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281A - 차량용 컵홀더 - Google Patents
차량용 컵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39281A KR20150039281A KR20130117626A KR20130117626A KR20150039281A KR 20150039281 A KR20150039281 A KR 20150039281A KR 20130117626 A KR20130117626 A KR 20130117626A KR 20130117626 A KR20130117626 A KR 20130117626A KR 20150039281 A KR20150039281 A KR 201500392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vehicle
- adjusting means
- outer housing
- height adju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차량용 컵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콘솔 박스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사선으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라인 일단에 안착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컵 수용부; 상기 콘솔 박스 외면에 조립되고, 상기 컵 수용부의 외주면이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단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컵 수용부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부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에는 각종 음료수나 그 밖의 용기를 보관하는 컵 홀더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컵홀더의 경우, 일체형으로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할 수 있는 컵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두개의 컵 삽입부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거나, 슬라이드 식으로 컵 홀더를 앞으로 돌출시키도록 하였으나, 이는, 높이를 조절하기 보다는 일정한 높이를 확보하는 방법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높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함으로써, 컵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컵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콘솔 박스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사선으로 가이드 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라인 일단에 안착홈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컵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컵 수용부; 상기 콘솔 박스 외면에 조립되고, 상기 컵 수용부의 외주면이 관통하도록 홀이 형성된 커버; 및 상단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컵 수용부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컵 수용부 외주면에는 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수용부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하우징에는, 상기 돌출부를 고정시키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컵 삽입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컵을 컵 크기에 알맞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는 외부 하우징(110), 컵 수용부(120), 스프링(130) 및 커버(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은 콘솔 박스(5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콘솔 박스(50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박스 모양의 수납공간일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110)은 외주면에 사선으로 가이드 라인(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돌출부(121)가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가이드 라인(111) 일단에는 돌출부(121)가 안착되도록 안착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홈(112)에는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된 돌출부(121)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110) 일측에는 걸림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13)는 돌출부(12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컵 수용부(120)와 관련하여 부연 설명키로 한다.
컵 수용부(120)는 외부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어 컵(C)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컵 수용부(120)는 후술할 높이조절수단(150)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컵 수용부(120)의 하단부는 외주면이 소정 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컵 수용부(120)의 하단부에는 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컵(C)을 지지하기 위해 컵 수용부(120)를 승강시킬 시, 컵 수용부(120)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에 의해 컵 수용부(120)가 승강된 후, 컵 수용부(120)는 스프링(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하강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컵 수용부(120)를 시계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시킴으로써, 돌출부(121)가 전술한 걸림부(113)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13)는 컵 수용부(120)를 승강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컵 수용부(12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130)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스프링(130)은 컵 수용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컵 수용부(120)의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30)은 컵 수용부(1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컵 수용부(120)가 승강된 상태에서 하강될 시, 컵 수용부(120)의 외주면에 배치된 스프링(130)이 컵 수용부(120)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컵 수용부(1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스프링(130)의 상측에는 커버(140)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커버(140)는 전술한 콘솔 박스(500) 외면에 스프링(130)을 가압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140)는 스프링(130), 전술한 컵 수용부(120) 및 외부 하우징(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140)는 컵 수용부(120)가 관통하도록 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컵 수용부(120)는 홀(141)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홀(141)은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140)에 홀(141)이 2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여 도시하였다.
한편, 높이조절수단(150)은 커버(14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수단(150)은 전술한 컵 수용부(12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수단(150)은 컵 수용부(120)의 승하강을 주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높이조절수단(150)을 잡아당김으로써, 높이조절수단(150)과 결합된 컵 수용부(1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수단(150)의 상단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높이조절수단(150)의 그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컵 수용부(120)를 승강시킬 시, 사용자는 요철형상으로 형성된 높이조절수단(150)의 상단을 그립함으로써, 높이조절수단(150)의 조작이 용이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200)는 외부 하우징(210), 컵 수용부(220), 스프링(230), 커버(240) 및 높이조절수단(25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21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외부 하우징(110)에 대응된다.
이때, 외부 하우징(210) 일측에는 가이드 라인(211)이 2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달리 외부 하우징(210)에 가이드 라인(211)이 2중으로 형성되고, 걸림부(213)가 가이드 라인(211)의 일단부에 각각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걸림부(213)가 2중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보다 다양한 컵(C) 크기에 알맞게 사용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가이드 라인(213)은 3중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예시한 경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컵 수용부(220), 스프링(230), 커버(240) 및 높이조절수단(25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컵 수용부(120), 스프링(130), 커버(140) 및 높이조절수단(150)과 동일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300)는 외부 하우징(310), 컵 수용부(320), 스프링(330), 커버(340) 및 높이조절수단(35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31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외부 하우징(110)에 대응된다.
이때, 외부 하우징(310)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311)은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가이드 라인(11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경사면이 제거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차량의 운행 중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컵 수용부(320)의 강제적인 승강이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컵 수용부(320), 스프링(330), 커버(340) 및 높이조절수단(35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컵 수용부(120), 스프링(130), 커버(140) 및 높이조절수단(150)과 동일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에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이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400)는 외부 하우징(410), 컵 수용부(420), 스프링(430), 커버(440) 및 높이조절수단(450)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41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외부 하우징(110)에 대응된다.
이때, 외부 하우징(410) 일측에 가이드 라인(411)이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홈(412)이 2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 3 실시예의 외부 하우징(310)에 안착홈(312)이 2중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높이조절수단(450)의 그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높이조절수단(450)의 두께가 얇아 그립성이 불량할 경우, 높이조절수단(450)을 회전시켜 컵 수용부(420)를 소정 정도 인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이조절수단(450)이 소정 정도 승강됨으로써, 사용자는 높이조절수단(450)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컵 수용부(420), 스프링(430), 커버(440) 및 높이조절수단(450)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컵 수용부(120), 스프링(130), 커버(140) 및 높이조절수단(150)과 동일유사한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의 (a)는 차량용 컵홀더(100)가 작동되기 전 초기상태를 도시한 것임을 알려둔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돌출부(121)가 안착홈(112)에 안착된다. 이후, 사용자가 높이조절수단(150)을 잡아당기면, 높이조절수단(150)과 결합된 컵 수용부(120)가 승강된다(도 6의 (b)). 이때, 컵 수용부(120) 하단부에 연장 형성된 외주면에 의해 스프링(130)이 압축된다.
한편, 높이조절수단(150)에 의해 컵 수용부(120)가 승강되면, 사용자는 높이조절 수단(15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6의 (c)). 이때, 컵 수용부(120)에 형성된 돌출부(121)가 걸림부(113)에 고정됨으로써, 컵 수용부(120)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6의 (d)). 이후, 사용자는 승강된 컵 수용부(120)에 컵(C)을 안착시킨다.
한편, 승강된 컵 수용부(120)를 다시 초기상태로 복원할 경우에는, 높이조절수단(150)을 소정 정도 잡아당겨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높이조절수단(150)이 회전되면, 돌출부(121)가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되어 안착홈(112)에 안착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6의 (c)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높이조절수단(150)을 소정 정도 잡아당겨 회전시키면, 컵 수용부(120)와 커버(140)사이에 압축되어 있는 스프링(130)이 컵 수용부(120)를 하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돌출부(121)가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된다. 즉,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이동된 돌출부(121)가 안착홈(112)에 안착하게 된다. 이로써, 컵 수용부(120)가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한편, 제 2 실시예 내지 제 4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컵홀더(100, 200, 300, 400)는 간단한 조작으로 컵 수용부(120, 220, 320, 4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컵(C)의 크기에 알맞게 컵 수용부(120, 220, 320, 4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컵(C)을 보다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차량용 컵홀더
110, 210, 310, 410: 외부 하우징
111, 211, 311, 411: 가이드 라인
112, 212, 312, 412: 안착홈
113, 213, 313, 413: 걸림부
120, 220, 320, 420: 컵 수용부
121, 221, 321, 421: 돌출부
130, 230, 330, 430: 스프링
140, 240, 340, 440: 커버
141: 홀
150, 250, 350, 450: 높이조절수단
500: 콘솔 박스
110, 210, 310, 410: 외부 하우징
111, 211, 311, 411: 가이드 라인
112, 212, 312, 412: 안착홈
113, 213, 313, 413: 걸림부
120, 220, 320, 420: 컵 수용부
121, 221, 321, 421: 돌출부
130, 230, 330, 430: 스프링
140, 240, 340, 440: 커버
141: 홀
150, 250, 350, 450: 높이조절수단
500: 콘솔 박스
Claims (4)
- 차량에 설치된 콘솔 박스(500) 내부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사선으로 가이드 라인(111)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라인(111) 일단에 안착홈(112)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외부 하우징(110);
상기 외부 하우징(110) 내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컵(C)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컵 수용부(120);
상기 콘솔 박스(500) 외면에 조립되고, 상기 컵 수용부(120)의 외주면이 관통하도록 홀(141)이 형성된 커버(140); 및
상단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14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컵 수용부(120)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150);을 포함하는 차량용 컵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수용부(120) 외주면에는 스프링(130)이 배치되는 차량용 컵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수용부(120)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 라인(111)을 따라 상기 안착홈(112)에 안착되는 돌출부(121)가 구비되는 차량용 컵홀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110)에는, 상기 돌출부(121)를 고정시키는 걸림부(113)가 형성된 차량용 컵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7626A KR20150039281A (ko) | 2013-10-02 | 2013-10-02 | 차량용 컵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17626A KR20150039281A (ko) | 2013-10-02 | 2013-10-02 | 차량용 컵홀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9281A true KR20150039281A (ko) | 2015-04-10 |
Family
ID=5302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117626A KR20150039281A (ko) | 2013-10-02 | 2013-10-02 | 차량용 컵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39281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59762A1 (en) * | 2014-08-28 | 2016-03-03 | Goodbaby Child Product Co., Ltd. | Integrated Rotatable Cup Holder |
US9981611B2 (en) | 2015-08-28 | 2018-05-2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storage assembly |
CN108859903A (zh) * | 2018-05-02 | 2018-11-23 | 六安同辉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用茶杯座 |
KR20190048409A (ko) * | 2017-10-31 | 2019-05-09 | 주식회사다스 |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
CN112918353A (zh) * | 2021-03-04 | 2021-06-08 |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 副仪表杯托装置及车辆 |
-
2013
- 2013-10-02 KR KR20130117626A patent/KR2015003928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059762A1 (en) * | 2014-08-28 | 2016-03-03 | Goodbaby Child Product Co., Ltd. | Integrated Rotatable Cup Holder |
US9981611B2 (en) | 2015-08-28 | 2018-05-29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storage assembly |
KR20190048409A (ko) * | 2017-10-31 | 2019-05-09 | 주식회사다스 | 암 레스트의 컵 홀더 장치 |
CN108859903A (zh) * | 2018-05-02 | 2018-11-23 | 六安同辉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用茶杯座 |
CN112918353A (zh) * | 2021-03-04 | 2021-06-08 | 宜宾凯翼汽车有限公司 | 副仪表杯托装置及车辆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39281A (ko) | 차량용 컵홀더 | |
US20120120626A1 (en) | Fix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
US20130270850A1 (en) | Holder and support apparatus | |
KR20140005297U (ko) | 휴대폰 홀더 | |
US20140002544A1 (en) | Height-adjusting apparatus for printer | |
KR20150003844U (ko) | 용기 | |
CN110406478B (zh) | 显示装置保持器 | |
US20090057479A1 (en) | Bobbin Fixing Device and Bobbin Removing Device | |
AU2016250039B2 (en) | Extension cord, socket and cover of a socket | |
JP2016107686A (ja) | アームレスト | |
JP2007112533A (ja) | ボビン固定装置 | |
JP5016617B2 (ja) | 電子機器 | |
KR200487926Y1 (ko) | 자석 거치대 | |
JP2014143270A (ja) | 電気機器収納用箱の換気装置 | |
US9979263B2 (en) | Vertical power tool | |
KR101488584B1 (ko) | 액정 패널 적재 카세트 | |
KR20100049801A (ko) | 차량용 컵홀더 장치 | |
KR20160053123A (ko) | 차량용 컵홀더의 구조 | |
JP3200314U (ja) | 抜き屑押え具の支持装置およびブランキング上型 | |
JP7252049B2 (ja) | スパチュラ付き容器 | |
KR101938258B1 (ko) | 핸드폰 케이스 | |
JP2011137508A (ja) | スタンド装置 | |
US9796315B1 (en) | Container holding system | |
JP6488804B2 (ja) | アウトリガの格納ロック装置 | |
JP2014135835A (ja) |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