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856A -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856A
KR20150033856A KR1020130113636A KR20130113636A KR20150033856A KR 20150033856 A KR20150033856 A KR 20150033856A KR 1020130113636 A KR1020130113636 A KR 1020130113636A KR 20130113636 A KR20130113636 A KR 20130113636A KR 20150033856 A KR20150033856 A KR 20150033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or
battery
battery module
module according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305B1 (ko
Inventor
이범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1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305B1/ko
Priority to PCT/KR2014/008630 priority patent/WO2015046798A1/ko
Priority to EP14848866.1A priority patent/EP3032634B1/en
Priority to US15/022,738 priority patent/US10290909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5N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 배열되어 있고 충방전이 가능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지셀들을 각각 고정하여 전지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카트리지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전지셀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조립식 프레임들로 이루어져 있고,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온도 센서 장착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된 온도 센서는 전지셀과 접하는 면의 단부가 라운딩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Battery Module Having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은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 받고 있다.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전지모듈의 전지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고출력 대용량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다량의 열을 발생시킨다. 특히, 상기 전지모듈에 널리 사용되는 파우치형 전지의 라미네이트 시트는 열전도성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표면이 코팅되어 있으므로, 전지셀 전체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어렵다.
충방전 과정에서 발생한 전지모듈의 열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면, 열축적이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전지모듈의 열화를 촉진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발화 또는 폭발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출력 대용량의 전지모듈에서는 전지셀들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온도 센서를 전지셀들에 연결하여 실시간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하고 있는 바, 이러한 검출수단의 장착 내지 연결은 전지모듈의 조립과정을 매우 번잡하게 하고 이를 위한 배선으로 인해 단락의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종래의 전지모듈에서는 전지셀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지셀과 전지셀 사이에 온도 센서를 위치시켜 전지모듈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지모듈에서는 보다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하여 전지셀의 표면에 온도 센서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온도 센서를 전지모듈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지셀과 전지셀 사이에 온도 센서를 장착할 때,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전지모듈의 내부 구조에 의해 전지셀과 전지셀 사이에 온도 센서를 삽입하는 과정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온도 센서의 삽입 과정에서 전지셀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오작동, 쇼트, 또는 전지의 수명을 단축하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전지모듈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센서의 구조 및 장착 위치를 개선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온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고, 전지셀들 사이에 온도 센서가 장착되기 어려운 구조에서도 효과적으로 장착이 가능한 구조의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적층 배열되어 있고 충방전이 가능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지셀들을 각각 고정하여 전지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카트리지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전지셀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조립식 프레임들로 이루어져 있고,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온도 센서 장착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된 온도 센서는 전지셀과 접하는 면의 단부가 라운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에서는, 전지셀의 표면에 온도 센서가 접촉되도록 온도 센서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온도 센서의 라운딩 구조에 의해 전지셀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고, 전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라운딩 구조의 온도 센서는 종래의 온도 센서, 즉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온도 센서와 비교하여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이 용이한 구조이므로, 조립 공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전지셀은 전지모듈 및 전지팩의 구성시 고전압 및 고전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차전지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체적당 에너지 저장량이 큰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지셀은 장방형의 판상형 전지셀일 수 있다.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상태에서 셀 케이스의 외주면을 밀봉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지셀은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대향 측에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셀은 양극, 분리막, 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전지케이스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셀로서, 전체적으로 폭 대비 두께가 얇은 대략 직육면체 구조인 판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전지셀은 일반적으로 파우치형의 전지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지케이스는 내구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외부 피복층, 수분, 공기 등에 대해 차단성을 발휘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차단층, 및 열융착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내부 실란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라미네이트 시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우치형 전지셀에서 케이스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2 단위의 부재로서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를 수납한 후 케이스 외주면의 상하부 접촉부위를 열융착하여 밀봉하는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카트리지는 상하로 결합되는 한 쌍의 조립식 프레임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전지셀의 외주면 밀봉부가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는 최상층 카트리지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된 온도 센서는 최상층 카트리지에 고정되어 있는 전지셀의 상면에 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센서 장착부는 예를 들어, 전지셀이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관통되어 있는 개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도 센서는 온도 센서 장착부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는 프레임의 부위들 중에서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프레임 부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전지셀은 전극단자 부위에서 대부분 단락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므로, 상기 온도 센서가 전극단자와 인접한 부위의 전지셀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이상 발생에 의한 온도 상승을 더욱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되어 전지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부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써미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는 라운딩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장축이 전지셀에 평행한 타원형의 수직 단면 구조를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의 장착에 의한 전지셀 적층 구조의 높이 상승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온도 센서와 연결되어 전지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예를 들어 전지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일 수 있으며, 이러한 BMS는 상기 온도 센서와 연결된 상태에서 전지모듈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들 중 하나에는, 상기 온도 센서의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 상면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의 와이어가 그루브 내에 안착되어 전지모듈 내의 다른 부품이나 와이어들에 의한 간섭 또는 노이즈를 방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에 온도 센서의 와이어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그루부에는 온도 센서의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센서는, 장착 후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그것의 측면에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와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예를 들어 상기 온도 센서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온도 센서 장착부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후크의 개수 또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전지모듈은 상기 전지셀 적층 구조를 외부 디바이스에 체결하기 위해 최상층 카트리지 상에 탑재되는 장착용 외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착용 외장부재는 최상층 카트리지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온도 센서가 최상층 카트리지의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된 경우, 상기 온도 센서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최상층 카트리지에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카트리지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모든 카트리지에 온도 센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또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일부 카트리지에 온도 센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도 있다. 이 때, 상기 온도 센서는 필요에 따라 카트리지의 최상층, 최하층, 또는 그 사이의 카트리에 자유롭게 위치 선정이 가능한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최상층 또는 최하층 카트리지가 아닌 그 사이의 카트리지에 온도 센서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는 전지셀 적층 구조의 전지셀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카트리지에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삽입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도 센서는 적어도 전지셀과 접하는 면의 단부가 라운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직 단면상으로 타원형의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삽입 과정에서 전지셀 또는 카트리지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기 쉬운 파우치형 전지셀들이 적층된 구조의 전지모듈에 적용하였을 경우 더욱 큰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팩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단위모듈로서 상기 전지모듈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의 전원으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적용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구체적으로,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구조 및 제작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은 온도 센서의전지셀과 접하는 면이 라운딩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지셀의 표면에 온도 센서가 접촉되도록 온도 센서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전지셀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확보하고, 전지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라운딩 구조의 온도 센서는 종래의 온도 센서, 즉 각진 모서리가 형성되어 있는 온도 센서와 비교하여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이 용이한 구조이므로, 조립 공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의 상부가 분해된 구조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온도 센서가 장착된 부위에 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지모듈에 장착되는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온도 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온도 센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온도 센서의 장착 부위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전지모듈의 상부가 분해된 구조에 관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다수의 전지셀들(110), 및 전지셀들(110)을 각각 고정하여 전지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카트리지들(120)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전지셀 적층 구조의 최상층 카트리지(122)에는 온도 센서 장착부(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온도 센서(130)는 온도 센서 장착부(125)에 장착되어 있다.
온도 센서 장착부(125)는 전지셀(110)이 상부로부터 노출되도록 관통되어 있는 개구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온도 센서(130)가 장착되었을 때 전지셀(110)의 상면에 온도 센서(130)가 접촉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즉, 온도 센서(130)는 최상층 카트리지(122)에 고정되어 있는 전지셀(1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온도 센서 장착부(125)는 카트리지(120)의 프레임의 부위들 중에서, 대략 전극단자(112, 114)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쪽의 전지셀(110)의 상면에 온도 센서(130)가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130)는 전극단자(112, 114)와 인접한 부위의 전지셀(110)의 상면에 접촉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온도 센서 장착부(125)에 온도 센서(130)가 장착되는 과정은 상부로부터 온도 센서(130)를 온도 센서 장착부(125)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간단하게 수행된다.
한편, 최상층 카트리지(122) 상에는 전지셀 적층 구조를 외부 디바이스에 체결하기 위한 장착용 외장부재(140)가 최상층 카트리지(122) 상에 탑재되어 있다. 장착용 외장부재(140)는 최상층 카트리지(122)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모서리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의 외부 결합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의 수직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온도 센서가 장착된 부위에 관한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카트리지들(120)은 상하로 결합되는 한 쌍의 조립식 프레임들(120a, 120b)로 이루어져 있고, 프레임들(120a, 120b) 사이에 파우치형 전지셀(110)의 외주면 밀봉부(116)가 고정되어 있다.
온도 센서(130)는 수직 단면이 대략 타원형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면의 일부가 전지셀(110)과 면접촉 되도록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온도 센서(130)는 도 3에서와 같이 최상층 전지셀(110)의 상면에 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 온도 센서(130)가 카트리지(120)와 카트리지(120) 사이에 장착될 수 도 있으며, 온도 센서(130)가 전지셀(11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카트리지들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온도 센서(110)의 타원형의 구조에 의하여 더욱 용이하게 삽입 및 장착이 가능하고, 전지셀(110)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는 도 1의 전지모듈에 장착되는 전지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지셀(110)은 전극단자들(양극단자: 112, 음극단자: 114)이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판상형 전지셀(110)이다. 구체적으로 판상형 전지셀(110)은 금속층(도시하지 않음)과 수지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113)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예를 들어, 열융착에 의해 실링부(115)를 형성한 구조이며, 통상적으로 이를 ‘파우치형 전지셀’로 통칭하기도 한다.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도 1의 전지모듈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의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온도 센서(130)는 그것의 장착에 따른 전지셀 적층 구조의 높이 상승을 최소화 하고, 전지셀(110)과 접하는 면이 넓도록, 높이보다 폭이 큰 구조, 즉 장축(X)이 전지셀(110)에 대해 평행한 타원형의 수직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온도 센서(130)의 와이어(132)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온도 센서(130)는, 양측면에 각각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134, 1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130)가 온도 센서 장착부(125)에 삽입되어 후크(134, 135)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8에는 온도 센서의 장착 부위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온도 센서(130)는 장축이 전지셀(110)에 평행한 타원형의 수직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전지셀(110)과 전지셀(110) 사이에 전지셀 적층 구조의 일측면으로부터 삽입 방식으로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온도 센서(130)는 적층된 전지셀들의 일측면으로부터 A 방향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장착되며, 온도 센서(130)는 타원형의 수직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130)를 전지셀 적층 구조에 삽입시 전지셀(110)의 표면이나 카트리지(120)에 스크래치와 같은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2)

  1. 적층 배열되어 있고 충방전이 가능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 및 상기 전지셀들을 각각 고정하여 전지셀 적층 구조를 형성하는 카트리지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카트리지는 전지셀이 내장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조립식 프레임들로 이루어져 있고,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온도 센서 장착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에 장착된 온도 센서는 전지셀과 접하는 면의 단부가 라운딩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리튬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장방형의 판상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셀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상태에서 셀 케이스의 외주면을 밀봉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및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거나, 또는 외주면의 일측에 양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고 대향 측에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한 쌍의 조립식 프레임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 전지셀의 외주면 밀봉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는 최상층 카트리지의 프레임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는 전지셀이 상부로부터 노출되는 개구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는 프레임의 부위들 중에서 전지셀의 전극단자의 대응하는 프레임 부위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써미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장축이 전지셀에 평행한 타원형의 수직 단면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와 연결되어 전지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지모듈의 작동을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온도 센서의 와이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 상면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에는 온도 센서의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 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의 측면에는 온도 센서 장착부와 결합되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 적층 구조를 외부 디바이스에 체결하기 위해 최상층 카트리지 상에 탑재되는 장착용 외장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용 외장부재는 최상층 카트리지의 프레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온도 센서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 센서 장착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는 전지셀 적층 구조의 일측면으로부터 삽입 방식으로 카트리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모듈을 단위모듈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21. 제 20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바이스.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130113636A 2013-09-25 2013-09-25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706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636A KR101706305B1 (ko) 2013-09-25 2013-09-25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PCT/KR2014/008630 WO2015046798A1 (ko) 2013-09-25 2014-09-17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14848866.1A EP3032634B1 (en) 2013-09-25 2014-09-17 Battery module comprising temperature sensor
US15/022,738 US10290909B2 (en) 2013-09-25 2014-09-17 Battery module having temperature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636A KR101706305B1 (ko) 2013-09-25 2013-09-25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856A true KR20150033856A (ko) 2015-04-02
KR101706305B1 KR101706305B1 (ko) 2017-02-13

Family

ID=52743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636A KR101706305B1 (ko) 2013-09-25 2013-09-25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90909B2 (ko)
EP (1) EP3032634B1 (ko)
KR (1) KR101706305B1 (ko)
WO (1) WO201504679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33A1 (ko) * 2016-10-25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온 소자를 위한 고정 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
KR20180094632A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1127990B2 (en) 2016-10-25 2021-09-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having fixing structure for temperature sensing el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489B1 (ko) * 2015-04-30 2019-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AT520018B1 (de) 2017-06-13 2020-02-15 Miba Emobility Gmbh Akkumulator
AT520154B1 (de) 2017-07-03 2019-04-15 Miba Frictec Gmbh Akkumulator
AT520409B1 (de) 2017-09-05 2020-02-15 Miba Ag Akkumulator
AT520411B1 (de) * 2017-09-14 2019-09-15 Miba Ag Akkumulator
AT520410B1 (de) 2017-09-14 2019-09-15 Miba Ag Akkumul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969B1 (ko) * 2009-09-15 2011-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20053458A (ko) * 2010-11-12 2012-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서미스터가 장착된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팩
KR20130096895A (ko) * 2012-02-23 2013-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탑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840B2 (ja) * 1990-08-27 1998-07-23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DE19621000C2 (de) 1996-05-24 1999-01-28 Heraeus Sensor Nite Gmbh Temperatur-Sensor mit einem Meßwiderstand
JP3900227B2 (ja) 1998-06-02 2007-04-04 宇部興産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891079B1 (ko) * 2005-02-07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용 전지 카트리지 연결 시스템
WO2006112501A1 (ja) * 2005-04-20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二次電池の保護回路、電池パック、及び感熱保護スイッチ装置
JP5154454B2 (ja) 2006-03-06 2013-02-27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
KR101230226B1 (ko) 2010-12-01 2013-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GB2502977B (en) * 2012-06-11 2015-07-15 Jaguar Land Rover Ltd A vehicle battery pack, a system for cooling a battery pack and a cooling plate for use in th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969B1 (ko) * 2009-09-15 2011-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온도 센서가 장착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20053458A (ko) * 2010-11-12 2012-05-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서미스터가 장착된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팩
KR20130096895A (ko) * 2012-02-23 2013-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탑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033A1 (ko) * 2016-10-25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온 소자를 위한 고정 구조를 갖는 전지 모듈
US11127990B2 (en) 2016-10-25 2021-09-2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having fixing structure for temperature sensing element
KR20180094632A (ko) * 2017-02-16 2018-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32634A1 (en) 2016-06-15
US20160233561A1 (en) 2016-08-11
EP3032634A4 (en) 2016-07-20
WO2015046798A1 (ko) 2015-04-02
EP3032634B1 (en) 2018-03-14
US10290909B2 (en) 2019-05-14
KR101706305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305B1 (ko)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1560217B1 (ko) 냉각 효율이 향상된 전지모듈
KR101547814B1 (ko) 간접 공냉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3136497B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water cooling structure
KR101653307B1 (ko) 단위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501026B1 (ko) 우수한 냉각 효율성과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모듈
KR101588251B1 (ko)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EP3151307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CN106356490B (zh) 可再充电电池和包括可再充电电池的电池模块
CN108701793B (zh) 电池组
KR20130018494A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US9397320B2 (en) Battery pack
KR20130125341A (ko) 높은 효율성의 냉각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50025308A (ko) 냉매 및 배기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70062845A (ko) 구성이 간소화된 단위모듈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KR102269112B1 (ko) Bms 유동 방지용 댐핑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315974B1 (ko) 전장 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70037157A (ko) 변형된 리드를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609232B1 (ko) 냉매 유로가 형성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904375B1 (ko) 퓨즈 장착 전지 카트리지와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348579B1 (ko) 온도 센싱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KR101667519B1 (ko)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140039349A (ko) 냉각 효율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1658587B1 (ko) 리튬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589984B1 (ko) 온도 측정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