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943A -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943A
KR20150030943A KR20130110298A KR20130110298A KR20150030943A KR 20150030943 A KR20150030943 A KR 20150030943A KR 20130110298 A KR20130110298 A KR 20130110298A KR 20130110298 A KR20130110298 A KR 20130110298A KR 20150030943 A KR20150030943 A KR 2015003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line
bottoms
present
il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기
Original Assignee
이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기 filed Critical 이성기
Priority to KR2013011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943A/ko
Priority to PCT/KR2014/008441 priority patent/WO2015037899A1/ko
Publication of KR2015003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4Ski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팬티나 바지에 적용할 수 있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는 상부 영역에 형성된 허리 라인과 별개로 하의를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 라인을 구비한다,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측면은 하의가 걸리는 장골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정면은 양 장골 측면에서 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서로 만나서 전면 저점을 형성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후면은 양 전골의 측면에서 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서로 만나서 후면 저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지의 상단 허리 라인이 인체공학적으로 몸이 활동할 때 변형이 없는 장골과 치골을 잇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하의의 착용으로 인한 허리 부분의 조여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서있을 뿐만 아니라 앉거나 구부릴 때에도 하의가 몸에서 들뜨지 않고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전면에 배의 비만도에 따라서 양 옆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아래 복부를 받쳐서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다. 상술한 허리 라인과 허리 고정부 라인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A comfortable pants}
본 발명은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티, 바지, 치마에 적용할 수 있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에 관한 것이다.
자세 이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및 장애는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바르지 않은 자세가 체형으로 고착화됨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은 산업재해 질환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쁜 자세에서 바른 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쁜 자세에 따른 통증이나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나쁜 자세의 고착화를 방지하는 일상적인 방법으로는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 운동이나 바른 자세를 만들어주는 재활 의료 보정기의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정기들은 주로 재활 의학이나 정형 외과 환자들이 주로 착용하고 있다.
척추 측만증이나 자세의 교정 목적으로 개발된 자세 교정 벨트 등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인들도 이를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지나친 압박감과 고정된 틀을 제시하는 한계가 있다.
일반인들이 주로 착용하는 체형 보정용 피복류는 대부분 허리나 골반의 위치를 보정하거나 보호하는 거들이나 자세 교정 벨트 등이다. 이러한 제품들의 기술적인 한계는 나쁜 자세가 발생하는 원인과 관련된 인체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각각 반영하지 않고,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인체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띠나 조작적인 모양의 탄성 재질을 옷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하체 형태나 자세를 조정하는 거들과 하반신 운동을 보조하는 기능으로 골반의 연동운동과 무릎의 회전 운동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들로도 인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 및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가 없어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는 데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23912호인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서는 바른 자세를 도출하여 3D 스캐너로 스캔 후 이 제원을 하체의 옷본에 골반 및 하지 등의 근골격 기능이 발휘되도록 인체의 근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 근골격을 설계하되, 인체 근육의 힘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부 직물 근골격의 경우에는 그 형태를 변형시켰다. 이 발명에서는 직물 근육은 인체 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기존 인체의 길항근과는 독립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상 생활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인체 근육의 힘과 정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몸의 균형을 안정되게 바로 잡아줌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며, 직물 근육(길항적 작용)이 복원할 때 인체의 해당 근육이 주동근 역할을 항 경우는 균형을 잡아주는 상반된 장력만큼 근 파워가 증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인체의 나쁜 자세를 교정하거나 근파워를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하의를 입었을 경우에 편안함을 추가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종래의 하의의 허리 라인은 허리를 감싸는 거의 높이가 일정한 원통의 형태로 허리 벨트 등의 고정 장치에 의하여 그 형태가 유지되었다. 그런데, 하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는 하의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해서 인체를 압박하여, 혈액의 원활한 순환을 저해하게 되어 편안함과는 거리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의를 입은 상태에서 앉았을 때, 서있을 때, 구부렸을 때 등 신체의 형상에 따라서 허리 고정부(대부분 허리 벨트로 고정) 아래 부분의 하의가 접히는 등 심하게 변형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의를 입은 상태에서 허리를 구부릴 때, 뒤 허리의 하의가 허리에서 분리되어 미관상 좋지 않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39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람이 하의를 착용하고 활동을 할 경우에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를 제공한다.
또한, 그 목적은 하의를 입은 상태에서 의자에 앉거나, 허리를 구부릴 경우에도 하의의 옷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는 상단에 형성된 허리 라인; 및 상기 하의를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측면은 하의가 걸리는 장골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정면은 양 장골 측면에서 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서로 만나서 전면 저점을 형성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후면은 양 전골의 측면에서 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서로 만나서 후면 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정중앙과 양 측면 사이에 각각 위에서 아래로 절개 라인이 형성되어서, 이 절개 라인이 옆으로 벌어지면서 하의 고정부 라인이 아래 배를 받칠 수 있는 배받침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전면 저점은 치골이 결합된 치골 결합의 상부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후면 저점은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허리 라인과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의의 상단 허리 라인과 별개로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을 구비하여 하의 고정부 라인이 인체공학적으로 몸이 활동할 때나 근육의 움직임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는 라인과 일치하도록 하여, 서있을 뿐만 아니라 앉거나 허리를 구부릴 때도 하의를 고정하기 위해 몸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또한, 착석하거나 구부릴 때에도 하의가 몸에서 들뜨지 않고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허리 라인 고정부의 전면에 배의 비만도에 따라서 양 옆으로 벌어질 수 있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아래 복부를 받쳐서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다.
또한,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서 변형이 적은 부위를 지나도록 허리 고정부 라인을 구비하여, 허리 고정부 라인이 탄력성이나 강도에 있어서, 종래의 허리 고정부에 비해서 약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를 착용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격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격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후면 허리 고정부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의 배받침 수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를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의(100)는 상단에 형성된 허리 라인(110)과 허리를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갖는다.
도 1를 참조하면, 종래의 하의의 허리 전면부 라인은 하의를 고정하는 역할로 인하여 착용시에 전면이 거의 일자형의 라인(11)을 갖고 허리를 조여주는 형태이다.
이에 대비되는 본 발명의 하의(100)의 허리 라인(110)은 고정하는 역할이 없고, 허리 고정부 라인(111)에 의존하여 형태를 유지하므로, 그 형태가 종래의 일자형을 유지하지 않고, 종래 하의에 비하여 보다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의(100)를 착용시에 허리 고정부 라인(111)은 앉거나 구부릴 때도 변형이 적은 라인(전면은 복근의 하부, 측면은 장골의 상부를 지나는 라인)을 따라서 허리 고정부 라인(111)이 형성되어 하의를 착용하고 활동하는 경우에 종래의 하의에 비하여 훨씬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가질 수 있다.
즉, 하의를 착용하였을 경우에, 전면의 아래 배를 조여주면서 하의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 배의 밑에서 아래 배를 받쳐주면서 하의를 고정하는 것이어서 착용감이 편안하다.
또한, 종래의 교정용 하의는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인체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데 반하여, 본 발명의 하의는 앉거나 구부릴 때도 변형이 없는 부분에 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형성하여, 인체를 압박하는 부분이 없어서, 혈액의 순환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를 착용한 상태의 후면도이다.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의 하의(100)는 상단에 형성된 허리 라인(110)과 허리를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하였듯이 후면의 허리 라인(110)은 하의를 고정하는 역할이 없고 허리 고정부 라인(111)에 의존하여 형태를 유지하므로, 그 형태가 종래의 일자형의 라인(11)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의(100)를 착용시에 허리 고정부 라인(111)은 허리를 굽힐 경우에 후면 허리가 굽혀지는 라인 아래쪽 라인을 따라서 허리 고정부 라인(111)이 형성되어 하의를 착용하고 활동하는 경우에 종래의 하의에 비하여 훨씬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인체 골격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인체의 골반은 하지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한 쌍의 관골(장골, 치골, 좌골)과 인체의 기둥역할을 하는 척추의 아래 부분인 천골, 그리고 꼬리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골반은 ‘인체의 중심’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관골은 장골(ilium), 좌골(ischium), 치골(pubis)의 3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가, 출생 후 하나로 융합되며 3부분이 모두 모여 형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격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은 양 측면은 장골(20, 엉덩이뼈)의 위이며, 정면은 양 장골(20) 측면에서 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전면 중앙에서 만나서 전면 저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전면 저점은 치골(30)이 결합된 치골결합(31)의 상부에서 만나서 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장골(20)은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이 걸리는 신체 부위의 뼈이다. 장골(20, Ilium)은 골반 중 가장 크고 위쪽에 위치하여 바깥을 향해 퍼져 있어 둔부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위의 가장자리를 장골능(iliac crest)이라 하며 허리 바로 아래에서 촉지할 수 있으며, 장골 앞쪽의 매끈하고 오목한 면은 장골와(iliac fossa)라고 한다.
치골(30, Pubis)은 골반 뼈 앞 부분을 형성하며, 치골체와 2개의 치골지(rami)가 있다. 이 치골지는 반대쪽 치골지와 관절하게 되는데 이를 치골결합(pubic sysphysis, 31)이라 하며, 상치골지(superior pubic ramus)는 상후방의 장골(ilium)과, 하치골지(inferior pubic ramus)는 하부방의 좌골지와 만난다. 양쪽의 하치골지가 만나 치골궁(pubic arch)을 형성하며, 치골과 좌골지의 연(edge)이 폐쇄공(obturator foramen)이라는 큰 구멍을 형성하는데 이곳으로 폐쇄신경(obturator nerve) 및 혈관 등이 통과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격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후면 허리 고정부 라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의 후면은 양 장골(20)의 측면에서 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후면 중앙에서 후면 저점을 형성한다. 후면 저점은 요추(33, 허리뼈)와 천추(35, 엉치뼈)가 만나는 지점에서 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요추(33)는 5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고, 흔히 말하는 허리 부위에 해당한다. 요추(33)의 관절면은 상체를 앞뒤로 구부리기에 용이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척추 중에서도 가장 많은 하중을 지탱하는 곳으로서 척추 질환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곳이다. 요추 아래쪽인 요추 4~5번이나 요추 5번과 천추에서 요추 디스크가 많이 발생한다.
천추(35)는 5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고, 5개의 뼈가 융합되어 형성된다.
이 요추(30)와 천추(35)가 만나는 지점이 허리가 굽혀질 때도, 움직이지 않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의 저점이 형성되어, 하의를 착용하고 활동하는 경우에 종래의 하의에 비하여 훨씬 자연스러운 착용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인체의 전면부 근육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체의 전면 허리 부위의 복근은 복직근(51), 외복사근(52), 내복사근(53)이 있다. 이들은 복벽을 형성하여 그 안에 내장 장기를 수용하고 보호한다. 복부 전면을 세로로 달리는 판상의 커다란 근이 복직근(51)으로, 이것이 수축함으로써 척추가 앞으로 구부러진다. 흉골 하단과 제5~7 늑연골에서 시작되어 치골결합에 이른다. 치골결합에 가까운 복근 부위는 활동에 의한 근육의 변화에도 움직임이 크지 않다.
하의의 고정부 라인(111)은 양 측면의 내복사근(53)의 상부를 지나며, 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전면 중앙에서 만나서 전면 저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전면 저점은 복직근951)의 하부에서 만나서 저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인체의 후면부 근육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하의의 후면부를 구성하는데 중용한 역할을 하는 근육이 대둔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근육과 관련하여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의의 고정부 라인(111)의 후면은 양 장골의 측면에서 대둔근(61) 위로 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후면 중앙에서 만나서 후면 저점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후면 저점은 요추(33, 허리뼈)와 천추935, 엉치뼈)가 만나는 지점에서 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의의 전면 허리 라인의 양 측면에 배받침 수단을 구비하여 배의 하부를 지탱할 수 있어, 편안한 착용감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의 전면 허리 고정부 라인(111)의 배받침 수단(15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허리 라인과 허리 고정부 라인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받침 수단(150)으로서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의 정중앙과 양 측면 사이에 각각 수직으로 절개 라인(151)이 형성되어서, 이 절개 라인(151)이 옆으로 벌어지면서 하의가 아래 배를 받칠 수가 있다. 절개 라인의 양 측면으로는 탈부착 수단(152)이 구비되어서, 벌어지는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탈부착 수단(152)으로서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였는데, 단추, 후크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은 아래 배를 압박하는 것이 아니라, 장골(20)과 치골(30)로 이어지는 활동할 때 변형되지 않는 라인을 기준으로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111)을 형성한다.
11: 종래 하의 허리라인 20: 장골
30; 치골 31: 치골 결합
33: 요추 35: 천추
100: 하의 111: 허리 고정부 라인
150: 배받침 수단 151: 절개 라인
152: 탈부착 수단

Claims (5)

  1. 하의에 있어서,
    상기 하의의 상단에 형성된 허리 라인; 및
    상기 하의를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 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측면은 하의가 걸리는 장골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정면은 양 장골 측면에서 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서로 만나서 전면 저점을 형성되며,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후면은 양 전골의 측면에서 후면으로 하향지게 내려오면서 서로 만나서 후면 저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의의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정중앙과 양 측면 사이에 각각 위에서 아래로 절개 라인이 형성되어서, 이 절개 라인이 옆으로 벌어지면서 하의 고정부 라인이 아래 배를 받칠 수 있는 배받침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전면 저점은 치골이 결합된 치골 결합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의 후면 저점은 요추와 천추가 만나는 지점에서 저점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라인과 상기 허리 고정부 라인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KR20130110298A 2013-09-13 2013-09-13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KR20150030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298A KR20150030943A (ko) 2013-09-13 2013-09-13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PCT/KR2014/008441 WO2015037899A1 (ko) 2013-09-13 2014-09-13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298A KR20150030943A (ko) 2013-09-13 2013-09-13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943A true KR20150030943A (ko) 2015-03-23

Family

ID=5266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298A KR20150030943A (ko) 2013-09-13 2013-09-13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30943A (ko)
WO (1) WO2015037899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6498A (ja) * 2000-04-06 2001-10-16 Satoru Shimizu 仙腸関節矯正用衣服
KR100759946B1 (ko) * 2006-08-10 2007-10-04 주식회사 우양크리에이션 체형보정 기능을 갖는 바지
JP2008081864A (ja) * 2006-09-26 2008-04-10 Toshitsugu Matsuda 腰部保護ズボン
KR200464651Y1 (ko) * 2012-09-11 2013-01-14 박윤자 바지용 힙 보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7899A1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2296C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TWI474785B (zh) 作為姿勢改善之支撐用的衣服
US20120078149A1 (en) Orthopedic Posture Brace
US9839554B2 (en) Lower back pain treatment and spinal protection device
US20180318142A1 (en) Lower body support and compression garment
US20190297959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US20200237028A1 (en) Posture correction bra
CN102098989A (zh) 姿势矫正挎带
CN107714254B (zh) 脊椎侧弯矫正衣
KR200477364Y1 (ko) 등쿠션
US20150264980A1 (en) Posture protecto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2013204191A (ja) 姿勢補整衣類
KR20190036815A (ko) 자세 교정 장치
KR20150030943A (ko) 착용감이 개선된 하의
US20190297957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JP6420408B1 (ja) 仙骨と寛骨の歪み運動矯正方法及び仙骨と寛骨の歪み運動矯正具
JP2020127701A (ja) 姿勢矯正具及びその使用法
US20120289874A1 (en) Spinal Posture Brace
JPH11146890A (ja) 股関節症用装具
JP3014829U (ja) 股関節部と腰椎部の緊縛ベルト
AU2010200001A1 (en) Support and compression garments
KR101589833B1 (ko) 요통 완화 의류
AU2015264849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KR20230158278A (ko) 자세 교정 장치
JP2024005567A (ja) 姿勢矯正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