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208A -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208A
KR20150033208A KR20130112899A KR20130112899A KR20150033208A KR 20150033208 A KR20150033208 A KR 20150033208A KR 20130112899 A KR20130112899 A KR 20130112899A KR 20130112899 A KR20130112899 A KR 20130112899A KR 20150033208 A KR20150033208 A KR 20150033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ettlement
information
user
electronic wa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부현
최진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3208A/ko
Publication of KR20150033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2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7Cancell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은, 할인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각 사용자별로 이미 처리된 결제에 대해 상기 수집된 할인 관련 정보를 적용하여 결제 금액을 재산출하는 과정; 및 상기 재산출된 금액과 이미 처리된 결제의 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재산출된 결제 금액이 이미 처리된 결제의 결제 금액보다 적을 경우, 상기 수집된 할인 관련 정보가 적용된 결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ELECTRONIC WALLET SERVER, PAYMENT CANCELLATION AND REPAY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N ELECTRONIC WALLET,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신용카드의 시장구조는 일반적으로 카드회원, 가맹점, 신용카드사의 3개 당사자가 거래에 참여하여 거래가 이루어지는 3 당사자 거래구조(Three Party System)와 카드사가 카드발급사(Issuer), 전표매입사(Acquirer)로 분업화되어 카드발급사, 전표매입사, 카드회원, 가맹점의 4개 당사자 중심으로 거래가 이뤄지는 4 당사자 거래구조(Four Party System)로 구분될 수 있다. 3 당사자 거래구조의 예로서 VAN(Value add network)사가 카드사와 가맹점의 중간에서 카드거래의 승인업무 등을 중개하고 가맹점을 모집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 프로세스는 회원과 가맹점 간의 거래승인과정, 가맹점과 카드사의 대금지급(매입업무)과정, 카드사와 회원과의 결제대금회수과정의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카드회원이 물품과 용역을 구매하기 위해 가맹점에 신용카드를 제시하고 가맹점 단말(예컨대, POS(Point of Sale) 단말)에서 신용카드를 스캐닝(scanning)하면 상기 가맹점 단말에서 카드의 거래정보가 VAN사로 전송된다. VAN사는 거래정보를 카드사에 전송하고 거래승인을 요청한다. 그 후 카드사의 거래승인이 VAN을 통해 가맹점 단말에 통보되면 가맹점은 카드가 정상적인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회원고객에게 재화 또는 용역을 판매한다. 여기까지가 회원과 가맹점 간의 거래승인과정이다.
이후 가맹점은 고객이 서명한 매출전표(매출 데이터)를 VAN사를 통해 카드사에 전송하고 카드사는 가맹점으로부터 받은 매출전표를 심사하여 정상적으로 처리된 것이면 신용판매대금을 가맹점의 은행계좌에 입금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상 '매출전표 매입업무'라고 한다.
이때 카드회사는 가맹점에 지급할 신용판매대금(매입확정 금액)에서 가맹점수수료, 할부수수료 등을 차감하여 가맹점 입금액을 산출하고, 해당 입금자료를 거래은행에 송부하면 거래은행이 해당 가맹점의 은행거래계좌에 자동이체방식으로 입금한다.
마지막으로 카드사와 회원과의 결제대금회수과정에서 카드사가 회원의 결제일에 맞춰 회원에게 신용카드결제대금을 청구하고, 회원이 카드사가 보낸 결제대금 명세서를 확인한 후 거래은행계좌에 결제대금을 입금하면, 카드사는 결제일에 회원계좌에서 결제대금을 출금함으로써 결제 절차가 완료된다.
한편, 온라인 거래방식의 경우에는 구매자나 판매자가 대면하지 않고 인터넷, 전화, 메일 등으로 신용카드 거래정보만을 주고받음으로써 신용카드 거래가 발생하기 때문에 신용카드 거래정보의 효율적 중계와 보안성 확보를 위해 PG(Payment Gateway)사가 거래프로세스에 참여해 상기 VAN사와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물건 구매 후 결제된 건에 대해 추가 할인 방법에 대해 알았거나, 쿠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알았거나, 또는 할인율이 더 큰 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알았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해당 가맹점에 가서 결제 내역을 취소 요청하고 다시 결제를 요구해야 할인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재결제를 원하게 되는 경우 결제 취소 및 재결제 방법이 번거로우며, 다양한 카드의 할인 정보에 대해서 또는 해당 가맹점에 적용되는 할인 쿠폰의 종류에 대해서 사용자가 알기 어렵기 때문에 할인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다양한 결제 수단(카드, 핸드폰 소액 결제)을 이용하여 결제한 이후 일정 기간 내에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카드가 있을 경우 또는 할인 쿠폰이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추가 할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가지 이유로 결제한 물품 또는 용역에 대해 결제를 취소하거나 재결제를 요청할 경우 직접 해당 가맹점을 방문하지 않고서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취소 또는 재결제를 요청할 수 있는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은, 특정 아이템에 대해서 수행한 제1 결제에 대한 제1 결제 조건을 수신받는 과정; 상기 결제 이후, 결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결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제2 결제 조건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제1 결제 조건과 상기 제2 결제 조건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결제를 취소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지갑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특정 아이템에 대해 수행한 제1 결제의 제1 결제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사용자별로 할당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정보 수신부; 결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결제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결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제2 결제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결제 조건과 상기 제2 결제 조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결제를 취소 요청하는 결제 취소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에 대한 정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가맹점의 결제 가능 수단 및 사용자의 보유 결제 수단에 따라 최적의 결제 카드 선택 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미 결제한 이후에도 가맹점에서 지정한 기간 안에 추가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기존 결제를 취소하고, 새로운 결제 수단으로의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가맹점 단말을 통한 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 서버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에서의 취소 및 재결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오프라인을 통한 결제 수단을 온라인 결제 절차에 통합함으로써 효과적인 결제가 가능한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결제하고자 하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사용자마다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정보(User ID)를 부여하고, 가맹점 단말에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전자 지갑 서버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가맹점의 결제 정보와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사용자가 다양한 결제 수단(카드, 핸드폰 소액 결제)을 이용하여 결제한 이후 일정 기간 내에(예컨대, 결제 취소가 가능한 기간 내에) 할인을 받을 수 있는 카드가 있을 경우 또는 할인 쿠폰이 추가된 경우, 사용자 단말로 이를 통보함으로써 추가 할인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이미 결제한 물품 또는 용역에 대해 결제를 취소하거나 재결제를 요청할 경우 직접 해당 가맹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취소 또는 재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카메라, 휴대 장치,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텔레비전(TV), 디스플레이 장치,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은행의 ATM, 상점의 POS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웨어러블 장치(예컨대, 시계형 장치, 안경형 장치, 의류형 장치 등)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가맹점 단말(101), 전자 지갑 서버(103), 결제 중개 서버(104) 및 결제 서버(105)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시스템 구성요소들은 통신 네트워크(102)를 통해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맹점에서 재화 또는 용역을 구매하고 해당 대금을 결제하고자 할 경우,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단말(101)(예컨대, POS(Point of Sale) 단말)을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각 사용자에게 미리 할당된 사용자 식별 정보(User Identification)를 가맹점 단말(101)에 입력함으로써 전자 지갑 서버(103)를 통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가맹점 단말(101)에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가맹점 단말(101)에 구비된 입력 수단(예컨대, 입력 버튼, 터치 스크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식별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가맹점 단말(101)로 전송함으로써 입력 처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100) 내에 사용자 식별 정보를 바코드(barcode) 형태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상기 바코드를 노출시켜 가맹점 단말(101)에 구비된 바코드 스캐너로 스캔함으로써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각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별로 미리 설정되는 계정 정보일 수 있으며, 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로도 구현 가능하며, 예컨대 숫자, 문자, 숫자, 기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가맹점 단말(101)에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102)를 통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제 중개 서버(104)(예컨대, VAN사 서버 등과 같은 POS 중개 서버)를 통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101)에서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함께 결제 관련 정보(예컨대,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 정보, 구매한 상품 정보, 결제 수단 정보 등)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단말(101)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한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예컨대, 결제 가능 수단 정보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가맹점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예컨대, 결제 가능 수단 정보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5)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 및/또는 상기 가맹점에 대한 결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결제가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0)에서는 결제하고자 하는 해당 가맹점에서의 결제 가능 수단 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알고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는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결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각 결제 가능 수단별로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할인율 또는 혜택이 상이할 경우, 가장 할인율이 높은 결제 수단 또는 가장 혜택이 많은 결제 수단을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로부터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화면상에 표시된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결제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전자 지갑 서버(103)로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에 의한 결제를 요청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서버(105)를 통해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서 결제 서버(105)는 특정 서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서버를 의미한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결제 서버(105)에는 그 결제 방식에 따라 통신사 서버, 카드사 서버, 금융 기관 서버 등과 같이 결제와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각종 서버들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102)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2)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02)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케이블 방송 통신망, 지상파 방송 통신망, 위성 방송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가맹점 단말(101)(예컨대, POS 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방식과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온라인 결제 방식을 연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결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가맹점의 할인 정책 또는 할인 정보가 변경되거나, 각 사용자의 할인 정보(예컨대, 쿠폰 보유 정보)가 변경될 경우, 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함으로써 기존 처리된 결제를 취소하고 새로운 할인율을 적용하여 재결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 각 가맹점 및/또는 각 사용자의 할인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할인 관련 정보에 의해 산출된 결제 금액이 이전 결제한 금액보다 작을 경우 재산출된 결제 금액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통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재산출된 결제 금액 정보를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 요청 정보를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한다.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서버(105)를 통해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결제 중개 서버(104)를 이용하여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 절차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가맹점 단말을 통한 오프라인에서의 결제 방식과 사용자 단말을 통한 온라인 결제 방식의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가맹점 단말을 통한 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POS 단말을 통해 결제를 요청하면, 거래 정보가 VAN 사를 통해 해당 카드사로 전송될 수 있다. 카드사에서는 VAN사를 통해 가맹점 단말로 거래 승인을 통보하고, 가맹점에서는 해당 카드가 정상적인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회원 고객에게 재화, 용역을 판매한다.
이후 가맹점은 고객이 서명한 매출전표를 VAN사를 통해 카드사에 전송하고 카드사는 가맹점으로부터 받은 매출전표를 심사하여 정상적으로 처리된 것이면 신용판매대금을 가맹점의 은행계좌에 입금시켜 정산한다. 또한, 카드사는 VAN사에 약정된 결제 대행 수수료를 지급하여 정산한다.
도 3은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결제 방법은 도 2의 오프라인 결제 절차와는 달리 구매자나 판매자가 대면하지 않고 인터넷, 전화, 메일 등으로 신용카드 거래정보만을 주고받음으로써 신용카드 거래가 일어나기 때문에 신용카드 거래정보의 효율적 중계와 보안성 확보를 위해 PG(Payment Gateway)사가 거래프로세스에 참여해 오프라인의 VAN사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온라인 결제를 요청하면, 거래 정보가 PG사 및 VAN사를 통해 카드사로 전송될 수 있다. 카드사에서는 PG사를 통해 해당 온라인 쇼핑몰 가맹점으로 거래 승인을 통보하고, 거래 금액 및 수수료를 정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 도 2 및 도 3의 오프라인 결제 방법 및 온라인 결제 방법을 연동하여, 오프라인에서의 가맹점 결제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온라인으로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예로서 도 4와 같은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맹점 단말(101)에서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사용자 식별 정보는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맹점 단말(101)에서는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 정보, 상품 정보 등을 함께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의 입력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예컨대, NFC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가맹점 단말(101)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상에 사용자 식별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 또는 QR(Quick Response) 코드 등을 표시하고, 가맹점 단말(101)에 구비된 스캐너로 상기 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입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한 결제 관련 정보들이 전송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가맹점의 결제 관련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를 참조하여 결제 가능 수단 등을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보유 카드, 보유 쿠폰, 할인 정보 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보유 카드, 보유 쿠폰, 할인 정보 등이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보유 카드, 보유 쿠폰, 할인 정보 등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유 카드, 보유 쿠폰을 적용하여 각 결제 수단별 할인율을 산출하고, 할인율이 가장 높은 결제 수단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카드에 특정 쿠폰을 적용했을 때 해당 물품에 대한 결제 대금이 가장 낮을 경우, 상기 해당 카드 및 쿠폰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최적의 결제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결제 관련 정보들이 전송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된 결제 관련 정보들을 확인하고, 특정 결제 수단으로의 결제를 선택함으로써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확인 가능한 결제 관련 정보들로는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 상품 정보, 사용자 식별 정보, 결제 가능 수단(예컨대, 결제 가능 카드, 휴대폰 소액 결제 등), 사용 가능 쿠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특정 결제 수단 및/또는 특정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 및/또는 쿠폰으로 온라인 결제가 요청된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지갑 서버(104)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결제 요청 정보에 따라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요청 정보에 사용할 쿠폰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쿠폰에 대한 유효성 여부 또는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결제 처리를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이 휴대폰 소액 결제일 경우, 등록된 휴대폰에 대한 소액 결제 승인을 해당 통신사 서버(430)로 요청할 수 있다. 해당 통신사에서는 상기 등록된 휴대폰에 대한 소액 결제를 승인함으로써 요청된 결제가 처리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이 특정 신용 카드일 경우, 해당 선택된 카드사 서버(420)에 카드 결제 승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는 PG 서버(410)를 통해 통신사 서버(420) 또는 카드사 서버(430)와 결제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통신사 또는 카드사로부터 결제에 대한 승인이 완료되면, PG 서버(410)에서 승인 처리를 한 후, 전자 지갑 서버(103)로 결제 승인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가맹점 단말(101)로 전송될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에서는 최종 결제를 승인하고,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 승인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결제 완료 정보를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카드사 서버(430) 또는 쿠폰 발행사 서버 등으로부터 가맹점별 카드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카드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수신하여 갱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각 사용자에 대해 수집된 카드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기결제된 물품 또는 용역의 결제 금액을 재산출하고, 상기 재산출된 금액이 기결재된 금액보다 더 작을 경우 사용자가 결제를 취소하고 낮은 금액으로 재결제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새로운 결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새로운 결제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새로운 결제 정보를 확인한 후, 전자 지갑 서버(103)로 이미 수행된 결제를 취소하고 재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 요청에 따라 PG 서버(410)를 통해 통신사 서버(420) 또는 카드사 서버(430)에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결제 중개 서버(104)로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를 요청함으로써, 상기 결제 중개 서버(104)에서 결제 취소 또는 재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 서버(103)는 가맹점 결제 정보 등록부(511), 사용자 결제 정보 등록부(512), 결제 정보 수신부(513), 결제 관련 정보 검색부(514), 결제 관련 정보 전송부(515), 결제 요청 수신부(516), 결제 처리부(51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521),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22),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 등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데이터베이스는 전자 지갑 서버(103) 내에 포함하여 구축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로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는 할인 정보 수집부(531), 할인 정보 갱신부(532), 할인 내역 비교부(533), 결제 취소 처리부(534) 및 재결제 처리부(5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맹점 결제 정보 등록부(511)는 각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가맹점의 결제 관련 정보들을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521)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들로는 가맹점 명칭, 연락처, 주소 등과 같은 가맹점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예컨대, 각종 신용 카드, 휴대폰 결제 등), 해당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할인 정보 및 할인 기간 정보, 쿠폰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결제 정보 등록부(511)는 각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들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한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될 수 있는 정보들로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 이름, 연락처, 주소 등과 같은 사용자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여, 해당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예컨대, 각종 신용 카드, 휴대폰 결제 등), 해당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쿠폰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정보 수신부(5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맹점 단말(101)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결제 관련 정보(예컨대,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 상품 정보 등)를 수신한다.
결제 관련 정보 검색부(514)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521)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각각 저장된 해당 가맹점의 결제 관련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검색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가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결제 수단 및/또는 쿠폰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제 관련 정보 전송부(515)에서는 상기 결제 관련 정보 검색부(514)의 검색 결과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결제 가능 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 처리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된 결제 가능 수단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결제 요청 수신부(516)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요청을 수신하고, 결제 처리부(517)를 통해 해당 결제 서버(105)와 결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처리 시 사용되는 정보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에는 결제 일시, 사용자 식별 정보, 가맹점 정보, 결제 물품, 결제 대금, 결제 일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할인 정보 수집부(531)는 각 사용자 단말(100) 또는 각 카드사 서버(430) 또는 쿠폰 발행사 서버 등으로부터 사용자 또는 가맹점별 카드 또는 쿠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의 수집은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수행될 수도 있으며, 해당 정보의 변경시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할인 정보 갱신부(532)는 상기 수집된 정보로 기존에 저장된 할인 정보를 갱신시킨다. 예컨대, 상기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521) 또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22)에 저장된 할인 정보를 갱신시킨다.
할인 내역 비교부(533)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에 저장된 이미 처리된 결제에 대해 상기 갱신된 할인 정보를 적용하여 결제 금액을 재산출함으로써 이미 처리된 결제 금액과 재산출된 결제 금액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재산출된 결제 금액이 더 적을 경우 해당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 처리된 결제의 취소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확인 결과 해당 결제의 취소가 가능할 경우에 상기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의 전송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전송된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통해 이미 처리된 결제에 대한 결제 취소를 요청하면, 상기 결제 취소 요청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된다. 전자 지갑 서버(103)의 결제 취소 처리부(534)에서는 상기 결제 취소 요청에 따라 해당 결제에 대한 취소 처리를 수행하고, 결제 취소 처리 결과를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에 반영한다. 이때, 상기 결제 취소 처리는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통해 결제를 취소한 후,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로 재결제를 요청하면, 상기 재결제 요청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된다. 전자 지갑 서버(103)의 재결제 처리부(535)에서는 상기 재결제 요청에 따라 상기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에 의해 재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재결제 처리 결과를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523)에 반영한다. 이때, 상기 재결제 처리는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제어부(610), 표시부(620), 입력부(630), 통신부(640) 및 저장부(6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10)는 전자 지갑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된 전자 지갑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지갑 애플리케이션은 결제 관련 정보 수신부(611), 결제 정보 선택부(612), 결제 요청부(6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650)에는 사용자 식별 정보(651) 및 적어도 하나의 결제 관련 정보(652)가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650)에 저장된 사용자 식별 정보(651)는 표시부(620)를 통해 바코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651)는 통신부(640)를 통해 가맹점 단말(101)로 전송될 수도 있다.
결제 관련 정보 수신부(61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지갑 서버(103)로부터 해당 가맹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정보 등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수신된 결제 수단 정보 등은 표시부(62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결제 정보 선택부(612)는 입력부(630)를 통한 사용자의 결제 수단 선택에 따라 특정 결제 정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요청부(613)는 상기 결제 정보 선택부(612)를 통해 선택된 특정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요청 정보는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되어 온라인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지갑 서버(103)로부터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수신된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표시부(62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통해 이미 처리된 결제에 대한 결제 취소를 요청하면, 상기 결제 취소 요청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디스플레이된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통해 결제를 취소한 후,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로 재결제를 요청하면, 상기 재결제 요청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각 기능부 및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각 기능부는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차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또는 직접 입력을 통해 사용자 식별 정보를 가맹점 단말(101)에 입력(702)하고, 결제 처리를 요청(704)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제 관련 정보가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706)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되는 결제 관련 정보로는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가맹점 정보, 결제 금액, 상품 정보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가맹점 단말(101)로부터 결제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가맹점 결제 수단 정보와 사용자 결제 수단 정보를 검색(708, 710)한다. 상기 검색된 결제 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는 결제 가능 수단 정보와 할인 정보, 쿠폰 정보 등을 포함하여 결제 관련 정보를 생성(712)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714)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로부터 수신된 결제 관련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716)하고,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718)함으로서 전자 지갑 서버(103)로 결제를 요청(720)할 수 있다.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결제 요청에 따라 요청된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해당하는 각종 결제 서버(105)로 결제를 요청(724)하고, 결제 서버(105)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726)를 한 후, 전자 지갑 서버(103), 사용자 단말(100), 가맹점 단말(10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제 프로세스를 진행(728)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결제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 및/또는 가맹점 단말(101)로 전송(730, 732)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제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 각 사용자 단말(100) 또는 각 카드사 서버(430) 또는 쿠폰 발행사 서버 등으로부터 사용자 또는 가맹점별 할인 관련 정보(예컨대, 카드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수집(802)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의 수집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수행될 수도 있으며, 해당 정보의 변경시마다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 처리된 결제에 대해 상기 수집된 할인 관련 정보를 적용하여 결제 금액을 재산출함으로써 각 사용자에 대해 이미 처리된 결제 금액과 재산출된 결제 금액을 비교(804)한다. 상기 비교 결과 재산출된 결제 금액이 더 적을 경우 해당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 또는 할인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806)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 처리된 결제의 취소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확인 결과 해당 결제의 취소가 가능할 경우에 상기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이미 처리된 결제 조건과 수집된 정보를 통해 재산출된 결제 조건을 비교함으로써 취소를 위한 결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 처리된 결제 조건과 새로 수집된 결제 관련 정보를 통해 재산출된 결제 조건을 다양한 방법에 따라 비교함으로써 취소를 위한 결제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새로 수집되는 결제 관련 정보들은 해당 결제와 관련된 사용자의 포인트 누적 정보가 될 수도 있으며, 각 카드사의 변경된 할인율 정보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결제와 관련된 해당 가맹점의 쿠폰(예컨대, 선물 쿠폰)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이미 결제 처리된 용역 또는 상품(이와 같은 각종 결제 대상을 '아이템'이라 칭하기로 한다)에 대한 결제 조건(예컨대, 결제된 카드 정보, 해당 카드 사용에 따른 할인 정보, 사용된 포인트 정보, 사용된 선물 쿠폰 정보 등)을 새로 수집된 결제 관련 정보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재산출된 결제 조건을 비교함으로써 취소 결정을 위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조건을 비교하는 예로서, 기결제된 아이템에 대한 결제 금액을 다른 카드에 의한 결제 금액, 동일한 카드의 변경된 할인율에 의한 결제 금액, 포인트를 사용하였을 때의 결제 금액, 선물 쿠폰을 적용하였을 때의 결제 금액 등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 유리한 결제 조건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조건을 비교하는 다른 예로서, 상기 결제 금액의 비교뿐만 아니라, 포인트가 더 많이 적립될 수 있는 결제 수단, 쿠폰 적용이 가능한 지 여부, 카드 조합 가능 여부 등을 더 고려하여 결제 조건을 비교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결제 조건들은 수치화하여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사용자가 우선시하는 결제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치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예컨대, 결제 조건 정보) 또는 할인 정보의 전송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에서는 이미 처리된 결제에 대한 결제 취소 및/또는 재결제를 선택(808)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취소 및 재결제를 요청(810)하면, 상기 결제 취소 요청이 전자 지갑 서버(103)로 전송된다.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결제 취소 요청에 따라 해당 결제에 대한 취소 처리(812)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중개 서버(104)로 결제 취소 요청(814)을 하면, 결제 중개 서버(104)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결제 서버(105)로 결제 취소 요청(816)을 한다. 결제 서버(105)에서는 상기 결제 취소 요청에 따라 해당 결제를 취소 처리(818)하고, 취소 결과를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전자 지갑 서버(103) 또는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820, 822, 824)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재결재 요청에 따라 해당 결제에 대한 재결제 요청 처리(826)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 중개 서버(104)로 재결제를 요청(828)을 하면, 결제 중개 서버(104)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결제 서버(105)로 재결제 요청(830)을 한다. 결제 서버(105)에서는 상기 재결제 요청에 따라 해당 결제를 재결제 처리(832)하고, 재결제 결과를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전자 지갑 서버(103) 또는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 서버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지갑 서버에서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수신(902)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가맹점의 결제 수단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검색(904, 906)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가맹점에서의 결제 가능한 수단을 확인하고, 적어도 하나의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결정(908)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결정된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910)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결제 수단이 선택된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912)되면, 수신된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해당 결제 수단에 의해 결제 처리를 진행(914)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에서는 전자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1002)하고, 결제 가능 수단 정보를 전자 지갑 서버로부터 수신(1004)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결제 수단이 선택(1006)되면,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결제 요청 정보를 전자 지갑 서버로 전송(1008)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에서의 취소 및 재결제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지갑 서버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100) 또는 각 카드사 서버(430) 또는 쿠폰 발행사 서버 등으로부터 사용자 또는 가맹점별 할인 관련 정보(예컨대, 카드 정보 또는 쿠폰 정보)를 수집(1102)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 처리된 각 사용자별 결제에 대해 상기 수집된 할인 관련 정보를 적용(예컨대, 변경된 할인율 적용(1106))하여 결제 금액을 재산출함으로써 각 사용자에 대해 이미 처리된 결제 금액과 재산출된 결제 금액을 비교(804)한다. 상기 비교 결과 재산출된 결제 금액이 더 적을 경우(1108) 해당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 또는 할인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806)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 처리된 결제의 취소가 가능한지 여부를 결제 중개 서버(104)를 통해 확인(1110)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상기 확인 결과 해당 결제의 취소가 가능할 경우에 상기 새로운 결제 구성 정보 또는 변경된 결제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1112)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에 대한 취소 가능 여부는 각 결제 수단 또는 각 카드사별로 미리 설정된 취소 가능 기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카드 취소 기준은 일반적으로 카드사에 따라기한이 다를 수 있으며, 해당 기간 내에 고객이 거래한 가맹점과 협의하여 취소가 가능한 경우는 언제든지 취소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취소 가능 기간 내에 결제에 대한 취소가 요청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결제 중개 서버 또는 결제 서버에 의해 상기 결제에 대한 취소 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취소 가능 기간을 도과하여 취소 요청이 될 경우, 취소 처리 대신 환불 처리가 진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취소 가능 기간이 도과하여 환불 기간에 해당할 경우라도, 결제사와의 사전 협약에 의해 전자 지갑 서버를 통한 취소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자 지갑 서버(103)에서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결제 취소 및 재결재 요청을 수신(1114)함에 따라 해당 결제에 대한 취소 처리 및 변경된 할인율로 재결제 처리(1116)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다양한 전자 장치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전자 장치의 예로는 스마트폰이 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어부(110), 이동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상태 지시부(171),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 통신 모듈(120), 커넥터(165), 및 이어폰 연결잭(167)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유선 또는 무선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 장치 또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및 서버 중의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0)로는 이동통신 모듈(120), 서브 통신 모듈(130) 및 방송 통신 모듈(14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방송 통신 모듈(141), 오디오 재생 모듈(142) 및 동영상 재생 모듈(1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플래쉬(153), 모터부(154), 경통부(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 모듈(160)은 버튼(161), 마이크(162), 스피커(163),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및 키패드(1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111),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Read Only Memory), 112) 및 사용자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Random Access Memory), 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11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11), 롬(112) 및 램(113)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저장부(175), 전원 공급부(180), 터치 스크린(190)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종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 유닛(168)이 터치 스크린(190)에 접근하거나, 그에 근접하게 위치함에 따른 호버링(Hovering) 이벤트와 같은 사용자 입력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스크린(190)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및 센서모듈(170) 등을 통해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 음성, 눈동자 움직임, 홍채 인식, 생체신호 등 상기 장치(100) 내로 입력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동작 또는 기능이 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어 신호를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진동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유닛(168) 또는 진동 소자(164)는 이러한 진동 패턴에 따른 진동을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성능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1), 무선랜 모듈(131), 및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이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121)은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 PC 또는 다른 전자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브 통신 모듈(130)은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1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 통신 모듈(1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131)과 근거리 통신 모듈(1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1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 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3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과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방송 통신 모듈(141)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통신 안테나(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G(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오디오 재생 모듈(142) 또는 동영상 재생 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 모듈(142)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75)에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컨대,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모듈(143)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컨대,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모듈(140)은 제어부(11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 또는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51) 및 제2 카메라(1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 인/줌 아웃을 수행하는 경통부(155), 상기 경통부(155)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모터부(154),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필요한 보조 광원을 제공하는 플래시(1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51)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 전면에 배치되고, 제2 카메라(152)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적어도 하나의 버튼(161),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62),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63), 적어도 하나의 진동 소자(164), 커넥터(165), 키패드(166), 이어폰 연결잭(167) 및 입력 유닛(1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 모듈(160)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터치 스크린(190) 상의 커서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61)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또는 케이스)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 볼륨 버튼,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62)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소리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방송 데이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디지털 동영상 데이터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사용자 단말(1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사용자 단말(100)이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소리(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통화 연결음, 상대방 사용자의 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사용자 단말(100)은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소자(164)가 동작한다. 진동 소자(164)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소자(164)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동작할 수 있다.
커넥터(165)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커넥터(165)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거나, 전원 소스를 이용하여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166)는 사용자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사용자 단말(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 이어폰(도시되지 아니함)은 이어폰 연결잭(Earphone Connecting Jack, 167)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유닛(168)은 사용자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시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인출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유닛(168)이 삽입되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일 영역에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탈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가 구비되어 있고,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및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시 직·간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부착 인식 스위치(169)는 상기 입력 유닛(168)과의 접촉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신호(즉, 입력 유닛(168)의 장착 또는 분리를 통지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 단말(1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170)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사용자 단말(100) 주변의 빛의 양을 검출하는 조도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의 회전, 사용자 단말(100)의 가속 또는 진동)을 검출하는 모션 센서(도시되지 아니함), 지구 자기장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100)의 방위(point of the compass)를 검출하는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의 작용 방향을 검출하는 중력 센서(Gravity Sensor), 대기의 압력을 측정하여 고도를 검출하는 고도계(Altimeter), GPS 모듈(157) 등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57)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 위성(도시되지 아니함)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 위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100)까지의 전파 도달 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동 통신 모듈(120), 멀티미디어 모듈(140), 카메라 모듈(150), 입/출력 모듈(160), 센서 모듈(170) 또는 터치 스크린(190)의 동작에 따라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정보 또는 결제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5)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되는 전자 지갑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175), 제어부(110) 내 롬(112), 램(113) 또는 사용자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의 임의의 데이터 저장 장치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내비게이션, 화상 통화, 게임, 사용자에게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알람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의 애플리케이션들과 이와 관련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데이터, 사용자 단말(100)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경 이미지들(메뉴 화면, 대기 화면 등) 또는 운영 프로그램들,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이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저장부(175)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 될 수 있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는 사용자 단말(100)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커넥터(165)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사용자 단말(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80)는 무선 충전 기술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입력되는 전원을 사용자 단말(1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스크린(19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출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입력 유닛(168)(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전자 펜 등)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9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90)은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을 각각 입력받을 수 있도록, 손가락 및 입력 유닛(168)의 터치나 접근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터치 패널은 서로 다른 출력 값을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에 제공하고,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터치 스크린 패널에서 입력되는 값을 서로 다르게 인식하여,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의 입력이 손가락에 의한 입력인지, 입력 유닛(168)에 의한 입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는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 터치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 검출가능한 간격이 1 mm 이하)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에서 검출가능한 간격은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으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전송한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위치뿐만 아니라 호버링 간격 또는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확인된 거리 값을 디지털 신호(예컨대, Z좌표)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195)는 터치 스크린(190)을 통해 출력되는 값(예컨대, 전류값 등)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90)을 누르는 압력을 검출할 수 있고, 확인된 압력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101 : 가맹점 단말
102 : 통신 네트워크 103 : 전자 지갑 서버
104 : 결제 중개 서버 105 : 결제 서버
410 : PG 서버 420 : 통신사 서버
430 : 카드사 서버 511 : 가맹점 결제 정보 등록부
512 : 사용자 결제 정보 등록부 513 : 결제 정보 수신부
514 : 결제 관련 정보 검색부 515 : 결제 관련 정보 전송부
516 : 결제 요청 수신부 517 : 결제 처리부
521 :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522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523 :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531 : 할인 정보 수집부
532 : 할인 정보 갱신부 533 : 할인 내역 비교부
534 : 결제 취소 처리부 535 : 재결제 처리부
610 : 제어부 611 : 결제 관련 정보 수신부
612 : 결제 정보 선택부 613 : 결제 요청부
620 : 표시부 630 : 입력부
640 : 통신부 650 : 저장부
651 : 사용자 식별 정보 652 : 결제 관련 정보

Claims (19)

  1. 특정 아이템에 대해서 수행한 제1 결제에 대한 제1 결제 조건을 수신받는 과정;
    상기 결제 이후, 결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결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제2 결제 조건을 산출하는 과정;
    상기 제1 결제 조건과 상기 제2 결제 조건을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결제를 취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포인트 누적 정보, 각 카드사의 변경된 할인율 정보, 상기 결제와 관련된 해당 가맹점의 쿠폰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카드사 서버 또는 쿠폰 발행사 서버로부터 상기 결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소하는 과정은,
    상기 제1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결제에 대한 취소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된 취소 요청에 따라, 결제 관련 서버로 상기 제1 결제에 대한 취소를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결제 조건에 의한 재결재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결제 조건에 의한 재결재 요청에 따라, 결제 관련 서버로 상기 제2 결제 조건에 의한 재결재를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결제의 취소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결제의 취소가 가능할 경우, 상기 제2 결제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제의 취소 가능 여부는,
    상기 제1 결제가 처리된 후 미리 설정된 기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조건의 비교는,
    상기 다른 카드에 의한 결제 금액과의 비교, 동일한 카드의 변경된 할인율에 의한 결제 금액 비교, 포인트를 사용하였을 때의 결제 금액 비교, 선물 쿠폰을 적용하였을 때의 결제 금액 비교, 결제에 따라 누적되는 포인트 비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조건의 비교는,
    복수의 결제 조건들에 대해 각 결제 조건을 수치화하여 비교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조건의 비교는,
    복수의 결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치화하는,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특정 아이템에 대해 수행한 제1 결제의 제1 결제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사용자별로 할당된 사용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결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각 가맹점 단말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결제 정보 수신부;
    결제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결제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결제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특정 아이템에 대한 제2 결제 조건을 산출하고, 상기 제1 결제 조건과 상기 제2 결제 조건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결제를 취소 요청하는 결제 취소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포인트 누적 정보, 각 카드사의 변경된 할인율 정보, 상기 결제와 관련된 해당 가맹점의 쿠폰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전자 지갑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지갑 서버는,
    상기 제1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결제 조건에 의한 재결재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결제 관련 서버로 상기 제2 결제 조건에 의한 재결재를 요청하는 재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지갑 서버.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취소 처리부는,
    상기 제1 결제의 취소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1 결제의 취소가 가능할 경우, 상기 제2 결제 조건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 지갑 서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제의 취소 가능 여부는,
    상기 제1 결제가 처리된 후 미리 설정된 기간의 도과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전자 지갑 서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조건의 비교는,
    상기 다른 카드에 의한 결제 금액과의 비교, 동일한 카드의 변경된 할인율에 의한 결제 금액 비교, 포인트를 사용하였을 때의 결제 금액 비교, 선물 쿠폰을 적용하였을 때의 결제 금액 비교, 결제에 따라 누적되는 포인트 비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전자 지갑 서버.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조건의 비교는,
    복수의 결제 조건들에 대해 각 결제 조건을 수치화하여 비교하는, 전자 지갑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조건의 비교는,
    복수의 결제 조건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치화하는, 전자 지갑 서버.
  19.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30112899A 2013-09-23 2013-09-23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500332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899A KR20150033208A (ko) 2013-09-23 2013-09-23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899A KR20150033208A (ko) 2013-09-23 2013-09-23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208A true KR20150033208A (ko) 2015-04-01

Family

ID=5303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899A KR20150033208A (ko) 2013-09-23 2013-09-23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32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72A1 (ko) * 2016-06-20 2017-12-28 비씨카드(주) 카드 이용 내역에 따라 모바일 쿠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90013458A (ko) * 2017-08-01 2019-02-11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주차권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방법
CN110807625A (zh) * 2019-11-01 2020-02-18 大连遨游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支付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172A1 (ko) * 2016-06-20 2017-12-28 비씨카드(주) 카드 이용 내역에 따라 모바일 쿠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90013458A (ko) * 2017-08-01 2019-02-11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주차권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방법
CN110807625A (zh) * 2019-11-01 2020-02-18 大连遨游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支付方法及系统
CN110807625B (zh) * 2019-11-01 2023-04-18 大连遨游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支付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5626B2 (en) Expedited point-of-sale merchant payments
US20220198423A1 (en) Generating an online storefront
US8498934B2 (en) Multi-account payment consolidation system
US86609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roximity ordering
US11176526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nic payment
CN109074573B (zh) 便携装置和便携装置的电子支付方法
AU2016203358A1 (en) Using card image to extract bank account information
US20120239474A1 (en) Prepaid card rewards
JP6059319B1 (ja) 代金支払管理システム、及び代金支払管理方法
KR20170118431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060111200A (ko) 휴대 단말기 번호를 가상 계좌로 이용한 결제 방법 및시스템
US20150198446A1 (en) Atm and card acceptance locations using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apparatus
JP6860027B2 (ja) 処理装置、処理方法、決済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33209A (ko)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19067231A (ja) プリンタ装置、取引管理システムおよび取引管理方法
KR20150033208A (ko)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취소 및 재결재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31089B1 (ko) 가맹점 매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그 매출 관리 서버
US20190325511A1 (en) Augmented Reality Foreign Currency View
KR20150033207A (ko) 전자 지갑 서버, 전자 지갑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7310589B2 (ja) ウォレット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ウォレットプログラム
KR101473593B1 (ko) 전자적지불결제수단 통합관리시스템 및 방법
JP7085186B2 (ja) 発券システム
JP733217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7342791B2 (ja) 決済プログラム、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サーバ
JP7338564B2 (ja) 決済プログラム、決済システムおよび決済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