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510A - 음식물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음식물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510A
KR20150033510A KR20140038034A KR20140038034A KR20150033510A KR 20150033510 A KR20150033510 A KR 20150033510A KR 20140038034 A KR20140038034 A KR 20140038034A KR 20140038034 A KR20140038034 A KR 20140038034A KR 20150033510 A KR20150033510 A KR 20150033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ood
cover
packaging box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3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764B1 (ko
Inventor
곽승연
Original Assignee
곽승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승연 filed Critical 곽승연
Publication of KR2015003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닥면의 전,후,좌,우측에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구성되는 전측벽, 후측벽, 양측벽, 및 상기 전측벽과 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형성하여 구성되고, 커버의 사이드통기벽과 프론트통기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홀을 통해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상자 외부로 배출시키고, 전측벽, 후측벽, 양측벽, 또는 커버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니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을 자연스럽게 냉각시켜 열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눅눅하게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달 후 섭취시 식감과 맛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포장용 상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전개된 포장용 상자를 접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완성된 포장용 상자로 만드는 동안 가장자리에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포장용 상자에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를 열고 닫는 동안 가장자리에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포장용 상자{PACKING BOX}
본 발명은 상자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치킨이나 햄버거, 도너츠, 빵, 떡 등과 같은 패스트푸드는 물론 기타 다양하게 조리된 음식물을 배달시키거나, 포장(Take Out)해 가지고 가는 등 소비자가 식당 내에서 음식물을 먹지 않고, 음식물을 포장하여 원하는 곳에서 편하게 먹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조리된 음식물을 배달 또는 포장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는 종래에도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일반적으로 포장 또는 배달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장용 상자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포장용 상자(1)는, 개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며, 바닥면(2)의 전,후,좌,우측면(3,4,5,6)을 일체로 형성하고, 전,후면에는 연장되게 커버면(7,8)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커버면(7,8)의 끝단에는 제품을 포장한 상태에서 상자(1)를 손으로 용이하게 들 수 있도록 손잡이(9,1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면(5,6)의 끝단에는 손잡이(9,10)를 들 때 커버면(7,8)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9,10)의 양단을 끼워서 유지할 수 있는 끼움홈(11)을 형성한 유지판(12)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물론, 상기 손잡이(9,10)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손잡이(9,10)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일체감을 가지면서 손으로 잡기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면(13)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특허문헌 1 내지 5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상자(1)와는 다른 다양한 종류의 종래의 포장용 상자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상자는, 조리된 음식물을 수용시킨 뒤 바로 커버면을 닫아 밀봉시키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보온을 필요로 하는 음식물의 경우에는 열기(온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때문에 배달 완료시까지 음식물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리된 음식물의 경우 조리된 고유의 식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리 완료된 상태에서 대기중에 노출시켜 서서히 냉각되도록 함으로서 아삭하고 바삭한 식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 미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데, 조리된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할 경우에는 열기와 습기에 의하여 눅눅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달시간 또는 테이크 아웃 시간이 극히 짧은 경우에는 큰 문제는 없을 것이나 최소한 수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금방 조리한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의 온도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습기와 열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눅눅하게되어 실제 이를 섭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리된 음식점에서 섭취하는 것에 비하여 식감과 맛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튀김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심하게 되는 데, 튀김닭, 튀김닭강정, 각종 해산물이나 채소류의 튀김, 튀김도너츠 등과 같은 음식물뿐만 아니라, 튀기지 않더라도 붕어빵 또는 풀빵과 같이 고온에서 조리된 후 바로 포장되는 음식물의 경우 쉽게 열기에 의하여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지 못하고 눅눅한 상태이면서 조리된 음식물이 서로 엉겨붙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섭취하는 것 또한 어렵게 된다.
그리고, 포장된 조리음식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와 습기에 의하여 포장용 상자가 제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변형되는 것은 물론, 포장용 상자로 침투한 습기에 의하여 찢어지는 손상이 발생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20-0165935 Y1 KR 20-0250369 Y1 KR 20-0320088 Y1 KR 20-0321972 Y1 KR 20-0367531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달 또는 테이크 아웃(Take Out)을 위하여 조리한 음식물을 포장하는 상자를 개선하여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음식물이 조리 후 자연스럽게 냉각되어 음식이 열기에 의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음식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닥면의 전,후,좌,우측에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구성되는 전측벽, 후측벽, 양측벽, 및 상기 전측벽과 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형성하여 구성되고, 커버의 사이드통기벽과 프론트통기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홀을 통해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상자 외부로 배출시키고, 전측벽, 후측벽, 양측벽, 또는 커버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니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있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상자는,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닥면의 전,후,좌,우측에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구성되는 전측벽, 후측벽, 양측벽, 및 상기 전측벽과 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전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의 상부 전측을 덮는 프론트커버, 및 상기 후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되면서 포장용 상자의 상부 후측을 덮는 리어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커버의 양측단부와 전측단부에 상기 리어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사이드통기벽 및 프론트통기벽이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통기벽과 프론트통기벽에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수용된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포장용 상자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음식물이 눅눅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감과 미감을 자연냉각시킨 것과 같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전측벽, 후측벽 및 양측벽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은 각각의 가장자리가 물결무늬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커버는 그 가장자리가 물결무늬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상기 전측벽과 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부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이드통기벽과 프론트통기벽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홀을 통해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상자 외부로 배출시키므로, 음식물을 자연스럽게 냉각시켜 열기에 의하여 음식물이 눅눅하게 변질 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달 후 섭취시 식감과 맛을 좋게 하는 것은 물론, 포장용 상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측벽, 후측벽, 양측벽, 또는 커버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니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전개된 포장용 상자를 접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완성된 포장용 상자로 만드는 동안 가장자리에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포장용 상자에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를 열고 닫는 동안 가장자리에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포장용 상자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상자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음식물 포장용 상자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니 형상으로 절단 가공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전개도.
도 5는 도 2의 커버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커버가 절취 점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절곡선을 따라 하향되도록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상자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전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음식물 포장용 상자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니 형상으로 절단 가공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전개도.
도 10은 도 7의 커버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커버가 절취 점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절곡선을 따라 하향되도록 절곡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5의 A - A선의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B - B선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상자(100)는, 종이재질로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닥면(101)의 전,후,좌,우측에 바닥면(101)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전측벽(102)과 후측벽(103) 및 양측벽(104)을 구성하고, 상기 전측벽(102)과 후측벽(103)에 일체로 연결되어 절곡에 의하여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105)를 형성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3 또는 도 8의 전개도와 비교되는 도 4 또는 도 9의 전개도를 참조하면, 상기 전측벽(102), 후측벽(103) 및 양측벽(104)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은 각각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늬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바닥면(101)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구성된다.
도 3 또는 도 8의 전개도와 비교되는 도 4 또는 도 9의 전개도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05)는 그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늬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상기 전측벽(102)과 후측벽(103)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부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전측벽(102), 후측벽(103) 및 양측벽(104)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이 각각의 가장자리가 반원형 돌기 형상 혹은 이와 유사하게 부드러운 절단 라인을 형성하여 손이 베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절단 가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측벽(102), 후측벽(103), 양측벽(104), 또는 커버(105)의 가장자리가 부드러운 물결무니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 등으로 절단 가공되면, 작업자가 전개된 포장용 상자를 접어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완성된 포장용 상자로 만드는 동안 가장자리에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포장용 상자에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105)를 열고 닫는 동안 가장자리에 손을 베이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105)를 개선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포장용 상자(100)에 수용된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습기)가 포장용 상자(100) 외부로 배출되어 음식물이 눅눅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감과 미감을 자연냉각시킨 것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105)는 전측벽(102)에 일체로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100)의 상부 전측을 덮는 프론트커버(110)와 후측벽(103)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되면서 포장용 상자(100)의 상부 후측을 덮는 리어커버(111)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커버(110)는 전측벽(102)에 일체로 연결되어 절곡되는 프론트커버바디(112)와 상기 프론트커버바디(112)의 양측에 형성하여 양측벽(104)의 상부전측에 형성되는 전측고정홀(113)에 끼움되는 고정편(11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어커버(111)는 후측벽(103)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론트커버(110)가 덮지 않은 포장용 상자(100)의 상부 중앙부와 후측부를 덮으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리어커버바디(115)를 형성한다.
상기 리어커버바디(115)의 후측부위에는 폭방향으로 절곡선(116)을 형성하여 리어커버바디(115)가 포장용 상자(100)의 중앙부를 덮도록 하는 수평부(117)와 포장용 상자(100)의 후측부를 덮도록 하는 경사부(118)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절곡선(116)은 도 2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리어커버바디(115)의 내측에 실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부(117)와 경사부(118)가 절곡되어 구획되게 한다.
상기 리어커버바디(115)의 양측단부와 전측단부에는 리어커버바디(115)와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통기벽(119)과 프론트통기벽(119a)을 하향되도록 절곡시켜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통기벽(119)과 프론트통기벽(119a)에는 다수개의 통기홀(120)을 형성하여 포장용 상자(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외부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도 5 또는 도 10에서는 상기 사이드통기벽(119)과 프론트통기벽(119a)이 상기 리어커버바디(115)의 양측단부와 전측단부의 내측에 실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절곡선을 따라 하향되도록 절곡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달리, 도 6 또는 도 11에서는 상기 사이드통기벽(119)과 프론트통기벽(119a)이 상기 리어커버바디(115)의 양측단부와 전측단부에 절취 점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절곡선을 따라 하향되도록 절곡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사이드통기벽(119)과 프론트통기벽(119a)에 형성되는 통기홀(120)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타원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원형, 삼각형, 다각형 및 다양한 형상의 캐릭터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사이드통기벽(119)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벽(104)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전측고정홀(113)과 후측고정홀(121)에 끼움되어 리어커버(111)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드고정편(122)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통기벽(119a)에는 프론트커버바디(112)의 상면에 형성되는 프론트고정홀(123)에 끼움되어 리어커버(111)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론트고정편(124)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통기벽(119)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측벽(104)의 전측고정홀(113)과 후측고정홀(121)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고정홀(121a)에 끼움되어 리어커버(111)가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사이드고정편(122a)을 더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통기벽(119)과 프론트통기벽(119a)에 형성되는 사이드고정편(122)과 프론트고정편(124)의 형상과 모양 또한 다양하게 실시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한 것에 국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상자(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초기에는 포장용 상자(100)를 커버(105)를 구성하는 프론트커버(110)는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리어커버(111)는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포장용 상자(100)의 내부에 배달하거나 또는 테이크 아웃 하기 위한 조리된 음식물을 수용시킨다.
이와 같이 음식물의 수용이 완료되면, 개방시켰던 리어커버(111)를 닫음으로써 배달 또는 테이크 아웃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는 데,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방시켰던 리어커버(1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사이드통기벽(119)의 사이드고정편(122)은 양측벽(104)의 상면 전,후측에 형성되는 전측고정홀(113)과 후측고정홀(121)에 끼워서 결합하고, 상기 보조사이드고정편(122a)은 전측고정홀(113)과 후측고정홀(121) 사이의 보조고정홀(121a)에 끼워서 결합하며, 프론트통기벽(119a)의 프론트고정편(124)은 프론트커버(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프론트고정홀(123)에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리어커버(111)가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현상 없이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12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된 음식물로부터 열기(습기)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리어커버(111)를 구성하는 사이드통기벽(119)과 프론트통기벽(119a)에 형성되는 통기홀(1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포장용 상자(100)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은 조리를 마친 후 조리공간(주방)에서 자연적으로 열기가 제거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수용하여 배달 또는 테이크 아웃 하더라도 조리공간(주방)에서 조리하여 자연적으로 냉각시킨 것과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을 섭취할 때 식감과 맛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포장용 상자가 음식물의 열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포장용 상자 101; 바닥면
102; 전측벽 103; 후측벽
104; 양측벽 105; 커버
110; 프론트커버 111; 리어커버
112; 프론트커버바디 113: 전측고정홀
114: 고정편 115; 리어커버바디
116: 절곡선 117: 수평부
118: 경사부 119: 사이드통기벽
119a; 프론트통기벽 120; 통기홀
121: 후측고정홀 121a: 보조고정홀
122: 사이드고정편 122a: 보조사이드고정편
123: 프론트고정홀 124: 프론트고정편

Claims (5)

  1. 사각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닥면의 전,후,좌,우측에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구성되는 전측벽, 후측벽, 양측벽, 및 상기 전측벽과 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형성하여 구성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전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포장용 상자의 상부 전측을 덮는 프론트커버, 및 상기 후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되면서 포장용 상자의 상부 후측을 덮는 리어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리어커버의 양측단부와 전측단부에 상기 리어커버와 일체로 형성된 사이드통기벽 및 프론트통기벽이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통기벽과 프론트통기벽에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수용된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가 포장용 상자 외부로 배출되게 하여 음식물이 눅눅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식감과 미감을 자연냉각시킨 것과 같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커버는
    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절곡되는 프론트커버바디; 및
    상기 프론트커버바디의 양측에 형성하여 양측벽의 상부전측에 형성되는 전측고정홀에 끼움되는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커버는
    후측벽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론트커버가 덮지 않은 포장용 상자의 상부 중앙부와 후측부를 덮으면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리어커버바디와;
    상기 리어커버바디의 후측부위에 폭방향으로 절곡선을 형성하여 리어커버바디가 포장용 상자의 중앙부를 덮도록 하는 수평부와, 포장용 상자의 후측부를 덮도록 하는 경사부로 구획하고,
    상기 리어커버바디의 양측단부와 전측단부에 리어커버바디와 일체로 형성되게 하향 절곡시켜 형성하는 사이드통기벽 및 프론트통기벽과;
    상기 사이드통기벽과 프론트통기벽에 형성하여 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통기홀과;
    상기 양측벽의 전,후측에 형성되는 전측고정홀과 후측고정홀에 끼움되어 리어커버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이드통기벽에 형성하는 사이드고정편과;
    상기 프론트커버바디의 상면에 형성되는 프론트고정홀에 끼움되어 리어커버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론트통기벽에 형성하는 프론트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의 전측고정홀과 후측고정홀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고정홀에 끼움되어 리어커버가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사이드통기벽에 형성하는 보조사이드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벽, 후측벽 및 양측벽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은 각각의 가장자리가 물결무늬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바닥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커버는 그 가장자리가 물결무늬 형상이나 반원형 돌기 형상으로 절단 가공되어 상기 전측벽과 후측벽에 일체로 연결되고 절곡되어 상부를 덮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20140038034A 2013-09-24 2014-03-31 음식물 포장용 상자 KR101585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356 2013-09-24
KR1020130113356 2013-09-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510A true KR20150033510A (ko) 2015-04-01
KR101585764B1 KR101585764B1 (ko) 2016-01-14

Family

ID=5303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034A KR101585764B1 (ko) 2013-09-24 2014-03-31 음식물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7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463A (ko) 2020-12-09 2022-06-16 보고싶다 주식회사 수납의 편의성을 갖는 테이크아웃 포장상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515Y1 (ko) 2010-01-20 2012-03-28 태양당인쇄(주) 포장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764B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0964B2 (en)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50133500A1 (en) Polygonal susceptor cooking trays and kits for microwavable dough products
US20050184066A1 (en) Susceptor cooking trays and kits for microwavable food products
US20080175959A1 (en) Microwavable Food Product and a Susceptor Therefor
US2009004519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icrowave cooking of a food product
JP3202469U (ja) 電子レンジ加熱用食品包装容器
CA2683419A1 (en) Microwavable food products
ITUD20110159A1 (it) Dispositivo per la formatura e cottura di un prodotto alimentare da forno ripeno, tipo pizza ripiena
KR101585764B1 (ko) 음식물 포장용 상자
MX2011001976A (es) Productos de pasta laminada capaces de ser conocidos por microondas y metodos para realizar los mismos.
US20130327763A1 (en) Microwave package for single-step cooking of multi-component foodstuffs
US6733808B2 (en) One-dish frozen dinner product having an integral bread ring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preparing same
WO200606886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andwich
US11629001B2 (en) Wrapper and three-dimensional package with steam venting feature for hot food items and method
JP2013223612A (ja) 電子レンジ加熱用容器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70050634A (ko) 패스트푸드 포장 박스
EP18381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andwich
US6743452B2 (en) One-dish frozen dinner product having an integral bread ring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preparing same
WO200606886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andwich
CA2597125C (en) Cooking method and apparatus
CN113365501A (zh) 比萨产品、比萨产品的包装及比萨产品的烹饪和分配方法
US20080020106A1 (en) Comestible wrap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153742B1 (ko) 빵 접시가 구비된 치킨 포장용 상자
KR200305651Y1 (ko) 햄버거용 빵 및, 그것의 제조를 위한 반죽틀
JP4758956B2 (ja) 電子レンジによる骨付き鳥もも肉の調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