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779A -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779A
KR20150033779A KR20130112642A KR20130112642A KR20150033779A KR 20150033779 A KR20150033779 A KR 20150033779A KR 20130112642 A KR20130112642 A KR 20130112642A KR 20130112642 A KR20130112642 A KR 20130112642A KR 20150033779 A KR20150033779 A KR 20150033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chedule
terminal
broadcast program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호
Original Assignee
(주)토스트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스트씨 filed Critical (주)토스트씨
Priority to KR20130112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779A/ko
Priority to PCT/KR2014/008122 priority patent/WO2015041418A1/ko
Publication of KR20150033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4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 H04N21/6543Transmission by server directed to the client for forcing some client operations, e.g.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크린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스크린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저장하고,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 단말기로 전송되는 경우에,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E SCREEN}
하기의 실시예들은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들에 방송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통신의 발달, 디지털 방송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융합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으며, 많은 수익 모델이 시도되고 있다. 디지털 방송은 양방향 방송, 스마트 TV로 진화하여 방송 프로그램 시청간 리모콘 선택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T-Commerce 와 양방향 광고 등의 거래가 가능한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에서 해당 방송 프로그램 영상에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방송 산업의 특성상 동일한 컨텐츠와 거래에 대해 많은 시청자를 대상으로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각 플랫폼사업자의 방송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기의 종류 등에 따라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콘텐츠가 호환되지 않아 각 플랫폼사업자의 시스템과 연동하는 별도의 개발을 필요로 하였고, 연동형 데이터방송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거래와 이를 수행하는 외부 전문 업체와의 데이터 콘텐츠 개발에 대한 중복 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현실적으로는 연동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통상 길어야 1주일 간격으로 편성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특성상 해당 기간 안에 해당 프로그램의 연동형 서비스에 필요한 각각의 거래에 대하여 모든 플랫폼사업자의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기에 각각 맞는 서비스를 개발하여 적용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였기에 기존에는 채널사용사업자 (지상파, PP) 등이 자사의 프로그램 또는 방송광고 (CF)에 실시간 연동되는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이를 해결하고 방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 단말기 외적으로도 방송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고자 하는 세컨드 스크린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방송을 통해 제1 단말기(tv 등)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2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PC, 테블릿 등)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저장하는 방송 스케쥴 서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세션 서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스케쥴 서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방송 스케쥴 연동부,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관련 정보 스케쥴 정보부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상기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케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세션 서버는, 상기 방송 단말기로부터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식별자 저장부, 상기 방송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세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별 정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를 상기 방송 단말기로 등록하여 상기 방송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실예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동기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스케쥴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상기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단말기로부터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를 상기 방송 단말기로 등록하여 상기 방송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송을 통해 제1 단말기(tv 등)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2 단말기(휴대폰, 스마트폰, PC, 테블릿 등)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송 스케쥴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세션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시스템(110)은 방송 스케쥴 서버(120), 사용자 세션 서버(130), 데이터 서버(140)를 포함한다.
방송 단말기(160)는 유무선 망 또는 방송망(151)을 이용하여 방송 서버(15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단말기(160)는 셋탑 박스, PC, TV 등일 수 있다. 방송 단말기(160)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단말기(160)는 스마트 TV 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방송 단말기(160)와 디스플레이 장치(170)가 일체화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동기화 시스템(110)은 유무선 또는 방송망(151)을 기반으로하는 방송을 통해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 및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휴대폰, 스마트폰, PC, 태블릿 등 통신망을 통하여 방송 프로그램 및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180)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적인 정보로서, 예를 들어 방송 프로그램이 야구 중계인 경우에,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선수 정보, 타 구장의 실시간 현황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방송 프로그램이 드라마 인 경우에,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출연진 정보, 협찬 상품 구매 정보, 지난 줄거리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방송 단말기(160)이외의 다른 단말기(180)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므로, 다른 단말기(180)를 세컨드 스크린이라고도 하고,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세컨드 정보라고도 한다.
여기서, 다른 단말기(180)로 전송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에 대한 정보 다른 단말기(18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된다. 이 경우에,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또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세컨드 정보앱이라고 한다.
일측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110)은 방송 스케쥴 서버(120), 사용자 세션 서버(130), 데이터 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채널 사업자의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또는 광고의 스케쥴을 입력받는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또는 광고의 스케쥴을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 채널 사업자의 스케쥴 서버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받는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스케쥴 서버(120)의 관리자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직접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또는 광고의 스케쥴을 방송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또한,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및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단말기(160)는 방송망(151)을 이용하여 방송 서버(15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 및 광고를 수신한다. 방송 단말기(160)는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 및 광고를 디스플레이 장치(170)에 디스플레이 한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단말기(160)는 방송 스케쥴 서버와 통신하여 방송 프로그램 또는 광고에 연동하여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단말기(160)는 사용자 단말기(180)와 통신하여 현재 방송 중인 채널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방송 단말기(160) 및 사용자 단말기(180)와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방송 단말기(160)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180)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방송 단말기(160)의 식별자, 사용자 단말기(180)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방송 단말기(160) 및 사용자 단말기(180)와 통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 서버(140)는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될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 및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서버(140)는 사용자 세션 서버(13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80)로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 및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80)는 방송 단말기(160) 또는 방송 스케쥴 서버(120)로부터 현재 방송 중인 채널, 또는 현재 방송 단말기(160)를 이용하여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8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 및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동기화 시스템(110)을 이용하여 방송 단말기(160)를 이용한 방송 시청 중에, 방송 단말기(160)를 이용하여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8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방송 단말기(160)와 사용자 단말기(180)가 별개의 장치인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방송 단말기(160)와 사용자 단말기(180)는 동일한 장치일 수 있다.
이하 방송 단말기(160)를 이용하여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80)로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1) 방송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간의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
동기화 시스템(110)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특정한 방송 단말기(160)에 대한 정보와 특정한 사용자 단말기(180)에 대한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180)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또는 광고의 스케쥴을 방송 단말기(160)로 전송한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은, 광고의 스케쥴은 해당 방송 프로그램 또는 광고가 언제, 어느 채널로 전송되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방송 단말기(160)로 전송할수 있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 또는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은 해당 방송 프로그램 또는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 서비스가 언제 수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방송 단말기(160)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또는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를 참고하여 특정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 A가 가수 B가 출령하는 음악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방송 단말기(160)는 "가수 B의 음원 구매시 콘서트 초대"라는 자막을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하여 노출할 수 있다. 또는 방송 단말기(160)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에는 이미 해당 자막이 합성되었을 수 있다.
시청자 A가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방송 단말기(160)의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기(180)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저장한다. 데이터 서버(140)는 방송 단말기(160)의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기(180)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 서버스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서버(140)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에, 방송 단말기(160)는 시청자 A의 스마트폰의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가 스마트폰의 번호를 입력하면, 방송 단말기(160)는 스마트폰의 번호 및 방송 단말기(160)의 식별자를 사용자 세션 서버(130)로 전송한다. 여기서, 스마트폰의 번호가 사용자 단말기(180)의 식별자로 사용된다.
데이터 서버(140)는 방송 단말기(160)의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기(180)의 식별자를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80)에 다운로드 한다.
사용자 단말기(18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은 데이터 서버(140)로부터 "가수 B의 음원 구매시 콘서트 초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이후 시청자 A가 방송 단말기(160)을 이용하여 방송을 수신하면,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방송 단말기(160) 및 사용자 단말기(180)와 지속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방송 단말기(160)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광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방송 프로그램,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80)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이미 사용자 단말기(180)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후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80)의 정보를 반복하여 수신할 필요가 없고, 사용자 세션 서버(130)가 방송 단말기(160)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므로,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사용자 단말기(180)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2) 방송 단말기와의 통신 없이 스케쥴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
동기화 시스템(110)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방송 단말기와의 통신 없이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80)로 데이터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방송 스케쥴 서버(120)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을 방송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방송 스케쥴 서버는 방송 프로그램,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방송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단말기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 및 방송 프로그램,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참조하여 특정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에 해당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청자 A가 회식 중에 호프집에서 동료들과 함께 호프집에 마련된 TV를 통해 프로야구 중계를 시청하는 경우, TV화면에 "홈런 이벤트! 지금 신청하면 야구모자 50%할인"이라는 데이터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80)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를 방송 단말기(160)로 등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80)와 인접한 위치의 방송 수신 장치를 방송 단말기(160)로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새롭게 등록된 방송 단말기(160)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방송 단말기(160)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80)에 대한 정보를 연관시켜 저장한다.
이미 이전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80)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 및 방송 프로그램,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참조하여 관련된 방송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시간대에 데이터 정보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가 데이터 서버(14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는 방송 시청도중에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80)가 사용자 A에서 알림 메시지를 노출하면, 사용자 A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데이터 서버(140)로부터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 A는 사용자 단말기(180)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현재 방송 단말기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80)에 대한 정보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세션 서버(130)는 시청자 A가 어느 채널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지 알 수 없다.
이 경우에, 데이터 서버(140)는 현재 방송 중인 여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모두 사용자 단말기(18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80)는 여러 데이터 정보들을 시청자 A의 관심사에 따라 정렬한다.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80)는 현재의 위치, 시간, 시청자 A의 시청 이력(시청한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 선호하는 채널 정보), 사용자 단말기(180)의 가입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80)는 수신된 데이터 정보들을 그 수신된 시간에 따라서 정렬하고, 현재 시간으로부터 가까운 데이터 정보들을 우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80)는 사용자 단말기(180)의 가입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30대 남성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80)는 야구 중계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우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50대 여성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80)는 홈쇼핑 정보, 요리 정보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우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 A가 관심있는 데이터 정보가 상위에 노출되므로, 시청자 A는 방송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가 서로 연관되어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도 관심있는 데이터 정보들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송 스케쥴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송 스케쥴 서버(200)는 방송 스케쥴 연동부(210), 관련 정보 스케쥴 정보부(220), 스케쥴 전송부(230)를 포함한다.
방송 스케쥴 연동부(210)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입력받는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스케쥴 서버(200)의 관리자 또는 프로그램 제작자, 채널 사업자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직접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방송 스케쥴 연동부(210)는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 정보 스케쥴 정보부(220)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상품의 광고 등일 수 있다. 또한,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할인 정보,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주소 등일 수 있다. 각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은 각 데이터 정보가 오버레이되어 출력되어야할 시간, 방송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쥴 전송부(230)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방송 단말기(240)로 전송한다. 방송 단말기(240)는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참고하여, 특정 방송 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장치(250)를 이용하여 출력되는 경우, 화면에 데이터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케쥴 전송부(230)는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사용자 단말기(26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세션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시적 실시에에 따른 사용자 세션 서버(300)는 식별 정보 수신부(310), 식별자 저장부(320) 및 세션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식별 정보 수신부(310)는 방송 단말기(340)로부터 방송 단말기(34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6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단말기(340)의 일련번호, MAC 주소, 방송 단말기(34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정 정보 등이 방송 단말기(340)의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60)의 전화번호, MAC 주소, 사용자 단말기(36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계정 정보 등이 사용자 단말기(360)의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식별자 저장부(320)는 수신된 방송 단말기(340)의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기(360)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식별자 저장부(320)는 방송 단말기(340)의 식별자 및 사용자 단말기(360)의 식별자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방송 단말기(340)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이후에 별다른 조작없이, 방송 단말기(340)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기(360)를 이용하여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세션 연결부(330)는 방송 단말기(340) 및 사용자 단말기(360)와의 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유지한다. 세션 연결부(330)는 연결된 통신 세션을 이용하여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 수신부(310)는 방송 단말기(34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6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송 단말기(340)는 사용자 단말기(360)의 식별자를 저장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60)의 식별자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식별 정보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기(360)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단말기(36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60)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한 방송 장치를 방송 단말기(360)로 등록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60)와 가까운 위치의 방송 장치를 방송 단말기(360)로 등록하고, 등록된 방송 단말기(36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세션 연결부(330)는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360)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것을 데이터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세션 연결부(330)는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6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60)는 이를 참조하여,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단말기(340)가 수신하는 채널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서버(400)는 어플리케이션 전송부(410), 데이터 저장부(420), 데이터 전송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전송부(410)는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440)의 식별자를 수신한다. 어플리케이션 전송부(410)는 수신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기(440)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전송된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440)에서 실행되어, 사용자 단말기(440)로 전송된 데이터 정보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420)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한다.
데이터 전송부(430)는 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440)로 전송한다. 저장된 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44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다.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440)와 연관된 방송 단말기가 불명확하거나, 연관된 방송 단말기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기(440)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데이터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데이터 전송부(430)는 사용자 단말기(440)와 연관된 방송 단말기가 수신하고 있지 않은 여러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모두 사용자 단말기(44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40)는 여러 가지 데이터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이를 정렬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440)의 현재의 위치, 시간, 시청자의 시청 이력(시정한 방송 프로그램의 장르, 선호하는 채널 정보), 사용자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드라마' 장르를 선호하는 경우에, 특정 드라마의 이전 줄거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 드라마에 등장한 소품의 판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보를 우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가 관심있는 데이터 정보가 상위에 노출되므로, 시청자 는 방송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가 서로 연관되어 저장되지 않은 경우, 방송 단말기가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관심있는 데이터 정보들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51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또는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상품의 광고 등일 수 있다. 또한,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할인 정보, 광고의 대상이 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주소 등일 수 있다. 각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은 각 데이터 정보가 방송 프로그램에 오버레이되어 출력되어야할 시간, 오버레이될 방송 프로그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단계(510)은 도 6에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단계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61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또는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입력받는다.
단계(62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 또는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받는다.
단계(610) 내지 단계(62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의 관리자, 프로그램 제작자, 채널 사업자는 동기화 시스템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방송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단말기는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광고의 스케쥴 및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수신하고, 각 스케쥴을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단말기는 특정 방송 프로그램 시청 도중에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일측에 따르면, 단계(520)은 도 7에서 설명되는 구체적인 단계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동기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71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단계(72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일측에 따르면, 방송 단말기는 데이터 정보를 화면에 오버레이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 번호, 사용자의 계정 정보 등이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방송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방송 단말기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와 방송 단말기를 연관시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와 방송 단말기를 연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동기화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택의 TV 수신 장치를 방송 단말기로 등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자택 이외에서(예를 들면 호프집) TV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참조할 수 없다. 이 경우에, 동기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한 방송 수신 장치, 사용자 단말기와 인접한 위치의 방송 수신 장치를 방송 단말기로 등록할 수 있다. 동기화 시스템은 새로 등록된 방송 단말기로부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기와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단계(73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유지한다. 일측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은 생성된 통신 세션을 이용하여 방송 단말기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또는 방송 단말기가 수신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단말기가 수신하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 또는 방송 단말기가 수신하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동기화 시스템은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일측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광고와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참조하여 데이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동기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마켓(예를 들면 구글 플레이 등)에 대한 링크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방송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기 어려운 경우에, 여러 개의 데이터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은 여러 개의 데이터 정보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의 위치, 시간, 시청자의 시청 이력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을 정렬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가 관심있는 데이터 정보가 상위에 노출되므로, 시청자는 방송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가 서로 연관되어 저장되지 않은 경우에도 관심있는 데이터 정보들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기 주위의 다른 단말기들이 어떤 데이터 정보들을 상위로 정렬하는지에 따라 유사한 데이터 정보들을 상위로 정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10: 동기화 시스템
120: 방송 스케쥴 서버
130: 사용자 세션 서버
140: 데이터 서버
150: 방송 서버
151: 방송망
160: 방송 단말기
170: 디스플레이 장치
18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7)

  1.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저장하는 방송 스케쥴 서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세션 서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데이터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동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케쥴 서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방송 스케쥴 연동부;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관련 정보 스케쥴 정보부;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상기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케쥴 전송부
    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세션 서버는,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식별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식별자 저장부;
    상기 방송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세션 연결부
    를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성가 식별 정보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동기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를 상기 방송 단말기로 등록하여 상기 방송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동기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동기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은 정렬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동기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현재의 시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이력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정렬되는 동기화 시스템.
  9.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방송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동기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케쥴을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및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스케쥴을 상기 방송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기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정보의 스케쥴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 세션을 생성하고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참조하여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동기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단말기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위치한 방송 수신 장치를 상기 방송 단말기로 등록하여 상기 방송 단말기 식별자를 수신하는 동기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기화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은 정렬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동기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정보들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현재의 시간,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수신 이력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가입자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정렬되는 동기화 방법.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12642A 2013-09-23 2013-09-23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50033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642A KR20150033779A (ko) 2013-09-23 2013-09-23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PCT/KR2014/008122 WO2015041418A1 (ko) 2013-09-23 2014-09-01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642A KR20150033779A (ko) 2013-09-23 2013-09-23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79A true KR20150033779A (ko) 2015-04-02

Family

ID=5268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642A KR20150033779A (ko) 2013-09-23 2013-09-23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33779A (ko)
WO (1) WO20150414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14B1 (ko) * 2017-06-26 2018-09-07 코코아 비전(주) 간접광고상품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9570B2 (ja) * 2002-04-11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番組連動型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257479B1 (ko) * 2011-05-04 2013-04-24 허순영 텔레비젼 리모컨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 및 스마트 폰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텔레비젼의 원격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214B1 (ko) * 2017-06-26 2018-09-07 코코아 비전(주) 간접광고상품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41418A1 (ko)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77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actions based on location-based rules
CN102656898B (zh) 在线社交网络上的自动媒体资产更新
US7849481B2 (en) Notification for interactive content
KR101296295B1 (ko) 커스터마이즈된 채널 정보를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8028860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associated data related to primary media data via email
US20120206648A1 (en) Selection Graphics Overlay of Matrix Code
CN101606171A (zh) 存取与元媒体数据相关组合信息的装置与方法
KR20110113183A (ko) 사용자 생성 타겟 광고
CN102129636A (zh) 用于提供基于识别的广告给观众的系统和方法
KR101136279B1 (ko) 미디어 체크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서버, 단말, 방법, 및 기록 매체
WO2015196602A1 (zh) 基于交互式网络电视的广告播放方法、服务装置及系统
KR20120103961A (ko) 사용자 맞춤형 연관광고 제공장치, 연관광고 재생용 휴대단말 및 사용자 맞춤형 연관광고 제공방법
JP5420023B2 (ja) 映像関連情報送信システム及び方法、これらに用いられる関連情報送信装置
JP2012023477A (ja) 広告情報の提示方式を変更する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配信装置、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4206911A (ja) 電子機器及び映像表示方法
KR102148368B1 (ko) 실시간 방송 기반의 추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3779A (ko) 스크린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20140147906A (ko) 콘텐츠 다운로드 장치 및 방법
JP2012029050A (ja) 携帯通信端末、テレビ受信機、携帯通信端末制御サーバ、eコマースシステム、eコマース方法及びeコマースプログラム
CA2938484C (en) In-band trick mode control
WO2013045922A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 to an internet - enabled television apparatus
JPWO2018074265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107215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online activity with broadcast television
JP2017151519A (ja) コンテンツ付加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90097791A (ko) 추가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