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133A -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 - Google Patents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133A
KR20150038133A KR1020157004238A KR20157004238A KR20150038133A KR 20150038133 A KR20150038133 A KR 20150038133A KR 1020157004238 A KR1020157004238 A KR 1020157004238A KR 20157004238 A KR20157004238 A KR 20157004238A KR 20150038133 A KR20150038133 A KR 20150038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ody
roller
diameter
guid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553B1 (ko
Inventor
페터 애흘링
알렉산더 헤밍어
세바스찬 바스티코브스티
Original Assignee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파울 헤티히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38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5Guide rails or tracks for a linear bearing, i.e. adapted for movement of a carriage or bearing body there alo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8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2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40Ball cages for multiple rows of b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2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4/00Metallic materials; Alloys
    • F16C2204/6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66Acetals, e.g. polyoxymethylene [P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8/00Plastics; Synthetic resins, e.g. rubbers
    • F16C2208/20Thermoplastic resins
    • F16C2208/76Polyolefins, e.g. polyproylene [P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40/00Specified values or numerical ranges of parameters; Relations between them
    • F16C2240/40Linear dimensions, e.g. length, radius, thickness, gap
    • F16C2240/70Diameters; Radii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14/00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e.g.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dryers
    • F16C2314/70Furniture
    • F16C2314/72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가구 부품용 인출가이드로, 상기 인출 가이드는, 적어도 두개의 인출 레일(10, 20, 30)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인출 레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2)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 바디(1)와 상기 제2 롤러 바디(2)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바디 케이지(3)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는 상기 롤러 바디 케이지(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바디(2) 보다 더 큰 공칭 직경과 더 작은 탄성 계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롤러 바디(1)의 제1 공칭 직경(d1)과 상기 제2 롤러 바디(2)의 제2 공칭 직경(d2)의 직경 차(Dd)는, 하한 -여기서, 하한은 제1 롤러 바디(1)의 직경의 제조 공차 이상임- 보다 크다.

Description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A pull-out guide for furniture parts which can be moved relative to one another}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와 관련된 것으로, 적어도 2개의 인출 레일, 복수의 롤러 바디를 구비하는 롤러 바디 케이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바디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바디 케이지에 남아있는 롤러 바디 보다 더 큰 직경과 더 낮은 탄성 계수를 구비한다.
가구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드로워와 같이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는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는, 선행문헌, 예를 들면 DE 3536654 C2에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통형 롤러 또는 볼은 롤러 바디 케이지에 롤러 바디로 사용된다.
높은 탄성 계수(modulus of elasticity, MOE)를 가진 "단단한" 스틸 볼 또는 롤러는,
그것들이 심지어 인출 가이드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무거운 중량에 의한 높은 기계적 하중 하에서 부드러운 안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종종 사용된다.
큰 롤링 소음(noise)은 단점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인출 가이드가 더 적게 적재될수록 더 커질 수 있다.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으로서의 드로워의 경우, 특히, 빈 상태이거나 거의 빈 드로워의 경우 작은 양의 하중이 발생된다.
롤링 소음은, 공진(co-oscillating)하는 드로워 바닥 및 빈 드로워에 의해 제공되는 공진 공간(resonant volume) 에 의한 경우 증폭된다.
바람직하게는 롤러 바디 케이지의 인출 가이드 상의 롤러 바디의 두개의 다른 타입을 사용하여 작은 롤링 저항에 대한 조합으로 낮은 롤링 소음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 문헌 WO2012/045854 A1에 알려져 있으며, 이때, 제1 타입의 롤러 바디는 제2 타입의 바디 또는 롤러 바디보다 더 낮은 경도(hardness)의 소재로 제조되고, 제1 타입의 롤러 바디는 제2 타입의 롤러 바디보다 더 크다.
두개의 롤러 바디의 사이즈에 대한 비율에 대해, 제2 타입의 롤러 바디의 직경은 제1 타입의 롤러 바디의 직경보다 적어도 1 내지 10% 정도 작다는 것이 기술되어 있다.
어떠한 상한도 더 낮은 경도를 가지는 제2 타입의 롤러 바디의 직경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지 않다.
테스트가 다르게 사용되는 소재에 종속적인 두개의 다른 타입의 롤러 바디 사이에 단지 1 내지 10% 의 사이즈의 차이의 경우, 인출 가이드의 롤링 소음이 감소될 것이라는 것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만약, 사이즈 면에서의 차이가 반대로 선택되고 너무 크다면, 이것은 더 크고 더 부드러운 바디의 파괴의 결과로 이어질지 모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목적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류의 인출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며, 다양한 롤러 바디의 사이즈 면에서의 차이가, 한편으로는 롤링 소음 면에서의 감소가 신뢰성 있게 구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출 가이드가 오랜 수명을 제공하며, 특히 더 크고 더 부드러운 롤러 바디에 어떠한 손상도 없는 방식으로 특정된다.
이 목적은 독립항이 기술적 특징을 구비하는 인출 가이드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효과적인 실시예 및 추가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에서 언급한 종류의 인출 가이드는, 제1 롤러 바디의 제1 공칭 직경 및 제2 롤러 바디의 제2 공칭 직경 사이의 직경 차가 제1 롤러 바디의 직경의 제조 공차 이상인 하한보다 크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것은 특히, 인출 가이드가 동작될 때 공간을 증가시키는 무부하 상태의 인출 가이드의 경우 하중을 이미 가정한 더 단단한 제2 롤러 바디의 소재의 결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정도의 더 부드러운 제1 롤러의 경우 발생되는 제조 공차의 결과로서 이 방식에서 방지된다.
제1 롤러 바디의 직경에 대한 최소한의 제조 공차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무부하 상태의 인출 가이드의 경우, 예를 들면 드로워가 비었을 때, 인출 레일의 안내가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를 통해 상대적으로 조용한 방식으로 발생된다는 것이 보장된다.
인출 가이드의 효과적인 실시예에서, 하한은 적어도 제1 롤러 바디의 직경의 제조공차에 제2 롤러 바디의 직경의 제조 공차 및/또는 최소 양을 더한 만큼 크다.
그 결과, 더 단단한 제2 롤러 바디의 제조 공차는, 또한, 한편으로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의 제조 공차에 대해 무시할 만큼 작지 않다면 고려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최소 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감소가 약간의 하중이 가해진 인출 레일의 경우 제공된다는 점이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최소 양은 제1 및 제2 롤러 바디 사이의 탄성 계수의 차이에 종속되고,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적어도 0.01mm이다.
직경 차에 대한 상한은 인출 가이드의 효과적인 추가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직경 차이는 제2 롤러 바디의 공칭 직경에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바디의 압축 동안 제1 롤러 바디의 항복점이 도달할 때보다 상한에서 더 작다.
따라서, 심지어 인출 가이드의 높은 하중의 경우, 예를 들면 드로워가 완전히 하중이 가해졌을 때, 초과 하중 및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의 연이은 파괴가 방지된다는 점이 보장된다.
만약, 상한이 인출 가이드의 하중에 종속적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가 압축 하중과 관련된다면 또한, 바람직하다.
인출 가이드의 하중은 이 방식에서 조정될 수 있고, 이때 하중의 변화는 부드러운 제1 및 단단한 제2 롤러 바디 사이에서 발생된다.
더하여, 상한은 최대로 제1 롤러 바디의 직경의 제조 공차 및 최대 양의 총합 만큼 큰 것이 효과적이며, 이때 상기 최대 양은 바람직하게 최대로 0.3mm이다.
이 기준은 쉽게 수행될 수 있고, 제1 및 제2 롤러 바디의 전형적인 소재 조합으로 제1 롤러 바디의 항복점이 도달하지 않고, 그래서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의 파괴가 방지된다는 점이 보장된다.
인출 가이드의 효과적인 추가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개의 인출 레일 사이의 롤러 바디는 적어도 두개의 롤러 바디 트랙 상에서 주행하고, 이때 롤러 바디 트랙 중 하나 상에 연이어 위치하는 적어도 두개의 롤러 바디는 제2 롤러 바디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2 롤러 바디로서 인출 가이드의 동일한 롤러 바디 트랙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2 롤러 바디는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상기 롤러 바디 트랙의 단부 측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는 상기 롤러 바디 케이지 또는 케이지 내의 제1 및 제2 롤러 바디의 배치를 특히 효과적으로 개시하고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최고로 인상적이다.
롤러 바디 트랙은 인출 가이드의 동작 중에 롤러 바디의 궤적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인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뒤이어 위치한 롤러 바디는 동일한 롤러 바디 트랙 상에서 주행한다.
인출 가이드의 효과적인 추가 실시예에서, 롤러 바디는 제1 및 제2 롤러 바디와 다른 제1 및 제2 롤러 바디에 더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는 제1 및 제2 롤러 바디의 존재에 제한이 없으나, 롤링 바디의 하나의 타입 또는 추가 롤러 바디의 복수의 타입을 포함하는 인출 가이드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것들은 특히 인출 가이드의 높은 하중 또는 특정하게 기울어지는 하중 또는 특히,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된 인출 가이드의 경우, 하중을 흡수하고, 그것들은 주행 성능을 개선시킨다.
인출 가이드의 효과적인 추가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는 스틸로 구성되고/구성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는 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로 구성된다.
특히, 매우 적절한 탄성 계수의 크기를 가지는 전술한 소재로 인해, 소재의 이러한 조합은, 특히,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는 롤링 소음 면에서의 감소가 신뢰성 있게 구현되고, 오랜 수명을 제공하며, 특히 더 크고 더 부드러운 롤러 바디에 어떠한 손상도 없는 방식으로 특정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인출 가이드의 제1 실시예에서 롤러 바디 케이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롤러 바디의 사이즈 면에서의 부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하중에 종속되는 다른 롤러 바디의 하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다이어그램이다.
도 5b는 인출 가이드의 하중에 종속적인 음파 압력 수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다이어그램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다양한 롤러 바디의 다른 배치 구조를 가지는 롤러 바디 케이지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제2 실시예에서의 롤러 바디를 구비하는 롤러 바디 케이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제2 실시예에서의 롤러 바디 케이지의 단면도이다.
도 7c는 제2 실시예에서의 롤러 바디 케이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도시된 실시예를 참로로 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인출 가이드는 적어도 두개의 인출 레일을 포함하고, 이 경우 세개의 인출 레일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즉, 외부 인출 레일(10), 중간 인출 레일(20) 및 내부 인출 레일(30)이 선형적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인출 레일(10)은, 예를 들면, 가구 몸체에 상기 외부 인출 레일(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수단(11)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내부 인출 레일(30)은 고정수단(3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31)으로 드로워와 같은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인출 레일(10)과 상기 내부 인출 레일(30)은, 상기 인출 가이드의 내부 구성을 이해하도록 도 1에 단면도로 도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인출 가이드는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르게 배치되는 인출 가이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것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세개의 레일에 종속적이지 않으며, 상기 레일의 기하학적 배치에 종속적이지도 않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단면도이다.
상기 외부 인출 레일(10) 및 상기 내부 인출 레일(30)은 각각 라운드진 코너를 구비하는 사각형의 프로파일(square profile)을 구비하고, 이때, 대향면 측(opposite sides)은 길이 방향 슬릿이 제공되어 그 결과 C 자형 단면이 일반적으로 얻어진다.
상기 외부 인출 레일(10) 및 상기 내부 인출 레일(30)은, 바람직하게, 중간 영역에서 적어도 강판(steel sheet)으로 제조되며, 이때, 플라스틱 플러그는 단부 영역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1)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플러그와 같은 것에 의해 형성된다.
중간 인출 레일(20)은 더블 크로스(double cross)와 유사한 프로파일을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중간 인출 레일(20)은 상기 외부 인출 레일(10) 또는 상기 내부 인출 레일(30) 상의 롤러 바디 장치를 통해 그것의 십자가 형상의 섹션(cross-shaped sections) 각각에 의해 안내된다.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롤러 베어링 장치는 도 3에 사시도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프로파일 상에서 C 자 형상의 길게 연장된 롤러 바디 케이지(3)를 포함하고, 이때, 복수의 롤러 바디(1, 2)는 상기 롤러 바디 베어링 포인트(4, 5)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볼은 롤러 바디(1, 2)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롤러 바디, 예를 들면, 드럼 형상의 롤러 또는 바디, 또는, 타원형 바디가 인출 가이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롤러 바디는, 각각 롤러 바디 케이지에 배치되는 베어링 핀의 유무와 관계없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롤러 바디(1, 2)는 상기 롤러 바디 케이지(3)의 길이 방향으로 6개의 레벨(level)로 배치되며, 롤러 바디는 상기 롤러 바디 케이지(3)의 외부 영역 상의 3개의 각각의 레벨로 2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4개의 각각의 롤러 바디(1, 2)는 각각 평면의 각각에 제공되고, 각각 상기 외부 인출 레일(10) 또는 상기 내부 인출 레일(30)의 라운드진 코너의 하나 상에 상기 인출 가이드의 조립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도시된 롤러 바디 케이지(3)에서, 상기 롤러 바디(1, 2)는 3개의 다른 롤러 바디 트랙 상에서 주행한다.
롤러 바디 트랙은 인출 가이드의 작동 중 롤러 바디의 궤적에 의해 정의된다.
인출 가이드의 인출 방향 상에 또는 상기 롤러 바디 케이지(3)의 길이 방향 상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롤러 바디는 동일한 롤러 바디 트랙 상에서 주행한다.
상기 롤러 바디 트랙(3)은, 예를 들면, 플라스틱 또는 메탈, 특히 소결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롤러 바디 케이지는, 또한, 다성분 소재(multi-component material)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베이스 바디는 형태적으로 안정한 소재(dimensionally stable material)로 제조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 영역은 플라스틱과 같은 소성 변형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것은 적어도 베어링 포인트의 소재가 마찰공학적으로 최적화된 특성을 가지는 경우 효과적이고, 그 결과 상기 롤러 바디의 회전을 위해 필요한 토크가 저감된다.
또한, 이것은 상기 베어링 포인트의 소재 상에 이미 위치한 윤활유에 의해 수행된다.
롤러 바디의 다른 타입, 예를 들면, 해칭 없이 도면에 도시된 제1 롤러 바디(1), 해칭으로 도시된 제2 롤러 바디(2)는 두개의 롤러 바디 케이지(3) 각각의 내부에 제공된다.
상기 제1 롤러 바디(1)와 상기 제2 롤러 바디(2)는 그들의 직경 및 그들의 경도(hardness)에 대해 서로 다르고, 예를 들면, 그들의 탄성계수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제1 롤러 바디(1)는 낮은 탄성 계수를 구비하고, 그러므로, 이는 제2 롤러 바디(2)보다 더 부드럽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제2 롤러 바디(2)보다 무부하 상태(unloaded state)에서 더 큰 직경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롤러 바디(1)와 상기 제2 롤러 바디(2) 사이의 사이즈면에서의 차이에 따르면, 다른 타입의 롤러 바디를 위한 상기 베어링 포인트(4, 5)는, 또한, 다른 많은 방법으로 치수화된다.
이 경우, 상기 베어링 포인트(4, 5)는 각각의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가 상기 베어링 포인트(4, 5)의 내부로 가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이때, 상기 베어링 포인트(4, 5)의 에지는 상기 가압 및/또는 상기 롤러 바디(1, 2)가 압축될 수 있는 동안 확장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포인트(4, 5)의 내부로의 삽입 이후, 상기 롤러 바디(1, 2)는 각각의 상기 베어링 포인트(4, 5) 내에서 상기 롤러 바디 케이지(3) 상에서 자유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최고의 가능한 범위(highest possible extent)로 유지된다.
상기 롤러 바디(1, 2)는 황동(brass), 청동(bronze), 알루미늄(aluminium) 또는 스틸(steel)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되거나,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POM),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열경화성 수지(thermosetting plastics) 또는 세라믹(ceramics)과 같은 비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부드러운 롤러 바디(1)와 더 단단한 롤러 바디(2)의 가능한 조합은, 예를 들면, 상기 제1 롤러 바디(1)를 위한 POM 또는 PP의 소재와 상기 제2 롤러 바디(2)를 위한 스틸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다.
도 4는 하기에서 사용되는 사이즈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롤러 바디(1) 및 제2 롤러 바디(2)는 서로 옆에 있는 평면(6) 상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롤러 바디(1)은 제1 직경(d1)을 구비하고, 제2 롤러 바디(2)는 제2 직경(d2)을 구비한다.
직경 차는 직경의 차이 △d(△d = d1 - d2) 에 의해 표시된다.
정의에 의하면, 제1 직경(d1)은 제2 직경(d2)보다 크기 때문에 △d는 0보다 크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기능은 도 5에 도시된 두개의 개략 다이어그램을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롤러 바디(1)의 더 큰 직경으로 인해, 인출 레일(10, 20 및 20, 30)은 단지 인출 가이드의 낮은 하중의 경우 제1 롤러 바디(1) 상에서 실질적으로 주행한다.
더 작은 제2 롤러 바디(2)는 두개의 인출 레일(10, 20 및 20, 30)의 어떠한 것에도 접촉되지 않거나 두개의 인출 레일의 어느 하나(예를 들어, 각각의 바닥 부분) 상에서 주행한다.
인출 가이드의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크지만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가 상기 인출 가이드의 특정한 하중의 정도로 압축될 때까지 점점 증가하게 압축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2)는 두개의 인접한 인출 레일(10, 20 및 20, 30)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이 수준을 넘은 상기 인출 가이드의 하중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 롤러 바디(2)에 의해 지지되고(taken up), 그들의 더 큰 탄성 계수로 인해 더 증가하는 하중의 경우에도 더 낮은 정도로 압축된다.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 사이의 탄성계수의 차이가 큰 경우, 예를 들면, 제1롤러 바디가 스틸에 비해 POM 또는 PP의 소재의 조합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2 롤러 바디(2)는 사실 상 경계와 같이 동작되도록 제공된다.
도 5a는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 상에 하중 분포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표시한다.
횡축은 인출 가이드의 총 하중을 지시하며, 이는 전체 인출 가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중량 m으로 표시된다.
종축은 전체 중량 m 의 부분적인 중량 m1 및 m2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는 제1 롤러 바디(1, m1) 및 제2 롤러 바디(2, m2)에 의해 흡수된 것이다.
하중 곡선 41은 제1 롤러 바디(1)에 의해 흡수되는 부분 중량 m1 의 크기를 지시하며, 하중곡선 42는 제2 롤러 바디(2)에 의해 흡수되는 부분 중량 m2을 지시한다.
인출 가이드의 하중이 상기 인출 가이드의 삽입 상태 및 수평하게 정렬되는 레일 상에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작용하는 하중이 형성된 상태에서 작용하는 경우, 상기 하중은 첫번째로 존재하는 제1 롤러 바디(1) 전체에 그 후로 현재의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 전체에 고르게 분산된다.
이 경우, 이것은 예를 들면, 삽입되고 고르게 하중이 분산된 드로워의 경우, 전환 포인트 상에서의 제2 롤러 바디에 하중이 가해진다는 것이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드로워의 불균등한 하중의 경우, 부분적인 인출의 경우 또는 인출 가이드의 완전한 인출의 경우, 인출 레일(10, 20, 30) 상에 작용하는 토크는 상기 레일 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더하여 얻어진다.
이것은 제1 롤러 바디(1)가 하중을 받고, 그래서, 롤러 바디 케이지(3) 내에서 서로 다른 지점에서 다른 큰 정도로 압축된다는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 인출 가이드의 하중에 종속적인 제1 롤러 바디(1)로부터 제2 롤러 바디(2)로의 하중의 전환은, 그때, 더 작게 분산된 정도로 배치되지만, 대신에 더 넓은 하중 영역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곡선(41, 42)은, 특히, 전환 영역에서 계속적으로 그들의 상승 기울기를 변화시킨다.
도 5b는 인출 가이드의 이동 동안 소음 개선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횡축은, 역시 인출 가이드의 전체 하중을 표시하고, 이는 전체 인출 가이드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중량 m으로 표시된다.
종축은 데시벨로의 음압수준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인출 가이드에 의해 방출된다.
두개의 음압수준 43 및 44는 비교 목적을 위해 도시하고 있으며, 그것들 중 43 음압수준은 전적으로 스틸 볼 또는 롤러와 같은 단단한 롤러 바디로 장착되는 인출 가이드의 롤링 소음을 도시하고 있다.
매우 높은 롤링 소음은, 특히, 낮은 하중(낮은 중량 m)하에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대해, 더 부드로운 제1 롤링 바디(1) 및 더 단단한 제2 롤링 바디(2)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에 낮은 하중 하에서의 롤링 소음은, 설명된 모든 하중 범위보다 더 낮아진다.
이것은 음압수준 44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소음 면에서 구현된 감소는, 특히, 낮은 하중 하에서 강해진다. 여기서, 낮은 하중이란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만 로딩된 경우 또는 실질적으로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가 로딩된 경우이다.
높은 하중 하에서, 상기 하중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출 가이드의 제2 롤러 바디(2)에 의해 흡수되고, 음압수준 43 및 44는 각각 접근하게 된다.
더 낮은 하중 범위 내에서 제1 롤러 바디(1)가 상기 인출 레일(10, 20)과 관련하여 그들의 소음 감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1 롤러 바디의 직경(d1)와 제2 롤러 바디의 직경(d2) 사이의 크기의 차(△d)가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상기 롤러 바디(1, 2)는 그들의 직경에 대해 피할 수 없는 제조 공차를 가지게 된다.
더 단단한 제2 롤러 바디(2)의 제조 공차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제조되는 제1 롤러 바디(1)의 경우, 그것들은 특히 전형적으로 더 크게된다.
제조 공차 △d1 및 △d2 의 가정하에서, 제조 공차는 크고 작은 직경에 대해 동일하게 크며, 제1 롤러 바디(1)의 실제 직경은 d1 ± △d1 의 범위 내에 놓여지고, 제2 롤러 바디(2)의 그것은 d2 ± △d2의 범위 내에 놓여진다. 이때, d1 및 d2는 각각 공칭 직경을 나타낸다.
롤러 바디 케이지 내에 사용되는 모든 제1 롤러 바디(1)가 사용되는 모든 제2 롤러 바디(2)보다 크다면, 제1 롤러 바디(1)는 낮은 하중 하에서 인출 레일의 동작 동안 소음 면에서의 감소를 야기한다.
이것을 보장하기 위해, 공칭 직경 d1 d2에 대한 직경 차 △d가 제조 공차 △d1 및 △d2의 총합보다 더 크게 선택되어야 한다.
더 단단한 제2 롤러 바디(2)의 제조 공차가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1)의 제조 공차 보다 항상 상당히 낮아, 제조 공차 △d2는 제조 공차 △d1와의 관계에서 선택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러한 기준은 직경 차 △d가 제조 공차 △d1보다 더 크게 선택된다는 점에서 간소화된다.
만약 비대칭 제조 공차 범위를 가정하면, 공칭 직경 d1 및 d2의 직경 차 △d의 선정에 있어서 제1 롤러 바디(1)의 직경의 공차에 대한 하한 공차 범위(bottom tolerance range)와 제2 롤러 바디(2)의 직경의 공차에 대한 상한 공차 범위(upper tolerance range)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1)의 가능한 최소 직경과 공칭 직경 d1 사이의 차이에 대한 총합과 더 단단한 제2 롤러 바디(2)의 가능한 최대 직경과 공칭 직경 d2 사이의 차이에 대한 총합이 직경 차 △d에 대한 하한을 결정한다는 것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1)과 더 단단한 제2 롤러 바디(2) 사이의 탄성계수의 차이가, 또한, 제조 공차에 더하여 하한 하중 범위(bottom loading range)의 소음 감소 효과에 대한 추가 기준으로서의 하한으로 고려된다면 효과적이다.
탄성 계수 사이의 차이가 더 커질수록 전술한 제조공차 △d1 또는 제조 공차의 총합 △d1 + △d2 에 더해지는 최소 양도 더 커져야한다.
상기 최소 양은 적어도 0.01mm 정도가 효과적이다.
더하여, 직경 차 △d에 대한 상한이 고려되어야 한다.
△d에 대한 상한의 하나의 기준은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1)의 소재의 부하능(loadability)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제2 롤러 바디(2)가 제1 롤러 바디(1)의 추가 압축을 제한하기 전에, 그것들이 인출 가이드의 증가하는 하중으로 초과 범위로 압축되면 그것들은 파괴된다.
제1 롤러 바디(1)의 파괴는, 일단, 제1 롤러 바디의 탄성 변형의 범위를 넘어서면 시작될 것이다.
일단, 제1 롤러 바디(1)의 소재의 항복점이 초과되면, 상기 제1 롤러 바디 d1 의 탄성 변형의 범위를 넘어선다.
항복점은 정적 압축(static compression) 동안 발생하는 압력 하중과 관련되고, 예를 들면, 제1 롤러 바디(1)의 회전 운동이 없는 압축 및 압축 상태에서 제1 롤러 바디(1)의 회전 운동 동안 일어나는 전단 하중과 관련된다.
직경 차 △d의 상한에 대한 추가 기준은 인출 가이드의 하중이며, 예를 들면, 선택된 드로워의 하중이고, 그것으로부터 더 단단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2)는 상당한 정도로 하중을 지지할 것이다.
만약, 선택된 하중이 무부하 드로워의 하중에 근접한다면, 직경 차 △d의 상한은 직경 차 △d의 하한에 근접한다.
만약, 선택된 드로워의 하중이 상기 드로워의 최대 중량에 근접하면, 직경 차 △d의 상한은 직경 차 △d의 하한으로부터 멀어지게 선택되어야 한다.
직경 차 △d의 하한 결정에 의해 소음 상승은 드로워의 인출 동안 최소화된다는 것이 보장된다.
직경 차 △d의 상한 결정에 의해, 한편으로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와 단단한 제2 롤러 바디 사이에 가해지는 중량의 변화를 세팅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더 부드러운 제1 롤러 바디의 초과 중량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드로워용 인출 가이드의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제1 롤러 바디는 POM으로 제조되고, 제2 롤러 바디는 스틸로 제조되고, 인출 가이드는 300mm의 인출 길이에 45kg의 하중을 위해 설계되며, 하기의 조건은 직경 차 △d를 위해 3.9mm인 제2 롤러 바디(2)의 제2 공칭 직경 d2로 얻어진다: 0.02 mm < △d < 0.17 mm.
0.02mm의 하한은 제조 공차 및 POM /스틸의 소재의 페어링(paring)를 위한 최소 양에 의해 미리 결정되고, 0.17mm의 상한은 소성 변형 및 제1 롤러 바디(1)의 소재 파괴(material failure )에 의해 결정된다.
26,000N(Newton)/mm2의 탄성 계수를 POM용으로 가정하고, 210,000N (Newton)/mm2의 탄성 계수를 스틸용으로 가정하며, 이때, 16개의 제1 롤러 바디(1) 및 8개의 제2 롤러 바디(2)는 각각 롤러 바디 케이지(3)에 제공되고, 인출 가이드는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에 따른 기본 구조를 가진다.
동일한 가정에서 직경 차 △d를 위해 1500N(Newton)/mm2의 탄성 계수를 가진 제1 롤러 바디(1)를 위한 PP의 소재 선택을 위해 하기 조건이 얻어진다: 0.03 mm < △d < 0.12 mm.
도 6은 롤러 바디 케이지(3) 내의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의 선택 가능한 배치에 대한 부분적인 이미지 (도 6b, 도 6c)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도 1 내지 도 3)에서 이미 설명한 배치는 비교를 위해 부분적인 이미지 도 6a로 반복되었다.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의 절대적인 수 및 또한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의 수의 비율은 여기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해질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또한, 추가의 다른 롤러 바디도 인출 가이드 및 롤러 바디 케이지(3) 내에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롤러 바디는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와 다를 수 있다.
도 7은 인출 가이드의 추가 실시예에 대한 롤러 바디 케이지(3)을 도시한다.
롤러 바디 케이지(3)의 경우, 이 경우 사시도(부분적 이미지 도 7a), 단면도(부분적 이미지 도 7b) 및 측면도(부분적 이미지 도 7c)로 도시되어 있고, 제1 및 제2 롤러 바디(1, 2)는 4개의 제1 롤러 바디(1)와 두개의 제2 롤러 바디(2)로 배치된다.
이 경우, 볼은 다른 두개의 열에 대하여 오프셋(offset) 방식으로 복수의 열 중 하나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컨셉은 롤러 바디 케이지의 복수의 실시예에 주로 적용될 수 있다.
1: 제1 롤러 바디(First roller body)
2: 제2 롤러 바디(Second roller body)
3: 롤러 바디 케이지(Roller body cage)
4: 제1 롤러 바디용 베어링 포인트(Bearing point for the first roller body)
5: 제2 롤러 바디용 베어링 포인트(Bearing point for the second roller body)
10: 외부 인출 레일(Outer pull-out rail)
11: 고정 수단(Fastening means)
20: 중간 인출 레일(Middle pull-out rail)
30: 내부 인출 레일(Inner pull-out rail)
31: 고정 수단(Fastening means)
41, 42: 하중 곡선(Loading curve)
43, 44: 소음 압력 레벨(Noise pressure level)
d1: 제1 롤러 바디의 공칭 직경(Nominal diameter of the first roller body)
d2: 제2 롤러 바디의 공칭 직경(Nominal diameter of the second roller body)
Dd: 직경차(Difference in diameter)

Claims (15)

  1.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가구 부품용 인출가이드로,
    상기 인출 가이드는,
    적어도 두개의 인출 레일(10, 20, 30)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인출 레일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2)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 바디(1)와 상기 제2 롤러 바디(2)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바디 케이지(3)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는 상기 롤러 바디 케이지(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롤러 바디(2) 보다 더 큰 공칭 직경과 더 작은 탄성 계수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롤러 바디(1)의 제1 공칭 직경(d1)과 상기 제2 롤러 바디(2)의 제2 공칭 직경(d2)의 직경 차(Dd)는, 하한 -여기서, 하한은 제1 롤러 바디(1)의 직경의 제조 공차 이상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한은, 상기 제1 롤러 바디(1)의 직경의 제조 공차(△d1)에 상기 제2 롤러 바디(2)의 직경의 제조 공차(△d2) 및/또는 최소 양을 더한 것 만큼 적어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양은, 상기 제1 롤러 바디(1)와 상기 제2 롤러 바디(2) 사이의 탄성 계수의 차이에 종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양은, 적어도 0.0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차(△d)를 위해 상한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에서의 직경 차(△d)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의 가압 중 상기 제1 롤러 바디(1)의 항복점(yield point)이 상기 제2 롤러 바디(2)의 공칭 직경(d2)에 도달하는 경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은, 상기 인출 가이드의 하중에 종속적이고, 이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2)는, 압축 하중에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은, 최대로 상기 제1 롤러 바디(1)의 직경의 제조 공차(△d1)와 최대 양의 합계 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양은, 최대 0.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인출 레일(10, 20, 30) 사이의 상기 롤러 바디(1, 2)는, 적어도 두개의 롤러 바디 트랙에서 동작하고,
    상기 롤러 바디 트랙 중 하나 상에 순차적으로 뒤이어 위치한 적어도 두개의 롤러 바디는, 제2 롤러 바디(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2 롤러 바디(2)보다 상기 인출 가이드의 동일한 롤러 바디 트랙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제2 롤러 바디(2)는, 각각 상기 롤러 바디 트랙의 단부측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 바디(1) 및 상기 제2 롤러 바디(2)에 더하여 추가 롤러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롤러 바디는, 상기 제1 롤러 바디(1) 및 상기 제2 롤러 바디(2)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롤러 바디(2)는, 스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롤러 바디(1)는, 폴리옥시메틸렌(POM) 또는 폴리프로필렌(P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가이드.

KR1020157004238A 2012-07-25 2013-07-12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 KR102040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6751.1 2012-07-25
DE102012106751.1A DE102012106751A1 (de) 2012-07-25 2012-07-25 Auszugsführung für relativ zueinander bewegbare Möbelteile
PCT/EP2013/064797 WO2014016141A1 (de) 2012-07-25 2013-07-12 Auszugsführung für relativ zueinander bewegbare möbelte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133A true KR20150038133A (ko) 2015-04-08
KR102040553B1 KR102040553B1 (ko) 2019-11-05

Family

ID=4880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238A KR102040553B1 (ko) 2012-07-25 2013-07-12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57843B2 (ko)
EP (1) EP2877055B1 (ko)
JP (1) JP6362593B2 (ko)
KR (1) KR102040553B1 (ko)
CN (1) CN104582534B (ko)
DE (1) DE102012106751A1 (ko)
ES (1) ES2610427T3 (ko)
PL (1) PL2877055T3 (ko)
PT (1) PT2877055T (ko)
WO (1) WO201401614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35A1 (ko) * 2018-01-26 2019-08-01 삼성전자(주)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2782B1 (de) 2014-09-03 2019-05-08 Apparatebau Gronbach Srl Auszugsführung
KR101784808B1 (ko) * 2015-04-13 2017-10-17 (주)세고스 서랍용 슬라이드 유닛
DE202015101836U1 (de) * 2015-04-15 2016-07-18 Grass Gmbh Wälzkörper und Wälzkörperanordnung für eine Ausziehführung für ein Möbel
US10159344B2 (en) * 2016-08-23 2018-12-25 Grass America, Inc. Pull-out guide
JP6686786B2 (ja) * 2016-08-10 2020-04-22 株式会社ダイフク 洗車機
DE102017107954A1 (de) * 2017-04-12 2018-10-18 Accuride International Gmbh Teleskopschiene
KR20190085332A (ko) * 2018-01-10 2019-07-18 (주)세고스 서랍용 슬라이드 장치
AT521372B1 (de) * 2018-11-13 2020-01-15 Blum Gmbh Julius Anordnung zur Führung wenigstens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AU2019275614A1 (en) * 2018-12-18 2020-07-02 Stryker Corporation Track assembly
AT522815B1 (de) * 2019-07-25 2021-02-15 Blum Gmbh Julius Laufwagen für eine Schubladenausziehführung
DE102019132872A1 (de) 2019-12-03 2021-06-10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DE102021129646A1 (de) * 2021-11-15 2023-05-17 Grass Gmbh Vorrichtung zur Führung eines beweglichen Möbelteils relativ zu einem Möbelkorp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5854A1 (de) * 2010-10-08 2012-04-12 Schock Metallwerk Gmbh Auszugführun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00374A (en) * 1943-11-03 1946-05-14 Ex Cell O Corp Control means for antifriction bearings
US2794690A (en) * 1952-10-01 1957-06-04 Steelcase Inc Expansible drawer supports
US2762660A (en) * 1953-06-09 1956-09-11 Metal Office Furniture Company Progressive suspensions
DE2656822A1 (de) * 1976-12-15 1978-06-22 Markus Spoetzl Waelzlagerung
DE3536654C2 (de) 1985-10-15 2002-08-08 Friedrich Hachtel Rollenlageranordnung, beispielsweise für Schubkasten-Auszugleisten
GB8529940D0 (en) * 1985-12-04 1986-01-15 Jackson P A S Ball slide system
DE9112658U1 (ko) * 1991-10-11 1992-11-12 Schwarzbich, Joerg, 4800 Bielefeld, De
DE9307088U1 (ko) * 1993-05-12 1993-07-01 Hettich Paul Gmbh & Co
IT1267041B1 (it) * 1993-05-14 1997-01-24 Compagnucci Spa Guida ad aste telescopiche per componenti estraibili di mobili, formata da profili tubolari estrusi in alluminio
US5417496A (en) * 1994-03-01 1995-05-23 General Devices Co., Inc. Ball bearing retainer for telescoping slide assembly
DE19511999B4 (de) * 1995-03-31 2005-09-08 MEPLA-WERKE LAUTENSCHLäGER GMBH & CO. KG Ausziehführung für Schubladen u. dgl.
DE29507916U1 (de) * 1995-05-17 1995-08-10 Hettich Paul Gmbh & Co Schubkastenauszugsführung
US5737971A (en) * 1996-08-05 1998-04-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DE10359962B4 (de) * 2003-12-18 2005-12-29 Nacam Deutschland Gmbh Lager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lenkwellen
ATE533379T1 (de) * 2005-08-11 2011-12-15 Accuride Int Ltd Verbesserungen bei oder in bezug auf gleitstützen
AT8732U1 (de) * 2005-12-06 2006-12-15 Blum Gmbh Julius Ausziehführungssystem für schubladen
DE102006055026A1 (de) * 2006-11-22 2008-05-29 Schaeffler Kg Radialwälzlager, insbesondere zur Lagerung von Wellen in Windkraftgetrieben
DE102007010348A1 (de) * 2007-03-03 2008-09-04 Schaeffler Kg Radialwälzlager, insbesondere Zylinderrollenlager zur Lagerung von Wellen in Windkraftgetrieben
KR101000744B1 (ko) * 2007-11-05 2010-12-14 박윤식 하부장착형 슬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DE202008004658U1 (de) * 2008-04-04 2009-08-13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iehführung und Backofen
CN101621714B (zh) * 2008-06-30 2013-06-12 华为技术有限公司 节点、数据处理系统和数据处理方法
DE102008053504B4 (de) * 2008-10-28 2023-01-26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führung für Möbel
DE202009004953U1 (de) * 2009-06-26 2010-11-25 Paul Hettich Gmbh & Co. Kg Selbsteinzugsvorrichtung und Auszugsführung
DE102013019006A1 (de) * 2013-11-13 2015-05-28 Laag S.R.L. Auszugsführung für ein Gerä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5854A1 (de) * 2010-10-08 2012-04-12 Schock Metallwerk Gmbh Auszugführ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7035A1 (ko) * 2018-01-26 2019-08-01 삼성전자(주) 가이드 레일과, 그것을 구비하는 수납장치 및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7055A1 (de) 2015-06-03
PL2877055T3 (pl) 2017-07-31
JP6362593B2 (ja) 2018-07-25
WO2014016141A1 (de) 2014-01-30
JP2015528722A (ja) 2015-10-01
DE102012106751A1 (de) 2014-01-30
US20150147009A1 (en) 2015-05-28
KR102040553B1 (ko) 2019-11-05
EP2877055B1 (de) 2016-10-12
PT2877055T (pt) 2017-01-23
CN104582534B (zh) 2017-10-13
ES2610427T3 (es) 2017-04-27
US9357843B2 (en) 2016-06-07
CN104582534A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553B1 (ko) 서로에 대한 관계에서 이동 가능한 가구 부품용 인출 가이드
US20130193824A1 (en) Drawer guide
RU2664222C2 (ru) Выдвижной направля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движных мебельных компонентов
DE102015201257B3 (de) Kugelgewindetrieb und zugehöriger elektromechanischer Aktuator
CA2951981C (en) Pull-out guide for furniture parts that can be moved in relation to each other
DE102011006745A1 (de) Linearführung
EP1596077A2 (en) Actuating device
DE202018105401U1 (de) Kugelrolle, insbesondere Polymerkugelrolle, sowie Anwendungen hierfür
EP2946691A1 (en) Multi-purpose drawer guide
US11415172B2 (en) Telescopic rail
KR101650124B1 (ko) 복합하중에 유리한 슬라이드 장치
EP3741254B1 (de) Führungsschienenfreie stulhführungsvorrichtung
JPWO2009011282A1 (ja) 運動案内装置及びねじ装置
JP3229980U (ja) 転動体を備える引出し用引出しガイド
US20200362946A1 (en) Everted Ball Screw Drive
KR101336548B1 (ko) 제한된 슬라이딩 궤도를 갖는 종방향 운동용 롤링 베어링
JP2013122296A (ja) ボール保持部材、ボール連結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リニアガイド又はボールね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