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972A - 프레젠테이션들을 향상시키는 방법, 서버 및 포인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프레젠테이션들을 향상시키는 방법, 서버 및 포인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972A
KR20150037972A KR1020157002774A KR20157002774A KR20150037972A KR 20150037972 A KR20150037972 A KR 20150037972A KR 1020157002774 A KR1020157002774 A KR 1020157002774A KR 20157002774 A KR20157002774 A KR 20157002774A KR 20150037972 A KR20150037972 A KR 2015003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inting device
displayed
screen
pres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웬 노리
제랄드 딜리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3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방법은, -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될 프레젠테이션의 이미지를,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202), -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스크린(101)에 관련된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정렬에 관한 정보를 포인팅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203, 204), - 수신된 정보에 의존하여 수행될 미리 결정된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205, 206, 212), 및 - 미리 결정된 동작의 결과를,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20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레젠테이션들을 향상시키는 방법, 서버 및 포인팅 디바이스{A METHOD, A SERVER AND A POINTING DEVICE FOR ENHANCING PRESENTATIONS}
본 발명은 프레젠테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서버 및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포인터들은 발표자와 동일한 공간에 있는 청중에 대한 프레젠테이션들 동안 사용된다. 레이저 포인터들은, 예를 들면 발표자가 현재 도시된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에서 하이라이트하기를 원하는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적색 포인트를 나타낸다.
다중 위치 프레젠테이션들에서, 레이저 포인터는 단지 발표자가 프레젠테이션을 하고 있는 위치에서 보여질 수 있다. 원격 위치들로 칭해지는 모든 다른 위치들은 발표자가 레이저 포인트로 지시하고 있는 하이라이팅된 영역을 볼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카메라 기반 포인팅 인터페이스들은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는 카메라에 기초하는 포인팅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들은 휘도 상태들에 크게 민감하고 슬라이드의 디스플레이된 콘텐트와 동적으로 상호 작용하게 하지 않는다.
무선 컴퓨터 마우스들은 프레젠테이션에서 마우스 포인터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젠테이션 동안 컴퓨터 마우스를 작동하는 것은 사용하기 번거롭고 느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다중 위치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아이디어는,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될 프레젠테이션의 이미지를,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것,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스크린에 관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정렬에 관한 정보를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것, 수신된 정보에 의존하여 수행될 미리 결정된 동작을 결정하는 것, 및 미리 결정된 동작의 결과를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미리 결정된 동작이 발표자에 대한 제한 없이 결정되고 미리 결정된 동작의 결과는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젠테이션을 시청하는 원격의 클라이언트들뿐만 아니라 스크린상의 프레젠테이션을 시청하는 로컬 청중에게 제공된다.
이롭게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지시하는 이미지상의 위치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정렬로부터 결정된다. 이는 사용되는 현재 표현된 이미지상의 위치를 쉽게 결정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롭게는, 미리 결정된 수평 배향 및 미리 결정된 수직 배향에 관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수평 배향각 및 수직 배향각으로부터 정렬이 결정된다. 이는 정렬을 결정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롭게는, 미리 결정된 수평 배향 및 미리 결정된 수직 배향은 포인팅 디바이스의 위치로부터 스크린의 수평 및 수직 말단들 사이의 각도에 각각 대응하는 최대 수평각 및 최대 수직각이다. 이는 또한 스크린에 관련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정렬의 계산을 간소화한다.
이롭게는, 최대 수평각 및 최대 수직각은 교정 이미지가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결정된다. 이는 사용을 간소화하고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한다.
이롭게는, 미리 결정된 동작은 새로운 이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새로운 이미지는 포인팅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에 지시하고 있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를 나타내는 심볼, 및 포인팅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에 지시하고 있는 위치에 의존하여 결정된 하이라이팅된 영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크기 조절된 원래의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서 결정되는 새로운 이미지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포인팅 디바이스가 지시하고 있는 영역의 동작들은 프레젠테이션으로 쉽게 통합된다.
본 발명은 개선된 프레젠테이션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플로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다른 전개들은 첨부된 청구항들 및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다.
후속하여,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포인터를 디지털화하고 이를 원격 청중, 로컬 청중을 위해 및 녹화된 시청을 위해 동시에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에 적응될 수 있는 포인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시스템은 예를 들면, 이미지의 콘텐트, 예를 들면,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를 분석하고, 이미지를 디지털화된 포인터와 조합하여 포인터가 현재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상에 지시하고 있는 영역을 하이라이팅하거나 강조하고,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또는 현재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부분을 크기 조절하는 것과 같은 미리 결정된 동작들을 수행한다.
시스템은 스크린(101), 서버(102), 및 포인팅 디바이스(110)를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포함한다.
서버(102)는 디스플레이(100)의 데이터 입력(105)에 연결 가능한 데이터 출력(103)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출력(103) 및 데이터 입력(105)은 데이터 링크(104)를 통해 연결 가능하다. 데이터 링크(104)를 통한 데이터 교환은, 예를 들면, VGA라고 잘 알려진 어레이 시스템의 비디오 그래픽들 또는 HDMI라고 잘 알려진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에 따른다. 예를 들면, 개별적인 이미지들은 데이터 링크(104)를 통해 교환된다.
스크린(101)을 갖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프로젝터가 이미지들을 상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스크린(101)의 크기는 높이(v) 및 길이(h)에 의해 결정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데이터 입력(105)에서 수신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스크린(101)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한 프로세서(106)를 포함한다.
서버(10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전송될 이미지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107)를 포함한다.
따라서, 프로세서(106), 프로세서(107), 데이터 출력(103), 및 데이터 입력(105)은 데이터 링크(104)를 통해 데이터, 특히 이미지들을 송신하기 위해 함께 동작한다.
서버(102)는 출력 디바이스(103)를 통해 임의의 연결된 클라이언트들로 송신되는 동일한 이미지를 송신하도록 구성 가능한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포함한다. 이미지는, 예를 들면, 잘 알려진 MPEG4 포맷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포맷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이미지들을 송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포맷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미지들은 출력 전에 임의의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서버(102)는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출력 디바이스(111)를 통해 포인팅 디바이스(110)에 연결 가능한 입력 디바이스(109)를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109) 및 출력 디바이스(111)는 무선 데이터 링크를 통해 포인팅 디바이스(110)와 서버(102) 간에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함께 동작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은 IEEE 802.11n 표준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임의의 다른 형태의 데이터 링크, 예를 들면, 유선 데이터 링크가 사용될 수 있다. 적외선 데이터 링크들 또는 블루투스 데이터 링크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공간에서 센서의 배향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도록 동작 가능한 센서(112)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센서(112)는 절대 위치 트랜스듀서 또는 배향 센서이다.
서버(102)는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위치 및 배향을 결정하고 이를 서버(102)로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세서(113)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프로세서(113)는 센서(112)에 의해 감지된 데이터로부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위치 및 배향을 결정하도록 적응된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1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포인팅 디바이스(110)를 보유하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버튼(114)을 포함한다. 버튼(114)은, 예를 들면, 눌려지고 눌려지지 않는 두 가지 상태들을 갖는다. 또한, 프로세서(113)는 특히, 그것이 눌려졌는지 또는 눌려지지 않았는지, 버튼(114)의 상태를 결정하고 출력 디바이스(111)를 통해 서버(102)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적응된다.
서버(102), 포인팅 디바이스(110)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포인팅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입력으로부터 서버(102)에 의해 결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스크린(101)상에 포인팅 디바이스(110)에 관한 정보와 함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함께 동작한다.
디지털화된 포인터를 원거리 청중 또는 레코더뿐만 아니라 로컬 청중에 이용가능하게 함으로써 프레젠테이션들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도 2의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방법은 예를 들면, 서버(102)가 턴 온될 때마다 시작한다.
시작 후 단계(201)가 실행된다.
단계(201)에서 시스템이 교정된다. 이를 위해, 서버(101)는 서버(101)상에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교정 이미지를 결정 및 출력한다.
교정 이미지는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사용자에 대한 명령들을 나타낸다. 이들 명령들은 발표자가 포인팅 디바이스를 스크린(101)의 하부 왼쪽 모서리로부터 스크린(101)의 하부 오른쪽 모서리로 및 나중에 스크린(101)의 하부 왼쪽 모서리로부터 상부 왼쪽 모서리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동할 것을 요청한다. 이동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스크린(101)의 두 개의 수평 말단들 및 스크린(101)의 두 개의 수직 말단들을 연결하는 축은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포함될 최대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말단들 사이에서 움직이는 동안 버튼(114)을 누르거나 유지하는 것은 교정을 위한 관련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해 요청되고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인팅 디바이스(110)로부터 발표자의 위치에 관련된 당해 스크린의 두 개의 말단 단부들로의 두 개의 연결 선들 사이의 각도는 스크린(101)의 크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각도들은 수평 및 수직 말단들 각각에 대하여 MaxθH 및 MaxθV로 라벨링된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107)에 의해 포인팅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 위치 및 배향 데이터로부터 결정된다. 최대 각도들은 서버(102)에서 추가로 처리하기 위해 저장된다. 단계(201), 즉, 교정은 선택적이거나 단계, 즉, 메모리로부터 교정 데이터를 판독하는 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 교정 후 단계(202)가 실행된다.
단계(202)에서, 이미지는 서버(102)에 의해 결정되고 데이터 출력(103)을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전송된다. 이미지는, 예를 들면, 프레젠테이션의 제 1 슬라이드이다. 동시에, 이미지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임의의 연결된 클라이언트들에게 전송된다. 선택적으로 포맷 변환은 이미지 출력 전에 수행된다. 이는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될 프레젠테이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단계(203)가 실행된다.
단계(203)에서, 단계(202)에서 전송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정보는 스크린(101)에 관련된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정렬에 관하여 및 버튼(114)의 상태에 관하여 포인팅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된다. 또한, 예에 따라, 버튼(114)이 눌려졌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예를 들면, 버튼(114)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부터 버튼(114)이 눌려졌는지 아닌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버튼이 눌려진 경우, 단계(204)가 실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209)가 실행된다.
단계(204)에서,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위치 및 배향이 결정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각 위치 및 배향은 도 1에 도시되는 수평각(θH) 및 수직각(θV)으로서 결정된다.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은, 예를 들면, θH와 MaxθH 사이의 비율 및 θV와 MaxθV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는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지시하는 이미지상의 위치가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정렬로부터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는 미리 결정된 수평 배향(MaxθH) 및 수직 배향(MaxθV)에 관련된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수평 배향각(θH) 및 수직 배향각(θV)으로부터 정렬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단계(205)가 실행된다.
단계 205에서, 미리 결정된 동작이 발표자에 의해 호출되는지가 결정된다. 이를 위해, 이동뿐만 아니라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위치 및 배향은 미리 결정된 동작을 나타내는 미리 결정된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분석된다. 예를 들면, 서버(102)에 저장된 미리 결정된 발표자 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가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된 미리 결정된 콘텐트를 지시하는 경우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이 결정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예를 들면, 원 또는 직사각형 형태를 형성하는, 동일한 영역을 지시하는 시간 기간 또는 시간에 걸친 각도들에서의 변경은 동작을 수행할지 안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계(212)는 미리 결정된 동작이 호출되어야 하는 것이 결정될 때 실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206)가 실행된다.
단계 212에서, 미리 결정된 동작이 수행된다. 이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수행될 미리 결정된 동작이 결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이는 예시적인 경우들에 의해 설명된다.
제 1 경우에서, 예를 들면, 지시되는 영역 아래에 놓인 콘텐트가 비디오인 경우, 이미지상에 미리 결정된 위치를 지시하는 미리 결정된 양의 시간 후에, 비디오는 재생을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체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미리 결정된 동작의 결과로서, 비디오의 마지막 이미지는 동작의 결과로서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미리 결정된 위치 아래에 놓인 영역이 다른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동작은 각도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으로부터 검출된 이동에 따른 이미지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우에, 동작의 결과는 크기 조절된 이미지이다.
제 2 경우에서, 동작은 이미지에서 보여진 슬라이드상의 그림을 매끄럽게 하는 것이거나 또는 이를 변화도 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슬라이드 콘텐트와 맞추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결과는 매끄러워지거나 맞춰진 이미지이다.
제 3 경우에서, 스크린(101)의 부분은 지시된 영역 및 스크린(101)상의 이미지의 나머지의 분석의 결과에 따라 하이라이팅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는 이미지에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하이라이팅된 단어는 포인팅 디바이스(110)에 의해 지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결과는 하이라이팅된 단어가 단지 스크린(101)의 이러한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단어인 것을 결정함으로써 스크린(101)상에 하이라이팅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자동으로 식별되는 하이라이팅된 단어 주위의 박스이다.
이후 단계(207)가 실행된다.
단계(206)에서, 포인터 이미지, 예를 들면, 빨간 점 같은 포인터를 나타내는 심볼은 포인터가 지시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결정된다. 이는 수신된 정보에 의존하여 수행될 미리 결정된 동작이 포인터를 포인터 이미지로서 디지털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작의 결과는 포인터 이미지이다. 선택적으로, 단계(206)는 어느 경우라도 버튼(114)이 눌려지는 정보가 유효해지자마자 결정된다. 예를 들면, 단계(206)는 발표자가 이미지상에 내비게이팅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단계(205) 전에 실행된다. 이후 단계(207)가 실행된다.
단계(207)에서, 디스플레이될 새로운 이미지는 원래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로부터 결정된다. 동작의 결과는 그 대신에 사용된 원래의 이미지에 통합된다. 예를 들면, 포인터는 디지털화되고, 즉 단계(206)에서 결정된 포인터 이미지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크기 조절된 이미지는 원래의 이미지 대신에 사용된다. 이후, 단계(208)가 실행된다.
단계(208)에서, 새로운 이미지, 즉, 동작의 결과는 디스플레이되기 위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전송된다. 이후, 단계(209)가 실행된다.
단계(209)에서, 버튼(114)이 눌려졌는지의 여부의 테스트가 수행된다. 이러한 테스트는 단계(203)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버튼이 여전히 눌려지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버튼(114)이 눌려진 경우, 단계(204)가 실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210)가 실행된다.
단계(210)에서, 동작의 결과가 없는 원래의 이미지 또는 지시하는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이후, 단계(211)가 실행된다.
단계(211)에서, 다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지 안되는지의 테스트가 수행된다. 다음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단계(202)가 실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211)가 실행된다. 다음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지 안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서버(102)는 스토리보드상의 미리 결정된 세트의 이미지들 또는 시간에 따른 프레젠테이션을 따른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서버(102)는 프레젠테이션의 다음의 이미지 또는 다음의 슬라이드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방법은,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또는 스토리보드상의 이미지들의 마지막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때 종료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단계들에서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이미지들이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서버(102)로부터 전송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들이 예를 들면, 이미지들을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적절한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들을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들로 전송함으로써, 동시에 원거리 청중에게 이용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데이터 레코더는 원래의 이미지와 함께 모든 새로운 이미지들을 저장하기 위해 서버(102)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102)의 부분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된 이미지들은, 예를 들면, 시간에 걸쳐 이미지들의 시퀀스로서 프레젠테이션과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레젠테이션의 재생은 원래의 프레젠테이션보다 발표자의 지시에 관한 동일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방법들의 다수의 부분들은 서버(102)상에 또는 서버(102)상에 부분적으로 및 포인팅 디바이스(110)상에 부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각도들(θH, θV, MaxθH, MaxθV)의 위치 및 배향, 결정은 포인팅 디바이스(110)상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프로세서(113)는 각각의 각도들을 결정하고 각도들에 대한 정보를 출력(111)을 통해 서버(102)로 전송하기 위해 센서(112)로부터 신호들을 평가하도록 적응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단순히 예시한다. 따라서,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기술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그의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수의 장치들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여기에 인용된 모든 예들은 주로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본 기술을 진보시키기 위해 발명자(들)에 의해 기여된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인 목적들을 위해서만 명백하게 의도되고, 이러한 특별히 인용된 예들 및 상태들에 대한 제한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여기에 인용하는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예들, 또한 그의 특정한 예들의 모든 진술들은 그의 동등물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프로세서들'로서 라벨링된 임의의 기능 블록들을 포함하는 도면들에 도시된 다수의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관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들은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그의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적인 프로세서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용어 '프로세서'의 명시적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말하는 것의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비휘발성 저장 장치를 제한 없이 암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종래 및/또는 맞춤형의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단지 개념적이다. 그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 및 전용 로직의 상호 작용을 통해, 또는 수동으로도 수행될 수 있고, 특정 기술은 문맥으로부터 더 구체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실행자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여기서 임의의 블록도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도들을 나타내는 것이 본 기술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플로차트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나타내질 수 있고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 안되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그렇게 실행되는 다수의 프로세스들을 나타내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기술의 숙련자는 다수의 상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여기서, 몇몇 실시예들은 또한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 예를 들면, 머신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하고, 명령들의 머신 실행가능하거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인코딩하는 디지털 데이터 저장 미디어를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상술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면 디지털 메모리들, 자기 디스크들 및 자기 테이프들과 같은 자기 저장 미디어,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미디어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상술된 방법들의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0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1 : 스크린
102 : 서버 104 : 데이터 링크
108 : 네트워크 디바이스 109 : 입력 디바이스
110 : 포인팅 디바이스 111 : 출력 디바이스

Claims (18)

  1.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될 상기 프레젠테이션의 이미지를,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202),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상기 스크린(101)에 관련된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정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203, 204),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존하여 수행될 미리 결정된 동작을 결정하는 단계(205, 206, 212), 및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의 결과를,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208)를 포함하는,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지시하는 상기 이미지상의 위치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상기 정렬로부터 결정되는(204),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은 미리 결정된 수평 배향(MaxθH) 및 수직 배향(MaxθV)에 관하여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수평 배향각(θH) 및 수직 배향각(θV)으로부터 결정되는(204),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평 및 수직 배향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스크린(101)의 상기 수평 및 수직 말단들 사이의 각도에 대응하는 최대 수평각(MaxθH) 및 최대 수직각(MaxθV)인,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수평 및 수직각들(MaxθH, MaxθV)은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된 정보로부터 결정되고 동시에 교정 이미지가 상기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은 새로운 이미지를 결정(207)하기 위한 것인,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에 지시하고 있는 위치에서 디스플레이된 포인터를 나타내는 심볼로 구성되는,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에 지시하고 있는 위치에 의존하여 결정된 하이라이팅된 영역으로 구성되는,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미지는 크기 조절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서 결정되는,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는 방법.
  11. 프레젠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102)에 있어서,
    스크린(101)상에 디스플레이될 상기 프레젠테이션의 이미지를, 특히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클라이언트 또는 레코더에 전송하고(202),
    상기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특히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포인팅 디바이스(110)로부터 상기 스크린(101)에 관하여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정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203, 204),
    특히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존하여 수행될 미리 결정된 동작을 결정하고(205, 206, 212),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의 결과를, 특히 상기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로 및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108)를 통해 상기 클라이언트 또는 상기 리코더로 전송(208)하도록 작동 가능한, 서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정렬로부터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지시하는 상기 이미지의 위치를 결정(204)하도록 적응되는, 서버.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은 미리 결정된 수평 배향 및 수직 배향에 관하여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의 수평 배향각(θH) 및 수직 배향각(θV)으로부터 결정되는(204), 서버.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동작은 새로운 이미지를 결정(207)하기 위한 것인, 서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의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지시하는 상기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는 포인터를 나타내는 심볼로 구성되는, 서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상의 상기 포인팅 디바이스(110)가 지시하는 상기 위치에 의존하여 결정된 하이라이팅된 영역으로 구성되는, 서버.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이미지는 크기 조절된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 부분으로서 결정되는, 서버.
  18.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비디오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서버.
KR1020157002774A 2012-08-03 2013-07-31 프레젠테이션들을 향상시키는 방법, 서버 및 포인팅 디바이스 KR20150037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969.3 2012-08-03
EP12305969.3A EP2693330A1 (en) 2012-08-03 2012-08-03 A method, a server and a pointing device for enhancing presentations
PCT/EP2013/066067 WO2014020057A1 (en) 2012-08-03 2013-07-31 A method, a server and a pointing device for enhancing presenta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972A true KR20150037972A (ko) 2015-04-08

Family

ID=4678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774A KR20150037972A (ko) 2012-08-03 2013-07-31 프레젠테이션들을 향상시키는 방법, 서버 및 포인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185870A1 (ko)
EP (1) EP2693330A1 (ko)
JP (1) JP2015527659A (ko)
KR (1) KR20150037972A (ko)
CN (1) CN104520804A (ko)
IN (1) IN2014DN11274A (ko)
WO (1) WO2014020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2057B (zh) * 2017-05-02 2019-09-11 比利時商巴可公司 簡報伺服器、資料中繼方法以及產生虛擬指標之方法
US11954778B2 (en) 2022-01-04 2024-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vatar rendering of present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4166A (ja) * 1993-03-12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装置
JP2001337783A (ja) * 2000-05-26 2001-12-07 Nec Corp レーザビームポインタ並びにその操作方法
US6989801B2 (en) * 2001-03-22 2006-01-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wo-way presentation display system
US20040095317A1 (en) * 2002-11-20 2004-05-20 Jingxi Zhang Method and apparatus of universal remote pointing control for home entertainment system and computer
US7961909B2 (en) * 2006-03-08 2011-06-14 Electronic Scripting Products, Inc. Computer interface employing a manipulated object with absolute pose detection component and a display
US7746321B2 (en) * 2004-05-28 2010-06-29 Erik Jan Banning Easily deployable interactive direct-pointing system and presentation control system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KR101231577B1 (ko) * 2004-08-12 2013-02-08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포인팅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제어 인터페이스
JP4770197B2 (ja) * 2005-02-28 2011-09-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レゼンテーション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60032A (ja) * 2005-08-22 2007-03-08 Keio Gijuku 情報処理装置、講義システム、テレビ会議システム
US20090184922A1 (en) * 2008-01-18 2009-07-23 Imu Solutions, Inc. Display indicator controlled by changing an angular orientation of a remote wireless-display controller
US20100289743A1 (en) * 2009-05-15 2010-11-18 AFA Micro Co. Laser pointer and gesture-based input device
US20100318916A1 (en) * 2009-06-11 2010-12-16 David Wilkin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ultimedia presentations
KR101646953B1 (ko) * 2010-01-12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217997B2 (en) * 2010-03-16 2012-07-10 Interphase Corporation Interactive display system
DE102012208748B4 (de) * 2011-06-21 2023-07-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rfahren und System zur Fernsteuerung von Funktionen eines Mauszeigers einer Rechnereinh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20804A (zh) 2015-04-15
WO2014020057A1 (en) 2014-02-06
IN2014DN11274A (ko) 2015-10-09
JP2015527659A (ja) 2015-09-17
EP2693330A1 (en) 2014-02-05
US20150185870A1 (en)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54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by tracking head of user through camera modul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for
JP5423183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EP2287809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8026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0764698B1 (ko) 카메라 영상의 패턴인식과 해석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단말기
US9946363B2 (en) Projector, interactive system, and interactive control method
US20140071171A1 (en) Pinch-and-zoom, zoom-and-pinch gesture control
CN102194254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2015029464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05756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3777882A (zh) 基于触摸屏的多项选中方法及装置
US20110001824A1 (en) Sensing apparatus, event sen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system
US20230283832A1 (en)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for remotely communicating instructions
EP2538354A1 (e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of
US9298079B2 (en) Sonar preview mode
JP2014219885A (ja) テスト支援方法、テスト支援システム
JP5657471B2 (ja) デジタル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
KR20150037972A (ko) 프레젠테이션들을 향상시키는 방법, 서버 및 포인팅 디바이스
CN104854547B (zh) 功能控件的显示处理方法和显示处理系统
CN106605188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10963097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for touch-region calibration
US9196068B2 (en) Projector system, and method for drawings
KR102101432B1 (ko) 포인터 표시 제어 방법 및 포인터 표시 방법과 그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JP5570304B2 (ja) 表示装置及びシステム
US11557065B2 (en) Automatic segmentation for screen-based tutorials using AR image anch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