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648A -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648A
KR20150031648A KR20130111108A KR20130111108A KR20150031648A KR 20150031648 A KR20150031648 A KR 20150031648A KR 20130111108 A KR20130111108 A KR 20130111108A KR 20130111108 A KR20130111108 A KR 20130111108A KR 20150031648 A KR20150031648 A KR 2015003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oil
tanks
room
engin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철
조성균
이대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1648A/ko
Publication of KR2015003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의 필요한 수량을 감소시켜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로서,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각각으로부터 연료유가 이송되는 하나의 청정기룸; 상기 청정기룸으로부터 상기 연료유가 공급되는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및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엔진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중 대응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로부터 상기 연료유가 공급되고, 상기 청정기룸은 상기 연료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청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연료유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APPARATUS FOR FUEL OIL SUPPLY OF DRILLSHIP}
본 발명은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의 필요한 수량을 감소시켜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적인 급격한 산업화 현상과 공업발전 추이에 따라, 석유와 같은 지구 자원의 사용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유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이 대단히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지금까지 경제성이 없어 무시되어 왔던 군소의 한계 유전(marginal field)이나 심해 유전의 개발이 경제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따라서 해저 채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유전의 개발에 적합한 시추설비를 구비한 시추선이 개발되었다.
종래의 해저 시추에는, 다른 예인선에 의해서만 항해가 가능하고 계류 장치를 이용하여 해상의 일점에 정박한 상태에서 해저 시추 작업을 하는 해저 시추 전용의 리그선(rig ship)이나 고정식 플랫폼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첨단의 시추 장비를 탑재하고 자체의 동력으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일반 선박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 소위 드릴쉽(drillship)이 개발되어 심해 시추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드릴쉽은 그 위치제어를 위한 DP(Dynamic Posionting)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의 심해 시추용 드릴쉽의 DP 시스템은 그 동적위치제어를 위한 국제해사기구(IMP,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및 각 선급 규정의 DP-3 요구사항(DP-3 requirement)을 만족하도록 요구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DP-3 요구사항은 높은 VDL(Variable Deck Load, 허용적재중량)을 보유하여 경제적 운영이 가능하고, IMO에서 정한 DP (Dynamic Positioning)의 최고 등급으로 그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드릴쉽의 DP-3 요구사항은 시스템 분리(system segregation)와 더불어 구성요소 분리(compartment segregation)를 요구하고,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메인 엔진룸(main engine room)은 3개로 완전히 구획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각 엔진으로 연료유(FO, fuel oil)를 공급하는 연료유 공급 시스템도 3개로 구획된 각 엔진룸에 대응하여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이는 하나의 엔진룸 또는 하나의 연료유 공급 시스템이 고장이 나거나 화재와 같은 사고가 난 경우에도 나머지 엔진룸 또는 나머지 연료유 공급 시스템에 의해 드릴쉽이 정상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연료유란 석유 제품 중 에너지를 얻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종류로서, 휘발유, 등유, 경유, 벙커시유, 제트유가 이에 포함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는 세 개의 엔진룸, 세 개의 청정기룸(Purifier Room), 세 개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 세 개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FO settling tank) 및 세 개의 연료유 저장 탱크(FO storage tank)를 포함한다.
제1 연료유 저장 탱크에 있는 연료유는 제1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지나 제1 청정기룸으로 이송되고, 제1 청정기룸의 제1 청정기를 통해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 후,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통해 제1 엔진룸으로 공급된다.
제2 연료유 저장 탱크에 있는 연료유는 제2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지나 제2 청정기룸으로 이송되고, 제2 청정기룸의 제2 청정기를 통해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 후,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통해 제2 엔진룸으로 공급된다.
제3 연료유 저장 탱크에 있는 연료유는 제3 연료유 세틀링 탱크를 지나 제3 청정기룸으로 이송되고, 제3 청정기룸의 제3 청정기를 통해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 후,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통해 제3 엔진룸으로 공급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르면, 청정기룸이 엔진룸의 개수만큼 설치되고, 복수의 엔진룸들과 복수의 청정기룸들은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된다. 선급 규정의 DP-3 요구사항은 드릴쉽이 복수의 엔진 시스템이 독립적으로 구성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청정기룸에 대한 요구사항은 없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청정기룸도 복수의 엔진룸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 개가 있어서, 복수의 청정기룸으로 인해 공간 효율성이 감소하고, 복수의 청정기룸의 설치 및 유지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한국 공개 번호 10-2012-0133690(2012. 12. 1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효율성이 높고 설치 및 유지 비용이 낮은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로서,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각각으로부터 연료유가 이송되는 하나의 청정기룸; 상기 청정기룸으로부터 상기 연료유가 공급되는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및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엔진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중 대응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로부터 상기 연료유가 공급되고, 상기 청정기룸은 상기 연료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청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연료유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중 대응하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로 연료유를 공급하는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은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 각각은 대응하는 엔진룸과 연료 파이프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정기룸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연료 파이프를 통해 상기 대응하는 엔진룸으로 상기 연료유가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트링 탱크들 각각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연료유는 상기 청정기룸에서 혼합되어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각각은 상기 청정기룸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 각각은 엔진 및 상기 연료유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엔진룸은 제1 엔진룸, 제2 엔진룸 및 제3 엔진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은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 및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는 상기 제1 엔진룸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는 상기 제3 엔진룸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와 상기 제2 엔진룸 사이에 연료 파이프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 및 상기 청정기룸은 단열구조로 구성된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청정기룸을 하나만 설치하고 복수의 엔진룸으로 전송되는 연료유에 대해 하나의 청정기룸에서 청정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설치해야 하는 장비의 개수를 줄이므로써 설치 및 유지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로부터 이송된 연료유가 하나의 청정기룸을 거쳐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로 공급됨으로써,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 중 어느 하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가 작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각각은 안정적으로 연료유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 각각은 대응하는 엔진룸과 연료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어서 청정기룸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료유 저장 탱크에서 엔진룸으로 직접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구성요소의 배치를 다르게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의 구성요소들은 도 2와 같은 형태 또는 도 3과 같은 형태로 배치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는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FO storage tank)(211, 212, 213),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settling tank)(221, 222, 223), 하나의 청정기룸(purifier room)(230),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241, 242, 243), 및 복수의 엔진룸들(251, 252, 253)을 포함한다. 도 2 및 3에서 실선은 연료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료유 공급 장치가 세 개의 엔진룸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유 공급 장치는 임의의 개수의 엔진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엔진룸들(251, 252, 253) 및 청정기룸(230)은 화재 발생 시에 화염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구조로 구성된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211, 212, 213)과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221, 222, 223)은 일대일 대응하고,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211, 212, 213) 각각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는 대응하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로 이송된다. 즉, 제1 연료유 저장 탱크(211)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는 필요한 만큼 제1 연료유 세틀링 탱크(221)로 이송되고, 제2 연료유 저장 탱크(212)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는 필요한 만큼 제2 연료유 세틀링 탱크(222)로 이송되고, 제3 연료유 저장 탱크(213)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는 필요한 만큼 제3 연료유 세틀링 탱크(223)로 이송된다. 연료유 세틀링 탱크 내의 연료유의 양은 항상 정해진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제1, 제2 및 제3 연료유 세틀링 탱크(221, 222, 223)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유는 청정기룸(230)로 이송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기룸(230)에는 제1 청정기(231) 및 제2 청정기(232)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3에서는 청정기룸(230)에 두 개의 연료유 청정기가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청정기룸(230)에는 임의의 개수의 청정기가 설치될 수 있다.
청정기룸(230)으로 이송된 연료유는 제1 청정기, 제2 청정기, 또는 제1 청정기와 제2 청정기로 들어가 불순물 및 수분이 제거된다.
청정기는 엔진에 깨끗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화 장치이다. 불순물들을 포함한 연료유를 엔진에 그대로 공급하면 엔진에 무리가 간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사용되는 연료유는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러한 불순물들을 분리하여 깨끗한 윤활유를 공급하고자 개발된 것이 청정기이다.
연료유에는 수분, 고형분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불순물에 의해 연소상태가 불량해지고, 실린더 라이너의 마모가 발생하며, 연료분사 밸브의 손상이 발생한다. 연료류의 청정방법으로는 중력에 의한 침전분리 청정법, 여과기(filter)를 이용한 청정법,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 청정법, 중력분리와 원심분리를 혼합한 청정법 등이 있다.
원심력을 이용한 분리 청정법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청정기의 회전이 시작되고 적정 회전수에 도달하면 클로징 워터(closing water)를 공급해서 보울(Bowl)을 닫은 후 씰 워터(Seal water)가 들어가고 청정이 시작된다. 원심력에 따른 분리이므로 비중이 무거운 슬러지는 보울의 벽쪽에, 그 다음은 물, 그리고 기름 순서로 순차적으로 쌓이게 되고, 기름은 계속해서 비중판에 의해 걸러져서 흘러나가게 된다. 그러다 특정시간이 되면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하여 청정하던 기름을 우선 막고, 오프닝 워터(opening water)가 들어가서 보울을 순간적으로 열면서 벽쪽에 붙어있던 슬러지는 원심력에 의해 밖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그럼 다시 클로징해서 씰 워터를 집어넣고, 청정할 기름을 다시 흘려 넣어주면 위와 같은 공정이 다시 반복되면서 청정화된다.
불순물이 제거된 연료유는 제1, 제2, 및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241, 242, 243)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및 제3 연료유 세틀링 탱크(221, 222, 223)로부터 청정기룸(230)으로 이송된 연료유는 청정기를 공유하므로 청정기룸(230)에서 혼합되어,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 및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 각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연료유 세틀링 탱크(221, 222, 223) 중 어느 하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가 작동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 및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 각각은 안정적으로 연료유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241)의 연료유는 제1 엔진룸(251)으로 이송되고,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242)의 연료유는 제2 엔진룸(252)으로 이송되고,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243)의 연료유는 제3 엔진룸(253)으로 이송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엔진룸(251)에는 제1 엔진(261) 및 제1 펌프(271)가 설치되고, 제2 엔진룸(252)에는 제2 엔진(262) 및 제2 펌프(272)가 설치되고, 제3 엔진룸(253)에는 제3 엔진(263) 및 제3 펌프(273)가 설치된다.
제1 엔진룸(251)으로 이송된 연료유는 제1 펌프(271)에 의해 제1 엔진(261)으로 공급되고, 제2 엔진룸(252)으로 이송된 연료유는 제2 펌프(272)에 의해 제2 엔진(262)으로 공급되고, 제3 엔진룸(253)으로 이송된 연료유는 제3 펌프(273)에 의해 제3 엔진(263)으로 공급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211, 212, 213)과 복수의 엔진룸들(251, 252, 253)은 일대일 대응하고,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211, 212, 213) 각각은 대응하는 엔진룸과 연료 파이프로 연결된다. 즉, 제1 연료유 저장 탱크(211)와 제1 엔진룸(251)은 제1 연료 파이프(281)로 연결되고, 제2 연료유 저장 탱크(212)와 제2 엔진룸(252)은 제2 연료 파이프(282)로 연결되고, 제3 연료유 저장 탱크(213)와 제3 엔진룸(253)은 제3 연료 파이프(283)로 연결된다. 이는 고장 또는 화재와 같은 사고로 청정기룸(23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연료유 저장 탱크에서 엔진룸으로 직접 연료유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즉, 고장 또는 화재와 같은 사고로 청정기룸(230)이 동작하지 않을 때, 제1 엔진룸(251)은 제1 연료 파이프(281)를 통해 제1 연료유 저장 탱크(211)로부터 연료유를 공급받고, 제2 엔진룸(252)은 제2 연료 파이프(282)를 통해 제2 연료유 저장 탱크(212)로부터 연료유를 공급받고, 제3 엔진룸(253)은 제3 연료 파이프(283)를 통해 제3 연료유 저장 탱크(213)로부터 연료유를 공급받는다.
도 2에서는,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241, 242, 243) 각각 및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221, 222, 223) 각각은 청정기룸(230)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복수의 연료류 세틀링 탱크들(221, 222, 223)과 청정기룸(230) 사이, 및 청정기룸(230)과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241, 242, 243) 사이의 연료유의 이송을 용이하게 된다.
도 2 및 3에서,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241)는 제1 엔진룸(251)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243)는 제3 엔진룸(253)과 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242)는 청정기룸(230)으로 인해 제2 엔진룸(252)과 접하지 못하므로,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242)와 제2 엔진룸(252)이 청정기룸(230)을 지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도록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242)와 제2 엔진룸(252) 사이에 연료 파이프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211 : 제1 연료유 저장 탱크
212 : 제2 연료유 저장 탱크
213 : 제3 연료유 저장 탱크
221 : 제1 연료유 세틀링 탱크
222 : 제2 연료유 세틀링 탱크
223 : 제3 연료유 세틀링 탱크
230 : 청정기룸
241 :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
242 :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
243 :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
251 : 제1 엔진룸
252 : 제2 엔진룸
253 : 제3 엔진룸

Claims (10)

  1.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로서,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각각으로부터 연료유가 이송되는 하나의 청정기룸;
    상기 청정기룸으로부터 상기 연료유가 공급되는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및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과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엔진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중 대응하는 연료유 서비스 탱크로부터 상기 연료유가 공급되고,
    상기 청정기룸은 상기 연료유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청정기가 설치되어 있는, 연료유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중 대응하는 연료유 세틀링 탱크로 연료유를 공급하는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을 더 포함하는, 연료유 공급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은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과 일대일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 각각은 대응하는 엔진룸과 연료 파이프로 연결되는, 연료유 공급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청정기룸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복수의 연료유 저장 탱크들 각각으로부터 상기 연료 파이프를 통해 상기 대응하는 엔진룸으로 상기 연료유가 이송되는, 연료유 공급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트링 탱크들 각각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연료유는 상기 청정기룸에서 혼합되어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각각으로 공급되는, 연료유 공급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세틀링 탱크들 각각 및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 각각은 상기 청정기룸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연료유 공급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 각각은 엔진 및 상기 연료유를 상기 엔진으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연료유 공급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엔진룸은 제1 엔진룸, 제2 엔진룸 및 제3 엔진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료유 서비스 탱크들은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 및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를 포함하는, 연료유 공급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연료유 서비스 탱크는 상기 제1 엔진룸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연료유 서비스 탱크는 상기 제3 엔진룸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연료유 서비스 탱크와 상기 제2 엔진룸 사이에 연료 파이프가 설치되는, 연료유 공급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엔진룸들 및 상기 청정기룸은 단열구조로 구성된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는, 연료유 공급 장치.
KR20130111108A 2013-09-16 2013-09-16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 KR2015003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108A KR20150031648A (ko) 2013-09-16 2013-09-16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108A KR20150031648A (ko) 2013-09-16 2013-09-16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48A true KR20150031648A (ko) 2015-03-25

Family

ID=5302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108A KR20150031648A (ko) 2013-09-16 2013-09-16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16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325A (ko) * 2015-08-28 201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십
KR20190022699A (ko) * 2016-10-31 2019-03-06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복수의 연료 라인을 갖는 선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325A (ko) * 2015-08-28 2017-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십
KR20190022699A (ko) * 2016-10-31 2019-03-06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복수의 연료 라인을 갖는 선박
US10655852B2 (en) 2016-10-31 2020-05-19 Mitsubishi Shipbuilding Co., Ltd. Ship having plurality of fuel lines
EP3533703A4 (en) * 2016-10-31 2020-06-17 Mitsubishi Shipbuilding Co., Ltd. SHIP WITH SEVERAL FUEL LI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7039Y1 (ko) 안전 지대에 주 발전기를 구비한 부유식 생산 저장 선박
RU2436936C2 (ru) Система, судно и способ для добычи нефти и тяжелых фракций газа из коллекторов под морским дном
KR101238629B1 (ko) 해저 유정유체 분리 및 저장장치
RU2412731C2 (ru) Совмеще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ачи морской воды и воды для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201800733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bsea Purification of Produced Water From Subsea Oil Producing Installations
KR20150031648A (ko) 드릴쉽의 연료유 공급 장치
MX2013015210A (es) Sistema modular de exploracion y produccion que incluye una embarcacion extendida para servicio de prueba de pozo.
WO20150224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shore production of hydrocarbons
KR200488500Y1 (ko) 드릴십
KR20150123570A (ko) 연료유 공급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시추선
KR101680757B1 (ko) 원유를 이용한 이중연료 추진 장치
CN102211647A (zh) 水上泄漏原油综合清理船
RU2610844C1 (ru) Подвод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еспричальной загрузки/выгруз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120133690A (ko) 드릴쉽용 연료유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드릴쉽
CN202743781U (zh) 一种零污染油水置换水下储油系统
KR101295663B1 (ko) 유수분리용 세틀링탱크가 구비된 선박
KR20160012647A (ko) 해양 구조물용 엔진 윤활유 청정 시스템
MX2014008753A (es) Produccion de petroleo pesado costa afuera.
KR101891359B1 (ko) 선박용 이중 연료유 계통
WO2019008543A1 (en) CONTAINER ARRANGEMENT
CN203769740U (zh) 海上油气田开采系统
KR102069921B1 (ko) 드릴십
KR101609414B1 (ko) 해양플랜트용 해양자원 생산장치
KR20130141125A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NO20220981A1 (en) Offshore spar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