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646A -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646A
KR20150034646A KR20140128145A KR20140128145A KR20150034646A KR 20150034646 A KR20150034646 A KR 20150034646A KR 20140128145 A KR20140128145 A KR 20140128145A KR 20140128145 A KR20140128145 A KR 20140128145A KR 20150034646 A KR20150034646 A KR 2015003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engaging
push switch
case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819B1 (ko
Inventor
도시히코 다자와
히로히사 아사이
가츠히코 고타니
마사아키 스다
기요타다 고바야시
다케오 후루야마
가츠아키 시마타니
고조 스에다
요시나오 이토
히데타카 사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62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0900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푸시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한다.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조작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3a)를 갖고,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이 개방된 공간부(3b)를 구비하는 케이스(3)와, 공간부(3b)를 덮는 전방 커버 부재(4)와, 케이스(3)의 후방 측을 덮는 기부(5a)와, 기부(5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5b)를 구비하는 후방 커버 부재(5)를 갖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전방 커버 부재(4)에는, 조작 부재(1)가 돌출되는 관통 구멍(4a)과, 양단에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와 계합되는 계합부(4A)인 계합 오목부(4b)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 커버 부재(4)의 계합 오목부(4b)에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가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푸시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휴대형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박(薄)형의 제품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박형의 휴대 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에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푸시 스위치로서는,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이하, 도 32를 이용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2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는, 중앙 전극 및 사이드 전극을 구비한 케이스(927), 도전성 금속판의 접촉편(930), 방진 시트(931), 키탑(key top)(932), 금속 커버(933)로 이루어지는 누름 버튼 스위치이다. 키탑(932)은, 돌출되어 형성되고, 조작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키 버튼부(940)를 갖고 있다. 금속 커버(933)는, 키 버튼부(940)를 삽입 통과 가능한 키 버튼 관통 구멍(946)을 갖는 전면(前面)부(942), 상방 측을 덮는 천장판부(943), 전면부(942)의 하단부(下端部)를 후방으로 절곡 형성하고 프린트 기판(926)의 전방 고정 랜드(land)(951)에 고정되는 바닥판부, 전면부(942)의 양측부의 측판부(945), 측판부(945)를 후방으로 연장한 끼움편(958)으로 이루어진다. 푸시 스위치(900)는 전면부(942), 천장판부(943), 바닥판부(944), 측판부(945)로 구성되는 공간에, 키탑(932)을 이동 가능하게 여유있게 끼우고, 또한, 방진 시트(931)와 케이스(927)를 천장판부(943)와 바닥판부(944)의 후단면(後端面)에 밀접시킨 후, 끼움편(958)을 케이스(927)의 후면 측에 절곡하여, 끼움편(958)의 선단(先端)부끼리를 대향시켜 감싸도록 고정하며, 끼움편(958)의 선단부를 프린트 기판(926)의 후방 고정 랜드(953)에 고정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7-324090호 공보
푸시 스위치(900)는, 키탑(932)을 가압한 방향으로, 끼움편(958)의 선단부끼리가 대향한 상태에서, 끼움편(958)의 선단부의 하측이 프린트 기판(926)의 후방 고정 랜드(953)에 납땜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금 센 힘으로 키탑(932)이 가압되었다고 해도, 끼움편(958)이 넓어져서 고정이 느슨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근래, 휴대형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다기능화 등에 수반하여, 한정된 스페이스에 더 많은 전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보다 소형의 푸시 스위치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와 동일한 구조로 소형화한 경우, 금속 커버(933)의 판 두께가 얇아지거나, 납땜 가능한 면적이 작아지거나 한다. 그 때문에, 소형화하기 전에는 문제가 없었던 레벨인 조금 센 힘으로 키탑(932)이 가압된 경우에, 납땜이 벗겨지지 않을지라도, 후방 고정 랜드(953)에 납땜이 되어 있지 않은 끼움편(958)의 선단부의 상측이 넓어져서, 케이스(927)에 대한 금속 커버(933)의 유지가 약해지는 것이 우려된다. 만약, 이와 같이 케이스(927)에 대한 금속 커버(933)의 유지가 약해지면, 조작은 가능하지만 접촉편(930)을 개재한 중앙 전극과 사이드 전극의 접리(接離)의 타이밍이 어긋나거나, 조작 감촉이 나빠지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와, 가동 접점 부재와, 고정 접점부를 갖고,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이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공간부를 덮는 전방 커버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후방 측을 덮는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의 양단(兩端)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를 구비하는 후방 커버 부재를 갖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 부재에는, 상기 조작 부재가 돌출되는 관통 구멍과, 양단 측에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와 계합(係合)되는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부에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각각 계합되어 상기 전방 커버 부재와 상기 후방 커버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2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계합부가 컷아웃(cutout)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오목부이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상기 계합 오목부의 상하의 내벽에 맞닿도록 계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3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은,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는,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로 되어 있고, 상기 계합 단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와 맞닿도록 벌려 눌려져 계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4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은,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는,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로 되어 있고, 상기 계합 단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와 맞닿도록 벌려 눌려져 계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5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계합부가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이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전방 측에서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6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구멍부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의 선단부는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7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구멍부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의 선단부는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8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 커버 부재에는, 제 1 납땜부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에는, 제 2 납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납땜부와 상기 제 2 납땜부는, 작은 간극을 갖고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9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납땜부 및 상기 제 2 납땜부와 대향하는 개소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퇴피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폭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퇴피부가 설치되어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후방 커버 부재의 기부가 케이스의 후방 측을 덮는, 즉 케이스의 후방 측에는 후방 커버 부재가 분단된 개소가 없음과 함께, 2개의 아암부를 전방 커버 부재와 계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압되어 후방 커버 부재의 분단된 개소가 넓어지지 않으므로, 선행기술에 비해 전방 측으로부터의 압입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계합부를 컷아웃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오목부로 함으로써, 계합부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계합 오목부의 상하의 내벽에 맞닿도록 계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이,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가 계합 오목부에 삽입되어, 계합 단부를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와 맞닿도록 벌려 눌러,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가 계합되는 구성으로 했다. 계합 단부를 상하 방향으로 벌려 눌러,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를 계합시키면,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이 넓은 측의 계합 단부는,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이 좁은 측의 계합 단부보다 넓게 되도록 넓혀진다. 이에 따라, 계합 단부는 각각 비틀리듯이 넓혀지고, 계합 단부와 계합 오목부의 계합은 더 강고해져서, 가압 방향으로는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이,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 외방 측에 대해서도 계합은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하여 더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계합부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로 함으로써, 계합부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계합 구멍부에 삽입되어, 절곡함으로써 계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6 및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계합 구멍부의 개구 형상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됨으로써,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내방 측보다 작아지므로, 계합 구멍부와 아암부를 계합할 때에, 아암부가 계합 구멍부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의 면에 접촉하면, 아암부는 내방 측으로 가까이 댈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를 덜컥거림이 없는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어, 빠지기 어려운 강고한 계합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납땜부와 제 2 납땜부를 설치함과 함께, 제 1 납땜부와 제 2 납땜부가 작은 간극을 갖고 이웃하여 배치됨으로써, 제 1 납땜부와 제 2 납땜부를 납땜했을 때에, 전방 커버 부재와 후방 커버 부재는 땜납에 의해 연결된다. 그 때문에, 조작 부재를 강한 힘으로 가압한 경우에도, 계합 단부와 계합 오목부의 계합 개소에 걸리는 부하가 땜납에 의해 연결된 부분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계합 단부와 계합 오목부의 계합은 빠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하여 더욱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제 1 퇴피부 및 제 2 퇴피부를 설치함으로써, 푸시 스위치를 기판에 납땜할 때에 발생하는 플럭스가, 제 1 퇴피부 및 제 2 퇴피부를 따라 전해지기 때문에, 플럭스가 케이스의 공간부에 도달할 때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거나, 플럭스를 공간부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부 내에 플럭스가 들어가기 어려워져, 플럭스의 부착에 의한 가동 접점 부재와 고정 접점부의 도통 불량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스위칭이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를 기판에 마운트(mount)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도 2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조작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a)는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a)는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제 1 케이스 부재(3e)와 제 2 케이스 부재(3f)로 분할된 상태의 케이스(3)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 부재(3e)를 도 6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 부재(3f)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a)는 제 2 케이스 부재(3f)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3f)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커버 부재(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a)는 후방 커버 부재(5)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5)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의 (c)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5)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커버 부재(4)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a)는 전방 커버 부재(4)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A부를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단면 B-B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압 조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계합 오목부(4b)와 계합 단부(5c)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의 (a)는 푸시 스위치(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 있어서의 Z2방향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를 기판에 마운트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의 (a)는 푸시 스위치(2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도 15에 나타내는 Z1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6의 (b)에 있어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기판(CB1)은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2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의 (a)는 케이스(2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케이스(2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23)를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1 케이스 부재(25)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의 (a)는 도 18에 나타내는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9의 (b)는 도 18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의 (a)는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0의 (b)는 도 20의 (a)에 나타내는 Z1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회로 부재(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 부재(25)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의 (a)는 도 18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1의 (b)는 도 18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에 기재된 단면선 E-E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2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의 (a)는 가동 접점 부재(2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3의 (b)는 도 23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2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2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의 (a)는 조작 부재(2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4의 (b)는 도 24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의 (c)는 도 24의 (a)에 나타내는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2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26)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의 (a)는 커버 부재(26)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5의 (b)는 커버 부재(26)를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커버 부재(27)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의 (a)는 전방 커버 부재(27)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6의 (b)는 도 26의 (a)에 나타내는 F부를 도 26의 (a)에 나타내는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커버 부재(28)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의 (a)는 후방 커버 부재(28)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7의 (b)는 도 27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2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아암부(28b)의 선단부(28c)는 내방 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 커버 부재(27)와의 일체화 이전에는 아암부(28b)의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8은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단면 F-F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위치는 실제의 위치와는 다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압 조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가 오버 스트로크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15에 기재된 G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2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푸시 스위치(9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우선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를 기판에 마운트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a)는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도 2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a)는 조작 부재(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도 4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a)는 가동 접점 부재(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a)는 케이스(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제 1 케이스 부재(3e)와 제 2 케이스 부재(3f)로 분할된 상태의 케이스(3)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 부재(3e)를 도 6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 부재(3f)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의 (a)는 제 2 케이스 부재(3f)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3f)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커버 부재(5)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a)는 후방 커버 부재(5)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5)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의 (c)는 도 9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5)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커버 부재(4)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a)는 전방 커버 부재(4)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A부를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푸시 스위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3a)를 갖는 케이스(3)와,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와, 시트 부재(6)를 구비하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커버 부재(4)로부터 돌출된 조작 부재(1)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3a)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조작 부재(1)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부(1a)를 갖고 있다. 또, 조작 부재(1)는 버튼부(1a)의 일방 단측(端側)(X2방향 측)의 측면에, Y1-Y2방향 및 Z1방향으로 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플랜지부(1b)를 가짐과 함께, 일방 단측의 단면에는 일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액추에이터부(1c)를 갖는다.
가동 접점 부재(2)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2)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부(2a)를 갖고 있다. 또, 가동 접점부(2a)의 양측(Z1방향 측과 Z2방향 측)에는, 슬릿(2b)을 개재하여, 재치(載置)된 면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常接) 접점부(2c)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2)는, 가동 접점부(2a)와 상접 접점부(2c)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2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장의 가동 접점 부재(2)를 겹쳐서 이용하고 있다.
케이스(3)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금속박판이 매설되며,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X1방향 측)이 개방된 공간부(3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3)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3e)와 제 2 케이스 부재(3f)로 이루어진다.
제 1 케이스 부재(3e)는 전방 측의 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3g)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g)의 개구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이고, 조작 부재(1)의 버튼부(1a)가 삽입 통과 가능함과 함께, 플랜지부(1b)는 삽입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개구부(3g)에 연속하여, 개구부(3g)의 후방 측(X2방향 측)에는, 공간부(3b)의 일부인 제 1 공간부(3k)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 부재(3e)는, 전방 측의 면의 개구부(3g)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Y1-Y2방향)의 양측에, 전방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위치 결정 볼록부(3h)를 갖는다. 또, 제 1 케이스 부재(3e)는, 전방 측의 면의 모서리부를 깎아낸듯한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퇴피부(3c)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 부재(3e)(케이스(3))의 하면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Y1-Y2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퇴피부(3d)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퇴피부(3d)는 제 1 케이스 부재(3e)의 하면의 전후 방향의 양단부(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부재(3f)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측(X1방향 측)이 개방되고 공간부(3b)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공간부(3m)를 갖는다. 제 2 케이스 부재(3f)는, 제 2 공간부(3m)의 후방 측(X2방향 측)의 내벽부에 일부 노출된 고정 접점부(3a)를 갖는다. 고정 접점부(3a)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일부를 노출하여 제 2 케이스 부재(3f)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3a)는 제 2 공간부(3m)의 후방 측의 내벽부의 중앙에 노출되어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부(3n)와, 제 1 고정 접점부(3n)의 주위에 노출되어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부(3p)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부(3n)와 제 2 고정 접점부(3p)는 전기적인 접속은 없다. 제 2 고정 접점부(3p)는 제 1 고정 접점부(3n)를 중심으로 하고, Y1-Y2방향 및 Z1-Z2방향을 따른 변을 갖는 가상의 직사각형의 모서리부의 3개소에 설치되고, 3개의 제 2 고정 접점부(3p)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 2 고정 접점부(3p)가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직사각형은, Z1-Z2방향의 변의 길이는 가동 접점 부재(2)의 2개의 상접 접점부(2c)의 이간 거리와 대략 일치하고, Y1-Y2방향의 변의 길이는 가동 접점 부재(2)의 상접 접점부(2c)의 길이 치수 이하이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3f)는, 바닥면(Z2방향 측의 면)의 폭 방향(Y1-Y2방향)의 양단에,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 외부 접속 단자(3q)가 형성되어 있다. 일방(Y2방향 측)의 외부 접속 단자(3q)는 제 1 고정 접점부(3n)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타방(Y1방향 측)의 외부 접속 단자(3q)는 제 2 고정 접점부(3p)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후방 커버 부재(5)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커버 부재(5)는 케이스(3)의 후방 측(도 6의 X2방향 측)을 덮을 수 있고,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기부(5a)와, 기부(5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X1방향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5b)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부(5b)는,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5c)로 되어 있다. 또, 아암부(5b)에는,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제 2 납땜부(5d)가 각각 설치되고, 제 2 납땜부(5d)의 연장 돌출 방향의 선단에는 돌출되어 고정 볼록부(5e)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기부(5a)는, 하방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된 제 3 납땜부(5f)를 갖고 있다.
전방 커버 부재(4)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커버 부재(4)는 공간부(3b)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커버 부재(4)는, 중심부에 조작 부재(1)의 버튼부(1a)가 돌출 가능한 관통 구멍(4a)과, 폭 방향(Y1-Y2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측에 계합부(4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합부(4A)는 컷아웃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오목부(4b)이다.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Z1-Z2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끼리의 간격은,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계합 오목부(4b)는,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계합 단부(5c))와 계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방 커버 부재(4)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 측 단부의 양단에 제 1 납땜부(4d)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방 커버 부재(4)는, 관통 구멍(4a)의 폭 방향의 양측의, 관통 구멍(4a)과 계합 오목부(4b)에 끼워진 위치에, 제 1 케이스 부재(3e)의 위치 결정 볼록부(3h)를 삽입 통과 가능한 위치 결정 구멍부(4e)를 갖는다. 2개의 위치 결정 구멍부(4e)의 이간 거리는, 2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3h)의 이간 거리와 동일하다.
시트 부재(6)는 합성 수지재의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굴곡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시트 부재(6)는, 제 2 케이스 부재(3f)의 제 2 공간부(3m)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6)는, 일방의 면(X2방향 측의 면)에 점착제가 전체 면에 도포된 점착면(6a)을 갖는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 도 3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단면 B-B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가동 접점 부재(2)의 단면부는 2장분을 정리하여 1개의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장 겹쳐진 가동 접점 부재(2)는 제 2 케이스 부재(3f)의 제 2 공간부(3m) 내에 배치된다. 가동 접점 부재(2)는 가동 접점부(2a)가 전방(X1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접 접점부(2c)는 제 2 공간부(3m)의 후방 측의 내벽에 노출되는 제 2 고정 접점부(3p)와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2a)는 제 1 고정 접점부(3n)와는 이간하고 있다. 시트 부재(6)는, 점착면(6a)이 제 2 공간부(3m)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가동 접점 부재(2)가 배치된 제 2 공간부(3m)를 덮도록 배치된다. 시트 부재(6)는 점착면(6a)의 점착력에 의해 제 2 케이스 부재(3f)에 유지됨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2)를 제 2 공간부(3m) 내에 유지한다. 시트 부재(6)는 굴곡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6)를 개재하여 가압된 경우에는, 가동 접점 부재(2)의 가동 접점부(2a)는 제 2 공간부(3m) 내에서도 가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조작 부재(1)는, 버튼부(1a)를 제 1 공간부(3k) 측으로부터 개구부(3g)에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제 1 케이스 부재(3e)의 제 1 공간부(3k) 내에 유지된다. 제 1 공간부(3k) 내에 조작 부재(1)를 유지한 제 1 케이스 부재(3e)는, 조작 부재(1)의 액추에이터부(1c)가 시트 부재(6)와 대향하는 방향에서, 시트 부재(6)를 제 2 케이스 부재(3f)에 끼워 넣고, 제 1 공간부(3k)와 제 2 공간부(3m)가 공간부(3b)를 형성하도록 계합한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3e)와 제 2 케이스 부재(3f)를 계합함으로써, 조작 부재(1)의 액추에이터부(1c)와 가동 접점 부재(2)의 가동 접점부(2a)는 시트 부재(6)를 개재하여 접촉한다. 또, 전방 커버 부재(4)는, 관통 구멍(4a)에 조작 부재(1)의 버튼부(1a)를 삽입 통과시킴과 함께, 위치 결정 구멍부(4e)(도 10 참조)에 각각 제 1 케이스 부재(3e)의 위치 결정 볼록부(3h)를 삽입 통과시켜, 공간부(3b)를 덮도록 제 1 케이스 부재(3e)와 계합되어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5)는, 기부(5a)로 케이스(3)(제 2 케이스 부재(3f))의 후방 측을 덮음과 함께, 아암부(5b)를 전방으로 연장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 2 케이스 부재(3f)와 계합하고 있다. 또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아암부(5b)가, 전방 커버 부재(4)의 계합부(4A)(계합 오목부(4b))에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계합 단부(5c)는 계합부(4A)인 계합 오목부(4b)에 삽입되어,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벽인 면부(4c)와 맞닿도록 벌려 눌려져, 계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합 단부(5c)가 벌려 눌려져, 계합 오목부(4b)와 맞닿음으로써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 계합 단부(5c)가 벌려 눌려져, 계합 오목부(4b)와 맞닿음으로써, 제 1 케이스 부재(3e)와 제 2 케이스 부재(3f)는, 시트 부재(6)를 압접 협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는 구성된다. 푸시 스위치(100)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납땜부(4d)와 제 2 납땜부(5d)는, 작은 간극(D)을 갖고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3)의, 제 1 납땜부(4d) 및 제 2 납땜부(5d)와 대향하는 개소에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퇴피부(3c)가 설치되고, 케이스(3)의 하면(Z2방향 측의 면)에는, 폭 방향(Y1-Y2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퇴피부(3d)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압 조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는, 푸시 스위치(100)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접 접점부(2c)는 제 2 고정 접점부(3p)와 접촉하고 있지만, 가동 접점부(2a)는 제 1 고정 접점부(3n)와는 이간되어 있다. 즉,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는, 제 1 고정 접점부(3n)와 제 2 고정 접점부(3p)의 전기적인 도통은 없는 상태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1)를 후방 측(X2방향)으로 가압하면, 시트 부재(6)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부(2a)에 접촉하는 액추에이터부(1c)는 가동 접점부(2a)를 후방 측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가동 접점부(2a)는 후방 측으로 휜 후에 반전하고, 제 1 고정 접점부(3n)에 접촉한다. 가동 접점부(2a)와 제 1 고정 접점부(3n)가 접촉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부(3n)와 제 2 고정 접점부(3p)는, 가동 접점 부재(2)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또, 조작 부재(1)에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 접점부(2a)의 탄성력에 의해, 도 1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제 1 고정 접점부(3n)와 제 2 고정 접점부(3p)의 전기적인 도통은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부(3n)와 제 2 고정 접점부(3p)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입력을 행할 수 있어, 푸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계합 오목부(4b)와 계합 단부(5c)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조작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3a)를 갖고,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이 개방된 공간부(3b)를 구비하는 케이스(3)와, 공간부(3b)를 덮는 전방 커버 부재(4)와, 케이스(3)의 후방 측을 덮는 기부(5a)와, 기부(5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5b)를 구비하는 후방 커버 부재(5)를 갖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전방 커버 부재(4)에는, 조작 부재(1)가 돌출되는 관통 구멍(4a)과, 양단 측에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와 계합되는 계합부(4A)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 커버 부재(4)의 계합부(4A)에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가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후방 커버 부재(5)의 기부(5a)가 케이스(3)의 후방 측을 덮는, 즉 케이스(3)의 후방 측에는 후방 커버 부재(5)가 분단된 개소가 없음과 함께, 2개의 아암부(5b)를 전방 커버 부재(4)와 계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압되어 후방 커버 부재(5)의 분단된 개소가 넓어지지 않으므로, 선행기술에 비해 전방 측으로부터의 압입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조작 부재(1)와,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3a)를 갖고, 조작 부재(1) 및 가동 접점 부재(2)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이 개방된 공간부(3b)를 구비하는 케이스(3)와, 공간부(3b)를 덮는 전방 커버 부재(4)와, 케이스(3)의 후방 측을 덮는 기부(5a)와, 기부(5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5b)를 구비하는 후방 커버 부재(5)를 갖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전방 커버 부재(4)에는, 조작 부재(1)가 돌출되는 관통 구멍(4a)과, 양단 측에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와 계합되는 계합 오목부(4b)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 커버 부재(4)의 계합 오목부(4b)에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가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계합부(4A)가 컷아웃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오목부(4b)이고,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가 계합 오목부(4b)의 상하의 내벽에 맞닿도록 계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후방 측 커버 부재의 기부(5a)가 케이스(3)의 후방 측을 덮는, 즉 케이스(3)의 후방 측에는 후방 측 커버 부재의 분단된 개소가 없음과 함께, 2개의 아암부(5b)를 전방 측 커버 부재와 계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압되어 후방 측 커버 부재가 분단된 개소가 넓어지지 않으므로, 선행기술에 비해 전방 측으로부터의 압입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에 따라, 계합부(4A)를 컷아웃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오목부(4b)로 함으로써, 계합부(4A)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가 계합 오목부(4b)의 상하의 내벽에 맞닿도록 계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전방 커버 부재(4)의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끼리의 간격은,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후방 커버 부재(5)의 아암부(5b)는,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5c)로 되어 있으며, 계합 단부(5c)는 계합 오목부(4b)에 삽입되어,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와 맞닿도록 벌려 눌려져 계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끼리의 간격이,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5c)가 계합 오목부(4b)에 삽입되어, 계합 단부(5c)를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와 맞닿도록 벌려 눌러,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가 계합되는 구성으로 했다. 계합 단부(5c)를 상하 방향으로 벌려 눌러,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를 계합시키면,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끼리의 간격이 넓은 측의 계합 단부(5c)는,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끼리의 간격이 좁은 측의 계합 단부(5c)보다 넓게 되도록 넓혀진다. 이에 따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 단부(5c)는, 각각 비틀리듯이 넓혀지고, 계합 단부(5c)와 계합 오목부(4b)의 계합은 더 강고해져서, 가압 방향으로는 빠지기 어려워진다. 또, 계합 오목부(4b)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4c)끼리의 간격이,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 외방 측에 대해서도 계합은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하여 더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전방 커버 부재(4)에는, 제 1 납땜부(4d)가 설치되고, 후방 커버 부재(5)에는, 제 2 납땜부(5d)가 설치되며, 제 1 납땜부(4d)와 제 2 납땜부(5d)는, 작은 간극(D)을 갖고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제 1 납땜부(4d)와 제 2 납땜부(5d)를 설치함과 함께, 제 1 납땜부(4d)와 제 2 납땜부(5d)가 작은 간극(D)을 갖고 이웃하여 배치됨으로써, 제 1 납땜부(4d)와 제 2 납땜부(5d)를 납땜했을 때에,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는 땜납에 의해 연결된다. 그 때문에, 조작 부재(1)를 강한 힘으로 가압한 경우에도, 계합 단부(5c)와 계합 오목부(4b)의 계합 개소에 걸리는 부하가 땜납에 의해 연결된 부분으로 분산되기 때문에, 계합 단부(5c)와 계합 오목부(4b)의 계합은 빠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하여 더욱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기재된 기판(CB1)에 푸시 스위치(100)가 마운트되면, 제 1 납땜부(4d)와 제 2 납땜부(5d)는 동일한 랜드(LN1) 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랜드(LN1) 상에 제 1 납땜부(4d) 및 제 2 납땜부(5d)를 납땜하면, 랜드(LN1)를 통해 전해져 땜납이 연결되고,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는 땜납에 의해 연결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케이스(3)의, 제 1 납땜부(4d) 및 제 2 납땜부(5d)와 대향하는 개소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퇴피부(3c)가 설치되고, 케이스(3)의 하면에는, 폭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퇴피부(3d)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제 1 퇴피부(3c) 및 제 2 퇴피부(3d)를 설치함으로써, 푸시 스위치를 기판에 납땜할 때에 발생하는 플럭스가, 제 1 퇴피부(3c) 및 제 2 퇴피부(3d)를 통해 전해지기 때문에, 플럭스가 케이스(3)의 공간부(3b)에 도달할 때까지의 거리를 길게 하거나, 플럭스를 공간부(3b)와는 다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부(3b) 내에 플럭스가 들어가기 어려워져, 플럭스의 부착에 의한 가동 접점 부재(2)와 고정 접점부(3a)의 도통 불량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스위칭을 할 수 있는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제 1 퇴피부(3c)에 대향하는 제 1 납땜부(4d) 및 제 2 납땜부(5d)의 면에는, 납땜했을 때에 필렛(fillet)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납땜부(4d) 및 제 2 납땜부(5d)는 양측에 필렛이 형성되고, 푸시 스위치(100)는 기판에 대하여 더 강고하게 유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에서는, 케이스(3)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후방 커버 부재(5)의 기부(5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제 3 납땜부(5f)를 갖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기판(CB1)과 같은 기판에 마운트했을 때에, 제 3 납땜부(5f)를 대응하는 랜드(LN1)에 납땜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 3 납땜부(5f)를 납땜함으로써, 가압 방향 측을 유지하게 되어, 입력 조작 시의 가압에 대한 내성이 더 높아진다.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하여 더욱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는, 제 1 케이스 부재(3e)와 제 2 케이스 부재(3f)에서 시트 부재(6)를 끼워 넣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점착면(6a)의 점착력에 의한 유지에 더하여, 시트 부재(6)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 전방 커버 부재(4)와 후방 커버 부재(5)를 계합할 때에 케이스(3)에 가해지는 힘의 일부를 흡수하여, 케이스(3)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제 2 실시형태]
이하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와는 외관 형상이 다르지만, 부품 구성은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 부품 및 부위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부품 및 부위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의 구성 부품명, 부위명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다만, 부호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100)에서 이용한 부호와는 다른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우선적으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 내지 도 2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의 (a)는 푸시 스위치(20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5의 (b)는 도 15의 (a)에 있어서의 Z2방향에서 본 상태의 푸시 스위치(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를 기판에 마운트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의 (a)는 푸시 스위치(2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도 15에 나타내는 Z1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6의 (b)는 도 16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푸시 스위치(100)의 기판에의 마운트 예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6의 (b)에 있어서는,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기판(CB2)은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2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의 (a)는 케이스(2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의 (b)는 도 17의 (a)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케이스(23)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23)를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1 케이스 부재(25)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의 (a)는 도 18에 나타내는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9의 (b)는 도 18에 나타내는 Y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의 (a)는 회로 부재(30)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0의 (b)는 도 20의 (a)에 나타내는 Z1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회로 부재(3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 부재(25)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의 (a)는 도 18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1의 (b)는 도 18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제 2 케이스 부재(24)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에 기재된 단면선 E-E로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 부재(2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의 (a)는 가동 접점 부재(2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3의 (b)는 도 23의 (a)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가동 접점 부재(2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2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의 (a)는 조작 부재(2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4의 (b)는 도 24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의 (c)는 도 24의 (a)에 나타내는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조작 부재(21)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26)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의 (a)는 커버 부재(26)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5의 (b)는 커버 부재(26)를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로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방 커버 부재(27)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의 (a)는 전방 커버 부재(27)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6의 (b)는 도 26의 (a)에 나타내는 F부를 도 26의 (a)에 나타내는 X1방향 측에서 본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후방 커버 부재(28)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의 (a)는 후방 커버 부재(28)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7의 (b)는 도 27의 (a)에 나타내는 X2방향 측에서 본 상태의 후방 커버 부재(28)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아암부(28b)의 선단부(28c)는 내방 측으로 절곡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전방 커버 부재(27)와의 일체화 이전에는 아암부(28b)의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푸시 스위치(20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1)와, 가동 접점 부재(22)와, 고정 접점부(24a)를 갖고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1 케이스 부재(25)로 이루어지는 케이스(23)와,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로 이루어지는 커버 부재(26)와, 시트 부재(29)를 구비하고,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커버 부재(27)로부터 돌출된 조작 부재(21)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가동 접점 부재(22)와 고정 접점부(24a)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케이스(23)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3)는, 중공(中空)으로 형성됨과 함께, 고정 접점부(24a)를 갖는 공간부(23a)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공간부(23a)는 전방 측(X1방향 측)이 개방된 개구부(25e)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23)는 개구부(25e)가 설치된 측의 반대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부(24k)를 갖고, 본체부(24k)에는, 후방 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24m)를 갖고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가 있어서는, 케이스(23)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1 케이스 부재(25)의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제 2 케이스 부재(24)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부(24k)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부(24k)의 일방 측(X2방향 측)의 하방 측(Z2방향 측)에는,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24m)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24)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회로 부재(30)가 인서트 성형되어 있고, 일부가 제 2 케이스 부재(24)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 2 케이스 부재(24)는, 공간부(23a)의 일부인 제 2 공간부(24b)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공간부(24b)는 타방 측(X1방향 측)에 개구한 제 2 개구(24c)를 가짐과 함께, 제 2 개구(24c)가 있는 제 2 대향면(24d)을 갖고 있다. 또한, 제 2 대향면(24d)은 평탄한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은, 긴 쪽 변이 직선 형상이고, 짧은 쪽 변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공간부(24b)의 제 2 개구(24c)에 대향하는 측(X2방향 측)의 일면인 가장 안쪽 면(24e)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부(24a)는, 가장 안쪽 면(24e)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가장 안쪽 면(24e)에 있어서 제 2 공간부(24b)의 길이 측의 벽의 근처에 형성되는 제 2 고정 접점부(24g)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고정 접점부(24g)는 Z2방향 측의 길이 측의 벽의 근처에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부(24f) 및 제 2 고정 접점부(24g)는, 제 2 개구(24c)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돌출 방향의 선단이 평탄한 면에 형성된 접촉부(24h)를 갖고 있다. 제 1 고정 접점부(24f)는, 접촉부(24h)의 하나인 중앙 접촉부(24n)와, 중앙 접촉부(24n)에 연속하여 가장 안쪽 면(24e)으로부터 노출됨과 함께, 중앙 접촉부(24n)의 주위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24p)를 갖고, 제 2 고정 접점부(24g)는, 접촉부(24h)의 하나인 주변 접촉부(24q)를, 중앙 접촉부(24n)의 양측이 되는 위치에 1개씩 갖고 있다. 또한, 본체부(24k)는, 가장 안쪽 면(24e)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중앙 접촉부(24n)는, 가장 안쪽 면(24e)의 본체부(24k)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주변 접촉부(24q)는, 가장 안쪽 면(24e)의 컷아웃부(24m)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가장 안쪽 면(24e)의 제 1 고정 접점부(24f)를 사이에 두고 제 2 고정 접점부(24g)에 대향하는 위치가 되는 부분은, 주변 접촉부(24q)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돌출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24)는, 케이스(23)의 후방 측(X2방향 측)인 본체부(24k)의 후방 측의 단부에,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본체부(24k)로부터 노출된 2개의 외부 접속 단자(24r)를 갖고 있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부(24f) 및 제 2 고정 접점부(24g)로부터 고정 접점부(24a)와, 외부 접속 단자(24r)는, 제 2 케이스 부재(24)에 인서트 성형된 회로 부재(30)의 일부가 노출된 것이다. 회로 부재(30)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금속판을 판금(板金)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로 부재(30)는, 일단(一端)에 고정 접점부(24a)를 가짐과 함께, 타단(他端)에는 외부 접속 단자(24r)를 갖고 있다. 즉, 회로 부재(30)는, 일단에 제 1 고정 접점부(24f)를 가짐과 함께, 타단에 일방의 외부 접속 단자(24r)를 갖는 것과, 일단에 제 2 고정 접점부(24g)을 가짐과 함께, 타단에 타방의 외부 접속 단자(24r)를 갖는 것의 2개로 이루어지고,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제 2 고정 접점부(24g)는,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또, 회로 부재(30)의 고정 접점부(24a)와 외부 접속 단자(24r)의 사이에는, 상방(Z1방향)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회로 부재(30)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X1-X2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허용부(24s)가 형성되어 있다. 허용부(24s)의 폭 치수(w1)는, 회로 부재(30)의 허용부(24s)를 사이에 끼운 개소의 폭 치수(w2 및 w3)보다 작다.
제 1 케이스 부재(25)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공간부(23a)의 일부인 제 1 공간부(25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 케이스 부재(25)는, 일방 측(X2방향 측)에 제 1 공간부(25a)가 개구된 제 1 개구(25b)가 있는 제 1 대향면(25c)을 갖고, 타방 측(X1방향 측)에는 제 1 공간부(25a)에 관통함과 함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 형상으로 형성된 개구부(25e)를 갖는다. 또한, 제 1 대향면(25c)은 평탄한 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의 부분에는, 상하 방향(Z1-Z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 형상부(25d)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1 케이스 부재(25)는, 제 2 대향면(24d)과 제 1 대향면(25c)을 대향시켜 계합되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3)를 형성한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1 케이스 부재(25)가 계합됨으로써, 제 2 공간부(24b)와 제 1 공간부(25a)가 연결되어, 공간부(23a)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공간부(24b)와 제 1 공간부(25a)가 연결되어,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을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에 겹쳤을 때,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은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돌출 형상부(25d)가 비어져 나와 있다. 즉, 제 1 개구(25b)의 일부와 제 2 대향면(24d)의 일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22)는,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부재(22)는, 아치 형상으로 만곡하고, 가압 조작에 의해 반전 동작 가능한 가동 접점부(22a)를 갖고 있다. 또, 가동 접점부(22a)의 양측(Z1방향 측과 Z2방향 측)에는, 슬릿(22b)을 개재하여, 재치된 면에 상시 접촉하기 위한 상접 접점부(22c)가 배치되어 있다. 또, 가동 접점 부재(22)는, 가동 접점부(22a)와 상접 접점부(22c)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22d)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동 접점 부재(22)는, 스프링성을 갖고, 가동 접점부(22a)를 아치 형상의 정상부(22e) 측으로부터 가압하면, 가압된 방향으로 휘고,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가동 접점부(22a), 상접 접점부(22c) 및 연결부(22d)에 의해 형성되는 가동 접점 부재(22)는, 정상부(22e)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외형 형상이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장의 가동 접점 부재(22)를 이용하고 있다.
조작 부재(21)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2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버튼부(21c)를 갖고 있고, 버튼부(21c)는 제 1 케이스 부재(25)의 개구부(25e)에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21)는 버튼부(21c)의 일방 단측(X2방향 측)의 측면에, 측방(Y1-Y2방향)으로 돌출되고, 판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1d)를 갖는다. 조작 부재(21)를 버튼부(21c)의 타방 단측(X1방향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봤을 때에, 플랜지부(21d)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네 모서리에 상하 방향(Z1-Z2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출부(21a)를 갖고 있다. 또, 플랜지부(21d)의 외형 형상은, 제 1 케이스 부재(25)의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21a)의 외형 형상은, 제 1 케이스 부재(25)의 돌출 형상부(25d)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21)는, 버튼부(21c)의 일방 단측의 단면에, 일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액추에이터부(21b)를 갖는다. 액추에이터부(21b)는, 가동 접점 부재(22)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24)를 파손시키지 않는 소정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찌그러지는(소성 변형되는) 정도의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 부재(26)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 형상이 직사각형의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26)는,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가 계합되어,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방 커버 부재(27)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방 커버 부재(27)는, 도 17에 나타내는 X1방향 측으로부터 케이스(23)를 평면에서 봤을 때에, 공간부(23a)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판 형상부(27d)를 갖고 있다. 전방 커버 부재(27)는, 판 형상부(27d)의 중앙부에 관통 구멍(27a)과, 판 형상부(27d)의 양단 측(Y1방향 측 및 Y2방향 측)에 후방 커버 부재(28)와 계합되는 계합부(27b)가 설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27a)은 조작 부재(21)의 버튼부(21c)가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관통 구멍이다. 또,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합부(27b)는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27c)이다. 또한, 계합 구멍부(27c)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Y1-Y2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판 형상부(27d)의 Y1방향 측에 설치된 계합 구멍부(27c)에 있어서는, 계합 구멍부(27c)의 개구 형상은 Y1방향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판 형상부(27d)의 Y2방향 측에 설치된 계합 구멍부(27c)에 있어서는, 계합 구멍부(27c)의 개구 형상은 Y2방향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후방 커버 부재(28)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방 커버 부재(28)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 기부(28a)와, 기부(28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X1방향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28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아암부(28b)의 선단부(28c)는, 전방 커버 부재(27)의 계합 구멍부(27c)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28)는, 각각의 아암부(28b)의 하단부로부터 폭 방향(Y1-Y2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된 장착판부(28d)를 갖고 있다. 장착판부(28d)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장착판부(28d)의 돌출 방향 단부의, 전방 측(X1방향 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장착 돌기(28e)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커버 부재(27)의 계합부(27b)에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가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가 일체화되어, 커버 부재(26)를 형성하고 있다. 즉,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의 선단부(28c)가, 전방 커버 부재(27)의 계합부(27b)인 계합 구멍부(27c)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됨으로써, 커버 부재(26)가 형성된다.
시트 부재(29)는 합성 수지재의 시트재로 이루어지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굴곡성을 갖고 있다. 또한, 시트 부재(29)는,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공간부(24b)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 시트 부재(29)는, 일방의 면(X2방향 측의 면)에 점착제가 전체 면에 도포된 점착면(29a)을 갖는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200)의 구조에 대하여 도 22 및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도 17의 (b)에 나타내는 단면 F-F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위치는 실제의 위치와는 다르다.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22)는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공간부(24b) 내에 수용된다. 가동 접점 부재(22)는 가동 접점부(22a)가 전방(X1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에 배치되고, 일방(도 23에 나타내는 Z2방향 측)의 상접 접점부(22c)는 제 2 공간부(24b)의 가장 안쪽 면(24e)에 노출되는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접촉부(24h)(도 19 참조)와 접촉하고, 타방의 상접 접점부(22c)는, 가장 안쪽 면(24e)의 제 1 고정 접점부(24f)를 사이에 두고 제 2 고정 접점부(24g)에 대향하는 위치에 주변 접촉부(24q)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개소(도 19 참조)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가동 접점부(22a)는 제 1 고정 접점부(24f)와는 이간되어 있다. 시트 부재(29)는, 점착면(29a)이 제 2 공간부(24b)에 대향하는 방향에서, 가동 접점 부재(22)가 배치된 제 2 공간부(24b)를 덮도록 배치된다. 시트 부재(29)는 점착면(29a)의 점착력에 의해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대향면(24d)에 유지됨과 함께, 가동 접점 부재(22)를 제 2 공간부(24b) 내에 유지하여, 가동 접점 부재(22)와 제 2 고정 접점부(24g)는 상시 접촉된다. 시트 부재(29)는 굴곡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시트 부재(29)를 개재하여 가압된 경우에는, 가동 접점 부재(22)의 가동 접점부(22a)는 제 2 공간부(24b) 내에서도 가동 가능하고, 또한 중앙 접촉부(24n)(도 19 참조)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조작 부재(21)는, 버튼부(21c)를 제 1 공간부(25a) 측으로부터 개구부(25e)에 삽입 통과한 상태에서, 제 1 케이스 부재(25)의 제 1 공간부(25a) 내에 유지된다. 또한, 조작 부재(21)는, 그 일부(돌출부(21a)(도 24 참조))가 돌출 형상부(25d)(도 21 참조)에 배치됨과 함께 안내되고, 제 1 공간부(25a) 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 1 공간부(25a) 내에 조작 부재(21)를 유지한 제 1 케이스 부재(25)는, 조작 부재(21)의 액추에이터부(21b)가 시트 부재(29)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제 2 케이스 부재(24)와 계합한다. 즉, 제 1 대향면(25c)과 제 2 대향면(24d)에서 시트 부재(29)를 끼워 넣고, 제 1 공간부(25a)와 제 2 공간부(24b)가, 조작 부재(21) 및 가동 접점 부재(22)를 수용하는 공간부(23a)를 형성하도록 계합한다. 이와 같이 제 1 케이스 부재(25)와 제 2 케이스 부재(24)를 계합함으로써, 조작 부재(21)의 액추에이터부(21b)와 가동 접점 부재(22)의 가동 접점부(22a)는 시트 부재(29)를 개재하여 접촉한다. 또, 전방 커버 부재(27)는, 조작 부재(21)의 버튼부(21c)가 관통 구멍(27a)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공간부(23a)를 덮도록 제 1 케이스 부재(25)와 계합하고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28)는, 기부(28a)로 케이스(23)(제 2 케이스 부재(24))의 후방 측을 덮음과 함께, 아암부(28b)를 전방으로 연장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 2 케이스 부재(24)와 계합하고 있다. 또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 아암부(28b)가, 전방 커버 부재(27)의 계합부(27b)에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가 일체화되어, 커버 부재(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합부(27b)와 아암부(28b)의 계합은,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의 선단부(28c)가, 전방 커버 부재(27)의 계합 구멍부(27c)에 삽입되어, 전방 커버 부재(27)의 전방 측에서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함으로써 행하여져 있다. 이와 같이, 커버 부재(26)(도 25 참조)가 형성됨으로써, 제 1 케이스 부재(25)와 제 2 케이스 부재(24)는, 시트 부재(29)를 압접 협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는 구성된다. 푸시 스위치(200)가 형성되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형상부(25d)의 일부와 제 2 대향면(24d)의 일부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 형상부(25d)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조작 부재(21)의 돌출부(21a)는, 제 2 대향면(24d)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다만, 조작 부재(21)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부재(22)를 가압하고, 가동 접점부(22a)를 고정 접점부(24a)(제 1 고정 접점부(24f))에 접촉시켰을 때에, 돌출부(21a)는 제 2 대향면(24d)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또,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의 긴 쪽 변과 짧은 쪽 변이 교차하는 개소가 돌출 형상부(25d)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21)의 돌출부(21a)는,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의 긴 쪽 변과 짧은 쪽 변이 교차하는 개소에서, 제 2 대향면(24d)에 접촉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대향면(24d)에 있어서, 조작 부재(21)의 돌출부(21a)가 맞닿음 가능한 위치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접촉부(24h)의 외방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는, 시트 부재(29)를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제 1 케이스 부재(25)의 제 1 대향면(25c)과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대향면(24d)의 사이에는 시트 부재(29)가 끼워져 있다.
다음으로 푸시 스위치(2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8 내지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압 조작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30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푸시 스위치(200)가 오버 스트로크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는, 푸시 스위치(200)가 조작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접 접점부(22c)는 제 2 고정 접점부(24g)와 접촉하고 있지만, 가동 접점부(22a)는 제 1 고정 접점부(24f)와는 이간하고 있다. 즉,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는,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전기적인 도통은 없는 상태이다.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1)를 후방 측(X2방향)으로 가압하면, 시트 부재(29)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부(22a)에 접촉하는 액추에이터부(21b)는 가동 접점부(22a)를 후방 측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가동 접점부(22a)는 후방 측으로 휜 후에 반전하여, 제 1 고정 접점부(24f)에 접촉한다. 가동 접점부(22a)와 제 1 고정 접점부(24f)가 접촉됨으로써,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제 2 고정 접점부(24g)는, 가동 접점 부재(22)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도통된다. 또, 조작 부재(21)로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 접점부(22a)의 탄성력에 의해, 도 28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전기적인 도통은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 부재(22)와 제 1 고정 접점부(24f)가 접리되고,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입력을 행할 수 있으며,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외부 접속 단자(24r)를 개재하여 입력 신호로서 출력되어, 푸시 스위치로서 기능한다. 또, 가동 접점부(22a)와 제 1 고정 접점부(24f)가 접촉할 때, 조작 부재(21)의 플랜지부(21d)(돌출부(21a)(도 24 참조))와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대향면(24d)은 이간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자에 의해 조작 부재(21)를 필요 이상의 힘으로 압입 조작한 경우나, 푸시 스위치(200)가 장착된 전자 기기 등을 잘못하여 낙하시켜, 조작 부재(21)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진 경우 등, 가동 접점부(22a)와 제 1 고정 접점부(24f)가 접촉한 후에 오버 스트로크가 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오버 스트로크가 된 경우에는,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1)의 액추에이터부(21b)가 찌그러짐과 함께, 돌출부(21a)(도 24 참조)가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대향면(24d)에 접촉되어, 조작 부재(21)가 더욱 후방으로 압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도 30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부(21b)가 거의 없어질 때까지 찌그러지는 바와 같이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액추에이터부(21b)의 선단부가 찌그러지는 정도이고, 액추에이터부(21b)의 선단부가 찌그러진 후이더라도, 푸시 스위치(200)에의 입력 조작은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로 한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일부의 효과의 설명에는 도 16 또는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도 15에 기재된 G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조작 부재(21)와, 가동 접점 부재(22)와, 고정 접점부(24a)를 갖고, 조작 부재(21) 및 가동 접점 부재(22)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이 개방된 공간부(23a)를 구비하는 케이스(23)와, 공간부(23a)를 덮는 전방 커버 부재(27)와, 케이스(23)의 후방 측을 덮는 기부(28a)와, 기부(28a)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28b)를 구비하는 후방 커버 부재(28)를 갖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전방 커버 부재(27)에는, 조작 부재(21)가 돌출되는 관통 구멍(27a)과, 양단 측에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와 계합되는 계합부(27b)가 설치되어 있고, 전방 커버 부재(27)의 계합부(27b)에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가 각각 계합되어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가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후방 커버 부재(28)의 기부(28a)가 케이스(23)의 후방 측을 덮는, 즉 케이스(23)의 후방 측에는 후방 커버 부재(28)가 분단된 개소가 없음과 함께, 2개의 아암부(28b)를 전방 커버 부재(27)와 계합시켜 일체화시키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압되었을 때에, 선행기술과 같이 후방 커버 부재(28)의 분단된 개소가 넓어지지 않으므로, 선행기술에 비해 전방 측으로부터의 압입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 장착 후에 전방 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대한 내성이 있는 가로 누름 타입의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계합부(27b)가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27c)이고,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가 계합 구멍부(27c)에 삽입되어, 전방 커버 부재(27)의 전방 측에서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계합부(27b)를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27c)로 함으로써, 계합부(27b)를 간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가 계합 구멍부(27c)에 삽입되어, 절곡함으로써 계합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 따라서, 간이한 구성으로,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를 충분한 유지력으로 계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전방 커버 부재(27)의 계합 구멍부(27c)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후방 커버 부재(28)의 아암부(28b)의 선단부(28c)는 계합 구멍부(27c)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계합 구멍부(27c)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계합 구멍부(27c)의 개구 형상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됨으로써,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의 치수가 내방 측보다 작아진다. 계합 구멍부(27c)와 아암부(28b)를 계합하기 위해, 아암부(28b)의 선단부(28c)를 내방 측으로 절곡했을 때에, 아암부(28b)가 계합 구멍부(27c)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으로 넓어지기 쉽다. 만약 넓어졌다고 해도, 도 31에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부(28b)가 계합 구멍부(27c)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도 31에 있어서는 Y1방향 측)의 원호 형상의 면에 접촉하고, 외방 측으로 넓어지지 않으며, 아암부(28b)는 내방 측으로 가까이 대어진다. 따라서, 전방 커버 부재(27)와 후방 커버 부재(28)를 덜컥거림이 없는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어, 빠지기 어려운 강고한 계합으로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고정 접점부(24a)를 갖고, 가동 접점 부재(22)를 수용하는 제 2 공간부(24b)를 구비하는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2 케이스 부재(24)와 계합하며, 조작 부재(21)를 안내하도록 그 일부를 수용하는 제 1 공간부(25a)를 구비하는 제 1 케이스 부재(25)로 이루어지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제 2 케이스 부재(24)는 제 2 공간부(24b)가 개구된 제 2 개구(24c)가 있는 제 2 대향면(24d)을 갖고, 제 1 케이스 부재(25)는 제 1 공간부(25a)가 개구된 제 1 개구(25b)가 있는 제 1 대향면(25c)을 가지며, 제 2 케이스 부재(24)와 제 1 케이스 부재(25)는, 제 2 대향면(24d)과 제 1 대향면(25c)을 대향시켜 계합되고,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을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에 겹쳤을 때,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은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 돌출 형상부(25d)를 가지며, 조작 부재(21)는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돌출 형상부(25d)에 배치되는 돌출부(21a)를 가지고, 조작 부재(21)를 개재하여 가동 접점 부재(22)를 고정 접점부(24a)에 접촉시켰을 때에, 돌출부(21a)는 제 2 대향면(24d)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을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에 겹쳤을 때,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은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형성된 돌출 형상부(25d)를 갖고, 조작 부재(21)는 제 1 개구(25b)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 형상부(25d)에 배치되는 돌출부(21a)를 갖는 구성으로 했다. 따라서, 잘못하여 조작 부재(21)가 무리하게 눌리는 등, 오버 스트로크가 되었을 때에, 조작 부재(21)의 돌출부(21a)를 제 2 대향면(24d)에 맞닿게 함으로써 스토퍼를 구성하여, 과잉의 압입 시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이면,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2)가 배치된 구조이더라도, 과잉의 오버 스트로크를 멈출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2)가 배치되어, 과잉의 압입에 대응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은, 긴 쪽 변이 직선 형상이고, 짧은 쪽 변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이며, 가동 접점 부재(22)는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을 따르도록 형성되고, 조작 부재(21)의 돌출부(21a)는,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의 긴 쪽 변과 짧은 쪽 변이 교차하는 개소에서, 제 2 대향면(24d)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제 2 개구(24c)의 외형 형상을, 긴 쪽 변이 직선 형상이고, 짧은 쪽 변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며, 짧은 쪽 변과 긴 쪽 변이 교차하는 위치에서 돌출부(21a)가 제 2 대향면(24d)에 접촉 가능하게 함으로써, 만약 오버 스트로크가 된 경우에, 돌출부(21a)와 제 2 대향면(24d)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더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조작 부재(21)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따라서,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2)가 배치되어, 과잉의 압입에 대응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가동 접점 부재(22)는,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부재(21)는, 가동 접점 부재(22)를 가압하기 위한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액추에이터부(21b)을 가지며, 액추에이터부(21b)는, 가동 접점 부재(22)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24)를 파손시키지 않는 소정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찌그러지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 부재(22)를 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제 2 케이스 부재(24)를 파손시키지 않는 소정의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액추에이터부(21b)가 찌그러지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만약 오버 스트로크가 된 경우에는, 먼저, 액추에이터부(21b)가 찌그러지고, 그 후에 돌출부(21a)와 제 2 대향면(24d)이 맞닿게 된다. 그 때문에, 제 2 케이스 부재(24)에 과잉의 가압 부하가 가해지는 것에 의한, 고정 접점부(24a)의 주변의 파손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액추에이터부(21b)는, 오버 스트로크의 이동량분인 약간의 양밖에 찌그러지지 않으므로, 스위치 기능이 완전하게 상실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압 조작된 방향으로 가동 접점 부재(22)가 배치되어, 과잉의 압입에 대응 가능한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고정 접점부(24a)는, 제 2 공간부(24b)의 제 2 개구(24c)에 대향하는 측의 면인 가장 안쪽 면(24e)에 형성되고, 가장 안쪽 면(24e)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가장 안쪽 면(24e)에 있어서 제 2 공간부(24b)의 길이 측의 벽의 근처에 형성되는 제 2 고정 접점부(24g)로 이루어지며, 제 1 고정 접점부(24f) 및 제 2 고정 접점부(24g)는, 가동 접점 부재(22)가 접촉하는 접촉부(24h)를 갖고 있고,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대향면(24d)에 있어서, 조작 부재(21)의 돌출부(21a)가 맞닿음 가능한 위치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접촉부(24h)의 외방 측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접촉부(24h)의 외방 측이면, 제 2 공간부(24b)의 가장 안쪽 면(24e)으로부터 고정 접점부(24a)가 노출되는 개소가 없어지므로, 제 2 공간부(24b)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측벽을 두껍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케이스 부재(24)의 제 2 대향면(24d)에 있어서, 조작 부재(21)의 돌출부(21a)가 맞닿음 가능한 위치를,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접촉부(24h)의 외방 측으로 함으로써, 돌출부(21a)와 제 2 대향면(24d)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큰 하중이 가해진 경우에도, 파손되지 않고 조작 부재(21)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고정 접점부(24a)를 갖고, 조작 부재(21) 및 가동 접점 부재(22)를 수용하는 공간부(23a)를 구비하는 케이스(23)와, 공간부(23a)를 덮는 커버 부재(26)를 구비한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고정 접점부(24a)는 공간부(23a)의 일면인 가장 안쪽 면(24e)에 노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23)는 가장 안쪽 면(24e)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본체부(24k)를 가지며, 본체부(24k)에는, 후방 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일부 컷아웃된 컷아웃부(24m)를 갖고, 고정 접점부(24a)는, 가동 접점 부재(22)와 접리하는 제 1 고정 접점부(24f)와, 가동 접점 부재(22)와 상시 접촉하는 제 2 고정 접점부(24g)로 이루어지며, 제 1 고정 접점부(24f)는, 가동 접점 부재(22)와 접촉하는 중앙 접촉부(24n)와, 중앙 접촉부(24n)에 연속하여 가장 안쪽 면(24e)으로부터 노출됨과 함께, 중앙 접촉부(24n)의 주위로 연장 돌출된 연장 돌출부(24p)를 갖고, 중앙 접촉부(24n)는, 가장 안쪽 면(24e)의 본체부(24k)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가장 안쪽 면(24e)의 후방 측에서 두께가 있는 본체부(24k)에 대응한 개소에 중앙 접촉부(24n)를 배치함과 함께, 중앙 접촉부(24n)의 주위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24p)를 설치함으로써, 압입 조작되었을 때에, 케이스(23)에 두께가 있는 부분에서 받아들임과 함께, 받아들이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단위 면적당에서 받아들이는 하중을 작게 함과 함께, 하중에 대하여 강한 부분에서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제 2 고정 접점부(24g)의 가동 접점 부재(22)와 접촉하는 주변 접촉부(24q)는, 가장 안쪽 면(24e)의 컷아웃부(24m)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주변 접촉부(24q)를 컷아웃부(24m)에 대응한 개소에 배치함으로써, 본체부(24k)에 대응한 개소를, 압입 조작 시에 가장 부하가 걸리는 중앙 접촉부(24n) 및 연장 돌출부(24p)에, 더 큰 면적을 확실하게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더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본 실시형태의 푸시 스위치(200)에서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케이스(23)에 인서트 성형된 회로 부재(30)는, 일단에 고정 접점부(24a)를 가짐과 함께, 타단에는, 케이스(23)의 후방 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외부 접속 단자(24r)를 갖고, 회로 부재(30)의 고정 접점부(24a)와 외부 접속 단자(24r)의 사이에는, 상방으로부터의 평면에서 보아, 회로 부재(30)가 연장 돌출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허용부(24s)가 형성되며, 허용부(24s)의 폭 치수는, 허용부(24s)를 사이에 끼운 개소의 폭 치수보다 작은 구성으로 했다.
푸시 스위치(200)가 전자 기기 등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푸시 스위치(20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컷아웃이 설치된 기판(CB2)에 장착된다. 푸시 스위치(200)는, 기판(CB2)의 컷아웃 부분의 단부와 컷아웃부(24m)가 계합됨과 함께, 외부 접속 단자(24r) 및 케이스(23)의 복수 개소를 기판(CB2)의 상면에 설치된 랜드(LN2) 상에 배치되고,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전자 기기에 탑재된 상태에서 압입 조작을 했을 때, 외부 접속 단자(24r)는 전자 기기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압입 하중은 외부 접속 단자(24r)에 가해지게 된다. 외부 접속 단자(24r)와 고정 접점부(24a)의 사이에, 전후의 개소보다 폭 치수가 작은 허용부(24s)를 설치함으로써, 압입 조작을 했을 때에, 압입된 방향으로 미소량이기는 하지만 허용부(24s)가 휨으로써, 외부 접속 단자(24r)에 걸리는 부하를 흡수하여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압입 조작에 의해 납땜된 외부 접속 단자(24r)가 빠지는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더욱 압입 내성이 높은 푸시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푸시 스위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들의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 접점 부재(2)를 2장 겹쳐서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 부재(22)를 1장 이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수납 가능한 범위에서 사양에 맞춰서 장수를 변경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합부(4A)(계합 오목부(4b))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계합부(27b)(계합 구멍부(27c))는, 폭 방향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폭 방향의 외방 측이 짧은 변인 사다리꼴 형상의 구멍 등이더라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합부와 아암부의 계합 개소를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했지만, 상하 방향의 양측에 설치해도 된다. 또, 가능하면, 그때에 상측의 계합 개소를 2개소로 하는 등 계합 개소를 늘려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계합부와 아암부의 계합 개소를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했지만, 폭 방향의 양측뿐만 아니라, 동시에 상하 방향의 양측에도 계합 개소를 설치하는 등 하여 계합 개소를 늘려도 된다.
1: 조작 부재 1a: 버튼부
1b: 플랜지부 1c: 액추에이터부
2: 가동 접점 부재 2a: 가동 접점부
2b: 슬릿 2c: 상접 접점부
2d: 연결부 3: 케이스
3a: 고정 접점부 3b: 공간부
3c: 제 1 퇴피부 3d: 제 2 퇴피부
3e: 제 1 케이스 부재 3f: 제 2 케이스 부재
3g: 개구부 3h: 위치 결정 볼록부
3k: 제 1 공간부 3m: 제 2 공간부
3n: 제 1 고정 접점부 3p: 제 2 고정 접점부
3q: 외부 접속 단자 4: 전방 커버 부재
4A: 계합부 4a: 관통 구멍
4b: 계합 오목부 4c 면부
4d: 제 1 납땜부 4e: 위치 결정 구멍부
5: 후방 커버 부재 5a: 기부
5b: 아암부 5c: 계합 단부
5d: 제 2 납땜부 5e: 고정 볼록부
5f: 제 3 납땜부 6: 시트 부재
6a: 점착면 21: 조작 부재
21a: 돌출부 2lb: 액추에이터부
21c: 버튼부 21d: 플랜지부
22: 가동 접점 부재 22a: 가동 접점부
22b: 슬릿 22c: 상접 접점부
22d: 연결부 22e: 정상부
23: 케이스 23a: 공간부
24: 제 2 케이스 부재 24a: 고정 접점부
24b: 제 2 공간부 24c: 제 2 개구
24d: 제 2 대향면 24e: 가장 안쪽 면
24f: 제 1 고정 접점부 24g: 제 2 고정 접점부
24h: 접촉부 24k: 본체부
24m: 컷아웃부 24n: 중앙 접촉부
24p: 연장 돌출부 24q: 주변 접촉부
24r: 외부 접속 단자 24s: 허용부
25: 제 1 케이스 부재 25a: 제 1 공간부
25b: 제 1 개구 25c: 제 1 대향면
25d: 돌출 형상부 25e: 개구부
26: 커버 부재 27: 전방 커버 부재
27a: 관통 구멍 27b: 계합부
27c: 계합 구멍부 27d: 판 형상부
28: 후방 커버 부재 28a: 기부
28b: 아암부 28c: 선단부
28d: 장착판부 28e: 장착 돌기
29: 시트 부재 29a: 점착면
30: 회로 부재 100: 푸시 스위치
200: 푸시 스위치 CB1: 기판
CB2: 기판 D: 간극
LN1: 랜드 LN2: 랜드

Claims (9)

  1. 조작 부재와,
    가동 접점 부재와,
    고정 접점부를 갖고, 상기 조작 부재 및 상기 가동 접점 부재를 수용 가능하며 전방 측이 개방된 공간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공간부를 덮는 전방 커버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후방 측을 덮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양단으로부터 전방 측으로 각각 연장 돌출되어 있는 아암부를 구비하는 후방 커버 부재
    를 갖는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 부재에는, 상기 조작 부재가 돌출되는 관통 구멍과, 양단 측에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와 계합되는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부에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각각 계합되어 상기 전방 커버 부재와 상기 후방 커버 부재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가 컷아웃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오목부이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상기 계합 오목부의 상하의 내벽에 맞닿도록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은,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는,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로 되어 있고, 상기 계합 단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와 맞닿도록 벌려 눌려져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끼리의 간격은, 폭 방향 외방 측을 향함에 따라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는, 선단이 상하 방향으로 2갈래로 분할된 계합 단부로 되어 있고, 상기 계합 단부는 상기 계합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계합 오목부의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는 면부와 맞닿도록 벌려 눌려져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가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계합 구멍부이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가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되어,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전방 측에서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구멍부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의 선단부는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 부재의 계합 구멍부의 개구 형상은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방 측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의 아암부의 선단부는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합 구멍부에 삽입되어, 내방 측으로 절곡되어 계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커버 부재에는, 제 1 납땜부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커버 부재에는, 제 2 납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1 납땜부와 상기 제 2 납땜부는, 작은 간극을 갖고 이웃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 1 납땜부 및 상기 제 2 납땜부와 대향하는 개소에는,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퇴피부가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폭 방향으로 홈 형상으로 연장 설치된 제 2 퇴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스위치.
KR1020140128145A 2013-09-26 2014-09-25 푸시 스위치 KR101629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9771 2013-09-26
JP2013199771 2013-09-26
JP2014062690A JP5900900B2 (ja) 2013-09-26 2014-03-25 プッシュスイッチ
JPJP-P-2014-062690 2014-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646A true KR20150034646A (ko) 2015-04-03
KR101629819B1 KR101629819B1 (ko) 2016-06-13

Family

ID=5279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145A KR101629819B1 (ko) 2013-09-26 2014-09-25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9819B1 (ko)
CN (1) CN1045177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8871B (zh) * 2019-09-23 2021-01-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按钮装配组件及具有其的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620U (ko) * 1985-05-31 1986-12-10
JP2007324090A (ja) 2006-06-05 2007-12-13 Smk Corp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KR20100006877A (ko) * 2008-07-10 2010-01-22 이필구 텍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78092Y (zh) * 2003-11-19 2005-02-09 广州市番禺宝联实业有限公司 焊点即插微动开关
CN201689810U (zh) * 2010-03-19 2010-12-29 褚锦雄 带灯直立型轻触开关
CN201838490U (zh) * 2010-09-23 2011-05-18 浙江中讯电子有限公司 一种防错装端子的按钮开关
CN202258908U (zh) * 2011-09-07 2012-05-30 东莞唯佳电子有限公司 一种带灯轻触开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7620U (ko) * 1985-05-31 1986-12-10
JP2007324090A (ja) 2006-06-05 2007-12-13 Smk Corp 押釦スイッチ及びその実装方法
KR20100006877A (ko) * 2008-07-10 2010-01-22 이필구 텍트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17767B (zh) 2017-04-12
CN104517767A (zh) 2015-04-15
KR101629819B1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421878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8119944B2 (en) Electronic device
KR101963844B1 (ko) 전기 커넥터
JP2020187972A (ja) 接続方法、接続構造および接続端子組立体
JP2013187155A (ja) 端子とその接続構造
EP3309906A1 (en) Card connector
KR101629819B1 (ko) 푸시 스위치
US8115130B2 (en) Electronic device
KR102639004B1 (ko) 커넥터
CN111082244B (zh) 连接器
JP2013149358A (ja) 圧接型コネクタ
KR101637395B1 (ko) 푸시 스위치
JP5900900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9991068B2 (en) Push-button switch
KR101032031B1 (ko) 압입 조작형 전자 부품 및 푸시 스위치
KR100549028B1 (ko) 스위치 장치
JP6880644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6265809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1015420B1 (ko) 압입 조작형 전자 부품 및 푸시 스위치
JP2018041639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