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740A -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 Google Patents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740A
KR20130071740A KR1020110139126A KR20110139126A KR20130071740A KR 20130071740 A KR20130071740 A KR 20130071740A KR 1020110139126 A KR1020110139126 A KR 1020110139126A KR 20110139126 A KR20110139126 A KR 20110139126A KR 20130071740 A KR20130071740 A KR 20130071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d
tank
drainage
space
tan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우
이석우
이동걸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1740A/ko
Publication of KR2013007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7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21B21/063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by separating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01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specially adapted for underwater dr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1Arrangements for handling drilling fluids or cuttings outside the borehole, e.g. mud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추선의 스키머 탱크 내부에 분리벽면이 형성되어 투입공간과 저수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스키머 탱크에 머드와 배수가 혼합되어 투입되면 비중에 의해 머드는 침전되고 배수는 저수공간으로 유동시켜, 침전된 머드는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되고, 유동된 배수는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어 처리시간을 감소시키고, 선박에서 세정실 제거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머드와 배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투입공간과 저수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머드와 배수가 혼합되어 투입되는 투입공간에서 비중에 의해 머드는 침전되고, 배수는 저수공간으로 유동되게 하는 분리벽면; 상기 탱크본체와 연결되고, 머드와 배수가 혼합되어 탱크본체의 투입공간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투입부; 상기 탱크본체와 연결되고, 탱크본체의 투입공간에서 비중에 의해 침전된 머드가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머드배출부; 상기 탱크본체와 연결되고, 탱크본체의 투입공간에서 비중에 의해 저수공간으로 유동된 배수가 오일리 워터 분리기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기 위해 통과되는 관로인 배수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Skimmer tank to separate drilling mud}
본 발명은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시추선의 스키머 탱크 내부에 분리벽면이 형성되어 투입공간과 저수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스키머 탱크에 머드와 배수가 혼합되어 투입되면 비중에 의해 머드는 침전되고 배수는 저수공간으로 유동시켜, 침전된 머드는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되고, 유동된 배수는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어 처리시간을 감소시키고, 선박에서 세정실 제거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상자원의 고갈과 해저자원의 채집기술 발달로 인해, 세계 곳곳의 바다에서 해저자원을 채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추선(drillship)은 해저의 석유, 가스와 같은 지하 자원이 있는 해저유전이 발견되면 바다에서 고정 또는 계류한 후 시추작업을 통해 해저유정으로 개발한 후 자원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시추작업에 시추용 머드(drilling mud)라는 특수한 진흙이 사용되며, 상기 머드는 시추기 드릴비트(drill bit)의 윤활과 냉각을 위해 압력이 가해진 후 상기 드릴비트에 전송되며, 드릴비트의 굴착에 의해 발생된 해저 지반의 파편들과 함께 회수되어 재활용된다.
상기와 같이 회수된 머드의 처리는 다음과 같다. 회수된 머드가 포함된 혼합물은 펌프를 이용해서 주갑판에 있는 세정실(Mux.clean room)로 이송되게 한 후 분리기(separator)를 통해 머드와 배수(drain water) 등으로 분리된다. 분리된 머드는 머드 처리계통(mud treatment system)으로 이송되고, 분리된 배수는 오일리 스키머 탱크(oily skimmer tank)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는 과정을 거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회수된 머드와 배수의 혼합물을 세정실로 이송시킨 다음 분리기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길어지고. 주갑판에 세정실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주갑판의 유용한 공간이 부족해진다. 또한, 세정실과 분리기 설치에 별도의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드레인 저장 탱크의 머드 고착 방지 장치(출원번호 : 10-2008-0108918)가 있다. 상기 기술은 시추선의 배수 저장 탱크에서 머드가 고착되지 않도록 일정 압력 이상의 유체를 분출하고 유체를 순환시켜 시추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로 공개되고 있으나, 여전히, 머드와 배수를 분리해서 처리하는 구성이 없어, 머드 처리 시간이 길고 선박 주갑판의 유용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시추선의 스키머 탱크 내부에 분리벽면이 형성되어 투입공간과 저수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스키머 탱크에 머드와 배수가 혼합되어 투입되면 비중에 의해 머드는 침전되고 배수는 저수공간으로 유동시켜, 침전된 머드는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되고, 유동된 배수는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어 처리시간을 감소시키고, 선박에서 세정실 제거를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머드와 배수가 내부에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탱크본체; 상기 탱크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투입공간과 저수공간으로 구분하고, 상기 머드와 배수가 혼합되어 투입되는 투입공간에서 비중에 의해 머드는 침전되고, 배수는 저수공간으로 유동되게 하는 분리벽면; 상기 탱크본체와 연결되고, 머드와 배수가 혼합되어 탱크본체의 투입공간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투입부; 상기 탱크본체와 연결되고, 탱크본체의 투입공간에서 비중에 의해 침전된 머드가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머드배출부; 상기 탱크본체와 연결되고, 탱크본체의 투입공간에서 비중에 의해 저수공간으로 유동된 배수가 오일리 워터 분리기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기 위해 통과되는 관로인 배수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벽면은 탱크본체 내부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배수가 저수공간으로 유동되기 위해 탱크본체의 천장과 저수간격이 유지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머드배출부는 탱크본체의 투입공간에서 비중에 의해 침전된 머드가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머드배출관; 상기 머드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머드를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머드배출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배수배출부는 탱크본체의 저수공간으로 유동된 배수가 오일리 워터 분리기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기 위한 관로인 배수배출관; 상기 배수배출관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를 오일리 워터 분리기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배수배출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시추선의 스키머 탱크 내부에 분리벽면이 형성되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시추작업을 통해 발생 된 머드와 배수가 스키머 탱크에서 분리되어, 분리된 머드는 바로 머드 처리계통으로 이송되고, 분리된 배수는 오일리 스키머 탱크로 이송되거나 선외로 배출되므로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스키머 탱크에서 비중에 의해 머드와 배수가 분리되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종래의 주갑판에 설치된 세정실과 분리기를 제거할 수 있어 상기 세정실이 차지하던 선박 주갑판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진다.
한편, 본 발명을 새로 건조되는 선박에 적용하면 세정실과 분리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로 인한 비용을 절감하고, 선박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레인 저장 탱크의 머드 고착 방지 장치의 블록도.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내부의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외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블록도이며, 도 3a와 3b는 본 발명에 의한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외, 내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100)는 탱크본체(110), 분리벽면(120), 투입부(130), 머드배출부(140), 배수배출부(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머드(10)와 배수(20)가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벽면(120)은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탱크본체(110)의 내부를 투입공간(111)과 저수공간(112)으로 구분한다. 상기 투입공간(111)에서 머드(10)와 배수(20)가 혼합되어 투입되면, 머드(10)는 비중에 의해 투입공간(111)에 그대로 침전되고 배수(20)는 저수공간(112)으로 유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벽면(120)은 탱크본체(110) 내부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배수(20)가 저수공간(112)으로 유동되기 위해 탱크본체(110)의 천장과 저수간격(121)이 유지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부(130)는 탱크본체(110)와 연결된 관이며, 머드(10)와 배수(20)가 혼합되어 탱크본체(110)의 투입공간(111)으로 이송되는 관로이다.
여기서, 상기 머드배출부(140)는 머드배출관(141)과 머드배출펌프(142)로 구성되며, 상기 머드배출관(141)은 탱크본체(110)의 투입공간(111)에서 비중에 의해 침전된 머드(10)가 머드 처리계통(200)으로 이송되는 관로이고, 상기 머드배출펌프(142)는 머드배출관(141) 사이에 설치되어, 머드(10)를 머드 처리계통(200)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배수배출부(150)는 배수배출관(151)과 배수배출펌프(152)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배출관(151)은 탱크본체(110)의 저수공간(112)으로 유동된 배수(20)가 오일리 워터 분리기(300)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400)로 이송되거나 선외(500)로 배출 되기 위한 관로이고, 상기 배수배출펌프(152)는 배수배출관(151)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20)를 오일리 워터 분리기(300)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400)로 이송시키거나 선외(500)로 배출 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투입부(130), 머드배출부(140), 배수배출부(150)에 사용되는 관의 크기는 기존의 스키머 탱크에 연결된 관로의 크기와 동일하게 적용하되 크기는 더 큰 규격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머드배출펌프(142)와 배수배출펌프(142)에 적용할 수 있는 펌프의 종류는 많지만, 구조가 간단해서 고장이 적고 역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기어 펌프를 우선한다.
<다른 실시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탱크본체(110)는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출입구(113), 사다리(114), 수위계(115), 배수관(116)과 배수밸브(117), 머드제거관(118), 머드제거밸브(1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출입구(113)는 스키머 탱크(100)의 점검과 청소를 위해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관로이다. 상기 출입구(113)는 탱크본체(110)가 투입공간(111)과 저수공간(112)으로 구분되고 있기 때문에, 탱크본체(110)의 상측에 각각 1개를 설치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게 하고 평상시에는 뚜껑으로 닫는다.
상기 사다리(114)는 작업자가 탱크본체(110)의 상측에 올라가기 위해 탱크본체(110)의 측면에 부착되는데, 사다리(116)는 전용의 사다리를 제작하여 탱크본체(110)에 결합시키거나, 일반 사다리를 이용해서 필요한 경우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계(115)는 수위를 확인하기 위해 탱크본체(110)의 측면에 부착되는데, 탱크본체(110)의 저수공간(112)측에 부착되는 것을 우선하고, 상기 수위계(115)에 분리벽면(120)의 높이를 표시하여 작업자가 머드(10)와 배수(20)를 배출하기 위한 머드배출펌프(142)와 배수배출펌프(142)의 작동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배수관(116)과 배수밸브(117)는 탱크본체(110)의 저수공간(112)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공간(112) 내부에 남아있는 잔류 배수(20)를 배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머드제거관(118)과 머드제거밸브(119)는 탱크본체(110)의 투입공간(111)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공간(111) 내부에 남아있는 머드(10)를 제거하거나 잔류 배수(20)를 배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머드제거관(118)과 머드제거밸브(119)의 크기는 머드(10)가 응고되거나 막히는 것을 고려해서 최소 2인치이상의 규격으로 적용한다.
특히, 상기 수위계(117)는 일반적인 탱크에 사용되는 제품을 적용하고, 상기 배수밸브(117)와 머드제거밸브(119)에 적용될 수 있는 밸브 종류는 다양하지만, 유량조절이 유리한 글로브 밸브 또는 볼 밸브를 선정한다.
10 : 머드 20 : 배수
100 : 스키머 탱크 110 : 탱크본체
111 : 투입공간 112 : 저수공간
113 : 출입구 114 : 사다리
115 : 수위계 116 : 배수관
117 : 배수밸브 118 : 머드제거관
119 : 머드제거밸브 120 : 분리벽면
121 : 저수간격 130 : 투입부
140 : 머드배출부 141 : 머드배출관
142 : 머드배출펌프 150 : 배수배출부
151 : 배수배출관 152 : 배수배출펌프
200 : 머드 처리계통 300 : 오일리 워터 분리기
400 : 오일리 스키머 탱크 500 : 선외

Claims (4)

  1. 머드(10)와 배수(20)가 내부에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탱크본체(110)와;
    상기 탱크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투입공간(111)과 저수공간(112)으로 구분하고, 상기 머드(10)와 배수(20)가 혼합되어 투입되는 투입공간(111)에서 비중에 의해 머드(10)는 침전되고, 배수(20)는 저수공간(112)으로 유동되게 하는 분리벽면(120)과;
    상기 탱크본체(110)와 연결되고, 머드(10)와 배수(20)가 혼합되어 탱크본체(110)의 투입공간(111)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투입부(130)와;
    상기 탱크본체(110)와 연결되고, 탱크본체(110)의 투입공간(111)에서 비중에 의해 침전된 머드(10)가 머드 처리계통(200)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머드배출부(140)와;
    상기 탱크본체(110)와 연결되고, 탱크본체(110)의 투입공간(111)에서 비중에 의해 저수공간(112)으로 유동된 배수(20)가 오일리 워터 분리기(300)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400)로 이송되거나 선외(500)로 배출 되기 위해 통과되는 관로인 배수배출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면(120)은
    탱크본체(110) 내부의 바닥면에 세워져 설치되고, 배수(20)가 저수공간(112)으로 유동되기 위해 탱크본체(110)의 천장과 저수간격(121)이 유지되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드배출부(140)는
    탱크본체(110)의 투입공간(111)에서 비중에 의해 침전된 머드(10)가 머드 처리계통(200)으로 이송되는 관로인 머드배출관(141)과;
    상기 머드배출관(141) 사이에 설치되어, 머드(10)를 머드 처리계통(200)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머드배출펌프(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배출부(150)는
    탱크본체(110)의 저수공간(112)으로 유동된 배수(20)가 오일리 워터 분리기(300)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400)로 이송되거나 선외(500)로 배출 되기 위한 관로인 배수배출관(151)과;
    상기 배수배출관(151) 사이에 설치되어, 배수(20)를 오일리 워터 분리기(300)를 거쳐 오일리 스키머 탱크(400)로 이송되거나 선외(500)로 배출 시키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배수배출펌프(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KR1020110139126A 2011-12-21 2011-12-21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KR201300717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26A KR20130071740A (ko) 2011-12-21 2011-12-21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26A KR20130071740A (ko) 2011-12-21 2011-12-21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740A true KR20130071740A (ko) 2013-07-01

Family

ID=4898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26A KR20130071740A (ko) 2011-12-21 2011-12-21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17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753A (ko) * 2014-01-02 2015-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머드 빌지 처리 장치
KR20160032744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 분리 장치
CN115405284A (zh) * 2022-08-26 2022-11-29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抗浪型海上平台油气处理设备冲砂接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0753A (ko) * 2014-01-02 2015-07-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시추선의 머드 빌지 처리 장치
KR20160032744A (ko) * 2014-09-16 2016-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오수 분리 장치
CN115405284A (zh) * 2022-08-26 2022-11-29 海洋石油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抗浪型海上平台油气处理设备冲砂接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966B2 (en) Automatic tank cleaning system
KR101606062B1 (ko) 기포 리프트 시스템 및 기포 리프트 방법
EA019286B1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отделения углеводородов от воды
NO324110B1 (no) System og fremgangsmate for rengjoring av kompressor, for a hindre hydratdannelse og/eller for a oke kompressorytelsen.
US20160319652A1 (en) Hydrostatic storage of produced water
KR101036621B1 (ko) 드레인 처리 장치
KR20130115744A (ko) 선박용 오수분리장치
CN104806183B (zh) 油田洗井返排液降压除泥砂装置
BR112019019216A2 (pt) processamento submarino de óleo cru
KR20130071740A (ko) 머드 분리 스키머 탱크
KR101302021B1 (ko) 드레인 처리 시스템
CN103449063B (zh) 零污染油水置换水下储油系统
EA011676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резервуара от отложений твердых частиц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рециркуляции воды
US7644768B2 (en) Separation device for material from a drilling rig situated on the seabed
CN202743781U (zh) 一种零污染油水置换水下储油系统
RU23456U1 (ru) Цирку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блока очистки бурового раствора
KR101516288B1 (ko) 해저 구조체 내부의 기름 분리 선박 및 그 제어 방법
RU2817443C1 (ru) Ёмкость для очистки отработанной в скважине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жидкости
CN104946373B (zh) 废机油炼制轻柴油中清洗液循环、分离、补给系统
KR20150122309A (ko) 모래 배출 기능을 구비한 분리기
KR20140077384A (ko) 프로듀스드 워터 디-샌더 시스템
KR101584562B1 (ko) 드레인 시스템 및 시추 해양 구조물
KR20140067292A (ko) 씨 체스트 드레인 시스템
KR20140077388A (ko) 프로듀스드 워터 디-샌더 시스템
KR101654217B1 (ko) 압력 용기에 유체를 공급 및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