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044A -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 Google Patents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044A
KR20150032044A KR20130112028A KR20130112028A KR20150032044A KR 20150032044 A KR20150032044 A KR 20150032044A KR 20130112028 A KR20130112028 A KR 20130112028A KR 20130112028 A KR20130112028 A KR 20130112028A KR 20150032044 A KR20150032044 A KR 20150032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ighly oxidized
shower
unit
oxidiz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희
손영환
이성민
이재선
유주원
조성림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2044A/ko
Publication of KR20150032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는, 비타민 합성 유도부가 구비된 헤드 커버부; 헤드 커버부에 결합되고, 고도산화수 제조부 및 고도산화수 제조부로부터 제조된 고도산화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을 포함하는 살수판; 헤드 커버부 및 살수판과 결합되는 샤워기 헤드부; 및 샤워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고도산화수 제조부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샤워기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Shower using advanced oxidized water}
본 개시(disclosure)는 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샤워기(Shower)는 물뿌리개 모양의 분출기를 통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소나기처럼 물을 뿌리는 분사장치로 화장실, 주방용 싱크대 또는 욕조 등과 같이 가정용 또는 업무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샤워기의 헤드 내부로 공급되는 원료수로 공급되는 수돗물에는 살균 또는 소독을 위해 정수장에서 첨가되는 염소 성분이 잔류한다. 이때, 수돗물은 내부에 잔류하는 염소에 기인하는 특유의 냄새 및 맛을 유발하여 사용자가 기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민감한 피부와 반응하여 각종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수돗물 내의 잔류하는 염소를 제거하기 위해 샤워기 손잡이나 샤워 헤드부에 필터를 장착하여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중금속, 녹 등을 제거하거나, 연수기 등을 별도로 설치하여 정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샤워기 손잡이나 샤워 헤드부에 필터를 장착하는 방식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새로운 필터로 교체해야 하는데 그 교체 주기가 수개월로 짧아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필터의 공극이 작을 경우, 물의 토출 효율이 낮아 수압이 약해지는 한계가 있다. 또한, 연수기 등을 별도로 설치하여 수돗물을 정수하는 방식은 연수기를 구입 및 설치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모되어 사용자에게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수돗물 내에 잔류하는 염소를 제거하고, 독성 유기물질을 분해하고, 미생물이 살균된 청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샤워를 진행하는 동안 인체의 피부 미용에 효과적인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는, 비타민 합성 유도부가 구비된 헤드 커버부; 상기 헤드 커버부에 결합되고, 고도산화수 제조부 및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로부터 제조된 고도산화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을 포함하는 살수판; 상기 헤드 커버부 및 살수판과 결합되는 샤워기 헤드부; 및 상기 샤워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샤워기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비타민 합성 유도부는 상기 헤드 커버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고, UV-B 영역대의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LE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은 280nm 내지 32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공급한다.
상기 헤드 커버부는 탈착 가능하다.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는 상기 살수판의 내부 일면부에 배치된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살수판은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외선은 100nm 내지 279nm 파장대의 자외선을 공급한다.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는 상기 공급되는 수돗물 내 잔류 염소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칩의 자외선을 반응시켜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ㆍOH)을 포함한다.
상기 샤워기 손잡이는 상기 비타민 합성 유도부 및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전원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는, 일면에 비타민 합성 유도부가 구비된 헤드 커버부; 상기 헤드 커버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 커버부의 타면 방향에 배치된 고도산화수 제조부 및 상기 고도수산화수 제조부로부터 제조된 고도산화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을 포함하는 살수판을 포함하는 캡핑부; 상기 캡핑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물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샤워기 헤드부; 및 상기 샤워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 수용 공간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샤워기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수돗물 내에 잔류하는 염소를 제거하고, 독성 유기물질을 분해하고, 미생물이 살균된 물을 공급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제거된 청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샤워를 진행하는 동안 인체의 피부 미용에 효과적인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자외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샤워기 헤드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의 단면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샤워기 헤드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의 단면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샤워기(100)는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가 구비된 헤드 커버부(115) 및 고도산화수 제조부(135)를 포함하는 살수판(125)을 포함하는 샤워기 헤드부(105)와, 샤워기 손잡이(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 커버부(115), 살수판(125)은 샤워기 헤드부(105)에 결합되어 샤워기 손잡이(110)에 연결될 수 있다. 살수판(125)과 샤워기 헤드부(105) 사이에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패킹부(127)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샤워기 손잡이(110)의 일 단부에는 정수장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공급하는 호스(미도시함)와 연결되는 나사부(111)가 배치되고, 타 단부에는 수돗물을 고도산화수 제조부(135) 방향으로 공급하는 유입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110)를 통해 호스와 연결되어 공급된 수돗물(W)은 유입부(113)를 통해 고도 산화수 제조부(135)가 배치된 샤워기 헤드부(105)의 물 수용 공간(S)으로 공급된다. 샤워기 손잡이(110)의 내부에는 수돗물이 유동하는 내부 유로(112)가 배치될 수 있다.
헤드 커버부(115)의 외부 표면에는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는 인체 체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하기 위해 자외선(L1)을 제공한다.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는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UV-B 영역대의 자외선(L1)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LED)을 포함하는 모듈(module)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는 헤드 커버부(115)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칩(LED)을 배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칩은 280nm 내지 320nm 파장대의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하여, 인체 피부 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커버부(115)는 탈부착이 가능하다.
인체 내에 존재하는 디하이드로콜레스트롤(7-dehydrocholesterol)은 280nm 내지 320nm의 파장대의 빛을 받아 프리 비타민(pre-vitamin) D3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38℃ 내지 42℃의 열을 받아 비타민 D3의 합성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샤워기(100)의 헤드 커버부(115)에 배치된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는 이러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가열 수단(도시되지 않음) 또는 온도 유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인체 체내에 비타민 D가 부족할 때 우울증, 암, 골다공증, 당뇨 등의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인구의 대략 80% 정도가 비타민 D가 결핍되고 있다고 조사되고 있다. 우유, 치즈, 생선 등 음식을 통해서는 체내 비타민 D의 필요량의 10% 내지 20% 정도가 충족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인체 내에 부족한 비타민 D를 빛(자외선)을 조사하여 합성할 수 있어, 인체에 부족한 비타민 D를 유효하게 공급할 수 있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샤워 중 인체에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함으로써 비타민 합성을 위한 추가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살수판(125)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공(130)이 배치된다. 토출공(130)은 살수판(125) 전면에 걸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살수판(125)의 내부 일면부에는 고도산화수 제조부(135)가 배치될 수 있다. 고도산화수 제조부(135)는 수돗물 내의 잔류 염소를 제거하고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L2)을 제공하여 고도산화수를 생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도산화수 제조부(135)는 일 예로서, 살수판(125)의 내부 일면부에 배치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살수판(125)은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를 배치하기 위해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는 샤워기 헤드부(105) 내의 물 수용 공간(S)으로 발광면이 향하도록 구성된다.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로부터 제공된 자외선(L2)을 이용하여 생성된 고도산화수는 토출공(130)들을 통해 배출되어 샤워수로서 공급된다.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로부터 제공되는 자외선(L2)은 100 nm 내지 279 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75nm의 자외선을 제공한다. 자외선 발광다이오드(133)는 소형화가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살수판(125)의 내부 일 면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는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 물질을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고도산화수(Advanced oxidized water)란 고도산화공정을 통하여 생성되어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는 수산화 라디칼(ㆍOH)을 포함하는 용액을 의미한다. 수돗물은 약 0.1 mg/L 내지 2.0 mg/L의 염소를 포함할 수 있고, 잔류 염소로부터 염소 라디칼(ㆍCl)이 생성될 수도 있다. 수돗물에 남아 있는 잔류 염소는 특유의 냄새 및 맛을 생성시켜 사용자가 기피할 수 있다. 또한, 민감한 피부와 반응하여 각종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본 개시의 샤워기는 수돗물을 적용하되, 수돗물 내의 잔류 염소와 자외선을 반응시켜, 잔류 염소로부터 수산화 라디칼(ㆍOH)을 생성함으로써, 고도산화수를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고도산화수는 특유의 냄새 및 맛을 생성하는 염소 성분이 제거된 청정수임에 따라, 사용자가 기피감을 느끼지 않고 쾌적한 목욕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염소 성분이 제거됨에 따라 각종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잔류 염소와 자외선을 반응시켜 수산화 라디칼(radical)(ㆍOH)을 생성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살균 또는 소독을 위해 정수장에서 첨가되는 염소는 수돗물 내에서 반응식 (1)과 같이, 차아염소산(HOCl)과 염산(HCl)의 형태로 존재한다. 차아염소산은 반응식 (2)에서와 같이, 수소 이온(H+)과 하이포아염소산이온(OCl-)으로 분해되어 수돗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Cl2 + H2O -> HOCl + HCl --------------- (식 1)
HOCl -> H+ + OCl- ---------------- (식 2)
반응식 (2)에 있어서, 20℃에서의 해리 상수(pKa)는 7.6 으로서, 차아염소산 내의 수소이온이 충분히 해리되어, 수소 이온(H+)과 하이포아염소산이온(OCl-)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돗물 내에 존재하는 차아염소산은 하기의 반응식 (3)에서와 같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로부터 제공되는 자외선(L2)에 의해 광분해되어, 수산화 라디칼(radical)(ㆍOH) 및 염소 라디칼(ㆍCl)을 생성한다. 수돗물 내에 존재하는 하이포아염소산이온은 반응식 (4)에서와 같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가 제공하는 자외선에 의해 광분해되어, 산소 라디칼(Oㆍ-)과 염소 라디칼(Clㆍ)을 생성한다. 산소 라디칼은 하기의 반응식 (5)에서와 같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과 수산화 이온을 생성한다. 자외선(L2)은 100 nm 내지 279 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HOCl + 자외선 -> ㆍOH + ㆍCl ------------------ (3)
OCl- + 자외선 -> Oㆍ- + Clㆍ ------------------ (4)
Oㆍ- + H2O -> ㆍOH + OH- ------------------ (5)
상술한 반응식 (1) 내지 (5)를 통해, 수돗물 내에 잔류하고 있는 미세 농도의 염소가 제거됨으로써, 수돗물의 특유의 냄새 또는 맛이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돗물 내에는 잔류 염소가 하이포아염소산이온의 형태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러한 잔류 염소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는 수돗물 내의 유해 미생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는 수돗물 내의 독성유기물질, 예컨대, 항생제 성분을 자외선으로 광분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항생제 성분은 이부프로펜(ibuprofen, IBF), 설파메톡사졸(sulfamethoxazole, SMX), 시프로플록사신(ciproflaoxacin, CFX) 또는 이들의 둘 이상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항생제 성분은 자외선(L2) 조사를 통해 광분해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항생제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보다 청정수로 정화된 고도산화수를 샤워수로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 및 고도산화수 제조부(135)는 전원 구동부(140)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전원 구동부(140)는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의 전원을 온/오프(ON-OFF)시킬 수 있는 제1 전원부(140) 및 고도산화수 제조부(135)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제2 전원부(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원 구동부(140)는 샤워기 손잡이(110)의 일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구동부(140)는 건전지 또는 충전지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헤드 커버부와 살수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캡핑부(126)로 구성하여 샤워기 헤드부(105)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5b는 도 5a의 캡핑부의 단면을 나타내보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샤워기 헤드부(105a)와 결합되는 캡핑부(225a)는 판형상의 살수판(125a)의 주위를 헤드 커버부(115a)가 둘러싸게 형성된다. 캡핑부(225a)는 탈부착이 가능하다. 샤워기 헤드부(105a)는 샤워기 손잡이(110a)에 연결될 수 있다. 살수판(125a)은 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헤드 커버부(115a)는 살수판(125a)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두께만큼 돌출하게 배치되며, 측벽판(201)을 통해 살수판(125a)과 연결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헤드 커버부(115a) 및 살수판(125a)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캡핑부(225a)의 헤드 커버부(115a)의 내부의 일면 상에는 인체 체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하기 위해 자외선(L1)을 제공하는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a)가 배치될 수 있다. 비타민 합성 유도부(12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 방향으로 UV-B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LED)을 포함하는 모듈(module)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은 80nm 내지 320nm 파장대의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한다.
캡핑부(225a)의 살수판(125a) 상에는 물이 토출되는 토출공(130a)이 배치된다. 토출공(130a)은 살수판(125a)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살수판(125a)의 전면에 걸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살수판(125a)의 내부 일면부(125b)인 헤드 커버부(115a)의 타면 상에는 고도산화수 제조부(135a)가 배치될 수 있다. 고도산화수 제조부(135a)는 자외선을 제공하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도산화수 제조부(135a)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제공되는 자외선(L2)은 100 nm 내지 279 nm 파장의 자외선을 방출하여 유입부(113a)를 통해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133a) 방향으로 공급되는 수돗물(W)을 고도산화공정을 통하여 고도산화수로 생성시킬 수 있다.
100 : 샤워기 105 : 샤워기 헤드부
110 : 샤워기 손잡이 115 : 헤드 커버부
120 : 비타민 합성 유도부 125 : 살수판
127 : 패킹부 130 : 토출공
135 : 고도산화수 제조부 140 : 전원 구동부
S : 물 수용 공간

Claims (16)

  1. 비타민 합성 유도부가 구비된 헤드 커버부;
    상기 헤드 커버부에 결합되고, 고도산화수 제조부 및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로부터 제조된 고도산화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을 포함하는 살수판;
    상기 헤드 커버부 및 살수판과 결합되는 샤워기 헤드부; 및
    상기 샤워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샤워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합성 유도부는 상기 헤드 커버부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합성 유도부는 UV-B 영역대의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LED)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은 280nm 내지 32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공급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커버부는 탈착 가능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는 상기 살수판의 내부 일면부에 배치된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판은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100nm 내지 279nm 파장대의 자외선을 공급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는 상기 공급되는 수돗물 내 잔류 염소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칩의 자외선을 반응시켜 생성된 수산화 라디칼(ㆍOH)을 포함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기 손잡이는 상기 비타민 합성 유도부 및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를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전원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11. 일면에 비타민 합성 유도부가 구비된 헤드 커버부;
    상기 헤드 커버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 커버부의 타면 방향에 배치된 고도산화수 제조부 및 상기 고도수산화수 제조부로부터 제조된 고도산화수를 토출하는 토출공을 포함하는 살수판을 포함하는 캡핑부;
    상기 캡핑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물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샤워기 헤드부; 및
    상기 샤워기 헤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물 수용 공간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샤워기 손잡이를 포함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핑부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합성 유도부는 UV-B 영역대의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LED)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은 280nm 내지 32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공급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산화수 제조부는 상기 살수판의 내부 일면부에 배치된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칩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은 100nm 내지 279nm 파장대의 자외선을 공급하는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KR20130112028A 2013-09-17 2013-09-17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KR20150032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028A KR20150032044A (ko) 2013-09-17 2013-09-17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2028A KR20150032044A (ko) 2013-09-17 2013-09-17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044A true KR20150032044A (ko) 2015-03-25

Family

ID=5302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2028A KR20150032044A (ko) 2013-09-17 2013-09-17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204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663A1 (en) * 2015-12-11 2017-06-15 Orbital Systems Ab An apparatus for water supply and sanitary purposes
KR20190054348A (ko) * 2017-11-13 2019-05-22 우형민 Uv-led를 이용한 샤워장치
KR102124595B1 (ko) * 2019-03-21 2020-06-18 송병훈 하베스트 기능을 가지며 비타민 합성에 유리한 파장을 제공하는 샤워기
KR20220115480A (ko) * 2021-02-08 2022-08-17 세비앙 주식회사 비타민 d 합성 및 살균 제어 장치와 비타민 d 합성 및 살균 제어 장치의 비타민 d 합성 및 살균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663A1 (en) * 2015-12-11 2017-06-15 Orbital Systems Ab An apparatus for water supply and sanitary purposes
KR20190054348A (ko) * 2017-11-13 2019-05-22 우형민 Uv-led를 이용한 샤워장치
KR102124595B1 (ko) * 2019-03-21 2020-06-18 송병훈 하베스트 기능을 가지며 비타민 합성에 유리한 파장을 제공하는 샤워기
KR20220115480A (ko) * 2021-02-08 2022-08-17 세비앙 주식회사 비타민 d 합성 및 살균 제어 장치와 비타민 d 합성 및 살균 제어 장치의 비타민 d 합성 및 살균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1032B2 (en) Disinfecting device having a power supply and a fluid outlet
WO2013073564A1 (ja) 浄化装置と浄化方法
US76622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quid purification
KR20150032044A (ko)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샤워기
WO2013084485A1 (ja) 殺菌装置
AU43612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fluids
KR20170049618A (ko) 양액 재배 시스템과 제균 정화용 수처리 장치
MX2007013275A (es) Aparato para manufacturar agua esterilizada, y aparato portatil para manufacturar solucion de sal esterilizada.
JP4072110B2 (ja) 殺菌装置
KR102038961B1 (ko) Uv-led를 이용한 샤워장치
KR20150002647U (ko) 온수매트용 온수 공급 장치
KR20150028155A (ko) 살균수 제조기
KR20150052379A (ko) 비데 장치
JP2010275748A (ja) 排水口用蓋体
US20210371304A1 (en) Filter assembly for disinfecting pathogens using multiple waveleng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s (uv-leds) and method therefor
KR20170119811A (ko) 전기분해부와 소독부가 포함된 내시경 소독장치
US10906824B2 (en) Ozone-assisted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984304B1 (ko) 살균수 및 산소수 제조장치
KR20150025688A (ko)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구강세정기
JP2011031231A (ja) 超音波微細気泡発生装置
KR20150044661A (ko) 고도산화수를 이용하는 수도꼭지
EP32631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ing aqueous solution using flexible ultraviolet irradiator
JP2000296391A (ja) 水中紫外線殺菌装置
CN106145244B (zh) 紫外线净水杀菌模块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50050197A (ko) Uv led가 구비된 의료용 흡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