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463A -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463A
KR20150033463A KR20130113514A KR20130113514A KR20150033463A KR 20150033463 A KR20150033463 A KR 20150033463A KR 20130113514 A KR20130113514 A KR 20130113514A KR 20130113514 A KR20130113514 A KR 20130113514A KR 20150033463 A KR20150033463 A KR 20150033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ischarge
touch electrode
connection wiri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453B1 (ko
Inventor
박미애
강성구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453B1/ko
Priority to US14/164,811 priority patent/US9285890B2/en
Publication of KR2015003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02H9/04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ppearing at terminals of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2017/9602Touch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shape of the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05Safety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e.g. increasing reliability, fail-safe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에 위치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그리고 상기 터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의 폭은 상기 터치 전극의 폭보다 작고, 상기 터치 전극과 상기 연결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인 병목부(bottle neck portion) 근처에 위치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TOUCH SENSOR INCLU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ATTERN}
본 발명은 터치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의 표시 장치,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정보 처리 장치 등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이러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 감지 장치를 구비하는 입력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 감지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 위에 손가락이나 터치 펜(touch pen) 등을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경우 표시 장치가 화면에 가한 압력, 전하, 빛 등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가 화면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그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감지 기능은 터치 센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자기 공진형(electromagnetic resonance type, EMR), 광 감지 방식(optical type) 등 다양한 터치 감지 방식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센서의 경우 서로 마주하여 이격되어 있는 두 전극이 외부 물체에 의한 압력에 의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두 전극이 서로 접촉되면 그 위치에서의 저항 변화에 따른 전압 변화를 인지하여 접촉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는 감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터치 전극으로 이루어진 감지 축전기를 포함하고, 손가락과 같은 도전체가 센서에 접근할 때 발생하는 감지 축전기의 정전 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감지하여 접촉 여부와 접촉 위치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이러한 접촉 감지 센서는 터치 패널 내에 형성되어 표시 장치 위에 부착되거나(add-on cell type) 표시 장치의 기판 바깥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on-cell type), 표시 장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in-cell type).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이 화면에 접촉하였는지 여부 및 접촉 위치 정보를 알아내고 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여러 종류의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며 터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 및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 배선을 포함한다. 터치 영역은 표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연결 배선은 터치 전극에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하거나 터치에 따라 생성된 터치 전극의 감지 출력 신호를 감지 신호 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에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가 누적되면 터치 전극이 터져 그 부분에서 터치 감지가 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 센서에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로 인해 터치 센서의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터치 센서가 모든 영역에서 정상적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에 위치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그리고 상기 터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의 폭은 상기 터치 전극의 폭보다 작고, 상기 터치 전극과 상기 연결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인 병목부(bottle neck portion) 근처에 위치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방전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방전 통로 및 제2 방전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전 통로 및 상기 제2 방전 통로는 상기 연결 배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방전 통로 및 상기 제2 방전 통로는 상기 터치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전 통로 및 상기 제2 방전 통로의 폭은 상기 연결 배선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전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방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 돌출부는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치 전극의 가장자리 변 또는 상기 연결 배선에 대략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상기 방전 돌출부는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1 방전 돌출부 및 제2 방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 돌출부의 폭은 상기 연결 배선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정전기 방전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방전 빗살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 빗살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의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뻗을 수 있다.
상기 방전 빗살 패턴은 상기 연결 배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방전 빗살 패턴의 폭은 상기 연결 배선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연결 배선의 선폭은 대략 10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 도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얇은 금속층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연결 배선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에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로 인해 터치 센서의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터치 센서가 모든 영역에서 정상적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에 대한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에 대한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센서에 대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장치는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와 연결된 감지 신호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외부 물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로서, 여러 방식의 터치 센서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터치 센서는 표시 패널 또는 별도의 터치 패널 안에 포함되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가 터치 패널(100)에 포함된 예를 주로 설명한다. 여기서 터치란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에 외부 물체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접근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Sx) 및 터치 전극(Sx)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배선(RL)을 포함한다. 액티브 영역(active area)은 터치가 가해지고 터치가 감지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어 표시 패널의 경우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터치 패널(100)의 경우 터치 영역일 수 있으며 표시 패널 안에 터치 패널이 내장될 경우 터치 영역은 표시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이후 액티브 영역을 터치 영역(touch area)이라고도 한다.
복수의 터치 전극(Sx)은 행렬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단면 구조로 볼 때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터치 전극(Sx)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 도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얇은 금속층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전극(Sx)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금속은 은(Ag), 구리(Cu)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치 전극(Sx)의 모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형, 예를 들어 마름모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전극(Sx)은 터치 감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자리 변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전극(Sx)의 가장자리 변이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경우 이웃한 터치 전극(Sx)의 요철형 가장자리 변은 서로 맞물려 있을 수 있다.
터치 전극(Sx)의 한 변의 길이는 대략 수mm, 예를 들어 대략 10mm 이하, 더 구체적으로 대략 4mm 내지 대략 5mm일 수 있으나 터치 감지 해상도에 따라 터치 전극(Sx)의 크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터치 전극(Sx)은 터치 영역 안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다른 터치 전극(Sx)은 서로 다른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전극(Sx)은 각각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로부터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접촉에 따른 감지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감지 신호 제어부(800)로 보낼 수 있다. 각 터치 전극(Sx)은 자가 감지 축전기(self sensing capacitor)를 형성하여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은 후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될 수 있다. 이후 손가락 등의 외무 물체의 접촉이 있으면 자가 감지 축전기의 충전 전하량에 변화가 생겨 입력된 감지 입력 신호와 다른 감지 출력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감지 출력 신호를 통해 접촉 여부,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연결 배선(RL)은 터치 전극(Sx)과 감지 신호 제어부(800)를 연결하여 감지 입력 신호 또는 감지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연결 배선(RL)은 터치 전극(Sx)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터치 전극(Sx)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배선(RL)은 터치 전극(Sx)과 다른 층에 위치하며 별도의 연결부를 통해 터치 전극(Sx)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가까워질수록 터치 전극(Sx) 열 사이에 배치된 연결 배선(RL)의 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터치 전극(Sx)의 크기는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연결 배선(RL)의 폭은 대략 10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은 폭이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병목부(bottle neck portion)를 형성한다.
감지 신호 제어부(800)는 터치 패널(100)의 터치 전극(Sx)과 연결되어 터치 전극(Sx)에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하고 감지 출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감지 신호 제어부(800)는 감지 출력 신호를 처리하여 접촉 여부 및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감지 신호 제어부(800)는 터치 패널(100)과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 위에 위치하여 터치 패널(100)과 연결될 수도 있고, 터치 패널(100) 상에 집적 회로 칩의 형태 또는 TCP 형태로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터치 패널(100) 위에 집적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은 터치 전극(Sx)에 형성되어 있으며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 즉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는 복수의 방전 통로(electrostatic discharge path)(171, 172)를 포함한다. 복수의 방전 통로는 제1 방전 통로(171) 및 제2 방전 통로(172)를 포함한다. 제1 방전 통로(171)와 제2 방전 통로(172)는 연결 배선(RL)과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방전 통로(171) 또는 제2 방전 통로(172) 각각의 폭은 연결 배선(RL)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인접한 방전 통로(171, 172) 사이,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고 있는 제1 방전 통로(171)와 제2 방전 통로(172) 사이에는 터치 전극(Sx)에 형성된 개구부가 위치한다. 개구부의 형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일 수도 있고,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영역의 주된 전기 회로가 정전기에 의해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막기 위해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에 정전기를 분산시키거나 정전하를 충전하고 과전압시 먼저 터질 수 있는 정전기 방전 회로(electrostatic discharge circuit)가 구비된다. 그러나 영상이 표시되는 터치 영역에는 종래의 정전기 방전 회로가 위치할 수 없으므로 터치 센서의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될 경우 누적된 정전기에 의해 병목부에서 터치 전극(Sx) 또는 연결 배선(RL)이 터져 그 부분에서 터치 센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병목부 근처에 제1 방전 통로(171) 및 제2 방전 통로(172)를 포함하는 복수의 방전 통로로 구현된 정전기 방전 패턴을 형성하면, 터치 센서의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더라도 복수의 방전 통로(171, 172)로 정전기가 분산되고, 복수의 방전 통로(171, 172) 중 어느 하나가 터져 끊어지더라도 나머지 방전 통로(171, 172)를 통해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어 그 부분의 터치 센서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이후로도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이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Sx) 및 터치 전극(Sx)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배선(RL)을 포함하고,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은 폭이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병목부를 형성하며,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은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 즉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며 터치 전극(Sx)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lectrostatic discharge protruding portion)(ES, ES1, ES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 ES1, ES2)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터치 전극(Sx)에서 돌출된 제1 방전 돌출부(ES1) 및 제2 방전 돌출부(ES2)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터치 전극(Sx)에서 돌출된 하나의 방전 돌출부(ES)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방전 돌출부(ES, ES1, ES2)는 병목부 근처에서 터치 전극(Sx)에서 돌출되어 터치 전극(Sx)의 가장자리 변 또는 연결 배선(RL)에 대략 나란하게 뻗을 수 있으며, 이웃한 터치 전극(Sx) 사이의 갭을 따라 뻗을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터치 전극(Sx)으로부터 복수의 방전 돌출부(ES1, ES2)가 돌출되어 나오는 경우 복수의 방전 돌출부(ES1, ES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방전 돌출부(ES, ES1, ES2) 각각의 폭은 연결 배선(RL)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방전 돌출부(ES, ES1, ES2)의 길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이 연결되는 병목부 근처에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 ES1, ES2)로 구현된 정전기 방전 패턴을 형성하면, 터치 센서의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될 경우 정전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 ES1, ES2)로 유도되어 과전압시 방전 돌출부(ES, ES1, ES2)가 먼저 터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에 의해 연결 배선(RL)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고 그 부분의 터치 센서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이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 전극(Sx) 및 터치 전극(Sx)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배선(RL)을 포함하고,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은 폭이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병목부를 형성하며,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은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 즉 병목부 근처의 터치 전극(Sx)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lectrostatic discharge comb patter)(ESP)을 포함한다.
방전 빗살 패턴(ESP)은 터치 전극(Sx)의 내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뻗으며, 방전 빗살 패턴(ESP)의 사이 또는 방전 빗살 패턴(ESP)과 터치 전극(Sx)의 본체의 변 사이에는 일정 폭의 갭이 위치한다. 방전 빗살 패턴(ESP)의 사이 또는 방전 빗살 패턴(ESP)과 터치 전극(Sx)의 본체 사이의 갭은 터치 전극(Sx)의 바깥쪽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방전 빗살 패턴(ESP)은 병목부 근처의 터치 전극(Sx)의 가장자리 변에 대략 나란하게 뻗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전 빗살 패턴(ESP)의 끝 부분은 연결 배선(RL)을 비롯한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복수의 방전 빗살 패턴(ESP)이 형성된 경우 복수의 방전 빗살 패턴(ESP)은 서로 대략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방전 빗살 패턴(ESP) 각각의 폭은 연결 배선(RL)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방전 빗살 패턴(ESP)의 길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이 연결되는 병목부 근처의 터치 전극(Sx)에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SP)으로 구현된 정전기 방전 패턴을 형성하면, 터치 센서의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될 경우 정전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SP)로 유도되어 과전압시 방전 빗살 패턴(ESP)가 먼저 터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에 의해 연결 배선(RL)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여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고 그 부분의 터치 센서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제,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 및 터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감지 장치의 배치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에 대한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일부에 대한 터치 전극 및 연결 배선의 배치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장치와 대부분 동일하나 터치 센서의 구조 및 동작 방법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감지 장치는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와 연결된 감지 신호 제어부(800)를 포함하며, 터치 센서는 표시 패널 또는 터치 패널(100) 안에 포함되어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는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 및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 그리고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배선(RL)을 포함한다.
복수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 및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은 단면 구조로 볼 때 서로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은 복수의 열을 이루어 배열되어 있고, 각 열에는 복수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이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은 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 각각은 열 방향으로 연결된 하나의 배선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열에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이 배열되어 있고 각 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의 열은 짝을 이루고 그 사이에 하나의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의 열과 그 사이의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은 함께 하나의 터치 감지 세트(touch sensing set)(SU)를 이루고 행 방향으로 반복하며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터치 감지 세트(SU)에서 두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의 열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들은 행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지 않고 엇갈려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21, Tx31, …) 사이의 경계는 우측의 입력 터치 전극(Tx12, Tx22, Tx32, …) 사이의 경계와 정렬되어 있지 않고 엇갈려 있을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터치 감지 세트(SU)에서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의 사이즈에 비해 열 방향으로의 터치 감지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의 열에 배치된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의 수보다 더 세밀하게 열 방향의 터치 좌표를 감지해낼 수 있다.
이후로 표시 및 도시의 편의를 위해 입력 터치 전극(Tx11, Tx12, Tx21, Tx22, Tx31, …)은 입력 터치 전극(Tx)으로, 출력 터치 전극(Rx1, Rx2, …, Rxm)은 출력 터치 전극(Rx)으로 간단히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은 ITO, IZO, 금속 나노와이어, 도전성 폴리머, 얇은 금속층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금속은 은(Ag), 구리(Cu)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 터치 전극(Tx)의 모양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각형일 수 있고,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감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자리 변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터치 전극(Tx)의 가장자리 변이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경우 이와 인접한 출력 터치 전극(Rx)은 입력 터치 전극(Tx)의 요철 부분과 맞물려 있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터치 전극(Tx)의 한 변의 길이는 대략 수mm, 예를 들어 대략 10mm 이하, 더 구체적으로 대략 4mm 내지 대략 5mm일 수 있으나 터치 감지 해상도에 따라 입력 터치 전극(Tx)의 크기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이웃한 입력 터치 전극(Tx) 사이 또는 이웃한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 사이에는 복수의 더미 패턴(Dp)이 위치할 수 있다. 더미 패턴(Dp)은 입력 터치 전극(Tx) 및 출력 터치 전극(Rx)과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 입력 터치 전극(Tx) 또는 출력 터치 전극(Rx)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공간을 채워 외부에서 공간이 시인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미 패턴(Dp)은 이웃한 입력 터치 전극(Tx) 사이의 공간 또는 이웃한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일렬로 촘촘히 배열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 더미 패턴(Dp)의 모양은 직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입력 터치 전극(Tx)은 터치 영역 안에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다른 입력 터치 전극(Tx)은 서로 다른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력 터치 전극(Tx)은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로부터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받고, 출력 터치 전극(Rx)은 감지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로 보낼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은 상호 감지 축전기(mutual sensing capacitor)를 형성한다. 상호 감지 축전기는 입력 터치 전극(Tx)을 통해 감지 입력 신호를 입력 받고 소정 전하량으로 충전된 후 외부 물체의 접촉에 의한 전하량 변화를 감지 출력 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감지 출력 신호를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는 접촉 여부, 접촉 위치 등의 접촉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연결 배선(RL)은 입력 터치 전극(Tx)과 감지 신호 제어부(800)를 연결하여 감지 입력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연결 배선(RL)은 입력 터치 전극(Tx)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으며, 터치 전극(Sx)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결 배선(RL)은 입력 터치 전극(Tx)과 다른 층에 위치하며 별도의 연결부를 통해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0은 터치 센서 중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상대적으로 먼 부분을 도시하고, 도 12는 터치 센서 중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가까워질수록 입력 터치 전극(Tx) 열 사이에 배치된 연결 배선(RL)의 수가 많아진다. 따라서 입력 터치 전극(Tx)의 크기는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가까울수록 작아질 수 있다.
연결 배선(RL)의 폭은 대략 10um 이상 100u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터치 전극(S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은 폭이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병목부를 형성한다.
도 11은 도 10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입력 터치 전극(Tx)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은 입력 터치 전극(Tx)에 형성되어 있으며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 즉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는 복수의 방전 통로(171, 172)를 포함한다. 복수의 방전 통로는 제1 방전 통로(171) 및 제2 방전 통로(172)를 포함한다. 제1 방전 통로(171)와 제2 방전 통로(172)는 연결 배선(RL)과 직접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방전 통로(171) 또는 제2 방전 통로(172) 각각의 폭은 연결 배선(RL)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인접한 방전 통로(171, 172) 사이, 예를 들어 서로 인접하고 있는 제1 방전 통로(171)와 제2 방전 통로(172) 사이에는 입력 터치 전극(Tx)에 형성된 개구부가 위치한다. 개구부의 형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형일 수도 있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병목부 근처에 제1 방전 통로(171) 및 제2 방전 통로(172)를 포함하는 복수의 방전 통로로 구현된 정전기 방전 패턴을 형성하면, 터치 센서의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더라도 복수의 방전 통로(171, 172)로 정전기가 분산되고, 복수의 방전 통로(171, 172) 중 어느 하나가 터져 끊어지더라도 나머지 방전 통로(171, 172)를 통해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어 그 부분의 터치 센서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밖에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여러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터치 전극(Rx)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전 통로(171, 17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출력 터치 전극(Rx)도 각 열에 배치된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으로 분리되고 각각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터치 전극(Rx)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방전 통로(171, 17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 9, 도 10, 도 12와 함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이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입력 터치 전극(Tx) 및 출력 터치 전극(Rx), 그리고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배선(RL)을 포함하고,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은 폭이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병목부를 형성하며,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은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 즉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며 입력 터치 전극(Tx)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1, ES2)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1, ES2)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입력 터치 전극(Tx)에서 돌출된 제1 방전 돌출부(ES1) 및 제2 방전 돌출부(ES2)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 돌출부(ES1, ES2)는 병목부 근처에서 입력 터치 전극(Tx)에서 돌출되어 입력 터치 전극(Tx)의 가장자리 변 또는 연결 배선(RL)에 대략 나란하게 뻗을 수 있으며, 이웃한 입력 터치 전극(Tx) 사이의 갭을 따라 뻗을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터치 전극(Sx)으로부터 복수의 방전 돌출부(ES1, ES2)가 돌출되어 나오는 경우 복수의 방전 돌출부(ES1, ES2)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 돌출부(ES1, ES2)는 일부 더미 패턴(Dp)의 일단을 입력 터치 전극(Tx)에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방전 돌출부(ES1, ES2) 각각의 폭은 연결 배선(RL)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방전 돌출부(ES1, ES2)의 길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이 연결되는 병목부 근처에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1, ES2)로 구현된 정전기 방전 패턴을 형성하면, 터치 센서의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될 경우 정전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1, ES2)로 유도되어 과전압시 방전 돌출부(ES1, ES2)가 먼저 터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에 의해 연결 배선(RL)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여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고 그 부분의 터치 센서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밖에 앞에서 설명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여러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센서는 출력 터치 전극(Rx)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1, ES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출력 터치 전극(Rx)도 각 열에 배치된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으로 분리되고 각각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터치 전극(Rx)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방전 돌출부(ES1, ES2)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앞에서 설명한 도 9, 도 10, 도 12와 함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터치 센서의 일부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터치 센서가 포함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이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입력 터치 전극(Tx) 및 출력 터치 전극(Rx), 그리고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된 복수의 연결 배선(RL)을 포함하고,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은 폭이 급격히 커지거나 작아지는 병목부를 형성하며, 병목부 근처에 위치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방전 패턴은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의 연결 부분, 즉 병목부 근처의 입력 터치 전극(Tx)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SP)을 포함한다.
방전 빗살 패턴(ESP)은 입력 터치 전극(Tx)의 내부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뻗으며, 방전 빗살 패턴(ESP)의 사이 또는 방전 빗살 패턴(ESP)과 입력 터치 전극(Tx)의 변 사이에는 일정 폭의 갭이 위치한다. 방전 빗살 패턴(ESP)의 사이 또는 방전 빗살 패턴(ESP)과 입력 터치 전극(Tx)의 변 사이의 갭은 터치 전극(Sx)의 바깥쪽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방전 빗살 패턴(ESP)은 병목부 근처의 입력 터치 전극(Tx)의 가장자리 변에 대략 나란하게 뻗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전 빗살 패턴(ESP)의 끝 부분은 연결 배선(RL)을 비롯한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복수의 방전 빗살 패턴(ESP)이 형성된 경우 복수의 방전 빗살 패턴(ESP)은 서로 대략 나란하게 뻗을 수 있다.
방전 빗살 패턴(ESP) 각각의 폭은 연결 배선(RL)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방전 빗살 패턴(ESP)의 길이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이 연결되는 병목부 근처의 입력 터치 전극(Tx)에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SP)으로 구현된 정전기 방전 패턴을 형성하면, 터치 센서의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될 경우 정전기가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SP)로 유도되어 과전압시 방전 빗살 패턴(ESP)가 먼저 터질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에 의해 연결 배선(RL)이 터지는 것을 방지하여 입력 터치 전극(Tx)과 연결 배선(RL)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고 그 부분의 터치 센서가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 밖에 앞에서 설명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의 여러 특징들이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입력 터치 전극(Tx)과 출력 터치 전극(Rx)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터치 전극(Rx)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SP)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 도 10, 도 12 및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출력 터치 전극(Rx)도 각 열에 배치된 복수의 출력 터치 전극(Rx)으로 분리되고 각각 연결 배선(RL)을 통해 감지 신호 제어부(8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터치 전극(Rx)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방전 빗살 패턴(ESP)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터치 패널
171, 172: 방전 통로
800: 감지 신호 제어부
Dp: 더미 패턴
ES, ES1, ES2: 방전 돌출부
ESP: 방전 빗살 패턴
Rx: 출력 터치 전극
Sx: 터치 전극
Tx: 입력 터치 전극

Claims (20)

  1. 터치 영역에 위치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 그리고
    상기 터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 배선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배선의 폭은 상기 터치 전극의 폭보다 작고,
    상기 터치 전극과 상기 연결 배선이 연결되는 부분인 병목부(bottle neck portion) 근처에 위치하는 정전기 방전 패턴
    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2.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방전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방전 통로 및 제2 방전 통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방전 통로 및 상기 제2 방전 통로는 상기 연결 배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는 터치 센서.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방전 통로 및 상기 제2 방전 통로는 상기 터치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는 터치 센서.
  5. 제4항에서,
    상기 제1 방전 통로 및 상기 제2 방전 통로의 폭은 상기 연결 배선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터치 센서.
  6. 제5항에서,
    상기 연결 배선의 선폭은 대략 10um 이상 100um 이하인 터치 센서.
  7. 제6항에서,
    상기 터치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 도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얇은 금속층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8. 제7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연결 배선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
  9.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방전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방전 돌출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10. 제9항에서,
    상기 방전 돌출부는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터치 전극의 가장자리 변 또는 상기 연결 배선에 대략 나란하게 뻗는 터치 센서.
  11. 제10항에서,
    상기 방전 돌출부는 상기 터치 전극으로부터 돌출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뻗는 제1 방전 돌출부 및 제2 방전 돌출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12. 제11항에서,
    상기 방전 돌출부의 폭은 상기 연결 배선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터치 센서.
  13. 제12항에서,
    상기 연결 배선의 선폭은 대략 10um 이상 100um 이하인 터치 센서.
  14. 제13항에서,
    상기 터치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금속 나노와이어(metal nanowire), 도전성 폴리머(conductive polymer), 얇은 금속층 등의 투명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15. 제14항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 및 상기 연결 배선은 서로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
  16. 제1항에서,
    상기 정전기 방전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방전 빗살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17. 제16항에서,
    상기 방전 빗살 패턴은 상기 터치 전극의 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뻗는 터치 센서.
  18. 제17항에서,
    상기 방전 빗살 패턴은 상기 연결 배선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터치 센서.
  19. 제18항에서,
    상기 방전 빗살 패턴의 폭은 상기 연결 배선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터치 센서.
  20. 제19항에서,
    상기 연결 배선의 선폭은 대략 10um 이상 100um 이하인 터치 센서.
KR1020130113514A 2013-09-24 2013-09-24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KR102133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14A KR102133453B1 (ko) 2013-09-24 2013-09-24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US14/164,811 US9285890B2 (en) 2013-09-24 2014-01-27 Touch sensor inclu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514A KR102133453B1 (ko) 2013-09-24 2013-09-24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463A true KR20150033463A (ko) 2015-04-01
KR102133453B1 KR102133453B1 (ko) 2020-07-14

Family

ID=5269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514A KR102133453B1 (ko) 2013-09-24 2013-09-24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85890B2 (ko)
KR (1) KR102133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4878B2 (en) 2016-05-31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crack resistance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18235A (zh) * 2013-12-31 2018-04-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KR102371448B1 (ko) * 2014-10-02 2022-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7515B1 (ko) * 2016-07-29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감지 패널을 구비한 전자 장치
TWD192413S (zh) * 2017-04-26 2018-08-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Part of the conductive sheet
CN109375826B (zh) * 2018-12-13 2020-05-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屏、显示装置
KR20210130333A (ko) * 2020-04-21 2021-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검사방법
CN115826799A (zh) 2020-12-07 2023-03-21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面板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35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US20110057887A1 (en) * 2009-09-07 2011-03-10 Au Optronics Corporation Touch panel
KR20110041043A (ko) * 2009-10-15 2011-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10066065A (ko) * 2009-12-10 2011-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30113711A1 (en) * 2011-11-03 2013-05-09 Chimei Innolux Corporation Touch panel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67094A (ko) * 2011-12-13 2013-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707464A (ko) * 1995-09-11 1997-12-01 요트. 에스. 슈루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iquid crystal disaplay device)
TWI220313B (en) * 2003-07-30 2004-08-11 Au Optronics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circuit
KR100788589B1 (ko) * 2007-01-19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8058937B2 (en) * 2007-01-30 2011-11-1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Setting a discharge rate and a charge rate of a relaxation oscillator circuit
TW200945956A (en) * 2008-04-22 2009-11-01 Wintek Corp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for touch panels
JP5337061B2 (ja) 2009-02-20 2013-11-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101092500B1 (ko) 2010-06-03 2011-1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정전기 방전 방지 기능을 갖는 터치 패널 및 터치 윈도우
KR101706232B1 (ko) 2010-06-29 2017-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TWI459253B (zh) * 2011-01-25 2014-11-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觸控面板
JP2012155514A (ja) 2011-01-26 2012-08-16 Alps Electric Co Ltd タッチパ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05709B2 (ja) 2011-01-27 2014-10-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多面付けワーク基板および多面付けワーク基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7635A (ko) * 2004-10-28 2006-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US20110057887A1 (en) * 2009-09-07 2011-03-10 Au Optronics Corporation Touch panel
US8184105B2 (en) * 2009-09-07 2012-05-22 Au Optronics Corporation Touch panel
KR20110041043A (ko) * 2009-10-15 2011-04-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10066065A (ko) * 2009-12-10 2011-06-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US20130113711A1 (en) * 2011-11-03 2013-05-09 Chimei Innolux Corporation Touch panel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130067094A (ko) * 2011-12-13 2013-06-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터치 스크린 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4878B2 (en) 2016-05-31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crack resistance structure
US10949010B2 (en) 2016-05-31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83568A1 (en) 2015-03-26
KR102133453B1 (ko) 2020-07-14
US9285890B2 (en)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453B1 (ko) 정전기 방전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EP3291068B1 (en) Routing and manufacturing for touch sensors
US8698029B2 (en) Touch sensor and method of forming a touch sensor
US9690435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driving the same and touch display device
JP7190347B2 (ja) ペンが送信したペン信号を検出するためのセンサ
KR102350084B1 (ko) 터치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651408B1 (ko) 정전용량식 터치감지패널 및 이를 갖는 정전용량식 터치감지장치
US10394403B2 (en) Touch screen with electrodes including linear and branched portions
US20140035864A1 (en) Capacitive touch-control panel and apparatus thereof
CN105739799B (zh) 静电电容式触摸屏面板
KR102384229B1 (ko) 지문인식가능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170045979A1 (en) Touch Panel and Mobile Terminal
TW201301110A (zh) 顯示裝置
KR101444118B1 (ko) 개선된 원 레이어 정전식 터치 패널
US10802655B2 (en) Touch panel and touch panel device
JP6133732B2 (ja) 入力装置及びその検出方法
JP2022549326A (ja) タッチセンサの不活性センサ領域を使用して信号をル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技術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デバイス
JP2014170334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CN101853113A (zh) 一种含有梳状式电极的电容式触控板
KR20160095314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473187B1 (ko) 정전기 보호 기능을 가진 터치 검출 장치
US20160132180A1 (en) Capacitive Touch Circuit and Touch Sensor and Capacitive Touch System Using The Same
KR20140029118A (ko) 터치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120256647A1 (en) Capacitance sensor structure
KR20140033644A (ko) 정전식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