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918A -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918A
KR20150029918A KR20130108962A KR20130108962A KR20150029918A KR 20150029918 A KR20150029918 A KR 20150029918A KR 20130108962 A KR20130108962 A KR 20130108962A KR 20130108962 A KR20130108962 A KR 20130108962A KR 20150029918 A KR20150029918 A KR 20150029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content
user
serv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이정희
박영호
최강일
이승우
이범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0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918A/ko
Publication of KR2015002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사용자 단말, 다수의 분산된 서버 및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contents)에 대한 부가 정보인 메타데이터(meta-data)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여 송신하는 데이터 센터;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다수의 분산된 서버; 및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 하나의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센터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타데이터 및 콘텐츠를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센터에서 관리하고 콘텐츠는 분산된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대용량의 데이터가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통신망에 부하가 적게 걸리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SYSTEM OF SYNCHRONIZING CONTENTS IN A CLOUD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DISTRIBUTED SERVERS}
본 발명은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산업이 발전하면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및 스마트TV 등의 스마트장비들의 사용이 활발해졌으며,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장비들을 이용한 클라우드(cloud) 서비스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란, 영화, 사진, 음악 등의 미디어 파일이나 문서 또는 주소록 등의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장비 등에서 다운로드 후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대용량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크 트래픽의 급격한 증가는 클라우드 서비스의 품질의 저하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자체의 성능 저하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기 위한 여러가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러한 기술들 중에 소수의 서버로 집중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키는 기술이 존재한다. 이 기술에 의하면 대용량의 트래픽이 가까운 거리에 존재하는 서버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므로, 트래픽의 증가를 방지하면서도 동일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기술은 콘텐츠를 다수의 서버에 분산시키기 때문에, 콘텐츠간의 동기화(synchronization)가 문제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서버에서 콘텐츠를 제공받던 사용자가 다른 서버를 통해 해당 콘텐츠를 연속해서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 서버의 콘텐츠가 동기화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문서를 작성해서 제1 서버에 업로드한 사용자가 다음날 제1 서버가 아닌 제2 서버에 접속해서 전날 자신이 작성하였던 문서를 다운로드 받아서 문서 작성을 이어 나가기 위해서는, 제2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문서는 제1 서버에 업로드된 문서와 동기화 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제1 서버로부터 동영상 스트리밍(streaming) 서비스를 제공받던 사용자가 스트리밍 서비스를 중지한 후, 다른 장소에서 제2 서버로부터 연속해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제1 서버로부터 최종적으로 스트리밍 받았던 동영상의 지점에 대한 정보를 제2 서버가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즉, 다수의 분산된 서버 간에 동영상을 최종적으로 스트리밍한 지점에 관한 정보가 동기화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서 동영상을 최종적으로 스트리밍한 지점에 관한 정보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메타데이터라고 한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메타데이터는 최종적으로 스트리밍한 지점에 관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전자 도서 제공 서비스에서의 메타데이터는 북마크 정보 또는 최종적으로 읽었던 페이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다수의 분산된 서버에 존재하는 콘텐츠와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동기화하는 방법으로, 콘텐츠와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함께 저장해서 관리하는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할 경우, 어느 한 서버에서 콘텐츠나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된 콘텐츠나 변경된 메타데이터를 다른 모든 서버와 동기화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모든 서버로 변경된 콘텐츠나 변경된 메타데이터를 전달해야 하며, 이는 네트워크 트래픽의 양을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문제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트래픽의 증가 문제를 완화시키면서 다수의 분산된 서버에 존재하는 콘텐츠와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서로 상이한 곳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급격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다수의 분산된 서버 및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은, 콘텐츠(contents)에 대한 부가 정보인 메타데이터(meta-data)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여 송신하는 데이터 센터;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다수의 분산된 서버; 및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 하나의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센터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갱신되지 않는 제공자 기반 콘텐츠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제공자 기반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갱신되는 사용자 기반 콘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갱신된 사용자 기반 콘텐츠를,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콘텐츠를 송신한 제1 서버로 재송신하고, 상기 메타데이터가 상기 제1 서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메타데이터를 갱신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센터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에서 상기 제1 서버로 송신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는,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서버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갱신된 사용자 기반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서로 상이한 곳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급격하게 증가시키지 않고도 콘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자 기반 콘텐츠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콘텐츠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자 기반 콘텐츠의 제공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기반 콘텐츠의 제공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자 기반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테이블 구조의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테이블 구조의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10), 사용자에게 제공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에게 송신하는 다수의 분산된 서버(20),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센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은 다수의 서버(20) 중 하나의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의 사용자 단말(10)은 인터넷 및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서버(20) 중 어느 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은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등,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모든 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란 영화, 사진, 음악 등의 미디어 파일이나 문서 또는 주소록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은 다수의 서버(20) 중 하나의 서버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란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의미하며, 예컨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서의 최종적 동영상 스트리밍 지점에 관한 정보, 전자 도서 제공 서비스에서의 북마크 정보 또는 최종적으로 읽었던 페이지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은 메타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으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센터(3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동영상을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최종적 동영상 스트리밍 지점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 뒤 이를 데이터 센터(3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콘텐츠를 제공해달라는 요청을 데이터 센터(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를 제공해달라는 요청에는 사용자 단말(10)을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ID, 사용자가 요구하는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콘텐츠 I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20)는 데이터 센터(30)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10)로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가 동영상이면서 메타데이터가 최종 재생된 재생 시간을 포함하는 경우,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재생하였던 시간 이후부터의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분산된 서버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발명과 관련된다. 따라서, 상기 서버(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버(20)는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20)는 동영상, 음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서버(20)는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20)가 아닌 사용자 단말(10)이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에 콘텐츠가 아닌 메타데이터만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센터(3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이 갱신한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메타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 테이블은 사용자 단말(10)을 구분하기 위한 사용자ID, 콘텐츠를 구분하기 위한 콘텐츠ID, 콘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인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데, 메타데이터 테이블에 대한 자세한 구조는 도 5 및 도 6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데이터 센터(30)가 수신한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센터(30)는 다수의 서버(20) 중에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에 제공할 서버를 선택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콘텐츠는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으며,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센터(30)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콘텐츠와 메타데이터는 서로 분리되어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따라서, 콘텐츠와 메타데이터에 대한 개별적 동기화가 가능하다.
이하,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301)이 콘텐츠를 데이터 센터(350)로 요구하면(단계 311), 데이터 센터(350)는 사용자 단말(301)을 식별하는 사용자 ID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콘텐츠 ID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해당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서버1(300)로 송신한다(단계 312). 이 때, 서버1(300)은 사용자 단말(301)과 연결되어 있거나 가장 근접한 서버로 선택될 수 있다. 서버1(300)에서는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를 검색한 뒤 이를 메타데이터와 결합하여 사용자 단말(301)로 송신한다(단계 313). 이 후, 사용자 단말(301)이 콘텐츠를 더 이상 제공받지 않겠다는 종료 패킷을 송신(단계 314)하는데, 상기 종료 패킷은 사용자ID, 콘텐츠ID, 갱신된(updated) 메타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1)에서 데이터 센터(350)로 송신되는 요청 패킷과 종료 패킷은 패킷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요청 패킷과 종료 패킷이 데이터 센터(350)로 직접 송신되도록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성에 따라서 서버1(300)을 경유하여서 데이터 센터(350)로 송신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단계 314 이 후,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21)을 이용하여 서버2(320)를 통해서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은 동일하다. 단계 314에 의해 최종적으로 갱신된 메타데이터가 데이터 센터(350)에서 저장, 관리되고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321)에 의하여 데이터 센터(350)에서 서버2(320)로 송신되는 메타데이터는 최종적으로 갱신된 메타데이터이다. 서버2(320)는 최종적으로 갱신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321)로 송신하기 때문에(단계 333), 사용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후,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321)은 최종적으로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센터(350)로 송신한다(단계 334).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각 서버(300, 320)에는 동일한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필요성에 따라, 콘텐츠가 단말(301, 321)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서버를 통해서 콘텐츠를 송신하는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데이터는 콘텐츠와는 별도로 데이터 센터(350)로부터 서버1(300)로 송신(단계 311)되고, 서버1(300)에서는 사용자 단말(301)로 콘텐츠와 결합되어 송신(단계 312)되고, 다시 사용자 단말(301)로부터 데이터 센터(350)로는 분리되어 송신(단계 313)된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센터(350)에서 관리하고, 콘텐츠는 다수의 분산된 서버(300, 320)에서 관리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서는 메타데이터만을 주고받음으로써 동기화가 가능하다. 즉, 통신망에 부담을 주지 않고도 다수의 서버간에 동기화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공자 기반 콘텐츠는 다수의 서버(20)에 저장된 콘텐츠의 내용이 모두 동일하기 때문에 다수의 서버(20)에 저장된 콘텐츠 자체를 동기화할 필요가 없다. 즉, 최종적으로 수정된 콘텐츠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제공자 기반 콘텐츠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공자 기반 콘텐츠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내용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동영상 또는 음악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이와 같이 다수의 서버(20)에 저장된 콘텐츠의 내용이 모두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콘텐츠의 내용을 추가하거나 삭제 또는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 기반 콘텐츠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 기반 콘텐츠는 제공자 기반 콘텐츠와는 달리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한 수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최종 수정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 도 2의 사용자 기반 콘텐츠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작성하여 서버 #1에 업로드한 문서는 서버 #2와 동기화되어 있어야 한다. 사용자는 최종 수정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서 연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기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통하여, 콘텐츠가 사용자 기반 콘텐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되, 제공자 기반 콘텐츠인 경우와 동일한 내용은 제외하고 상이한 내용만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기본적인 과정은 도 3에 도시된 제공자 기반 콘텐츠의 제공 순서와 유사하다. 다만, 사용자 기반 콘텐츠의 경우, 도 2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서버의 위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 센터(450)에서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테이블은 최종 수정 ID라는 레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의 단계 411 내지 414는 도 3의 단계 311 내지 314와 동일하다. 다만, 단계 414에서, 데이터 센터(450)는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서버(도 4에서는 400)의 ID를, 사용자 단말(401)로부터 수신된 종료 패킷에서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는 달리, 사용자 단말(401)은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를 서버1(400)로 송신한다(단계 415). 추후, 동일한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대한 연속적인 서비스를 지원받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421)을 이용하여 서버2(420)를 통해서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421)이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를 데이터 센터(450)로 요구하면(단계 431), 데이터 센터(450)는 사용자ID 및 콘텐츠ID, 그리고 최종 수정 ID(여기서는 서버1을 나타내는 ID)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해당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서버1(400)로 송신한다(단계 432). 이 때, 서버1(400)은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서버이다. 서버1(400)에서는 콘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콘텐츠를 검색한 뒤 이를 메타데이터와 결합하여 서버2(420)로 송신한다(단계 433). 여기서 서버2(420)는 사용자 단말(421)과 연결되어 있거나 가장 근접한 서버로 선택될 수 있다. 서버2(420)는 해당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421)에게 제공한다(단계 434). 이 후, 사용자 단말(421)이 콘텐츠를 더 이상 제공받지 않겠다는 종료 패킷을 데이터 센터(450)로 송신(단계 435)하는데, 상기 종료 패킷은 사용자ID, 콘텐츠ID,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갱신된 메타데이터 및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최종 수정 I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가 분산된 서버에만 저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필요성에 따라 데이터 센터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의 경우 서비스 지역을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에 최종적으로 갱신된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센터(450)에서 관리하고, 콘텐츠는 다수의 분산된 서버(400, 420)에서 관리하는 경우, 통신망을 통해서는 최종적으로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었던 서버(도 4에서는 400)와 현재 단말이 연결된 서버(도 4에서는 420) 사이에서만 콘텐츠를 주고받고 또한 메타데이터를 주고 받음으로써 동기화가 가능하다. 즉, 통신망에 부담을 주지 않고도 다수의 서버간에 동기화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6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공자 기반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테이블 구조의 개념도 및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 콘텐츠의 메타데이터 테이블 구조의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제공자 기반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테이블은 사용자ID, 콘텐츠ID, 메타데이터, 콘텐츠 구분 플래그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기반 콘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 테이블은 최종 수정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구분 플래그는 해당 콘텐츠가 제공자 기반 콘텐츠인지 제공자 기반 콘텐츠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한편, 사용자 기반 콘텐츠는 제공자 기반 콘텐츠와는 달리 사용자에 의해 계속적으로 수정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더 이상 수정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콘텐츠 구분 플래그를 사용자 기반 콘텐츠에서 제공자 기반 콘텐츠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타데이터 및 콘텐츠를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는 데이터 센터에서 관리하고 상기 콘텐츠는 분산된 서버에서 관리함으로써, 대용량의 데이터가 통신망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통신망에 부하가 적게 걸리게 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서버
30: 데이터 센터

Claims (3)

  1. 사용자 단말, 다수의 분산된 서버 및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contents)에 대한 부가 정보인 메타데이터(meta-data)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 하나의 서버를 선택하여 송신하는 데이터 센터;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다수의 분산된 서버; 및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 하나의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갱신된 메타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센터로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갱신되지 않는 제공자 기반 콘텐츠인 경우,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한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제공자 기반 콘텐츠를 송신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사용자에 의해 갱신되는 사용자 기반 콘텐츠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갱신된 사용자 기반 콘텐츠를,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콘텐츠를 송신한 제1 서버로 재송신하고,
    상기 메타데이터가 상기 제1 서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메타데이터를 갱신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센터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 중에서 상기 제1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다수의 분산된 서버는,
    상기 데이터 센터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서버와,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메타데이터에 기초한 상기 갱신된 사용자 기반 콘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제2 서버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시스템.
KR20130108962A 2013-09-11 2013-09-11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KR201500299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962A KR20150029918A (ko) 2013-09-11 2013-09-11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962A KR20150029918A (ko) 2013-09-11 2013-09-11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18A true KR20150029918A (ko) 2015-03-19

Family

ID=5302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962A KR20150029918A (ko) 2013-09-11 2013-09-11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91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48A (ko) * 2016-02-18 2017-08-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데이터 환경에서의 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CN110535907A (zh) * 2019-07-26 2019-12-03 济南浪潮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元数据同步方法和系统
WO2020050611A1 (ko) * 2018-09-06 2020-03-12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90708A (ko) * 2018-09-06 2020-07-29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7448A (ko) * 2016-02-18 2017-08-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데이터 환경에서의 데이터 관리방법 및 시스템
WO2020050611A1 (ko) * 2018-09-06 2020-03-12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8132A (ko) * 2018-09-06 2020-03-16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1357033A (zh) * 2018-09-06 2020-06-30 可可漫画株式会社 基于免费凭证以提供内容的方法和系统
KR20200090708A (ko) * 2018-09-06 2020-07-29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WI731403B (zh) * 2018-09-06 2021-06-21 韓商可靠互娛股份有限公司 基於免費憑證以提供內容之方法和系統
CN111357033B (zh) * 2018-09-06 2022-05-27 可靠互娱株式会社 基于免费凭证以提供内容的方法和系统
CN110535907A (zh) * 2019-07-26 2019-12-03 济南浪潮数据技术有限公司 一种元数据同步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96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between plurality of devices
US20190213219A1 (en) Regulating data storage based on copy quantity
US20120203932A1 (en) Multi-master media metadata synchronization
KR100765791B1 (ko) 콘텐트 관리 방법 및 장치
US8463924B2 (en) Remote access of media items
US8898303B2 (en) Enterprise grade rights management
US10715595B2 (en) Remotes metadata extraction and transcoding of files to be stored on a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US8725680B2 (en) Media content location awareness and decision making
US20090307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sharing a presentation
CN106464945A (zh) 增强型流媒体回放
WO2015165395A1 (en) Video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KR101436049B1 (ko) 컨텐츠 캐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로컬 캐싱 장치
US20130219050A1 (en) Cloud service access apparatus, cloud service access method, and cloud service access system
KR100948608B1 (ko) 개인 미디어 포탈 서비스 방법
US202100216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music on mobile devices
JP2007511829A (ja) コンテンツベースの部分ダウンロード
KR20150029918A (ko)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US20090198740A1 (en) Data sharing
EP3160101A1 (en) Multi-media resource management method, cloud server and electronic device
KR101344828B1 (ko) 디지털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시스템
CN102055629A (zh) 一种家庭网关设备及藉由其共享网络资源的方法
JP201309767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7282981B2 (ja) ローカルストリーミングサーバを利用したストリーミング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599892B (zh) Home network system file management and sharing methods
US10607314B2 (en) Image auto resi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