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022A -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022A
KR20150039022A KR20130117522A KR20130117522A KR20150039022A KR 20150039022 A KR20150039022 A KR 20150039022A KR 20130117522 A KR20130117522 A KR 20130117522A KR 20130117522 A KR20130117522 A KR 20130117522A KR 20150039022 A KR20150039022 A KR 2015003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ation
reserved
time
temporary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429B1 (ko
Inventor
김상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4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입력장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예약된 시간 및 예약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고, 상기 운전예약에 기초하는 예약운전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예약운전과 운전모드가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은 경우, 운전 상태를 변환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AN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예약운전을 수행하는 도중 입력된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예약운전에 대한 데이터를 유지하여, 임시운전이 종료된 경우, 기존에 저장된 예약운전을 다시 수행하는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어장치는 TV, 비디오, 오디오, 공기조화기, 유선 방송 컨버터, 위성 방송 컨버터, 선풍기 등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경우에 따라서 제어장치는 원격에서 제어 주파수의 무선 송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하여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는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빌딩 등 다수의 실내기가 필요한 대형 건물에서 많이 사용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며, 이러한 실내기가 공기 조화를 위한 실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여러 대의 공기조화기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멀티형 공기조화기는 모든 실내기를 한번에 제어할 수 있는 중앙제어기와 각각의 실내기를 개별 제어할 수 있는 개별제어기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동작되고 꺼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동작방법은 임시 운전이 끝나면 종전의 예약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입력장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예약된 시간 및 예약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고, 상기 운전예약에 기초하는 예약운전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예약운전과 운전모드가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은 경우, 운전 상태를 변환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 제어방법은 예약된 시간 및 예약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예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운전예약에 기초한 예약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예약운전과 운전모드가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은 경우, 운전상태를 변환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임시운전이 입력되거나 수행되는 동안에도 유지하여, 추후에 기존에 저장된 운전 예약에 기초하여 예약운전이 수행되도록 하여, 다시 운전 예약을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은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중에 예약운전으로 회귀할 것이라는 것을 계속적으로 표시하여, 운전 예약이 되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의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 내지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조작에 따른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예약상태를 도시한 그래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제2 등의 용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한 요소를 다른 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제1 접촉이 제2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접촉이 제1 접촉이라고 칭해질 수 있고, 상기 제1 접촉 및 제2 접촉은 둘 모두 접촉이지만, 동일한 접촉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오직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을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발명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에서 이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나타나지 않는 한은 복수 형태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표시의 사용은 그 용어의 단수 용법 또는 복수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나타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참조하며 그들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의 "포함한다 (comprises)" 및 /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이라는 용어는 명시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 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 들 및 / 또는 그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음을 더 이해할 것이다.
"~는 경우(if)"라는 용어는 "~할 때(when)" 또는 "~ 시(upon)", 또는 문맥에 따라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in response to determining)" 또는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결정된 경우"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라는 구문은 문맥에 따라, "결정시" 또는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의] 검출 시", 또는 "[명시된 조건 또는 이벤트를]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컴퓨팅 장치들, 그러한 장치들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및 그러한 장치들을 이용하기 위한 관련 프로세스 들의 실시예들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40)를 포함하는 제어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40)는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40)는 제어를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40)는 복수개의 조명장치, 냉장고, 쇼케이스, 영상출력장치 등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그 종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에서는 제어장치(140)가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의 실내기(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40)를 포함하는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실내기(130), 실내기(130)와 연동되어 작동하는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 및 실외기(12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기(110) 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복수의 실내기(130) 및 복수의 실외기(120)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 및 제어 데이터 또는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의 상기 입력 수단에 기계식 버튼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 등 광의의 입력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의 출력수단은 광원(LED : Light Emitting Diode 또는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빛을 내는 장치)을 포함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110)는 정보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와 연동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 에서 도시된 것처럼 중앙제어기(110)는 실내기(130) 및 실외기(120)와 연결될 수 있고, 실내기(130) 및 실외기(120)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장치(140)는 공기조화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 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120)와 주로 건물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기(130)로 나뉘어지는데 실외기(120)에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실내기(130)에는 증발기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120) 및 실내기(130)는 중앙제어기(11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30) 각각은 개별적으로 제어장치(14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은 제어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개별 실내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실내기(130)의 운전모드를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운전모드는 냉방, 제습, 공기청정 또는 난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40)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4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140)는 각종 신호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세서(210), 프로세서(210)와 연동하여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220),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250), 각종 제어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장치(230) 및 제어에 필요한 입력을 받는 입력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어장치(140)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메모리(22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예약 운전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예약 운전을 명령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그 내용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약 운전이 예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약 운전이 예약된 경우, 상기 예약 운전을 시작하기 위하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예약운전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장치(230) 상에 예약 운전이 시작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아니한다. 프로세서(210)는 예약 운전이 예약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실내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제어장치(140)의 전원이 온되는 경우, 예약운전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약운전이 설정된 경우, 예약시간이 도래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타이머(미도시)를 이용하여 예약 시간이 도래 또는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고, 예약 시간이 도과한 경우, 종래에 수행하던 일반운전 또는 복수로 예약된 다른 예약 운전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프로세서(210)는 입력장치(240)가 현재 시각에 수행되도록 예약된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을 수행하라는 입력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을 수행하라는 입력을 수신한 경우, 임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임시운전은 예약운전과 운전모드가 상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운전모드는 동일하나, 희망온도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시간은 사용자가 입력장치(240)를 이용하여, 기존에 설정해놓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프로세서(21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임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시간이 도과하였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시간이 도과한 경우,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시각에 수행되도록 예정된 운전 예약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이 종료된 경우, 예약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이 종료된 시점에 수행될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메모리(2220)로부터 불러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예약된 시간이 상기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시각을 포함하도록 예약된 운전예약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이 입력된 경우, 메모리(220)에 저장된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중,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파악하여, 임시운전이 종료된 경우의 운전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임시운전 중에 임시운전이 종료되면 예약운전을 수행함을 각종 수단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출력장치(230)로 예약운전으로 회귀할 예정이라는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출력장치(230)에 표시된 예약운전으로 회귀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점멸시켜, 예약운전으로 회귀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프로세서(210)의 동작 중, 프로세서(21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140)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와 연동하여 각종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예약운전 또는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예약 운전 또는 임시운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약 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출력장치(230)가 출력하는 형태 및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20)에 저장되는 상기 프로그램은 운전이 예약된 시간 및 희망온도값에 기반하여 실내기(1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운전이 예약된 예약 시간에 예약 운전을 수행할 수 있고, 출력장치(230)로 예약 운전 또는 임시운전이 수행됨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230)는 예약 운전 또는 임시운전 여부를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아이콘을 점멸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약 운전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약 운전이 설정되지 않은 것을 파악한 경우, 그 시점에 수행 중인 운전을 유지하거나, 공기조화기를 오프시킬 수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에서 언급된 제어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빛을 방출하여 시각적인 표시를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출력장치(230)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라고 하고 설명을 진행한다.
출력장치(230)는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제어장치(140)가 연결되는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가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출력장치(230)는 공기를 조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장치(230)는 냉방, 난방, 제습 또는 공기청정 등의 운전모드를 표시할 수 있고, 실내온도, 풍향, 실내에 열원의 존재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제어를 위해 필요한 광의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출력장치(230)는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디스플레이하고, 촉각 접촉에 기초하여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다.
출력장치(230)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제어장치(140)는 접촉을 감지하기 위하여 정전용량식, 저항식,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 기타 근접 센서 어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현재 알려져 있거나, 추후에 개발될 복수의 감지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시각적인 출력은 그래픽,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시각적인 출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은 그 위에 있는 접촉을 검출하고, 검출된 접촉을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 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체들과 대응하여 변환될 수 있다.
출력장치(230)가 터치 감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에 언급된 입력장치(240)의 각각의 버튼들은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대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임시운전이 계속되는 경우, 출력장치(230)는 예약운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예약운전이 시작되는 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점멸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출력장치(230)는 예약운전이 시작될 것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출력장치(230)는 제어장치(140)가 적용되는 대상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가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실내온도, 희망온도, 운전모드, 바람세기, 현재시간 또는 현재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상기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문자 또는 그림을 포함하는 소정의 아이콘(icon)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140)의 출력장치(230)는 왼쪽 상단에 공기조화기의 운전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I270). 상기 운전모드는 제습, 냉방, 난방, 공기청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의 실시예에서 출력장치(230)는 공기조화기의 현재 운전모드가 냉방 상태임을 표시하고 있다.
출력장치(230)는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I250). 출력장치(50)는 온도를 세그먼트(88 segment)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실내의 현재온도 또는 희망온도일 수 있으나, 출력장치(230)는 상황에 따라서 둘 중 하나를 택일하여 표시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상기 온도가 표시하는 내용이 실내의 현재온도인지 또는 희망온도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I210).
도 2 의 실시예에서 상기 아이콘(I210)은 ?痔玲쨉?라는 문자를 포함하여, 상기 세그먼트(88 segment)가 표시하는 온도가 실내의 현재온도임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상기 아이콘(I210)은 ?晝좆쨉?와 같은 문자를 포함하여 세그먼트(88 segment)가 표시하는 온도가 희망온도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 의 실시예에서 출력장치(230)는 우측 하단에 현재 요일, 현재시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세그먼트(88 segment)를 이용하여 현재 시각, 예약시간, 예약시간까지 남은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세그먼트(88 segment)가 표시하는 시간이 어떤 시간인지를 나타내는 아이콘(I220)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 에서는 상기 아이콘(I220)은 세그먼트(88 segment)가 표시하는 시간이 현재시간임을 나타내도록 ?痔營챨?이라는 문자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상기 아이콘(I220)은 ?晝좆쨉? 또는 ?꼭봄챨? 등의 문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장치(230)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30)의 바람의 세기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 의 실시예에서, 출력장치(230)는 실내기(130)의 바람의 세기를 복수의 꺽쇠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I260). 실내기(130)의 바람의 세기는 강할수록, 상기 복수의 꺽쇠모양(I260)의 개수가 많을 수 있고, 실내기(130)의 바람의 세기가 약할수록, 상기 복수의 꺽쇠모양(I260)의 개수가 적을 수 있다.
상기 입력장치(240)가 포함하는 복수의 버튼 또는 출력장치(230)가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상기에 언급된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와 대응할 수 있다.
입력장치(240)는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의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장치(240)는 도 2 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계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40)는 복수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140)가 멀티 공기조화기 시스템에 적용된 경우, 입력장치(240)는 바람방향, 부가운전, 기능설정, 환기, 예약설정, 바람세기, 운전모드 또는 온도를 조절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40)는 제어장치(140)가 적용되는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의 실시예에서, 입력장치(240)는 실내기(130)의 기능에 따라, 바람방향, 부가운전, 기능설정, 환기, 예약설정, 바람세기, 운전선택, 운전/정지, 또는 온도설정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버튼의 종류 또는 개수에 한정하지 아니한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입력장치(240)는 예약 설정을 위한 복수의 방향키(B120a, B120b, B130a, B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키(B120a, B120b, B130a, B130b)는 상, 하, 좌, 우 방향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키(B120a, B120b, B130a, B130b)는 예약 운전 또는 임시운전을 설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향키(B120a, B120b, B130a, B130b)는 예약 운전의 예약 요일 또는 예약 시간을 입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온도조절버튼(B150)은 예약운전 또는 임시운전의 희망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 우 방향키(B130a, B130b)는 예약 요일을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상, 하 방향키(B120a, B120b)는 예약시간을 입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나,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장치(140)는 통신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250)는 프로세서(210)의 명령에 기초하여,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장치(250)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실내기(13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장치(250)는 실내기(130)와의 통신에서 무선 또는 유선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장치(140)가 실내기(130)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경우, 통신장치(250)는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250)는 전자기 신호인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회로는 전기 신호와 전자기 신호를 상호변환하고, 전자기 신호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 및 기타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 회로는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CODEC 칩셋,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140)는 예약운전을 수행하는 중에 임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의 (a) 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예약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운전이 예약된 경우,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약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예약운전이 예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예약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예약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예약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현재 수행 중인 운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예약운전을 수행 중이라는 표시를 할 수 있다(320). 출력장치(230)는 예약운전의 운전모드가 무엇인지 표시할 수 있다(310).
도 4 의 (b) 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입력장치(240)로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은 운전모드, 희망온도 또는 풍량 등이 상이한 것일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4 의 (c) 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예약운전을 수행하는 중에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는 경우, 운전상태를 변환할 수 있다. 출력장치(230)는 현재 수행중인 운전이 임시운전 임을 표시할 수 있다(320). 출력장치(230)는 임시운전의 운전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310).
도 5 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이 종료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예약운전이 재개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을 수행한 이후, 예약운전을 다시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예약운전을 재개할 예정이라는 표시를 출력장치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메모리에 저장된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시운전을 종료한 이후의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 의 (a)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현재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을 종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 있으나,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장치(140)는 예약된 시간이 임시운전이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도록 예약된 운전예약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출력장치로(230)로 임시운전이 종료된 이후에 예약운전이 시작될 것임을 알리는 표시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40)는 현재 시간 또는 예약운전이 시작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고, 그를 점멸하여 예약운전이 재개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330). 도 5 의 (b)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출력장치(230)로 예약운전이 대기 중임을 아이콘(340)으로 표시할 수 있으나,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6 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경우, 예약운전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기존에 저장하고 있던 상기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임시운전이 수행중인 경우에도,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시운전이 종료된 이후의 제어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예약된 시간이 상기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시각을 포함하도록 예약된 운전예약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40)는 예약된 예약운전이 복수 개인 경우,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시각에 예약된 예약운전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 의 (a)와 (b)의 변화를 참조하면, 제어장치(140)는 계속적으로 임시운전이 종료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도 6 에서는, 제어장치(140)는 출력장치(230)로 현재시간(330)을 계속적으로 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이 종료할 때까지 남을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을 시작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임시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을 종료하는 경우, 기존의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이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을 예약시간으로 하는 운전 예약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이 종료하는 시각을 포함하는 시간을 예약시간으로 하는 운전 예약에 있는 경우, 임시운전이 종료되면 바로 예약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예약운전이 재개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320).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예약상태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예약된 운전의 시간에 따른 온도에 따라서, 제어장치(140)의 제어동작을 파악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복수의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전 예약(A)은 희망온도가 18℃이고, 제2 운전 예약(B)은 희망온도가 2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전 예약(A) 및 제2 운전 예약(B)은 운전모드가 냉방일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C)을 e 시각에 시작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을 e 시각보다 늦은 f 시각에 종료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이 수행되는 시간(d)을 기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이 수행되는 시간(d)을 30분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2 운전 예약(B)은 g 시각에 시작되도록 예약되었으나, 임시운전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운전이 시작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운전 예약(B)은 임시운전이 종료된 f 시각부터 시작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임시운전(C)은 희망온도가 30℃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시운전(C)은 운전모드가 난방일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C)이 입력되는 경우, 제1 예약운전(A)에 우선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장치(140)는 임시운전(C)이 종료되는 경우, 종료시각을 예약시간으로 포함하는 운전 예약인 제2 예약운전(B)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운전 예약(A) 및 제2 운전 예약(B)은 임시운전을 수행한 경우에도, 취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제어장치 제어방법은 예약된 시간 및 예약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10), 예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운전예약에 기초한 예약운전을 시작하는 단계(S420),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은 경우(S430), 운전상태를 변환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 및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S450),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단계(S4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약된 시간 및 예약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10)는, 운전 예약에 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410)는, 운전 예약의 운전모드, 희망온도, 수행시간 또는 풍량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운전예약에 기초한 예약운전을 시작하는 단계(S420)는, 운전 예약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약운전을 시작할 수 있다. 운전예약에 기초한 예약운전을 시작하는 단계(S42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간에 걸쳐 예약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은 경우(S430), 운전상태를 변환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는 예약운전 중에 다른 운전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S430).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는 임시운전이 입력된 경우, 현재 시간을 예약 시간으로 포함하는 예약운전에 우선하여 임사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는 기존에 저장하고 있던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유지시킬 수 있다.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는 임시운전이 곧 종료될 것임을 표시할 수 있다.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는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경우, 예약운전이 재개될 것임을 출력장치로 표시할 수 있다.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는 예약운전이 재개될 것임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S440)는 예약운전이 재개될 때까지 남은 시간을 출력장치에서 점멸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S450),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단계(S460)는 임시운전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임시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단계(S460)는 예약된 시간이 상기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시각을 포함하도록 예약된 예약운전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단계(S460)는 임시운전이 종료된 시각을 예약 시간으로 포함하는 운전 예약이 있는 경우, 예약운전을 재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중앙제어기
120 : 실외기
130 : 실내기
140 : 제어장치
210 : 프로세서
220 : 메모리
230 : 출력장치
240 : 입력장치
250 : 통신장치

Claims (10)

  1. 실내의 공기를 조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로서,
    입력장치;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연동하여, 예약된 시간 및 예약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되고, 상기 운전예약에 기초하는 예약운전을 수행하는 도중, 상기 입력장치가 상기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은 경우, 운전 상태를 변환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예약된 시간이 상기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시각을 포함하도록 예약된 예약운전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임시운전을 수행하도록 입력을 받은 경우,
    상기 메모리가 기존에 저장하고 있던, 상기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유지시키는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종 운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할 예정이라는 표시를 상기 출력장치로 출력하는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할 때까지 남은 시간을 점멸되도록 표시하는 제어장치.
  6. 예약된 시간 및 예약된 운전모드에 기초하여 운전을 수행하는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예약된 시간이 도래하는 경우, 상기 운전예약에 기초한 예약운전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예약운전과 상이한 운전에 대한 입력을 받은 경우, 운전상태를 변환하여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는 경우,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장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하는 단계;는
    예약된 시간이 상기 임시운전이 종료되는 시각을 포함하도록 예약된 예약운전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제어장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기존에 저장하고 있던 상기 운전예약에 관한 데이터를 유지시키는 제어장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할 예정이라는 표시를 출력장치로 표시하는 제어장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운전을 재개할 때까지 상기 출력장치에서 남은 시간을 점멸시키는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20130117522A 2013-10-01 2013-10-01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2203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522A KR102203429B1 (ko) 2013-10-01 2013-10-01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522A KR102203429B1 (ko) 2013-10-01 2013-10-01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22A true KR20150039022A (ko) 2015-04-09
KR102203429B1 KR102203429B1 (ko) 2021-01-14

Family

ID=5302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522A KR102203429B1 (ko) 2013-10-01 2013-10-01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4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499A (ja) * 1997-06-20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局装置およびリモコン送信器
KR100321492B1 (ko) * 1998-07-14 2002-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정전복귀운전장치및그방법
KR20030013685A (ko) 2001-08-08 2003-02-15 선진산업주식회사 초기 선택을 마구잡이로 시작하는 반복적 선다형 시험을통한 외국어 습득 방법
JP4379431B2 (ja) * 2006-05-08 2009-12-09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KR20120019210A (ko) * 2010-08-25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JP5131185B2 (ja) * 2008-12-29 2013-01-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設備機器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499A (ja) * 1997-06-20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局装置およびリモコン送信器
KR100321492B1 (ko) * 1998-07-14 2002-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정전복귀운전장치및그방법
KR20030013685A (ko) 2001-08-08 2003-02-15 선진산업주식회사 초기 선택을 마구잡이로 시작하는 반복적 선다형 시험을통한 외국어 습득 방법
JP4379431B2 (ja) * 2006-05-08 2009-12-09 マックス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5131185B2 (ja) * 2008-12-29 2013-01-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設備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20019210A (ko) * 2010-08-25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429B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787B1 (ko) 히트 펌프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
EP3009901B1 (en) Controller for a chi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iller
KR101482139B1 (ko)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632052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EP303774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JP6428236B2 (ja) リモコ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102104437B1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1963615B1 (ko)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942522B1 (ko) 제어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2203429B1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EP2916080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2000064B1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220516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2063631B1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1972040B1 (ko) 공기조화기용 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43347B1 (ko) 원격제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40115788A (ko) 실내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40054718A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3598A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102010389B1 (ko) 제어장치
KR20140014678A (ko) 제어장치 및 제어장치 제어방법
KR20160008822A (ko) 공기 조화기 컨트롤러 및 그 동작 방법
JP2015075316A (ja) 空気調和装置
KR10222463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40132187A (ko)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