구(24)와 대응되는 관통홀(33)이 형성되어 있다.
화염실(30)의 하부에는 재를 포집하는 재받이(35)가 설치된다. 재받이(35)가 설치되는 공간은 하부도어(37)에 의해 개폐된다.
열교환유닛(40)은 연소유닛(10)과 연결관(90)으로 연결된다. 연결관(90)은 연소유닛의 본체(11)에 연결된 제 1관(91)과, 열교환유닛의 하우징(41)에 연결된 제 2관(93)으로 이루어진다. 제 1관(91)과 제 2관(93)의 단부에는 플랜지(95)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호 결합한다.
이와 같이 연소유닛(10)과 열교환유닛(40)은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관(90)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열교환유닛(40)의 분리 및 결합이 자유롭다.
열교환유닛(40)은 연소유닛(10)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유체를 가열한다. 연소유닛(10)으로부터 발생된 열은 흡기유닛(80)에 의해 연결관(90)을 통해 열교환유닛(40)의 내부로 유입된다. 난방유체는 물 또는 공기를 의미한다. 도시된 예에서 난방유체로 물을 이용한다.
도시된 열교환유닛(40)은 하우징(41)과,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장통(45)과, 저장통(45)에 설치되는 다수의 열교환파이프(50)와, 저장통(45)과 하우징(41)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하부공간실과, 저장통(45)과 하우징(4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상부공간실과, 하부공간실을 제 1실(61)과 제 2실(63)로 구획하는 제 1격벽(70)과, 상부공간실을 제 3실(65)과 제 4실(67)로 구획하는 제 2격벽(75)을 구비한다.
하우징(41)은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의 통 구조를 갖는다. 하우징(41)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된 저장통(45)이 설치된다. 저장통(45)의 전후좌우 사방 측면은 하우징(41)의 내측면에 각각 접속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저장통(45)과 하우징(41)의 상면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저장통(45)과 하우징(41)의 저면 역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저장통(45)과 하우징(41)의 저면 사이에는 하부공간실이 형성되고, 저장통(45)과 하우징(41)의 상면 사이에는 상부공간실이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우징(41)의 상부와 하부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도어를 개방하여 하우징(41)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저장통(45)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47)이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저장통(45)에서 가열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배출관(49)이 하우징(41)의 측면에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온수배출관(49)은 난방배관과 연결된다.
저장통(45)에는 다수의 열교환파이프(50)가 설치된다. 열교환파이프(50)는 저장통(45)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연소유닛(10)에서 발생된 열은 열교환파이프(50)를 통과하면서 저장통(45)에 저장된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하부공간실에는 제 1격벽(70)이 형성된다. 제 1격벽(70)은 하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하부공간실을 제 1실(61)과 제 2실(63)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부공간실에는 제 2격벽(75)이 형성된다. 제 2격벽(75)은 상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부공간실을 제 3실(65)과 제 4실(67)로 구획한다.
제 1격벽(70)과 제 2격벽(75)은 어긋나게 형성된다. 즉, 제 1격벽(70)과 제 2격벽(75)을 수직방향으로 연장하였을 때 서로 만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41)의 좌우 폭이 1m일 때, 제 1격벽(70)은 하우징(41)의 우측면에서 30~40cm 위치에 형성되고, 제 2격벽(75)은 하우징(41)의 우측면에서 60~70cm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41)의 우측면은 연결관(90)과 만나는 하우징의 측면이다.
제 1실(61)은 연결관(90)과 연통된다. 따라서 연소유닛(10)에서 발생한 열은 연결관(90)을 통해 제 1실(61)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1실(61)로 유입된 열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저장통(45)의 우측부분에 설치된 열교환파이프(50)를 통과하여 제 3실(65)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3실(65)로 유입된 열은 하향류를 형성하면서 저장통(45)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열교환파이프를 통과하여 제 2실(63)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2실(63)로 유입된 열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저장통(45)의 좌측부분에 설치된 열교환파이프를 통과하여 제 4실(67)로 유입된다. 제 4실(67)로 유입된 열은 하우징(41)의 상부에 설치된 흡기유닛(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흡기유닛(80)은 열교환유닛에 설치되어 열교환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한다. 따라서 연소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열교환유닛으로 유입된다.
흡기유닛(80)은 하우징(41) 상부에 설치되며 흡입구가 제 4실(67)과 연통되는 케이싱(81)과, 케이싱(81) 내부에 설치된 팬(미도시)과,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83)와, 케이싱(81)의 토출구에 연결되는 배기관(85)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흡기유닛(85)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연소유닛(10)에서 발생된 열을 열교환유닛(40)으로 유입시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함께 열교환유닛(40) 내부로 유입된 열은 제 1 및 제 2격벽(70)(75)에 의해 지그재그로 유동하면서 열교환파이프(50)를 통과한다. 따라서 열의 체류시간을 증대시켜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난방용 화목 연소장치는 공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온풍을 공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는 연소유닛(10)과, 열교환유닛(100)과, 흡기유닛(80)으로 구비된다.
연소유닛(10)과 흡기유닛(80)은 상술한 도 1의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열교환유닛(100)은 하우징(101)과, 하우징(101)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패널(105)(107)과, 상부가 제 1패널(105)에 연결되고 하부가 제 2패널(107)에 연결되는 열교환파이프(110)와, 제 2패널(107)과 하우징(101)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공간실과, 제 1패널(105)과 하우징(101)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공간실과, 하부공간실을 제 1실(121)과 제 2실(123)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하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격벽(115)과, 상부공간실을 제 3실(125)과 제 4실(127)로 구획하기 위해 상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 2격벽(117)과, 제 1패널(105)과 제 2패널(107) 사이로 난방유체인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130)를 구비한다.
하우징(101)은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의 통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제 1패널(105)과 제 2패널(107)이 설치된다. 제 1패널(105)과 제 2패널(107)은 하우징(101)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즉, 하우징(101)의 상부측에는 제 1패널(105)이 수평하게 설치되고, 하우징(101)의 하부측에는 제 2패널(105)이 수평하게 설치된다.
제 1패널(105)과 하우징(101)의 상면은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 1패널(105)과 하우징(101) 상면 사이에는 상부공간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패널(107)과 하우징(101)의 저면은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 2패널(107)과 하우징(101) 저면 사이에는 하부공간실이 형성된다.
제 1패널(105)과 제 2패널(107) 사이에는 다수의 열교환파이프(110)가 설치된다. 열교환파이프(110)의 상부는 제 1패널(105)에 연결되고 하부는 제 2패널(107)에 연결된다. 연소유닛(100)에서 발생된 열은 열교환파이프(110)를 통과하면서 제 1패널(105)과 제 2패널(107)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하부공간실에는 제 1격벽(115)이 형성된다. 제 1격벽(115)은 하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하부공간실을 제 1실(121)과 제 2실(123)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부공간실에는 제 2격벽(117)이 형성된다. 제 2격벽(117)은 상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상부공간실을 제 3실(125)과 제 4실(127)로 구획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제 1격벽(125)과 제 2격벽(127)은 어긋나게 형성된다. 즉, 제 1격벽(125)과 제 2격벽(127)을 수직으로 연장하였을 때 서로 만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다.
제 1실(121)은 연결관과 연통된다. 따라서 연소유닛(10)에서 발생한 열은 연결관(90)을 통해 제 1실(121)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1실(121)로 유입된 열은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제 1 및 제 2패널(105)(107)의 우측부분에 설치된 열교환파이프(110)를 통과하여 제 3실(125)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3실(125)로 유입된 열은 하향류를 형성하면서 제 1 및 제 2패널(105)(107)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열교환파이프를 통과하여 제 2실(123)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2실(123)로 유입된 열을 상향류를 형성하면서 제 1 및 제 2패널(105)(107)의 좌측부분에 설치된 열교환파이프를 통과하여 제 4실(127)로 유입된다. 제 4실(127)로 유입된 열은 하우징(101)의 상부에 설치된 흡기유닛(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송풍기(130)는 하우징(101)의 측면에 설치된다. 송풍기의 팬(135)은 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면서 제 1패널(105)과 제 2패널(107) 사이로 공기를 공급한다. 제 1패널(107)과 제 2패널(107)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는 온풍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관(90)에 도 1의 열교환유닛(40)이나 도 5의 열교환유닛(100)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온수나 온풍을 이용하여 난방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연소유닛 11: 본체
13: 연소실 20: 화격자
30: 화염실 40: 열교환유닛
41: 하우징 45: 저장통
50: 열교환파이프 61: 제 1실
63: 제 2실 65: 제 3실
67: 제 4실 70: 제 1격벽
75: 제 2격벽 80: 흡기유닛

Claims (5)

  1. 화목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유닛과;
    상기 연소유닛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연소유닛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난방유체를 가열하는 열교환유닛과;
    상기 열교환유닛에 설치되며 상기 열교환유닛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소유닛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상기 열교환유닛으로 유입시키는 흡기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유닛은 통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상부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목이 수용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화목을 연소시키며 상기 흡기유닛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연소실의 하부로 주입하는 화격자와, 상기 화격자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화격자의 상하를 관통하는 화구와 연결되는 화염실과, 상기 화염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재를 포집하는 재받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격자는 상기 본체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과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소실에 수용되는 화목을 지지하며 공기가 상기 연소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측벽에 다수의 공기유통홀이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방유체로 물이 저장되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의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저장통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실과, 상기 저장통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유닛과 연통되는 상부공간실과, 상기 하부공간실을 제 1실과 제 2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하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격벽과, 상기 상부공간실을 제 3실과 제 4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상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격벽의 위치와 어긋나게 형성된 제 2격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유닛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및 제 2패널과, 상부가 상기 제 1패널에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제 2패널에 연결되는 열교환파이프와, 상기 제 2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하부공간실과, 상기 제 1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유닛과 연통되는 상부공간실과, 상기 하부공간실을 제 1실과 제 2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하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된 제 1격벽과, 상기 상부공간실을 제 3실과 제 4실로 구획하기 위해 상기 상부공간실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1격벽의 위치와 어긋나게 형성된 제 2격벽과, 상기 제 1패널과 제 2패널 사이로 상기 난방유체인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KR1020130120756A 2013-10-10 2013-10-10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KR10154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56A KR101541535B1 (ko) 2013-10-10 2013-10-10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756A KR101541535B1 (ko) 2013-10-10 2013-10-10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035A true KR20150042035A (ko) 2015-04-20
KR101541535B1 KR101541535B1 (ko) 2015-08-03

Family

ID=5303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756A KR101541535B1 (ko) 2013-10-10 2013-10-10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5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2761A (zh) * 2015-10-09 2015-12-30 无锡市久川机械设备有限公司 间接链排式秸秆热风炉的螺旋散热翅片式热管组装置
GB2551106A (en) * 2016-04-26 2017-12-13 Elliott Brian Solid fuel burner
WO202208055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창화에너지 연소기 및 연관식 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204B1 (ko) 2015-12-03 2017-08-16 전행곤 펠릿 보일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88Y1 (ko) * 2001-09-24 2002-01-09 길기근 코크스 보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2761A (zh) * 2015-10-09 2015-12-30 无锡市久川机械设备有限公司 间接链排式秸秆热风炉的螺旋散热翅片式热管组装置
GB2551106A (en) * 2016-04-26 2017-12-13 Elliott Brian Solid fuel burner
GB2551106B (en) * 2016-04-26 2019-07-31 Elliott Brian Solid fuel burner
WO2022080552A1 (ko) * 2020-10-13 2022-04-21 (주)창화에너지 연소기 및 연관식 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535B1 (ko) 201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535B1 (ko) 난방용 화목 가스화 보일러 연소장치
KR101026937B1 (ko) 하이브리드 타입 보일러
KR100679316B1 (ko) 화목 보일러
KR20120105106A (ko) 횡형 다목적 보일러
KR100808783B1 (ko) 화목보일러
KR100846142B1 (ko) 화목보일러
KR101709583B1 (ko) 다목적 화목 난로
RU85609U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RU2661516C2 (ru)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газогенераторный котёл
KR100891187B1 (ko) 고체연료 겸용 화목보일러
KR20090115617A (ko) 목재 칩 연료를 이용한 보일러
KR101192840B1 (ko) 보일러 기능을 겸한 벽난로
KR101958087B1 (ko) 수평형 노통연관식 화목스팀보일러
KR100808784B1 (ko) 화목보일러
KR200379084Y1 (ko) 화목 보일러
KR101325663B1 (ko) 화목보일러용 연소구
KR20100006637U (ko) 다목적 하향식 화목연소장치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100808778B1 (ko) 화목보일러
KR200388639Y1 (ko) 거꾸로 타는 숯가마 나무 보일러
KR100808780B1 (ko) 화목보일러
KR20060015344A (ko) 화목보일러
KR20200009507A (ko) 온수 및 온열 사용이 가능한 화목보일러
KR20090016845A (ko) 화목 보일러용 숯 제조장치
KR20120110778A (ko) 다기능을 보유한 효율향상 펠릿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