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376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376A
KR20150039376A KR20130117872A KR20130117872A KR20150039376A KR 20150039376 A KR20150039376 A KR 20150039376A KR 20130117872 A KR20130117872 A KR 20130117872A KR 20130117872 A KR20130117872 A KR 20130117872A KR 20150039376 A KR20150039376 A KR 20150039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021B1 (ko
Inventor
이세민
윤용중
김태형
이효성
송선복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0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수납되는 커버버텀, 상기 광원부와 대향 되도록 상기 커버버텀에 수납되는 도광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광학 간극을 유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본원발명은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10)은 LED 어레이(11a)와 인쇄회로기판(11b)로 이루어지는 광원(11), 광원(11)과 대향 되도록 배치되는 도광판(12), 광원(11) 및 도광판(12)을 수납할 수 있는 커버버텀(13), 도광판(12)과 커버버텀(13)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미도시), 도광판(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광학시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1)과 도광판(12) 사이의 광학 갭(gap, G)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도광판 지지부재(14a, 14b)가 이용된다.
그러나, 광원(11)과 도광판(12) 사이에 위치하는 도광판 지지부재(14a)는 광원(11)으로부터 도광판(12)으로 제공되는 광을 차단하여 도광판(12)으로 충분한 광량이 제공되는 것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광판 지지부재(14a)와 도광판(12)을 결합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광이 차단되는 암부가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을 가리기 위하여 도광판(12)의 사이즈가 증가 되어야 하는데 이때 실제로 영상을 보여주는 영역인 액티브 영역(active area)으로 사용할 수 없는 베젤(bezel, B1)이 증가함에 따라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로 광원(11)과 도광판(12) 사이에 위치하는 도광판 지지부재(14a)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광판(12)과 커버버텀(13) 사이에 추가로 도광판 지지부재(14b)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로 형성되는 도광판 지지부재(14b)에 의해서 백라이트 유닛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추가로 형성되는 도광판 지지부재(14b)와 도광판(12)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도광판(12)의 사이즈가 증가 되어야 하는데 이때 실제로 영상을 보여주는 영역인 액티브 영역(active area)으로 사용할 수 없는 베젤(bezel, B2)이 증가함에 따라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어 광원과 도광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인쇄회로기판과의 결합력까지 향상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수납되는 커버버텀, 상기 광원부와 대향 되도록 상기 커버버텀에 수납되는 도광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광학 간극을 유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버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트 고정부, 상기 시트 고정부와 결합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 고정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커버버텀을 감싸고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 가이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1 도광판 지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2 도광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도광판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도광판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배면은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수납되는 커버버텀, 상기 광원부와 대향 되도록 상기 커버버텀에 수납되는 도광판, 상기 커버버텀을 감싸는 가이드 패널, 상기 가이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광학 간극을 유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버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트 고정부, 상기 시트 고정부가 결합 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 고정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케이스 탑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1 도광판 지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2 도광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도광판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도광판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배면은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를 이용함으로써 광원과 도광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와 도광판의 결합을 위하여 도광판의 사이즈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 비해 추가로 스토퍼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비용이 감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평면도.
도 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4는 스토퍼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토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된 단면도.
도 7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9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
도 1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 단면도.
도 13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
본원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원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스토퍼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유닛(100)은 광원부(110), 커버버텀(120), 도광판(130), 스토퍼(140), 시트 고정부(150), 복수 개의 광학 시트(160), 반사부재(170), 가이드 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10)는 복수 개의 광원(111)과 복수 개의 광원(111)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광원(111)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버텀(120)은 후술할 도광판(130), 반사부재(170) 등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21)과 수납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일면에 광원부(110)가 결합되는 측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로 광원부(110)는 커버버텀(120)의 양쪽 측면부(123) 방향으로 결합 되거나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원부(110)는 커버버텀(120)의 한쪽 측면부(123) 방향으로 결합 될 수 있으며 광원부(110)와 커버버텀(120)의 측면부(123) 사이로는 방열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130)은 광원부(110)과 마주보도록 커버버텀(120)의 수납부(121)에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0)은 광원부(110) 및 후술할 스토퍼(140)와 일정 간격(D1)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을 참조로 스토퍼(140)는 제1 도광판 지지부(141) 및 제2 도광판 지지부(1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광판(130)과 복수 개의 광원(111)들 간의 일정한 광학 갭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스토퍼(140)의 두께는 복수 개의 광원(111)들의 높이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원부(110) 혹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 환경에 의해 도광판(130)이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스토퍼(140)와 도광판(13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도광판 지지부(141)는 복수 개의 광원(111)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인쇄회로기판(113)에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도광판 지지부(143)는 복수 개의 광원(111)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하도록 인쇄회로기판(113)에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를 참조로 인쇄회로기판(113) 상에 결합된 광원(111a)과 광원(111b) 사이로는 제1 도광판 지지부(141)가 결합 될 수 있는 간격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13) 상에 결합된 복수 개의 광원(111)들 하부 방향으로 제2 도광판 지지부(143)가 결합된다.
그리고, 스토퍼(140)와 인쇄회로기판(113)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도광판 지지부(141) 및 제2 도광판 지지부(143)에는 돌출부(14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113)은 돌출부(145)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3h)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스토퍼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40a)를 구성하는 제1 도광판 지지부(141a) 방향으로만 돌출부(145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40b)를 구성하는 제2 도광판 지지부(143b) 방향으로만 돌출부(145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140c)를 구성하는 제1 도광판 지지부(141c)과 제2 도광판 지지부(143c)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도광판 지지부(141c)과 제2 도광판 지지부(143c)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인쇄회로패턴을 추가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고정부(150)는 커버버텀(120)의 상부를 커버하는 동시에 도광판(130) 상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51) 및 가이드 플레이트(15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시트 걸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트 걸이부(153)로는 복수 개의 광학 시트(160)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광학 시트(160)는 시트 고정부(150)의 상부에 배치되고 도광판(13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집광 및 확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트 걸이부(153)와 대향하는 영역으로는 홀이 형성되어 시트 걸이부(153)에 끼움 결할 될 수 있다.
또한, 반사부재(170)는 도광판(130)의 하부 즉, 도광판(130)과 커버버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도광판(130)으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반사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부(110)의 열 혹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30)이 열 팽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유닛의 사용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반사부재(170)는 도광판(13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패널(180)은 복수 개의 광학 시트(160)와 시트 고정부(150)의 상부에 결합되며 시트 걸이부(153)를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된 단면도인 도 6을 참조로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는 백라이트 유닛은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tilt)어져 이용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170)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으나 도광판(130)의 경우 하측 방향(- Y)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40)가 도광판(130)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부(110)와 도광판(130) 간에 일정한 간격, 즉 광학 갭(G)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달리 스토퍼(140)가 인쇄회로기판(113)에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광원(111)들에서 제공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간섭하지 않게 됨으로써 도광판(130) 방향으로 충분한 광량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130)이 광원부(110)의 열 혹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의해 열 팽창할 경우 하측 방향(-Y)으로는 스토퍼(140)가 도광판(130)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상측 방향(+Y)으로는 일정 간격(D2) 이격 되어 있는 동시에 스토퍼(14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130)이 팽창하여도 항상 일정하게 도광판(130)과 광원부(110) 사이의 광학 갭이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200)은 광원부(110), 커버버텀(120), 도광판(130), 스토퍼(240), 시트 고정부(150), 복수 개의 광학 시트(160), 반사부재(170), 가이드 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로 스토퍼(240)는 도광판 지지부(241) 및 고정부(2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광판 지지부(241)는 스토퍼(240)와 인쇄회로기판(113)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출부(2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43)는 일측은 복수 개의 광원(111)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인쇄회로기판(113)에 결합되고 배면은 커버버텀(120)의 수납부(121)에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로 고정부(243)에는 복수 개의 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도 7을 참조로 스크류(s)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243)와 커버버터(120)의 수납부(12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 지지부(241)와 고정부(243)가 서로 연결된 구조이지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c를 바탕으로 도광판 지지부(241)와 고정부(243)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300)은 광원부(110), 커버버텀(120), 도광판(130), 스토퍼(340), 시트 고정부(150), 복수 개의 광학 시트(160), 반사부재(170), 가이드 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스토퍼(340)는 도광판 지지부(341) 및 고정부(34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광판 지지부(341) 및 고정부(343)는 스토퍼(340)와 인쇄회로기판(113)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출부(3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343)는 일측은 복수 개의 광원(111)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인쇄회로기판(113)에 결합되고 배면은 커버버텀(120)의 수납부(121)에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로 고정부(343)에는 복수 개의 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도 9를 참조로 스크류(s)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343)와 커버버터(120)의 수납부(12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 지지부(341)와 고정부(343)가 서로 연결된 구조이지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c를 바탕으로 도광판 지지부(341)와 고정부(343)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백라이트 유닛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광원부(410), 커버버텀(420), 도광판(430), 가이드 패널(440), 디스플레이 패널(450), 스토퍼(460), 시트 고정부(470), 복수 개의 광학 시트(480), 반사부재(490), 케이스 탑(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패널(440)은 커버버텀(420)의 가장 자리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45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50)은 광원부(410)로부터 제공되는 백라이트 광을 이용하여 외부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패널(440)은 시트 고정부(470)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471)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시트 걸이부(472)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441)가 형성되어 가이드 패널(440)과 시트 고정부(470)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 탑(c)은 디스플레이 패널(450)의 상부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결합 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450)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 따른 스토퍼(460)는 앞서 설명한 도 3에 도시된 스토퍼(14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로 도 11에 도시된 스토퍼(460)는 제1 도광판 지지부와 제2 도광판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도광판 지지부에는 돌출부(465)가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413)에 결합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를 참조로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tilt)어져 이용된다.
이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490)의 경우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다른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으나 도광판(430)의 경우 하측 방향(- Y)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460)가 도광판(430)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부(410)와 도광판(430) 간에 일정한 간격, 즉 광학 갭(G)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달리 스토퍼(460)가 인쇄회로기판(413)에 결합 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광원(411)들에서 제공되는 광의 진행 방향을 간섭하지 않게 됨으로써 도광판(430) 방향으로 충분한 광량이 제공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수직 또는 일정 각도로 기울이지 않고 수평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도광판(430)이 광원부(410)의 열 혹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의해 열 팽창을 하여도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460)가 도광판(43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도광판(430)이 광원부(410)의 열 혹은 고온 또는 고습의 외부환경에 의해 열 팽창할 경우 하측 방향(-Y)으로는 스토퍼(460)가 도광판(43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측 방향(+Y)으로는 일정 간격(D2) 이격 되어 있는 동시에 스토퍼(460)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430)이 팽창하여도 항상 일정하게 도광판(430)과 광원부(410) 사이의 광학 갭이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방향에 관계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460)는 항상 일정하게 광원부(410)와 도광판(430) 사이의 광학 갭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광원부(510), 커버버텀(520), 도광판(530), 가이드 패널(540), 디스플레이 패널(550), 스토퍼(560), 시트 고정부(570), 복수 개의 광학 시트(580), 반사부재(590), 케이스 탑(c)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560)는 앞서 설명한 도 8에 도시된 스토퍼(24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로 도 13에 도시된 스토퍼(560)는 도광판 지지부(561)와 고정부(5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광판 지지부(561)에는 스토퍼(560)와 인쇄회로기판(513)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출부(56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563)는 일측은 복수 개의 광원(511)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인쇄회로기판(513)에 결합되고 배면은 커버버텀(520)의 수납부(521)에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13을 참조로 고정부(563)에는 복수 개의 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도 13을 참조로 스크류(s)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563)와 커버버터(520)의 수납부(52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 지지부(561)와 고정부(563)가 서로 연결된 구조이지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c를 바탕으로 도광판 지지부(561)와 고정부(563)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는 본원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서 설명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광원부(610), 커버버텀(620), 도광판(630), 가이드 패널(640), 디스플레이 패널(650), 스토퍼(660), 시트 고정부(670), 복수 개의 광학 시트(680), 반사부재(690), 케이스 탑(c)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660)는 앞서 설명한 도 10에 도시된 스토퍼(34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4를 참조로 스토퍼(660)는 도광판 지지부(661) 및 고정부(66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광판 지지부(661) 및 고정부(663)에는 스토퍼(660)와 인쇄회로기판(613)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출부(66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663)는 일측은 복수 개의 광원(611)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인쇄회로기판(613)에 결합되고 배면은 커버버텀(620)의 수납부(621)에 결합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4를 참조로 고정부(663)에는 복수 개의 홀(h)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스크류(s)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663)와 커버버터(620)의 수납부(621)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판 지지부(661)와 고정부(663)가 서로 연결된 구조이지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c를 바탕으로 도광판 지지부(661)와 고정부(663)는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본원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원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원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원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원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백라이트 유닛 110: 광원부
120: 커버버텀 130: 도광판
140: 스토퍼 150: 시트 고정부
160: 복수 개의 광학 시트 170: 반사부재
180: 가이드 패널

Claims (14)

  1.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수납되는 커버버텀;
    상기 광원부와 대향 되도록 상기 커버버텀에 수납되는 도광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광학 간극을 유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트 고정부;
    상기 시트 고정부와 결합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 고정부의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커버버텀을 감싸고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된 가이드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1 도광판 지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2 도광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도광판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도광판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배면은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복수 개의 광원이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가 수납되는 커버버텀;
    상기 광원부와 대향 되도록 상기 커버버텀에 수납되는 도광판;
    상기 커버버텀을 감싸는 가이드 패널;
    상기 가이드 패널의 일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의 광학 간극을 유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버버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고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트 고정부;
    상기 시트 고정부가 결합 될 수 있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시트 고정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광학 시트;
    상기 도광판과 상기 커버버텀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케이스 탑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1 도광판 지지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제2 도광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도광판 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는 도광판 지지부; 및
    일측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들의 실장 방향에 대향 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배면은 상기 커버버텀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지지부 또는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117872A 2013-10-02 2013-10-02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24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872A KR102124021B1 (ko) 2013-10-02 2013-10-02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872A KR102124021B1 (ko) 2013-10-02 2013-10-02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76A true KR20150039376A (ko) 2015-04-10
KR102124021B1 KR102124021B1 (ko) 2020-06-17

Family

ID=5302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872A KR102124021B1 (ko) 2013-10-02 2013-10-02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4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78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3402A (ja) * 2007-03-26 200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10068383A (ko) * 2009-12-16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30067591A (ko) * 2011-12-14 2013-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43402A (ja) * 2007-03-26 2008-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20110068383A (ko) * 2009-12-16 2011-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30067591A (ko) * 2011-12-14 2013-06-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878A (ko) * 2020-12-29 2022-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021B1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2160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KR102250808B1 (ko) 표시장치
US20120250354A1 (en) Illuminator for Display and Display
JP5955753B2 (ja) 表示装置
KR102343720B1 (ko) 표시장치
KR2013003447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160022420A (ko) 표시장치
US2012023620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Television Set, and Television Set
KR20170135528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7372A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표시장치
WO2014199988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KR20160013418A (ko) 표시장치
US10114169B2 (en) Display device
JP5511588B2 (ja) 光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テレビ受像装置
KR20150145915A (ko) 백라이트 유닛
US2012025713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Module and Display
US20140285978A1 (en) Display apparatus
KR101737054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24939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153090A1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039376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80059B1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JP5666645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601633B1 (ko) 백라이트 장치
KR102415255B1 (ko) 백라이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