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591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591A
KR20150033591A KR20140162389A KR20140162389A KR20150033591A KR 20150033591 A KR20150033591 A KR 20150033591A KR 20140162389 A KR20140162389 A KR 20140162389A KR 20140162389 A KR20140162389 A KR 20140162389A KR 20150033591 A KR20150033591 A KR 20150033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ollecting chamber
pockets
port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2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이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우 filed Critical 이춘우
Priority to KR20140162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591A/ko
Publication of KR2015003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591A/ko
Priority to PCT/KR2015/006370 priority patent/WO201519941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09Rigid filter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가동중에 내포켓과 외포켓 중 흡인실과 유통하게 되는 포켓의 하부에 고형물이 쌓이게 되어, 상기 진공청소기가 가동되다가 가동중지되어도, 집진실에 포집된 고형물이 흡입구 쪽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아, 고형물이 휴지나 종이인 경유에도 상기 진공청소기의 재가동시에, 상기 집진실에 안정적으로 음압을 형성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진공 청소기에서는 본체의 하류부에, 송풍기를 내장한 흡인실이 배치되고, 상류부에 먼지 등의 고형물을 분리 포집하는 집진실이 배치되고, 그리고 호스의 일단에 마련된 접속파이프가 탈착 자재로 접속된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상류단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호스의 타단에는 청소시에 파지부를 구비한 선단 파이프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선단 파이프에는 연장관의 일단이 탈착 자재로 접속되고, 상기 연장관의 타단에는 청소기 외측 바닥의 먼지 등의 고형물을 흡인하기 위한 흡입 덕트구가 탈착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일정 시간 사용되면, 집진실에 고형물이 쌓이게 되어, 집진실에 음압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집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집진실에 쌓인 고형물을 수동으로 본체 밖으로 빼어내게 된다.
이러한 고형물 빼어내는 작업은 사용자로 하여금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게 하여 매우 불편하고 성가신 작업으로서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 제10-1372513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진공청소기에서는 음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밖의 먼지를 청소기 본체 내로 수용하였다가 양압에 의해 청소기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여, 본체의 집진실에 축적된 혐오물인 먼지 등을 사용자가 접촉함 없이 버릴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만, 상기 집진실과 상기 집진실 밑에 로터리밸브가 배치되어 있어서, 본체의 높이방향에서 비대해져 결국 진공 청소기 본체가 비대해 지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가 계류중인 특허공개 제10-2014-00970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진공 청소기는 집진실을 회전하는 복수개의 포켓으로 만들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어느 하나가 흡입구와 흡인실에 동시에 유통하게 하고, 상기 흡인실과 상기 집진실을 유통시키는 유통구의 상류단에 필터나 다공판을 마련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을 구획형성하는 복수개의 칸막이벽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그 일측부가 필터나 다공판을 문질러, 상기 필터나 다공판에 붙어 있는 또는 박혀 있는 고형물을 떼어 내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 중 어느 하나가 흡입구와 흡인실에 유통하지 않는 포켓에 고형물을 밖으로 방출하는 고형물토출관을 유통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집진실이 종래보다 소형화되면서도, 집진실에 축적된 고형물을 진공 청소기가 상기 고형물토출관에 개재되는 기밀적인 개폐수단인 로터리밸브 없이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는 것을 배제시킨 상태에서 필터도 청소하면서 집진실에 쌓인 고형물을 본체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진공 청소기는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의 일측이 회전하면서 필터나 다공판을 문지르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진공 청소기가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10-2014-9614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계류중인 진공 청소기에서는,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집진실 및 상기 집진실에 유통한 흡인실을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를 마련하고, 상기 통형상의 집진실의 고형물 배출측과 본체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양단이 상기 집진실과 본체 외부와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아래로 뻗은 제1유통구를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제1유통구에 포집포대를 접속시키고, 상기 집진실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 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로터리개폐부를 상기 집진실에 마련하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을 제2유통구에 의해 유통시키고, 상기 로터리개폐부에 구획형성된 복수개의 포켓 각각 내에 집진실의 흡입구에서 흡인실로의 공기유로 내에 병목부를 마련하고 그 병목부에 필터를 개재하고 고형물 토출측에서 상기 필터를 청소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계류중인 진공 청소기는, 병목부에 브러시와 같은 필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고형물 토출측에 마련된 긁개와 같은 필터청소수단이 구비되어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 및 유지보수비용을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계류중인 진공 청소기는 로터리개폐부의 칸막이 벽부가 집진실의 내주면, 바닥, 및 천장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여 로터리개폐부의 구동부하를 증대시키고 제조단가를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계류중인 진공청소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진공청소기가 본 발명자에 의해 2014년 10월 23일자에 특허출원되어 계류중인 특허출원 제10-2014-0144460호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계류중인 진공청소기에서는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집진실 및 상기 집진실에 유통한 흡인실이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가 마련되고, 상기 통형상의 집진실의 고형물 배출측과 본체 외부가 서로 유통되기 위해 양단이 상기 집진실과 본체 외부와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아래로 뻗은 제1유통구가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제1유통구에 포집포대가 접속되고, 상기 집진실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 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로터리개폐부가 상기 집진실에 마련되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이 제2유통구에 의해 유통되고, 상기 로터리개폐부에 구획형성된 복수개의 포켓에 집진실의 흡입구에서 필터를 관통하여 흡인실로 내로 유동하는 공기유로 내에 필터가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로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필터를 관통하는 역공기유로가 마련되고, 상기 로터리개폐부의 복수개의 칸막이벽이 상부가 막히고 저부가 개방된 관형부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태에서 집진실의 바닥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게 되어 있다.
상기 계류중인 진공청소기는 집진실이 종래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고서 소형화되면서도 로터리개폐부와 집진실 간의 미끄럼 접촉 부하 및 제조비용이 경감될 수 있지만, 상기 진공청소기가 가동되다가 가동중지되면, 집진실에 포집된 고형물이 흡입구 쪽으로 자연낙하하여, 흡입구에 쌓이게 되어 고형물이 휴지나 종이인 경유에 상기 흡입구를 막게 되어서, 이상태에서 상기 진공청소기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집진실에 음압을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칸막이 벽부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집진실 및 상기 집진실에 유통한 흡인실을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흡인실에 송풍기를 마련하고, 상기 통형상의 집진실의 고형물 배출측과 본체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양단이 상기 집진실과 본체 외부와 유통가능한 상태에서 아래로 뻗은 제1유통구를 본체 내에 마련하고, 상기 제1유통구에 포집포대를 접속시키고, 상기 집진실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 쪽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로터리개폐부를 상기 집진실에 마련하고, 상기 집진실과 상기 흡인실을 제2유통구에 의해 유통시키고, 상기 로터리개폐부에 구획형성된 복수개의 포켓에 집진실의 흡입구에서 필터를 관통하여 흡인실로 내로 유동하는 공기유로 내에 필터를 마련하고, 상기 공기유로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필터를 관통하는 역공기유로를 마련하고, 상기 로터리개폐부의 복수개의 칸막이벽이 상부가 막히고 저부가 개방된 관형부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상태에서 집진실의 바닥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게 하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 각각에 상기 필터에 의해 구획형성된 내포켓과 외포켓 중 상기 흡인실과 유통한 포켓 내의 상부에 병목부를 마련하고, 흡입구와 유통한 포켓에 상향류의 공기흐름을 만드는 유로를 마련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가동중에 내포켓과 외포켓 중 흡인실과 유통하게 되는 포켓의 하부에 고형물이 쌓이게 되어, 상기 진공청소기가 가동되다가 가동중지되어도, 집진실에 포집된 고형물이 흡입구 쪽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아, 고형물이 휴지나 종이인 경유에도 상기 진공청소기의 재가동시에, 상기 집진실에 안정적으로 음압을 형성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본체의 집진실에 마련된 로터리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본체에서 스크류피더를 내장한 토출실을 부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본체의 집진실에 마련된 로터리개폐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6의 본체에서 스크류피더를 내장한 토출실을 부가하여 도시한 단면도, 및
도 7은 도 1에서 스크류피더수단이 부가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진공 청소기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가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종래와 같이, 상기 진공청소기의 상기 본체(10)의 상류단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에는 칸막이 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된 통형상의 제1집진실(12) 및 흡인실(13)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흡인실(13)에는 송풍기(2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집진실(12)과 상기 흡입구(1)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일측 부위가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과 본체(10)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타측이 아래로 뻗은 호퍼형상의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흡입구(1)와 접속된 부위에서 이격된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일측 부위가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흡인실(13)에는 상기 흡인실(13)의 공기를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집진실(12)에는 상기 제1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15)로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로터리개폐부(9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개폐부(9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집진실(12)의 중앙에서 연직방향으로 뻗어서 회전가능하게 칸막이 벽부(11)에 양단이 장착되어 모터(6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회전축(91); 상기 회전축(91)에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반경방향으로 뻗은 선단과 회전축(91)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상단이 상부가 막히고 저부가 개방된 관형부(99)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부에 복수개의 포켓(9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축(9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0)에 의해서 구동될 수도 있지만 도시되지 않은 수동구동수단에 의해 수동에 의해도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각각의 포켓(94) 내에는 외측 포켓(94a)과 내측 포켓(94b)으로 나누는 필터(2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필터(21)는 상기 관형부(99)의 내주면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91)에 대하여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단이 흡입구(1)와 상기 제2유통구(16) 사이의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단이 상기 관형부(99)의 정부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을 구획형성하는 2개의 칸막이벽(95)에 기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두께는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축(91)이 회전하여도 항상 상기 흡입구(1), 상기 제1집진실(12) 및 상기 제2유통구(16)가 유통상태에 있다.
상기 필터(21)를 청소하기 위해 필터청소수단(80)이 상기 진공 청소기에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필터청소수단(80)은 일단이 상기 흡입구(1)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은 하나의 포켓(94)의 외측포켓(94a)에 접속되어 있는 흡입관(81) 그리고 상기 하나의 포켓(94)의 외측포켓(94a)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포켓(94b)에 일단이 접속되어 본체(10)의 외부와 타단이 유통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유통구(15)의 하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포대(70)의 입구(71)를 접속시키기 위해 방출구(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포집포대(70)는, 상기 입구(71)를 통하여 고형물과 함께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포집포대(70)로부터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일부 벽면에 필터(7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유통구(15)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실(30)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될 수도 있고, 상기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출구(32)에는, 포집포대(70)의 입구(7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실(30)은 관형으로 되어 있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실(30)의 내부에는 모터(60)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피더(50)의 스크류부(51)가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20), 상기 로터리개폐부(90), 및 스크류부(51)는 이들 사이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피더(50)에서 상기 스크류부(51)가, 제1유통구(15)에서 방출구(32)로 갈수록 체적이 작아질 수 있도록 직경이나 피치가 작아지게 되어 있으면, 상기 토출실(50)에 유입된 고형물을 압축하여 먼지 등의 비산 현상을 야기하지 않고 포집포대(70)에 담을 수 있게 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진실(12)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에는 고형물이 흡입구(1)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집진실의 바닥(12a)에 모이게 하는 고형물모임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형물모임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벽(95)들에 고정되고 기단이 상기 필터(21)에 기밀적으로 접촉되고 선단이 상기 회전축(91)에 못 미치게 뻗어 있는 칸막이벽(44)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인실(13)에 유통하는 내측포켓(94b) 내의 상부에, 마련된 병목부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벽(95)들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집진실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단이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에 못 미치게 뻗어 있는 칸막이벽(4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는 외측포켓(94a)에, 상향상류유로와 하향하류유로가 마련된 유로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44)에 의해 형성된 병목부는 상기 칸막이벽(44)에 의해 나누어지는 내측포켓(94b)의 하부공간의 음압의 절대값이 상기 칸막이벽(44)에 의해 나누어지는 외측포켓(94a)의 상부공간의 음압의 절대값보다 크게 만들어, 집진실에 유입된 고형물이 상기 외측포켓(94a)의 하류하향유로의 바닥에 모이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되고, 상기 칸막이벽(45)에 의해 형성된 유로부는 상기 흡입구(1)를 경유하여 상기 외측포켓(94a)에 유입된 고형물이 비의도적으로 상기 흡입구(1)로 이동될 수 없는 하류하향유로의 바닥에 모이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진공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송풍기(20)를 가동하고, 로터리개폐부(90)를 선택적으로 가동하면, 흡인실(13)이 음압상태가 되어, 흡입구(1)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흡입 덕트구 밖의 공기와 고형물(예를 들면, 먼지, 낙엽 등)이, 흡입구(1)를 경유하여 상기 제1집진실(12) 내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중에서 상기 흡입구(1)와 유통하고 있는 밑면에서 볼 때의 10시 방향의 제1포켓(94)의 외측 포켓(94a) 내로 유입되게 되고, 상기 외측 포켓(94a)에 유입된 고형물은 1차적으로 상기 필터(21)에 의해 여과되어 상기 제1포켓(94)의 외측 포켓(94a)에 쌓이게 되고, 상기 외측 포켓(94a)에서 필터(2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1포켓(94)의 내측 포켓(94b) 및 상기 흡입실(13)을 경유하여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됨과 동시에, 밑면에서 볼 때의 2시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흡입관(81)과 유통하고 있는 제2포켓(94a)에도 음압이 형성되어 외기가 상기 제2흡입구(82) 및 상기 제2포켓(94a)를 경유하여 상기 흡입관(1) 내로 유입되게 되어서 상기 필터(21)의 외면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분리되어져 이동되어 상기 흡입관(1)을 경유하여 상기 제1포켓(94)의 외측포켓(94a)에 쌓이게 되는 한편, 상기 제1포켓(94)에 쌓인 고형물이 상기 회전축(9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10시방향에서 5시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통구(15) 내로 자연낙하하여 본체(10) 밖의 포집포대(70)에 수납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실(30)에 자연낙하에 의해 토출되어 스크류피더(50)에 의해 포집포대(70)에 수납된다.
상기 실시예1의 설명에서 진공청소기에 구비된 모터는 원동기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원동기에 송풍기, 로터리개폐부, 스크류피더 등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1의 진공청소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하나의 포켓(94)이 제1집진실 공간이 되고 다른 하나의 포켓(94)이 토출실의 공간이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1의 진공청소기에서는, 제1집진실(12)에 축적된 고형물이, 제1유통구(15)에 개재되는 기밀적인 개폐수단인 로터리밸브 없이도, 그리고 로터리개폐부와 집진실 간의 미끄럼 접촉 부하 및 제조비용이 경감되고도, 본체 밖으로 배출될 수 있어서, 본체가 종래보다 간단한 구조로 되고 소형화되면서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상기 고형물이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지 않고서도 고형물이 본체 밖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필터도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지 않고서도 역류 공기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상기된 실시예1의 진공청소기는 제설장치에 적용되거나 제설차량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진공 청소기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본체가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2의 진공 청소기는 사이클론형상의 제2집진실(22)이 상기 제1집진실(12)와 상기 흡인실(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 내에 칸막이벽부(11)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고, 실시예1의 제2유통구(16)가 제1 및 제2집진실(12, 22)를 서로 유통시키고 있고, 상기 제2집진실(22)의 하부와 본체(10)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제4유통구(18)에 예를 들면, 로터리밸브 등과 같이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2집진실(22)이 상기 제2집진실(22)과 상기 흡인실(13)을 서로 유통시키는 제5유통구(14)에 접속되어 있고, 필터청소수단(8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은 하나의 포켓(94)의 외측포켓(94a)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제2유통구(16)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고 도중에 밸브(V1)가 개재된 연결관(83) 그리고 상기 하나의 포켓(94)의 외측포켓(94a)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포켓(94b)에 일단이 접속되고 본체(10)의 외부와 타단이 유통되고 도중에 밸브(V2)가 개재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고 있는 점만 실시예1의 진공 청소기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의 진공 청소기와 동일하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관(83)의 도중에 밸브(V1)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2흡입구(82)의 도중에 밸브(V2)가 개재되어 있지만, 상기 연결관(83)과 상기 제2흡입구(82) 중 어느 하나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되어 있어도 되며, 더욱이 선택적으로 고형물을 포집만 하거나 또는 필터청소만을 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83)과 상기 제2흡입구(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유통구(15)의 하류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포대(70)의 입구(71)를 접속시키기 위해 방출구(3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4유통구(18)의 하류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포대(70)의 입구(71)를 접속시키기 위해 방출구(3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포집포대(70)의 나머지 구성은 실시예1의 포집포대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4유통구(15, 18)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실(30)이 유통가능하게 접속될 수도 있고, 상기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방출구(32)에는, 포집포대(70)의 입구(7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출실(30)은 관형으로 되어 있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실(30)의 내부에는 스크류피더(50)의 스크류부(51)가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다.
상기 송풍기(20), 상기 로터리개폐부(90), 상기 개폐수단(40) 및 스크류부(51)는 이들 사이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2의 진공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제1집진실(12) 내로 유입된 고형물과 공기가 상기 제1집진실(12) 밖으로 배출되는 작동이 실시예1과 동일하고, 다만,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은 2시방향의 하나의 포켓(94)의 외측포켓(94a)에서 상기 제2유통구(16)로 유입된 공기와 필터(21)에서 떼어 내어진 고형물이 상기 제2집진실(22)에 유입되어 원심력과 자중에 의해 상기 제2집진실(22)의 하부에 배치된 개폐수단(40)에 쌓이게 되고, 상기 제2집진실(22)에서 고형물이 여과된 공기는 상기 흡인실(13)을 경유하여 상기 흡인실(13)의 토출구(13a)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한편, 상기 제2집진실(22)에 쌓인 작은 입자의 고형물이 상기 개폐수단(40)의 가동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유통구(18)내로 자연낙하하여 제1집진실(12)의 고형물과 함께 본체(10) 밖의 포집포대(70)에 수납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실(30)에 자연낙하에 의해 토출되어 스크류피더(50)에 의해 포집포대(70)에 수납되게 되는 점만 상이하게 작동된다.
상기 실시예2의 설명에서 진공청소기에 구비된 모터는 원동기로도 대체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원동기에 송풍기, 로터리개폐부, 로터리밸브와 같은 개폐수단, 스크류피더 등이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구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2의 진공청소기에서도, 제1집진실(12)에 축적된 고형물이, 제1유통구(15)에 개재되는 기밀적인 개폐수단인 로터리밸브 없이도, 그리고 로터리개폐부와 집진실 간의 미끄럼 접촉 부하 및 제조비용이 경감되고도, 본체 밖으로 배출될 수 있어서, 본체가 종래보다 간단한 구조로 되고 소형화되면서도, 자체적으로 본체 밖에 배치된 포집포대에 상기 고형물이 수용되게 하여서, 사용자가 혐오물을 손으로 만지지 않고서도 고형물이 본체 밖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필터도 사용자에 의해 접촉되지 않고서도 역류 공기에 의해 청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필터(21)가 상기 제1집진실(12)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벽에 안정적으로 그리고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21)와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쿠션패드가 개재되어 상기 필터(21)에 장착될 수도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와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쿠션패드가 개재되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유통구(15)에는 로터리개폐부(90)의 구동원에 접속되어 회전하여 제1유통구(15)의 막힘을 방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회전체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복수개의 포켓(94)의 각각이 상기 필터(21)에 의해 구획형성되는 외측 포켓(94a)과 내측 포켓(94b)을 구비하고 있고, 외측 포켓(94a)이 흡입구(1) 및 흡입관(81) 또는 연결관(83)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고, 내측 포켓(94b)이 제2유통구(16)와 제2흡입구(82)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측 포켓(94a)이 제2유통구(16)와 제2흡입구(82)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고, 내측 포켓(94b)이 흡입구(1) 및 흡입관(81) 또는 연결관(83)에 선택적으로 유통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이때에는 제1유통구(15)를 제1진집실(12)의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와 상기 필터청소수단(80)에 유통하지 않은 하나의 포켓(94)의 외측포켓(94a)에만 유통가능하게 접속시키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천장(12b) 타측에서 상기 제3유통구(19)의 하류단을 상기 하나의 포켓(94)의 내측 포켓(94b)에 유통하게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로터리개폐부(90)의 다른 구성요소를 동일하게 구비하게 상기 진공청소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청소수단(80)이 일단이 상기 흡입구(1)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은 하나의 포켓(94)의 제1측 포켓(94a)에 접속되어 있는 흡입관(81) 그리고 상기 하나의 포켓(94)의 제2측 포켓(94b)에 일단이 접속되어 본체(10)의 외부와 타단이 유통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고서 항상 고형물의 포집과 필터청소를 동시에 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적으로 고형물을 포집만 하거나 또는 필터청소만을 하기 위해, 상기 흡입관(81)과 상기 제2흡입구(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2흡입구(82)가 위로 뻗어서 개방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 내로의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2흡입구(82)의 개구단이 아래로 만곡될 수도 있고 아울러, 상기 필터청소수단(80)에 의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흡입구(82)의 개구단이 상기 흡입구(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 로터리개폐부(90)가 상기 집진실(12) 내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10)를 3개부분 즉, 천장과 상기 흡인실(13)을 포함하는 상부부분, 상기 바닥(12a)과 상기 제1유통구(15)를 포함하는 하부부분 및 상기 집진실(12)의 내주면을 포함하는 중간부분으로 나누어서, 상기 중간부분을 비회전되게 고정하고, 상기 상부분분과 상기 하부분분을 상기 회전축(9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고,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 내지 제4유통구(15, 16, 18, 19) 각각이 2개의 부분으로 되어서 이들 2개의 부분들이 상기 회전축(91)의 중심에서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하여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복수개의 포켓들이 회전한다는 의미는 복수개의 칸막이 벽부가 회전축(9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그리고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 내지 제4유통구(15, 16, 18, 19)가 회전축(9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회전축(91)이 연직방향으로 뻗어 있어도 되고, 또는 회전축(91)이 한시 또는 두시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되며 회전축(91)이 경사져 있으면, 흡입구(1)를 통하여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제2유통구(16)와 유통하고 있는 하나의 포켓(94)에 유입된 고중량의 고형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하나의 포켓(94)의 내측 포켓(94b)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하나의 포켓(94)이 회전하여 상기 제2유통구(16)와 유통하게 되지 않은 직전에 발생되는 흡입력 약화로 인하여 상기 하나의 포켓(94)에서 흡입구(1)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가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에만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될 수도 있다고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실시예로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와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롤러가 상기 바닥(12a)에 대하여 구름접촉하게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롤러가 상기 필터(21)에 대하여 기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상기 관형부(99)와 상기 회전축(91)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 각각의 하단의 양면 중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의 회전하는 방향에서 앞쪽에 있는 면에 기단이 기밀적으로 장착된 도시되지 않은 스커트의 선단이 상기 필터(21)를 사이에 두고 뻗어서 상기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커트가 상기 관형부(99)와 상기 필터(21)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스커트의 선단은 자동차의 와이퍼처럼 탄성체로 되어서 칼날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상기 바닥(12a)에 붙어 있는 고형물을 상기 바닥(12a)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면서 긁어낼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스커트의 선단이 탄성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음압 또는 양압에 의해 상기 스커트의 선단이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 각각의 하단 양면 중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부(95)의 회전하는 방향에서 앞뒤에 있는 면에 한 쌍의 스커트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들의 진공 청소기는 진공청소기의 가동중에 내포켓과 외포켓 중 흡인실과 유통하게 되는 포켓의 하부에 고형물이 쌓이게 되어, 상기 진공청소기가 가동되다가 가동중지되어도, 집진실에 포집된 고형물이 흡입구 쪽으로 중력에 의해 이동되지 않아, 고형물이 휴지나 종이인 경유에도 상기 진공청소기의 재가동시에, 상기 집진실에 안정적으로 음압을 형성하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진공청소기에서 작업자가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 밑에 복수개의 구름바퀴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복수개의 구름바퀴 중 적어도 하나의 구름바퀴가 비원형인 즉 타원형이면, 운반시에 본체가 덜컹거리게 되어 집진실의 칸막이벽과 관형부에 붙어 있는 고형물이 털어져 집진실의 바닥에 낙하되어 모여질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진공청소기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크류피더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피더수단에서는, 상기 회전축(91)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상태에서 스크류(49)가 외접된 축(48)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는 외측포켓(94a)에 마련된 하향하류유로에서 현수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을 기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한 상기 축(48)의 상단에 유성기어(47)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을 관통한 회전축(91)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태양기어(46)가 상기 유성기어(47)에 맞물려 있다.
상기 스크류피더수단은 상기 스크류(49)가 상기 하향하류유로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하향하류유로 내에서 집진실(12)의 바닥 쪽으로 확실하게 밀어 넣어, 상기 하향하류유로가 상기 제1유통구(15)와 마주하게 되는 위치에 있을 때 신속하게 고형물이 상기 제1유통구(15)를 통하여 본체(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의 진공청소기에서는, 상기 스크류피더수단 대신에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왕복운동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왕복운동수단에서는, 상기 회전축(91)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상태에서 이웃하는 칸막이벽(95)에 미끄럼접촉하는 너트가 체결된 나사축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는 외측포켓(94a)에 마련된 하향하류유로에서 현수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을 기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한 상기 나사축의 상단에 유성기어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마다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에 탑재된 정역모터의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가 상기 유성기어와 맞물리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제1유통구(15)와 마주하게 되는 포켓(94) 부근의 본체(10)에 장착된 정역모터의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가 상기 제1유통구(15) 쪽으로 상기 관형부에 의해 유성운동하고 있는 상기 유성기어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왕복운동수단은, 상기 나사축이 상기 제1유통구(15)에 마주하게 될 때에만 가동되어, 왕복운동하는 상기 너트로 하여금 상기 하향하류유로로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하향하류유로 내에서 집진실(12)의 바닥 쪽으로 확실하게 밀어 넣어, 상기 하향하류유로가 상기 제1유통구(15)와 마주하게 되는 위치에 있을 때 신속하게 고형물이 상기 제1유통구(15)를 통하여 본체(10)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10; 본체, 20; 송풍기

Claims (7)

  1. 본체(10)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에 상기 흡입구(1)와 유통가능한 통형상의 제1집진실(12), 상기 제1집진실에 유통가능하고 송풍기(20)가 마련되고 내부의 공기를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토출구(13a)가 형성된 흡인실(13)을 구비한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일측이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의 타측이 본체(10) 외부와 유통한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의 일측이 상기 흡인실(13)과 유통한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에는 상기 제1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으로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로터리개폐부(9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개폐부(90)는
    상기 제1집진실(12)에서 연직방향으로 또는 경사방향으로 뻗어서 회전가능하게 칸막이 벽부에 양단이 장착된 회전축(91);
    상기 회전축(91)에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회전축(91)의 반경방향으로 뻗은 선단과 회전축(91)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상단이 상부가 막히고 저부가 개방된 관형부(99)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부에 복수개의 포켓(9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칸막이벽(95); 및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 내에서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을 가로질러 뻗어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서 상기 흡입구(1)와 접속된 제1측 포켓(94a)과 상기 제2유통구(16)에 접속된 제2측 포켓(94b)으로 나누는 필터(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유통구(15)를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고형물 자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집진실(12)에서 방출되고,
    상기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이 상기 복수개 포켓(94) 중 어느 하나의 포켓(94)에 대하여 유통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포켓(95)에 대하여 동시에 유통되고 동시에 불유통되게 상기 제1집진실(12)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12)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에는 고형물이 흡입구(1)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집진실의 바닥(12a)에 모이게 하는 고형물모임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모임수단은,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벽(95)들에 고정되고 기단이 상기 필터(21)에 기밀적으로 접촉되고 선단이 상기 회전축(91)에 못 미치게 뻗어 있는 칸막이벽(44)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인실(13)에 유통하는 포켓 내의 상부에, 마련된 병목부; 및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벽(95)들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집진실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단이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에 못 미치게 뻗어 있는 칸막이벽(4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는 외측포켓(94a)에, 상향상류유로와 하향하류유로가 마련된 유로부 중 적어도 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본체(10)에 흡입구(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10) 내에 상기 흡입구(1)와 유통가능한 통형상의 제1집진실(12), 상기 제1집진실에 유통가능하고 송풍기(20)가 마련되고 내부의 공기를 본체 밖으로 방출하는 토출구(13a)가 형성된 흡인실(13)을 구비한 진공청소기로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일측이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타측이 본체(10) 외부와 유통한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 일측이 상기 흡인실(13)과 유통한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에는 상기 제1집진실(12)에 유입된 고형물을 상기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으로 강제적으로 유도하는 로터리개폐부(90)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로터리개폐부(90)는
    상기 제1집진실(12)에서 연직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뻗어서 회전가능하게 칸막이 벽부에 양단이 장착된 회전축(91);
    상기 회전축(91)에 기단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회전축(91)의 반경방향으로 뻗은 선단과 회전축(91)의 축선방향으로 뻗은 상단이 상부가 막히고 저부가 개방된 관형부(99)에 기밀적으로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제1집진실(12)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 접촉하여서 상기 제1집진실(12)의 내부에 복수개의 포켓(9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칸막이벽(95); 및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 내에서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을 가로질러 뻗어 제1집진실(12)의 내벽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고서 상기 흡입구(1)와 접속된 제1측 포켓(94a)과 상기 제2유통구(16)에 접속된 제2측 포켓(94b)으로 나누는 필터(21)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유통구(15)를 통하여 상기 제1집진실(12)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고형물 자체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집진실(12)에서 방출되고,
    상기 제1유통구(15)의 상류단이 상기 복수개 포켓(94) 중 어느 하나의 포켓(94)에 대하여 유통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은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다른 어느 하나의 포켓(95)에 대하여 동시에 유통되고 동시에 불유통되게 상기 제1집진실(12)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과 상기 흡인실(13) 사이에는 이들 양자와 유통하는 제2집진실(22)이 상기 본체(10)에 구획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집진실(12)과 상기 제2집진실(22)은 상기 제2유통구(16)에 의해 서로 유통하고 있고,
    상기 제2집진실(22)과 상기 흡인실(13)은 제5유통구(14)에 의해 서로 유통하고 있고,
    상기 제2집진실(22)의 하부와 본체(10) 외부를 서로 유통시키는 제4유통구(18)에는 개폐시 입출구 간에 기밀을 유지하는 개폐수단(40)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제2집진실(12)에 존재하는 고형물이 상기 개폐수단(40)을 통하여 고형물 자체의 자중에 의해 또는 상기 송풍기(20)의 기류에 의해 상기 제2집진실(22)에서 방출되고,
    상기 제2집진실(22)은 상기 흡인실(13)에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고형물을 여과하기 위해 사이클론형상을 갖고,
    상기 집진실(12)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에는 고형물이 흡입구(1) 쪽으로 유입되지 않게 집진실의 바닥(12a)에 모이게 하는 고형물모임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고형물모임수단은,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벽(95)들에 고정되고 기단이 상기 필터(21)에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회전축(91)에 못 미치게 뻗어 있는 칸막이벽(44)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인실(13)에 유통하는 포켓 내의 상부에, 마련된 병목부; 및
    양단이 이웃하는 상기 칸막이벽(95)들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집진실의 바닥(12a)에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되고 상단이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에 못 미치게 뻗어 있는 칸막이벽(45)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는 외측포켓(94a)에, 상향상류유로와 하향하류유로가 마련된 유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진실(12)에는 필터(21)를 청소하는 필터청소수단(8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필터청소수단(80)은
    일단이 상기 흡입구(1)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은 하나의 포켓(94)의 제1측 포켓(94a)에 접속되어 있는 흡입관(81) 그리고 상기 하나의 포켓(94)의 제2측 포켓(94b)에 일단이 접속되어 본체(10)의 외부와 타단이 유통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단이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흡입구(1) 및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지 않은 하나의 포켓(94)의 제1포켓(94a)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제2유통구(16)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는 연결관(83) 그리고 상기 하나의 포켓(94)의 제2측 포켓(94b)에 일단이 접속되고 본체(10)의 외부와 타단이 유통된 제2흡입구(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칸막이벽(95)의 두께는 상기 흡입구(1)의 하류단과 상기 제2유통구(16)의 상류단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1유통구(15)와 유통하는 토출실(3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30)에는 스크류피더(50)의 스크류부(51)가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고,
    상기 토출실(30)에는 상기 토출실(30)에 수용된 고형물을 본체(10) 밖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방출구(3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81)과 상기 제2흡입구(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연결관(83)과 상기 제2흡입구(8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구(1)의 도중에 밸브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류피더수단 또는 왕복운동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스크류피더수단에서는, 상기 회전축(91)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상태에서 스크류(49)가 외접된 축(48)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는 포켓에 마련된 하향하류유로에서 현수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을 기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한 상기 축(48)의 상단에 유성기어(47)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을 관통한 회전축(91)의 상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태양기어(46)가 상기 유성기어(47)에 맞물려 있고,
    상기 왕복운동수단에서는 상기 회전축(91)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은 상태에서 이웃하는 칸막이벽(95)에 미끄럼접촉하는 너트가 체결된 나사축이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각각의 외측포켓(94a)과 내측포켓(94b) 중 상기 흡입구(1)에 유통하는 포켓에 마련된 하향하류유로에서 현수되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을 기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한 상기 나사축의 상단에 유성기어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마다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형부(99)의 천장에 탑재된 정역모터의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가 상기 유성기어와 맞물리거나, 또는 상기 복수개의 포켓(94) 중 상기 제1유통구(15)와 마주하게 되는 포켓(94) 부근의 본체(10)에 장착된 정역모터의 출력축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구동기어가 상기 제1유통구(15) 쪽으로 상기 관형부(99)에 의해 유성운동하고 있는 상기 유성기어에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20140162389A 2014-06-24 2014-11-20 진공청소기 KR20150033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2389A KR20150033591A (ko) 2014-11-20 2014-11-20 진공청소기
PCT/KR2015/006370 WO2015199415A1 (ko) 2014-06-24 2015-06-23 공압에 의해 운반되는 고형물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2389A KR20150033591A (ko) 2014-11-20 2014-11-20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91A true KR20150033591A (ko) 2015-04-01

Family

ID=53030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2389A KR20150033591A (ko) 2014-06-24 2014-11-20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5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51A1 (ko) * 2017-06-30 2019-01-03 이춘우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구비한 포집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04751A1 (ko) * 2017-06-30 2019-01-03 이춘우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구비한 포집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583B1 (ko) 로봇 청소기
KR20160149814A (ko) 공압에 의해 운반되는 고형물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장치
US8763201B2 (en) Vacuum cleaner provided with dust-removing device
KR101781997B1 (ko) 집진기
KR101372513B1 (ko) 진공 청소기
JP5140143B2 (ja) コンクリートカッター用集塵装置
CN112043204B (zh) 空气处理组件及具有其的清洁设备
KR101645328B1 (ko) 진공청소기
CN102300649A (zh) 用于非接触式颗粒物去除的便携式装置
KR101627638B1 (ko) 진공청소기
CN105534407A (zh) 集尘装置及包括该集尘装置的吸尘器
CN1989891B (zh) 电动吸尘器
KR20150033591A (ko) 진공청소기
KR20090034493A (ko) 로봇청소기
KR20160043401A (ko) 진공청소기
TW201729746A (zh) 抽吸式清潔裝置
KR101684470B1 (ko) 진공청소기
CN213668418U (zh) 一种自动清排灰的扫路机除尘装置
KR101433087B1 (ko) 음압과 양압에 의해 실내를 청소하는 붙박이 청소기
KR101583029B1 (ko) 진공청소기
KR20140037522A (ko) 진공청소기
KR101468509B1 (ko) 진공 청소기
WO2015199415A1 (ko) 공압에 의해 운반되는 고형물을 공기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장치
KR20160037418A (ko) 진공청소기
KR102194436B1 (ko) 복수개의 터닝 포켓을 포함하는 포집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