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160A - 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 Google Patents

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160A
KR20150037160A KR20130116495A KR20130116495A KR20150037160A KR 20150037160 A KR20150037160 A KR 20150037160A KR 20130116495 A KR20130116495 A KR 20130116495A KR 20130116495 A KR20130116495 A KR 20130116495A KR 20150037160 A KR20150037160 A KR 20150037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flow
fluid
manifol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4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예원경
김기철
홍유식
임예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13011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7160A/en
Publication of KR20150037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4Joints for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o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uid dispenser comprises: an inlet pipe for supplying a fluid; a manifold connected to the inlet pipe to be extended in a direction vertic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let pipe; and a plurality of outlet pipes which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to discharge the fluid and is arranged at intervals getting smaller as it gets further from the inlet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dispenser minimizes the difference in time for the fluid injected to the manifold to reach each outlet pipe as well as the variation in the discharging pressure applied to the outlet pipes positioned to be close to or far from the inlet pipe, thereby allowing the fluid to be uniform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ipes.

Description

균일한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 RTI ID = 0.0 >

균일한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유체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분배기에 유체 투입 시 각 출구에서 나온 유체가 균일한 흐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유체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To a fluid dispenser for forming a uniform f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dispenser that allows a fluid from each outlet to form a uniform flow when a fluid is dispensed into a dispens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입 관(1)으로 투입된 유체가 매니폴드(manifold, 2)를 통해 매니폴드(2) 상에 연결된 복수의 유출 관(3)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 종래의 유체 분배기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there is shown a prior art system in which a fluid introduced into an inlet pipe 1 is designed to be discharged to a plurality of outlet pipes 3 connected on a manifold 2 through a manifold 2 A fluid distributor is shown.

이러한 종래의 유체 분배기는, 복수의 유출 관(3)이 동일한 간격(d)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또한 각각의 유출 관(3)이 갖는 직경(r)이 동일하게 설계되어 있다.Such a conventional fluid distribu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utflow tubes 3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same interval d and the diameter r of each outflow tube 3 is designed to be the same .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유체 분배기는, 유입 관(1)을 통해 공급된 유체가 매니폴드(2)를 통해 각각의 유출 관(3)에 도달하기 까지 걸리는 시간의 편차가 클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편차는 특히 유체의 투입/배출이 시작되는 공정의 초기에 더욱 크게 발생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luid distributo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time required for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inflow pipe 1 to reach each of the outflow tubes 3 through the manifold 2 is large, And such deviations are more pronounced at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especially when fluid input / discharge starts.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공급 관(1)에서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유출 관(3)에 가해지는 배출 압력과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하는 유출 관(3)에 가해지는 배출 압력에는 차이가 발생되기 쉬워 각각의 유출 관(3)에서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이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amount of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ipe 3 located at a relatively larg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ressure applied to the discharge pipe 3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supply pipe 1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difference in pressure is likely to occur and the flow of the fluid discharged from each of the outflow pipes 3 becomes uneven.

이러한 유체 흐름 상의 불균일성은 배출된 유체를 이용한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제품의 품질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이러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체의 흐름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유체 분배기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Such non-uniformity in fluid flow is likely to lead to product degradation in subsequent processes using the discharged fluid, and development of a fluid distributor capable of uniformly forming a fluid flow to improve the quality of such products This is a required situ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각각의 유출 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배출된 유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a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e discharged fluid by making the flow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each outlet pipe uniform.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는,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 관; 상기 유입 관과 연결되며 상기 유입 관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 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유출 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uid distributor including: an inlet pipe for supplying fluid; A manifold connected to the inlet pip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let pipe; And a plurality of outflow tubes connected to the manifold to discharge the fluid, the outflow tube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smaller distance from the inflow tube.

상기 유출 관은, 상기 매니폴드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outflow pipe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nifold.

상기 복수의 유출 관은, 상기 매니폴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may be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anifold.

상기 복수의 유출 관은, 상기 유입 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outflow tubes may have a smaller diameter as they are farther from the inflow tube.

상기 복수의 유출 관은, 상기 유입 관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상기 복수의 유출 관 중에서 최 외곽에 위치하는 유출 관은, 상기 매니폴드의 측면과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The outflow pipe located at the outermost out of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may be installed adjacent to a side surface of the manifold.

상기 유출 관은, 상기 유입 관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설치되는 제1 유출 관; 상기 제1 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유출 관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유출 관; 상기 유입 관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설치되는 제3 유출 관; 및 상기 제2 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유출 관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는 제4 유출 관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outflow pipe comprises: a first outflow pipe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A second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stalled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outlet pipe; A third outflow pipe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And a fourth outflow pipe install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ourth outflow pipe further installed outside the third outflow pipe.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2 유출 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3 유출 관과 제4 유출 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3 유출 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utflow tube and the second outflow tub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outflow tube and the fourth outflow tube may be formed to be clos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utflow tube and the third outflow tube.

상기 제2 유출 관과 제4 유출 관의 직경은,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3 유출 관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diameters of the second outlet pipe and the fourth outlet pipe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rst outlet pipe and the third outlet pi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매니폴드에 투입된 유체가 각각의 유출 관에 도달되기까지의 시간 편차를 최소화 함으로써 유출 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ize the flow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ipe by minimizing the time deviation until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manifold reaches each outlet pi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입 관으로부터 멀리 위치한 유출 관과 유입 관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유출 관에 각각 가해지는 배출 압력의 편차를 최소화 함으로서 유출 관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niformly distribute the flow of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outflow pipe by minimizing the deviation of the discharge pressure applied to each of the outflow pipe located away from the inflow pipe and the outflow pipe located close to the inflow pipe hav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유체 분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체 분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체 분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유체 분배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에서 나타나는 유체 흐름의 균일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given below, serve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Figures 1 and 2 show a conventional fluid distributor.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id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luid distributor shown i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fluid distributor shown in Fig.
Figure 6 is a graph comparing the uniformity of fluid flow in a fluid distribu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nventional fluid distribu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som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10)를 설명하기로 한다.3 to 5, a fluid distribu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체 분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유체 분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uid distribu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luid distributo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fluid distributor shown i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10)는 유입 관(11), 매니폴드(12, manifold), 복수의 유출 관(13)을 포함한다.3 to 5, a fluid distribu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let pipe 11, a manifold 12, and a plurality of outlet pipes 13. As shown in FIG.

상기 유입 관(11)은 분배의 대상이 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탱크(미도시)와 연결되는 관으로서, 이를 통해서 매니폴드(12)에 유체가 공급된다.The inflow pipe 11 is connected to a tank (not shown) for storing a fluid to be dispensed, and the fluid is supplied to the manifold 12 through the pipe.

상기 매니폴드(12)는 유입 관(11)과 복수의 유출 관(13) 사이에 연결되며 유입 관(11)이 연장된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니폴드(12)의 연장방향이라 함은 매니폴드(12) 내부에 형성된 채널(channel), 즉 유체의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manifold 12 is connected between the inflow pipe 11 and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 and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flow pipe 11 extends. Here,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nifold 12 means a channel formed inside the manifold 12, that is, a direction in which a fluid passage of the fluid is formed.

상기 유출 관(13)은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유체를 유체 분배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매니폴드(12)의 연장 방향과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매니폴드(12)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나란히 배치된다.The outlet pipe 13 is connected to the manifold to discharge the fluid to the outside of the fluid distributor 10. The outlet pipe 13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nifold 12, A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old 12.

이러한 복수 개의 유출 관(13)은, 유입 관(11)을 기준으로 제1 방향(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좌측 방향)에 설치되는 제1 유출 관(13a) 및 제1 방향에 설치되되 제1 유출 관(13a)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유출 관(13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유출 관(13)은, 유입 관(11)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우측 방향)에 설치되는 제3 유출 관(13c) 및 제2 방향에 설치되되 제3 유출 관(13c)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는 제4 유출 관(13d)을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 includes a first outflow pipe 13a provided in a first direction (left direction a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IGS. 4 and 5)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11, And a second outflow pipe (13b) installed outside the first outflow pipe (13a).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 are arranged in a second direction (the rightward direction in FIGS. 4 and 5)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11, And an outflow pipe 13c and a fourth outflow pipe 13d installed in the second direction and further outwardly of the third outflow pipe 13c.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매니폴드(12) 상에 이처럼 4개의 유출 관(13a~13d)이 설치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로써 유출 관(13)의 설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ur outflow pipes 13a to 13d are shown on the manifold 12,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the outflow pipes 13 is not limited .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유출 관(13a~13d)은 유입 관(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2 유출 관 사이의 거리(D2) 및 제3 유출 관과 제4 유출 관 사이의 거리(D2)는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3 유출 관 사이의 거리(D1)보다 가깝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a to 13d are disposed with a smaller distance from the inflow pipe 11. That is, the distance D2 between the first outflow pipe and the second outflow pipe and the distance D2 between the third outflow pipe and the fourth outflow pipe are set to a distance D1 between the first outflow pipe and the third outflow pipe ).

이는 유입 관(11)을 통해 공급된 유체가 매니폴드(12)를 통해 각각의 유출 관(13)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의 편차를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 특히 유체가 투입되기 시작하는 유체 배분 공정의 초기에 발생되기 쉬운 유체 흐름의 불균일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This is to minimize the variation in the time taken for the fluid supplied through the inlet pipe 11 to reach the respective outlet pipes 13 through the manifold 12. When adopting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non-uniformity of the fluid flow, which is likely to occur at the beginning of the fluid dispensing process, which starts to be injected.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유출 관(13a~13d)은 유입 관(1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유출 관(13b)과 제4 유출 관(13d)의 직경(R2)은 제1 유출 관(13a)과 제3 유출 관(13c)의 직경(R1)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5,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a to 13d are form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as the distance from the inflow pipe 11 increases. That is, the diameter R2 of the second outflow pipe 13b and the fourth outflow pipe 13d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R1 of the first outflow pipe 13a and the third outflow pipe 13c.

이는 유체 배분 공정이 개시된 후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공급 관(1)에서 가깝게 위치하는 유출 관(3)에 가해지는 배출 압력(F1)과 멀리에 위치하는 유출 관(3)에 가해지는 배출 압력(F2)의 차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유체 흐름의 불균일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유입 관(11)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배출압력은 점점 낮아질 수 있는데, 유입 관(11)으로부터 멀리 배치된 유출 관(13)일수록 그 직경을 더 작게 설계함으로써 유속을 높여 유체가 비교적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since the start of the fluid distribution process, the discharge pressure F1 applied to the outlet pipe 3 positioned close to the supply pipe 1 is applied to the outlet pipe 3 located far away Is to solve the problem of non-uniformity of the fluid flow which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of the discharge pressure F2. In other words, as the distance from the inflow pipe 11 increases, the discharge pressure may gradually decrease. By setting the diameter of the outflow pipe 13 located far away from the inflow pipe 11 to be smaller, So that it is smoothly discharg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유출 관(13a~13d)은 유입 관(1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 관(11)을 기준으로 좌/우에서 나타나는 유체 흐름의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4 and 5,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a to 13d are symmetr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11. This is to ensure the uniformity of the fluid flow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let pipe 11.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유출 관(13a~13d) 중 최 외곽에 위치한 유출 관(13b,13d)은 매니폴드(12)가 연장된 길이 방향 양 측 단부에 인접한 영역, 즉 매니폴드(12)의 양 측면(12a,12b)과 인접한 영역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유출 관(13b,13d)과 매니폴드(12)의 길이 방향 양 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유출 관(13b,13d)의 직경(D2)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5, outflow pipes 13b and 13d located at the outermost out of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a to 13d are arranged in a region adjacent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manifold 12 extends, that is, (12a, 12b) of the base plate (12),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outlet pipes 13b and 13d and both longitudinal ends of the manifold 12 is preferably less than the diameter D2 of the outlet pipes 13b and 13d.

이는, 매니폴드(12) 내부 공간의 부피를 최소화 함으로써 각각의 유출 관(13a~13d)에 전달되는 배출 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This is to increase the discharge pressure delivered to each of the outflow pipes 13a to 13d by minimizing the volum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nifold 12. [

이처럼, 복수의 유출 관(13a~13d) 사이의 거리와 직경 등이 조절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10)의 우수한 효과는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 잘 나타나 있다.The excellent effect of the fluid distribu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istance and diameter between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13a to 13d are adjusted is well illustrated through the graph shown in FIG.

도 6은 종래의 유체 분배기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 분배기에서 나타나는 유체 흐름의 균일도를 비교한 그래프이다.Figure 6 is a graph comparing the uniformity of fluid flow in a fluid distribu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onventional fluid distributor.

도 6을 참조하면, 고흡수성 폴리머의 생산을 위한 액체를 분배기(10)를 이용하여 기재 상에 떨어뜨린 후, 이러한 용액에서 나타나는 액체/기체 계면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liquid for the production of the superabsorbent polymer is dropped on the substrate using the dispenser 10,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liquid / gas interface appearing in this solution is shown.

좌측의 그래프가 종래의 분배기를 이용하여 액체를 배출한 경우의 실험 결과이고, 우측의 그래프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를 이용하여 액체를 배출한 경우의 실험 결과이다.The graph on the left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the liquid was discharged using the conventional distributor, and the graph on the right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the liquid was discharged using the distribu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래프 상에서 X축 방향은 기재의 폭 방향(즉, 복수의 유출 관이 배치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Y축 방향은 기재가 이동하는 방향(즉 하나의 유출 관으로부터 배출된 액체가 기재 상에 낙하하는 위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X axis direction on the graph represents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material (i.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outflow tubes are arranged), and the Y axis direction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material moves (i.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osition).

여기서, X축 상의 임의의 지점에서 Y축을 따라 일어나는 색상의 변화를 살펴보면, 모든 Y축 상의 어떠한 지점을 선택하더라도 우측의 그래프가 더 적은 색상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Here, the change in color occurring along the Y axis at an arbitrary point on the X axis shows that the color on the right side exhibits less color change regardless of any point on the Y axis.

수치적으로 살펴보면, 좌측의 그래프에 나타난 계면(액체/기체) 위치를 통해 구해진 표준편차는 0.0528이고, 우측의 그래프에 나타난 계면(액체/기체) 위치를 통해 구해진 표준편차는 0.0380에 해당한다.Numerically, the standard deviation obtained through the interface (liquid / gas) position shown in the graph on the left is 0.0528, and the standard deviation obtained through the interface (liquid / gas) position shown on the right graph is 0.0380.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분배기(10)는 종래의 분배기(1, 도 1 참조)와 비교하여 유체가 더욱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명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t is clear that the fluid distribu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fluid to be discharged more uniformly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istributor 1 (see FIG. 1).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유체 분배기 11: 유입 관
12: 매니폴드(manifold) 13: 유출 관
D1,D2: 유출관 사이의 거리 d1,d2: 유출 관의 폭
10: fluid distributor 11: inlet pipe
12: manifold 13: outlet pipe
D1, D2: distance between outlet pipes d1, d2: width of outlet pipe

Claims (9)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입 관;
상기 유입 관과 연결되며 상기 유입 관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매니폴드; 및
상기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상기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 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유출 관을 포함하는 유체 분배기.
An inlet pipe for supplying fluid;
A manifold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flow pipe; And
And a plurality of outflow tubes connected to the manifold to discharge the fluid, the plurality of outflow tubes being spaced apart with a smaller distance from the inlet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관은,
상기 매니폴드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pipe
And has a shap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nif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 관은,
상기 매니폴드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comprise:
And is dispose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anif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 관은,
상기 유입 관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더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comprise:
And has a smaller diameter away from the inlet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 관은,
상기 유입 관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comprise:
Wherein the fluid distributor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inlet pi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출 관 중에서 최 외곽에 위치하는 유출 관은,
상기 매니폴드의 측면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flow pipe locat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outflow pipes comprises:
And is disposed adjacent to a side surface of the manif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 관은,
상기 유입 관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설치되는 제1 유출 관;
상기 제1 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1 유출 관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는 제2 유출 관;
상기 유입 관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에 설치되는 제3 유출 관; 및
상기 제2 방향에 설치되되, 상기 제3 유출 관보다 더 외측에 설치되는 제4 유출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pipe
A first outflow pipe installed in a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A second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stalled further outward than the first outlet pipe;
A third outflow pipe installe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flow pipe; And
And a fourth outflow pipe install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ourth outflow pipe further installed outside the third outflow pip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2 유출 관 사이의 거리 및 상기 제3 유출 관과 제4 유출 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3 유출 관 사이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utlet tube and the second outlet tub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hird outlet tube and the fourth outlet tube is closer to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outlet tube and the third outlet tub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출 관과 제4 유출 관의 직경은 상기 제1 유출 관과 제3 유출 관의 직경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분배기.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outlet pipe and the fourth outlet pip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s of the first outlet pipe and the third outlet pipe.
KR20130116495A 2013-09-30 2013-09-30 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KR201500371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495A KR20150037160A (en) 2013-09-30 2013-09-30 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495A KR20150037160A (en) 2013-09-30 2013-09-30 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60A true KR20150037160A (en) 2015-04-08

Family

ID=5303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495A KR20150037160A (en) 2013-09-30 2013-09-30 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716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41B1 (en) * 2018-12-06 2020-04-07 주식회사 동광보일러 Water tube type hot water boiler
KR20200074580A (en) 2018-12-17 2020-06-25 (주)이쿨 Distributor for mixed refrigerant and multi-air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441B1 (en) * 2018-12-06 2020-04-07 주식회사 동광보일러 Water tube type hot water boiler
KR20200074580A (en) 2018-12-17 2020-06-25 (주)이쿨 Distributor for mixed refrigerant and multi-air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0330B (en) An action element,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layer of adhesive material onto a substrate
KR1025634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lk vaporization of precursor
JP2018501405A5 (en)
CN105793959B (en) Substrate-treating apparatus
TW201542860A (en) CVD apparatus with gas dilivery ring
KR20150037160A (en) Dispenser for uniformity of flow
TW201420211A (en)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WO2021181968A1 (en) Slit die
KR20120028963A (en) Gas injection apparatus
EP2711443A1 (en) Gas injector and injector pipe thereof
JP5841247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gas jet in a coating process for coating a metal strip
KR20140137812A (en) Slit nozzle and slit coating apparatus using thereof
KR102132295B1 (en) Gas distributing plate, and reaction chamber including the same, and apparatus treating substrate including the same
KR20200039674A (en)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JP2016078012A (en) Coating tool
CN105870040A (en) Nozzle and etching apparatus
JP2009028685A (en) Die coating device
KR101699944B1 (en) Active material coating equipment and Active material distributor applied for the same
KR20220019359A (en) Gas supplying method using the gas distributing unit
KR20150037161A (en) Active material coating equipment and Active material distributor applied for the same
KR101776401B1 (en) Atomic layer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with uniform gas flow
KR102189575B1 (en) Gas distributing unit for apparatus treating substrate
JP2017188502A (en)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US9004649B2 (en) Printing device
EP3831473A1 (en) Socket-type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