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266A -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266A
KR20150031266A KR1020157000455A KR20157000455A KR20150031266A KR 20150031266 A KR20150031266 A KR 20150031266A KR 1020157000455 A KR1020157000455 A KR 1020157000455A KR 20157000455 A KR20157000455 A KR 20157000455A KR 20150031266 A KR20150031266 A KR 20150031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unction
bridge
function data
hlo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618B1 (ko
Inventor
자비에르 다르덴느
브누와 드루가그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5003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 H04M3/362Traffic sim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6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means for applying test signals or for meas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통신 회선(13) 내에서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65) 및 디바이스(17, 19, 39)에 관한 것이다. 상이한 유형들의 브릿지 탭들, 특히 와이어 쌍 브릿지 탭들 및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들을 신뢰성 있게 검출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검출된 브릿지 탭의 유형(T)을 결정하기 위해, 이 방법은 원격통신 회선의 실제 전달 함수(57)를 특징짓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결정하는 단계(73);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따라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하는 단계(69); 검출의 결과(Lt, L, k)에 기초하여 원격통신 회선(13)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97); 및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의 결과들(SHlog1, SHlog2)과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비교함으로써 브릿지 탭(45, 53)의 유형(T)을 식별하는 단계(99)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Description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BRIDGED TAP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본 발명은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bridged tap)들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브릿지 탭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및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DSL(Digital Subscriber Lines)에서 SELT(Single Ended Line Testing)를 수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SELT는 적어도 몇몇 경우에 가입자 회선에서 브릿지 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반사측정법 기반 측정(reflectometry-based measurement) 절차들을 포함한다.
브릿지 탭은 원격통신 회선에서의 브랜치이며, 브릿지 탭의 제1 말단은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의 접합점(junction point)에 대응한다. 브릿지 탭의 제2 말단은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속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연결되거나 또는 개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 탭은, 예컨대, 원격 캐비닛에서의 부정확한 배선의 결과일 수도 있다. 브릿지 탭은 또한 옥내 배선(in-house wiring)에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릿지 탭은 DSL 데이터 전송 및 전화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들을 서로 적절히 분리하기 위한 DSL 스플리터를 사용하지 않고 DSL 모뎀에 연결된 원격통신 회선의 세그먼트에 아날로그 또는 ISDN 전화 장비를 연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을 동작시킬 때에, 특히 브릿지 탭이 그 제2 말단에서 정확하게 종단되지 않을 때에 브릿지 탭의 제1 말단 및/또는 제2 말단에서 원치않는 반사들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들 반사들이 DSL 데이터 전송들을 교란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브릿지 탭을 검출하고 제거할 필요가 있다.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의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알려진 접근법들은 브릿지 탭의 유형을 결정할 수 없다. 브릿지 탭이 제1 유형일 수 있는데, 이 경우 브릿지 탭은 원격통신 회선의 도전체 쌍의 두 도전체들에 연결된 2개의 전기적 도전체들을 갖는다. 하기에서, 이러한 유형의 브릿지 탭을 "와이어 쌍 브릿지 탭들"이라고 할 것이다. 제2 유형의 브릿지 탭들은 원격통신 회선의 2개의 전기적 도전체들 중 하나에 연결된 하나의 도전체 또는 와이어만을 갖는다. 이러한 제2 유형의 브릿지 탭들을 또한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들"이라고 할 것이다.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알려진 접근법들을 이용할 때에, 와이어 쌍 브릿지 탭들은 통상적으로 상당히 신뢰성 있게 검출된다. 하지만,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들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들보다 원격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에 더 작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들은 휠씬 덜 신뢰성 있게 검출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이한 유형들의 브릿지 탭들 - 특히 와이어 쌍 브릿지 탭들 및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들 - 을 신뢰성 있게 검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검출된 브릿지 탭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방법, 청구항 14에 따른 브릿지 탭들을 검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청구항 16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달성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의 브릿지 탭의 검출을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원격통신 회선의 실제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따라 브릿지 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 및 상기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의 결과들과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의 결과는 원격통신 회선의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브릿지 탭의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하고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전달 함수에 대한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 및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의 영향이 매우 유사하긴 하지만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들 및 와이어 쌍 브릿지 탭들이 서로로부터 신뢰성 있게 구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브릿지 탭의 유형은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 및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는 검출된 브릿지 탭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인지 또는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는 단계는 검출된 브릿지 탭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바람직하게는 브릿지 탭의 길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특징은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적어도 하나의 특징을 결정하는 것은 시뮬레이션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브릿지 탭은 통상적으로 전달 함수에서의 국부적 극소치들 - 이른바 딥(dip)들 - 을 야기한다. 검출된 브릿지 탭의 특징, 특히 브릿지 탭의 길이는 전달 함수의 주파수 축에서의 이들 딥들의 포지션을 분석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시뮬레이션할 때에, 브릿지 탭의 유형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은 브릿지 탭이 특정 유형을 갖는다고 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 탭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이라고 가정될 수 있고 또는 브릿지 탭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이라고 가정될 수 있다.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들과 제1 전달 함수 데이터, 즉, 측정된 전달 함수를 비교함으로써, 브릿지 탭의 유형에 관한 가정이 검증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제1 전달 함수가 매우 유사하다면, 가정은 정확하다고 간주될 수 있고, 브릿지 탭의 가정된 유형은 브릿지 탭의 실제 유형에 대응한다. 하지만, 시뮬레이션의 결과들과 제1 전달 함수 데이터가 서로 상이하다면, 브릿지 탭의 유형에 관한 가정은 부정확하다고 간주될 수도 있고, 이 방법은 원격통신 회선에 존재하는 브릿지 탭의 유형이 가정된 유형과는 상이하다고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브릿지 탭의 유형에 관한 각각의 가능한 가정에 대해, 시뮬레이션이 수행되고, 각각의 가능한 가정에 관련된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와 비교된다. 이러한 다중 비교들의 결과는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실시형태에서, 시뮬레이션은 브릿지 탭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이라고 가정하여 원격통신 회선의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은 식별된 브릿지 탭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의존하고, 바람직하게는 식별된 브릿지 탭의 길이에 의존하고, 상기 식별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 및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존한다. 특히, 제1 전달 함수 데이터 및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는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해 서로 비교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방법은 브릿지 탭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이라고 가정하여 원격통신 회선의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계산은 식별된 브릿지 탭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바람직하게는 식별된 브릿지 탭의 길이에 의존하고, 상기 식별은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존한다. 다시 말하면, 브릿지 탭의 유형은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 및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따라 식별된다. 실시형태에서,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와 비교되고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와 비교된다. 이들 2개의 비교들에 기초하여, 브릿지 탭의 유형이 식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 방법은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들 중 어느 것이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원격통신 회선의 실제 전달 함수와 더 유사한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실제 전달 함수가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보다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와 더 유사하다면, 이 방법은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을 식별할 수도 있다.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실제 전달 함수가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보다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와 더 유사하다면, 이 방법은 브릿지 탭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이라고 판정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따라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는 어떠한 브릿지 탭들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고, 브릿지 탭의 검출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 및 제2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존한다.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결정함으로써, 실제 전달 함수는 어떠한 브릿지 탭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제2 전달 함수 데이터에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 함수에 대한 브릿지 탭의 영향이 도출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실제 전달 함수 내에서 극대치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예컨대, 식별된 극대치들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이들 극대치들을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계산하기 위한 지지점들(supporting points)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릿지 탭이 국부적 극소치들(딥들)을 야기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국부적인 극소치들 사이에 위치되는 극대치들을 제2 전달 함수를 계산하기 위한 지지점들로서 사용하는 것은, 어떠한 브릿지 탭들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의 상당히 양호한 근사치를 야기한다.
근사치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2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함수를 평활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는, 예컨대, 저역통과 필터에 의해 필터링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 또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로부터 유도되는 데이터를, 어떠한 장애도 갖지 않는, 특히 어떠한 브릿지 탭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를 나타내는 곡선에 피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달 함수를 나타내는 곡선은 전달 함수의 수학적 모델에 대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곡선에 피팅하는 것은 곡선이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전달 함수의 최적 근사치를 나타내도록 수학적 모델의 피팅 파라미터들을 적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최적의 피팅 파라미터들을 발견하기 위해, 알려진 회귀 방법들, 특히 비선형 회귀 방법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로부터 유도되는 상기 데이터는 실제 전달 함수 데이터의 식별된 극대치들을 지지점들로서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식별된 극대치들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결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곡선은 감쇠 지수 런(run)을 가지며, 곡선의 피팅 파라미터들은 감쇠율(attenuation factor) 및/또는 길이 값을 포함하고, 길이 값은 원격통신 회선의 길이에 의존한다. 이들 피팅 파라미터들은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입력 파라미터들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원격통신 회선의 물리적 특징들을 기술한다.
실시형태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는 단계는 2개의 전달 함수들의 차이를, 바람직하게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로부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감산함으로써 또는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로부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감산함으로써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산은 전달 함수의 전체 감쇠 런이 제거된 전달 함수에 대한 브릿지 탭의 영향을 포함하는 계차 전달 함수(difference transfer function)를 야기한다. 계차 전달 함수는 브릿지 탭들을 검출하기 위해 다소 용이하게 분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 방법은 제1 전달 함수에 따라, 또는 바람직하게는 계차 전달 함수에 따라 브릿지 탭의 길이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계차 전달 함수는 제1 전달 함수와 제2 전달 함수의 차이일 수도 있는데, 이 차이는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로부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감산함으로써 또는 그 반대로 계산될 수도 있다. 브릿지 탭의 길이들은 원격통신 회선의 추가적인 물리적 특징인데, 이는 실시형태에서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추가적인 입력 파라미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실시형태에서 원격통신 회선의 시뮬레이션은 곡선의 적어도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 및/또는 브릿지 탭의 계산된 길이에 의존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의 브릿지 탭의 검출을 위한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이 디바이스는 원격통신 회선의 실제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결정하고; 제1 전달 함수 데이터에 따라 브릿지 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의 결과에 기초하여 원격통신 회선을 시뮬레이션하고; 그리고 상기 시뮬레이션의 결과들과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 디바이스는 고정된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노드, 예컨대, DSLAM(DSL Access Multiplexer), 고객 댁내(customer's premises)에 대한 네트워크 노드, 예컨대, 고정된 액세스 네트워크의 DSL 모뎀, 또는 고정된 액세스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스테이션일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이 디바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래밍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바람직하게는 저장 매체가 제공되는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때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형태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저장 매체는 임의의 유형일 수도 있다. 특히 저장 매체는 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CDROM 또는 DVD와 같은 광학 매체, 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예컨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를 위한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기의 저장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및 추가적인 이점들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어떠한 브릿지 탭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들,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 및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의 전달 함수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브릿지 탭들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의 측정된 전달 함수 및 어떠한 브릿지 탭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의 2개의 근사 전달 함수들의 다이어그램들을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측정된 전달 함수로부터 근사 전달 함수들 중 하나를 감산함으로써 획득된 계차 전달 함수의 다이어그램들을 도시한다;
도 9는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을 야기하는 회선 종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고객 댁내 옥내 배선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0은 옥내 배선 내에 설치될 때에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을 야기하는 추가적인 회선 종단 디바이스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단지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고 그것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구성들을 생각해낼 수 있을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예들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들 및 본 기술분야를 발전시키는 데에 본 발명자가 기여한 개념들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육적 목적으로만 주로 명백히 의도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적으로 기재된 예들 및 조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들,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을 기재한 본 명세서에서의 모든 진술들과 그 구체적인 예들은 그 등가물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도 1은 원격통신 회선(13)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11)를 도시한다. 원격통신 회선(13)은 전기적 도전체들(15a, 15b)의 쌍(15)을 갖는데, 이 쌍(15)의 제1 말단(16)은 액세스 노드(17)라고도 불리는 네트워크(11)의 네트워크 측 종단 노드에 연결되고, 이 쌍(15)의 제2 말단(18)은 네트워크(11)의 단말 측 종단 노드(19)에 연결된다. 단말 측 종단 노드(19)는 네트워크(11)의 고객 댁내 장비(CPE; 21)의 일부분일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원격통신 회선(13)은 DSL(Digital Subscriber Line), 예를 들어, ADSL, VDSL 등이다. 결과적으로, 액세스 노드(17)는 DSLAM(DSL Access Multiplexer) 또는 다른 유형의 DSL 액세스 노드일 수도 있다. 단말 측 종단 노드(19)는 DSL 모뎀이거나 DSL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DSL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11)는 상이한 유형의 원격통신 회선(13)을 포함한다.
액세스 노드(17)는 쌍(15)의 제1 말단(16)이 연결되는 제1 모뎀 회로(23)를 갖는다. 게다가, 액세스 노드(17)는 액세스 노드(17)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적응된 제1 제어기(25)를 갖는다. 실시형태에서, 제1 제어기(25)는 프로세서(27),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저장 소자(29),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가능 컴퓨터이다.
단말 측 종단 노드(19)는 쌍(15)의 제2 말단(18)이 연결되는 제2 모뎀 회로(33)를 포함한다. 게다가, 단말 측 종단 노드(19)는 제2 제어기(31)를 포함한다. 제2 제어기(31)는 제1 제어기(25)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데, 즉 제2 제어기(31)는 프로그래밍가능 컴퓨터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27) 및/또는 저장 소자(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쌍(15)의 적어도 일부분은 바인더(binder; 35)의 일부분이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원격통신 회선(36)과 병렬로 연장한다. 각각의 추가적인 회선(36)은 추가적인 도전체 쌍(37)을 포함한다. 바인더(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될 수도 있는, 전기적 도전성, 바람직하게는 금속성의 차폐물(38)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네트워크(11)는, 선택적인 모니터링 스테이션(39)이 노드들(17, 19) 중 적어도 하나와, 바람직하게는 액세스 노드(17)와 통신할 수 있도록 노드들(17, 19) 중 적어도 하나에, 예컨대 상호연결망(41)을 통해 연결된 선택적인 모니터링 스테이션(39)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39)은 제3 제어기(43)를 포함한다. 제3 제어기(43)는 제1 제어기(25)와 동일한 기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데, 즉 제3 제어기(43)는 프로그래밍가능 컴퓨터일 수도 있고, 프로세서(27) 및/또는 저장 소자(29)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스테이션(39)은 서버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PDA와 같은 핸드헬드 컴퓨터 또는 셀 전화기, 기타 등등일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측정 데이터의 수집 및 프로세싱은 셀 전화기 또는 랩탑에서 실시되지 않고 플랫폼 서버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전화기들은 서버로부터 수집 및 프로세싱의 결과들을 검색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들이다.
제어기들(25, 31 또는 43) 중 적어도 하나는 원격통신 회선(13) 내에서, 특히 도전체들(15a, 15b)의 쌍(15)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어기들(25, 31, 43) 중 적어도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동할 때에 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이 방법은 액세스 노드(17) 상에서, 스테이션(39) 상에서, 또는 단말 측 종단 노드(19) 상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저장 소자(29)에 저장될 수도 있다. 게다가, 컴퓨터 프로그램은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 또는 반도체 충전 매체와 같은 임의 유형의 데이터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바람직하게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을 위한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와이어 쌍 유형의 브릿지 탭의 경우의 원격통신 회선(13)을 도시한다. 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은 원격통신 회선(13)의 도전체 쌍(15)의 접합점(47)과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의 먼 말단(distant end; 49) 사이에서 연장한다.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은 추가적인 도전체 쌍(51), 통상적으로 와이어 쌍을 포함하는데, 이 추가적인 도전체 쌍(51)의 각각의 도전체 또는 와이어는 하나의 전기적 도전체(15a, 15b)에 연결된다.
원격통신 회선(13)의 도전체 쌍(15)은 길이(L)을 갖는다. 액세스 노드들(17)과 접합점(47) 사이의 도전체 쌍(15)의 제1 부분은 길이(L1)을 갖는다. 접합점(47)과 단말 측 종단 노드(19) 사이의 도전체 쌍(15)의 제2 부분은 길이(L2)를 갖는다. 총 길이는 부분들의 길이들의 합, L=L1+L2이다. 추가적인 도전체 쌍(51)의 길이 - 또한 간단히 브릿지 탭의 길이라고도 함 - 는 Lt로 표시된다.
도 3은 단일 와이어 유형의 브릿지 탭의 경우의 원격통신 회선(13)을 도시한다. 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은 접합점(47)에서 도전체 쌍(15)의 전기적 도전체들(15a, 15b) 중 하나에 연결되는 단일 추가적인 도전체(55)를 갖는다.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과 다른 하나의 전기적 도전체(15b, 15a) 사이에 전기적 접속은 없다. 도시된 예에서, 단일 추가적인 도전체(55)는 도전체 쌍(15)의 제1 전기적 도전체(15a)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전체 쌍(15)의 2개의 부분들의 길이(L1, L2) 및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의 길이(Lt)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3개의 상이한 시나리오들에 대해 통신 회선(13)의 측정된 전달 함수를 도시한다. 특히, 제1 측정된 전달 함수(57a)는 어떠한 브릿지 탭도 갖지 않는 전송 회선(13)에 대응한다. 제2 측정된 전달 함수(57b)는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13)에 대응한다. 마지막으로, 제3 측정된 전달 함수(57c)는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13)에 대응한다. 측정된 전달 함수들(57)은 공통 다이어그램에 도시되는데, 이 다이어그램의 x축은 주파수(MHz)를 나타내고 y축은 주파수의 함수로서 원격통신 회선(13)을 따른 감쇠(dB)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전달 함수들(57)은 원격통신 회선(13)의 총 길이 L = 500m 및 브릿지 탭들(45, 53)의 길이 Lt = 20m를 나타낸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듯이, 원격통신 회선(13)에 적어도 하나의 브릿지 탭(45, 53)이 존재해야만 전달 함수(57)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국부적 극소치들(59)(이른바 "딥들"(59))을 갖는다. 그리하여, 브릿지 탭(45, 53)은 측정된 전달 함수(57)를 분석함으로써, 특히 전달 함수(57)가 국부적 극소치들(59)을 갖는지를 확인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전달 함수(57)를 기술하는 측정 데이터(Hlog)는 DELT에 의해 검색될 수도 있다.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의 경우에, 원격통신 회선(13)은 2개의 전파 경로들, 즉 액세스 노드(17)로부터 단말 측 종단 노드(19)로 직접 가는 직접 경로(화살표 61)를 갖는다. 게다가 액세스 노드(17)에서 시작하고, 접합점(47)을 거쳐 먼 말단(49)으로 가고, 접합점(47)으로 되돌아가고 최종적으로 단말 측 종단 노드(19)에서 끝나는 간접 경로(화살표 63)를 갖는다(도 2 참조).
2개의 전파 경로들을 따른 특정 주파수
Figure pct00001
를 갖는 신호의 신호 전파는 페이저들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직접 경로:
Figure pct00002
(1)
간접 경로:
Figure pct00003
(2)
변수
Figure pct00004
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전파 상수이다. 페이저 r1은 직접 경로(61)를 따른 전송을 기술하고, 페이저 r2는 간접 경로(63)를 따른 신호 전파를 기술한다. 원격통신 회선(13)의 전파 거동은 이들 페이저들의 합에 의해 기술된다:
Figure pct00005
(3)
국부적 극소치들(59)은 직접 경로(61) 및 간접 경로(63)를 따른 신호들의 상쇄적 간섭의 결과이다. 국부적 극소치들의 주파수
Figure pct00006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4)
따라서, 측정된 전달 함수(57b, 57c)는 c/4Lt의 홀수배에 대응하는 주파수에서 깊은 딥들(59)을 나타낼 것이고, 여기서 c는 위상 속도를 나타낸다.
브릿지 탭들(45, 53)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형태에서, 측정된 전달 함수(57)에서의 국부적 극소치들이 검출되고, 이 방법은 검출된 국부적 극소치들의 주파수들이 적어도 본질적으로 이전 수학식(4)을 추종하는지를 검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의 경우에, 단일 추가적인 도전체(55)는 표면파들의 형태로 에너지를 전파할 수 있다. 게다가, 단일 추가적인 도전체(55)는 그 근방의 다른 도전체들(예컨대, 그것이 연결되는 주요 전송 회선의 와이어들, 회선(13)의 근방의 다른 와이어들, 지면, 기타 등등)과 전송 회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회선(15)을 따라 전파하는 에너지의 일부는 또한, 정확하게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의 경우에서처럼, 추가적인 단일 도전체(55)를 따라 전파할 수 있고 그것의 먼 말단(49)에서 반사될 수 있다. 하지만, 도전체 쌍(15)과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5) 사이의 비교적 높은 임피던스 부정합 때문에 그리고 비교적 높은 감쇠로 인해, 상술된 상쇄적 간섭의 영향들이 휠씬 덜 두드러진다. 그 결과,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측정된 전달 함수(57c)에서의 국부적 극소치들은 와이어 쌍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13)에 관련된 측정된 전달 함수(57b)에서의 국부적 극소치들보다 더 작다.
도 5는 원격통신 회선(13)에서의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5)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65)은 측정 및 분석 블록(67), 브릿지 탭 검출 블록(69), 및 검출된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유형 식별 블록(71)을 갖는다. 따라서, 방법(65)은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할 뿐만 아니라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며, 즉 브릿지 탭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인지 또는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인지를 판정한다.
측정 및 분석 블록(67)은 원격통신 회선(13)의 측정된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결정하는 단계(7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실제 전달 함수(57)를 기술한다. 예를 들면,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결정하는 것은 DELT(Dual End Line Testing)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달 함수(57)를 특징짓는 측정 데이터(Hlog)는 노드들(17 및 19)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는 SNMP와 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노드들(17 및/또는 19)로부터 검색될 수도 있다.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는 전달 함수(57)의 크기의 다중 값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각각의 크기 값은 상이한 주파수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달 함수(57)의 크기의 값들은 로그 스케일(logarithmic scale)로 표현된다.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는 DELT를 사용하여 발생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는 액세스 노드(17) 및 단말 측 종단 노드(19)의 동작 도중에 특정 위상 동안 발생된다. 예를 들어,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는 제1 모뎀 회로(23) 및 제2 모뎀 회로(33)의 서로에 대한 동기 위상 동안 발생될 수도 있고, 단계(73)이 그들을 검색할 수도 있도록 액세스 노드(17) 및/또는 단말 측 종단 노드(19)에 저장될 수도 있다.
측정 및 분석 블록(67)의 단계(75)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따라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결정한다.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는 어떠한 브릿지 탭들(45, 53)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다. 다시 말하면, 단계(75)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로부터의 브릿지 탭(45, 53)의 영향을 적어도 본질적으로 제거한다.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에 의해 나타내지는 함수는 브릿지 탭들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와 적어도 유사하며, 그리하여 측정된 전달 함수(57)의 엔벨로프(envelope)처럼 보인다.
제1 측정 데이터(Hlog) 및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함수들이 예시적인 시나리오에 대해 도 6에 도시된다. 이 시나리오에 따르면, L = 500m인 DSL 회선(13)이 고려된다. 위상 속도는 c=2·108 m/s이고, 감쇠율은 k=1.45·10-6m-1이고, 브릿지 탭(45, 53)의 길이는 Lt = 20m이다. 대응하는 측정된 전달 함수(57)는 2.5 MHz의 홀수배에 대응하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국부적 극소치들(59)을 갖는다. 수학식(4)를 이용하면, 브릿지 탭의 길이(Lt)는 다음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도 6에서의 점과 선식의 곡선(79) 및 파선 곡선(81)은 단계 75의 2개의 상이한 예시적인 변형예들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에 의해 나타내지는 전달 함수들을 도시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단계(75)는 측정된 전달 함수(57)의 극대치들(77)을 식별함으로써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계산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극대치들(77)은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계산하기 위한 지지점들로서 사용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극대치들(77)은 2개의 인접한 국부적 극소치들(59) 사이에 위치된 국부적인 극대치들이다. 극대치들(77)은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분석함으로써 식별될 수 있다. 즉, 제2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는 함수는 이웃하는 극대치들(77)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획득되는 곡선(79)에 대응한다. 실시형태에서, 극대치들(77)을 지지점들로서 사용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이웃하는 극대치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결과로 야기된 함수는 저역통과 필터링과 같은 적당한 수치적 방법들을 이용하여 평활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지수 가중된 이동 평균(exponential weighted moving average)과 같은 이동 평균 알고리즘이 함수를 평활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6의 곡선(79)는 이 실시형태에 따라 제2 전달 함수 데이터를 계산할 때에 획득된다.
제2 변형예에 따르면, 단계(75)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 또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로부터 유도되는 데이터(유도된 데이터)를, 어떠한 브릿지 탭(45, 53)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57a)를 나타내는 곡선(81)에 피팅함으로써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결정한다. 유도된 데이터는 지지점들로서 사용된 극대치들(77)을 사용함으로써 계산되는 데이터일 수도 있는데, 예컨대, 상기 유도된 데이터는 이웃하는 극대치들(77)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획득되는 곡선(79)에 대응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유도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제2 변형예에 따른 실시형태는, 평활화가 피팅으로 대체되는 경우의 상술된 제1 변형예에 적어도 본질적으로 대응한다. 즉,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는 극대치들(77)을 서로 연결하고 그 후에 결과적인 유도된 데이터를, 어떠한 브릿지 탭(45, 53)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57a)을 나타내는 곡선(81)에 피팅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이 곡선(81)은 임의의 수학적 모델, 바람직하게는 감쇠 지수 런을 갖는 함수를 사용하여 모델링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수학적 모델은 감쇠율(k) 및/또는 모델링될 원격통신 회선(13)의 길이에 의존하는 길이 값(L)과 같은 피팅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길이 값(L)은 원격통신 회선(13)의 길이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곡선(57a)은 다음과 같이 모델링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5)
여기서 전파 상수
Figure pct00010
는 주파수
Figure pct00011
에 의존하고, 다음과 같이 근사될 수 있다:
Figure pct00012
(6)
여기서 c는 위상 속도(통상적으로 c=2e8m/s)이다.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 또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로부터 유도되는 데이터를, 어떠한 브릿지 탭(45, 53)도 갖지 않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를 나타내는 곡선
Figure pct00013
에 피팅하기 위해, 전달 함수 데이터(Hlog) 또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로부터 유도되는 데이터에 의해 기술되는 측정된 전달 함수(57)의 엔벨로프가 모델링된 곡선과 유사하도록 피팅 파라미터들(k, L)은 최적화된다. 이를 위해, 임의의 적합한 수치 접근법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귀 기법들, 이를테면 비선형 회귀가 피팅 파라미터들(k, L)의 추정 값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피팅 접근법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적인 파선 곡선(81)이 도 6에 도시된다.
브릿지 탭 검출 블록(69)은 원격통신 회선(13) 내에 브릿지 탭(45, 53)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측정 및 분석 블록(67)의 결과들(Hlog, E)을 사용한다. 검출 블록(69)의 단계(83)는, 예컨대 각각의 전달 함수 데이터(Hlog, E) 사이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제1 전달 함수(Hlog)로부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감산한다. 결과적인 계차 전달 함수들(D)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다.
검출 블록(69)의 브랜치(85)는 계차 전달 함수(D)가 규칙적으로 이격된 국부적 극소치들(59)을 갖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그렇다면(Y), 검출된 브릿지 탭의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식별 블록(71)의 단계들이 실행된다. 그렇지 않다면(N), 방법(65)은 원격통신 회선(13)이 어떠한 브릿지 탭도 갖지 않는다고 판정한다(단계 87).
본 발명은 도시된 예시적인 검출 블록(69)에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한다. 검출 블록(69)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브랜치(85)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국부적 극소치들(59)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계차 전달 함수 데이터(E) 대신에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직접 분석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식별 블록(71)의 단계(91)은 국부적 극소치들(59)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예컨대 국부적 극소치들(59)의 깊이(H) 및 국부적 극소치들(59)의 폭(W)을 계산한다. 실시형태에서, 깊이(H)는 계차 전달 함수 D의 전역 극대치(global maximum)의 크기로부터 국부적 극소치들(59)에서의 계차 전달 함수 D의 크기를 감산함으로써 계산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계차 전달 함수 D의 전역 극대치의 크기는 0 dB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제1 국부적 극소치(59)는 H=22dB의 깊이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국부적 극소치(59)의 폭(W)은 계차 전달 함수 D의 하강 슬로프(falling slope)에서의 제1 지점과 상승 슬로프(rising slope)에서의 제2 지점 사이의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계산될 수도 있는데, 그 슬로프들 사이에 국부적인 극소치(59)가 위치된다.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은 계차 전달 함수 D가 제1 지점 및 제2 지점에서 미리정의된 레벨을 갖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이 레벨은 -3dB이다. 도 7에 도시된 제1 국부적 극소치(59)의 이러한 이른바 3dB에서의 폭은 W=1.6MHz이다.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의 경우의 예시적인 계차 전달 함수 D가 도 8에 도시된다. 폭 W=350 kHz 및 깊이 H=6dB은 도 7에 도시된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에 의해 야기되는 국부적 극소치들(59)의 깊이(H) 및 폭(W)보다 휠씬 작다.
국부적 극소치들(59)의 특징은 미리정의된 임계치들과 비교될 수도 있고, 이러한 비교의 결과에 따라, 방법(65)은 브릿지 탭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인지 또는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인지를 판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국부적 극소치들(59)의 깊이 및 폭에 대한 임계치들(ThH, ThW)이 정의될 수도 있고, 계산된 깊이(H) 및 계산된 폭(W)과 비교될 수도 있다. 이들 값들이 각각의 임계치들보다 크면, 즉 H > ThH 및 W > ThW이면, 유형 식별 블록(71)은 브릿지 탭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이라고 가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식별 블록(71)에 의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이 가정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별 블록(71)은 블록(69)에서 검출된 브릿지 탭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원격통신 회선(13)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팅 파라미터들(L, k) 및/또는 수학식(4)을 사용하여 추정된 탭 길이(Lt)는 원격통신 회선(13)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시뮬레이션 기반 실시형태에서, 특징들(H, W)을 계산하고 그들을 각각의 임계치(ThH, ThW)와 비교하기 위한 상술된 단계(9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식별 블록(71)은 브릿지 탭(45, 53)의 길이(Lt)를 추정하기 위한 단계(93) 및 전송 회선(13)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9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들은 길이 값(L) 및 감쇠율(k)에 대응한다. 이들 값들(L, k)은 상술된 피팅 절차 동안 결정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피팅 파라미터들(L, k)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한다.
또한, 식별 블록(71)은 전송 회선(13)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단계(97)를 갖는다. 실시형태에서, 시뮬레이션 단계(97)는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곡선(57b)와 유사함)를 특징짓는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1)를 계산한다. 게다가, 시뮬레이션 단계(97)는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을 갖는 원격통신 회선(13)의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곡선(57c)와 유사함)를 특징짓는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2)를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두 가지의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1, SHlog2)는 브릿지 탭(45, 53)의 길이(Lt), 회선 길이 값(L) 및/또는 감쇠율(k)에 따라 계산된다. 실시형태에서, 2개의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1, SHlog2)는 2개의 연속 시뮬레이션 런들에 의해 계산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식별 블록(71)은 비교 단계(99)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교 단계(99)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의해 나타내지는 측정된 전달 함수의 국부적 극소치들(59)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및 2개의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들(SHlog1 및 SHlog2)의 동일한 특징을 결정한다. 적어도 하나의 특징은 국부적 극소치들(59)의 깊이(H) 및/또는 폭(W)을 포함할 수도 있다. 게다가, 단계(99)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측정된 전달 함수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H, W)과 2개의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들(SHlog1, SHlog2)의 특징들(H, W)을 비교함으로써 브릿지 탭의 유형을 결정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비교 단계(99)는 2개의 상이한 유형들의 브릿지 탭들, 즉 와이어 쌍 브릿지 탭들(45) 및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들(53)을 구별한다. 다시 말하면, 단계(99)는 각각의 전달 함수 데이터(Hlog, SHlog1, SHlog2)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전달 함수들의 특징들(H, W)에 따라,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가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의해 나타내지는 측정된 전달 함수와 더 유사한지 또는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가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의해 나타내지는 측정된 전달 함수와 더 유사한지를 판정한다. 하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에서는, 함수들을 비교하고 그리고/또는 그들의 유사성을 결정하기 위한 상이한 접근법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학적 유사성 척도가 고려될 각각의 쌍{(Hlog, SHlog1), (Hlog, SHlog2)}에 대해 정의될 수도 있고 계산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비교 단계(99)는 예컨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도 있다. 측정된 국부적 극소치들의 3dB 폭 및 깊이를 각각 WM 및 HM라고 하자.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의 경우의 국부적 극소치들(59)의 시뮬레이션된 깊이 및 폭은 각각 WBT 및 HBT이다.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의 경우의 국부적 극소치들(59)의 시뮬레이션된 깊이 및 폭은 각각 WSW 및 HSW이다. 국부적 극소치(59)의 측정된 사이즈를 나타내는 지점과 시뮬레이션된 사이즈들을 나타내는 2개의 지점들 사이의 (W, H) 공간에서의 거리(d)가 측정될 수도 있다. 거리(d)는 특징들(W 및 H)의 상이한 동적 범위들을 보상하기 위해 가중될 수도 있고,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14
(7)
심볼들
Figure pct00015
및 β은 사용될 가중치들이고 다음과 같이 선정될 수 있는데,
Figure pct00016
(8)
즉, 전달 함수(57)가 측정된 주파수 범위이고,
Figure pct00017
(9)
즉, 측정된 전달 함수(57)의 동적 범위이다. 따라서, 하기와 같아야만 단계 99에서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이 가정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18
(10)
상기 설명은 두 전달 함수들 및 각각의 전달 함수를 특징짓는 전달 함수 데이터를 참조한다. "특징짓다"라는 용어는 전달 함수가 각각의 전달 함수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지거나 기술되는 것을 가리키기 위해 이 문맥에서 사용된다. 전달 함수 데이터는 다수의 이산 주파수들에서의 전달 함수의 다수의 샘플들과 같이 컴퓨터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일 수도 있다. 전달 함수의 크기는 로그 스케일로 표현되고 그리고/또는 저장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 및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는 측정된 전달 함수에 의존하고,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들은 단계(97)에서 얻은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1, SHlog2)에 의존한다.
요약하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65) 및 디바이스는 원격통신 회선(13) 내에서의 브릿지 탭의 존재를 신뢰성 있게 검출하는 것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브릿지 탭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특정 브릿지 탭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인지를 판정하는 것은 고객의 옥내 배선에서 네트워크 운용자에 의해 설치된 네트워크 종단 회로가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의 전기적 특징들을 갖는 경우들에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방법(65)은 네트워크 종단 회로와 원치않는 브릿지 탭들을 구별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 결과, 현장 기술자들에게 제공되는 거짓 경보들 및 잘못된 수리 충고들이 회피될 수 있다. 거짓 경보들 및 잘못된 수리 충고들을 회피하는 것은 네트워크 운용자에 대한 운용 비용을 절감시킨다.
도 9는 벽 콘센트(wall socket; 103)에 설치된 제1 회선 종단 디바이스(101)를 도시한다. 벽 콘센트(103)는 통상적으로 고객 댁내(21)에 설치된다. 벽 콘센트(103)는 내부 케이블(105)에 의해 부수적 콘센트(107)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회선 종단 디바이스(101)는 2개의 전기적 도전체들(15a, 15b)을 서로 연결하는 RC 회로 형태의 회선 종단 회로를 갖는다. 하지만, 제1 전기적 도전체(15a)와 벽 콘센트(103)의 핀 사이에 추가의 직접 전기적 접속이 있다. 그 결과, 2개의 콘센트들(103, 107)을 서로 연결하는 내부 케이블(105)의 와이어(109)는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을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회선 종단 디바이스(101)는 프랑스에서 매우 자주 쓰인다. 하지만 상이한 국가들에서 또는 상이한 네트워크 운용자들에 의해, 상이한 유형의 회선 종단 디바이스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전체 쌍(15)의 2개의 전기적 도전체들(15a, 15b) 사이에 연결되는 회선 종단 디바이스(111)의 추가적인 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회선 종단 디바이스(101)와 유사하게, 추가적인 회선 종단 디바이스(111)는 전기적 도전체들(15a, 15b) 사이에 연결된 RC 회로를 갖는다. 그러나, RC 회로의 저항기(R)와 커패시터(C) 사이에 전화 링거 와이어(phone ringer wire)가 연결된다. DSL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들과 같은 높은 주파수들에서, 커패시터는 단락 회로로서 거동한다. 그 결과, 링거 와이어(113)는 고객의 옥내 배선 내에서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을 형성한다.

Claims (16)

  1. 원격통신 회선(13) 내에서의 브릿지 탭(45, 53)의 검출을 위한 방법(65)으로서,
    상기 원격통신 회선의 실제 전달 함수(57)를 특징짓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결정하는 단계(73); 및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따라 상기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하는 단계(69)
    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65)은
    상기 검출의 결과(Lt, L, k)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97); 및
    상기 시뮬레이션하는 단계의 결과들(SHlog1, SHlog2)과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브릿지 탭(45, 53)의 유형(T)을 식별하는 단계(99)를 포함하는 방법(6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탭의 유형은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 및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을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브릿지 탭의 유형(T)을 식별하는 단계(99)는 검출된 브릿지 탭이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인지 아니면 와이어 쌍 브릿지 탭(99)인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6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하는 단계(69)는 검출된 브릿지 트랩(45, 53)의 적어도 하나의 특징,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릿지 탭(45, 53)의 길이(Lt)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65).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는 상기 브릿지 탭이 와이어 쌍 브릿지 탭(45)이라고 가정하여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의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57b)를 특징짓는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SHlog1)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97)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97)는 식별된 브릿지 탭(45, 5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의존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된 브릿지 탭(45, 53)의 상기 길이(Lt)에 의존하고, 상기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99)는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 및 상기 제1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1)에 의존하는 방법(65).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65)은 단일 와이어 브릿지 탭(53)을 가정하여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의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57c)를 특징짓는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2)를 계산하는 단계(97)를 포함하고, 상기 계산하는 단계(97)는 식별된 브릿지 탭(45, 53)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징에 의존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별된 브릿지 탭(45, 53)의 상기 길이(Lt)에 의존하고, 상기 브릿지 탭의 유형을 식별하는 단계(99)는 상기 제2 시뮬레이션된 전달 함수 데이터(SHlog2)에 의존하는 방법(65).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65)은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따라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결정하는 단계(7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는 어떠한 브릿지 탭들(45, 53)도 갖지 않는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의 제2 전달 함수(79, 81)를 특징짓고, 상기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하는 단계(69)는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 및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에 의존하는 방법(65).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결정하는 단계(75)는 상기 실제 전달 함수(57) 내에서 극대치들(77)을 식별하는 단계 및 이들 극대치들(77)을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계산하기 위한 지지점(supporting point)들로서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65).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결정하는 단계(75)는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함수를 평활화하는(smoothing)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65).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 또는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로부터 유도되는 데이터를, 어떠한 브릿지 탭(45, 57)도 갖지 않는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의 전달 함수를 나타내는 곡선(79)에 피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65).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79)은 감쇠 지수 런(decaying exponential run)을 가지며, 상기 곡선(79)의 피팅 파라미터들은 감쇠율(attenuation factor, k) 및/또는 길이 값(L)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값(L)은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의 길이에 의존하는 방법(65).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 탭(45, 53)을 검출하는 단계(69)는 상기 2개의 전달 함수들(57; 79, 81)의 차이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로부터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를 감산함으로써 또는 상기 제2 전달 함수 데이터(E)로부터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감산함으로써, 계산하는 단계(83)를 포함하는 방법(65).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65)은 상기 제1 전달 함수(57) 및/또는 상기 제2 전달 함수(79, 81)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기 2개의 전달 함수 데이터(E, Hlog)의 차이에 따라, 상기 브릿지 탭(45, 53)의 길이(Lt)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65).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을 시뮬레이션하는 단계(97)는 상기 곡선의 적어도 하나의 피팅 파라미터(L, k) 및/또는 상기 브릿지 탭(45, 53)의 계산된 길이(Lt)에 의존하는 방법(65).
  14. 원격통신 회선(13) 내에서의 브릿지 탭(45, 53)의 검출을 위한 디바이스(17, 19, 39)로서,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의 실제 전달 함수(57)를 특징짓는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결정(73)하고;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에 따라 상기 브릿지 탭(45, 53)을 검출(69)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디바이스(17, 19, 39)는
    상기 검출(69)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원격통신 회선(13)을 시뮬레이션(97)하고;
    상기 시뮬레이션(97)의 결과들(SHlog1, SHlog2)과 상기 제1 전달 함수 데이터(Hlog)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브릿지 탭(45, 53)의 유형(T)을 식별(99)하도록 동작가능한 디바이스(17, 19, 39).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17, 19, 39)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65)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래밍되는 디바이스(17, 19, 39).
  1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저장 매체(29)이며,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65)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57000455A 2012-06-13 2013-05-22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629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5672.3 2012-06-13
EP20120305672 EP2675074B1 (en) 2012-06-13 2012-06-13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bridged tap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PCT/EP2013/060528 WO2013186023A1 (en) 2012-06-13 2013-05-22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bridged tap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266A true KR20150031266A (ko) 2015-03-23
KR101629618B1 KR101629618B1 (ko) 2016-06-13

Family

ID=4848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455A KR101629618B1 (ko) 2012-06-13 2013-05-22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5353B2 (ko)
EP (1) EP2675074B1 (ko)
JP (1) JP5913744B2 (ko)
KR (1) KR101629618B1 (ko)
CN (1) CN104365025B (ko)
WO (1) WO2013186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6294A1 (en) * 2014-10-27 2016-05-04 Alcatel Lucent Method and device for localization of a bridged tap
EP3018831B1 (en) * 2014-11-07 2017-10-18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 incorrectly wired line in a vectoring group
FR3048511B1 (fr) * 2016-03-01 2019-07-19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ede de detection de defauts non francs dans un cable, basee sur l'integrale d'un reflectogramme
CN108278747B (zh) * 2018-01-30 2020-06-02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扫风面板识别方法、装置、电路及空调器
EP3691186A1 (en) 2019-01-31 2020-08-0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the bitrate of a repaired communication channel
EP3739764A1 (en) * 2019-05-17 2020-11-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bridged tap leng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772A (ko) * 2000-01-07 2002-10-19 어웨어, 인크. 전송회선의 루프 길이 및 브리지형 탭 길이를 결정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정보 저장매체
WO2005036189A1 (en) * 2003-09-17 2005-04-21 Actern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ime varying gain tdr to display abnormalities of a communication cable or the like
US8041009B2 (en) * 2005-12-23 2011-10-18 Alcatel Lucent Wired transmission line tes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7523A (en) * 1993-06-16 1996-05-14 Motorola, Inc. Bridge-tap equalizer method and apparatus
US5461318A (en) * 1994-06-08 1995-10-24 Borchert; Marshall B.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a time domain reflectometer
US6177801B1 (en) * 1999-04-21 2001-01-23 Sunrise Telecom, Inc. Detection of bridge tap using frequency domain analysis
US6466649B1 (en) * 1999-12-09 2002-10-15 Harris Corporation Detection of bridged taps by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US7583797B2 (en) * 2000-07-10 2009-09-01 Broadcom Corporation Single ended analog front end
US6566889B2 (en) * 2001-04-17 2003-05-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ine diagnostics for wireline modems
US20030147506A1 (en) * 2001-05-09 2003-08-07 Jalil Kamali Single ended line probing in DSL system using combined FDR-TDR approach
CA2358379A1 (en) * 2001-10-05 2003-04-05 Elysium Broadband Inc.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signal loss in unterminated bridge taps
JP3646879B2 (ja) * 2002-01-30 2005-05-11 横河電機株式会社 回線特性測定装置
JP4111377B2 (ja) * 2002-06-03 2008-07-02 Kddi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整合器およびそれを実装した雑音除去フィルタ
JP2004112490A (ja) *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通信装置
US20050036560A1 (en) * 2003-08-14 2005-02-17 Adc Dsl Systems, Inc. Cable calculator
US7809116B2 (en) * 2003-12-07 2010-10-05 Adaptive Spectrum And Signal Alignment, Inc. DSL system estimation including known DSL line scanning and bad splice detection capability
US7577205B1 (en) * 2004-02-13 2009-08-18 Ikanos Communications, Inc. Return-loss compliant DSL modem line interface unit with complex termination
US7388906B2 (en) * 2004-05-03 2008-06-17 Sbc Knowledge Ventures, L.P. Method for detecting bridged taps on telephony cable
US7623630B2 (en) * 2005-04-08 2009-11-24 Ikanos Communications, Inc. Double-ended line probing (DELP) for DSL systems
EP1982432B1 (en) * 2006-01-31 2016-08-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 system for cable or subscriber loop investigation performing loop topology identification
EP2074808B1 (en) * 2006-10-20 2013-10-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loop qualification in a digital subscriber line (dsl) system
US8509389B2 (en) * 2007-03-07 2013-08-13 Ikanos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oop length estimation based on per-port calibration
WO2009022374A1 (ja) * 2007-08-10 2009-02-19 Fujitsu Access Limited xDSL通信システム
JP2008118687A (ja) * 2007-12-03 2008-05-22 Sumitomo Electric Ind Ltd 伝送装置
CN101572569B (zh) * 2008-05-04 2013-0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线路拓扑管理方法、系统及相关装置
US8170505B2 (en) * 2008-07-30 2012-05-01 Qualcomm Incorporated Driver amplifier having a programmable output impedance adjustment circuit
US20100061434A1 (en) * 2008-09-07 2010-03-11 Conexant Systems, Inc. DSL Loop Topology Recognition Based on the Insertion Loss (Hlog) Measurements
CN101729683B (zh) * 2008-10-22 2012-11-07 华为技术有限公司 检测桥接抽头的方法、装置及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772A (ko) * 2000-01-07 2002-10-19 어웨어, 인크. 전송회선의 루프 길이 및 브리지형 탭 길이를 결정하기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정보 저장매체
WO2005036189A1 (en) * 2003-09-17 2005-04-21 Actern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time varying gain tdr to display abnormalities of a communication cable or the like
US8041009B2 (en) * 2005-12-23 2011-10-18 Alcatel Lucent Wired transmission line tes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85353B2 (en) 2016-11-01
EP2675074B1 (en) 2014-08-06
JP2015525531A (ja) 2015-09-03
JP5913744B2 (ja) 2016-04-27
US20150117634A1 (en) 2015-04-30
CN104365025A (zh) 2015-02-18
CN104365025B (zh) 2016-12-28
KR101629618B1 (ko) 2016-06-13
WO2013186023A1 (en) 2013-12-19
EP2675074A1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618B1 (ko) 원격통신 회선 내에서 브릿지 탭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8065100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cable or subscriber loop investigation performing loop topology identification
EP12483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of an access network by means of 1-port measurements
TWI441465B (zh) 用於評估電信傳輸線之特性的方法、裝置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JP6359542B2 (ja) 加入者宅内機器を検査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317873B2 (ja) 改良されたシングルエンド回線構成識別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1789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n impairment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EP285429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a communication line
KR101622062B1 (ko) 원격 통신 회선 내에서의 장애의 위치 파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26427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one bridged tap within a telecommunication line
EP2824844B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ssment of a telecommunication 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