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953A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953A
KR20150031953A KR20130111840A KR20130111840A KR20150031953A KR 20150031953 A KR20150031953 A KR 20150031953A KR 20130111840 A KR20130111840 A KR 20130111840A KR 20130111840 A KR20130111840 A KR 20130111840A KR 20150031953 A KR20150031953 A KR 20150031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nput
line
determined
line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706B1 (ko
Inventor
정인형
김효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706B1/ko
Priority to US14/484,830 priority patent/US10007420B2/en
Publication of KR20150031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8Character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alphabet, e.g. Latin alphabet
    • G06V30/287Character recogni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alphabet, e.g. Latin alphabet of Kanji, Hiragana or Katakana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3Editing text-bitmaps, e.g. alignment, spacing; Semantic analysis of bitmaps of text without OC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접하여 표시하는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한 범위에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객체가 인접한 경우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데이터 입력을 출력하는 장치의 하나로 출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표시부) 또는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표시부에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고, 표시된 정보 또는 터치 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터치 또는 호버링하는 제스처를 입력 또는 표시부와 독립하여 제공되는 입력 장치에 입력하여 입력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의 기능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객체를 출력하고, 객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한 객체를 전자 장치의 데이터로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입력한 다양한 정보를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고, 입력한 제스처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다양한 필체로 필기 입력한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로 변환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서 둘 이상의 베이스 라인에 대응하는 객체를 검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서 인접한 객체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접하여 표시하는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인접하여 표시하는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는 객체 처리 모듈 및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인접한 객체를 검출하거나 디지털 객체로 변환함에 있어서 오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하여 디지털 객체로 변환함으로써 오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줄 간격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줄 간격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에 멀티 라인(multi-line, 두 줄 이상) 또는 인접한 것으로 결정된 둘 이상의 객체를 인식함에 있어서 각각의 객체에 결정된 베이스 라인을 기반으로 한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이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가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의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다른 객체로 인식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발생하거나 또는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이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가 인식할 수 있는 기준의 줄 간격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객체를 인식(또는 검출)하는데 있어서 전자 장치(100)의 성능 저하를 발생하는 등의 오작동(또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에서 객체를 감지, 인식 또는 검출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 또는 객체 사이의 간격은 입력된 객체 또는 표시된 객체를 오류 없이 감지, 인식 또는 검출하거나 디지털 객체로 변환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 또는 객체 사이의 간격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 장치(100)가 입력된 객체 또는 표시된 객체를 감지, 인식 또는 검출하거나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지정된 처리 시간을 초과하는 등 전자 장치(10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 또는 객체 사이의 간격으로 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멀티 라인, 두 줄 이상 또는 인접한 것으로 결정된 둘 이상의 객체는 입력된 객체의 스트로크를 참조하여, 하나의 직선(또는 베이스 라인) 상에 입력된 객체가 아닌 것으로 결정한 객체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객체에 결정한 베이스 라인을 참조하여 동일한 베이스 라인을 적용할 수 없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객체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는 객체를 표시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를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전자 장치가 포함한 표시 장치(터치 스크린 및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하지 않은 표시부)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통한 입력 동작과 표시부를 통한 표시 동작을 물리적인 한 화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장치 구성에서 표시부와 입력 장치는 따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표시부를 표현하는 경우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있거나, 입력장치를 표시부로 나타낼 수도 있다.
본 개시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만 국한되지 않고, 표시부와 입력 장치가 물리적으로 분리 구분되어 있거나, 표시부와 입력 장치 중에서 하나만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에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터치 입력 장치와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터치 입력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표시부,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부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전자 장치(100)는 이동 통신 사용자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C(Personal Computer) 랩탑(laptop),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TV(smart TV),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C),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 와치(smart watch), HMD(Head Mount Display) 및 MPEG-1 Audio Layer-3 Player(MP3P)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을 포함하고, 주변 장치로는 입출력 처리부(130), 표시부(131), 터치 입력 장치(132), 오디오 처리부(140), 통신 시스템(150) 및 다른 주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111) 및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 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12)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2)의 동작으로 프로그램에서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저장부(112)에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 정보를 미리 정하여 테이블(table)이나 리스트(list)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1)는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 입출력 제어 프로그램(117),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111)에 포함되는 프로그램들은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응용 프로그램(119)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은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모듈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객체를 검출하여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객체 인식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식 객체 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의 운용 방식을 통해 필기 입력된 객체에서 디지털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객체 인식 시스템은,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에 포함하는 객체(예: 이미지,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문자열)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객체 인식 프로그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객체 인식 모듈, 객체 인식 엔진 또는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예: 모듈 형식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는 터치 스크린(133) 또는 터치 입력 장치(132)에 필기 입력한 객체를 감지 또는 검출할 수있고, 표시부(131)에 표시된 일반 이미지, 필기 이미지, 일반 문자 이미지, 필기 문자 이미지 등의 객체를 감지 또는 검출할 수 있고, 감지 또는 검출한 객체를 지정된 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은 표시부(131) 또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된 객체를 인식함에 있어서, 객체를 구성하는 철자 또는 스트로크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스트로크를 통해서 표시된 객체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은 독립된 프로그램으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램의 일부(예: 객체 처리 프로그램 116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인(plug-in) 방식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과 연결된 프로그램 모듈로 포함될 수도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한 줄 또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한, 또는 인접한 것으로 결정된 둘 이상의 객체를 구성하는 철자의 스트로크(stroke)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스트로크를 감지함으로써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한 좌표계 상에서 철자가 위치한 상태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에 표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를 통해서 철자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직사각형 격자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에 표시한 직사각형 격자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베이스 라인을 통해서 여러 줄로 입력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전자 장치에 입력된 객체가 여러 줄(또는 두 줄 이상)로 인접하여 입력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 전자 장치(100) 터치 스크린(133)에 정해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 또는 좌표계를 기반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상의 라인을 제공할 수 있고, 입력된 객체가 위치한 가상의 라인을 참조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표시된 각각의 객체에 동일한 베이스 라인을 적용할 수 없는 경우 다른 줄에 입력된 또는 표시된 객체로 결정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입력한 객체의 기울어진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를 참조하여 새로운 좌표계를 설정할 수 있고, 새로 결정한 좌표계를 기준으로 객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7) 결정한 베이스 라인을 참조하여 다른 객체와의 줄 간격을 결정하도록 처리하고. 결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줄 간격을 재설정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라인을 결정하는 기반이 된 객체들의 위치 또는 표시 영역을 재설정한 베이스 라인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베이스 라인을 참조하여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재설정한 베이스 라인을 참조하여 이동된 객체들의 정보를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과 같이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들을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객체 인식 시스템(system)에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포함된 객체 처리 프로그램(115)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와 연결된 객체 인식 장치,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의 객체 인식 시스템 또는 서버 장치의 객체 인식 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이 처리하는 객체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된 철자, 단어, 기호, 숫자, 기하학적 무늬, 기하학적 패턴과 같은 요소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한 문자열로 나타낼 수 있고, 상술한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림 또는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은 독립된 프로그램으로 전자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프로그램의 일부(예: 객체 인식 프로그램 115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다른 프로그램에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는 플러그 인(plug-in) 방식으로 포함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프로그램과 연결된 프로그램 모듈로 포함될 수도 있다.
입출력 처리 프로그램(117)은 미디어 처리 프로그램(116)을 통해 미디어 데이터 리코딩 과정에서 전자 장치(100)의 내부 및/또는 외부의 소리를 입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처리 프로그램(117)은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하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하는 제스처를 시간 순서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제스처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통신 시스템(150)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이용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다른 전자 장치를 검색할 수 있다. 만일, 통신 연결을 위한 다른 전자 장치가 검색된 경우,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통신 제어 프로그램(118)은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와의 성능 검색 및 세션 성립 절차를 수행하여 통신 시스템(150)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예: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 포함되는 메모리(1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10)는 용도에 따라서 프로그램 저장부(111)만의 기능을 할 수도 있고 데이터 저장부(112)만의 기능을 할 수도 있으며, 두 가지 모두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는 전자 장치의 특성상 메모리(110) 내부의 물리적 영역 구분이 명확하게 구성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할 수도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로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입출력 처리부(130)을 통해 표시부(131)로 전자 장치의 UI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터치 입력 장치(132)가 전자 장치(100)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입력받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 처리부(130)는 표시부(131) 및 터치 입력 장치(132)와 같은 입출력 장치(133)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31)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외부에서 입력하는 객체, 동화상 이미지 또는 정화상 이미지의 화상 이미지를 프로세서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받아 UI 동작을 구성하여 입출력 제어부(131)를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입력 장치(13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처리부(130)를 통해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132)는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해서 제어 버튼만으로 구성되거나 키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132)는 입출력이 한 화면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표시부(131)에 함께 입출력 장치(133)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출력 장치(133)에 사용되는 터치 입력 장치(132)는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압력 감지)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기 유도 방식, 초음파 방식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 장치(132)의 입력 방식은 상기 직접 터치 스크린(133)을 직접 터치하여 입력하는 방식 외에도 입력하는 입력 수단이 터치 스크린(133)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면 명령을 입력하는 것으로 처리하는 방식일 수 있고 호버링(hovering) 터치, 플로팅 터치(floating touch), 간접 터치, 근접 터치 또는 비접촉 입력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33)는 물리적으로 표시부(131) 상에 터치 입력 장치(132)를 한 화면에 결합한 장치로서 전자 장치(100)의 동작에 있어서 표시부(131)에 표시하고 있는 화면 구성을 터치(touch)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일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전자 장치(100)의 UI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부(131)와 외부의 명령을 전자 장치(100)에 입력하는 터치 입력 장치(132)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에서 표시부(131) 및 터치 입력 장치(132)를 포함하여 터치 스크린(13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과 펜 터치 패널이 함께 구현된 복합 터치 패널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133)을 도시하고 이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은 복합 터치 패널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에 한정하지 않고 펜 터치만이 가능한 펜 터치 패널이 적용된 터치 스크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스피커(141) 및 마이크로폰(142)을 통해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50)은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150)은 기지국을 통하는 이동 통신, 유선 통신, 위성 통신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과 연결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은 적외선 통신(infrared transmission),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WiFi) 통신, NFC 무선 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통신, UWB(Ultra Wide Band)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무선랜 통신 및 유선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150)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을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통신 시스템(150) 및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60)이 하나의 통신 시스템 모듈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적외선 통신 모듈과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10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서(122)가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 모듈(미도시)에 의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에 표시 또는 전자 장치(100)에 출력은 전자 장치(100)의 터치 스크린(133)에 동화상, 정화상 또는 GUI 동작을 표시하거나 스피커(141)로 신호음 또는 음성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용어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도 마찬가지의 의미로 표시 또는 출력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고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따로 설명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 두 줄 이상의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객체라 함은, 텍스트, 기호, 숫자, 패턴 등 기록으로 표시할 수 있는 형상 또는 문자열을 의미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는 각 국가의 언어, 를 포함할 수 있고, 기하학적 무늬, 기호, 표식 및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객체는 전자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언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객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로 구성될 수 있고, 단어는 철자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철자의 한 예는 영어의 알파벳일 수 있고, 한글과 같이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어 음절을 결정하는 언어의 경우 자음 및/또는 모음을 철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글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자음 및 적어도 하나의 모음으로 구성된 한 음절을 글자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한글에서 철자 및 글자는 구분해서 표시하지 않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음 및 모음으로 구성되는 한 음절(글자)를 철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철자는 스트로크(stroke)를 통해서 형상화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확인함에 있어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 획(stroke)을 확인할 수 있고, 한 줄의 객체 입력을 마치고 다음 줄의 객체를 입력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감지한 두 줄 이상으로 필기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구성된 디지털 객체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동작에 있어서,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가 두 줄 이상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는 줄 간격보다 작은 경우 다른 국가의 언어로 잘못 결정하거나, 대응하는 디지털 텍스트를 결정할 수 없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필기 입력된 두 줄 이상의 객체의 줄 간격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두 줄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두 줄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범위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범위로 정한 경우에도 '줄 간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의 상측 위치에는 소리를 표출할 수 있는 스피커(141)를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하측에는 클릭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중 하나인 버튼(201)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된 위치에서 터치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버튼(203 또는 20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자 장치(100)의 외부 소리를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142)을 전자 장치(100) 외부로 노출되어 소리를 입력할 수 있는 위치에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전면부에 표시부(131) 또는 터치 스크린(133)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UI 동작을 표시부(131) 또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서 표시한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한 명령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100)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포함한 것으로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스피커(141), 마이크로폰(142), 버튼(201) 또는 터치 버튼(203 또는 205) 및 터치 스크린(133)에 대해 도시하지 않더라도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스피커(141), 버튼(201) 또는 터치 버튼(203 또는 205), 터치 스크린(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서 두 줄 이상의 객체를 필기 입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미국', '중국', '한국'으로 구성된 객체를 각각 한 줄로 세 줄에 걸쳐서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입력한 객체를 필기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모듈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객체를 검출하여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광학식 객체 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필기 입력된 객체에서 디지털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객체를 획득함에 있어서,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로 구성된 객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두 줄의 다른 객체로 인식할 수 없어 한글이 아닌 다른 언어로 결정하거나 한글로 인식한 경우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하지 못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필기 입력된 객체를 검출함에 있어서 각각의 획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한 줄의 마지막 획을 입력하고, 다른 줄에 획의 입력을 시작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두 줄 이상의 객체를 입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두 줄에 걸쳐서 입력한 '미국' 및 '중국'을 검출함에 있어서, 객체 '미국'에서 '국'의 받침(종성) 'ㄱ'획을 입력한 것을 감지하고, '미국'과 동일 선상의 영역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터치 스크린(133)의 일정 영역에 '중국'에서 자음(초성) 'ㅈ'을 입력한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입력한 '미국' 및 '중국'은 두 줄에 걸쳐서 입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줄에 입력된 객체 높낮이(높이)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된 객체 '미국'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 '중국'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국'의 높이 최소값과 '중국'의 높이 최대값을 두 줄에 입력된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를 두 줄로 입력된 객체인지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인지 비교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미국'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중국'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국'의 높이 최소값을 기준으로 결정한 베이스 라인과 '중국'의 높이 최대값을 기준으로 결정한 베이스 라인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를 두 줄로 입력된 객체인지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인지 비교할 수도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에서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객체에서 결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2의 (b)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객체에서 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 사이에서 결정한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좁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을 기준이 되는 줄 간격 이상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결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서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은, 검출한 객체의 단어, 철자, 또는 획(stroke)와 같이 객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디지털 텍스트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 과정에서 두 줄로 입력된 객체를 한 줄로 입력된 객체로 결정 또는 그 이상의 줄로 입력된 객체를 틀린 줄 수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틀린 줄 수로 결정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경우 다른 객체로 결정하거나, 대응하는 디지털 텍스트 또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로 결정한 줄 간격 또는 재설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틀린 줄 수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해당하는 객체 사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줄 간격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가상의 좌표계를 설정할 수 있고, 터치 또는 호버링을 통한 제스처의 입력 위치를 가상의 좌표계의 좌표 축을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되지 않는 가상의 'x 축(301)' 및 가상의 'y축(307)'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a에 표시된 다른 'x 축(303 또는 305)'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좌표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추가된 가상의 'x 축(303 또는 305)'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표시된 좌표의 'x 축'은 양(+)의 값을 가지고, 'y 축'은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에 대응하는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를, 단어, 철자별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에서 각각의 단어 또는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글자(또는 철자)에서 'x 축' 방향의 최대값 및 최소값, 'y 축' 방향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a에 표시한 객체 '미국'의 경우, '미'의 'x 축' 최대값을 'b', 최소값을 'a'로, 'y 축' 최대값을 'e', 최소값을 'g'로 결정할 수 있고, '국'의 'x 축' 최대값을 'c', 최소값을 'd'로, 'y 축' 최대값을 'f', 최소값을 'h'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에서 획득한 좌표를 통해서 각각의 줄에 포함된 객체의 높이(y 축)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 '미국'을 동일한 줄에 입력된 객체로 결정할 수 있고, 동일한 줄에 입력된 객체 '미국'의 높이(y 축) 최대값을 'e'로, 최소값을 'h'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 '중국'에 대하여 높이(y 축) 최대값을 'n'로, 최소값을 'q'로 결정할 수 있고, 입력된 객체 '한국'에 대하여 높이(y 축) 최대값을 'v'로, 최소값을 'y'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의 각각의 줄로 구분된 객체의 높이 최대값 또는 높이 최소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줄에 위치한 객체 사이의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 '미국'의 높이 최소값 'h' 및 입력된 객체 '중국'의 높이 최대값 'n'의 'y 축' 거리를 입력된 객체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을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로 입력된 객체로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과 비교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 '중국'의 높이 최소값 'q' 및 입력된 객체 '한국'의 높이 최대값 'v'의 'y 축' 거리를 입력된 객체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을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로 입력된 객체로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과 비교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경을 결정함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133)에 입력된 객체에 따라서 결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미국' 및 '중국'의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입력한 객체 '미국' 및 '중국'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미국'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국'의 높이는 높이 최대값 'e' 및 높이 최소값 'h'의 차이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국'의 높이는 높이 최대값 'n' 및 높이 최소값 'q'의 차이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미국' 및 '중국'의 평균 높이를 결정할 수 있고, '미국' 및 '중국'의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미국' 및 '중국'의 평균 높이의 1/3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중국' 및 '한국'의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에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두 줄 이상의 객체의 줄 간격을 비교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객체를 입력하던 줄에 입력된 객체의 높이 최소값과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의 높이 최대값으로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베이스 라인 사이의 간격을 줄 간격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고,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라서 입력한 객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이 '미국' 및 '중국'의 평균 높이의 1/3(도 3b를 참고하여 결정한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작은 경우,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을 '미국' 및 '중국'의 평균 높이의 1/3보다 크고 '미국' 및 '중국'의 평균 높이의 2/3보다 작게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이 재설정한 줄 간격이 되도록 '알파'값을 결정할 수 있고, 입력된 객체 '중국'을 '-y 축' 방향으로 '알파'값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른 '미국' 및'중국'을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라서 입력된 객체를 이동하는 경우 입력된 객체 '미국'뿐만 아니라 '미국'을 이동함으로써 줄 간격의 변화가 생기는 '한국'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 '미국'을 '-y 축' 방향으로 '알파'값 만큼 이동한 경우, '한국' 또한 '-y 축' 방향으로 '알파'값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미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라서 '한국'의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y 축' 방향으로 '알파'값 만큼 추가로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이 '중국' 및 '한국'의 평균 높이의 1/3(도 3b를 참고하여 결정한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작은 경우,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을 '중국' 및 '한국'의 평균 높이의 1/3보다 크고 '중국' 및 '한국'의 평균 높이의 2/3보다 작게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이 재설정한 줄 간격이 되도록 '베타'값을 결정할 수 있고, 입력된 객체 '한국'을 '-y 축' 방향으로 '베타'값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른 '중국' 및'한국'을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중국' 및 '한국'을 '알파'값 만큼 이동하기 전인 경우 '베타'값은 '알파'값을 추가로 포함한 값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 또는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로 인식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고,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결과를 디지털 객체로 변경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 두 줄 이상의 기울기를 가진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기울어진 객체를 확인함에 있어서, 객체를 구성하는 각각 획(스트로크, stroke)을 확인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133)에 기울기를 가진 상태에서 한 줄의 객체 입력을 마치고 다음 줄의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의 객체를 입력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감지한 두 줄 이상으로 필기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구성된 디지털 객체로 변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동작에 있어서, 기울기를 가진 상태에서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가 두 줄 이상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는 줄 간격보다 작은 경우 다른 국가의 언어로 잘못 결정하거나, 대응하는 디지털 텍스트를 결정할 수 없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필기 입력된 기울기를 가진 두 줄 이상의 객체의 줄 간격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두 줄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에서 두 줄 이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은 미리 정해진 값일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범위일 수도 있다. 이하 설명에서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범위로 정한 경우에도 '줄 간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서 기울어진 상태의 두 줄 이상의 객체를 필기 입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 '대만'으로 구성된 객체를 각각 한 줄로 두 줄에 걸쳐서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필기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입력한 객체를 필기 입력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모듈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서 객체를 검출하여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광학식 객체 판독기(Optical Character Reader, OCR)와 같은 방법을 통해 필기 입력된 객체에서 디지털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객체를 획득함에 있어서,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로 구성된 객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두 줄의 다른 객체로 인식할 수 없어 한글이 아닌 다른 언어로 결정하거나 한글로 인식한 경우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하지 못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두 줄 이상으로 필기 입력된 객체를 검출함에 있어서 각각의 획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한 줄의 마지막 획을 입력하고, 다른 줄에 획의 입력을 시작하는 동작을 감지할 수 있고, 두 줄 이상의 객체를 입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두 줄에 걸쳐서 입력한 '캐나다' 및 '대만'을 검출함에 있어서, 객체 '캐나다'에서 '다'의 모음 'ㅏ'획을 입력한 것을 감지하고, '캐나다'과 동일 선상의 영역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터치 스크린(133)의 일정 영역에 '대만'에서 자음(초성) 'ㄷ'을 입력한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입력한 '캐나다' 및 '대만'은 두 줄에 걸쳐서 입력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줄에 입력된 객체 높낮이(높이)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된 객체 '캐나다'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고,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 '대만'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의 높이 최소값과 '대만'의 높이 최대값을 두 줄에 입력된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를 두 줄로 입력된 객체인지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인지 비교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캐나다'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대만'의 높이 최대값 및 최소값을 기준으로 각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의 높이 최소값을 기준으로 결정한 베이스 라인과 '대만'의 높이 최대값을 기준으로 결정한 베이스 라인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를 두 줄로 입력된 객체인지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인지 비교할 수도 있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에서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객체에서 결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4의 (b)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객체에서 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 입력한 객체 사이에서 결정한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좁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을 기준이 되는 줄 간격 이상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결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에서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은, 검출한 객체의 단어, 철자, 또는 획(stroke)와 같이 객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저장된 또는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대응하는 디지털 텍스트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 과정에서 두 줄로 입력된 객체를 한 줄로 입력된 객체로 결정 또는 그 이상의 줄로 입력된 객체를 틀린 줄 수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틀린 줄 수로 결정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경우 다른 객체로 결정하거나, 대응하는 디지털 텍스트 또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로 결정한 줄 간격 또는 재설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디지털 텍스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틀린 줄 수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해당하는 객체 사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줄 간격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가상의 좌표 축을 설정할 수 있고, 터치 또는 호버링의 입력 위치를 가상의 좌표 축을 기반으로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되지 않는 가상의 'x 축(501)' 및 가상의 'y축(505)'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a에 표시된 다른 'x 축(503)'는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좌표를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해서 추가된 가상의 'x 축(503)'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에 표시된 좌표의 'x 축'은 양(+)의 값을 가지고, 'y 축'은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에 대응하는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를, 단어, 철자별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에서 각각의 단어 또는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글자(또는 철자)에서 'x 축' 방향의 최대값 및 최소값, 'y 축' 방향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a에 표시한 객체 '캐나다'의 경우, '캐'의 'x 축' 최대값을 'c', 최소값을 'a'로, 'y 축' 최대값을 'j', 최소값을 'l'로 결정할 수 있고, '나'의 'x 축' 최대값을 'e', 최소값을 'b'로, 'y 축' 최대값을 'h', 최소값을 'k'로 결정할 수 있고, '다'의 'x 축' 최대값을 'f', 최소값을 'd'로, 'y 축' 최대값을 'g', 최소값을 'i'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글자를 참조하여 입력된 글자가 터치 스크린(133)의 'x 축'에서 미리 정한 기울기 이상 기울어진 채로 입력된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 '캐나다'에서 '캐'의 높이 최고점 및 최저점으로 글자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줄로 입력한 객체 '캐나다'의 각각의 글자 '캐', '나' 및 '다'의 높이 평균으로 객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글자 또는 객체의 높이를 참고하여 다음 입력된 글자의 높이 최고점이 바로 전 입력된 글자의 높이 최고점보다 일정 수치 이상 높은 경우,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된 객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글자 '나'의 높이 최고점 'h' 및 직전 입력한 글자 '캐'의 높이 최고점 'j'의 차이가 입력한 글자 '캐'의 높이(j-l)/3과 같이 이리 정한 일정 수치보다 큰 경우, '캐나다'는 기울어진 상태로 입력한 객체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전자 장치(100)는, 표시한 객체 '대만'에서, '대'의 'x 축' 최대값을 'o', 최소값을 'm'로, 'y 축' 최대값을 'r', 최소값을 't'로 결정할 수 있고, '만'의 'x 축' 최대값을 'p', 최소값을 'n'로, 'y 축' 최대값을 'g', 최소값을 's'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입력된 '대만'을 기울어진 글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방법 외에도 '캐나다' 및 '대만'의 일정 좌표를 기준으로 입력한 객체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를 가진 객체인지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각각의 글자의 'x 축' 최대값 및 최소값, 'y 축' 최대값 및 최소값으로 결정한 각각 글자의 직사각형 격자에서 일정 좌표를 연결한 선을 통해서 다른 줄에 입력된 각각의 단어가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5b에서 상술한 입력한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각각의 글자의 'x 축' 최대값 및 최소값, 'y 축' 최대값 및 최소값으로 결정한 각각 글자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격자에서 일정 좌표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단어 '캐나다' 및 '대만'에서 결정한 일정 좌표를 연결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선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양(+)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의 첫 글자인 '캐'를 둘러싼 직사각형 격자에서 'x 축' 최대값 및 'y 축' 최소값으로 구성된 좌표점 (c,l) 및 첫 글자인 '다'를 둘러싼 직사각형 격자에서 'x 축' 최대값 및 'y 축' 최소값으로 구성된 좌표점 (f, i)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두 좌표점 (c, l) 및 (f, i)를 연결해 입력된 객체 '캐나다'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양(+)의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대만'의 첫 글자인 '대'를 둘러싼 직사각형 격자에서 'x 축' 최대값 및 'y 축' 최소값으로 구성된 좌표점 (n,t) 및 첫 글자인 '다'를 둘러싼 직사각형 격자에서 'x 축' 최대값 및 'y 축' 최소값으로 구성된 좌표점 (p, s)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두 좌표점 (n, t) 및 (p, s)를 연결해 입력된 객체 '대만'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기울기가 양(+)수인지 음(-)수인지 여부에 따라서 입력한 객체의 일정한 위치에 좌표점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좌표점을 기반으로 입력된 객체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결정된 좌표점을 연결하여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때 입력한 객체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좌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글자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좌표점을 결정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글자를 둘러 싼 직사각형 격자를 참조하여 일정 위치의 좌표점을 정함에 따라서 글자의 하단 뿐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베이스 라인이 위치하도록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줄에 입력된 객체를 기반으로 결정한 베이스 라인을 통해 하나의 기준이 되는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줄에 입력된 객체의 베이스 라인을 평균하여 하나의 기준이 되는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하나의 기준이 되는 라인을 기울어진 상태에서 입력한 두 줄 이상의 객체에 대한 새로운 'x프라임(prime, ') 축(51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새로 결정한 'x프라임 축(511)'을 통해서 수직한 방향으로 'y프라임 축(513)'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x프라임 축(511)' 및 'y프라임 축(513)'으로 구성된 좌표계에서 입력된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캐나다'의 최고점 'g프라임' 및 최저점 'i프라임'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대만'의 최고점 'l프라임' 및 최저점 's프라임'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에 입력한 객체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두 줄 이상으로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고,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라서 입력한 객체를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이 '캐나다' 및 '대만'의 평균 높이의 1/3(도 5b를 참고하여 결정한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작은 경우,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을 '캐나다' 및 '대만'의 평균 높이의 1/3보다 크게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이 재설정한 줄 간격이 되도록 '알파'값을 결정할 수 있고, 입력된 객체 '대만'을 '-y프라임 축' 방향으로 '알파'값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른 '캐나다' 및'대만'을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로 인식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고,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라서 입력된 객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결과를 디지털 객체로 변경하는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디지털 객체로 변경하는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로 인식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큰 경우 줄 간격을 재설정하지 않고, 입력된 객체를 기반으로 결정된 사각형 격자. 베이스 라인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를 통해서 디지털 객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디지털 객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 중에, 데이터를 처리하는 지정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지정된 방식에 다른 디지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거나, 에러 코드를 출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에 저장하고 있는 입력된 객체를 기반으로 결정된 사각형 격자. 베이스 라인 등의 정보를 통해서 입력된 객체 사이의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6c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객체를 입력함에 있어서 기울기가 서로 다른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에 대하여 기울기가 동일 또는 유사한 객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객체들 그룹에 따라서 좌표계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 적용된 좌표계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에 입력한 객체로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6a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객체를 입력함에 있어서 기울기가 소로 다른 객체가 입력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기울기가 다른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기 위해서 객체의 기울기에 따른 새로운 좌표계를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새로운 좌표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검출한 객체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를 가진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미국', '중국' 및 '한국'을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를 가진 제 1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고, '캐나다' 및 '대만'을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를 가진 제 2 객체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객체 그룹이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로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는 기울기를 가진 객체 그룹인지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객체 그룹의 '미국', '중국' 또는 '한국'을 구성하는 철자의 직사각형 격자를 통해서 객체의 기울기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새로운 좌표계를 설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2 객체 그룹을 구성하는 '캐나다' 또는 '대만'을 구성하는 철자의 직사각형 격자를 통해서 객체의 기울기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제 2 객체 그룹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좌표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6a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기울기가 서로 다른 객체가 입력된 경우 각각의 객체에 적용할 수 있는 좌표계를 설정하고 객체간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 1 객체 그룹 및 제 2 객체 그룹에 적용 가능한 좌표계를 각각 설정할 수 있고, 제 1 객체 그룹 또는 제 2 객체 그룹은 각각 독립하여 그룹에 포함된 객체 간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그룹이 포함하는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로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객체 간에 결정한 줄 간격을 각각 독립하여 재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b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에 입력된 객체 또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된 객체는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 또는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을 통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를 포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또는 그 이상의 철자를 포함한 객체는 도 6b에 표시된 것처럼 곡선으로 입력된 문자열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된 ‘아르헨티나’의 베이스라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의 글자를 통해 결정한 사각형 격자의 지정된 한 점이 터치 스크린(133)에 결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의 한 축을 기준하여 직선으로 결정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베이스 라인을 직선으로 결정할 수 없는 경우, 객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패턴을 표시된 객체 ‘아르헨티나’에 적용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도형의 패턴을 표시된 객체 ‘아르헨티나’에 적용할 수 있고, 원의 일부 또는 호의 형태를 가진 곡선으로 표시된 객체임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해서도 베이스 라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직선으로 입력된 객체가 아닌 것으로 결정한 경우,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패턴을 적용할 수 있고, 대응하는 형식에 따른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직선으로 입력되지 않은 표시된 객체의 입력 방법에서 매칭되는 패턴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철자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글자로 생성한 사각형 격자의 지정된 좌표를 통해서 직선 또는 곡선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b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아르헨티나’를 기반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라인에서 한 점 및 표시된 객체 ‘사우디아라비아’를 기반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라인에서 한 점이 가장 가까운 동일한 좌표 축 상의 두 점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두 점으로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로 인식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두 점 사이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좁아(또는 짧아)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줄 간격을 결정하는 베이스 라인을 기준으로 표시된 객체 사이의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두 점 사이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넓어(또는 길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줄 간격을 결정하는 베이스 라인 또는 객체 사이의 간격을 재설정하지 않고 각각의 베이스 라인을 기준으로 표시된 객체들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100)는 표시한 객체에 설정된 베이스 라인, 사각형 격자, 베이스 라인을 기준으로 재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의 위치(또는 객체 사이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표시한 객체의 위치(또는 줄 간격)를 재설정한 경우 재설정한 정보에 따라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객체의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 또는 을 통해서 입력된 객체 또는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객체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과표계를 기반으로 터치 입력 장치(132)에 입력하는 스트로크의 좌표를 결정할 수 있는 또는 입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로크에서 베이스 라인을 결정하는 기반이 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에 제공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상의 선으로 모눈(grid)을 나타낼 수도 있고, 입력한 객체 또는 객체에 포함한 스트로크의 위치 또는 형태를 측정하는 단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c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의 스트로크를 통해서 스트로크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가상의 선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가상의 선으로 사각형 격자를 형성할 수 있고, 가상의 선 통해서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한국’에서 각각의 글자 또는 철자에 대해서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검출한 스트로크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 ‘한국’이 좌표계 상에서 위치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입력한 객체 ‘한국’의 스트로크에서 바깥 영역의 끝 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한 스트로크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 ‘한국’의 ‘x 축의 최소점 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a’를 결정할 수 있고, 최대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b’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한 스트로크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 ‘한국’의 ‘y 축’의 최소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h’를 결정할 수 있고, 최대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f’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각각의 글자 또는 철자에 대해서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한 스트로크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 ‘오스트레일리아’의 ‘x 축의 최소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c’를 결정할 수 있고, 최대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d’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검출한 스트로크를 통해서 입력한 객체 ‘오스트레일리아’의 ‘y 축’의 최소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g’를 결정할 수 있고, 최대점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 ‘e’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서 결정한 각각의 가상의 선은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의 선 중에서 결정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 축과 평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입력한 객체 ‘한국’에서 하나의 가상의 선 및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하나의 가상의 선 사이의 축 간(사이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또는 각각 객체에 가상의 선의 동일한 축에서 가장 가까운 두 점을 포함하는 두 가상의 선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입력된 객체 ‘한국’ 및 ‘오스트레일리아’를 통해 결정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두 가상의 선을 ‘b’및 ‘c’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가상의 선 ‘b’및 ‘c’를 입력된 객체 사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베이스 라인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b의 (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아르헨티나’를 기반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라인에서 한 점 및 표시된 객체 ‘사우디아라비아’를 기반으로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베이스 라인에서 한 점이 가장 가까운 동일한 좌표 축 상의 두 점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두 점으로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두 점 사이의 거리가 전자 장치(100)에서 다른 줄에 입력된 객체로 인식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두 점 사이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좁아(또는 짧아)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줄 간격을 결정하는 베이스 라인을 기준으로 표시된 객체 사이의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두 점 사이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보다 넓어(또는 길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한 것으로 결정한 경우, 줄 간격을 결정하는 베이스 라인 또는 객체 사이의 간격을 재설정하지 않고 각각의 베이스 라인을 기준으로 표시된 객체들을 그대로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100)는 표시한 객체에 설정된 베이스 라인, 베이스 라인으로 결정된 가상의 선, 가상의 선으로 결정된 사각형 격자, 베이스 라인을 기준으로 재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의 위치(또는 객체 사이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표시한 객체의 위치(또는 줄 간격)를 재설정한 경우 재설정한 정보에 따라서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객체의 정보를 기반으로 객체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정보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 또는 을 통해서 입력된 객체 또는 전자 장치(100)에 표시된 객체를 검출하여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도 2의 (c), 도 3c, 도 4의 (c), 도 5c, 도 6a의 (b), 도 6b의 (b), 도 6c의 (b)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객체 사이의 간격(또는 줄 간격)에 따라서 이동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를 터치 스크린(133) 또는 표시부(131)에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도면들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로서,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줄 간격 및/또는 재설정한 줄 간격에 대응해서 재설정한 객체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터치 스크린(133) 또는 표시부(131)에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둘 이상의 객체 사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한 경우, 터치 스크린(133) 또는 표시부(131)에 출력하지 않고, 재설정한 객체에 대한 정보(예: 표시 장치에 출력하지 않은 데이터 상태의 객체)를 기반으로 객체를 인식하는 동작 또는 디지털 객체로 변환하는 동작과 같이 객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입력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가 두 줄 이상으로 입력한 글인지 결정할 수 있고, 두 줄 이상으로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고, 객체의 결정한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동작(701)에서 전자 장치(100)는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서 필기 입력한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미국', '중국' 또는 '한국'과 같이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터치 스크린에 '캐나다' 또는 '대만'과 같이 기울어진 객체, ‘아르헨티나’ 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이 지정된 패턴을 가진 객체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이 세로오 입력된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객체를 감지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133)과 같이 입력 장치에 입력된 객체에 한정하지 않고,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정보, 터치 스크린(133)(또는 표시부)에 표시된 객체를 통해서도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703)에서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가 두 줄 이상으로 입력된 객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된 객체의 획을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철자를 확인할 수 있고, 객체가 입력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획으로 결정할 수 있는 최대점 및 최소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객체를 입력하는 획순(stroke)를 통해서 두 줄 이상으로 입력하는 객체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가 두 줄 이상인 것으로 결정한 경우 동작(707)을 수행할 수 있고, 입력한 객체가 두 줄 이상인 것으로 결정하지 않은 경우 도 7의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동작(705)에서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최소점 및 최대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y 축'을 기준으로 '미국' 및 '중국'의 높이 최대값과 높이 최소값 또는 '중국' 및 '한국'의 높이 최대값과 높이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도 5a 및 도 5c를 참조하여 'y프라임 축'을 기준으로 '캐나다' 및 '대만'의 높이 최대값과 높이 최소값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객체의 높이 최대값 또는 최소값으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기울어진 객체 '캐나다' 및 '대만'에서 'y프라임 축'을 기준으로 결정한 '캐나다'의 높이 최소값 'i프라임' 및 '대만'의 높이 최대값 'l프라임'의 'y프라임 축'간 거리를 객체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을 전자 장치(100)에서 두 줄 이상으로 입력한 객체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결정한 줄 간격이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동작(709)을 수행할 수 있고,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한 경우 도 7의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동작(709)에서 전자 장치(100)는 기준이 되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입력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줄 간격(예: 입력한 객체 높이의 1/3 이상의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중국' 및 '한국'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중국' 및 '한국'의 높이를 각각 결정할 수 있고, 각각 객체의 높이 또는 '중국' 및 '한국'의 높이를 평균으로 결정한 평균 높이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높이의 1/3보다 '미국' 및 '중국'의 줄 간격이 좁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높이의 1/3(줄 간격)을 만족하도록 '미국' 및 '중국'을 'y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한국'을 '-y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미국', '중국' 및 '한국'을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을 결정함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줄 간격(예: 입력한 객체 높이의 1/3 이상의 줄 간격)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전자 장치(100)는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입력한 '캐나다' 및 '대만'의 좌표점을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x프라임' 및 'y프라임' 좌표계를 통해 '캐나다' 및 '대만'의 높이를 각각 결정할 수 있고, 각각 객체의 높이 또는 '캐나다' 및 '대만'의 높이를 평균으로 결정한 평균 높이 중에서 전자 장치(100)에 미리 정해진 높이의 1/3보다 '캐나다' 및 '대만'의 줄 간격이 좁을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미리 정해진 높이의 1/3(줄 간격)을 만족하도록 '캐나다'를 'y프라임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대만'을 '-y프라임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캐나다' 및 '대만'을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동작(709)을 수행하면 도 7의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새로운 데이터로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에 저장할 수 있고, 다른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대 전자 장치에서 인식할 수 없는 줄 간격으로 입력된 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상대 전자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기준 줄 간격에 따라서 수신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고,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 데이터를 상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재설정한 줄 간격에 따라서 이동한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전자 장치(100)의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과 같은 객체 인식 시스템으로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장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객체 인식 시스템, 전자 장치(100)와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의 객체 인식 시스템 또는 다른 전자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는 서버 장치의 객체 인식 시스템과 같이 다양한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을 통해서 필기 입력된 두 줄 이상의 객체를 감지한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두 줄 이상으로 작성된 객체를 포함한 이미지 데이터, 필기 입력되어 기 저장된 메모 데이터 등 객체의 획순(the order of stroke)을 입력하는 동작을 확인할 수 없는 객체에 있어서도 줄 간격을 확인할 수 있고, 줄과 줄 사이의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서 두 줄 이상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간격으로 만족하지 못한 경우, 확인한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표시된 객체를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표시된 객체를 감지할 수 있고, 표시된 객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를 구성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표시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둘 이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확인된 베이스 라인을 통한 객체의 줄 간격을 지정된 값과 비교할 수 있고, 확인된 베이스 라인의 줄 간격이 지정된 값보다 작은 경우 표시된 객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고, 표시된 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동작(801)에서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를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트로크를 검출하는 방법일 수 있다.
동작(803)에서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 또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한 객체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철자, 기호, 숫자와 같은 문자열을 포함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대한민국’과 같은 문자열 또는 “#’, “?’와 같은 기호, ‘qwg’같이 의미 없이 나열된 철자 또는 문자열, 기호, 철자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된 문자열을 검출할 수 있다.
동작(805)에서 전자 장치(100)는 설정된 좌표계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가상의 선 또는 모눈(grid)의 일정 영역에 표시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 및/또는 객체의 스트로크를 검출할 수 있고, 검출한 객체 및/또는 스트로크의 영역을 통해서 검출한 객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가상의 선 또는 모눈을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동작(807)에서 전자 장치(100)는 객체에 결정된 베이스 라인 및 인접한 객체의 베이스 라인을 참조하여, 줄 간격을 결정할 베이스 라인을 결정할 수 있고, 둘 이상의 베이스 라인 사이의 줄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둘 이상의 베이스 라인 사이의 줄 간격을 전자 장치(100)에서 지정된 줄 간격과 비교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둘 이상의 베이스 라인에서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 지정된 줄 간격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 동작(809)을 수행할 수 있고, 둘 이상의 베이스 라인에서 결정한 줄 간격이 전자 장치(100)에 지정된 줄 간격 이상의 값을 가지는 경우 동작(811)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809)에서 전자 장치(100)는 둘 이상의 베이스 라인에서 결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는 줄 사이의 간격을 재설정 함에 있어서, 미터법 등의 도량형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에 지정된 줄 간격 이상의 값을 가지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줄 사이의 간격을 재설정함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133)에 설정된 좌표계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가상의 선 또는 모눈(grid)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에 지정된 줄 간격 이상의 값을 가지도록 재설정할 수 있다.
동작(811)에서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인접하게 표시되는 둘 이상의 객체를 각각의 독립된 영역 또는 둘 이상의 라인에 표시된 객체로 인식할 수 있고,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형식의 철자, 문자, 기호, 패턴과 같은 문자열을 획득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133)에 표시된 객체를 객체 인식 프로그램(115) 및/또는 객체 처리 프로그램(116)를 통해서 서로 인접하게 표시된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디지털 객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동작(811)을 수행하면 도 8의 실시 예를 종료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 및 재설정한 줄 간격을 기반하여 객체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인접하여 표시한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한 상기 인접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하여 상기 인접한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한 객체는, 철자, 글자, 단어, 숫자, 패턴, 무늬 또는 기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설정은, 상기 인접한 객체의 줄 간격이 미리 정해진 줄 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줄 간격을 변경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재설정하는 단계는, 제 1 줄에 입력한 제 1 객체에 결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 중에서 하나 및 제 2 줄에 입력한 제 2 객체에 결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 중에서 하나 사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객체에 결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은, 상기 제 1 객체의 제 1 글자 또는 제 1 철자의 직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 및 제 2 글자 또는 제 2 철자의 상기 직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을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직사각형 격자는, 상기 표시한 객체에 대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에서 상기 입력한 객체를 구성한 각각의 글자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높이 최소점, 높이 최대점, 너비 최소점 및 너비 최대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결정한 제 1 좌표계에 위치한 상기 객체의 기울기를 기준으로 새로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좌표 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제 1 좌표 축 및 상기 제 1 좌표 축과 수직인 제 2 좌표 축으로 이루어진 제 2 좌표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접한 객체는,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방식으로 입력한 객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저장 또는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에 입력 방식으로 제 1 줄에 제 1 객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터치 스크린에 상기 입력 방식으로 제 2 줄에 제 2 객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의 줄 간격이 기준 간격 미만인지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줄 간격이 상기 기준 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줄 간격을 상기 기준 간격 이상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 1 객체 및 상기 제 2 객체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은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객체를 출력하는 터치 스크린,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입력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입력된 객체 정보를 처리하는 객체 처리 모듈; 및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터치 스크린에 인접하여 표시한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인접한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하여 상기 인접한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철자, 글자, 단어, 숫자, 패턴, 무늬 또는 기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어를 포함하여 입력한 상기 객체의 스트로크(stroke)를 검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줄 간격이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정해진 줄 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줄 간격을 재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제 1 줄에 입력한 제 1 객체에 결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 중에서 하나 및 제 2 줄에 입력한 제 2 객체에 결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 중에서 하나 사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제 1 객체의 제 1 글자 또는 제 1 철자의 직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 및 제 2 글자 또는 제 2 철자의 상기 직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을 연결하여 상기 제 1 객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표시한 객체에 대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에서 상기 입력한 객체를 구성한 각각의 글자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높이 최소점, 높이 최대점, 너비 최소점 및 너비 최대점으로 상기 직사각형 격자를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결정한 제 1 좌표계에 위치한 상기 객체의 기울기를 기준으로 새로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좌표 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제 1 좌표 축 및 상기 제 1 좌표 축과 수직인 제 2 좌표 축으로 이루어진 제 2 좌표계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방식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입력한 객체에 대한 줄 간격을 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저장 또는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100)의 메모리(110)가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통해 수행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서 직접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가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 모듈을 통해서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100)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자 장치 133: 터치 스크린
301: x 축 307: -y 축
511: x프라임 축 513: -y프라임 축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접하여 표시하는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촬영 또는 캡쳐된 이미지 데이터, 저장된 프로그램 데이터, 문서 형식의 데이터 및 입력 장치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혼재된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전부 또는 일부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데이터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생성,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에서 수신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철자, 단어, 기호, 숫자, 무늬,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문자열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은,
    상기 객체의 줄 간격이 미리 정해진 줄 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줄 간격을 변경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각각의 높이를 기반으로 변경할 줄 간격의 수치를 결정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재설정하는 단계는,
    제 1 줄에 입력한 제 1 객체를 기반으로 결정한 제 1 베이스 라인 및 제 2 줄에 입력한 제 2 객체를 기반으로 결정한 제 2 베이스 라인 사이의 줄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객체에 결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이스 라인은,
    상기 제 1 객체의 제 1 글자 또는 제 1 철자의 직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 및 제 2 글자 또는 제 2 철자의 상기 직사각형 격자에서 결정한 일정한 점을 연결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격자는,
    상기 표시한 객체에 대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에 설정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에서 상기 입력한 객체를 구성한 각각의 글자 또는 각각의 철자에 대하여 높이 최소점, 높이 최대점, 너비 최소점 및 너비 최대점으로 결정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좌표계는,
    상기 터치 스크린에 결정한 제 1 좌표계에 위치한 상기 객체의 기울기를 기준으로 새로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좌표 축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제 1 좌표 축 및 상기 제 1 좌표 축과 수직인 제 2 좌표 축으로 이루어진 제 2 좌표계를 설정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방식으로 필기 입력한 객체인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상기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줄 간격을 재설정한 객체를 저장 또는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상기 전자 장치의 객체 인식 시스템, 상기 전자 장치의 보조 장치의 객체 인식 시스템,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의 객체 인식 시스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서버의 객체 인식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15.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데이터에서 제 1 줄에 위치한 제 1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제 2 줄에 위치한 제 2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객체와 상기 제 2 객체의 줄 간격이 기준 간격 미만인지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줄 간격이 상기 기준 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줄 간격을 지정된 간격으로 변경하여 상기 제 1 객체 및 상기 제 2 객체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객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전자 장치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인접하여 표시하는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기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는 객체 처리 모듈,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철자, 단어, 기호, 숫자, 무늬, 패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에 대한 상기 객체의 스트로크(stroke)를 검출하는 모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줄 간격이 상기 전자 장치에 미리 정해진 줄 간격 미만인 경우, 상기 줄 간격을 상기 객체를 기반으로 재설정하는 모듈.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처리 모듈은,
    상기 객체 각각의 높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기 높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한 줄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간격을 재성정하는 모듈.
  20. 전자 장치에서,
    인접하여 표시하는 둘 이상의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한 상기 객체의 줄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줄 간격을 기반으로 상기 객체의 간격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11840A 2013-09-17 2013-09-17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4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840A KR102245706B1 (ko) 2013-09-17 2013-09-17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484,830 US10007420B2 (en) 2013-09-17 2014-09-12 Method for process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840A KR102245706B1 (ko) 2013-09-17 2013-09-17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953A true KR20150031953A (ko) 2015-03-25
KR102245706B1 KR102245706B1 (ko) 2021-04-28

Family

ID=5266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840A KR102245706B1 (ko) 2013-09-17 2013-09-17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07420B2 (ko)
KR (1) KR102245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0041B2 (en) 2019-11-04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rrecting handwriting inpu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7063A (ko) * 2019-08-06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필기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KR20220017063A (ko)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손 글씨 입력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606A1 (en) * 2001-02-12 2004-10-14 Mccully Nathaniel M. Method for determining line leading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japanese practices
US9275022B2 (en) * 2013-07-31 2016-03-01 Google Inc. Mechanism for setting ascent and baseline for HTML element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304A (en) * 1993-04-19 1996-04-3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utomatic determination of text line dependent parameters
US5613019A (en) * 1993-05-20 1997-03-1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pacing, storing and recognizing electronic representations of handwriting, printing and drawings
US6803913B1 (en) * 1999-12-01 2004-10-12 Microsoft Corporation Warping text along a curved path
US7367885B2 (en) * 2001-08-09 2008-05-06 Igt 3-D text in a gaming machine
US7120872B2 (en) * 2002-03-25 2006-10-10 Microsoft Corporation Organizing, editing, and rendering digital ink
AU2002952483A0 (en) * 2002-11-05 2002-11-2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Methods and Systems (NPW009)
JP4421203B2 (ja) * 2003-03-20 2010-02-24 株式会社東芝 管腔状構造体の解析処理装置
US7580551B1 (en) * 2003-06-30 2009-08-25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y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nd/or comparing handwritten and/or biometric samples
US7171618B2 (en) * 2003-07-30 2007-01-30 Xerox Corporation Multi-versioned documents and method for creation and use thereof
US7457464B2 (en) * 2003-08-29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ndering of substitute for detected indicia
US7593574B2 (en) * 2005-07-01 2009-09-22 Microsoft Corporation Ink warping for normalization and beautification / ink beautification
US7596752B2 (en) * 2005-08-15 2009-09-29 Microsoft Corporation Delaying optimal paragraph layout during editing
US7584424B2 (en) * 2005-08-19 2009-09-01 Vista Print Technologies Limited Automated product layout
US7676744B2 (en) * 2005-08-19 2010-03-09 Vistaprint Technologies Limited Automated markup language layout
US8407589B2 (en) * 2007-04-20 2013-03-26 Microsoft Corporation Grouping writing regions of digital ink
US20100017706A1 (en) * 2008-07-21 2010-01-21 Xerox Corporation Document size conversion
WO2010062747A1 (en) * 2008-11-03 2010-06-03 Novarra, Inc. Dynamic font metric profiling
US8780131B2 (en) * 2008-12-19 2014-07-15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ext-based personalization of images
US8365072B2 (en) * 2009-01-02 2013-01-29 Apple Inc. Identification of compound graphic elements in an unstructured document
US8239763B1 (en) * 2009-01-07 2012-08-07 Brooks Ryan Fiesinger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ctive word fonts
US8261180B2 (en) * 2009-04-28 2012-09-04 Lexmark International, Inc. Automatic forms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KR101077005B1 (ko) 2009-07-30 2011-10-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펜을 이용한 필기 인식 시스템
CN102456000B (zh) * 2010-10-22 2014-07-30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用于消除页面内裂缝的方法和装置
JP2012221095A (ja) * 2011-04-06 2012-11-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US20130283152A1 (en) * 2012-04-24 2013-10-24 Niranjan Damera Venkata Arranging text into columns
JP6028555B2 (ja) * 2012-12-12 2016-11-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14215752A (ja) * 2013-04-24 2014-11-1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データ処理方法
WO2015083290A1 (ja) * 2013-12-06 2015-06-11 株式会社 東芝 手書き文書情報を処理するための電子機器および方法
JP6373664B2 (ja) * 2014-07-09 2018-08-1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62566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문자를 보정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US10489051B2 (en) * 2014-11-28 2019-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writing inpu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606A1 (en) * 2001-02-12 2004-10-14 Mccully Nathaniel M. Method for determining line leading in accordance with traditional japanese practices
US9275022B2 (en) * 2013-07-31 2016-03-01 Google Inc. Mechanism for setting ascent and baseline for HTML el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0041B2 (en) 2019-11-04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rrecting handwriting inpu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706B1 (ko) 2021-04-28
US10007420B2 (en) 2018-06-26
US20150082153A1 (en)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4683B2 (en) Arced or slanted soft input panels
CN107003994B (zh) 用于修正手写字符的方法和设备
KR102147935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91822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using a character selection gesture upon an arrangement of a central item and peripheral items
US9329775B2 (en) Figure drawing apparatus, figure draw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figure drawing programs are recorded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US9378427B2 (en) Displaying handwritten strokes on a device according to a determined stroke direction matching the present direction of inclination of the device
US10031667B2 (en)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9508770A (ja) デジタルインクを美しく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162501B2 (en) Termina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45706B1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303359B2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50022089A (ko) 스마트 모바일기기의 시각장애인용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6164361B2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695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EP2891968B1 (en) Soft keyboard with keypress markers
KR20150024107A (ko) 입력된 객체의 정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244138B2 (en) Hologram-based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890228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191943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21149480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
US20150286812A1 (en) Automatic capture and entry of access codes using a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