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238A -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238A
KR20150033238A KR20130112985A KR20130112985A KR20150033238A KR 20150033238 A KR20150033238 A KR 20150033238A KR 20130112985 A KR20130112985 A KR 20130112985A KR 20130112985 A KR20130112985 A KR 20130112985A KR 20150033238 A KR20150033238 A KR 20150033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onveyor
conveyor belt
kimchi
vision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득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식품
Priority to KR2013011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238A/ko
Publication of KR2015003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2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01Optical details; Scanning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5Objects on a convey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측정대상물에 광원을 조사하여 비전카메라로 검사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로써, 상기 컨베이어는 측정대상물을 운반하는 제 1컨베이어; 및 제 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원동축을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원동축의 동력을 전달받은 종동축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2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 2컨베이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에 광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로써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이동하는 제품의 전후면을 모두 검사하여 치수, 조립상태, 이물질 확인 등 제조업 전반에 무인 자동화를 이루어 불량제품을 선별하여 폐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AN INSPECTION DEVICE FOR KIMCHI PACKING}
본 발명은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측정대상물의 전후면 모두를 비전 카메라로 판독하여 불량제품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폐기할 수 있도록 한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무, 배추 및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추,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린 후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으로,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다. 김치를 담그는 것은 채소를 오래 저장하기위한 수단이 될 뿐 아니라, 이는 저장 중 여러 가지 미생물의 번식으로 유기산과 방향이 만들어져 훌륭한 발효식품이 된다.
김치는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의 공급원이며, 젖산균에 의해 정장작용을 하고 식욕을 증진시켜 주기도 한다. 2001년 7월 5일 식품 분야의 국제표준인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에서 김치가 국제식품 규격으로 승인받았다.
김치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가정집에서 주부들이 직접 담가서 먹었으나, 현재에 이르러 맞벌이 부부가 많이 생기는 등의 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김치를 담가 먹는 가정이 적어짐에 따라 대규모로 김치를 생산하여 판매하는 업체들이 생겨나 현재에는 많은 양의 김치를 생산하여 이러한 가정에 보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10-584315호는 이러한 김치의 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즉, 용기를 자동으로 세척 공급한 다음 용기에 김치를 일정량 넣은 것을 확인하고 상면에 커버를 부착하여 포장을 완성하게 되는 김치포장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김치를 포장함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커버를 부착하고 포장을 완성하는 자동화공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포장된 김치의 포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자동화공정은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자동화공정에 따른 김치포장이 이루어진 후, 김치의 포장상태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종래의 검사장치(10)는 컨베이어(30)의 아이들러(32)에 물린 컨베이어 벨트(31) 상을 이동하는 측정대상물(P)의 상부에 광원(40)을 제공한 상태에서, 비전카메라(50)가 그 상부에 위치하여 측정대상물(P), 즉, 포장된 김치를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대상물(P)이 컨베이어 벨트(31) 상에서 비전카메라(50)의 촬영 영역으로 이동하면서 촬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비전카메라(50) 하측의 광원(40)에서 방출된 광선이 벨트(31)를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여 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측정대상물의 검사영역이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제대로 된 검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베이어 검사장치를 이동하는 제품의 포장상태, 이물질 확인 등 제조업 전반에 무인 자동화를 이루어 불량제품을 선별하여 폐기할 수 있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된 포장상품의 유효기간 표기와 밀봉된 여부 등의 불량판독을 사람이 아닌 카메라 판독으로 자동 식별함으로써 불량제품 선별의 정확도를 높여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량을 배가시키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전후면 모두 불량 식별이 가능한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측정대상물에 광원을 조사하여 비전카메라로 검사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측정대상물을 운반하는 제 1컨베이어; 및 제 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원동축을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원동축의 동력을 전달받은 종동축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2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 2컨베이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에 광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양 단부에는 단차를 포함하는 풀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풀리에는 체인이 물림으로써 원동축의 동력이 종동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동축은 모터부의 동력을 제 1체인으로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제 1체인이 상기 원동축 풀리의 단차에 의해 변속되면서 상기 원동축에 걸린 제 1컨베이어벨트의 변속이 가능하고, 상기 종동축은 상기 원동축의 동력을 제 2체인으로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제 2체인이 상기 종동축 풀리의 단차에 의해 변속되면서 상기 종동축에 걸린 제 2컨베이어벨트의 변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중심부가 U, V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함몰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제 1컨베이어의 함몰된 만곡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광원이 상기 측정대상물에 반사 또는 투과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비전카메라이고,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광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 1비전카메라; 및 상기 광원의 하부인 상기 제 1컨베이어의 만곡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에 투과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 2비전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광원은 백색광원, 적색광원, 녹색광원, 청색광원, 적외선 광원 등의 단독 광원이거나 상기 광원들이 혼재된 혼합 광원일 수 있으며, 광원의 조사각은 18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 검사장치를 이동하는 제품의 포장상태, 이물질 확인 등 제조업 전반에 무인 자동화를 이루어 불량제품을 선별하여 폐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밀봉된 포장상품의 유효기간 표기와 밀봉된 여부 등의 불량판독을 사람이 아닌 카메라 판독으로 자동 식별함으로써 불량제품 선별의 정확도를 높여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량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전후면 모두 불량 식별이 가능하고, 조명을 컨베이어 벨트 사이에 배치하여 측정대상물과 최대한 근접하므로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순환경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의 순환경로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참고로, 이하의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100)에 대한 설명에서는 반송수단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벨트 이외의 기타 반송수단이 적용되는 컨베이어 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a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100)는 측정대상물(P)을 촬영하는 비전카메라(500), 상기 촬영을 위한 조명을 제공하는 광원(400) 및 컨베이어 벨트(310)와 다수개의 아이들러(320)를 포함하는 컨베이어(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300)는 제 1컨베이어(300a) 및 제 2컨베이어(3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컨베이어(300a)는 원동축(210)을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컨베이어벨트(310a) 및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10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32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컨베이어(300b)는 상기 원동축(210)의 동력을 전달받은 종동축(220)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2컨베이어벨트(310b) 및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32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동축(210) 및 상기 종동축(220)의 양 단부에는 단차를 포함하는 풀리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풀리에는 체인(230)이 물림으로써 원동축의 동력이 종동축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원동축(210)은 모터부(200)의 동력을 제 1체인(230a)으로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제 1체인(230a)이 상기 원동축(210) 풀리의 단차에 의해 변속되면서 상기 원동축(210)에 걸린 제 1컨베이어벨트(310a)의 변속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종동축(220)은 상기 원동축(210)의 동력을 제 2체인(230b)으로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제 2체인(230b)이 상기 종동축(220) 풀리의 단차에 의해 변속되면서 상기 종동축(220)에 걸린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변속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 2체인(230b)이 물린 상기 원동축(210)과 상기 종동축(220)의 단차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00a) 와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속도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제 1컨베이어 벨트(310a) 상에서는 측정대상물(P), 즉, 포장된 김치가 빠르게 이동하면서도 비전카메라(500)가 위치하는 제 2컨베이어벨트(310b) 상에서는 보다 느리게 측정대상물(P)을 이동시킴으로써 정확한 촬영을 통해 양품인지 불량품인지를 보다 면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동력으로 제 1컨베이어벨트(310a) 및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속도제어가 가능하고, 변속조절 또한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100)의 컨베이어(300)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한 바 상기 제 1컨베이어(300a)의 형상은 측정대상물(P), 포장된 김치(이하에서는 "측정대상물(P)"이라 함)가 운반되는 컨베이어벨트가 일반적인 편평한 직선 형상이 아닌(도 1참조), 중심부가 U, V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함몰된 만곡부(3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부가 함몰된 1컨베이어벨트(310a)의 만곡부(311b)에는 반송방향이 변하는 지점에 각각 아이들러(320a)가 다수개 배치되어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10a)를 지지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10a)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벨트의 만곡부(311b) 뿐만이 아니라 편평한 제품 이동부(311a, 311c)에도 아이들러(320a)가 추가로 배치되어 벨트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컨베이어(300b)의 형상은 측정대상물(P)이 운반되는 컨베이어벨트가 종래의 일반적인 편평한 직선 형상을 만족하되, 상기 제 1컨베이어(300a)의 함몰된 만곡부(311b) 상에 상기 제 2컨베이어(300b)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가 종동축(220)의 동력을 제공받아 순환 회전함에 있어서, 측정대상물(P)이 운반되는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 제품 이동부(312)를 지지하는 아이들러(320b)와 동력을 제공하는 종동축(220) 사이에는 텐션풀리(22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텐션풀리(221)는 전술한 원동축(210) 및 종동축(220) 변속 시에 풀리의 단차 변화에 의해 느슨해질 수 있는 제 2체인(230b)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 1컨베이어(300a) 및 제 2컨베이어(300b)의 형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상기 컨베이어(300) 상의 측정대상물(P)이 운반되는 경로는 제 1컨베이어벨트(310a)의 제 1이동부(311a),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제품 이동부(312), 제 1컨베이어벨트(310a)의 제 2이동부(311c) 순으로 운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10a) 및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10a)의 제 1이동부(311a)와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제품 이동부(312) 사이에는 제 1공간부(313a)가,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10a)의 제 2이동부(311c)와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제품 이동부(312) 사이에는 제 2공간부(313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공간부(313a) 및 제 2공간부(313b)에는 광원(40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공간부(313a)에는 제 1광원(400a)을, 상기 제 2공간부(313b)에는 제 2광원(400b)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광원(400a)의 상부, 상기 제 1광원(400b)의 상부 및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제품 이동부(312) 상부에는 각각 비전카메라(50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a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300)의 검사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300)에서 컨베이어벨트(310) 상을 연속으로 이동하는 측정대상물(P)은 제 1컨베이어벨트(310a) 및 제 2컨베이어벨트(310b)의 상부 및,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310a) 및 제 2컨베이어벨트(310b) 사이의 제 1광원(400a) 및 제 2광원(400b) 상부를 통과하며 운반되며, 이때 상기 광원(400)들 사이의 구간이 측정대상물(P)의 검사구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300) 상에 위치하는 비전카메라(50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 상을 이동하는 측정대상물(P)에 상기 제 1광원(400a) 및 제 2광원(400b)이 투과된 후, 투과된 광을 컨베이어(300) 상부에 위치한 복수개의 비전카메라(500)가 수광하여 측정대상물(P)이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검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광원(400)은 측정대상물(P)의 종류와 검사분야에 따라 백색광원, 적색광원, 녹색광원, 청색광원, 적외선 광원 등 다양한 광원이거나 상기 광원들이 혼재된 혼합 광원일 수 있으며, 광원의 조사각은 180도 이상으로 조사하여 측정대상물(P)을 투과하거나 반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400)이 컨베이어 벨트(300) 사이에 배치되어 측정대상물(P)과 최대한 근접하므로 보다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비전카메라(500)는 광원(400)에 의해 측정대상물(P)에 투과되거나 반사된 영상을 획득하여 제품의 포장상태, 이물질 확인, 색깔, 유통기한, 일련번호 등의 다양한 결함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며, 이때 측정대상물(P)의 종류와 검사분야에 따라 제 기능을 수행하는 비젼카메라(500)를 단수 또는 복수개 설치하여 검사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광원(400)을 반사하거나 통과한 상기 비전카메라(500)로부터 획득한 측정대상물(P)의 영상 데이터는 상기 비전카메라(500)와 연결된 별도의 검사장치(미도시)에 의해 미리 입력된 정상품의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측정대상물(P)이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원(400)은 컨베이어벨트(310)의 이동경로와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므로 광원의 조사각이 측정대상물(P)의 상부에는 온전히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복잡한 형상의 측정대상물(P)의 경우에는 검사여부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는 측정대상물(P)의 상부와 하부를 동시에 검사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100')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100)와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다만 비전카메라(500)의 배치가 광원(400)의 상부는 물론이거니와 하부에도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광원(400)이 상기 측정대상물(P)에 반사 또는 투과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비전카메라이고,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광원(4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대상물(P)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 1비전카메라(500a)와, 상기 광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대상물(P)에 투과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 2비전카메라(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컨베이어(300a) 형상이 중심부가 함몰된 만곡부(311b)를 포함하므로, 상기 제 2비전카메라(500b)는 상기 광원(4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100')는 측정대상물(P)이 상기 컨베이어벨트(310) 상을 이동함에 있어서 뒤집어진 상태에 있다고 하더라도, 측정대상물(P)의 전후면 불량 식별이 모두 한번에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를 이동하는 제품의 포장상태, 이물질 확인 등 제조업 전반에 무인 자동화를 이루어 불량제품을 선별하여 폐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대상물의 불량판독을 사람이 아닌 카메라 판독으로 자동 식별함으로써 불량제품 선별의 정확도를 높여 검사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고 생산량을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100: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20, 200: 모터부
210: 원동축 220: 종동축
221: 텐션풀리 230: 체인
30, 300: 컨베이어 311a, 311c, 312: 제품 이동부
311b: 만곡부 313: 공간부
31, 310: 컨베이어 벨트 32, 320: 아이들러
40, 400: 광원 50, 500: 비전카메라

Claims (7)

  1. 다수의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측정대상물에 광원을 조사하여 비전카메라로 검사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는 측정대상물을 운반하는 제 1컨베이어; 및
    제 2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원동축을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1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 1컨베이어벨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원동축의 동력을 전달받은 종동축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제 2컨베이어벨트 및 상기 제 2컨베이어벨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아이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컨베이어와 상기 제 2컨베이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에 광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 및 상기 종동축의 양 단부에는 단차를 포함하는 풀리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풀리에는 체인이 물림으로써 원동축의 동력이 종동축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은 모터부의 동력을 제 1체인으로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제 1체인이 상기 원동축 풀리의 단차에 의해 변속되면서 상기 원동축에 걸린 제 1컨베이어벨트의 변속이 가능하고,
    상기 종동축은 상기 원동축의 동력을 제 2체인으로 제공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한편 상기 제 2체인이 상기 종동축 풀리의 단차에 의해 변속되면서 상기 종동축에 걸린 제 2컨베이어벨트의 변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컨베이어는 중심부가 U, V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함몰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컨베이어는 상기 제 1컨베이어의 함몰된 만곡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광원이 상기 측정대상물에 반사 또는 투과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단수 또는 복수개의 비전카메라이고,
    상기 비전카메라는 상기 광원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 1비전카메라; 및
    상기 광원의 하부인 상기 제 1컨베이어의 만곡부에 위치하여 상기 측정대상물에 투과된 광을 수광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제 2비전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백색광원, 적색광원, 녹색광원, 청색광원, 적외선 광원 등의 단독 광원이거나 상기 광원들이 혼재된 혼합 광원일 수 있으며, 광원의 조사각은 180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KR20130112985A 2013-09-24 2013-09-24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KR201500332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985A KR20150033238A (ko) 2013-09-24 2013-09-24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985A KR20150033238A (ko) 2013-09-24 2013-09-24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38A true KR20150033238A (ko) 2015-04-01

Family

ID=5303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985A KR20150033238A (ko) 2013-09-24 2013-09-24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2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5351A (zh) * 2019-12-06 2021-06-08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一种视觉机器光源控制方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5351A (zh) * 2019-12-06 2021-06-08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一种视觉机器光源控制方法、装置
CN112925351B (zh) * 2019-12-06 2022-08-02 杭州萤石软件有限公司 一种视觉机器光源控制方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1555B2 (ja) 異物検査装置
AU2016242468B2 (en) A novel color based optical grading system with multi reflectance and multi-angle views
JP5565936B2 (ja) 物品検査装置
US20080204733A1 (en) Sensing in Meat Products and the Like
AU2016247024B2 (en) Article conveying system with diffuse illumination
JP2006308437A (ja) 異物検査装置及び方法
CN1482869A (zh) 包装型烹调膳食的自动化生产
US6532064B1 (en) Automatic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etection of anomalies in a 3-dimensional translucent object
US8988523B1 (en) Single-camera multi-mirror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hole-surface inspection of rotating objects
KR20140034560A (ko) 컨베이어 검사장치
JP2002205019A (ja) 自動選別装置
KR20150033238A (ko) 김치 포장 상태 검사장치
EP3602038A1 (e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eggs for irregularities
JP2022132878A (ja) 卵検査装置および卵検査方法
JP2007069061A (ja) 青果物選別システム
US9568438B1 (en) Single-camera angled conveyance imaging method and apparatus for whole-surface inspection of rotating objects
JP2018136153A (ja) 透明物品の検査装置及び透明物品の検査方法
WO2010008303A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article inspection
JPH0827179B2 (ja) 果実・そ菜類の撮像用照明装置
JP2016150320A (ja) 選別装置
JP2006138683A (ja) 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JP2009229431A (ja) 検査装置および搬送システム
JP2004333177A (ja) 被検査物の判別方法とその装置
JP2014173974A (ja) 軸体の良否検査装置
US202300901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avian eg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