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951A - 수중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중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951A
KR20150041951A KR20130120552A KR20130120552A KR20150041951A KR 20150041951 A KR20150041951 A KR 20150041951A KR 20130120552 A KR20130120552 A KR 20130120552A KR 20130120552 A KR20130120552 A KR 20130120552A KR 20150041951 A KR20150041951 A KR 20150041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rotective film
water
photograph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908B1 (ko
Inventor
김세훈
송윤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90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16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for photographing the track of moving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F16M11/425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along gui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수중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촬영장치는 물이 채워진 구조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물에서 이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구조물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레일 위에서 피사체를 따라 이동하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유닛; 및 이동유닛 위쪽에 설치되어 레일을 커버하는 보호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PHOTOGRAPHING DEVICE IN WATER AND SYSTEM FOR PHOTOGRAPHING MODEL SHIP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형선 촬영시스템은 예인전차(towing carriage)를 이용하여 수조에서 모형선을 이동시키면서 모형선에 작용하는 유체역학적인 힘을 측정하거나, 모형선 주위의 유동현상 등을 관찰 및 계측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컨대, 선체에 작용하는 저항, 선수 부위의 파도 형상이나 선미 부위의 수류 등이 관측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5224호(2011.10.21 공개)(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모형선의 바로 아래에 수중 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가 모형선과 함께 이동하면서 촬영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선행기술은 수중에서 모형선과 카메라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교란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어려우며, 이는 모형선 테스트의 정밀한 계측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5224호(2011.10.21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동교란을 차단하여 모형선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수중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채워진 구조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물에서 이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 위에서 상기 피사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커버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단에 래크기어를 마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카메라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형태의 구동휠과, 상기 레일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레일의 측면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서로 결합 및 결합해제가 가능한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에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오목부 내측의 관통홀에 양단부가 걸쳐지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
Figure pat00001
’ 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 내측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재의 외면이 상기 오목부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에 비해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레일을 지지하며, 볼트 조임에 의해 상기 바닥면에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는 레일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의 상부 형상이 평면으로 마련되고, 그 좌우측면이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양측 단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서로 결합 및 결합해제가 가능한 제1보호막 및 제2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막은 상기 제2보호막과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주변부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호막은 상기 제1보호막과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주변부에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조; 몸체에 형성된 개구부 내측에 모형선을 장착하고, 상기 수조에 채워진 물에 상기 모형선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수조의 양측에 마련된 전차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예인전차; 및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예인전차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형선의 선저면을 촬영하기 위한 상술한 수중촬영장치;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예인전차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유닛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중촬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은 유동교란을 차단하여 모형선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또, 수중촬영장치의 설치 및 설치해제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이동프레임이 레일의 측면 홈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휠이 레일의 래크기어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물결파, 수압 등의 외력으로부터 물속에서 이동유닛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레일 및 보호막이 복수 개로 마련되고, 기계적인 결합으로 설치 및 설치해제가 용이하여 레일 및 보호막이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수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 보호막 상부가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카메라를 이용하여 모형선의 선저부를 촬영할 때 영상이 왜곡되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조 바닥면에 수중촬영장치가 설치된 모형선 촬영시스템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중촬영장치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상기 도 2의 수중촬영장치에 포함된 레일 및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이동유닛을 각각 사시도와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복수의 레일이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이동유닛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이동유닛 위쪽에 설치되어 레일을 커버하는 보호막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서로 결합되는 형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형선 촬영시스템은 몸체(110)에 형성된 개구부 내측에 모형선(101)을 장착하고, 수조(10)에 채워진 물에 모형선(101)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수조(10)의 양측 측벽에 마련된 전차레일(미도시)을 따라 이동하는 예인전차(100)와, 수조(10)의 바닥면(12)에 설치되어 모형선(101)의 선저면을 촬영하기 위한 수중촬영장치(200)를 포함한다. 예인전차(100)는 몸체(110)를 이동시키는 구동휠(120)과, 몸체(110) 상부에 마련되며, 각종 제어,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처리 및 저장 등을 위한 제어장치(미도시)와, 모형선(101) 장착을 위한 지지프레임(130) 및 각종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예인전차(100)는 예컨대, Ward-Leonard 방법, Thyrister-Leonard 방법 등의 속도 제어방법에 의해 일정 속도로 모형선(101)을 장착한 채로 레일 위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와 도 2를 참조하면, 수중촬영장치(200)는 수조(10)의 내측 바닥면(12)에 설치된 레일(210)과, 해당 레일(210) 위에서 예인전차(100)를 따라 이동하면서 모형선(101)을 촬영하는 이동유닛(220)과, 이동유닛(220) 위쪽에 설치되어 레일(210)을 커버하는 보호막(230)을 포함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레일(210)은 단면 형상이 ‘
Figure pat00002
’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레일(210)의 상단에는 래크기어(213)가 마련되어 후술될 피니언기어 형태의 구동휠(223)과 맞물릴 수 있다. 레일(210)의 측면에는 홈(H1)이 마련되어 후술할 이동프레임(22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210)은 단일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레일(210)은 두 개 이상이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된 이중레일로 마련될 수 있다. 레일(210)은 수조(10)의 내측 바닥면(12) 중앙라인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레일(210)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되어 레일(210)을 지지하는 레일지지부(218)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일지지부(218)는 수조(10)의 바닥면(12)에 볼트(B1) 조임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레일지지부(218)는 예컨대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레일지지부(218)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지지부(218)의 하단부(218a)를 볼트(B1)로 조여 수조(10)의 바닥면(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레일(210)이 설치되지 않은 수조(10)에도 간편하게 레일(210)을 설치할 수 있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레일(210)은 제1레일(210a)과 제2레일(210b)을 포함하며, 복수 개가 서로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일(210a)과 제2레일(210b)이 밀착된 상태에서, 제1레일(210a)과 제2레일(210b)에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오목부(214) 내측의 관통홀(H2)에 양단부(240a)가 걸쳐지는 형태로 삽입되어 제1레일(210a)과 제2레일(210b)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4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240)는 ‘
Figure pat00003
’ 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오목부(214) 내측의 관통홀(H2)에 양단부(240a)가 걸쳐지는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오목부(214)는 제1레일(210a)과 제2레일(210b)의 측면 홈(H1) 하단부위에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214)를 통해 관통홀(H2)에 양단부(240a)가 삽입된 결합부재(240)의 외면이 오목부(214)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부재(240)의 직경(D1)에 비해 오목부(214)의 깊이(D2)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레일(210a)과 제2레일(210b)이 결합된 이후, 결합부재(240)에 의한 간섭없이 이동유닛(220)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는 결합부재(240)의 양단부(240a)를 오목부(214) 내측의 관통홀(H2)에 위에서 아래 쪽으로 끼운 후, 결합부재(240)의 양단부(240a)에 너트(244)를 체결하여 제1레일(210a)과 제2레일(210b)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이동유닛(220)은 모형선(101)를 촬영하는 카메라(221)를 수납하는 수납부(225)와, 레일(210)의 래크기어(213)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형태의 구동휠(223)과, 수납부(225) 하단에 마련되며, 레일(210)을 감싸는 형태로 레일(210)의 측면 홈(H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222)과, 예인전차(100)의 이동속도에 따라 이동유닛(220)의 이동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50,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수납부(225)에 장착된 카메라(221)는 모형선(101)의 선저부를 관찰하도록 촬영하는 렌즈가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카메라(221)는 수중촬영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방수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휠(223)은 이동프레임(222) 내측에 장착되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레일(210)의 래크기어(213)에 맞물려 회전한다.
이동프레임(222)은 그 단부가 한번 이상 절곡 연장되어 레일(210)의 측면 홈(H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프레임(222)이 레일(210)의 측면 홈(H1)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휠(223)이 레일(210)의 래크기어(213)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이동유닛(220)의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동유닛(220)이 일정속도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물결파, 수압 등의 외력으로부터 물속에서 이동유닛(220)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동유닛(220)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되어 구동휠(223)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미도시)에 케이블(미도시)을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 다양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제어부(250)은 통신부(252) 및 속도조절부(254)를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수납부(225)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설치위치가 특정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52)는 예인전차(100)로부터 이동속도를 수신하거나, 원격지의 통제시스템(3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신호는 이동유닛(220)의 이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인전차(100)는 몸체(110) 상부에 각종 제어,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처리 및 저장 등을 위한 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장치(미도시)는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원격지의 통제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한 설정값을 기초로 예인전차(100)가 일정속도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예인전차(100)의 이동속도를 통신부(252)로 전달할 수 있다.
속도조절부(254)는 통신부(25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이동유닛(220)의 속도를 조절한다. 이때, 속도조절부(254)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휠(22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이동유닛(220)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2와 도 7을 참조하면, 보호막(230)은 카메라(221)가 촬영하는 방향의 상부 형상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측면이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마련된 수 있다. 보호막(230) 상부가 평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모형선(101)의 선저부를 촬영할 때 영상이 왜곡되게 촬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좌우측면이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물결의 유동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막(2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보호막(230a)과 제2보호막(230b)을 포함하며, 복수 개가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보호막(230a)은 제2보호막(230b)과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주변부에 결합홈(H3)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제2보호막(230b)은 제1보호막(230a)과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주변부에 결합홈(H3)에 결합되는 돌출부(231)를 형성할 수 있다.
보호막(230) 설치작업 시, 작업자는 제2보호막(230b)의 돌출부(231)를 제1보호막(230a)의 결합홈(H3)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보호막(2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막(230)이 여러 개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수조(10) 내에서 보호막(230)의 설치 및 설치해제가 용이하다.
또, 보호막(230)의 고정부(235)는 보호막(230)의 양측 단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조(10)의 바닥면(12)에 볼트(B2) 조임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보호막(230)의 고정부(235)는 다른 예로서 용접에 의해 수조(10)의 바닥면(1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보호막(230)은 반드시 밀폐된 형태로 제작될 필요는 없으며, 수조(10)의 바닥면(12)에 설치된 이후 보호막(230) 내측으로 물이 들어와도 관계없다. 이는, 모형선(101)과 이동유닛(220)의 움직임에 의해 유동교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막(230)이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유닛(220)의 카메라(221) 위쪽을 커버해 주면 되기 때문이다. 보호막(230)은 다른 예에서 단면 형상이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수중촬영장치(20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조(10)의 바닥면(12)에 레일(21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레일(210) 위에 이동유닛(22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레일(210)을 커버하도록 이동유닛(220) 위쪽에 보호막(23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수중촬영장치(200)를 설치한 이후, 수조(10) 내측으로 물을 채우고, 이동유닛(220)을 예인전차(100)의 이동속도에 따라 이동시키면서 모형선(101)의 선저부를 촬영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중촬영장치(200)가 예인전차(100)의 이동속도에 따라 이동하면서 모형선(101)의 선저부를 촬영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수중촬영장치(200)가 수영장에 설치되어 경기 중인 수영선수를 촬영할 때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특정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수조 100: 예인전차
101: 모형선 200: 수중촬영장치
210: 레일 220: 이동유닛
230: 보호막 240: 결합부재
250: 제어부

Claims (10)

  1. 물이 채워진 구조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물에서 이동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수중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 위에서 상기 피사체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 위쪽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을 커버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단에 래크기어를 마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카메라를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래크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형태의 구동휠과,
    상기 레일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레일의 측면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서로 결합 및 결합해제가 가능한 제1레일 및 제2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에 서로 이웃하게 형성된 오목부 내측의 관통홀에 양단부가 걸쳐지는 형태로 삽입되어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
    Figure pat00004
    ’ 자 형상으로 마련된 수중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내측의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결합부재의 외면이 상기 오목부 바깥쪽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에 비해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더 크게 형성된 수중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마련되어 상기 레일을 지지하며, 볼트 조임에 의해 상기 바닥면에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는 레일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의 상부 형상이 평면으로 마련되고, 그 좌우측면이 일정 곡률을 가진 곡면 형상으로 마련된 수중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양측 단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볼트 조임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수중촬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서로 결합 및 결합해제가 가능한 제1보호막 및 제2보호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막은 상기 제2보호막과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주변부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호막은 상기 제1보호막과 결합되는 결합부위의 주변부에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한 수중촬영장치.
  9. 몸체에 모형선을 장착하고, 수조에 채워진 물에 상기 모형선 일부가 잠긴 상태에서 상기 수조의 양측에 마련된 전차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예인전차; 및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예인전차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모형선의 선저면을 촬영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중촬영장치;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예인전차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이동유닛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부를 포함하는 모형선 촬영시스템.
KR1020130120552A 2013-10-10 2013-10-10 수중촬영장치 KR101580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552A KR101580908B1 (ko) 2013-10-10 2013-10-10 수중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552A KR101580908B1 (ko) 2013-10-10 2013-10-10 수중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951A true KR20150041951A (ko) 2015-04-20
KR101580908B1 KR101580908B1 (ko) 2015-12-29

Family

ID=5303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552A KR101580908B1 (ko) 2013-10-10 2013-10-10 수중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90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930A (ja) * 1998-10-09 2000-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中撮影装置
KR20110115224A (ko) 2010-04-15 2011-10-21 한국해양연구원 예인수조 모형선저의 수중촬영 장치
JP2012137706A (ja) * 2010-12-28 2012-07-19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水中検査装置
KR20130032622A (ko) * 2011-09-23 2013-04-02 최경섭 카메라 촬영용 전동달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0930A (ja) * 1998-10-09 2000-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中撮影装置
KR20110115224A (ko) 2010-04-15 2011-10-21 한국해양연구원 예인수조 모형선저의 수중촬영 장치
JP2012137706A (ja) * 2010-12-28 2012-07-19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水中検査装置
KR20130032622A (ko) * 2011-09-23 2013-04-02 최경섭 카메라 촬영용 전동달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908B1 (ko)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1973B2 (en) Cable stay transport vehicle and inspec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4563410B2 (ja) フォトニックブイ
US116353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pipelines using a pipeline inspection robot
KR101667755B1 (ko) 프레임형 해저면 영상 촬영장치
JP5421079B2 (ja) 下水管内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
KR20170019812A (ko)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CN107337134A (zh) 一种船载牵引系统及船载可旋转全方位立体剖面观测系统
JP6927507B2 (ja) 構造物検査装置
KR101580908B1 (ko) 수중촬영장치
CN106988354B (zh) 一种水下基桩避障维护机器人
JP2011119986A (ja) 井戸用カメラ装置
JP6242515B1 (ja) 構造物診断方法
FR2605752A1 (fr) Periscope pour sous-marins, a systemes perfectionnes de montage rotatif et de transmission de signaux
CN212343299U (zh) 一种集成式固定座
US10436172B2 (en) Subsea apparatus for monitoring density or integrity of a subsea structure or its contents and method for generating power on a rotating part of a subsea apparatus for monitoring density or integrity of the subsea structure or its contents
CN113055567A (zh) 一种用于海洋管理的摄像用防水潜水装置
CN211653501U (zh) 一种自动巡检无人船
KR101540309B1 (ko) 수중 청소로봇
CN210212727U (zh) 一种水下机器人检测用360度全向影像系统
KR101224893B1 (ko) 수중로봇 비상 대응모듈
CN103129723B (zh) 单人常压潜水装具的系固装置
JP2004138824A (ja) 水底生態系調査用撮影装置
CN209370762U (zh) 一种探测设备的自动定位装置
KR102488040B1 (ko)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 엉킴방지장치
JP6855206B2 (ja) 瓦礫内部調査装置および瓦礫内部調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