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1488A - 터치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1488A
KR20150041488A KR20130120072A KR20130120072A KR20150041488A KR 20150041488 A KR20150041488 A KR 20150041488A KR 20130120072 A KR20130120072 A KR 20130120072A KR 20130120072 A KR20130120072 A KR 20130120072A KR 20150041488 A KR20150041488 A KR 20150041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ground plate
input device
touch panel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685B1 (ko
Inventor
정일두
김하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5185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4148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685B1/ko
Priority to EP14183475.4A priority patent/EP2860613B1/en
Priority to US14/481,465 priority patent/US9519359B2/en
Priority to JP2014192188A priority patent/JP6025794B2/ja
Priority to CN201410504363.9A priority patent/CN104516617B/zh
Publication of KR20150041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1/00Systems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an object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system, e.g. tele-autographic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팁,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코일의 둘레 방향으로 개루프를 형성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터치입력장치{TOUCH INPUT APPRATUS}
본 발명은 터치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정보 혹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입력시스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터치입력시스템은 사람의 신체나 별도의 입력장치가 표시장치와 접촉하는 것을 인식하여 사용자 정보 혹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 최근에는 보다 정밀한 입력을 받기 위해 별도의 입력장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별도의 입력장치는 전자기 신호를 표시장치로 전달하는 방식을 주로 이용한다. 입력장치는 전자기 신호 발생 회로를 이용하여 전자기 신호를 표시장치로 전송하고 표시장치는 안테나와 같은 전자기 신호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전송되는 전자기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기 신호는 그 주변에 위치하는 장치들에 의해 신호가 감쇠되거나 차단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 신호는 금속성판에서 와류전류를 형성하여 와류손의 형태로 신호가 감쇠될 수 있다. 이렇게 신호가 감쇠되는 경우, 표시장치에서의 신호 인식이 미약해져 터치의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에서, 입력장치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신호가 적은 손실로 표시장치로 전달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신호의 와류손을 줄여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도성 팁, 상기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둘레 방향으로 개루프를 형성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도성 팁, 상기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장치는 적은 손실로서 표시장치로 전자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터치감도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입력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신호의 와류손이 줄어들어 작은 에너지로도 입력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에 따르면 입력장치에는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없을 수 있다.
도 1은 입력장치를 통한 터치입력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4은 금속성판을 통과하는 자기장에 의해 와류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일 예시 형상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접지판의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접지판의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접지판의 제3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접지판의 제4 예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입력장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시스템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입력장치를 통한 터치입력시스템의 예시도이다. 터치입력시스템은 입력장치 혹은 사용자의 신체가 표시장치와 접촉하는 것을 인식하여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는 시스템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입력시스템은 입력장치(100)와 표시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120)는 입력장치(100) 혹은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패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입력장치(100)는 접촉부(210), 전자기 회로부(220) 및 접지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터치패널(110)은 전극(240), 신호제어기(250) 및 안테나(26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110)에서 신호제어기(250)는 전극(240)으로 AC 전력을 입력장치(100)로 출력하고 안테나(260)를 통해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 신호를 처리하여 터치를 인식한다.
입력장치(100)에서 접촉부(210)는 터치패널(11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이다. 이때, 터치패널(110)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전극들(240)로 AC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접촉부(210)는 전도성 팁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터치패널(110)의 전극(240)과 캐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다. 캐패시터는 두 개의 전극판과 그 사이의 유전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접촉부(210)의 전도성 팁과 터치패널(110)의 전극(240)이 캐패시터의 두 개의 전극판을 이루고 그 사이의 물질(예, 터치패널(110)의 유리막 혹은 공기)이 유전물질이 될 수 있다.
접촉부(210)는 터치패널(110)과 캐패시터를 형성하면서 터치패널(110)의 전극들(240)로 출력되는 AC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AC 전력은 전자기 회로부(220) 및 접지부(230)를 통해 흐르게 된다.
전자기 회로부(220)는 접촉부(210)를 통해 전달되는 AC 전력을 전자기 유도에 따라 전자기 신호(예를들어, 자기장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패널(110)로 전송한다. 전자기 회로부(220)는 코일을 이용하여 전자기 신호를 유도할 수 있다. 패러데이 법칙에 의하면 회로를 관통하는 자기장의 시간적 변화율에 비례하여 회로에 기전력이 발생할 수 있고, 그 역으로 회로에 전류가 흐르면 회로를 관통하는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자기 회로부(220)에 포함된 코일로 흐르는 AC 전류에 의해 전자기 회로부(220)는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자기장은 터치패널(110)의 안테나(262)로 전달되어 터치패널(110)이 터치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접지부(230)는 AC 전력의 경로를 형성한다. 접지부(230)는 사용자의 신체를 통해 터치패널(110)과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접지부(230)는 터치패널(110)과 연결된 별도의 라인을 통해 터치패널(110)과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접지부(230)가 터치패널(110)로 이어지는 폐회로를 형성함으로써 접촉부(210)를 통해 들어오는 AC 전력이 다시 터치패널(110)로 흘러갈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촉부(210)는 전도성 팁을 포함하고 있으면서 터치패널(110)의 전극(240) 사이에서 캐패시터(312, 이하 다른 캐패시터와의 구별을 위해 '센싱캐패시터'라 함)를 형성한다. 이때, 신호제어기(250)에 의해 전극(240)을 통해 출력되는 AC 전력이 센싱캐패시터(312)로 흐르면서 전자기 회로부(220)로 전달되게 된다.
전자기 회로부(220)는 접촉부(210)와 유선으로 연결된 제1 코일(L1, 322), 제1 코일(322)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2 코일(324) 및 제2 코일(324)과 공진하는 공진캐패시터(32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캐패시터(312)를 통해 입력되는 AC 전력은 유선으로 연결된 제1 코일(322)로 흐른다. 그리고 이러한 AC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따라 제1 코일(322)과 상호 인덕턴스 M12로 결합되어 있는 제2 코일(324)로 전달된다. 제2 코일(324)에 흐르는 AC 전력은 공진캐패시터(326)와의 사이에서 공진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할 때, 제2 코일(324)과 공진캐패시터(326) 사이에는 댐핑 저항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코일(324)과 공진캐패시터(326) 사이의 공진전류는 새로운 입력에 의해 계속해서 증폭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센싱캐패시터(312)를 통해 1주기의 AC 전력이 전달될 때, 이러한 1주기의 AC 전력에 의해 제2 코일(324)과 공진캐패시터(326)는 공진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 주기의 AC 전력이 전달되면, 제2 코일(324)과 공진캐패시터(326)의 공진전류는 이미 형성된 공진전류에 새로운 AC 전력에 의해 발생하는 추가적인 공진전류를 더해 더 증폭되게 된다. AC 전력이 계속해서 입력될 경우, 제2 코일(324)과 공진캐패시터(326) 사이의 공진전류는 계속해서 증폭되게 된다.
신호발생기(352)에서 발생하는 AC 전력은 제2 코일(324)과 공진캐패시터(326) 사이의 공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공진주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기의 AC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신호발생기(352)는 f=1/[2π*(L2*C2)^0.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주파수의 AC 전력을 Tx/Rx 전극(240)으로 출력할 수 있다. AC 전력은 사인파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형파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코일(322)에 흐르는 AC 전류 혹은 제2 코일(324)에 흐르는 공진전류는 전자기 유도에 따라 상호인덕터스 M13 혹은 M23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터치패널(110)의 안테나 회로(L3, 362)로 전자기 신호(예를들어, 자기장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안테나 회로(362)를 통해 입력되는 전자기 신호는 증폭기(372)에 의해 증폭되고, 필터(374)에 의해 정류된 후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376)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신호처리부(378)에 의해 처리되면서 터치패널(110)이 입력장치(100)의 터치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센싱캐패시터(312)로 AC 전력이 흐르기 위해서는 AC 전력이 터치패널로 다시 흘러들어갈 수 있는 폐회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전자기 회로부(220)는 접지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접지부(230)는 접지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입력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의해 조작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접지부(230)는 이러한 사용자 신체와 접지면을 형성하면서 이러한 접지면을 통해 사용자를 통해 AC 전력을 그라운드로 흘려보내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그라운드와 사용자 사이에는 휴먼캐패시터(Ch, 33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접지부(230)는 사용자 신체와의 접촉을 거치면서 이러한 휴먼캐패시터(332)를 통해 AC 전력을 그라운드로 흘려보내게 된다.
터치패널(110)은 다른 경로(미도시)를 통해 그라운드와 캐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캐패시터를 통해 입력장치(100)와 터치패널(110)은 AC 전력을 위한 폐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제2 코일(324)과 공진캐패시터(326) 사이에서는 스위치(SW, 328)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328)는 공진패스를 오픈 혹은 단락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 공진전류가 발생하게 하거나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한편, 접지부(230)는 접지판(도 5의 53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지판은 자성체(예를들어, 금속성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 회로부(220)에서 발생시킨 전자기 신호는 접지판에서 와류손을 일으키면서 감쇠될 수 있다.
접지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손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는 금속성판을 통과하는 자기장에 의해 와류전류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금속성판(410)과 같은 자성체 내에서 자속(420)이 변화하면 기전력이 발생하고, 이 기전력에 의해 금속성판(410) 내에 도 4와 같이 소용돌이 모양의 전류(430)가 흐른다. 이것을 와전류라 한다. 이 전류에 의해 전력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전력손실을 와류손이라고도 한다. 와류손은 자속의 흐름을 방해하여 전자기 신호를 감쇠시킬 뿐만 아니라 금속성판(410)에서 열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100)는 이러한 와류손을 줄여준다. 일 예로서, 접지부(230)는 접지판을 포함하되 접지판이 코일의 둘레방향으로 폐루프를 형성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지판의 이러한 형상에 의해 와류가 코일의 둘레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력장치(100)의 와류손이 줄어들게 된다.
다른 예로서, 접지부(230)는 접지판을 포함하되, 접지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게 할 수 있다. 접지판은 슬릿에 다수의 작은 판들이 결합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와류가 형성될 수 있는 판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고 이를 통해 입력장치(100)의 와류손이 줄어들게 된다.
이하에서, 와류손을 줄여주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입력장치(100) 및 접지판의 형상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일 예시 형상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장치(100)는 전도성 팁(512), 이러한 전도성 팁(512)과 연결된 제1 코일(L1, 522) 및 제1 코일(5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판(53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장치(100)는 부가적으로 공진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제2 코일(524) 및 제2 코일(524)과 직렬 연결된 공진캐패시터(5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진회로 구성은 전자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것으로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아래에 설명하는 추가적인 구성도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입력장치(100)는 마그네틱 코어(magnetic core, 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523)는 제1 코일(522)의 자기패스를 형성하여 제1 코일(522)의 인덕턴스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523)는 제1 코일(522)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이 터치패널(110)의 안테나(260)로 전달되는 패스를 형성하여 전자기 신호가 입력장치(100)로부터 터치패널(110)로 잘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마그네틱 코어(523)는 제1 코일(522)과 제2 코일(524)의 자기적 결합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523)에 따라 제1 코일(522)과 제2 코일(524)의 상호 인덕턴스 M12 값이 증가될 수 있다.
입력장치(100)는 마그네틱 코어(523)와 전도성 팁(512) 사이의 절연을 구성하기 위해 두 개의 절연막(514, 529)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코일(524)과 공진캐패시터(526)의 공진을 단락할 수 있는 스위치(5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위치(528)는 탄성부재(예를들어, 스프링)를 더 포함하고 있으면서 전도성 팁(512)을 통해 전달되는 압력을 인식하여 입력장치(100)가 터치패널(110)과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에 따라 공진회로를 단락 혹은 오픈시킬 수 있다.
입력장치(100)는 제1 코일(522)을 둘러싸며 펜 형상을 가지는 비전도성 통(5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펜 형상의 통(534)을 통해 입력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접지판(536)은 펜 형상의 통(534)의 외곽면 중 일부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접지판(536)은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여 접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접지판(536)은 사용자의 손이 주로 놓이는 부분(예를들어, 펜의 앞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코일(5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축방향(펜 형상 통(534)의 길이방향)으로 마그네틱 코어(52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접지판(536)의 축방향 길이(H1)는 마그네틱 코어(523)의 축방향 길이(H2)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접지판(536)은 축방향으로 마그네틱 코어(523)의 양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마그네틱 코어(523)는 제1 코일(522) 혹은 제2 코일(524)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이 흘러나가는 자기장 패스를 형성하게 되는데, 접지판(536)은 이러한 자기장 패스의 직접적인 경로를 피하기 위해 마그네틱 코어(523)보다 짧은 길이로서 마그네틱 코어(523)의 양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지판(536)이 제1 코일(522) 혹은 제2 코일(524)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방해하여 발생하는 전자기 신호의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접지판(536)은 또한 와류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선되거나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접지판의 제1 예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에서 (a)는 접지판의 사시도이며, (b)는 펼침도이고, (c)는 상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지판(636)은 제1 코일(522)의 둘레 방향으로 개루프를 형성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상(단선된 형상)으로 인해 제1 코일(522)의 둘레 방향으로는 와류전류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7은 도 5의 접지판의 제2 예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지판(736)은 둘레방향으로 개루프를 형성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slit)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슬릿은 축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축방향으로의 와류전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예에서는 접지판이 둘레방향으로 개루프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접지판은 둘레방향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면서 다른 구조에 의해 와류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도 5의 접지판의 제3 예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지판(836)은 둘레방향으로 폐루프를 형성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슬릿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여 와류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접지판(836)의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손이 슬릿에만 위치하여 접지판(836)이 사용자의 손과 접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릿의 크기(W)는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 이하인 20mm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접지판의 제4 예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접지판(93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되, 슬릿은 축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슬릿이 축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됨으로써 축방향과 둘레방향으로 형성되는 와류전류를 일정 비율로 각각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입력장치에 대응하는 터치패널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터치패널(110)은 Tx/Rx 전극이 형성된 액티브 영역(1080)과 액티브 영역(1080) 외곽을 둘러싸는 안테나 회로(1062)를 포함하는 안테나(106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110)은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는데, 도 10을 참조하면 가로방향으로 Tx 전극이 위치하고 세로방향으로 Rx 전극이 위치하고 있다. Tx 전극은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에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전극이고, Rx 전극은 이러한 구동 신호를 인식하여 터치 위치를 센싱하는 전극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Tx/Rx 전극으로 명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Tx/Rx의 구분에 상관없이 전극으로 AC 전력이 출력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Tx/Rx 전극의 구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터치패널(110)에서의 전극들은 한 점을 표시하기 위해 서로 간에 교차하는 지점을 포함한다. 예를들어, 도 11과 같이 가로방향 전극과 세로방향 전극이 서로 교차하면 각각의 교차점에서 한 점을 표시하게 된다. 터치패널(110)은 각각의 교차지점에서 입력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전자기 신호를 인식하여 입력장치(100)가 어느 지점을 터치하고 있는지 확인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패널(110)은 전체 전극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AC 전력을 출력한다. 예를들어, 터치패널(110)은 Tx0 전극부터 Tx5 전극까지 순차적으로 AC 전력을 출력하고, 다시 Rx0 전극부터 Rx5 전극까지 순차적으로 AC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입력장치(100)의 전도성 팁(512)이 Tx5 전극(1082) 및 Rx0 전극(1092)이 교차하는 지점에 접촉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입력장치(100)의 전도성 팁(512)는 Tx5 전극(1082) 및 Rx0 전극(1092)과 센싱캐패시터(312)를 형성하게 된다. 터치패널(110)은 전체 전극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AC 전력을 출력하게 되는데, Tx5 전극(1082) 및 Rx0 전극(1092) 이외의 전극들에 AC 전력을 출력할 경우, 해당 전극과 센싱캐패시터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AC 전력은 입력장치(100)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한 결과로 입력장치(100)는 터치패널(110)로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터치패널(110)이 Tx5 전극(1082) 혹은 Rx0 전극(1092)로 AC 전력을 출력하는 경우, 해당 전극과 센싱캐패시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AC 전력은 입력장치(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렇게 전달된 AC 전력은 입력장치(100)의 제1 코일(522) 혹은 공진회로를 통해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터치패널(110)의 안테나 회로(1062)로 전자기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결국 터치패널(110)은 Tx5 전극(1082)과 Rx0 전극(1092)에 AC 전력을 출력할 때, 안테나(1060)로 전자기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인식하여 입력장치(100)가 Tx5 전극(1082) 및 Rx0 전극(1092)의 교차점을 터치하고 있다고 인식하게 된다.
한편, Tx/Rx 전극은 전극패드(예를들어, Tx5(1082)의 전극패드(1086))를 통해 신호제어기(250)의 신호발생기(352)와 연결되고, 안테나 회로(1062)는 안테나 패드(1064)를 통해 신호제어기(250)의 증폭기(372)와 연결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시스템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신호제어기(250)의 신호발생기(352)는 T1의 주기동안 구형파 형태의 AC 전력을 Tx(n)(n은 Tx 전극의 수보다 작은 정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AC 전력은 Tx(n) 전극과 접촉되어 있는 입력장치(100)의 전도성 팁(512)을 통해 제1 코일(L1, 522)로 전달되고 이러한 AC 전력은 다시 제1 코일(522)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2 코일(L2, 524)로 전달되게 된다. 제2 코일(524)은 공진캐패시터(526)와 직렬연결되어 있으면서 공진을 통해 제1 코일(522)을 통해 전달되는 AC 전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
제2 코일(524)에서 증폭된 AC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따라 터치패널(110)의 안테나(1060)로 전송된다. 그리고, 안테나(1060)의 뒷단에 연결된 증폭기(372), 필터(374) 및 컨버터(376)가 순차적으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최종적으로 신호처리기(378)로 전달한다. 신호처리기(378)는 전극 중 어느 전극으로 AC 전력을 출력하였는지를 확인하고 해당 AC 출력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컨버터(376)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가 일정한 레벨 이상(예, 노이즈 레벨 이상)의 값을 가지는지를 확인하여 터치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신호발생기(352)의 AC 전력은 T1 기간에만 출력되고, 신호처리기(378)는 T2 기간에 입력되는 신호만을 이용하여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T1 기간에 출력되는 AC 전력은 터치패널(110) 내부에서 자기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자기장 신호가 안테나(1060)로 전달되어 신호처리기(378)에 노이즈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T1 및 T2 기간을 구분하여 T1 기간에서 AC 전력을 출력하고 T2 기간에서 신호처리기(378)가 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장치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에서 Grip(그립)은 접지판이 원통형으로 코일의 둘레방향에 대하여 폐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Open Grip(오픈 그립)은 접지판이 코일의 둘레방향에서 개루프를 형성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의 (a)는 주파수에 따른 제1 코일(522)의 인덕턴스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2의 (b)는 인덕턴스 미터에 의한 제1 코일(522)의 인덕턴스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일한 제1 코일(522)에 대하여 접지판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경우(도 12에서 Grip)보다 접지판이 개루프를 형성하는 경우(도 12에서 Open Grip)가 인덕턴스 값이 더 높게 나온다. 이는 제1 코일에서의 자기장 손실이 개루프 형상에서 더 작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와류손이 작아지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입력장치
110 : 터치패널
210 : 접촉부
220 : 전자기 회로부
230 : 접지부
240 : 전극
250 : 신호제어기
260 : 안테나
312 : 센싱캐패시터
322 : 제1 코일
324 : 제2 코일
326 : 공진캐패시터
362 : 안테나 회로
512 : 전도성 팁
522 : 제1 코일
536 : 접지판

Claims (10)

  1. 전도성 팁;
    상기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코일의 둘레 방향으로 개루프를 형성하는 접지판
    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을 둘러싸며 펜 형상을 가지는 비전도성 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판은 상기 통의 외곽면 중 일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내부에 축방향으로 마그네틱 코어(magnetic cor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판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마그네틱 코어의 축방향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과 자기적으로 결합된 공진코일 및 상기 공진코일과 직렬 연결된 공진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적어도 둘 이상의 전극으로 AC 전력을 출력하는 터치패널의 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전극과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캐패시터를 통해 전달되는 상기 AC 전력을 전자기유도에 따라 상기 터치패널의 안테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8. 전도성 팁;
    상기 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 및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접지판
    을 포함하는 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에서 상기 슬릿은 2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에서 상기 슬릿은 축방향과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장치.
KR1020130120072A 2013-10-08 2013-10-08 터치입력장치 KR102113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072A KR102113685B1 (ko) 2013-10-08 2013-10-08 터치입력장치
EP14183475.4A EP2860613B1 (en) 2013-10-08 2014-09-04 Touch input apparatus
US14/481,465 US9519359B2 (en) 2013-10-08 2014-09-09 Touch input apparatus including annular open or closed loop ground plate, with or without slits, positioned around a magnetic core, for decreasing eddy loss
JP2014192188A JP6025794B2 (ja) 2013-10-08 2014-09-22 タッチ入力装置
CN201410504363.9A CN104516617B (zh) 2013-10-08 2014-09-26 触摸输入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072A KR102113685B1 (ko) 2013-10-08 2013-10-08 터치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488A true KR20150041488A (ko) 2015-04-16
KR102113685B1 KR102113685B1 (ko) 2020-05-21

Family

ID=5151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072A KR102113685B1 (ko) 2013-10-08 2013-10-08 터치입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19359B2 (ko)
EP (1) EP2860613B1 (ko)
JP (1) JP6025794B2 (ko)
KR (1) KR102113685B1 (ko)
CN (1) CN1045166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364A (ko) * 2016-09-20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00009363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248B1 (ko) 2015-10-06 2022-0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오동작 방지 기능을 가지는 펜 입력장치 및 펜 입력장치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2656423B1 (ko) * 2016-12-30 2024-04-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싱시스템 및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
KR102054815B1 (ko) * 2018-02-06 2019-12-12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터치 패널
KR20200116331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KR102195091B1 (ko) * 2019-07-02 2020-12-24 (주)파트론 터치센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터치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542A (ko) * 2002-06-07 2005-01-13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사용자 입력 시스템, 사용자 휴대가능한 디바이스 및사용자 입력 감지 방법
US20080150917A1 (en) * 2006-12-20 2008-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scillator circuit for use in an untethered stylu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2154A (en) * 1985-04-03 1987-06-09 Kurta Corporation Low power, high resolution digitizing system with cordless pen/mouse
JPS6370326A (ja) * 1986-09-12 1988-03-30 Wacom Co Ltd 位置検出装置
JPS63219021A (ja) * 1987-03-09 1988-09-12 Mitsubishi Electric Corp 入力タブレツトの入力用ペン
US4868351A (en) * 1987-03-09 1989-09-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Input pen data input tablet
JPH0799388B2 (ja) * 1988-03-18 1995-10-25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像検出装置
JP2766101B2 (ja) 1991-11-01 1998-06-18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付タブレット装置
JPH05241715A (ja) 1992-03-02 1993-09-21 Graphtec Corp 座標位置検出装置
US5534671A (en) * 1994-03-21 1996-07-09 Illinois Tool Works Inc. Switch for computer pen
US5540800A (en) 1994-06-23 1996-07-30 Applied Materials, Inc. Inductively coupled high density plasma reactor for plasma assisted materials processing
JP2717774B2 (ja) * 1995-01-13 1998-02-25 株式会社ワコム 感圧素子及び感圧機能付スタイラスペン
JPH10312777A (ja) 1997-05-15 1998-11-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電極蛍光ランプ装置
JPH11102667A (ja) 1997-09-25 1999-04-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電極放電ランプ
WO2003105072A2 (en) * 2002-06-05 2003-12-18 Synaptics (Uk) Limited Signal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US9201556B2 (en) * 2006-11-08 2015-1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ouch location sensing system and method employing sensor data fitting to a predefined curve
JP4915232B2 (ja) 2006-12-19 2012-04-11 ソニー株式会社 座標入力装置及び座標入力システム
US8243049B2 (en) * 2006-12-20 2012-08-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tethered stylus employing low current power converter
US8134542B2 (en) * 2006-12-20 2012-03-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tethered stylus employing separate communication and power channels
US7787259B2 (en) * 2006-12-28 2010-08-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agnetic shield for use in a location sensing system
US8040330B2 (en) * 2006-12-28 2011-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Untethered stylus empolying multiple reference frequency communication
JP5094376B2 (ja) * 2007-12-28 2012-12-12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US9213455B2 (en) * 2012-10-17 2015-12-15 Atmel Corporation Stylus with resonant circuit
WO2015030452A1 (ko) * 2013-08-30 2015-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타일러스 펜 및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542A (ko) * 2002-06-07 2005-01-13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사용자 입력 시스템, 사용자 휴대가능한 디바이스 및사용자 입력 감지 방법
JP2005529414A (ja) * 2002-06-07 2005-09-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入力システム
US20080150917A1 (en) * 2006-12-20 2008-06-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scillator circuit for use in an untethered styl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364A (ko) * 2016-09-20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200009363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하이딥 스타일러스 펜
US11481047B2 (en) 2018-07-18 2022-10-25 Hideep Inc. Stylus pen resonating with a signal transferred from a touch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16617A (zh) 2015-04-15
JP6025794B2 (ja) 2016-11-16
EP2860613A1 (en) 2015-04-15
KR102113685B1 (ko) 2020-05-21
EP2860613B1 (en) 2019-03-13
US20150097806A1 (en) 2015-04-09
CN104516617B (zh) 2018-02-23
US9519359B2 (en) 2016-12-13
JP2015076092A (ja)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685B1 (ko) 터치입력장치
JP5093369B2 (ja) 送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電力伝送システム
KR101441396B1 (ko)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KR102050444B1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CN103597711B (zh) 电子设备、无线电力接收装置以及显示装置
CN107577361B (zh) 坐标测量装置和识别接触物体的位置的方法
US8395598B2 (e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KR102125404B1 (ko) 터치감지시스템 및 표시장치
TWI750162B (zh) 位置檢測裝置及位置檢測感測器之控制方法
CN104685458B (zh) 静电尖笔
US10379666B2 (en)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pen and position measuring method
KR101492451B1 (ko) 투사 정전용량 방식 스타일러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24558A (ko) 실제 필기 스타일러스와 터치 장치
KR102034052B1 (ko) 터치 입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 검출 방법
CN103064536B (zh) 无线触控笔系统
TW201333762A (zh) 具有無線充電之定位輸入系統及其裝置
CN106293247B (zh) 一种表面声波触摸屏及触摸显示系统
KR20130052155A (ko) 개선된 안테나 패턴 구조를 갖는 타블렛
EP3439204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081110B1 (ko) 스타일러스 펜과 이를 이용한 터치 입력 시스템 및 터치 검출 방법
KR20140067488A (ko)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의 필압감지 방법
TW202314454A (zh) 具有近場通訊的輸入裝置
KR101446796B1 (ko) 터치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입력값 판단 방법
CN102332906A (zh) 一种输出按键信号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