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708A -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708A
KR20200090708A KR1020200090431A KR20200090431A KR20200090708A KR 20200090708 A KR20200090708 A KR 20200090708A KR 1020200090431 A KR1020200090431 A KR 1020200090431A KR 20200090431 A KR20200090431 A KR 20200090431A KR 20200090708 A KR20200090708 A KR 20200090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free
user
charg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4993B1 (ko
Inventor
박정원
박윤호
이재성
김현
최선아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064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38851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페이지
Priority to KR1020200090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9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9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BASED ON FREE CHARGING TICKET}
본 발명은 이용권 기반으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 사용자 및 작품이 비약적으로 증가함에 따른 서버 부하를 낮출 수 있고,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수행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바쁜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인터넷을 통한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스마트 폰을 사용하여 만화,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스마트 폰을 통한 콘텐츠 제공은 일반적으로 상기 콘텐츠들을 서비스하는 플랫폼을 통해 실시된다. 콘텐츠 소비자들은 스마트 폰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플랫폼에 접속하고, 스마트 폰은 해당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다운받아 소비자에게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플랫폼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우선, 무료로 콘텐츠를 제공하여 플랫폼 사용자를 증가시키고, 증가한 사용자를 기반으로 광고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무료 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 그리고 콘텐츠를 유료로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유료 기반 콘텐츠 제공 플랫폼이 있다.
예전에는 콘텐츠를 소비하는데 있어 유료에 대한 거부감이 매우 큰 것이 일반적인 온라인 소비 환경이었다. 그 때문에 무료 콘텐츠 제공 플랫폼이 더 우세하였다.
그러나, 무료 콘텐츠 제공 플랫폼은 수익이 광고 등과 같은 간접적 수단에 의해 창출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힘들고, 고성능의 콘텐츠 제공 환경을 구비하는 것이 제한적이다. 특히, 수익의 극대화를 위해 광고가 남발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유료 콘텐츠 제공 플랫폼의 경우, 많은 소비자들이 콘텐츠를 유료로 구매한 이후에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할지 여부에 대한 의심 때문에 콘텐츠의 유료 구매를 꺼리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출원인은 이른바 기다리면 무료라는 비즈니스 모델을 웹툰, 웹소설 등의 콘텐츠 서비스 제공에 도입하였다. 소정 시간 기다리면 무료로 콘텐츠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은 플랫폼 내로 사용자들의 유입을 크게 증가시키고 사용자들의 자연스러운 유료 콘텐츠 소비를 가능하게 하여 웹툰, 웹소설 등의 유료 콘텐츠 시장 및 관련 생태계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비특허문헌 1).
2015. 12. 20. 브릿지 경제 인터넷 기사 [카카오페이지 '기다리면 무료', 콘텐츠 결제 문화 이끈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되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일 측면에서, 개별 사용자 및 개별 콘텐츠 별로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여부 등이 다르고 충전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와 콘텐츠 수가 늘어날수록 데이터 베이스와 서버의 부하가 비약적으로 커지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충전되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식에 있어서,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신호를 개별 사용자 단말 측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사용자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콘텐츠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로 각각 데이터 베이스화하고, 특정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해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에 상기 테이블을 매핑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 베이스 관리와 동시에 신속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와 콘텐츠 수가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반하여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서비스를 효율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플랫폼 만족도와 충성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의 사용자 측면에서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 충전 완료 여부는 사용자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빈도, 시각에 따라 다른 사용자들보다 더 많은 무료 충전 이용권이 사용되도록 개별화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제공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 충성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과정을 상황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은 단지 설명(illustration)의 목적을 위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묘사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구조 및 방법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들은 여기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로 제한되어 생각되지 않아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잘 알려진 특징 및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실시예의 특징을 불필요하게 불명확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
용어 정의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는 웹툰, 웹소설, 디지털 서적, 영화, 방송 등에 연관된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를 지칭한다. 여기서, "제공자"는 사용자(또는 가입자들)에게 돈을 받고 정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를 의미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Video On Demand) 사업자, AOD(Audio On Demand)사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한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접속하는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로서, 텍스트 (예컨대, 웹소설, 그 외 디지털 서적), 텍스트와 이미지의 조합 (예컨대, 웹툰), 동영상 등과 같이 특히 부하가 큰 콘텐츠에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콘텐츠 정보”는 콘텐츠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되고 이용권에 기반하여 콘텐츠 제공을 요청 및/또는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예컨대, 사용자 단말)는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를 장치에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 정보는 단일 종류의 미디어(monomedia), 복수 종류의 미디어(multimedia) 및/또는 그 부분 집합(subset)인 동영상 컴포넌트의 집합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동영상 정보는 영상 및/또는 오디오 트랙 정보, 코덱 계층 정보(예를 들어, 기본 계층(base layer), 향상 계층(enhancement layer)), 또는 자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타 정보”는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로서, 서버 주소, 콘텐츠의 ID, 제목, 순서, 구간 길이, 용량 등과 같은 기초 메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정보에 접근 가능한 URL,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판단 값 등과 같은 상세 메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콘텐츠의 속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본 콘텐츠”는 아래의 서브 콘텐츠로 이루어진 상위 콘텐츠로서, 콘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가 제작하거나 서비스로 제공하는 서비스 대상을 지칭한다.
일 예에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기본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라고 지칭되는 동영상을 나타낸다 (예컨대, 방송사에서 방영하는 시리즈 물에서, 한 회 차의 방송분(프로그램)이 기본 동영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는, 한편의 영화 역시 기본 동영상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콘텐츠가 소설(웹소설), 만화(웹툰), 그 외 디지털 서적 (웹툰, 웹소설을 제외하는 개념이다. 이하 동일하다) 등 권 단위로 서비스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 텍스트 콘텐츠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 조합 콘텐츠인 경우, 기본 소설, 기본 만화, 기본 서적은 한 권의 소설, 만화, 서적을 나타낸다. 물론, 기본 소설, 기본 만화, 기본 서적은 아직 완결이 안되고 연재가 진행중인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브 콘텐츠”는 기본 콘텐츠의 전체 구간을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한 콘텐츠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콘텐츠가 동영상인 경우, “서브 동영상”은 기본 동영상의 전체 구간을 시간 별로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한 동영상을 의미한다. 각 구간의 서브 동영상들은 그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과 이어져 전체 동영상 재생 구간을 형성한다. 통상 '클립'으로 알려진 동영상의 일부 단편은 서브 동영상과 다르다.
한편, 콘텐츠가 예컨대 복수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웹툰, 웹소설이거나, 복수의 장(chapter)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서적과 같이 복수의 회 차로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회 차로 이루어진 작품 전체가 기본 콘텐츠에 대응되고, 개별 회 차가 서브 콘텐츠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는 임의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며, (예컨대, “재생”과 같은) “실행”은 콘텐츠의 구성요소(예컨대, 동영상의 경우 프레임과 같은 이미지)가 연속되어 사용자에게 콘텐츠로 인식되게 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이란 사용자가 소정 시간을 기다리면 결제 없이 무료로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이용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 예컨대 모바일, PC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설명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시스템(1)은 네트워크(2)를 통하여 서버(3)와 사용자 단말(4)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서버(3)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용권 결제를 위한 금융기관 서버(5) 및/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3)는 네트워크(2)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과 같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4)와 통신한다. 네트워크(2)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일 수도 있고, 이 외에도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객체 간의 기능, 특성 등에 따라 사용되는 네트워크(2)의 종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와 서버(3) 간에는 FTP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지만, 서버(3)와 사용자 단말(4) 간에는 WiFi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서버(3)는 콘텐츠 제공부(31), 및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관련 정보(예컨대, 콘텐츠 정보 등을 포함함)를 포함하는 콘텐츠 테이블 및 사용자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테이블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를 더 포함한다. 서버(3)의 다른 실시예들은 추가적이거나, 더 적거나, 또는 상이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버(3)는 콘텐츠 생성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4) 및 상기 서버(3)와,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또는 모듈(module)]와 같은 구성요소[예컨대, 콘텐츠 제공부(31),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 콘텐츠 생성부(35) 중 하나 이상]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버(3)의 각 구성요소(31-37)는 상호간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나, 반드시 물리적으로 집적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위치하는 개별 서버 또는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또한, 각 부(31-37)는 이들이 구현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하는 동작에 따라 장치를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일 뿐, 반드시 서로 분리된 별개의 소자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부(31) 및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반드시 분리된 별개의 소자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3)는, 사용자 단말(4)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과 통신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서버(3)는 사용자 단말(4)에 저장에 저장될 수 있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들 및/또는 상기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 기반의 서비스를 운영한다.
특히, 서버(3)는 이용권 여부에 따라 웹툰, 웹소설, 디지털 서적, 동영상 등 과 같은 콘텐츠의 배포가 사용자에게 가능하도록 만들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단말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서버(3)에 전송하고 서버(3)로부터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즉, 서버(3)로부터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3)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로부터 콘텐츠 제공 요청 신호 또는 콘텐츠 구매 신호(이 신호는 자동 구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를 수신하고, 이용권과 같은 열람 권한 정보를 확인하며, 구매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콘텐츠 정보, 및/또는 메타 정보, 추가적으로 (이용권 소진 알림과 같은) 열람 권한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콘텐츠 제공부(31)는 콘텐츠 관련 정보의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부(31)는 아래에 서술된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이용권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부(31)는 콘텐츠 제공 AP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서비스 중인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로서, 사용자가 콘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를 제공 받고, 기본 콘텐츠 및/또는 서브 콘텐츠를 선택 가능한 콘텐츠 홈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가 서비스 제공 중인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한 뒤, 제공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에서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함)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제공은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예컨대, 임의의 정보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용권 여부 등을 포함함)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권'이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 권한을 의미하며,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내 가상 화폐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지불하는 현금/카드는 서버 내의 전자 화폐로 변환되고, 이 전자 화폐가 각 동영상을 열람할 수 있는 이용권(ticket)으로 바뀔 수 있다. 그러나, 이용권은 반드시 실제 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자 화폐 등을 이용하여 결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권을 구매하는 수단은 즉시 결제, 정기 결제 또는 전자 상품권(voucher)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용권은 전체 기본 콘텐츠 이용권으로도 구매할 수 있지만, 개별 서브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낱개의 이용권으로도 구매할 수 있다.
이용권의 사용 범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콘텐츠가 복수의 회 차로 된 시리즈물의 동영상인 경우, 이용권을 구매 시 시리즈물의 각 회 차의 동영상, 및/또는 각 회 차별 서브 동영상에 대해 상기 이용권을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컨대 특정 회 차의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 등을 열람 시 이용권(ticket)을 하나씩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권은 전자 화폐 또는 실물 화폐에 기초한 결제 이용권, 비결제 기반 이용권을 포함한다. 여기서, 결제 이용권은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예컨대, 열람 및/또는 접속 가능한) 일시적 이용권(예컨대, 대여권 등), 상기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비일시적 이용권(예컨대, 소장권 등)을 포함한다.
비결제 기반 이용권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하게 하는 초기 이용권(예컨대, 특정 웹툰의 1화부터 5화까지 무료 이용권), 서비스업자에 의해 랜덤한 시점에 제공되거나, 제3자에 의해 제공되는 선물 이용권, 및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부여되는 이벤트 이용권을 포함한다.
이벤트 이용권은 소정 미션을 충족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미션 이용권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소정 미션은 하나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전송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또한, 이벤트 이용권은 소정 주기(즉, 충전 시간)가 경과하면 충전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권 정보 확인 결과, 사용 가능 이용권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 단말(4)에 이용권 구매 필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31)는 이용권 구매 필요 화면을 통한 이용권 구매 요청이 수신된 경우, 이용권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금액의 결제 요청을 카드사 또는 금융기관 서버(5)로 전송하여, 일련의 대금 결제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과금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4)로부터 신용카드 정보 또는 금융기관 계좌 정보 등과 같은 결제에 필요한 개인 금융 정보가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부(31)는 수신된 개인 금융 정보를 기초로 카드사 또는 금융기관 서버(5)에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기관 서버는 금융 업무를 취급하는 모든 기관을 통칭하며, 예를 들면, 은행, 증권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카드사 또는 금융기관 서버(5)로부터 결제 완료 알림이 수신되면, 콘텐츠 제공부(31)는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사용자 계정에 이용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공부(31)는 이용권 구매 요청이 없는 경우에도 대금 결제 및 이에 응답하여 전자화폐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화폐 정보는 이용권으로 바뀔 수 있다.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사용자 단말(4)이 액세스한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대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전송하는 동작, 및/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동작과 같은 무료 충전 이용권과 관련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 가능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 API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각각 부분적으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의 기능을 구현하는, 복수의 API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기능을 활성화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API, 및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 기능을 구현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사용 API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는 예를 들어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API 모듈 및 무료 충전 이용권 사용 API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은 콘텐츠 관련 정보를 서버(3)에 요청한다(S310).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요청은 특정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에 대한 소개 및/또는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한 앱 페이지(예컨대, 콘텐츠 홈)에 사용자 단말(4)이 액세스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액세스된 콘텐츠 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는 콘텐츠 관련 정보를 서버(3)에 요청할 수 있다.
서버(3)는 사용자 단말(4)로부터 콘텐츠 관련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콘텐츠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S330). 상기 콘텐츠 홈 액세스 시 전송한 요청에 대한 응답은 콘텐츠 관련 정보 이외에 추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37)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S330).
여기서,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예컨대, 작품 ID와 같은) 콘텐츠 식별자,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 지를 나타내는 무료 충전 이용권 대상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예컨대,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할 수 없는 회차수, 및/또는 개수와 같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 중에서 사용이 제한되는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은 단계(S330)의 응답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은 수신한 서비스 콘텐츠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 콘텐츠 항목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대한 선택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예능 콘텐츠 시리즈에 대하여, 8회의 제4 서브 동영상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콘텐츠 홈을 액세스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홈에 액세스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이고, 아직 사용자에 대하여 충전이 개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콘텐츠 홈의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요청을 서버(3)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의 활성화 요청은, 조건이 부여된 경우, 미리 설정된 조건을 충족하여야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에서, 활성화 요청은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예컨대, 초기 무료 이용권과 같은) 이미 부여된 비결제 기반 이용권을 모두 소진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활성화에 연관된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는 사용자 단말(4)에서 수행된다.
이와 같이, 개별 콘텐츠(개별 작품)가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인지 여부 자체는 서버 측에서 조정하도록 하지만, 그 결과 무료 충전 이용권 대상으로 정해진 콘텐츠에 대한 활성화 수신 요청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이때 조건 (예컨대 첫 편부터 5편 무료와 같이 초기 무료 이용권을 다 소진하는 조건)이 부여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의 수가 늘어나더라도 서버(3)는 조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충전의 개시에 대한 요청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활성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S350).
단계(S350)의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서버(3)(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 기능을 활성화한다. 즉, 단계(S350)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개시된다.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은 무료 충전 주기(시간)가 경과하면 부여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매핑 결과를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S370).
여기서,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사용자 식별자,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 식별자, 매핑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충전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화 값 및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 간의 매핑은 콘텐츠 정보 테이블의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한다.
일 실시예에서, 충전 완료 시각은 충전 시작에 응답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에 의해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매핑된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콘텐츠에 대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S390).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상기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최초 무료 충전 이용권을 즉시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의 단계(S53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한다.
사용자 단말(4)은 단계(S390)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여부 및 충전까지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S310 내지 S390)에 의한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은 사용자 개개인의 활성화 요청 시각에 따라 개별적으로 활성화되고, 이 사실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따라서, 서버(3)가 (예컨대, 이전에 유료 결제가 설정된 콘텐츠(A)의 특정 회차(B)에 대하여, x월 xx일 13:00에 무료 결제로 수정하는 것과 같은) 일정 시간 별로 모든 사용자에 대하여 특정 콘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해당 무료 충전 콘텐츠에 연관된 정보는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고, 해당 사용자에 연관된 정보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록하여 테이블을 이원화한 뒤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 개개인 별로 상이하고, 동일 사용자의 콘텐츠 별로 상이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개시 및 충전 상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가 사용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4)은 콘텐츠 관련 정보를 서버(3)에 요청한다(S410). 상기 콘텐츠 관련 정보는 단계(S310)에서의 콘텐츠 관련 정보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버(3)는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요청된 콘텐츠 관련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전송할 수 있다(S450). 또한,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은 (예컨대,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 충전 완료 시각, 추가로 이용권 정보 등을 포함한) 사용자 관련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해당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이 활성화 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에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 충전 완료 시각 등을 포함시킨다.
사용자 단말(4)은 단계(S450)에서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여부, 충전 완료 시각까지 남은 시간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별로 자신의 사용 패턴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가 개시된다. 따라서, 충전 완료 시각 또한 사용자 마다 상이할 수 있다.
충전 주기가 경과하면 사용자는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 도 3 또는 도 4의 단계(S310 또는 S410)에서의 요청에 연관된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단계(S310 또는 S410)에서의 요청에 연관된 콘텐츠는 동일 범주 내 콘텐츠를 포함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 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서버(3)는 (기본 콘텐츠 또는 서브 콘텐츠와 같은)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S510). 상기 제공 요청은 사용자 단말(4)에서 감지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은 콘텐츠 제공 API 호출 명령 또는 이용권 사용 API 호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는 콘텐츠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의 해당 콘텐츠에 대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이 활성화 상태인지 확인한다(S530).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3)는 해당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 및 열람 권한을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공 요청된 콘텐츠와 관련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 충전이 활성화된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 가능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3)의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된 상태인지 확인한다(S531). 상기 확인은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판단 값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충전 도중에 무료 충전 이용권이 활성화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된 경우, 상기 판단 값이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면, 충전 도중인 무료 충전 이용권에 한해서는 아래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31)에서 활성화 상태로 확인된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S533). 충전 완료 여부의 확인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및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S535).
[수학식 1]
Tpresent ≥ TCC
여기서, Tpresent 는 현재 시각, Tcc는 충전 완료 시각(Charge Completion Time)을 나타낸다.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충전 완료 시각이 현재 시간과 동일하거나, 과거가 되면 충전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S535). 즉, 충전 시작과 동시에 완료 시각을 기록함으로써 시간을 보고 충전 완료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활성화 요청에 의해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최초로 충전 완료 시각이 기록되는 경우, 현재 시각을 충전 완료 시각으로 기록하면 무료 충전 이용권은 충전이 완료된 상태로 설정된다. 이로 인해,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 기능을 활성화하면서 사용자에게 최초 무료 충전 이용권을 바로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그 후,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충전시킨 무료 충전 이용권을 소진시키면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한다. 또한, 소진 결과를 이용권 소진 테이블에 기록한다(S537).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다음의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 가능한 충전 완료 시각을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주기를 상기 충전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에 더함으로써, 추가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업데이트한다(S590). 상기 업데이트 결과는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더 기록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콘텐츠와 연관된 다른 콘텐츠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이 계속 충전되어 사용되도록,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상태를 계속해서 활성화 상태로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5b에 서술되지 않은 동작들이 추가, 변형, 제외되어 더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예컨대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는 단계(S531) 이전에, 사용자에게 부여된 기타 비결제 기반 이용권(예컨대, 무료 선물 이용권 등을 포함한다)이 모두 소진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또는 제공 요청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활성화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제한된 콘텐츠인지 확인하는 단계 (예컨대, 최신편으로부터 소정 회차 이내의 회차인지 여부) 등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가 소진 여부를 판단하는 비결제 기반 이용권에서 초기 무료 이용권은 제외된다. 초기 무료 이용권 사용 여부 조건은 사용자 단말이 충족하도록 한 후, 사용자 단말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 활성화 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여야 충전된 무료 충전 이용권이 소진되며, 다시 충전이 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시간 내에 최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많이 사용하고자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서비스에 대한 충성도, 의존성 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많은 콘텐츠에 대해 사용한 경우, 사용자는 경험한 콘텐츠에 대해 구매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도와줄 수 있다.
다시 도 5a를 참조하면, 서버(3)가 제공 요청 대상인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이 사용자에게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공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한다(S550).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소진된 이용권의 유형, 남은 이용권 수 등을 포함한) 이용권 소진 결과, 및/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다음 충전 완료 시각을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해당 콘텐츠의 상세 메타 정보 및/또는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을 상술한다.
콘텐츠 생성부(35)는 기본 콘텐츠의 전체 실행 구간을 복수 개의서브 구간으로 구획한 서브 콘텐츠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기본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을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하여 서브 동영상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콘텐츠 생성부(35)는 기본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개별 서브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콘텐츠에 대한 메타 정보도 생성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35)는, 각 서브 구간을 균등 및/또는 비균등하게 구획하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서브 구간을 구획하여 하나의 기본 콘텐츠로부터 다양한 실행 시간을 가지는 복수의 서브 콘텐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로 하여금 부분적으로 심리상태, 환경, 자산 상태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구매 당시의 의도와 달리 예기치 못한 원인으로 인해 콘텐츠 전체의 감상을 할 수 없거나, 흥미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기본 콘텐츠에 대한 구매를 해야만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35)는 서브 콘텐츠를 암호화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콘텐츠 생성부(35)는 상기 시스템(1) 접속이 승인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 또는 이용권이 없는 사용자 단말에서 서브 콘텐츠가 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생성부(35)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처리되어 열람 권한(라이선스) 정보를 갖도록 서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권 정보는 암호화된 서브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복호화 권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호화 권한은 DRM 복호화 권한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콘텐츠 암호화를 위한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암호화 처리를 하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대량의 정형, 비정형 또는 반정형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며, 과거에 이미 진행된 경매에 관련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로서, 예컨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프레드쉬트 등이 있다. 또한, 비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텍스트 문서, 이미지, 동영상, 음성 데이터 등이 있다. 또한, 반정형 데이터는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지 않지만 메타데이터나 스키마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예컨대, XML, HTML, 텍스트 등이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사용자 계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사용자 저장소,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 받은 콘텐츠 또는 하나 이상으로 구획된 서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의 각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 저장소에 저장된 사용자 계정 정보와 연관되어 있다. 사용자 계정 정보는 상기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에 관한 서술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는 다수의 데이터 필드(data fields)를 포함하고, 각각은 해당 시스템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속성(attributes)을 설명한다. 사용자 프로필에 저장된 정보의 예들은, 사용자의 신원(ID), 사용자 단말 정보 및 이용권 정보와 같은 서술적인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 계정 정보는 사용자가 이용권 기반 서브 동영상 제공 시스템(1)에 액세스하는 권한을 주는 소스들(예를 들어, 패스워드, 액세스 코드, 사용자 단말의 네트워크 주소 등)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자와 관련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는 사용자 식별자,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이 요청된 콘텐츠 식별자,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판단 값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3)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과 관련한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 경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무료 충전 이용권을 사용하게 하는 동작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용권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이용권 보유 여부 또는 보유한 이용권의 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용권이 있는 경우 1, 이용권이 없는 경우 0으로 라벨링될 수도 있거나, 보유하고 있는 이용권의 수를 이진수 등과 같은 데이터 형식으로 나타내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은 서버(3)에서 콘텐츠의 사용자에게 해당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부여할지 여부가 활성화된 이후에 부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활성화 동작은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33)에 의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이용권 정보는 범주 정보(category informa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범주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경우, 이용권 정보를 구비한 사용자는 해당 이용권에 연관된 범주 내 콘텐츠 만을 시청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범주는 하나의 시리즈 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에서, 상기 범주는 하나의 기본 콘텐츠 전체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결제, 이벤트, 선물 및/또는 무료 충전에 따른 부여 결과가 기록되는 이용권 충전 테이블, 그리고 이용권의 사용, 및/또는 소멸에 따른 소진 결과가 기록되는 이용권 소진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저장소는 콘텐츠 제공자가 제공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objects)를 저장하고, 또는 이용권 기반 서브 동영상 시스템(1)의 운영자가 제작한 서브 콘텐츠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저장소는 무료 충전 이용권이 적용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콘텐츠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예를 들어 콘텐츠 식별자, 해당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를 나타내는 판단 값,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사용자가 충전 완료 시각까지 기다려야 하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 내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이 제한되는 조건 정보(에컨대, 가장 최근에 서비스 업로드된 최신작으로부터 소정 회차 내에서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사용이 제한되는 조건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에는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콘텐츠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 무료 충전 이용권에 연관된 사용자 관련 정보를 기록한 테이블로 각각 이원화되어 있다. 각각의 테이블은 특정 사용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해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를 요청한 경우에 매핑된다. 이로 인해, 무료 충전 이용권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및/또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 콘텐츠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사용자별 및/또는 콘텐츠별 무료 충전 이용권의 부여 여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사용자에 연관된 복수의 콘텐츠에 대해서는 개별 콘텐츠 각각에 대해 각기 다른 (예컨대, 충전 완료 시각이 서로 상이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즉, 부여 및/또는 충전)가 적용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사용자의 개별 콘텐츠에 대해서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활성화(즉, 부여 및/또는 충전)가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사용자별로 고유하게, 그리고 동일 사용자의 개별 콘텐츠별로 고유한 무료 충전 이용권을 이용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1의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저장부(37)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1)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도 1과 상이한 구조로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저장부(37)는 서버(3)와 원격으로 위치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생성부(35) 및/또는 저장부(37)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서버(3)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종류의 장치일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4)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의 형태로 구현되며,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 또는 이용권 결제 요청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4)의 형태는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4)는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notebook) 컴퓨터,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3)가 사용자 단말(4)을 통해 이용권을 사용한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과정을 상황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 있어 요청 및 제공되는 콘텐츠의 유형은 동영상으로 지칭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서로 중복되는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의 콘텐츠에 대해 이용권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버(3)는 복수의 서브 동영상 중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S610). 상기 제공 요청은 사용자 단말(4)에서 감지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용자 단말(4)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요청은 콘텐츠 제공 API 호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요청을 수신 받기 이전에 기본 동영상을 복수 구간으로 구획한 복수의 서브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S600).
단계(S610) 이후, 서버(3)는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에 대하여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를 확인한다(S620).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서버(3)는 해당 서브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서버(3)가 제공 요청 대상인 제1 서브 동영상의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의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S640). 서버(3)는 해당 서브 동영상의 상세 메타 정보 및/또는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전송한다. 또한, 서버(3)는 해당 서브 동영상의 복호화 권한과 같은 라이선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는 상세 메타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세 메타 정보와 더불어 기초 메타 정보(예를 들어, 구간 정보) 또한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서브 동영상 정보는 단일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운 로드 방식인 경우 각 서브 동영상 정보는 단일 프레그먼트 파일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으로 통신 성능 및 단말 성능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스트리밍 방식 또는 프로그래시브 다운 로드 방식의 경우, 각 서브 동영상 정보는 복수 개의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 동영상 정보는 예컨대 10초 단위의 수십 또는 수천 개의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론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의 간격은 10초뿐만 아니라 1초, 4초 등과 같이 설정 값에 따라 임의로 다양하게 변동 가능하다.
각 서브 동영상 정보가 복수 개의 프레그먼트 파일들로 이루어지는 경우, 콘텐츠 생성부(35)는 구획된 각 서브 구간에 대응하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함께 생성한다.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는 각 프레그먼트(fragment) 파일에 대한 파일명 및 포맷 등을 포함하는 목록이다. 일 예에서, 콘텐츠 생성부(35)는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1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2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 …, 제n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n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본 동영상에 대한 전체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필요한 경우 전체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공한다.
그 결과,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서브 동영상을 재생한다(S645).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이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재생 목록에 저장한다. 그 후,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에 포함된 프레그먼트 파일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그먼트 파일의 콘텐츠 정보를 제공받아 제1 서브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4)로부터의 제공 요청이 있어야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사용자 단말(4)에 제공되므로, 사용자 단말(4)의 메모리에 저장해야 하는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어, 어플리케이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콘텐츠에 대해 하나 이상의 이용권을 각각 사용하여 콘텐츠를 제공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버(3)는 복수의 서브 동영상 중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한다(S710).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요청을 수신 받기 이전에 기본 동영상을 복수 구간으로 구획한 복수의 서브 동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다(S700).
단계(S610) 이후, 서버(3)는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하여 제공을 요청한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한다(S720). 확인 결과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 정보가 있다고 결정한 경우 제공 요청된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하고(S740),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서브 동영상을 재생한다(S745).
서버(3)는 다음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서버(3)는 제1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 즉 제1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되기 이전에 다음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750). 단계(S750)에서,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은 자동으로(예를 들어, 사용자의 별도 동의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는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에 상기 다음 구간을 포함하는 제2 서브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이용권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760).
서버(3)가 확인 결과 제2 서브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4)로 제공할 수 있다는 이용권 정보가 있다고 결정한 경우, 제2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한다(S780). 예를 들어,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4)은 제1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 끊김 없이 제2 서브 동영상을 재생시키기 위해,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에 추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제2 서브 동영상이 프레임이 끊김 없이 연속하여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서브 동영상들을 이어서 시청하는 경우에도 끊김 없는(seamless) 재생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동영상이 재생되는 도중에 제2 서브 동영상에 관한 이용권 정보가 확인된 경우 제2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함과 동시에, 이용권 정보가 갱신되었다는 화면이 사용자 단말(4)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동영상의 재생이 시작됨과 동시에 “이용권 1개가 소모되었습니다”와 같은 팝업창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용권 정보 확인 시, 다음 구간을 구매할 수 있는 이용권이 없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용권 정보 확인 시, 다음 구간을 재생할 수 있는 이용권이 없으나, 추가 동의를 요구하지 않고 다음 구간의 이용권을 구매할 수 있다. 그 결과,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을 서버(4)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 구매에 관한 노티스를 자동 구매 전 또는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자동 구매 전 사용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이용권이 자동으로 구매되어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이 제공된다는 노티스를 제공하고, 자동으로 구매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구매가 완료를 알리는 정보성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서버(3)는 재생 중인 제1 서브 동영상에 연속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하는 제3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에 제3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추가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즉, 추가되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는 재생되는 서브 동영상에 연속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서버(3)는 이용권 확인 단계(S720)에서, 제공 요청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무료 충전 이용권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제에 의해 부여된 이용권에 기초하여 제1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 서버(3)는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예컨대,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제1 서브 동영상의 제공을 시작한 이후, 그리고 제2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이전에 무료 충전 이용권이 완료된 경우, 서버(3)는 사용자에게 무료 충전 이용권을 부여한다. 그 후, 새롭게 부여된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제2 서브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 범주에 대하여 기존에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에 기초하여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에, 서버(3)는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4)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서버(3)는 사용자의 이용권 정보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이용권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사용자가 결제 이용권, 및/또는 다른 무료 이용권을 가지고 있다면,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이용권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4)에 제공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서버(3)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4)로부터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되지 않은 서브 동영상에 대한 프레그먼트 파일을 포함하는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로부터 별도의 요청이 없는 구간에 대한 프레그먼트 파일을 미리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는 전체 구간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일 수 있다.
그 결과, 제공 요청 이전에 사용자 단말(4)에 전체 구간에 대한 프레그먼트 리스트(fragment list)가 등재되어 있어, 순차적으로 자동적으로 재생하거나, 끊김 없이(seamless) 재생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도 6 내지 도 7에서 서술된 단계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서버(3) 및/또는 단말(4)의 설정 상태에 따라 순서가 상이할 수도,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기본 동영상을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획한 서브 동영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구매 가능하므로, 전체 재생 구간 중 일부만이 사용자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동영상에 대해서 사용자의 선택적이고 능동적인 소비 형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서브 동영상의 완료 전에 다음 서브 동영상을 요청하고 프레임을 끊김 없이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의 시청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seamless 재생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퍼스널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고 통합될 수도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대체적이고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공간, 및 네트워킹 구성요소(무선 또는 유선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장치다. 상기 컴퓨터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와 호환되는 운영 체제, 애플 OS X 또는 iOS, 리눅스 배포판(Linux distribution), 또는 구글의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의 형태에 따라 그 명칭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의 형태가 스마트 폰인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프레그먼트(fra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9)

  1. 서버가 수행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의 매핑은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의 콘텐츠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의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값 및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주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사용자 식별자, 상기 사용자의 매핑된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화 값 및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련 정보가 포함된 무료 충전 이용권 충전 테이블 및 무료 충전 이용권 소진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및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을 소진시키면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이 충전된 콘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소진 결과를 상기 이용권 소진 테이블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주기를 상기 충전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에 더하여, 추가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고, 무료 충전 이용권이 충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에,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이 충전 완료된 후, 상기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에 의해 콘텐츠에 대한 열람을 허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 조합으로서 복수 개의 회 차로 이루어진 작품이고,
    복수 개의 회 차 중 하나 이상의 회 차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로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회 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는 복수 개의 회 차로 이루어진 작품에 대하여 판단되고,
    하나 이상의 회 차 각각이 무료 충전 이용권의 소진 대상이 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기본 동영상이고,
    상기 방법은, 기본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이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하여 서브 동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복수 개의 서브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로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인지 여부는 기본 동영상 전체에 대하여 판단되고,
    상기 서브 동영상 각각이 무료 충전 이용권 소진 대상이 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요청된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에,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에 대해 상기 추가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10.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고, 상기 컴퓨터에 의해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명령어가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11.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서,
    콘텐츠에 관한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콘텐츠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무료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 콘텐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 콘텐츠에 대해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활성화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와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를 매핑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사용자 테이블에 매핑 결과를 기록하며, 매핑 결과가 기록된 사용자 테이블에 기초하여, 매핑된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을 개시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 연관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한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의 콘텐츠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는 콘텐츠 정보 테이블 및 사용자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 및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각각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와 상기 활성화 요청이 수신된 콘텐츠의 매핑은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의 콘텐츠 식별자와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의 콘텐츠 식별자에 기초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은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값 및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주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사용자 식별자, 상기 사용자의 매핑된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 부여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활성화 값 및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더 포함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 관련 정보가 포함된 무료 충전 이용권 충전 테이블 및 무료 충전 이용권 소진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된 상태인 경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 및 현재 시각에 기초하여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을 소진시키면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이 충전된 콘텐츠에 대한 열람 권한을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하고,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소진 결과를 상기 이용권 소진 테이블에 기록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주기를 상기 충전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에 더하여, 추가로 충전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 완료 시각을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업데이트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무료 충전 이용권의 충전이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고, 무료 충전 이용권이 충전 중인 상태에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관리부는,
    상기 콘텐츠 정보 테이블에서 상기 활성화된 상태로 표시된 콘텐츠가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에,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이 충전 완료된 후, 상기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에 의해 콘텐츠에 대한 열람을 허용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또는 텍스트와 이미지 조합으로서 복수 개의 회 차로 이루어진 작품이고,
    복수 개의 회 차 중 하나 이상의 회 차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로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회 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의 적용 대상인지 여부는 복수 개의 회 차로 이루어진 작품에 대하여 판단되고, 하나 이상의 회 차 각각이 무료 충전 이용권의 소진 대상이 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기본 동영상이고,
    상기 시스템은 기본 동영상의 전체 재생 구간이 복수 개의 서브 구간으로 구획하여 서브 동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동영상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복수 개의 서브 동영상 중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에 대한 제공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로서,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정보를 포함하는 이용권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무료 충전 이용권 적용 대상인지 여부는 기본 동영상 전체에 대하여 판단되고, 상기 서브 동영상 각각이 무료 충전 이용권 소진 대상이 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요청된 하나 이상의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이 완료되기 전, 다음 구간의 서브 동영상에 대한 추가 제공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에 연관된 이용권 정보에,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에 대해 상기 추가 제공 요청을 수신하기 전에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을 포함하는 지를 확인하고; 그리고
    상기 충전 완료된 무료 충전 이용권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추가 제공 요청된 서브 동영상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200090431A 2018-09-06 2020-07-21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94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431A KR102394993B1 (ko) 2018-09-06 2020-07-21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414A KR102138851B1 (ko) 2018-09-06 2018-09-06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200090431A KR102394993B1 (ko) 2018-09-06 2020-07-21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414A Division KR102138851B1 (ko) 2018-09-06 2018-09-06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708A true KR20200090708A (ko) 2020-07-29
KR102394993B1 KR102394993B1 (ko) 2022-05-06

Family

ID=81584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431A KR102394993B1 (ko) 2018-09-06 2020-07-21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15A1 (ko) * 2021-02-17 2022-08-25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디지털 화폐 지급 방법 및 지급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918A (ko) * 2013-09-11 201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KR101625973B1 (ko) * 2014-01-29 2016-06-01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918A (ko) * 2013-09-11 201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수의 분산된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동기화하는 시스템
KR101625973B1 (ko) * 2014-01-29 2016-06-01 주식회사 레진엔터테인먼트 디지털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5. 12. 20. Bridge Economy Internet Article [Kakao page 'wait free', leading content payment cultur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15A1 (ko) * 2021-02-17 2022-08-25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콘텐츠 열람에 이용되는 디지털 화폐 지급 방법 및 지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993B1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178B1 (ko) 개별화된 시간 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쳐를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645398B2 (en) Cross-platform content popularity rankings
US9392309B2 (en) Entitlement management for video customers
US10079872B1 (en) Subscription levels in an internet-based content platform
CA3080637C (en) Video streaming playback system and method
US9179171B2 (en) Content recommendation for a unified catalog
US82914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based upon consumer preferences
US10931754B2 (en) Personal remote storage for purchased electronic content items
US9307042B2 (en) Orchestration server for video distribution network
KR102138851B1 (ko)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4182406A1 (en) Channel-level advertising attributes in an internet-based content platform
US20150074413A1 (en) Automatic content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US20160110526A1 (en) Systems and methods of sharing media content with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KR20110121405A (ko) 컨텐츠 통합관리 시스템
US20130191258A1 (en) Billing and credit for content in a cross-platform system
KR102394993B1 (ko) 무료 충전 이용권 기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356589A1 (en) Coupon management for digital content subscribers
US9122844B2 (en) Proxy device for managing digital rights
KR101899054B1 (ko)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38263A (ko) 이용권 기반 동영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0002355B1 (en) Licensed media in a remote storage media consumption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