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852A -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852A
KR20150030852A KR20130110080A KR20130110080A KR20150030852A KR 20150030852 A KR20150030852 A KR 20150030852A KR 20130110080 A KR20130110080 A KR 20130110080A KR 20130110080 A KR20130110080 A KR 20130110080A KR 20150030852 A KR20150030852 A KR 2015003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impurities
impurity storage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20130110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0852A/ko
Publication of KR2015003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B66F9/07518Fuel or oil tank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 및 수분이 불순물 저장부로 자연스럽게 모이도록 한 후 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게차 차체(1)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연료 탱크 본체(21)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21)의 상부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22)와,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 잔량을 측정하는 연료 게이지(23)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라인(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20)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20)는,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 및 수분이 연료 탱크 바닥면(25)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료 탱크 바닥면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개방부(30)와, 상기 개방부(30)의 저면에 구비되어 불순물 및 수분이 저장되는 불순물 저장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Fuel Tank Structure of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 탱크의 바닥면을 일부 절개하여 불순물 및 수분이 통과되도록 하는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개방부의 하부에 불순물 저장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불순물저장부에 모인 불순물 및 수분이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와 다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과동시에, 불순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고중량의 하물(荷物)을 들어올려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산업차량으로서, 건설현장 등에서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실내 작업장에서 하물을 적재할 때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도시 생략)이 내부에 탑재된 차체(1)를 구비하며, 상기 차체(1)의 전방에는 마스트(Mast) 조립체(2)가 설치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3)(Mast Rail)과, 상기 마스트 레일(3)을 따라 상, 하로 승강 가능한 캐리지(4)(Carriage)를 구비한다.
상기 마스트 조립체(2)는, 틸트 실린더(10)(Tilt Cylinder)에 의해 운전석 쪽을 향해 약간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캐리지(4)는 리프트 체인(6)(Lift Chain)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며, 캐리지(4)의 전방에는 하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7)(Fork)가 장착된다.
상기 한 쌍의 포크(7)는 좌우로 그 폭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그 상부에는 하물을 지지하기 위한 백 레스트(5)(Back Rest)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1)의 상부에는 운전석(9)이 구비되어 있고, 운전석(9)의 상측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8)(Overhead Guar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체(1)의 후방에는 카운터 웨이트(11)(Counter Weight)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지게차의 차체(1) 일 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의 엔진(도시 생략)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탱크(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연료 탱크(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2는 지게차의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연료 탱크 본체(21)의 상부에 연료 주입구(22)가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커버(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27)는 연료 탱크(20) 내부의 유지 보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연료 탱크(20)의 내부에는, 연료의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연료 게이지(23)와, 연료 펌프(도시 생략)에 의해 연료를 엔진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라인(2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연료 탱크 바닥면(25)에는 내부 청소를 위한 드레인부(26)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지게차의 경우에는, 주유소 등에서 연료 공급 건(Gun)을 통해 연료를 공급받는 경우보다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연료 탱크(20)에 연료를 직접 주입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연료 공급시, 작업장에 존재하는 각종 불순물 또는 수분 등이 연료와 함께 연료 탱크(20) 내부로 혼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렇게 연료와 함께 혼입된 불순물 및 수분은, 연료 공급장치의 고장을 일으키고 부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료 탱크 바닥면(25)에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단차부나 오목부분을 형성하여 불순물이 모이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 경우 지게차의 요동에 의해 불순물이 연료와 다시 혼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연료 탱크 구조에 의하면, 연료 탱크(20) 내부에 존재하는 불순물 및 수분을 배출시키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 주입시 혼입된 불순물 및 수분이 불순물 저장부에 자연스럽게 모이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순물 및 수분이 일단 불순물 저장부에 모인 이후에는 다시 연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료 탱크 내부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 공급 계통의 고장을 방지하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지게차 차체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연료 탱크 본체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와,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 잔량을 측정하는 연료 게이지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 및 수분이 연료 탱크 바닥면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료 탱크 바닥면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불순물 및 수분이 저장되는 불순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순물 저장부는, 상기 개방부의 가로 및 세로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드레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불순물 저장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불순물 저장부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서 지게차 차체의 내부 쪽을 향하여 점차 그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불순물 저장부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불순물 저장부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서 지게차 차체의 내부 쪽을 향하여 점차 그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주입시 혼입된 불순물 및 수분이 불순물 저장소에 자연스럽게 모이도록 한 후, 이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순물 및 수분이 일단 불순물 저장부에 모인 이후에는 다시 연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 탱크 내부의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연료 공급 계통의 고장을 방지하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 탱크를 구비한 지게차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연료 탱크를 구비한 지게차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료 탱크의 저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료 탱크(20)는, 지게차 차체(1)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연료 탱크 본체(21)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21)의 상부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22)와,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 잔량을 측정하는 연료 게이지(23)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라인(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료 탱크(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도 3은 연료 탱크를 지게차의 뒤쪽에서 바라본 것이다), 연료 탱크 바닥면(25)에 형성된 개방부(30)와, 상기 개방부(30)의 저면에 구비되어 불순물 및 수분이 저장되는 불순물 저장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방부(30)는 연료 탱크 바닥면(25)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되며, 그 형상은 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개방부(30)는, 필요에 따라 원형, 반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30)는 연료 탱크(2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되 너무 크게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부(30)가 지나치게 크면, 지게차의 이동 및 작업시 불순물 저장부(40)에 저장되어 있던 불순물이 개방부(30) 위로 올라와 다시 연료와 혼합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30)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30)의 가로 및 세로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를 향해 돌출되는 불순물 저장부(40)가 구비된다.
상기 불순물 저장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저장부(40)는 철판을 연료 탱크 바닥면(25)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순물 저장부(40)의 저면에는 불순물 및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26)가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의 연료 탱크 구조에 의하면, 연료의 주입시 혼입된 불순물 및 수분이 개방부(30)를 통과하여 불순물 저장부(40)에 모이게 된다.
즉, 수분은 연료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에 아래로 가라앉아 불순물 저장부(40)에 자연스럽게 모이게 되고, 불순물 역시 그 비중에 의해 불순물 저장부(40)에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 드레인부(26)의 배출 밸브를 열어 불순물 및 수분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종래에도 연료 탱크 바닥면(25)에 하부를 향해 돌출된 단차부나 오목부를 형성하여 불순물을 일시 저장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이 경우에는 지게차의 요동에 의해 불순물이 연료와 다시 혼합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불순물 저장부(40)의 상부 대부분이 연료 탱크 바닥면(25)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일단 불순물 저장부(40)에 모인 불순물은 지게차가 요동하여도 연료 탱크 바닥면(25) 상부의 연료와 잘 섞이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불순물이 혼합되지 않은 양질의 연료를 공급할 수 있고, 연료 공급 계통의 고장을 방지하고 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가 있다.
<제2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는, 상기한 제1 실시 예에서 단면이 사각형상인 불순물 저장부(40)를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순물 저장부(40)는 지게차 차체(1)의 내부 쪽을 향하여 점차 그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불순물 및 수분이 불순물 저장부(40)의 경사진 하부로 더욱 용이하게 모이도록 할 수 있고, 연료와 다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는, 불순물 저장부의 단면 형상을 삼각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순물 저장부(40)는 연료 탱크 바닥면(25)에서 하부를 향하여 산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불순물 및 수분이 삼각형 산 부분으로 용이하게 모이도록 할 수 있고, 일단 이 부분에 모인 불순물이 다시 연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제4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예는, 상기한 제3 실시 예에서 단면이 삼각형상인 불순물 저장부를 경사지게 형성한 것이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순물 저장부(40)는 지게차 차체(1)의 내부 쪽을 향하여 점차 그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불순물 및 수분이 경사진 삼각형 산 부분으로 더욱 용이하게 모이도록 할 수 있고, 이 부분에 모인 불순물이 다시 연료와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체 2: 마스트(Mast) 조립체
3: 마스트 레일(Mast Rail) 4: 캐리지(Carriage)
5: 백 레스트(Back Rest) 6: 리프트 체인(Lift Chain)
7: 포크(Fork) 8: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
9: 운전석 10: 틸트 실린더(Tilt Cylinder)
11: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
20: 연료탱크 21: 연료탱크 본체
22: 연료주입구 23: 연료 게이지
24: 연료 공급라인 25: 연료탱크 바닥면
26: 드레인(Drain)부 27: 커버
30: 개방부 40: 불순물 저장부

Claims (6)

  1. 지게차 차체(1)의 일 측면에 구비되는 연료 탱크 본체(21)와, 상기 연료 탱크 본체(21)의 상부에 구비된 연료 주입구(22)와, 연료 탱크 내부의 연료 잔량을 측정하는 연료 게이지(23)와,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공급라인(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20)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20)는,
    연료에 포함된 불순물 및 수분이 연료 탱크 바닥면(25)을 통과하도록 상기 연료 탱크 바닥면(25)이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개방부(30)와,
    상기 개방부(30)의 저면에 구비되어 불순물 및 수분이 저장되는 불순물 저장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저장부(40)는, 상기 개방부(30)의 가로 및 세로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드레인부(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저장부(40)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되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저장부(40)는, 지게차 차체(1)의 내부 쪽을 향하여 점차 그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저장부(40)는, 그 단면이 삼각형상으로서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저장부(40)는, 지게차 차체(1)의 내부 쪽을 향하여 점차 그 단면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KR20130110080A 2013-09-13 2013-09-13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KR20150030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080A KR20150030852A (ko) 2013-09-13 2013-09-13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080A KR20150030852A (ko) 2013-09-13 2013-09-13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852A true KR20150030852A (ko) 2015-03-23

Family

ID=53024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080A KR20150030852A (ko) 2013-09-13 2013-09-13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0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63919B2 (en) Construction machine
US9366007B2 (en) Construction machine
US9010809B2 (en) Oil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vehicle
US10975549B2 (en) Construction machine
JP5309976B2 (ja) 作業機械
KR102103033B1 (ko) 배터리를 구비한 작업 기계
JPWO2015053273A1 (ja) ショベル
KR102550946B1 (ko) 쇼벨
RU2012132195A (ru) Элемент поворотной платформы для строительной машины
JP2015101955A (ja) 自走式建設機械
CN105416041A (zh) 一种车用燃油箱
CN202669466U (zh) 一种全地形车油箱结构
US9599007B2 (en) Mobile recycler
KR20150030852A (ko) 지게차의 연료 탱크 구조
CN105649129A (zh) 工程机械
CA2922758A1 (fr) Cadre support en forme de cage pour bouteilles de fourniture de gaz
GB2523003A (en) Blackhoe loader
CA2960020C (en) Working vehicle
KR102001682B1 (ko) 건설기계용 연료 탱크
KR102191914B1 (ko) 덤프트럭 적재함 내부의 잔량물 제거 장치
EP2290333A1 (en) Fuel tank for stationary use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excess water in the fuel contained in said tank
US20210381196A1 (en) Construction Machine
CN205527565U (zh) 一种便于观察的叉车平衡重组件
KR20150108667A (ko) 중장비의 가스탱크 내장형 카운터 웨이트
CN210033627U (zh) 发电机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