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0925A - Layered object,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 Google Patents

Layered object,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0925A
KR20150040925A KR20157003718A KR20157003718A KR20150040925A KR 20150040925 A KR20150040925 A KR 20150040925A KR 20157003718 A KR20157003718 A KR 20157003718A KR 20157003718 A KR20157003718 A KR 20157003718A KR 20150040925 A KR20150040925 A KR 2015004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pva
mass
layer
stre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37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9228B1 (en
Inventor
마사히로 다카후지
다카노리 이소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15004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09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22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34Polar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아도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범용의 편광 필름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적층체,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그리고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의 제공.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팽윤도가 180 % 이상 260 % 이하인 PVA 층을 갖는 적층체, 및 당해 적층체를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그리고 복굴절률이 45 × 10-3 이상인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 및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제조 방법.A laminate capable of suppressing elution of PVA in a process of contacting with water even if it is not preceded by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and capable of easily producing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polarization performance by using a general polarizing film production facility,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polarizing performance and little leakage of red light in a crossed Nicol st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the degree of swelling is laminated with a PVA layer less than 180% 260% materia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stretching the laminate, and the birefringence is 45 × 10 -3 or more different-color in the matrix And a step of stretching a laminated body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to a polarizing film on which a coloring matter is adsorbed and a layered product having a PVA layer at a ratio of 5.7 times or more, wherei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s 2,800 Or more and 9,500 or less.

Description

적층체, 편광 필름 및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LAYERED OBJECT,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a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폴리비닐알코올층을 갖는 적층체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olyvinyl alcohol lay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using the laminat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to a matrix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광의 투과 및 차폐 기능을 갖는 편광판은,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액정과 함께 액정 디스플레이 (LCD) 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이다. 대부분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표면에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등의 보호막이 첩합 (貼合) 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 필름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이하, 「폴리비닐알코올」 을 「PVA」 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을 1 축 연신하여 이루어지는 매트릭스 (1 축 연신하여 배향시킨 연신 필름) 에 요오드계 색소 (I3 - 나 I5 - 등) 나 이색성 유기 염료와 같은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것이 주류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편광 필름은, 이색성 색소를 미리 함유시킨 PVA 필름을 1 축 연신하거나, PVA 필름의 1 축 연신과 동시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거나, PVA 필름을 1 축 연신한 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등을 하여 제조된다.A polarizing plate having light transmission and shielding functions is a fundamental compon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together with a liquid crystal that changes the polarization state of light. Most polarizing plates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rotective film such as a cellulose acylate (TAC) film is stuck to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As the polarizing film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a polyvinyl alcohol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olyvinyl alcohol (I 3 - , I 5 -, etc.) and dichroic organic dyes are added to a matrix (uniaxially stretched oriented film)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polylactic acid The mainstream is that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Such a polarizing film can be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a PVA film containing a dichroic dye in advance or by adsorbing a dichroic dye simultaneously with uniaxial stretching of the PVA film or by uniaxially stretching a PVA film and then adsorbing the dichroic dye And the like.

LCD 는, 전자 계산기 및 손목 시계 등의 소형 기기, 노트북 PC, 액정 모니터, 액정 컬러 프로젝터, 액정 텔레비전, 차재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휴대 전화, 옥내외에서 사용되는 계측 기기 등의 광범위에 있어서 사용되도록 되어 있지만, 최근, 특히 소형의 노트북 PC 나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편광판에 대한 박형화의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특히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 필름의 두께를 10 ㎛ 이하로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The LCD is intended to be used in a wide range of small devices such as an electronic calculator and a wrist watch, a notebook PC, a liquid crystal monitor, a liquid crystal color projector, a liquid crystal television, a car navigation system, a mobile phone, , Particularly in mobile applications such as small notebook PCs and mobile phones, and the demand for thinner polarizers has become stronger.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a polarizing film constituting a polarizing plate to have a thickness of 10 m or less.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 필름을 박형화하는 방법으로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편면에 PVA 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연신, 염색, 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층을 박리 제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및 2 등을 참조).As a method of thinning the polarizing film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there is a method of stretching, dyeing and drying a laminate formed by forming a PVA layer on one side of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n peeling off the layer of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See Patent Documents 1 and 2, etc.).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에는, 염색 등, 편광 필름 제조시의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가 용출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 때문에 종래의 방법에서는, 염색 등, 물과 접촉하는 공정 전에 PVA 층의 불용화 처리를 미리 실시하는 것이 필수가 되어 있었다.When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important that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does not dissolve in the step of contacting with water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such as dyeing.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it is necessary to perform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of the PVA layer before the step of contacting with water, such as dyeing.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 에는, 적어도 20 ㎛ 의 두께를 갖는 수지 기재에 PVA 층을 생성하고,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킨 후,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 총연신 배율이 원래 길이의 5 배 이상이 되도록 연신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염색 중의 수용액에 대한 PVA 의 용출 방지를 위해서, 수지 기재에 생성된 PVA 층을 염색액에 침지시키기 전에, 미리, PVA 층에 불용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온의 붕산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는, 연신 배율에 대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배 이상인 것, 중합도가 1,000 ∼ 10,000 인 PVA 가 사용되는 것, 및, 최대 연신 배율이 4.0 ∼ 5.5 배인 것이 기재되어 있다.Specifically, in Patent Document 1, a PVA layer is formed on a resin bas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of at least 20 탆, and a dichroic substance is adsorbed thereon, and then stretched so as to have a total stretching magnification of 5 times or more the original length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is described.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the PVA layer is subjected to insolubilization treatment in advance before the PVA layer formed on the resin substrate is immersed in the dyeing solution in order to prevent elution of the PVA in the aqueous solution during dyeing, I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t room temperature. Further, Patent Document 1 describes that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more preferably 5.5 times or more, that PVA having a polymerization degree of 1,000 to 10,000 is used, and that the maximum draw ratio is 4.0 to 5.5 times.

한편, 특허문헌 2 에는, 비정성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PVA 층을 제막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95 ∼ 150 ℃ 의 오븐 중에서 공중 고온 연신 후,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키고, 그 후,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 추가로 연신하여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실시예 1 로서 붕산 수용액에 의한 불용화 처리를 거치지 않고 편광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실시예 1 에 있어서의 130 ℃ 에서의 공중 고온 연신에 있어서의 결정화에 의해, PVA 층이 불용화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중합도 1,000 이상의 PVA 를 사용한 것이 기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2, a laminate obtained by forming a PVA layer on an amorphous ester-based thermoplastic resin base material is stretched at an air temperature of 95 to 150 ° C in an oven to adsorb a dichroic substance, And further stretched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without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by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as Example 1. However, actually, in the case of crystallization at a public high temperature stretching at 130 ° C in Example 1 , The PVA layer is insoluble.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PVA having a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or more is used.

국제 공개 제2010/100917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0/100917 일본 특허 제4691205호 명세서Japanese Patent No. 4691205 Specification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기한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은, 조작이 번잡하거나, 혹은 지금까지 실용화되어 있는 범용의 편광 필름 제조 설비를 사용할 수 없고 특별한 제조 설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과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아도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범용의 편광 필름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적층체,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boron-containing aqueous solution and the public high-temperature stretching in the prior art in the prior art can not be used because of complicated operations or the use of a general-purpose polarizing film production facility which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so far and special manufacturing facilities are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ress the elution of PVA in the step of contacting water with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even if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such as dipping or air high temperature stretching is not performed in advance,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polarization performance can be used as a general polarizing fil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minate which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using a manufacturing facil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using the same.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편광 필름은,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Further, the polarizing film produc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leakage of red light in the cross-Nicol state is large. Therefor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polarizing performance and little leakage of red light in a crossed Nicol stat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연신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데에 있어서, 미연신의 적층체가 갖는 PVA 층의 팽윤도를 180 % 이상 260 % 이하로 조정하면,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과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아도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조작이 번잡하거나 특별한 제조 설비가 필요한 상기 불용화 처리를 생략하고,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범용의 편광 필름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made intensive investig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s a result, in producing a polarizing film by stretching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the swelling degree of the PVA layer of the non- By adjusting the ratio to not less than 180% and not more than 260%,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elution of the PVA in the step of contacting the water with the boric acid aqueous solution even if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such as dipping or air high temperature stretching is not performed in advance, Or the above-mentioned insolubilization treatment which requires special manufacturing facilities can be omitted, and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polarization performance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a general-purpose polarizing film production facility.

또한 본 발명자들은,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을 종래보다 높은 45 × 10-3 이상으로 하면,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편광 필름이 되는 것을 알아냈다.Furth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found that, in a polarizing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to a matrix, when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is 45 x 10 < -3 > or more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It was found that the polarizing film was less leaky.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PVA 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로 하고, 여기에 1 축 연신을 실시하는 등을 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을 얻는 데에 있어서,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PVA 를 사용하면, 1 축 연신 시의 한계 연신 배율이 향상되는 것을 알아냈다. 일반적으로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높아지면 연신시의 장력이 높아져 한계 연신 배율이 저하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상기의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얻는 데에 있어서 상기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 PVA 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평균 중합도가 2,600 인 PVA 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한계 연신 배율이 저하하지 않고 오히려 향상되는 것은 예상외였다.In order to obtain a polarizing film formed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by forming a PVA layer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to form a laminate and performing uniaxial stretching thereon, PVA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800 to 9,500 It was found that the limiting draw ratio at the time of uniaxial stretching was improved. Generally,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is high, it is considered that the tension at the time of stretching becomes high and the crit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decreases. However, when PVA having the above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is used in obtaining the polarizing film by the above method, As a result, it was unexpected that the limiting draw ratio was not decreased but ra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PVA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600.

그리고,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PVA 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PVA 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로 하고, 이것을 5.7 배 이상으로 연신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면,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종래보다 높은 45 × 10-3 이상의 편광 필름이, 원활 또한 간편하게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When a polarizing film formed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is produced by forming a PVA layer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by using PVA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800 to 9,500 to form a laminate and stretching it to 5.7 times or more, It has been found that a polarizing film of 45 x 10 < -3 > or higher, which i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polarizing film, can be smoothly and easily obtained.

본 발명자들은, 이들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further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That is,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팽윤도가 180 % 이상 260 % 이하인 PVA 층을 갖는 적층체 (이하, 이것을 「적층체 (1)」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1]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having a degree of swelling of 180% or more and 260% or less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laminate (1)")

[2]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에틸렌 함유량이 1 몰% 이상 12 몰% 이하인, 상기 [1] 의 적층체,[2] The laminate of the above-mentioned [1], wherein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has an ethylene content of 1 mol% or more and 12 mol%

[3]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1,2-글리콜 결합량이 0.4 몰% 이상 1.5 몰% 이하인, 상기 [1] 또는 [2] 의 적층체,[3] The laminate of the above [1] or [2], wherein the 1,2-glycol bond amount of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s 0.4 mol% or more and 1.5 mol%

[4]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1,000 이상 9,500 이하인, 상기 [1] ∼ [3] 의 어느 하나의 적층체,[4]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s 1,000 or more and 9,500 or less,

[5]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비누화도가 98 몰% 이상인, 상기 [1] ∼ [4] 의 어느 하나의 적층체,[5] The laminate of any one of the above [1] to [4], wherein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has a saponification degree of 98 mol%

[6] PVA 층이 가소제를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상기 [1] ∼ [5] 의 어느 하나의 적층체,[6]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above, wherein the PVA layer contains a plasticizer in an amount of 1 part by mass or more and 15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PVA.

[7] 가소제가 글리세린인, 상기 [6] 의 적층체,[7] The laminate of the above [6], wherein the plasticizer is glycerin,

[8] 상기 [1] ∼ [7] 의 어느 하나의 적층체를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이하, 이것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8] A method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step of stretching a laminate of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1] to [7] (hereinaf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1)

[9] 연신 전의 적층체의 PVA 층 ; 적층체의 연신 중에 있어서의 연신 도중에 있는 PVA 층 ; 및, 적층체를 연신한 후의 PVA 층으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층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상기 [8] 의 제조 방법,[9] a PVA layer of a laminate before stretching; A PVA layer in the middle of stretching during drawing of the laminate; And a step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any of the stretched film layers formed from the PVA layer after stretching the laminate,

[10]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 전에,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9] 의 제조 방법,[10]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9], which does not include a step of bringing a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on compound before the step of contacting the dichroic dye,

[11]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 전에, 95 ℃ 이상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9] 또는 [10] 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11]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bove [9] or [10], which does not include a step of stretching at a temperature of 95 ° C or more before the step of contacting the dichroic dye.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복굴절률이 45 × 10-3 이상인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 (이하, 이것을 「편광 필름 (2)」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12] A polarizing film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polarizing film (2)")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to a matrix having a birefringence of 45 × 10 -3 or more,

[13] 매트릭스가 PVA 를 포함하고, 그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상기 [12] 의 편광 필름,[13]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above [12], wherein the matrix contains PVA and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from 2,800 to 9,500,

[14] 매트릭스가 PVA 를 포함하고, 그 평균 중합도가 4,100 이상 9,500 이하인, 상기 [12] 의 편광 필름,[14]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the above [12], wherein the matrix contains PVA and has an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of 4,100 or more and 9,500 or less,

[15] 두께가 10 ㎛ 이하인, 상기 [12] ∼ [14] 의 어느 하나의 편광 필름,[15] The polariz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12] to [14], wherein the thickness is 10 [

[16]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제조 방법 (이하, 이것을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16]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step of stretching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to 5.7 times or more, wherein the PVA layer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800 to 9,500 Hereinafter, this may be referred to as "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2) "))

[17] PVA 의 평균 중합도가 4,100 이상 9,500 이하인, 상기 [16] 의 제조 방법,[17]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bove-mentioned [16], wherein the PVA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4,100 or more and 9,500 or less,

[18] PVA 층이 가소제를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상기 [16] 또는 [17] 의 제조 방법,[18]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bove [16] or [17], wherein the PVA layer contains not less than 1 part by mass and not more than 15 parts by mass of a plasticizer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PVA,

[19] PVA 층이 가소제를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4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상기 [16] 또는 [17] 의 제조 방법,[19]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bove [16] or [17], wherein the PVA layer contains not less than 4 parts by mass and not more than 12 parts by mass of a plasticizer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PVA,

[20] 가소제가 글리세린인, 상기 [18] 또는 [19] 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20]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bove [18] or [19], wherein the plasticizer is glycerin.

본 발명의 적층체 (1)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에 의하면,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과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아도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어,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범용의 편광 필름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min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duction method (1) of the polarizing film using the lamin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of contacting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with water without any insolubilization treatment such as dipping or air- Can be suppressed, and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polarization performance can be easily manufactured using a general-purpose polarizing film production facility.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는,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의하면,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상기 편광 필름 (2) 를, 원활 또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Further,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olarizing performance and less leakage of red light in cross-Nicol state. Further,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simply produce the polarizing film (2) having excellent polarizing performance and less leakage of red light in the crossed Nicols state.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적층체 (1)》&Quot; Laminate (1) "

본 발명의 적층체 (1) 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메타크릴 수지,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각종 열가소성 수지, 및 이들 열가소성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 단위를 복수 종 갖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1 종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2 종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높은 내열성과 연신성을 구비하는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lamin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constitut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nclude various thermoplastic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methylpentene, polystyrene, polycarbonate, polyvinyl chloride, methacrylic resin, nylo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copolymers having a plurality of monomer units constituting these thermoplastic resins. I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contained in one kind alone, or two or more kinds thereof may be contained in the layer. Of the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referable, an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has high heat resistance and stretchability.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의 두께는, 20 ∼ 250 ㎛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230 ㎛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200 ㎛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의 두께가 20 ㎛ 이상임으로써, PVA 층을 형성할 때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의 두께가 250 ㎛ 이하임으로써, 적층체 (1) 을 연신할 때의 장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250 占 퐉,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230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200 占 퐉. When 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20 占 퐉 or more, wrinkle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occurring when the PVA layer is 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250 占 퐉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nsion at the time of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from becoming excessively high.

본 발명의 적층체 (1) 이 갖는 PVA 층의 팽윤도는 180 % 이상 260 % 이하일 필요가 있고, 18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25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팽윤도가 260 % 보다 높으면,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과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은 경우에, 편광 필름 제조시의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가 용출되어, 편광 필름의 제조가 곤란해진다. 한편, 팽윤도가 180 % 보다 낮으면 PVA 층의 염색이 곤란해져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고,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잘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PVA 층의 팽윤도란, PVA 층을 30 ℃ 의 증류수에 30 분간 침지시킨 후의 당해 PVA 층의 질량을, 침지 후 105 ℃ 에서 16 시간 건조시킨 후의 PVA 층의 질량으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의 백분율을 의미한다. 당해 PVA 층의 팽윤도는 적층체 상태로 측정해도 PVA 층 단독으로 측정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값이 얻어지는 점에서, 조작성을 고려하면 적층체의 상태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A 층의 팽윤도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으로는,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of the layered pro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to be not less than 180% and not more than 260%, preferably not less than 185%,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190%,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255% % Or less. If the degree of swelling is higher than 260%,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s eluted in the step of making contact with water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if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such as dipping or air high-temperature stretching is not performed beforehand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Making it difficult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On the other hand, if the degree of swelling is lower than 180%, dyeing of the PVA layer becomes difficult and unevenness tends to occur, and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polarization performance can not be obtained well.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mass of the PVA layer after immersing the PVA layer in distilled water at 30 캜 for 30 minutes divided by the mass of the PVA layer after drying at 105 캜 for 16 hours after immersion ≪ / RTI >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is preferably measured in the state of the laminated body in consideration of operability in that the value of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PVA layer alone when measured in a laminated state. As a specific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there may be mentioned the method described later in the Examples.

PVA 층의 팽윤도의 조정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일반적인 PVA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의 비누화물) 를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제조한 후, 이것을 100 ℃ 이상의 온도에서 적절히 열처리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열처리 온도를 높게 할수록, 또한, 열처리 시간을 길게 할수록, 팽윤도의 값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에 대하여 100 ℃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실시하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의 치수 변화에 수반하여 주름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후술하는 팽윤도를 저하시키기 쉬운 PVA 를 사용함으로써 PVA 층의 팽윤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100 ℃ 이상이 되지 않는 조건으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조제했다고 해도 당해 PVA 층의 팽윤도를 상기 범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method for adjusting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is produced by using general PVA (saponified vinyl acetate homopolymer) Or more. Here, the higher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he longer the heat treatment time, the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However, when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is heat-treated at a temperature of 100 占 폚 or more, wrinkles tend to occur along with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Therefore, a method of adjusting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by using PVA which is easy to lower the swelling degree described later is preferable. Thus, even if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is prepar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100 ° C,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can be easily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PVA 층에 있어서의 PVA 로는, 아세트산비닐, 포름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피발산비닐, 버사틱산비닐, 라우르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벤조산비닐, 아세트산이소프로페닐 등의 비닐에스테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비닐에스테르 중에서도, PVA 의 제조의 용이성, 입수 용이성, 비용 등의 점에서, 아세트산비닐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PVA in the PVA layer include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form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pivalate, vinyl versatate, vinyl laurate, vinyl stearate, vinyl benzoate and isopropenyl acetate Or a polyvinyl ester obtained by polymerizing two or more kinds of polyvinyl esters can be used. Of the above vinyl esters, vinyl acetat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ease of production, availability, cost, and the like of PVA.

상기의 폴리비닐에스테르는, 단량체로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비닐에스테르만을 이용하여 얻어진 것이어도 되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비닐에스테르와,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여도 된다.The polyvinyl ester may be one obtained by using only one kind of vinyl ester or two or more kinds of vinyl esters as long as it does not impair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olyvinyl ester may contain one or more kinds of vinyl esters, Or may be a copolymer with another monomer as far as possible.

상기의 비닐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등의 탄소수 2 ∼ 30 의 α-올레핀 ; (메트)아크릴산 또는 그 염 ;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산에틸, (메트)아크릴산n-프로필, (메트)아크릴산i-프로필, (메트)아크릴산n-부틸, (메트)아크릴산i-부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메트)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트)아크릴산도데실, (메트)아크릴산옥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또는 그 염,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필디메틸아민 또는 그 염,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그 유도체 등의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등의 N-비닐아미드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i-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i-부틸비닐에테르, t-부틸비닐에테르, 도데실비닐에테르, 스테아릴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비닐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불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 ; 아세트산알릴, 염화알릴 등의 알릴 화합물 ; 말레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무수물 ; 이타콘산 또는 그 염, 에스테르 혹은 산무수물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의 비닐실릴 화합물 ; 불포화 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비닐에스테르는, 상기한 다른 단량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가질 수 있다.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the above vinyl ester include? -Olefins having 2 to 30 carbon atoms such as ethylene, propylene, 1-butene and isobutene; (Meth) acrylic acid or a salt thereof;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i-butyl (meth) acrylate, t- (Meth) acrylic acid esters such as butyl, 2-ethylhexyl (meth) acrylate, dodecyl (meth) acrylate and octadec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N, N-dimethyl (meth) acrylamide, diacetone (meth) acrylamide, (meth) acrylamide propanesulfonic acid Or a salt thereof, (meth) acrylamidopropyldimethylamine or a salt thereof, a (meth) acrylamide derivative such as N-methylol (meth) acrylamide or a derivative thereof; N-vinyl amides such as N-vinyl formamide, N-vinylacetamide and N-vinyl pyrrolidone; Vinyl ethers such as methyl vinyl ether, ethyl vinyl ether, n-propyl vinyl ether, i-propyl vinyl ether, n-butyl vinyl ether, i-butyl vinyl ether, t-butyl vinyl ether, dodecyl vinyl ether and stearyl vinyl ether Ether; Vinyl cyanide such as (meth) acrylonitrile; Vinyl halides such as vinyl chloride, vinylidene chloride, vinyl fluoride and vinylidene fluoride; Allyl compounds such as allyl acetate and allyl chloride; Maleic acid or its salt, ester or acid anhydride; Itaconic acid or its salt, ester or acid anhydride; Vinylsilyl compounds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Unsaturated sulfonic acid, and the like. The above-mentioned polyvinyl esters may have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one or more of the above-mentioned other monomers.

상기의 폴리비닐에스테르에서 차지하는 상기한 다른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폴리비닐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수에 기초하여, 1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몰% 이하, 나아가 5 몰% 이하여도 된다.The proportion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other monomers in the polyvinyl ester is preferably 15 mol% or less, more preferably 10 mol% or less, further preferably 5 mol% or less based on the moles of the tota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polyvinyl ester Mol% or less.

특히 상기한 다른 단량체가, (메트)아크릴산, 불포화 술폰산 등과 같이, 얻어지는 PVA 의 수용성을 촉진시킬 가능성이 있는 단량체인 경우에는,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PVA 가 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폴리비닐에스테르에 있어서의 이들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폴리비닐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수에 기초하여, 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Particularly, when the above-mentioned other monomer is a monomer capable of promoting the water-solubility of the obtained PVA, such as (meth) acrylic acid, unsaturated sulfonic acid, etc., The proportion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se monomers in the ester is preferably 5 mol% or less, more preferably 3 mol% or less, based on the number of moles of the tota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polyvinyl ester.

상기의 PVA 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이면,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그래프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에 의해 변성된 것이어도 된다. 당해 그래프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 ; 불포화 술폰산 또는 그 유도체 ; 탄소수 2 ∼ 30 의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PVA 에 있어서의 그래프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그래프트 변성 부분에 있어서의 구조 단위) 의 비율은, PVA 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수에 기초하여, 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PVA may be modified by one or more graft copolymerizable monomers as far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Examples of the graft copolymerizable monomer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Unsaturated sulfon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Olefins having 2 to 30 carbon atoms. The ratio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graft copolymerizable monomer in PVA (the structural unit in the graft-modified part) is preferably 5 mol% or less based on the number of moles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PVA.

상기의 PVA 는, 그 수산기의 일부가 가교되어 있어도 되고 가교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의 PVA 는, 그 수산기의 일부가 아세트알데히드, 부틸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 화합물 등과 반응하여 아세탈 구조를 형성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 화합물과 반응하지 않고 아세탈 구조를 형성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In the above-mentioned PVA, a part of the hydroxyl groups may or may not be crosslinked. In the above-mentioned PVA, a part of the hydroxyl groups may react with an aldehyde compound such as acetaldehyde, butylaldehyde or the like to form an acetal structure, or may not react with these compounds and form an acetal structure.

상기와 같이 팽윤도를 저하시키기 쉬운 PVA 를 사용하면, 100 ℃ 이상이 되지 않는 조건으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조제했다고 해도 당해 PVA 층의 팽윤도를 상기 범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팽윤도를 저하시키기 쉬운 PVA 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함유량이 1 몰% 이상 12 몰% 이하인 PVA 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에틸렌 함유량이란 PVA 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몰수에 대하여 에틸렌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한다. 에틸렌 함유량이 1 몰% 이상임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은 원액 도포 후의 건조나 열처리를 저온에서 실시했다고 해도, 팽윤도를 용이하게 상기 상한 이하로 할 수 있다. 한편, 에틸렌 함유량이 12 몰% 이하임으로써, 팽윤도를 용이하게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팽윤도를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정되는 범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에틸렌 함유량은 1.5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11.5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1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Using the PVA which easily lowers the degree of swelling as described above, even if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is prepar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100 DEG C, the swelling degree of the PVA layer can be easily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 Examples of the PVA that tends to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include PVA having an ethylene content of 1 mol% or more and 12 mol% or less. Here, the ethylene content refers to the ratio (mol%) of the number of moles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ethylene to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PVA. Since the ethylene content is 1 mol% or more, the degree of swelling can be easily made lower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even if drying or heat treatmen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undiluted liquid as described later is carried out at a low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ethylene content is 12 mol% or less, the degree of swelling can be easily set to the above lower limit. The ethylene content is preferably 1.5 mol% or more, more preferably 2.0 mol% or more, further preferably 11.5 mol%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1 mol% or less,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swelling degree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 Or less.

또한, 팽윤도를 저하시키기 쉬운 PVA 의 다른 예로는, 1,2-글리콜 결합량이 0.4 몰% 이상 1.5 몰% 이하인 PVA 를 들 수 있다. 여기서 1,2-글리콜 결합량이란 인접하는 비닐알코올 단위 사이의 결합의 전체 몰수에 대하여 1,2-글리콜 결합으로 결합하고 있는 인접하는 비닐알코올 단위 사이의 결합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하며, NMR 측정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1,2-글리콜 결합량이 1.5 몰% 이하임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은 원액 도포 후의 건조나 열처리를 저온에서 실시했다고 해도, 팽윤도를 용이하게 상기 상한 이하로 할 수 있다. 한편, 1,2-글리콜 결합량이 0.4 몰% 이상임으로써, 팽윤도를 용이하게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팽윤도를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정되는 범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1,2-글리콜 결합량은 0.5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1.4 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3 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2-글리콜 결합량의 값이 작은 PVA 는 비닐에스테르를 저온에서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에스테르를 원료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2-글리콜 결합량이 0.4 몰% 이상 1.5 몰% 이하인 PVA 는, 비닐에스테르를 대체로 -50 ℃ 이상 +50 ℃ 이하의 범위 내에서 중합함으로써 얻어진 폴리비닐에스테르를 원료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PVA that tends to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includes PVA having a 1,2-glycol bond content of 0.4 mol% or more and 1.5 mol% or less. Here, the 1,2-glycol bond amount means the ratio (mol%) of the number of moles of bonds between adjacent vinyl alcohol units bonded by 1,2-glycol bonds to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bonds between adjacent vinyl alcohol units And can be obtained by NMR measurement. When the 1,2-glycol bond amount is 1.5 mol% or less, the degree of swelling can be easily made lower than the upper limit even if drying or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low temperature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undiluted liquid as described lat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1,2-glycol bond amount is 0.4 mol% or more, the degree of swelling can be easily made to the lower limit or more. The amount of 1,2-glycol bond is preferably 0.5 mol% or more, more preferably 0.6 mol%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1.4 mol% or less, because the swelling degree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 And more preferably 1.3 mol% or less. PVA having a small 1,2-glycol bond amount value can be produced from a polyvinyl est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vinyl ester at a low temperature as a raw material. Specifically, PVA having a 1,2-glycol bond content of 0.4 mol% or more and 1.5 mol% or less can be produced from a polyvinyl est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vinyl ester in a range of generally -50 ° C to +50 ° C.

상기의 PVA 는, 상기한 에틸렌 함유량의 범위 및 1,2-글리콜 결합량의 범위 중 어느 일방만을 만족하고 있어도 되고, 양방을 모두 만족하고 있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된다. 즉, 에틸렌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과 함께, 1,2-글리콜 결합량이 1.5 몰% 를 초과하는 PVA ; 에틸렌 함유량이 1 몰% 미만임과 함께 1,2-글리콜 결합량이 상기 범위에 있는 PVA ; 및, 에틸렌 함유량 및 1,2-글리콜 결합량이 모두 상기 범위에 있는 PVA 모두, 팽윤도를 저하시키기 쉬운 PVA 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단, 에틸렌 함유량 및 1,2-글리콜 결합량이 모두 상기 범위에 있는 PVA 는, 특히 에틸렌 함유량이 비교적 높은 경우 및/또는 1,2-글리콜 결합량이 비교적 낮은 경우 등에 있어서, PVA 층의 팽윤도를 과도하게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에틸렌 함유량 및 1,2-글리콜 결합량이 모두 상기 범위에 있는 PVA 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PVA 층 형성 후의 건조 처리나 열처리를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실시하거나, 혹은, 에틸렌 함유량을 낮게 하는 것 및/또는 1,2-글리콜 결합량을 높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VA may satisfy either one of the above-mentioned range of the ethylene content and the range of the 1,2-glycol bond amount, or both of them may be satisfied. That is, PVA having an ethylene content falling within the above range and having a 1,2-glycol bond content exceeding 1.5 mol%; PVA having an ethylene content of less than 1 mol% and a 1,2-glycol bond amount in the above range; And PVA in which both the ethylene content and the 1,2-glycol bond amount fall within the above ranges can be used as a PVA which tends to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However, the PVA in which the ethylene content and the 1,2-glycol bond amount are both in the above range is excessively swollen in the PVA layer, particularly when the ethylene content is relatively high and / or the 1,2-glycol bond amount is relatively low There may be a case where it is lowered.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PVA in which the ethylene content and the 1,2-glycol bond amount are both 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drying treatment or the heat treatment after the formation of the PVA layer is carried out at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or the ethylene content is lowered / Or 1,2-glycol bond is increased.

상기의 PVA 의 평균 중합도는 1,000 이상 9,5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평균 중합도는, 1,5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9,2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중합도가 1,000 이상임으로써,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평균 중합도가 9,500 이하임으로써, PVA 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PVA 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PVA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0 to 9,500, more preferably 1,500 or more, further preferably 2,000 or more, further preferably 9,200 or less, and 6,000 or less desirable.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1,000 or more, the polarizing performan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is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is 9,500 or less, the productivity of PVA is improve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used for forming the PVA lay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JIS K6726-1994.

상기의 PVA 의 비누화도는,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 등의 관점에서, 98 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8.5 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 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누화도가 98 몰% 미만이면, 편광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PVA 가 용출되기 쉬워지고, 용출된 PVA 가 필름에 부착되어 편광 필름의 편광 성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PVA 의 비누화도란, PVA 가 갖는, 비누화에 의해 비닐알코올 단위로 변환될 수 있는 구조 단위 (전형적으로는 비닐에스테르 단위) 와 비닐알코올 단위의 합계 몰수에 대하여 당해 비닐알코올 단위의 몰수가 차지하는 비율 (몰%) 을 말한다. 비누화도는 JIS K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VA is preferably 98 mol% or more, more preferably 98.5 mol%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99 mol%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polarizing performance and the like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When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less than 98 mol%, PVA tends to elute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the eluted PVA adheres to the film to lower the polarizing performance of the polarizing film in some cases.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PVA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eans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VA in which the total amount of the structural unit (typically a vinyl ester unit) that can be converted into a vinyl alcohol unit by saponification and the total number of moles of the vinyl alcohol unit (Mole%) occupied by the number of moles.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description of JIS K6726-1994.

PVA 층은, 적층체 (1) 을 연신할 때의 연신성 향상의 관점에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PVA 층은 이들 가소제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연신성의 향상 효과의 관점에서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The PVA layer preferably includes a plasticiz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ement in stretchability upon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Examples of the plasticizer include polyhydric alcohols such as eth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diglycerin,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trimethylolpropane, and the PVA layer may contain these plasticizers , And the like. Among these, glyceri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tchability.

PVA 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거기에 포함되는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1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적층체 (1) 의 연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당해 함유량이 15 질량부 이하임으로써, PVA 층이 지나치게 유연해져 취급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으로부터 PVA 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VA 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 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 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한, 13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 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 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n the PVA lay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part by mass or more and 15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VA contained therein. When the content is 1 part by mass or more, the stretchability of the layered product (1) can be further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is 15 parts by mass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VA layer from being excessively softened and deteriorate the handling property, or to prevent the PVA layer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n the PVA layer is more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4 parts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5 parts by mass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13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PVA More preferably 12 mass part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8 mass parts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적층체 (1) 을 이용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제조 조건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PVA 층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에 용출 등이 되기 때문에, 그 전체량이 편광 필름에 잔존한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case of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using the layered pro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sticizer contained in the PVA layer may be eluted or the like when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But the total amount thereof is not limited to remain in the polarizing film.

PVA 층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동결 방지제, pH 조정제, 은폐제, 착색 방지제, 유제,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PVA layer may further contain components such as an antioxidant, a cryoprotectant, a pH adjuster, a masking agent, a coloring inhibitor, an oil agent and a surfactant, if necessary.

PVA 층에 있어서의 PVA 의 함유율은, 원하는 편광 필름의 조제의 용이함 등으로부터, 5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함유율은, 7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5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한, 9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6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PVA in the PVA layer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50 mass% or more and 99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75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8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85%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98% by mass or less, further preferably 96% by mass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5% by mass or less.

PVA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0 ㎛ 이하로 할 수 있지만, 박형의 편광 필름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는 점 등에서 PVA 층을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PVA 층의 두께는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 (1) 에서는 PVA 층이 상기와 같은 특정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PVA 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이 얇게 해도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고, 편광 성능이 우수한 박형의 편광 필름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PVA 층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얇은 경우에는 적층체 (1) 을 연신할 때의 장력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PVA 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적층체 (1) 의 연신시에 연신 끊김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PVA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 이상이다.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0 占 퐉 or less. However,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PVA layer thinner in the point that a thin polarizing film can be easily prepared. Specifically, The thickness is preferably 2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15 占 퐉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0 占 퐉 or less. In the layered pro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VA layer has a specific constitu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as thin as described above, the elution of PVA can be suppressed in the step of contacting with water, An excellent thin polarizing film can be easily produce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as thi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ensile force at the time of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Further, when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too thin,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for example, 3 占 퐉 or more because the layered product 1 tends to cause stretching breakage at the time of stretching.

본 발명의 적층체 (1) 의 층 구성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보다 간편하게 얻어지는 점 등에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1 층과 PVA 층 1 층의 2 층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layer structure of the layered pro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two-layer structure of on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one PVA layer is preferable in that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polarization performance can be obtained more easily.

적층체 (1) 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보다 균일한 적층체를 연속해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음과 함께, 그것을 이용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에도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장척의 적층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척의 적층체의 길이 (장척 방향의 길이) 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제조되는 편광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m 이상 20,000 m 이하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layered product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more uniform laminate can be easily produced continuously, and a continuous film can be continuously used even when a polarizing film is produced using the layered product. . The length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uitably set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of the polarizing film to be produced, for example, within a range of 5 m or more and 20,000 m or less.

적층체 (1) 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제조되는 편광 필름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최근, 액정 텔레비전이나 액정 모니터의 대화면화가 진행되고 있는 점에서, 적층체 (1) 의 폭을 0.5 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 이상으로 해 두면, 이들 용도에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체 (1) 의 폭이 지나치게 넓으면 실용화되어 있는 장치로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균일하게 연신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적층체 (1) 의 폭은 7 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idth of the layered product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olarizing film to be produced and the like. In recent years, the width of the layered product 1 0.5 m or more, more preferably 1.0 m or more, is preferable for these applicatio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laminate 1 is excessively wid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stretch the polarizing film when a polarizing film is produced by a device that has been put to practical use. Thus, the width of the laminate 1 is 7 m or less desirable.

적층체 (1) 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PVA 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PVA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상기한 가소제 등 PVA 이외의 다른 성분이 액체 매체 중에 용해된 원액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도공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 PVA, 액체 매체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른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이루어지는 원액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압출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건조시키는 방법 ; PVA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른 성분을 포함하는 PVA 필름을 공지된 방법으로 제작한 후,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첩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얇은 PVA 층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는 점 및 얻어지는 PVA 층의 두께의 균일성의 점에서, PVA 및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른 성분이 액체 매체 중에 용해된 원액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도공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As a method for producing the layered product (1), for example, there can be mentioned a method of forming a PVA layer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Specifically, PVA and, if necessary, A method in which a stock solution in which other components are dissolved in a liquid medium is coated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dried; A method in which a raw liquid obtained by melt kneading PVA, a liquid medium and, if necessary, another component is extruded onto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further dried if necessary; A PVA film containing PVA and, if necessary, other components, is prepared by a known method, and then the resultant is kneaded with a thermoplastic resin film. Among them, in view of the ease of preparing a thin PVA layer and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the resulting PVA layer, a raw liquid in which PVA and, if necessary, further other components are dissolved in a liquid medium is coated on a thermoplastic resin film Drying method is preferable.

상기의 액체 매체로는, 예를 들어, 물, 디메틸술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경에 부여하는 부하나 회수성의 점에서 물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liquid medium include water, dimethylsulfoxide, 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amide, N-methylpyrrolidone, eth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trimethylol propane, ethylenediamine, diethylenetriamine, and the like, and one or more of these may be used. Among them, water is preferred from the viewpoints of imparting to the environment and recoverability.

원액의 휘발분율 (PVA 층의 형성시에 휘발이나 건조 등에 의해 제거되는 액체 매체 등의 휘발성 성분의, 원액 중에 있어서의 함유 비율) 은, PVA 층의 형성 방법이나 형성 조건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50 질량% 이상 98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질량% 이상 95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원액의 휘발분율이 50 질량% 이상임으로써, 그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고, 원액 조제시의 여과나 탈포가 원활하게 실시되어 이물질이나 결점이 적은 PVA 층의 형성이 용이해짐과 함께, 도공성도 향상된다. 한편, 원액의 휘발분율이 98 질량% 이하임으로써, 원액의 농도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아, 적층체의 공업적인 제조가 용이해진다.The volatile matter content of the undiluted solution (the content ratio of the volatile component such as a liquid medium removed by volatilization or drying at the time of forming the PVA layer in the undiluted solution) varies depending on the method of forming the PVA layer and the forming conditions,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not less than 98% by mass and not more than 55% by mass and not more than 95% by mass. When the volatile matter content of the undiluted solution is 50 mass% or more, the viscosity is not excessively increased, filtration and de-foaming are smoothly performed at the time of prepar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so that formation of the PVA layer with few foreign matters or defects is facilitated, .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atile frac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is 98 mass% or less, the concentration of the undiluted solution does not become too low, and industrial production of the laminated body becomes easy.

원액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도공할 때의 도공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다이 코트법, 콤마 코트법, 딥 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PVA 층의 두께의 균일성의 점에서 다이 코트법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coating method for coating the undiluted solution o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nclude a die coating method, a comma coating method and a dip coating method. Among them, the die coating method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PVA layer.

적층체 (1) 의 제조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적어도 일방의 표면을 친수화 처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친수화 처리된 표면과 접하도록 PVA 층을 형성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의 접착성이 향상된다. 친수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앵커 코트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친수성을 조정하기 쉬운 점에서 코로나 처리가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used for producing the layered product (1) is subjected to hydrophilization treatment. By forming the PVA layer so as to contact with the hydrophilized surface, adhesion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the PVA layer is improved. Examples of the hydrophilic treatment include a corona treatment, a plasma treatment, and an anchor coat treatment. Of these, corona treatment is preferable in view of easy adjustment of hydrophilicity.

상기의 친수화 처리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을 55°이상 70°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접촉각을 57°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9°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69°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8°이하로 조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접촉각이 55°보다 낮으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의 접착 강도가 지나치게 강해지는 경향이 있고, 적층체 (1) 의 연신 후에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박리하는 경우에 박리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당해 접촉각이 70°보다 높으면, 적층체 (1) 의 연신 중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으로부터 PVA 층이 박리되거나 찢어지기 쉬워져, 높은 연신 배율로 연신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이란, 물의 자유 표면이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접하는 장소에서의 수면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이 이루는 각 (물의 내부에 있는 각을 취한다) 를 말하며,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to 55 ° or more and 70 ° or less by the hydrophilization treatment, more preferably 57 °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9 ° or more More preferably 69 °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8 ° or less. If the contact angle is lower than 55 °,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the PVA layer tends to become excessively strong. If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fter the stretching of the laminate 1 is peeled off, .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ct angle is higher than 70 DEG, the PVA layer tends to peel off or tear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during stretching of the layered product 1, and it tends to be difficult to stretch at a high stretching magnification.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refers to an angle formed between the water surface in the place where the free surface of the water contacts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nd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taking an angle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Can be measured by a method described later.

코로나 처리에 의해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코로나 처리의 조건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을 용이하게 상기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방전량이 180 ∼ 350 W·분/㎡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 ∼ 320 W·분/㎡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 ∼ 300 W·분/㎡ 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dition of the corona treatment in the case where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s adjusted to the above range by the corona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rom the viewpoint that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can be easily adjusted within the above range, The discharge amoun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80 to 350 W min / m 2,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90 to 320 W min / m 2,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0 to 300 W min /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inner.

방전량 (W·분/㎡) = 출력 (W/m)/처리 속도 (m/분) (1)(W / min) = output (W / m) / processing speed (m / min) (1)

원액을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에 도공하거나 압출한 후의 건조의 조건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에, PVA 로서 상기한 팽윤도를 저하시키기 쉬운 PVA 를 사용하는 등을 한 후, 100 ℃ 이상이 되지 않는 조건으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건조 온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PVA 층의 팽윤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점이나 건조 효율 등을 고려하면, 20 ℃ 이상 95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건조 온도는, 5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9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에 팽윤도가 180 % 이상 260 % 이하인 미연신 PVA 층이 적층된 적층체 (1) 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rying conditions after coating or extruding the raw liquid onto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However, in order to prevent wrinkles from forming o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t is preferable to dry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t a temperature not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PVA which is easy to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is used as the PVA, and then the PVA is dried under a condition that the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100 캜. Although the specific drying temperat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is easily adjusted to the above range, and in consideration of the drying efficiency and the like, it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20 ° C or more and 95 ° C or less, More preferably 65 deg. C or higher, further preferably 90 deg. C or lower, still more preferably 85 deg. C or lower. Thereby, the laminate 1 in which the non-stretched PVA layer having a swelling degree of 180% or more and 260% or less is laminated o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can be easily obtained.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Quot;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film (1) "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은 상기의 적층체 (1) 을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PVA 층에 미리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켜 두면, 적층체 (1) 을 연신하는 것에 의해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층체 (1) 의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방법이나, PVA 층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한 원액에 미리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키는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PVA 층에 미리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켜 두지 않는 경우에는, 적층체 (1) 의 연신 중에 연신 도중에 있는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거나, 혹은, 적층체 (1) 을 연신한 후에 (연신 전의) PVA 층으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층에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킴으로써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연신 전의 적층체 (1) 의 PVA 층 ; 적층체 (1) 의 연신 중에 있어서의 연신 도중에 있는 PVA 층 ; 및, 적층체 (1) 을 연신한 후의 PVA 층으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층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얻는 것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method (1)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stretching the above-mentioned laminate (1). If the dichroic dye is previously contained in the PVA layer, the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can be obtained by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In this case, the method of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n the PVA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dichroic dye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VA layer of the layered product (1) A method of previously incorporating a dichroic dye into a stock solution, and the like can be suitably employed. When the dichroic dye is not previously contained in the PVA layer, the dichroic dye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VA layer in the middle of the stretching during the stretching of the layered product (1), or after the layered product (1) A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can be obtained by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the stretched film layer formed from the (stretched) PVA layer. Among them, the PVA layer of the layered product (1) before stretching; A PVA layer in the middle of stretching of the laminate (1) during stretching; And a step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any of the stretched film layers formed from the PVA layer after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to obtain a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the effect of the invention is more conspicuous.

상기한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연신 및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처리 (염색) 외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고정 처리, 건조 등을 필요에 따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각 처리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되고, 또한 각 처리를 2 회 이상 실시해도 되고, 또한 상이한 처리를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이 얻어지지만, 당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필요에 따라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In any of the above methods, swelling treatment, crosslinking treatment, fixing treatment, drying and the like can be additionally carried out as needed in addition to the treatment of bringing the dye into contact with the drawing and the dichroic dye (dyeing). The order of each process may be changed as required, or each process may b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or different processes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ion method,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obtained, but may include a step of peeling off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if necessary.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에서는, 적층체 (1) 이 갖는 PVA 층의 팽윤도가 180 % 이상 26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기 때문에,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과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아도, 염색 등, 편광 필름 제조시의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고 편광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는, 연신 전의 적층체 (1) 의 PVA 층 ; 적층체 (1) 의 연신 중에 있어서의 연신 도중에 있는 PVA 층 ; 및, 적층체 (1) 을 연신한 후의 PVA 층으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층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에, 본 발명의 적층체 (1) 을 준비한 후 상기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 전까지 사이에 있어서,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거나, 및/또는, 95 ℃ 이상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duction method (1)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elling degree of the PVA layer of the layered product (1) is in the range of 180% or more and 260% or less, It is possible to inhibit the elution of PVA in the step of contacting with water at the time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such as dyeing, even if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such as stretching is not performed in advance. For this reas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more remarkable when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without performing such insolubilization treatment in advance. Specifically, the PVA layer of the layered product (1) before stretching; A PVA layer in the middle of stretching of the laminate (1) during stretching; And a step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any of the stretched film layers formed from the PVA layer after stretching the laminate (1)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o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Does not include a step of bringing the layered produc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to contact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on compound such as a boric acid salt such as boric acid, borax and the like, before the step of contacting the dichroic dye, and / , And preferably does not include a step of drawing at a temperature of 95 占 폚 or more (more preferably, does not include a step of stretching at a temperature of 50 占 폚 or more).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의 일례로는, 먼저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지 않는 PVA 층을 갖는 적층체 (1) 에 대하여, 팽윤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킴으로써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키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교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적층체를 연신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정 처리를 실시하여, 건조시키고, 이들 일련의 처리에 의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을 얻어, 당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박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oduction method (1)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layered product (1) having the PVA layer not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s swelled and then the dichroic dye is contacted, The layer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s further subjected to a crosslinking treatment if necessary and the resultant laminate is stretched and further subjected to a fixing treatment as required and dried and by these series of treatments,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obtained and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peeled off.

팽윤 처리는, 적층체 (1) 을 물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물에 침지시킬 때의 물의 온도로는, 20 ℃ 이상 40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온도는, 2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38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를 20 ℃ 이상 40 ℃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PVA 층을 효율적으로 팽윤시킬 수 있다. 또한, 물에 침지시키는 시간으로는, 0.1 분간 이상 5 분간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분간 이상 3 분간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 분간 이상 5 분간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PVA 층을 효율적으로 팽윤시킬 수 있다. 또한, 물에 침지시킬 때의 물은 순수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성분이 용해된 수용액이어도 되고, 물과 수성 매체의 혼합물이어도 된다.The swell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layered product (1) in wat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hen immersed in wat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 C to 40 ° C, more preferably 22 ° C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25 ° C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8 ° 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5 DEG C or less. By mak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20 占 폚 to 40 占 폚, the PVA layer can be efficiently swollen. The time for immersing in water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from 0.1 minute to 5 minutes, more preferably from 0.5 minutes to 3 minutes. The PVA layer can be efficiently swelled by keep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0.1 minute to 5 minutes. Further, the water to be immersed in water is not limited to pure water, and may be an aqueous solution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dissolved, or a mixture of water and an aqueous medium.

상기한 바와 같이, 연신 전의 적층체 (1) 의 PVA 층 ; 적층체 (1) 의 연신 중에 있어서의 연신 도중에 있는 PVA 층 ; 적층체 (1) 을 연신한 후의 PVA 층으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층 등에 대하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켜 염색함으로써,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접촉은, 연신 전, 연신 중, 또는 연신 후의 적층체를,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 (특히 수용액) 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 중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농도는 사용되는 이색성 색소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001 질량% 이상 1 질량% 이하로 할 수 있지만,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으로서 요오드-요오드화칼륨 용액 (특히 수용액) 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매트릭스에 요오드계 색소를 효율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는 점에서, 사용되는 요오드 (I2) 의 농도로서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되는 요오드화칼륨 (KI) 의 농도로서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의 온도는,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를 효율적으로 흡착시킬 수 있는 점에서, 20 ℃ 이상 50 ℃ 이하의 범위 내, 특히 25 ℃ 이상 4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VA layer of the layered product (1) before stretching; A PVA layer in the middle of stretching of the laminate (1) during stretching; A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to the matrix can be obtained by staining the dichroic dye in contact with the stretched film layer or the like formed from the PVA layer after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The dichroic dye may be contacted by immersing the laminate before, during, or after stretching in a solution (particularly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dichroic dye. The concentration of the dichroic dye in the solution containing the dichroic dye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chroic dye to be used and can be set to, for example, 0.001 mass% or more and 1 mass% or less. (I 2 ) as a concentration of 0.0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as the concentration of iodine (I 2 ) to be used in order to efficiently adsorb the iodine dye to the matrix when a solution of potassium iodide-iodide %,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KI) used is in the range of 0.0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The temperature of the solution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占 폚 to 50 占 폚, particularly 25 占 폚 to 40 占 폚 in that the dichroic dye can be efficiently adsorbed to the matrix .

상기의 이색성 색소로는, 요오드계 색소 (I3 - 나 I5 - 등), 이색성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요오드계 색소는, 예를 들어, 요오드 (I2) 와 요오드화칼륨을 접촉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색성 유기 염료로는, 다이렉트 블랙 17, 19, 154 ; 다이렉트 브라운 44, 106, 195, 210, 223 ; 다이렉트 레드 2, 23, 28, 31, 37, 39, 79, 81, 240, 242, 247 ; 다이렉트 블루 1, 15, 22, 78, 90, 98, 151, 168, 202, 236, 249, 270 ; 다이렉트 바이올렛 9, 12, 51, 98 ; 다이렉트 그린 1, 85 ; 다이렉트 옐로우 8, 12, 44, 86, 87 ; 다이렉트 오렌지 26, 39, 106, 107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색성 색소 중에서도, 취급성, 입수성, 편광 성능 등의 관점에서 요오드계 색소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색성 색소는 1 종 단독이어도 되고 2 종 이상이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며, 예를 들어, I3 - 및 I5 - 와 같이 평형 혼합물이어도 된다.Examples of the dichroic dye include iodine dyes (I 3 - and I 5 - ) and dichroic organic dyes. The iodine dy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contacting iodine (I 2 ) with potassium iodide. The dichroic organic dyes include Direct Black 17, 19, 154; Direct Brown 44, 106, 195, 210, 223; Direct Red 2, 23, 28, 31, 37, 39, 79, 81, 240, 242, 247; Direct Blue 1, 15, 22, 78, 90, 98, 151, 168, 202, 236, 249, 270; Direct Violet 9, 12, 51, 98; Direct Green 1, 85; Direct Yellow 8, 12, 44, 86, 87; Direct Orange 26, 39, 106, 107 and the like. Of these dichroic dyes, iodine dyes are preferred from the viewpoints of handleability, availability, and polarization performance. The dichroic dy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species. For example, it may be an equilibrium mixture such as I 3 - and I 5 - .

PVA 층에 대하여 가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고온에서 습식 연신할 때에 PVA 가 물에 용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가교 처리는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처리 후이고 연신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 처리는,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적층체 (1) 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당해 가교제로는,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있어서의 가교제의 농도는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7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농도가 1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충분한 연신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 등의 보조제를 함유해도 된다.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의 온도는, 20 ℃ 이상 50 ℃ 이하의 범위 내, 특히 25 ℃ 이상 40 ℃ 이하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를 20 ℃ 이상 50 ℃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가교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crosslinking treatment on the PVA layer,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VA from being eluted into water when wet-stretched at a high temper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rosslinking treatm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after the treatment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and before the stretching. The crosslink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layered product (1)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crosslinking agent. As the crosslinking agent,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salt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can be used. The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by mass to 15% by mass, more preferably 2%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3%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7%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6% by mass or les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in the range of 1 mass% to 15 mass%, sufficient stretchability can be maintained.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crosslinking agent may contain an auxiliary agent such as potassium iodide.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占 폚 to 50 占 폚,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占 폚 to 40 占 폚. By effectively sett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20 占 폚 to 50 占 폚, crosslinking can be efficiently carried out.

적층체 (1) 을 연신할 때의 연신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습식 연신법 및 건식 연신법 중 어느 것으로 실시해도 된다. 습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실시할 수도 있고, 상기한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 중이나 후술하는 고정 처리욕 중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건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실온인 채로 연신을 실시해도 되고, 열을 가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흡수 후에 연신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두께의 균일성의 점에서 습식 연신법이 바람직하고,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의 붕산의 농도는 0.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농도는,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5.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붕산의 농도가 0.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폭 방향의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한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해도 되고, 그 농도는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칼륨의 농도가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편광 성능이 보다 양호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The stretching method for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ither wet stretching or dry stretching may be employed. In the case of the wet stretching method, it may be carried out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kinds of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salt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In the solution containing the dichroic dye or in a fixed treatment bath . In the case of the dry stretching method,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or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while heat is applied, or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absorption. Among them, the wet stretching metho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tretch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by mass to 6.0% by mass,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Or less, more preferably 4.0 mass% or less. When the boric acid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0.5% by mass or more and 6.0% by mass or less,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thickness uniformity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obtained.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on compound may contain potassium iodide, and the concentration thereof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by mass or more and 10% by mass or less. Since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s in the range of 0.0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a polarizing film having better polariz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적층체 (1) 을 연신할 때의 온도는, 3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온도는, 4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8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가 3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임으로써 폭 방향의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The temperature for stretching the layered product (1)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90 占 폚, more preferably 40 占 폚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50 占 폚 or higher, and 80 占 폚 Or less, more preferably 70 deg. C or less. When the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90 占 폚,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thickness uniformity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obtained.

적층체 (1) 을 연신할 때의 연신 배율은 5.7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8 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9 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적층체 (1) 의 연신 배율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편광 성능이 보다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적층체 (1) 의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 (1) 의 연신은 한 번에 실시해도 되고, 복수 회로 나누어 실시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복수 회로 나누어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 연신의 연신 배율을 곱한 총 연신 배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연신 전의 적층체 (1) 의 길이에 기초하는 것으로, 연신을 하지 않은 상태가 연신 배율 1 배에 상당한다.The draw ratio at the time of drawing the layered product (1) is preferably 5.7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5.8 times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5.9 times or more. By setting the draw ratio of the layered product 1 within the above range, a polarizing film having better polariz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The upper limit of the draw ratio of the layered product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8 times or less. The layered product (1) may be stretched at one time, o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ircuits or any of them. In the case of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circuits, the total stretch ratio multiplied by the stretch ratio of each stretch may be within the above range. The drawing magnific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based on the length of the layered product 1 before drawing, and the state without drawing is equivalent to a drawing magnification of 1 time.

적층체 (1) 의 연신은,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성능의 관점에서 1 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장척의 적층체 (1) 을 연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1 축 연신의 방향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이나 횡 1 축 연신을 채용할 수 있지만, 편광 성능이 보다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롤을 구비하는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각 롤 사이의 주속 (周速) 을 바꿈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횡 1 축 연신은 텐터형 연신기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Stretching of the layered product (1) is preferably uniaxial stretching in view of the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irection of uniaxial stretching in the case of elongating the elongate laminate 1, and un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can be employed. However, the polarizing film The un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able. The un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arried out by using a stretc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rolls parallel to each other and changing the peripheral speed between the rolls. On the other hand,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can be carried out using a tenter-type stretching machine.

고정 처리는, 주로, PVA 층이나 연신 필름 (매트릭스) 에 대한 이색성 색소의 흡착을 강고하게 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고정 처리는, 연신 전, 연신 중 또는 연신 후의 적층체를 고정 처리욕에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고정 처리욕으로는,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고정 처리욕 중에 요오드 화합물이나 금속 화합물을 첨가해도 된다. 고정 처리욕으로서 사용되는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있어서의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2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범위 내, 특히 3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농도를 2 질량% 이상 15 질량%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이색성 색소의 흡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 고정 처리욕의 온도는, 15 ℃ 이상 60 ℃ 이하의 범위 내, 특히 25 ℃ 이상 40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를 15 ℃ 이상 60 ℃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이색성 색소의 흡착을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다.The fixing treatment is performed mainly to strengthen the adsorption of the dichroic dye to the PVA layer or the stretched film (matrix). The fixing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laminate before stretching, during stretching or after stretching in a fixed treatment bath. As the fixed treatment ba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one kind or two or more kinds of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salt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can be used. If necessary, an iodine compound or a metal compound may be added to the fixed treatment bath. The concentration of the boron compound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on compound used as the fixed treatment bath is generally in the range of 2 mass% to 15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3 mass% to 10 mass% . By making the concentration within the range of 2 mass% to 15 mass%, the adsorption of the dichroic dye can be strengthened. The temperature of the fixed treatment bath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占 폚 to 60 占 폚, particularly 25 占 폚 to 40 占 폚. By sett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15 占 폚 to 60 占 폚, the adsorption of the dichroic dye can be made stronger.

건조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30 ℃ 이상 150 ℃ 이하의 범위 내, 특히 50 ℃ 이상 130 ℃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건조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 이상 150 ℃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건조시킴으로써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The drying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drying at a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30 ° C to 150 ° C, more preferably 50 ° C to 130 ° C. It is easy to obtain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by drying at a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30 ° C to 150 ° C.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이와 같은 형태의 편광 필름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박리하지 않고, 그것을 그대로,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편광 필름측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보호막을 첩합하여 편광판으로 해도 되고,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보호막을 첩합한 후에, 당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박리하고, 그것을 그대로,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박리면에 다른 보호막을 첩합하여 편광판으로 해도 된다. 보호막으로는,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CAB)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첩합을 위한 접착제로는, PVA 계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PVA 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By doing so,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obtained. The method of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this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polarizing film having optical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on the polarizing film side as it is or without being peeled off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The protective film may be laminated to form a polarizing plate. Alternatively, after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located,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peeled off, Another protective film may be laminated to form a polarizing plate. As the protective film, a cellulose triacetate (TAC) film, an acetic acid-butyric acid cellulose (CAB) film, an acrylic film, a polyester film, or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adhesive for bonding include a PVA adhesive and a urethane adhesive, but a PVA adhesive is preferred.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두께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이 이와 같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휴대 전화 등의 박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분야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지나치게나 얇은 편광 필름은 그 조제가 곤란한 점에서, 편광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이상이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1)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 m or less, more preferably 8 m or less. The polarizing film having such a thickness can be preferably used in a field where the demand for thinning of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is increasing.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is, for example, 1 占 퐉 or more, since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that is too thin.

《편광 필름 (2)》&Quot; Polarizing film (2) "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에서는, 복굴절률이 45 × 10-3 이상인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다. 여기서 이색성 색소는 매트릭스의 내부에 흡착되어 있어도 되고 매트릭스의 표면에 흡착되어 있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편광 성능의 관점에서, 이색성 색소는 매트릭스의 내부에 흡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은, 이색성 색소를 미리 함유시킨 원반 (原反) 필름을 연신하거나, 원반 필름의 연신과 동시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거나, 원반 필름을 연신하여 매트릭스를 형성한 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등을 하여 제조할 수 있다.In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chroic dye is adsorbed to a matrix having a birefringence of 45 x 10 < -3 > Here, the dichroic dye may be adsorbed in the inside of the matrix or may be adsorbed to the surface of the matrix. In view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in the inside of the matrix. The polarizing film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to the matrix can be obtained by stretching a raw film previously containing a dichroic dye or by adsorbing a dichroic dye simultaneously with drawing the original film or by stretching the original film, And then adsorbing the dichroic dye.

편광 필름 (2) 및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의 이색성 색소의 설명으로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의 설명의 난에 있어서 상기한 이색성 색소의 설명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The description of the dichroic dye in the polarizing film (2) and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s the description of the dichroic dye in the description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1)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에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45 × 10-3 이상이라는 종래에 없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45 × 10-3 미만이면, 그 편광 필름 2 장을 크로스 니콜 상태로 배치했을 때에 적색광의 누출이 많아져 편광 성능도 저하한다. 편광 성능을 향상시키고,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을 저하시키는 관점에서, 편광 필름 (2) 를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은 46 × 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7 × 10-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8 × 10-3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9 × 10-3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0 × 10-3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복굴절률이 지나치게 높은 매트릭스는 그 조제가 곤란한 점에서,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은, 예를 들어, 60 × 10-3 이하이다.In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rix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2) has a non-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birefringence is 45 x 10 < -3 > When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is less than 45 x 10 -3 , when two polarizing films are arranged in the cross-Nicol state, the leakage of red light increases and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also decreases. The birefringent index of the matrix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2 is preferably 46 x 10 < -3 > or more, more preferably 47 x 10 < -3 > more preferably,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48 × 10 -3 and 49 × 10 -3 or more and most preferably it is particularly preferably, 50 × 10 -3 or more. In addition,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is, for example, 60 x 10 < -3 > or less in that the preparation of a matrix having an excessively high birefringence is difficult.

편광 필름 (2) 를 구성하는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은 편광 필름 (2) 의 복굴절률로부터 이색성 색소에 기초하는 복굴절률을 뺀 것에 상당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필름의 복굴절률은 필름의 리타데이션치 (필름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광에 의해 측정되는 면내 리타데이션치) 를 필름의 두께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 필름 (2) 에 있어서 규정되는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은, 편광 필름 (2) 의 리타데이션치로부터 이색성 색소에 기초하는 레타데이션치를 뺀 것에 상당하는 매트릭스의 리타데이션치를 구한 후에, 이것을 매트릭스의 두께 (이것은 통상적으로, 편광 필름 (2) 의 두께와 동일하다) 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constituting the polarizing film 2 corresponds to the birefringence of the polarizing film 2 minus the birefringence index based on the dichroic dye. In general, the birefringence of the film can be obtained by dividing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film (in-plane retardation value measured by the light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by the thickness of the film. Therefore,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specified in the polarizing film 2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matrix corresponding to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retardation value based on the dichroic dye from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polarizing film 2, (Which is usu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2).

구체적으로는, 필름의 리타데이션치를 측정할 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의 파장역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에는 파장 의존성이 거의 없는 한편, 이색성 색소에 기초하는 복굴절률은 파장 의존성이 높은 것을 이용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을 구할 수 있다.Concretely, in the wavelength range of light generally used when measuring the retardation value of the film, the birefringence index of the matrix generally has little wavelength dependency, while the birefringence index based on the dichroic dye has a high wavelength dependency The birefringence index of the matrix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method.

즉, 파장 λ ㎚ 의 광에 의해 측정되는 편광 필름 (2) 의 리타데이션치 (단위 : ㎚) 를 Rλ 라고 하고, 매트릭스의 리타데이션치 (단위 : ㎚) 를 A 라고 하고, 파장 λ 의 광에 의한 이색성 색소에 기초하는 리타데이션치 (단위 : ㎚) 를 Bλ 라고 했을 때에, 하기 식 (2) 및 (3) ; That is, the retardation value (unit: nm) of the polarizing film 2 measured by the light of wavelength? Nm is denoted by R ?, The retardation value (unit: nm) of the matrix is denoted by A, the retardation value which is based on a dichroic dye according to (unit: ㎚) when the called B λ, the following equation (2) and (3);

Rλ = A + Bλ (2)R ? = A + B ? (2)

Bλ = B'/(λ2 - 6002) (3)B ? = B '/ (? 2 - 600 2 ) (3)

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이들 식의 λ 에 측정 파장인 800 ㎚ 및 1000 ㎚ 를 각각 대입함으로써 얻어지는 하기 식 (2'), (3'), (2") 및 (3") ;(2 '), (3'), (2 '') and (3 '')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measured wavelengths of 800 nm and 1000 nm into? Of these equations, respectively.

R800 = A + B800 (2')R 800 = A + B 800 (2 ')

B800 = B'/(8002 - 6002) (3')B 800 = B '/ (800 2 - 600 2 ) (3')

R1000 = A + B1000 (2")R 1000 = A + B 1000 (2 ")

B1000 = B'/(10002 - 6002) (3")B 1000 = B '/ (1000 2 - 600 2 ) (3'')

의 연립 방정식을, 측정된 R800 및 R1000 의 값을 이용하여 풀어 매트릭스의 리타데이션치인 A 를 구하고, 이것을 편광 필름 (2) 의 두께 (단위 : ㎚) 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 여기서, B' 는 측정되는 편광 필름에 고유한 값이다.Can be obtained by dividing: (㎚ unit) of the system of equations, released by using a value of the measured R 800 and R 1000 to obtain a matrix of A hit retardation, this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2). Here, B 'is a value unique to the polarizing film to be measured.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성분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매트릭스가 PVA 를 포함하고, 또한 당해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평균 중합도의 PVA 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그러한 편광 필름은 결과적으로,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게 된다. 매트릭스의 조제의 용이함 등으로부터,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는, 3,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10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500 이상, 나아가 5,000 이상이어도 되고, 또한, 9,2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릭스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는, 편광 필름 (2) 를 소르비톨 수용액 등에 침지시키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수세를 실시하는 등을 하여 매트릭스가 포함하는 PVA 이외의 성분을 추출·제거하고, 잔존물로서 얻어진 PVA 를 이용하여, JIS K6726-1994 의 기재를 기초로 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component constituting the matrix,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rix contains PVA an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contained in the matrix is in the range of 2,800 to 9,500.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produced by employing PVA having such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as described later, and as a result,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as a result that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contained in the matrix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I will enter.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contained in the matrix is more preferably 3,000 or more, more preferably 4,000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4,100 or more, 4,500 or more, and even 5,000 or more, from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matrix and the like, More preferably 9,200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8,000 or le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6,000 or les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contained in the matrix is determined by extracting and removing components other than PVA contained in the matrix by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2 in a sorbitol aqueous solution or the like and further washing with water as necessary, Can be obtained on the basis of the description of JIS K6726-1994 by using the obtained PVA. Specifically, the PVA can be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later in Examples.

매트릭스에 있어서의 PVA 의 함유율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의 조제의 용이함 등으로부터, 50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함유율은, 8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99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8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릭스의 질량은 편광 필름 (2) 의 질량으로부터 이색성 색소의 질량을 뺌으로써 구해진다.The content of PVA in the matrix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from 50 mass% to 100 mass%, and the content is preferably 80 mass% or less, for ease of preparation of the polarizing film (2) More preferably 90%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99% by mass or less, further preferably 98% by mass or less. Further, the mass of the matrix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mass of the dichroic dye from the mass of the polarizing film (2).

편광 필름 (2) 및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의, 상기한 평균 중합도의 설명 이외의 PVA 의 설명 (비누화도의 설명을 포함한다) 으로는, 적층체 (1) 의 설명의 난에 있어서 상기한 PVA 의 설명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편광 필름 (2) 및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의 PVA 로는, 적층체 (1) 의 설명의 난에 있어서 바람직한 PVA 로서 상기한 팽윤도를 저하시키기 쉬운 PVA 를 사용할 필요는 특별히 없다.Examples of the PVA (including the description of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ther tha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n the polarizing film (2) and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2) to be described later include descriptions of the laminated product (1) , The description of the PVA described above can be adopted as it is, so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here. The PVA in the polarizing film (2) and the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2) to be described later need not use the PVA which is easy to lower the degree of swelling as a preferable PVA in the description of the layered product (1) There is no particular.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의 두께는,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 (2) 가 이와 같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휴대 전화 등의 박형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분야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지나치게 얇은 편광 필름은 그 조제가 곤란한 점에서, 편광 필름 (2) 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이상이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8 占 퐉 or less. By having the polarizing film 2 having such a thickness, the polarizing film 2 can be preferably used in a field where the demand for thinning of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is increasing.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2 is, for example, 1 占 퐉 or more, since it is difficult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having an excessively thin thickness.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Quot;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2) "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의하면,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특정한 범위에 있고,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를, 원활 또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a step of stretching the laminate having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the PVA layer to 5.7 times or more,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in the range of 2,800 to 9,500,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is within a specific range, and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is excellent,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little leakage can be produced smoothly and easily.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가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의 설명으로는, 적층체 (1) 의 설명의 난에 있어서 상기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의 설명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As the descrip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of the laminat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the description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described above can be employed as it is in the description of the laminate (1) Therefore,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가 갖는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는 2,800 이상 9,500 이하의 범위 내이고, 당해 평균 중합도는, 3,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1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0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000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또한, 9,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높아지면 연신시의 장력이 높아져 한계 연신 배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는 적층체를 연신하여 편광 필름을 얻는 데에 있어서, 상기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 PVA 를 사용하면, 예를 들어, 평균 중합도가 2,600 인 PVA 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한계 연신 배율이 저하하지 않고 오히려 향상되는 것, 및,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PVA 층을 갖고 또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는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을 제조하면,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종래보다 높은 45 × 10-3 이상의 편광 필름이, 원활 또한 간편하게 얻어지는 것을 알아냈다.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of the laminat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from 2,800 to 9,500, an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preferably 3,000 or more, more preferably 4,000 or more More preferably 4,100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4,500 or more, most preferably 5,000 or more, further preferably 9,200 or less, more preferably 8,000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6,000 or less. Generally,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is increased, it is considered that the tension at stretching becomes higher and the critical stretching magnification decreases. However,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in order to obtain a polarizing film by stretching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VA layer The use of PVA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sidered to be improved rather than lowering the critical stretch ratio as compared with, for example, PVA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600, And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is stretched by 5.7 times or more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is 45 x It has been found that a polarizing film of 10 < -3 > or more can be obtained smoothly and easily.

또한, PVA 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PVA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1994 의 기재를 기초로 구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used for forming the PVA layer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description of JIS K6726-1994, and specifically, it can be obtained by the method described later in Examples have.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가 갖는 PVA 층은, 적층체를 연신할 때의 연신성 향상의 관점에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가소제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글리세린,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고, PVA 층은 이들 가소제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연신성의 향상 효과의 관점에서 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The PVA layer included in the laminate used in the method (2)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preferably includes a plasticizer from the viewpoint of improvement in stretchability when the laminate is stretched. Examples of the plasticizer include polyhydric alcohols such as ethylene glycol, glycerin,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diglycerin,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trimethylolpropane, and the PVA layer may contain these plasticizers , And the like. Among these, glyceri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tretchability.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가 갖는 PVA 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거기에 포함되는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함유량이 1 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적층체의 연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당해 함유량이 15 질량부 이하임으로써, PVA 층이 지나치게 유연해져 취급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으로부터 PVA 층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상기 범위에 있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PVA 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이, PVA 100 질량부에 대하여 2 질량부 이상 13 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 나아가 4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 특히 5 질량부 이상 8 질량부 이하의 범위 내이면, 이유는 확실하지 않지만 한계 연신 배율이 보다 향상되는 점에서, 이와 같은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n the PVA layer of the laminat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part by mass or more and 15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PVA contained therein Do. When the content is 1 part by mass or more, the stretchability of the laminate can be further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ent is 15 parts by mass or les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VA layer from being excessively softened and deteriorate the handling property, or to prevent the PVA layer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s in the above range, the content of the plasticizer in the PVA layer is preferably not less than 2 parts by mass The reason is not clear, but the limit drawing magnification ratio is further improved in the range of not less than 13 parts by mass, further more than 4 parts by mass and not more than 12 parts by mass, particularly not less than 5 parts by mass and not more than 8 parts by mass, Such content is more preferable.

또한, 편광 필름의 제조 조건 등에 따라 다르기도 하지만, PVA 층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편광 필름을 제조할 때에 용출하는 등이 되기 때문에, 그 전체량이 편광 필름에 잔존한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plasticizer contained in the PVA layer may be eluted when the polarizing film is produced, etc., though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duction conditions of the polarizing film. Therefore, the total amount thereof is not limited to the polarizing film.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가 갖는 PVA 층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동결 방지제, pH 조정제, 은폐제, 착색 방지제, 유제, 계면 활성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The PVA layer of the laminat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may further contain components such as an antioxidant, a cryoprotectant, a pH adjuster, a masking agent, a coloring inhibitor, an oil agent and a surfactant .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가 갖는 PVA 층에 있어서의 PVA 의 함유율은, 원하는 편광 필름의 조제의 용이함 등으로부터, 5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함유율은, 75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5 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또한, 98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6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5 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PVA in the PVA layer of the laminat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50 mass% or more and 99 mas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ease of preparation of a desired polarizing film , More preferably at least 75 mass%,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80 mass%,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85 mass%, even more preferably at most 98 mass%, even more preferably at most 96 mass% By ma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95% by mass.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가 갖는 PVA 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00 ㎛ 이하로 할 수 있지만, 박형의 편광 필름을 용이하게 조제할 수 있는 점 등에서 PVA 층을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PVA 층의 두께는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서는 PVA 층이 상기와 같은 특정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PVA 층의 두께를 상기와 같이 얇게 해도 높은 한계 연신 배율로 연신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박형의 편광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한, PVA 층의 두께가 상기와 같이 얇은 경우에는 적층체를 연신할 때의 장력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PVA 층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적층체의 연신시에 연신 끊김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는 점에서, PVA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 이상이다.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of the laminat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00 탆 or less. However, in the point that a thin polarizing film can be easily prepared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PVA layer thin.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preferably 2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15 占 퐉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10 占 퐉 or less.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VA layer has such a specific constitutio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made as thi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tretched at a high critical stretching ratio, It is possible to obtain a thin polarizing film which is excellent in sensitivity and low in leakage of red light in cross-Nicol state. When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as thin 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tensile force at the time of stretching the laminate.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too small, the thickness of the PVA layer is, for example, 3 占 퐉 or more in that the stretching of the laminate tends to occur during stretching.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사용되는 상기 적층체에 관한 그 밖의 설명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의 조정 등도 포함한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설명을 포함한다) 으로는, 적층체 (1) 의 설명의 난에 있어서 상기한 적층체에 관한 설명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As another description of the laminate used in the method (2)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including a description of a method of producing a laminate including adjustment of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the laminate 1),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laminate can be adopted as it is, so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서는, 상기의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한다. 여기서, PVA 층에 미리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켜 두면, 적층체를 연신하는 것에 의해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 (2) 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적층체의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방법이나, PVA 층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한 원액에 미리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키는 방법 등을 적절히 채용할 수 있다. 또한, PVA 층에 미리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켜 두지 않는 경우에는, 적층체의 연신 중에 연신 도중에 있는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거나, 혹은, 적층체를 연신한 후에 (연신 전의) PVA 층으로부터 형성된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킴으로써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 (2) 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laminate is stretched to 5.7 times or more. Here, if the dichroic dye is previously contained in the PVA layer, the polarizing film (2)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to the matrix can be obtained by stretching the laminate. In this case, the method of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n the PVA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method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the PVA layer of the laminate, or a method of adding the dichroic dye to the PVA layer A method of previously incorporating a dichroic dye, and the like can be suitably employed. When the dichroic dye is not previously contained in the PVA layer, the dichroic dye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VA layer in the middle of the stretching during the stretching of the laminate, or after the stretching of the laminate (before stretching) The polarizing film 2 in which the dichroic dye is adsorbed to the matrix can be obtained by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the matrix formed from the dye.

상기한 어느 방법에 있어서도, 연신 및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처리 (염색) 외에, PVA 층의 불용화 처리, 팽윤 처리, 가교 처리, 고정 처리, 건조 등을 필요에 따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각 처리의 순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해도 되고, 또한 각 처리를 2 회 이상 실시해도 되고, 또한 상이한 처리를 동시에 실시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이 얻어지는데, 당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필요에 따라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In any of the method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treatment of bringing the dye into contact with the stretching and dichroic dye (dyeing), the PVA layer may be further subjected to insolubilization treatment, swelling treatment, crosslinking treatment, fixing treatment and drying. The order of each process may be changed as required, or each process may be performed two or more times, or different processes may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Further, 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ion method,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obtained, and it may include a step of peeling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if necessary.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의 일례로는, 먼저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지 않는 PVA 층을 갖는 적층체에 대하여 불용화 처리를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팽윤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킴으로써 PVA 층에 이색성 색소를 함유시키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가교 처리를 실시하고, 얻어진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정 처리를 실시하여, 건조시키고, 이들 일련의 처리에 의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을 얻어, 당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박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minate having the PVA layer not containing the dichroic dye is first subjected to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and, if necessary, further subjected to the swelling treatment, Then, the dichroic dy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chroic dye to bring the dichroic dye into the PVA layer. If necessary, the dichroic dye is further subjected to a crosslinking treatment. The resulting laminate is stretched to 5.7 times or more, Followed by drying and a series of treatments to obtain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peeling off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PVA 층의 불용화 처리는, 주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물에 대한 용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시된다. 당해 불용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적층체에 대하여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이나, 적층체를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적층체에 대하여 열처리를 실시하면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의 치수 변화에 수반하여 주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점에서,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처리는, 예를 들어 8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주름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열처리는 적층체에 장력을 가하면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수용액의 온도는, 20 ℃ 이상 40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22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38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를 20 ℃ 이상 40 ℃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PVA 의 용해를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불용화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시키는 시간으로는, 예를 들어, 0.1 분간 이상 5 분간 이하의 범위 내이다. 0.1 분간 이상 5 분간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불용화할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 있어서의 붕소 화합물의 농도는 0.5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6.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농도를 0.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PVA 의 용해를 방지하여 효율적으로 불용화할 수 있다.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of the PVA layer is mainly carried out in order to prevent elution of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nto water. Examples of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include a method of performing heat treatment on the laminate, a method of immersing the laminate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one or more kinds of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salt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 Among these methods, a method u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on compound is preferable in that heat treatment is applied to the laminate, which may cause wrinkling along with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The heat treatment can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within a range of, for example, 80 ° C or higher and 200 ° C or lower.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wrinkles, the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carried out while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laminate. Further, in the method us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on compound, the temperature of the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 C to 40 ° C, more preferably 22 ° C or more, further preferably 25 ° C or more, More preferably 38 DEG C or lower, and still more preferably 35 DEG C or lower. By keeping the temperature within the range of 20 ° C or higher and 40 ° C or lower, dissolution of PVA can be prevented and the PVA can be insolubilized efficiently. The time for immersing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on compound is, for example, within a range from 0.1 minute to 5 minutes. It can be effectively insolubilized by keeping the temperature within 0.1 minute to 5 minutes. The concentration of the boron compound in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on compound is preferably 0.5%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6.0% More preferably 5.0% by mas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4.0% by mass or less. By keeping the concentration within the range of 0.5% by mass or more and 6.0% by mass or less, dissolution of PVA can be prevented, and insolubility can be efficiently ensured.

PVA 층의 불용화 처리는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처리 전, 나아가 팽윤 처리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of the PVA layer is preferably carried out before the dichroic dye is contacted, and furthermore before the swelling treatment.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의, 팽윤 처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처리 (염색), 및, 가교 처리의 각 설명으로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의 설명의 난에 있어서 상기한 팽윤 처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처리 (염색), 및, 가교 처리의 각 설명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In the explanation of each of the swelling treatment, the treatment (dying) for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crosslinking treatment 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The description of the swelling treatment, the treatment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dyeing), and the cross-linking treatment can be adopted as they are, so the overlapping description is omitted here.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 적층체를 연신할 때의 연신 방법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습식 연신법 및 건식 연신법 중 어느 것으로 실시해도 된다. 습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붕산, 붕사 등의 붕산염 등의 붕소 화합물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포함하는 수용액 중에서 실시할 수도 있고, 상기한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용액 중이나 후술하는 고정 처리욕 중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건식 연신법의 경우에는, 실온인 채로 연신을 실시해도 되고, 열을 가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흡수 후에 연신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두께의 균일성의 점에서 습식 연신법이 바람직하고,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붕산 수용액 중에 있어서의 붕산의 농도는 0.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농도는, 1.0 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5.0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붕산의 농도가 0.5 질량% 이상 6.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폭 방향의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한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은 요오드화칼륨을 함유해도 되고, 그 농도는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칼륨의 농도가 0.01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편광 성능이 보다 양호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In the method (2)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the stretching method for stretching the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carried out by any of a wet stretching method and a dry stretch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wet stretching method, it may be carried out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kinds of boron compounds such as boric acid salts such as boric acid and borax. In the solution containing the dichroic dye or in a fixed treatment bath . In the case of the dry stretching method,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or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while heat is applied, or the stretching may be performed after absorption. Among them, the wet stretching metho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and it is more preferable to stretch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in the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by mass to 6.0% by mass,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1.5% by mass or more, Or less, more preferably 4.0 mass% or less. When the boric acid concentration is in the range of 0.5% by mass or more and 6.0% by mass or less, a polarizing film having excellent thickness uniformity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obtained. The aqueous solution containing the boron compound may contain potassium iodide, and the concentration thereof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1% by mass or more and 10% by mass or less. Since the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is in the range of 0.01 mass% or more and 10 mass% or less, a polarizing film having better polariz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적층체를 연신할 때의 온도는, 3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당해 온도는, 4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8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온도가 30 ℃ 이상 90 ℃ 이하의 범위 내임으로써 폭 방향의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진다.The temperature at which the laminate is draw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DEG C to 90 DEG C, more preferably 40 DEG C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50 DEG C or more, and more preferably 80 DEG C or less More preferably 70 DEG C or less. When the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30 占 폚 to 90 占 폚, a polarizing film excellent in thickness uniformity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는,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할 필요가 있고, 5.8 배 이상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9 배 이상으로 연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연신 배율을 상기의 범위 내로 함으로써,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종래보다 높아,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편광 필름 (2) 를, 원활 또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적층체의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8 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체의 연신은 한 번에 실시해도 되고, 복수회로 나누어 실시해도 되고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복수회로 나누어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 연신의 연신 배율을 곱한 총연신 배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연신 전의 적층체의 길이에 기초하는 것으로, 연신을 하지 않은 상태가 연신 배율 1 배에 상당한다.In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stretch the laminate to 5.7 times or more, preferably 5.8 time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5.9 times or more. By sett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laminate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polarizing film (2) having a higher birefringence index of the matrix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having less polarizing performance and less leakage of red light in the cross-Nicol state can be produced smoothly and easily . The upper limit of the draw ratio of the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8 times or less. The stretching of the laminate may be carried out at one time or may be carried out in a plurality of circuits or any of them. In the case of dividing the laminate into a plurality of circuits, the total stretch ratio multiplied by the stretch ratio of each stretch may be within the above range. The drawing magnification in this specification is based on the length of the laminate before drawing, and the state without drawing is equivalent to a drawing magnification of 1 time.

적층체의 연신은, 얻어지는 편광 필름의 성능의 관점에서 1 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장척의 적층체를 연신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1 축 연신의 방향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이나 횡 1 축 연신을 채용할 수 있지만, 편광 성능이 보다 우수한 편광 필름이 얻어지는 점에서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장척 방향으로의 1 축 연신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롤을 구비하는 연신 장치를 사용하여, 각 롤 사이의 주속을 바꿈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한편, 횡 1 축 연신은 텐터형 연신기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tretching of the laminate is preferably uniaxial stretching in view of the performance of the resulting polarizing film.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direction of uniaxial stretching in the case of elongating the elongated laminate. Un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can be adopted, but a polarizing film having better polarizing performance can be obtained The un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able. The uniaxial stretch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arried out by changing the peripheral velocity between the rolls by using a stretch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rolls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ransverse uniaxial stretching can be carried out using a tenter-type stretching machine.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있어서의, 고정 처리, 및, 건조의 각 설명으로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의 설명의 난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처리, 및, 건조의 각 설명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fixing process and drying in the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2), the description of the fixing process and the drying in the description of the polarizing film producing method (1)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이상과 같이 함으로써,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 (2) 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형태의 편광 필름의 사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박리하지 않고, 그것을 그대로,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편광 필름측에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보호막을 첩합하여 편광판으로 해도 되고,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보호막을 첩합한 후에, 당해 연신된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박리하고, 그것을 그대로, 또는 원하는 바에 따라 박리면에 다른 보호막을 첩합하여 편광판으로 해도 된다. 보호막으로는, 삼아세트산셀룰로오스 (TAC) 필름, 아세트산·부티르산셀룰로오스 (CAB)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첩합을 위한 접착제로는, PVA 계 접착제나 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PVA 계 접착제가 바람직하다.In this way, the polarizing film 2 formed on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obtained. The method of using the polarizing film of this ty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se a polarizing film having optical transparency and mechanical strength on the polarizing film side as it is or without being peeled off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The protective film may be laminated to form a polarizing plate. Alternatively, after the protective film is bonded to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located, the stretched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is peeled off, Another protective film may be laminated to form a polarizing plate. As the protective film, a cellulose triacetate (TAC) film, an acetic acid-butyric acid cellulose (CAB) film, an acrylic film, a polyester film, or the lik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adhesive for bonding include a PVA adhesive and a urethane adhesive, but a PVA adhesive is preferre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참고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채용된 각 측정 또는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t all by these examples. The measurement or evaluation methods employed in the following Reference Examples,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below.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의 측정Measurement of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쿄와 계면 과학 주식회사 제조 「DropMaster500」 을 사용하여, 20 ℃, 65 %RH 의 환경하에서, 내경 0.4 ㎜ 의 바늘로부터 2 ㎕ 의 순수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압출하여 접촉각을 측정하였다.2 쨉 l of pure water was extruded from the needle having an inner diameter of 0.4 mm onto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under the environment of 20 캜 and 65% RH by using "DropMaster 500" manufactured by Kyowa Interface Science Co., Ltd. and the contact angle was measured.

PVA 층의 팽윤도의 측정Measurement of swelling degree of PVA layer

이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 얻어진 적층체를 적당한 크기 (예를 들어 300 ㎠ 정도) 로 잘라, 30 ℃ 의 1,000 g 의 증류수에 30 분간 침지시켰다. 그 후, 적층체를 취출하여, 여과지로 표면의 물을 제거하고, 질량을 측정하였다 (그 질량을 A 라고 한다). 계속해서, 이 적층체를 105 ℃ 에서 16 시간 건조시키고, 질량을 측정하였다 (그 질량을 B 라고 한다). 또한, 건조 후의 적층체를 95 ℃ 의 열수로 6 시간 자비하여 PVA 층을 용해시키고, 남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을 105 ℃ 에서 16 시간 건조시켜, 질량을 측정하였다 (그 질량을 C 라고 한다). PVA 층의 팽윤도 S (%) 는, 하기 식 (4) 로 산출하였다.The laminate obtained in the following examples or comparative examples was cut into a suitable size (for example, about 300 cm 2), and immersed in 1,000 g of distilled water at 30 ° C for 30 minutes. Thereafter, the laminate was taken out, water on the surface was removed with a filter paper, and its mass was measured (its mass was referred to as A). Subsequently, this laminate was dried at 105 DEG C for 16 hours, and the mass thereof was measured (its mass is referred to as B). Further, the dried laminate was blended with hot water at 95 DEG C for 6 hours to dissolve the PVA layer, and the remaining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was dried at 105 DEG C for 16 hours, and its mass was measured (its mass is referred to as C). The swelling degree S (%) of the PVA layer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S = 100 × (A - C)/(B - C) (4)S = 100 x (A - C) / (B - C) (4)

PVA 의 평균 중합도의 측정Measurement of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JIS K6726-1994 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단, 시험 용액으로는, PVA 0.28 g, 증류수 70 g, 및 교반자를, 100 ㎖ 교체가능한 그라운드 조인트 삼각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마개를 닫고, 95 ℃ 의 항온조에 침지시키고, 교반자로 교반하면서 PVA 를 용해시킴으로써 농도 약 0.4 질량% 의 PVA 수용액으로 하고, 이것을 부흐너 깔때기형 유리 여과기 3G 로 여과하고, 30 ℃ 의 항온 수조 중에서 냉각시킨 것을 사용하였다.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JIS K6726-1994. As the test solution, 0.28 g of PVA, 70 g of distilled water, and a stirrer were placed in a 100 ml replaceable ground joint Erlenmeyer flask, the stopper was closed, the resultant was immersed in a thermostatic chamber at 95 ° C, and the PVA was dissolved with stirring A PVA aqueous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about 0.4% by mass was used, which was filtered with a Buchner funnel-type glass filter 3G and cooled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30 캜.

편광 필름의 두께의 측정 (1)Measurement of thickness of polarizing film (1)

디지털 게이지 (마그네스케일사 제조 「DE12BR」) 를 이용하여, 편광 필름의 임의의 위치 (5 개 지점) 에서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편광 필름의 두께 (1) 로 하였다.The thickness at an arbitrary position (five points) of the polarizing film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gauge (" DE12BR " manufactured by Magnescape), and the average value was defined as the polarizing film thickness (1).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의 측정Measurement of birefringence of matrix

이하의 참고예,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 얻어진 편광 필름에 대하여, 셀 갭 검사 장치 (오오츠카 전자 주식회사 제조 「RETS-1100」) 를 이용하여, 파장 800 ㎚ 및 1,000 ㎚ 의 광에 의한 리타데이션치를 측정하였다. 측정 위치는 편광 필름의 폭 방향 (1 축 연신한 방향에 대하여 수직의 필름면 내에 있어서의 방향) 의 중앙부를 통과하는 길이 방향 (1 축 연신한 방향) 의 직선 상의 임의의 5 점으로 하였다. 그리고, 파장 800 ㎚ 의 광에 의해 측정되는 5 개의 리타데이션치의 평균치를 상기 식 (2') 에 있어서의 R800 으로 하고, 파장 1,000 ㎚ 의 광에 의해 측정되는 5 개의 리타데이션치의 평균치를 상기 식 (2") 에 있어서의 R1000 으로 하여, 상기 식 (2'), (3'), (2") 및 (3") 의 연립 방정식을 풀어 매트릭스의 리타데이션치인 A (단위 : ㎚) 를 구하고, 이것을, 후술하는 「편광 필름의 두께의 측정 (2)」 로 측정되는 편광 필름의 두께 (5 개 지점의 평균치, 단위를 ㎚ 로 환산한 것) 로 나눔으로써,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을 구하였다.Retardation due to light having wavelengths of 800 nm and 1,000 nm was measured using a cell gap inspecting apparatus (" RETS-1100 " manufactured by Otsuka Electronics Co., Ltd.) for the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the following Reference Examples, Respectively. The measurement positions were arbitrary five points on a straight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noaxially stretched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olarizing film in the width direction (direction in the film plane perpendicular to the uniaxial stretching direction). The average value of the five retardations measured by the light having the wavelength of 800 nm is represented by R 800 in the formula (2 '),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five retardations measured by the light having the wavelength of 1,000 nm is represented by the formula a: (㎚ unit) (2 ") to the R 1000, the above formula (2 ', 3'), (2 in.") and (3 ") releasing the simultaneous equations hit by the matrix retardation a of , And the birefringence index of the matrix was obtained by dividing this by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verage value at five points, unit converted to nm) measured by "Measurement of thickness of polarizing film (2)" .

편광 필름의 두께의 측정 (2)Measurement of thickness of polarizing film (2)

디지털 게이지 (마그네스케일사 제조 「DE12BR」) 를 이용하여, 상기한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의 측정에 있어서의 리타데이션치의 측정 위치 (5 개 지점) 에서의 편광 필름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편광 필름의 두께 (2) 로 하였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film at the measurement position (five points) of the retardation in the measurement of the birefringence index of the above-mentioned matrix was measured using a digital gauge (" DE12BR " And the thickness of the film (2).

편광 성능의 평가Evaluation of polarization performance

(a) 투과율 Ts 의 측정(a) Measurement of transmittance Ts

이하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 얻어진 편광 필름의 폭 방향의 중앙부로부터, 편광 필름의 폭 방향으로 2 ㎝ × 길이 방향으로 2 ㎝ 의 정방형의 샘플을 2 장 채취하고, 적분구가 부착된 분광 광도계 (니혼 분광 주식회사 제조 「V7100」) 를 이용하여, JIS Z 8722 (물체색의 측정 방법) 에 준거하여, C 광원, 2°시야의 가시광 영역의 시감도 보정을 실시하고, 1 장의 샘플에 대하여,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과 -45°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치 Ts1 (%) 을 구하였다. 다른 1 장의 샘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45°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과 -45°기울인 경우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치 Ts2 (%) 를 구하였다. 하기 식 (5) 에 의해 Ts1 과 Ts2 를 평균하고, 편광 필름의 투과율 Ts (%) 로 하였다.Two samples each having a square of 2 c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and 2 c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ere collected from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a spectrophotometer The visual sensitivity of the C light source and the visible light region in the visible range of 2 degrees were corrected in accordance with JIS Z 8722 (measurement method of object color) by using Nikon Spectrometer Co., Ltd., "V7100" The transmittance of light when tilted at 45 ° and the transmittance of light when tilted at -45 ° were measured to obtain an average value Ts1 (%) thereof. In the same manner for the other one sample, the transmittance of light at an angle of 45 DEG and the transmittance of light at an angle of -45 DEG were measured, and their average value Ts2 (%) was determined. Ts1 and Ts2 were averaged by the following equation (5) to obtain the transmittance Ts (%) of the polarizing film.

Ts = (Ts1 + Ts2)/2 (5)Ts = (Ts1 + Ts2) / 2 (5)

(b) 편광도 V 의 측정(b) Measurement of polarization degree V

상기 투과율 Ts 의 측정에서 채취한 2 장의 샘플을, 그 길이 방향이 평행해지도록 겹친 경우의 광의 투과율 T// (%),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겹친 경우의 광의 투과율 T⊥ (%) 를, 상기 「(a) 투과율 Ts 의 측정」 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측정하고, 하기 식 (6) 에 의해 편광도 V (%) 를 구하였다.The transmittance T // (%) of the light in the case where the two samples taken in the measurement of the transmittance Ts are overlapped so that their lengthwise directions becom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transmittance T⊥ (% Measurement was made in the same manner as in "(a) Measurement of transmittance Ts",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V (%) was obta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6).

V = {(T// - T⊥)/(T// + T⊥)}1/2 × 100 (6)V = {(T // - T?) / (T // + T?)} 1/2 100 (6)

(c) 투과율 44 % 시의 이색성비의 산출(c) Calculation of dichroism ratio at 44% transmittance

이하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요오드계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에 대한 침지 시간을 1 ∼ 2 분간의 범위 내에서 1 분간에서 4 회 변경하여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고,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 제조한 편광 필름과는 이색성 색소의 흡착량이 상이한 4 장의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들 4 장의 편광 필름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한 방법으로 투과율 Ts (%) 및 편광도 V (%) 를 구하고, 각 실시예 및 비교예별로, 투과율 Ts (%) 를 가로축, 편광도 V (%) 를 세로축으로 하여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 얻어진 편광 필름의 투과율 Ts (%) 및 편광도 V (%) 에 기초하는 1 점도 포함한 합계 5 점을 그래프에 플롯하여 근사 곡선을 구하고, 당해 근사 곡선으로부터, 투과율 Ts (%) 가 44 % 일 때의 편광도 V44 (%) 를 구하였다.In each of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immersion time for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n iodine dye was changed from 1 minute to 4 times within a range of 1 to 2 minutes, and the same operation was carried out. To prepare four polarizing films having different adsorption amounts of the dichroic dye. The transmittance Ts (%)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 were determined for each of these four polarizing films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the transmittance Ts (% And a point based on the transmittance Ts (%) and the polarization degree V (%) of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n the ordinate axis were plotted on a graph to obtain an approximate curve. From the approximate curve ,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V 44 (%) when the transmittance Ts (%) was 44%.

얻어진 편광도 V44 (%) 로부터, 하기 식 (7) 에 의해 투과율 44 % 시의 이색성비를 구하여, 편광 성능의 지표로 하였다.The dichroism ratio at the transmittance of 44% was determined from the obtained degree of polarization V 44 (%) by the following formula (7), and the index was used as an index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투과율 44 % 시의 이색성비 = log (44/100 - 44/100 × V44/100)/log (44/100 + 44/100 × V44/100) (7)Transmission dichroic ratio at the time of 44% = log (44/100 - 44/100 × V 44/100) / log (44/100 + 44/100 × V 44/100) (7)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의 평가Evaluation of Leakage of Red Light in Cross-Nicol State

이하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별로, 각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 얻어진 편광 필름 1 장과, 상기 편광 성능의 평가에 있어서의 「(c) 투과율 44 % 시의 이색성 비의 산출」 로 얻어진 편광 필름 4 장의 합계 5 장의 편광 필름에 대하여, 파장 700 ㎚ 의 광의 직교 투과율 T700⊥ (%) 를 측정하였다. 즉, 상기 편광 성능의 평가로 얻은 5 조의 샘플 각각에 대하여, 2 장의 샘플을 길이 방향이 직교하도록 겹치고, 적분구가 부착된 분광 광도계 (니혼 분광 주식회사 제조 「V7100」) 를 이용하여, 일방의 샘플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기울인 경우의 파장 700 ㎚ 의 광의 투과율과 -45°기울인 경우의 파장 700 ㎚ 의 광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그들의 평균치를 T700⊥ (%) 라고 하였다.One polarizing film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polarizing film obtained by the calculation of the dichroism ratio at the time of (c) transmissivity of 44% in the evaluation of the polarizing performance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 700 ⊥ (%)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700 nm was measured for five polarizing films in total, four films. That is, for each of five samples obtained by the evaluation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two samples were superimpo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s thereof wer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a spectrophotometer ("V7100" manufactured by Nihon Spectroscopy Co., Ltd.) the measurement of the transmittance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700 cases ㎚ length with respect to a direction inclined ㎚ wavelength 700 of light transmittance and -45 ° in the case of the 45 ° tilt, and as their average value T 700 ⊥ (%).

그리고, 상기 편광 성능의 평가로 구한 투과율 Ts (%) 를 가로축, 파장 700 ㎚ 의 광의 직교 투과율 T700⊥ (%) 를 세로축으로 하여 합계 5 점을 그래프에 플롯하여 근사 곡선을 구하고, 당해 근사 곡선으로부터, 투과율 Ts (%) 가 44 % 일 때의 파장 700 ㎚ 의 광의 직교 투과율 T70044 (%) 를 구하였다. 당해 T70044 (%) 가 낮을 때에 적색광의 누출이 적다고 평가하였다.Then, an approximate curve is obtained by plotting a total of five points on the graph, assuming that the transmittance Ts (%) obtained by the evaluation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is plotted on the abscissa axis and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 700 ⊥ (%) of the light with a wavelength of 700 nm is plotted on the ordinate axis, , The orthogonal transmittance T 70044 (%) of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700 nm when the transmittance Ts (%) was 44% was determined. It was evaluated that the leakage of red light was small when the T 70044 (%) was low.

[실시예 1][Example 1]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친수화 처리(1) Hydrophilization treatment of thermoplastic resin film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테이진 화성 주식회사 제조 A-PET 시트 FR 두께 150 ㎛) 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편면에 방전량 280 W·분/㎡ (출력 280 W/m, 처리 속도 1.0 m/분) 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 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은 60° 였다 (코로나 처리 전의 접촉각은 79°).As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PET sheet FR thickness 150 占 퐉, manufactured by Teijin Co., Ltd.) was used and a discharge amount 280 W / min / m 2 (output 280 W / m , Processing speed: 1.0 m / min).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fter the corona treatment was 60 占 (the contact angle before the corona treatment was 79 占).

(2) 원액의 조제(2) Preparation of stock solution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8 몰%, 에틸렌 함유량 2.5 몰%, 1,2-글리콜 결합량 1.6 몰% 의 PVA (아세트산비닐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100 질량부, 가소제로서 글리세린 6 질량부 및 물로 이루어지는 PVA 농도가 10 질량% 인 수용액을 조제하여 PVA 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액으로 하였다.100 parts by mass of PVA (saponified c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ethylene)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400, a saponification degree of 99.8 mol%, an ethylene content of 2.5 mol% and a 1,2-glycol bond content of 1.6 mol%, 6 parts by mass of glycerin And water was prepared as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PVA concentration of 10 mass% to prepare a PVA layer.

(3) 적층체의 제작(3) Fabrication of laminate

(1) 에서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2) 에서 조제한 원액을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한 후, 80 ℃ 에서 240 초간 건조시킴으로써,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과 두께가 6 ㎛ 인 PVA 층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의 적층체 (폭 0.5 m 의 장척의 적층체) 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PVA 층의 팽윤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2) was coated on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subjected to the hydrophilization treatment in (1) using a die coater and then dried at 80 DEG C for 240 seconds to form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layer (Having a width of 0.5 m) of a PVA layer having a thickness of 6 mu m was prepared.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was measured for the resulting laminate.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4) 편광 필름의 제조(4)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3) 에서 제작한 적층체에 대하여, 팽윤 처리, 염색, 1 축 연신, 건조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즉, 팽윤 처리로서 적층체를 증류수에 1 분간 침지시켰다. 이어서, 요오드계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 (사용되는 요오드의 농도 : 0.3 질량%, 사용되는 요오드화칼륨의 농도 : 2.1 질량%, 온도 : 30 ℃) 에 1 분간 침지시켜 PVA 층에 요오드계 색소를 함유시켰다. 계속해서, 붕산 수용액 (붕산 농도 : 4 질량%, 요오드화칼륨 농도 : 6 질량%, 온도 : 65 ℃) 중에서 장척 방향으로 한계까지 1 축 연신하였다. 또한, 미리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하여 절단되는 배율을 확인해 두고, 그 절단된 배율로부터 0.20 배 낮은 배율을 상기의 한계로 하였다. 그 후, 60 ℃ 에서 1 분간 건조시켜, 연신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이로부터 연신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을 박리하고, 얻어진 편광 필름에 대하여, 두께 (1) 및 편광 성능의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1 에 나타냈다.The laminate produced in (3) was subjected to swelling treatment, dyeing, uniaxial stretching, and drying treatment in this order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Namely, as a swelling treatment,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for 1 minute. Subsequently,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dye (concentration of iodine to be used: 0.3 mass%,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used: 2.1 mass%, temperature: 30 ° C) for 1 minute to contain an iodine dye in the PVA layer . Subsequently, the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to the lim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boric acid concentration: 4 mass%,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6 mass%, temperature: 65 占 폚). Further, the magnification to be cut by stretching by the same method in advance was confirmed, and the magnification which was 0.20 times lower than the cut magnification was defined as the above limit. Thereafter, the film was dried at 60 DEG C for 1 minute to obtain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stretche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layer. The stretche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yer was peeled from the film, and the thickness (1) and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were measured or evaluated for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실시예 2 ∼ 4][Examples 2 to 4]

PVA 의 에틸렌 함유량 및 1,2-글리콜 결합량을 표 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어 PVA 층의 팽윤도의 측정을 실시함과 함께, 그 적층체로부터 편광 필름 (연신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을 박리한 것) 을 얻어, 두께 (1) 및 편광 성능의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1 에 나타냈다.Except that the ethylene content and the 1,2-glycol bond amount of PVA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nd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was measured, A polarizing film (obtained by delaminating a stretche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yer) was obtained, and thickness (1) and polarization performance were measured or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PVA 의 에틸렌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어 PVA 층의 팽윤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그 적층체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작하고자 한 결과, 팽윤 처리시에 PVA 층에 포함되는 PVA 가 용출되었기 때문에, 편광 필름을 제작할 수 없었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냈다.A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ethylene content of the PVA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1, and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was measured. Furth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when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from the laminat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was eluted at the time of swelling treatment, so that a polarizing film could not be produc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PVA 의 에틸렌 함유량을 표 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체를 얻어 PVA 층의 팽윤도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그 적층체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작한 결과, 염색성이 나쁘고, 불균일이 있었기 때문에, 두께 (1) 의 측정만 실시하고, 편광 성능의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1 에 나타냈다.A laminate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ethylene content of the PVA was changed as shown in Table 1, and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was measured. Furth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from the laminate, and as a result, only the thickness (1) was measured, and evaluation of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was not performed because the dyeability was bad and uneven.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실시예 1 ∼ 4 에서는, PVA 층의 팽윤도가 180 % 이상 260 % 이하의 범위 내에 있었기 때문에,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과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에서는, PVA 층의 팽윤도가 260 % 보다 높았기 때문에, 편광 필름 제조시에 PVA 층에 포함되는 PVA 가 용출되어, 편광 필름을 제작할 수 없고, 또한 비교예 2 에서는, PVA 층의 팽윤도가 180 % 보다 낮았기 때문에, 불균일이 있는 편광 필름이 되었다.In Examples 1 to 4,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was in the range of 180% or more and 260% or less. Therefore, even though the insolubilization treatment such as dipping or air high temperature stretching was not previously performed for the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 polarizing film could be produced.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since 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PVA layer was higher than 260%, the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was eluted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polarizing film and the polarizing film could not be produced. In Comparative Example 2, Since the degree of swelling was lower than 180%, the polarizing film became nonuniform.

[참고예 1][Referential Example 1]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8 몰% 의 PVA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의 비누화물) 100 질량부, 가소제로서 글리세린 12 질량부 및 물로 이루어지는 휘발분율 66 질량% 의 수용액을 원액으로 하고, 이것을 T 다이로부터 95 ℃ 의 제 1 건조 롤 상에 막상으로 토출하고, 제 1 건조 롤 상에서 휘발분율이 22 질량% 가 될 때까지 건조시키고, 제 1 건조 롤로부터 박리하고, 후속하는 복수의 80 ℃ 의 건조 롤에 의해 추가로 건조를 실시한 후, 110 ℃ 의 열처리 롤에 의해 열처리하여, 두께 60 ㎛ 의 단층의 PVA 필름 (폭 0.5 m 의 장척의 필름) 을 얻었다.100 parts by mass of PVA (saponified vinyl acetate homopolymer)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4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8 mol%, 12 parts by mass of glycerin as a plasticizer and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volatile fraction of 66% by mass composed of water were used as an undiluted solution, Dried on a first drying roll at 95 ° C until it had a volatile fraction of 22% by mass on the first drying roll, peeled off from the first drying roll, and dried on a plurality of subsequent drying rolls at 80 ° C Followed by heat treatment by a heat treatment roll at 110 캜 to obtain a single-layer PVA film (long film having a width of 0.5 m) having a thickness of 60 탆.

이 PVA 필름에 대하여, 팽윤 처리, 염색, 1 축 연신, 건조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즉, PVA 필름을 30 ℃ 의 물에 1 분간 침지시켰다. 이어서, 요오드계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 (사용되는 요오드의 농도 : 0.3 질량%, 사용되는 요오드화칼륨의 농도 : 2.1 질량%, 온도 : 30 ℃) 에 1 분간 침지시켜 PVA 필름에 요오드계 색소를 함유시켰다. 계속해서, 붕산 수용액 (붕산 농도 : 4 질량%, 요오드화칼륨 농도 : 6 질량%, 온도 : 55 ℃) 중에서 장척 방향으로 한계까지 1 축 연신하였다. 또한, 미리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하여 절단되는 배율을 확인해 두고, 그 절단된 배율로부터 0.20 배 낮은 배율을 상기의 한계로 하였다. 그 후, 60 ℃ 에서 4 분간 건조시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이 편광 필름에 대하여, 매트릭스의 복굴절률 및 두께 (2) 의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2 에 나타냈다.This PVA film was subjected to swelling treatment, dyeing, uniaxial stretching, and drying treatment in this order to produce a polarizing film. That is, the PVA film was immersed in water at 30 DEG C for 1 minute. Subsequently,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dye (concentration of iodine to be used: 0.3 mass%,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used: 2.1 mass%, temperature: 30 ° C) for 1 minute to contain the iodine dye in the PVA film . Subsequently, the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to the limit in an elongated direction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boric acid concentration: 4 mass%,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6 mass%, temperature: 55 ° C). Further, the magnification to be cut by stretching by the same method in advance was confirmed, and the magnification which was 0.20 times lower than the cut magnification was defined as the above limit. Thereafter, the film was dried at 60 DEG C for 4 minutes to obtain a polarizing film. The birefringence index and the thickness (2) of the matrix were measured for each polarizing film.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참고예 2 ∼ 4][Reference Examples 2 to 4]

표 2 에 나타낸 평균 중합도를 갖는 PVA (비누화도 99.8 몰%,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의 비누화물) 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을 얻어, 매트릭스의 복굴절률 및 두께 (2) 의 각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2 에 나타냈다.A polarizing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Reference Example 1 except that PVA (saponification degree of saponification degree: 99.8 mol%, homopolymer of saponification product of vinyl acetate)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shown in Table 2 was used to obtain a birefringent index and thickness (2)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참고예 1 ∼ 4 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단층의 PVA 필름으로부터 편광 필름을 제조한 경우에는, PVA 의 평균 중합도가 높아짐에 따라, 한계 연신 배율이 저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참고예 1 ∼ 4 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에서는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낮았다.As is clear from Reference Examples 1 to 4, when the polarizing film was produced from the single-layer PVA film, it was found that the limiting stretch ratio decreased a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increased. In the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Reference Examples 1 to 4,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was low.

[실시예 5][Example 5]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친수화 처리(1) Hydrophilization treatment of thermoplastic resin film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테이진 화성 주식회사 제조 A-PET 시트 FR 두께 150 ㎛) 을 이용하여,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편면에 방전량 280 W·분/㎡ (출력 280 W/m, 처리 속도 1.0 m/분) 로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 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표면의 접촉각은 60° 였다 (코로나 처리 전의 접촉각은 79°).As a thermoplastic resin film,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A-PET sheet FR thickness 150 占 퐉, manufactured by Teijin Co., Ltd.) was used and a discharge amount 280 W / min / m 2 (output 280 W / m , Processing speed: 1.0 m / min). Th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after the corona treatment was 60 占 (the contact angle before the corona treatment was 79 占).

(2) 원액의 조제(2) Preparation of stock solution

평균 중합도 5,500, 비누화도 99.8 몰% 의 PVA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의 비누화물) 100 질량부, 가소제로서 글리세린 12 질량부 및 물로 이루어지는 PVA 농도가 5 질량% 인 수용액을 조제하여 PVA 층을 형성하기 위한 원액으로 하였다.100 parts by mass of PVA (saponified vinyl acetate homopolymer)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5,500 and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8 mol%, 12 parts by mass of glycerin as a plasticizer and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5% by mass of PVA concentration in water were prepared to form a PVA layer .

(3) 적층체의 제작(3) Fabrication of laminate

(1) 에서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2) 에서 조제한 원액을 다이 코터를 이용하여 도공한 후, 80 ℃ 에서 240 초간 건조시킴으로써,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과 두께가 6 ㎛ 인 PVA 층으로 이루어지는 2 층 구조의 적층체 (폭 0.5 m 의 장척의 적층체) 를 제작하였다.(2) was coated on the corona-treated surface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subjected to the hydrophilization treatment in (1) using a die coater and then dried at 80 DEG C for 240 seconds to form an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layer (Having a width of 0.5 m) of a PVA layer having a thickness of 6 mu m was prepared.

(4) 편광 필름의 제조(4)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3) 에서 제작한 적층체에 대하여, PVA 층의 불용화 처리, 염색, 1 축 연신, 건조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즉, PVA 층의 불용화 처리로서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농도 : 3 질량%, 온도 : 30 ℃) 에 1 분간 침지시켰다. 이어서, 요오드계 색소를 함유하는 수용액 (사용되는 요오드의 농도 : 0.3 질량%, 사용되는 요오드화칼륨의 농도 : 2.1 질량%, 온도 : 30 ℃) 에 1 분간 침지시켜 PVA 층에 요오드계 색소를 함유시켰다. 계속해서, 붕산 수용액 (붕산 농도 : 4 질량%, 요오드화칼륨 농도 : 6 질량%, 온도 : 65 ℃) 중에서 장척 방향으로 한계까지 1 축 연신하였다. 또한, 미리 동일한 방법으로 연신하여 절단되는 배율을 확인해 두고, 그 절단된 배율로부터 0.20 배 낮은 배율을 상기의 한계로 하였다. 그 후, 60 ℃ 에서 1 분간 건조시켜, 연신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 상에 형성된 편광 필름을 얻었다. 이로부터 연신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을 박리하고, 얻어진 편광 필름에 대하여, 매트릭스의 복굴절률, 두께 (2), 편광 성능 및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의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3 에 나타냈다.(3), the PVA layer was subjected to insolubilization treatment, dyeing, uniaxial stretching and drying treatment in this order to prepare a polarizing film. Namely, as a treatment for insolubilizing the PVA layer,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concentration: 3 mass%, temperature: 30 ° C) for 1 minute. Subsequently,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dye (concentration of iodine to be used: 0.3 mass%, concentration of potassium iodide used: 2.1 mass%, temperature: 30 ° C) for 1 minute to contain an iodine dye in the PVA layer . Subsequently, the film was uniaxially stretched to the lim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n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boric acid concentration: 4 mass%, potassium iodide concentration: 6 mass%, temperature: 65 占 폚). Further, the magnification to be cut by stretching by the same method in advance was confirmed, and the magnification which was 0.20 times lower than the cut magnification was defined as the above limit. Thereafter, the film was dried at 60 DEG C for 1 minute to obtain a polarizing film formed on the stretche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layer. From this, the stretche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yer was peeled off, and the obtained polarizing film was measured or evaluated for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the thickness (2),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the leakage of red light in the cross-Nicol state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실시예 6 ∼ 14 및 비교예 3 ∼ 7][Examples 6 to 14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7]

PVA (비누화도 99.8 몰%,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의 비누화물) 의 평균 중합도 및 글리세린의 함유량을 표 3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연신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을 박리한 것) 을 얻어, 매트릭스의 복굴절률, 두께 (2), 편광 성능 및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의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3 에 나타냈다.Except that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VA (saponification degree: 99.8 mol%, saponified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glycerin content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3, and a polarizing film (stretche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2),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matrix, and the leakage of red light in the Cross-Nicol state were measured or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비교예 8 및 9][Comparative Examples 8 and 9]

PVA (비누화도 99.8 몰%,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의 비누화물) 의 평균 중합도 및 글리세린의 함유량을 표 3 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함과 함께, 적층체의 연신 배율을 5.00 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편광 필름 (연신된 비정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층을 박리한 것) 을 얻어, 매트릭스의 복굴절률, 두께 (2), 편광 성능 및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의 각 측정 또는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채용된 연신 배율과 함께 표 3 에 나타냈다.The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of PVA (saponification degree: 99.8 mol%, saponified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and glycerin content were as shown in Table 3, and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laminate was changed to 5.00 times. In the same manner, a polarizing film (obtained by delaminating an elongated 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yer) was obtained to measure or evaluate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the thickness (2),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and the leakage of red light in the cross-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together with the adopted stretching magnification.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실시예 5 ∼ 14 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에서는,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높고, 그와 같은 편광 필름은 이색성비의 값이 커서 편광 성능이 우수하고, 게다가, T70044 의 값이 작아서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비교예 3 ∼ 9 에 의해 얻어진 편광 필름에서는, 매트릭스의 복굴절률이 낮고, 이색성비의 값이 작아서 편광 성능이 뒤떨어지고, 또한, T70044 의 값이 커서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많은 것을 알 수 있다.In the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Examples 5 to 14,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was high, the polarizing films had a large dichroic ratio value, and thus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was excellent. Further, the value of T 70044 was small, The leakage of the red light is small. On the other hand, in the polarizing films obtained in Comparative Examples 3 to 9, the birefringence of the matrix was low, the value of the dichroic ratio was small and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was poor, and the value of T 70044 was large,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amount of leakage of the liquid.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적층체 (1) 및 그것을 사용한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 에 의하면, 붕산 수용액에 대한 침지나 공중 고온 연신과 같은 불용화 처리를 미리 하지 않아도, 염색 등, 편광 필름 제조시의 물과 접촉하는 공정에 있어서 PVA 층에 포함되는 PVA 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번잡하거나 특별한 제조 설비가 필요한 상기 불용화 처리를 생략할 수 있고, 이로써, 편광 성능이 우수한 편광 필름을 범용의 편광 필름 제조 설비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 (2) 는,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 누출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 에 의하면, 편광 성능이 우수함과 함께 크로스 니콜 상태에 있어서의 적색광의 누출이 적은 상기 편광 필름 (2) 를, 원활 또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min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duction method (1)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using the laminat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nsolubility such as dyeing, etc., It is possible to omit dissolution of PVA contained in the PVA layer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polarizing film,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using a polarizing film production equip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the polarizing film (2)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olarizing performance and less leakage of red light in cross-Nicol state. Further,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2) of the polariz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simply produce the polarizing film (2) having excellent polarizing performance and less leakage of red light in the crossed Nicols state.

Claims (20)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팽윤도가 180 % 이상 260 %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층을 갖는, 적층체.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olyvinyl alcohol layer having a swelling degree of 180% or more and 260%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에틸렌 함유량이 1 몰% 이상 12 몰% 이하인,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has an ethylene content of 1 mol% or more and 12 mol%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1,2-글리콜 결합량이 0.4 몰% 이상 1.5 몰% 이하인, 적층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1,2-glycol bond amount of the polyvinyl alcohol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is from 0.4 mol% to 1.5 mo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1,000 이상 9,500 이하인, 적층체.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1,000 or more and 9,500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가 98 몰% 이상인, 적층체.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has a saponification degree of 98 mol%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층이 가소제를 폴리비닐알코올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적층체.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contains the plasticizer in an amount of 1 part by mass or more and 15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제 6 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글리세린인,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asticizer is glycerin.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the step of stretching the lamin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8 항에 있어서,
연신 전의 적층체의 폴리비닐알코올층 ; 적층체의 연신 중에 있어서의 연신 도중에 있는 폴리비닐알코올층 ; 및, 적층체를 연신한 후의 폴리비닐알코올층으로부터 형성된 연신 필름층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A polyvinyl alcohol layer of a laminate before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layer in the course of stretching during drawing of the laminate; And a step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any of the stretched film layers formed from the polyvinyl alcohol layer after stretching the laminate.
제 9 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 전에,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bringing the dichroic dye into contact with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a boron compound before the step of contacting the dichroic dye is not included.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이색성 색소를 접촉시키는 공정 전에, 95 ℃ 이상의 온도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Does not include a step of drawing at a temperature of 95 占 폚 or more before the step of contacting the dichroic dye.
복굴절률이 45 × 10-3 이상인 매트릭스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되어 있는, 편광 필름.Wherein a dichroic dye is adsorbed to a matrix having a birefringence of 45 x 10 < -3 > or more. 제 12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그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편광 필름.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trix contains polyvinyl alcohol and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from 2,800 to 9,500.
제 12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가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고, 그 평균 중합도가 4,100 이상 9,500 이하인, 편광 필름.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matrix contains polyvinyl alcohol and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4,100 or more and 9,500 or less.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가 10 ㎛ 이하인, 편광 필름.
1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2 to 14,
And a thickness of 10 m or less.
열가소성 수지 필름층과 폴리비닐알코올층을 갖는 적층체를 5.7 배 이상으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층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2,800 이상 9,500 이하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A process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comprising a step of stretching a laminate hav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layer and a polyvinyl alcohol layer to a stretching ratio of 5.7 times or more,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contained 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800 to 9,500,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ing film. 제 16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가 4,100 이상 9,500 이하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 is 4,100 or more and 9,500 or less.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층이 가소제를 폴리비닐알코올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contains the plasticizer in an amount of 1 part by mass or more and 15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코올층이 가소제를 폴리비닐알코올 100 질량부에 대하여 4 질량부 이상 12 질량부 이하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1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17,
Wherein the polyvinyl alcohol layer contains the plasticizer in an amount of 4 parts by mass or more and 12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vinyl alcohol.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가소제가 글리세린인,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2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Wherein the plasticizer is glycerin.
KR1020157003718A 2012-08-06 2013-07-29 Layered object,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10205922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4080 2012-08-06
JPJP-P-2012-174081 2012-08-06
JP2012174080 2012-08-06
JP2012174081 2012-08-06
PCT/JP2013/070431 WO2014024712A1 (en) 2012-08-06 2013-07-29 Layered object,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0925A true KR20150040925A (en) 2015-04-15
KR102059228B1 KR102059228B1 (en) 2019-12-24

Family

ID=5006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718A KR102059228B1 (en) 2012-08-06 2013-07-29 Layered object,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34309B2 (en)
KR (1) KR102059228B1 (en)
CN (1) CN104602912B (en)
TW (2) TWI645221B (en)
WO (1) WO201402471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189B1 (en) 2013-12-27 201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Thin polarizer having a good optical propertie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WO2015133304A1 (en) * 2014-03-04 2015-09-11 株式会社クラレ Polarizing film
TWI548899B (en) * 2014-03-14 2016-09-11 Nitto Denko Corp A method for producing an optical film laminate comprising a polarizing film,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003954A (en) * 2015-06-12 2017-01-05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JP6684630B2 (en) * 2016-03-31 2020-04-22 住友化学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WO2018025716A1 (en) * 2016-08-03 2018-02-08 住友化学株式会社 Laminate film
TWI830706B (en) * 2017-09-14 2024-02-01 日商可樂麗股份有限公司 Laminate for protecting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063205B1 (en) * 2017-09-14 2020-0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an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7041017B2 (en) * 2018-07-25 2022-03-23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ing film and a polarizing film
JP2023081708A (en) * 2021-12-01 2023-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2023081709A (en) * 2021-12-01 2023-06-13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368A (en) * 2007-07-09 2009-01-2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 use in optics, polarizing membrane, and polarizing plate
WO2010071094A1 (en) * 2008-12-18 2010-06-24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WO2010100917A1 (en) 2009-03-05 2010-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Highly functional thin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4691205B1 (en)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 including thin high-performance polarizing film
JP2011194694A (en) * 2010-03-19 2011-10-06 Kuraray Co Ltd Laminated bod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3521A (en) * 2000-05-31 2001-12-14 Sumitomo Chem Co Ltd Polarizing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65436A (en) * 2001-04-03 2002-12-18 Nitto Denko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alignment film,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03543B (en) * 2005-01-31 2013-08-01 Nippon Synthetic Chem Ind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 optical use, a polarizing film, and a polarizing plate
JP4736562B2 (en) * 2005-06-23 2011-07-2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JP5479752B2 (en) * 2008-02-19 2014-04-23 株式会社クラレ Vinyl alcohol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4975186B1 (en) * 2010-12-16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JP5143918B2 (en) * 2011-02-02 2013-02-13 住友化学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d film, polarizing plate or polarizing plate with substrate fil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368A (en) * 2007-07-09 2009-01-22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for use in optics, polarizing membrane, and polarizing plate
WO2010071094A1 (en) * 2008-12-18 2010-06-24 株式会社クラレ Polyvinyl alcohol film
WO2010100917A1 (en) 2009-03-05 2010-09-10 日東電工株式会社 Highly functional thin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011194694A (en) * 2010-03-19 2011-10-06 Kuraray Co Ltd Laminated body
JP4691205B1 (en)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laminate including thin high-performance polariz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02912A (en) 2015-05-06
CN104602912B (en) 2018-11-16
JP6434309B2 (en) 2018-12-05
TW201719207A (en) 2017-06-01
JPWO2014024712A1 (en) 2016-07-25
TWI645221B (en) 2018-12-21
TWI710806B (en) 2020-11-21
KR102059228B1 (en) 2019-12-24
WO2014024712A1 (en) 2014-02-13
TW201411203A (en) 201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40925A (en) Layered object, polarizing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KR101607950B1 (en) Iodine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163144B1 (en)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WO2017138551A1 (en) Polariz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1809472A (en) Polarizing plat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232978B1 (en) Raw film for manufacturing optical films
KR102595403B1 (en)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KR20160089349A (en) Polyvinyl alcohol film
WO2018016542A1 (e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film
WO2016056600A1 (en) Polarizing film
JP4104916B2 (en) Optical polyvinyl alcohol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34601B1 (en) Polarizing-film manufacturing method
JP6564702B2 (en) Polarized film
JP6444732B2 (en) Laminated film
JP666798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TWI668472B (en) Polarizing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JP595627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film
JP6534305B2 (en) Evaluation method of optical spots of polyvinyl alcohol film
WO2024004974A1 (en) Polarizing plate, thermoformed body, and thermoformed body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