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108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108A
KR20150032108A KR20130112153A KR20130112153A KR20150032108A KR 20150032108 A KR20150032108 A KR 20150032108A KR 20130112153 A KR20130112153 A KR 20130112153A KR 20130112153 A KR20130112153 A KR 20130112153A KR 20150032108 A KR20150032108 A KR 20150032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door
door frame
cas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7729B1 (ko
Inventor
김기혁
지은영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7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3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측으로부터 세탁물이 출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방을 향해 개구된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여닫는 도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제 1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도어 프레임에 구비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의 인출이 용이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로, 세탁물에 뭍은 오염을 제거하는 세탁기, 세탁물이 담긴 세탁조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세탁물을 탈수시키는 탈수기, 세탁조 내로 냉풍 또는 열풍을 가하여 젖은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등을 통칭한다.
도 3은 종래의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세탁기는 캐비닛(1), 탑커버(2), 도어(3), 컨트롤 패널(4) 및 내조(5)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캐비닛(1) 내부에는 내조(5)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내조(5) 내에 세탁물이 투입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캐비닛(1) 내에는 세탁수를 담기 위한 외조가 구비되며, 내조(5)는 상기 외조 내에서 회전된다. 또한, 이러한 세탁기에는 기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외조 또는 내조(5) 내로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 내조(5)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상기 외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 등이 더 구비된다.
탑커버(2)는 캐비닛(1)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고, 세탁물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다. 도어(3)는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여닫을 수 있도록 탑커버(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탑커버(2)의 전방부는 사용자로부터 세탁기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수단과, 세탁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4)이 구비되는데, 컨트롤 패널(4)은 도어(3)에 대해 독립적인 것으로, 즉, 도어(3)의 개폐 동작과 무관하게 고정배치되었다.
세탁기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가 세탁물을 내조(5)로부터 인출하기 위해서는 허리를 앞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손을 뻗어 내조(5) 내로 집어넣어야 하는데, 최근 세탁기의 용량이 증대되는 추세를 고려할때,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서는 내조(5)의 바닥까지 손이 닿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이와 같이 세탁기의 상부에 형성된 세탁물 출입구를 통해 세탁물의 출입이 이루어지는 탑로딩(top loading) 방식의 세탁기에서 세탁물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릴 시 장애가 되는 세탁기 전방의 높이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나, 세탁물 인출의 편의성만을 고려하여 세탁기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는 것은, 낮아진 높이만큼 캐비닛(1) 내부의 공간도 줄어들기 때문에, 내조(5)의 용량 감소로 귀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세탁용량은 물론이고 세탁기의 기능은 종래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세탁물 인출의 편의성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세탁물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측으로부터 세탁물이 출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방을 향해 개구된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여닫는 도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제 1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도어 프레임에 구비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여닫는 도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호 간에 소정의 자유도를 갖는 관절에 의해 연결된 개쇄(開鎖)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링크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크요소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링크요소; 및 자유단을 갖으며, 제 1 링크요소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링크요소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도어의 열림시 조작부가 일체로 이동되기 때문에, 세탁물을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극복하여야 할 세탁기의 전단의 높이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도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도어의 열림시의 개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a)와 열린 상태(b)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래의 세탁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a)와 열린 상태(b)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도어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세탁물 처리기기 중 세탁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고 세탁물 출입구(10h)가 형성된 케이싱(10)과, 세탁물 출입구(10h)를 여닫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세탁물 출입구(10h)는 세탁물이 상측으로부터 투입될 수 있도록, 상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실시예에 따라 케이싱(10)은 캐비닛(11)과 탑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1)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캐비닛(11)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4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캐비닛(11) 내에는 세탁수를 담기 위한 외조가 구비되며, 내조(41)는 상기 외조 내에서 회전된다. 또한, 세탁기에는 기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외조 또는 내조(41) 내로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 내조(4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 상기 외조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 등이 더 구비된다.
탑커버(12)는 캐비닛(11)의 개구된 상부에 설치되고, 세탁물의 투입과 인출을 위한 세탁물 출입구(10h)가 형성된다. 도어(20)는 탑커버(12)에 연결되어 세탁물 출입구(10h)를 여닫는다.
도어(20)는 탑커버(12) 위에 횡으로 배치된 상태로 세탁물 출입구(10h)를 덮고 있다가, 도어(20)의 전단을 밀거나 들어올리는 힘에 의해 열린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도어(20)는 상호 간에 소정의 자유도를 갖는 관절에 의해 연결된 개쇄(開鎖)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링크요소(L1, L2)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크요소는 케이싱(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링크요소(L1, 21)와, 자유단을 갖으며 제 1 링크요소(L1, 2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요소(L2, 2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어(20)는 일단이 탑커버(1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링크요소(L1, 21)와, 제 1 링크 요소(L1, 2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 요소(L2, 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크요소(L1, 21) 및 제 2 링크요소(L2, 2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세탁물 출입구(10h)가 개폐된다.
조작부(30)는 제 2 링크 요소(L2, 22)에 구비된다. 조작부(30)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부(30)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제 1 링크요소(L1, 21)와 탑커버(12)의 연결부에 고정 회전관절(J1)을 갖으며, 제 1 링크요소(L1, 21)와 제 2 링크요소(L2, 22)의 연결부에 이동 회전관절(J2)를 갖는다.
이하, 제 1 링크요소(L1)와 제 2 링크요소(L2)는 각각 링크로써의 기능뿐만 아니라, 실체적으로는 세탁물 출입구(10h)를 개폐하는 도어(20)를 형성하는 구조체이므로, 각각 제 1 도어 프레임(21), 제 2 도어 프레임(22)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조작부(30)는 제 2 도어 프레임(22)에 구비된다. 제 2 도어 프레임(22)의 전단에 후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거나, 들어 올리는 힘이 작용하면, 제 1 도어 프레임(21)이 탑커버(12)에 대해 회전됨과 아울러, 제 2 도어 프레임(22)이 제 1 도어 프레임(21)과 접철되면서 세탁물 출입구(10h)가 개방되며, 이때, 이동 회전관절(J2)은 상측으로 이동된다. 도어(2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조작부(30)는 입력수단 또는 표시수단이 대략 세탁기의 전방을 향하며, 따라서, 도어(21)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조작부(3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제 2 도어 프레임(22)의 길이(d2)는 제 1 도어 프레임(21)의 길이(d1) 이하이며, 따라서, 도어(2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제 2 도어 프레임(22)의 자유단은 탑커버(12)로부터 이격된다.
제 1 도어 프레임(21)에 대한 제 2 도어 프레임(22)의 회전축은, 제 2 도어 프레임(22)의 전단과 제 1 도어 프레임(21)의 탑커버(12)에 대한 회전축을 연결하는 선(도 2 참조, L) 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이동 회전관절(J2)의 회전축은 선(L)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제 1 도어 프레임(21)과 제 2 도어 프레임(22)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가 존재하고, 제 2 도어 프레임(22)의 전단을 후단으로 미는 힘은 상기 회전축 또는 이동 회전관절(J2)에 대한 토크를 유발하기 때문에, 도어(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제 1 도어 프레임(21)과 제 2 도어 프레임(22)이 이루는 각도는 도어(20)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점점 작아진다.
이상에서, 조작부(30)는 도어(20)의 전단부에 구비되어. 도어(20)의 개폐 동작시 도어(20)와 일체로 운동된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조작부(30)는 탑커버(12)의 상측에서 전방부에 위치되어, 케이싱(10) 또는 탑커버(12)의 상면의 전방부를 덮으며, 도어(20)의 열림 동작시에는 도어(20)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탑커버(12)의 상면의 전방부가 노출된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세탁기의 전단에서의 높이(H)는 세탁기가 설치된 바닥으로부터 조작부(30)의 상면까지로 정의될 수 있다(도 1의 (a) 참조). 이때의 세탁기 전단에서의 높이(H)는 조작부(30)가 점유하는 높이를 포함한다.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세탁기의 전단의 높이(H')는 사용자가 내조(41)로부터 세탁물을 인출하기 위해 극복하여야 할 높이라고 할 수 있는데, 도어(20)가 열리는 동작시 조작부(30)는 제 2 도어 프레임(22)과 일체로 회전되기 때문에,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세탁기의 전단의 높이(H')는 H보다 낮아져,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세탁물을 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상측으로부터 세탁물이 출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상방을 향해 개구된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여닫는 도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제 1 도어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도어 프레임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 프레임의 전단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케이싱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 프레임의 길이는,
    상기 제 1 도어 프레임의 길이 이하인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 프레임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도어 프레임과 접철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세탁물 출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세탁물 출입구를 여닫는 도어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호 간에 소정의 자유도를 갖는 관절에 의해 연결된 개쇄(開鎖)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링크요소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크요소는,
    상기 케이싱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링크요소; 및
    자유단을 갖으며, 제 1 링크요소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 2 링크요소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세탁물 출입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싱의 상면의 전단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세탁물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와 일체로 이동되어, 상기 케이싱의 상면의 전단부가 노출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세탁물 출입구가 상기 도어에 의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케이싱의 상면의 전단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전체 높이가 상기 조작부의 상면까지로 정의되고, 상기 세탁물 출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와 일체로 이동되어, 사용자가 세탁물을 인출하기 위해 극복하여야 할 상기 케이싱 상면의 전단부의 높이가 상기 전체 높이보다 낮아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30112153A 2013-09-17 2013-09-17 세탁물 처리기기 KR10164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53A KR101647729B1 (ko) 2013-09-17 2013-09-17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53A KR101647729B1 (ko) 2013-09-17 2013-09-17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108A true KR20150032108A (ko) 2015-03-25
KR101647729B1 KR101647729B1 (ko) 2016-08-11

Family

ID=53025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153A KR101647729B1 (ko) 2013-09-17 2013-09-17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7367A (ja) * 2015-03-30 2016-1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891A (ja) * 1994-09-20 1996-04-02 Hitachi Ltd 洗濯機
KR20020069736A (ko) * 2001-02-27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어개폐 감지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70092861A (ko) * 2006-03-09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4891A (ja) * 1994-09-20 1996-04-02 Hitachi Ltd 洗濯機
KR20020069736A (ko) * 2001-02-27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어개폐 감지장치를 갖는 세탁기
KR20070092861A (ko) * 2006-03-09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7367A (ja) * 2015-03-30 2016-1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729B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20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241940B1 (en) Washing machine
US9765471B2 (en) Dryer
EP2930263B1 (en) Washing machine
US20090145174A1 (en) Washing machine
JP6198781B2 (ja) 衣類処理装置
US20090145175A1 (en) Washing machine
EP2607544B1 (en) Top loading laundry washing machine
PL1770198T3 (pl) Ładowana od góry pralka ze środkami blokującymi pokrywę
US20160032513A1 (en) Washing machine
KR20040009400A (ko) 드럼세탁기
JP7204809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64772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4959839B2 (ja) 送風装置を有する洗濯機
JP6403415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9109318B2 (en) Integration of blower with washer motor shaft or drive shaft
KR101461387B1 (ko) 세탁기
KR10160267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5003210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246373B1 (ko) 건조겸용 세탁기
JP7303609B2 (ja) 洗濯機
KR101801575B1 (ko) 세탁기
KR10045235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20060021645A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6595810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