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161A -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161A
KR20150029161A KR20130107960A KR20130107960A KR20150029161A KR 20150029161 A KR20150029161 A KR 20150029161A KR 20130107960 A KR20130107960 A KR 20130107960A KR 20130107960 A KR20130107960 A KR 20130107960A KR 20150029161 A KR20150029161 A KR 2015002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rizontal
vertical
bms
in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2350B1 (ko
Inventor
권동근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0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350B1/ko
Priority to PCT/KR2014/008272 priority patent/WO2015034262A1/ko
Priority to CN201480019646.2A priority patent/CN105122581B/zh
Priority to EP14842250.4A priority patent/EP2963767B1/en
Priority to US14/768,698 priority patent/US9350176B2/en
Priority to JP2016540808A priority patent/JP6124272B2/ja
Publication of KR2015002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BMS의 위치와 연계된 통신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은 각각 수직 통신 입력포트, 수직 통신 출력포트, 수평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가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와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직 통신망; 및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와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평 통신망;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전송한다.

Description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IDENTIFIER ALLOWCATION OF MULTI-BMS}
본 발명은 멀티 BMS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의 각 BMS에 통신 식별자를 할당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멀티 BMS의 위치와 연계된 통신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V, Hybrid Vehicle),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상기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고출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단위 셀(cell)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 어셈블리를 직렬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셀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본적 구조에 더하여, 상기 배터리 팩은 모터 등의 구동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 전류, 전압 등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 등의 추정을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이차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근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배터리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모듈 구조의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BMS를 사용하여 모든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마다 BMS를 장착하고 BMS들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BMS로 지정하고 나머지 BMS들을 슬레이브 BMS로 지정한 후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에 의해 각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에서는 마스터 BMS가 배터리 팩에 포함된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슬레이브 BMS와 통신을 수행하여 슬레이브 BMS가 담당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각종 충방전 모니터 데이터를 취합하거나 각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해당하는 슬레이브 BMS로 전송하게 된다.
이처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취합이나 제어 명령 등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BMS가 각 슬레이브 BMS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ID)가 각 슬레이브 BMS에 미리 할당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마스터 BMS가 슬레이브 BMS의 하드웨어 회로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 정보를 읽어오거나 마스터 BMS가 프로그램 알고리즘에 의해 슬레이브 BMS 별로 식별자를 할당한 후 마스터 BMS가 각각의 슬레이브 BMS로 식별자를 전송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식별자를 저장하기 위한 하드웨어 회로가 별도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58373에는 직렬로 연결된 멀티 BMS가 통신망을 통해 순서대로 기동되고, 기동된 순서에 따라서 식별자를 할당 받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직렬로 연결된 BMS의 개수에 따라서 식별자의 할당 소요된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면서도 많은 수의 BMS에게 빠른 시간 내에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 BMS의 위치와 연계된 통신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은 각각 수직 통신 입력포트, 수직 통신 출력포트, 수평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가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와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직 통신망; 및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와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평 통신망;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은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중 수직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가 다른 BMS와 연결되지 않은 BMS와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마스터 BM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각각의 BMS가 설정한 통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식별자의 중복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이 발견된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종료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은 데이지 체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은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하는 전기구동 수단 또는 휴대용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은 각각 수직 통신 입력포트, 수직 통신 출력포트, 수평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가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와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직 통신망, 및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와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평 통신망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으로서, (a)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은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중 수직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가 다른 BMS와 연결되지 않은 BMS와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마스터 BMS가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은 (c) 상기 마스터 BMS가 상기 N개의 BMS로부터 각각의 BMS가 설정한 통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식별자의 중복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는 상기 마스터 BMS가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을 발견된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 단계가 될 수 있다. 반면, 상기 (c) 단계는 상기 마스터 BMS가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을 발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종료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 단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멀티 BMS에게 위치와 연계된 통신 식별자를 빠르게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정된 식별자를 통해 BMS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유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MS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식별자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BMS(1)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BMS(1)는 수직 통신 입력포트(11), 수직 통신 출력포트(12), 수평 통신 입력포트(21)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가진다.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는 수직 통신망(13)과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곳이다.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는 수직 통신망(13)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곳이다.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는 수평 통신망(23)과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하는 곳이다.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는 수평 통신망(23)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곳이다.
본 명세서에서 BMS(1)란,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의 약자이다. 상기 BMS(1)는 자신이 담당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제어할 수 있는데, 도 1 내지 이후 도면에는 각 BMS(1)가 제어를 담당하는 배터리 셀을 따로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BMS(1)의 제어 기능은 배터리 셀의 충방전 제어,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스위칭, 전기적 특성값 측정 및 모니터링, 오류 표지, on/off 제어, SOC(State Of Charge)측정 등을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의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전기 전자적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MS(1)는, 이하 상세히 설명될 통신 식별자 할당을 위한 알고리즘 및 상술한 배터리 셀의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알고리즘 및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BMS(1)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프로그램 모듈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BMS(1)는 메모리 장치(30)를 가진다. 상기 메모리 장치(30)는 설정된 통신 식별자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서는 상기 메모리 장치(30)에 저장된 통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식별자란, BMS(1)가 다른 BMS 또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의 경우 마스터 BMS와 슬레이브 BMS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BMS 또는 슬레이브 BMS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BMS(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상기 BMS(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30) RAM, ROM, EEPROM등 데이터를 기록하고 소거할 수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반도체 소자나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로서, 디바이스의 종류에 상관 없이 정보가 저장되는 디바이스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특정 메모리 디바이스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100)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100)은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1)를 포함한다.
상기 N개의 BMS(1)는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11)와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연결하는 수직 통신망(13)을 통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N개의 BMS(1)는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21)와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연결하는 수평 통신망(23)을 통해서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식별자 정보란,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른 BMS(1)는 2 이상의 통신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한다. 상기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100)은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중 수직 통신 입력포트(11)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21)가 다른 BMS와 연결되지 않은 BMS와 수직 통신망(13) 및 수평 통신망(23)을 통해 연결된 마스터 BM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직 통신 입력포트(11)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21)가 다른 BMS와 연결되지 않은 BMS가 왼쪽 상단에 위치한다. 따라서, 마스터 BMS(40)가 왼쪽 상단에 위치한 BMS(1)에 연결된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BMS(40)는 상기 수직 통신망(13) 및 수평 통신망(23)을 통해 연결된 BMS(1)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마스터 BMS(40)는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로서 상기 수직 통신망(13)에 '1' 및 수평 통신망(23)에 '1'이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통신망(13) 및 수평 통신망(23) 각각에 출력된 '1'이란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BMS(1)는 상기 마스터 BMS(40)로부터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1'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 '1'을 조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MS(1)는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11'로 설정하고 메모리 장치(30)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한다.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상기 실시예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식별자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왼쪽 상단에 위치한 BMS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11)에 식별자 할당 정보로서 'A'가 입력된다. 그리고, 왼쪽 상단에 위치한 BMS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21)에 식별자 할당 정보로서 'a'가 입력된다. 따라서, 왼쪽 상단에 위치한 BMS는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Aa'로 설정한다.
그리고, 왼쪽 상단에 위치한 BMS는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할당 정보 'A'에 값을 증가시켜 'B'를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한다. 동시에, 왼쪽 상단에 위치한 BMS는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할당 정보 'a'에 값을 증가시켜 'b'를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왼쪽 하단에 위치한 BMS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11)에 식별자 할당 정보로서 'B'가 입력된다. 그리고, 왼쪽 하단에 위치한 BMS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21)에 식별자 할당 정보는 입력된 것이 없다. 이 경우, BMS는 식별자 할당 정보의 기본값 즉, 'a'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왼쪽 하단에 위치한 BMS는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Ba'로 설정한다.
그리고, 왼쪽 하단에 위치한 BMS 역시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할당 정보 'B'에 값을 증가시켜 'C'를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한다. 동시에, 왼쪽 하단에 위치한 BMS는 식별자 할당 정보 'a' 값을 증가시켜 'b'를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BMS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11)에 식별자 할당 정보는 입력된 것이 없다. 이 경우, BMS는 식별자 할당 정보의 기본값 즉, 'A'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BMS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21)에 식별자 할당 정보로서 'b'가 입력된다. 따라서, 왼쪽 하단에 위치한 BMS는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Ab'로 설정한다.
그리고,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BMS 역시 식별자 할당 정보 'A' 값을 증가시켜 'B'를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한다. 동시에,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BMS는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할당 정보 'b'에 값을 증가시켜 'c'를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또 한편,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BMS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11)에 식별자 할당 정보로서 'B'가 입력된다. 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BMS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21)에 식별자 할당 정보로서 'b'가 입력된다. 따라서,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BMS는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Bb'로 설정한다.
그리고,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BMS는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할당 정보 'B'에 값을 증가시켜 'C'를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한다. 동시에, 오른쪽 하단에 위치한 BMS는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할당 정보 'b'에 값을 증가시켜 'c'를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1)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BMS(1)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11)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21)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각각의 BMS(1)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12)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22)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100)은 통신 식별자의 중복 없이 N개의 BMS에게 통신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BMS(40)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각각의 BMS(1)가 설정한 통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식별자의 중복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상기 마스터 BMS(40)가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을 발견된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13) 및 수평 통신망(23)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마스터 BMS(40)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13) 및 수평 통신망(23)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종료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BMS가 상기 마스터 BMS(40)에게 설정한 통신 식별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수직 통신망(13) 및 수평 통신망(23)을 통해서 전송할 수 있으면,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 통신망(13) 및 수평 통신망(23)은 데이지 체인이다.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통신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100)은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10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미도시)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미도시)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예로는 전기차(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전기 자전거(E-Bike), 전동 공구(Power tool),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무정전 전원 장치(UPS),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 휴대용 비디오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부하의 일예로는 배터리 팩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배터리 팩이 공급하는 전력을 각종 회로 부품이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회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대한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BMS
11 : 수직 통신 입력포트
12 : 수직 통신 출력포트
13 : 수직 통신망
21 : 수평 통신 입력포트
22 : 수평 통신 출력포트
23 : 수평 통신망
30 : 메모리 장치
40 : 마스터 BMS
100 :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Claims (35)

  1. 각각 수직 통신 입력포트, 수직 통신 출력포트, 수평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가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와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직 통신망; 및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와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평 통신망;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고,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BMS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중 수직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가 다른 BMS와 연결되지 않은 BMS와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마스터 BMS;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각각의 BMS가 설정한 통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식별자의 중복 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이 발견된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BMS는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종료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은 데이지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19. 제17항에 따른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전기구동 수단 또는 휴대용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
  21. 각각 수직 통신 입력포트, 수직 통신 출력포트, 수평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가진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직 통신 입력포트와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직 통신망, 및 상기 N개의 BMS 중 인접하는 BMS 사이의 수평 통신 입력포트와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연결하는 수평 통신망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조합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를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앞부분에 배치하여 자신의 통신 식별자를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증가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에 가감 없이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가 상기 수직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키고, 상기 수평 통신 입력포트를 통해 수신된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의 값을 감소시켜 자신의 통신 식별자로 설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각각의 BMS는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직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직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고, 설정된 자신의 통신 식별자에서 상기 수평 통신 식별자 정보와 관련된 부분을 상기 수평 통신 출력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BMS 중 수직 통신 입력포트 및 수평 통신 입력포트가 다른 BMS와 연결되지 않은 BMS와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마스터 BMS가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c) 상기 마스터 BMS가 상기 N개의 BMS로부터 각각의 BMS가 설정한 통신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식별자의 중복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마스터 BMS가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을 발견된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시작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마스터 BMS가 상기 N개의 BMS로부터 수신한 통신 식별자에 중복을 발견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직 통신망 및 수평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BMS에게 식별자 설정을 종료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한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식별자 할당 방법.
KR1020130107960A 2013-09-09 2013-09-09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632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60A KR101632350B1 (ko) 2013-09-09 2013-09-09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4/008272 WO2015034262A1 (ko) 2013-09-09 2014-09-03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CN201480019646.2A CN105122581B (zh) 2013-09-09 2014-09-03 用于向多bms分配通信id的系统和方法
EP14842250.4A EP2963767B1 (en) 2013-09-09 2014-09-03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identifier for multi-bms
US14/768,698 US9350176B2 (en) 2013-09-09 2014-09-03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communication ID for multi-BMS
JP2016540808A JP6124272B2 (ja) 2013-09-09 2014-09-03 マルチbmsに対する通信識別子割当て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60A KR101632350B1 (ko) 2013-09-09 2013-09-09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161A true KR20150029161A (ko) 2015-03-18
KR101632350B1 KR101632350B1 (ko) 2016-06-21

Family

ID=5262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960A KR101632350B1 (ko) 2013-09-09 2013-09-09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50176B2 (ko)
EP (1) EP2963767B1 (ko)
JP (1) JP6124272B2 (ko)
KR (1) KR101632350B1 (ko)
CN (1) CN105122581B (ko)
WO (1) WO20150342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505A (ko) *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
US11038216B2 (en) 2017-07-06 2021-06-15 Lg Chem, Ltd. Wireless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4865B2 (ja) * 2015-03-25 2019-02-06 富士通株式会社 センサシステム、センサ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945426B1 (ko) 2016-09-13 2019-0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통신진단방법
KR102076889B1 (ko) 2017-02-15 2020-0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모듈 컨트롤러에 대한 고유번호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910B1 (ko) * 2017-03-28 2020-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의 id 중복 할당 방지방법
KR102204301B1 (ko) * 2017-07-20 2021-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무선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CN107611506A (zh) * 2017-09-13 2018-01-19 力神动力电池系统有限公司 一种电池管理系统
KR102202615B1 (ko) * 2017-09-25 2021-0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수의 슬레이브 배터리 관리 유닛들에게 식별 정보를 할당하기 위한 장치
CN111354986A (zh) * 2018-12-21 2020-06-30 太普动力新能源(常熟)股份有限公司 进行电池模块的自动分配识别码控制的方法和装置
EP3994894A1 (en) * 2019-07-02 2022-05-11 Wärtsilä Finland Oy Determination of a configuration of a battery pack
KR20210046108A (ko) 2019-10-17 2021-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210058206A (ko) * 2019-11-13 2021-05-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시스템 및 can id 할당 방법
KR20210103299A (ko) * 2020-02-13 2021-08-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배터리 팩, 전기 차량 및 상기 배터리 제어 시스템을 위한 제어 방법
KR20220062887A (ko) * 2020-11-09 2022-05-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통신 id 할당 방법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3985A (ja) * 2001-05-29 2002-12-0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110003182A1 (en) * 2009-07-06 2011-01-06 Amperex Technology Limited Connection scheme for multiple battery cells
KR20130095424A (ko) * 2012-02-20 2013-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bms에 대한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9907A (ja) * 2002-11-26 2004-06-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機器制御システム、制御ユニット、分岐ユニット及びアドレッシング装置
US7515552B2 (en) * 2005-08-09 2009-04-0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tructured addressing method for wireless networks
JP2010073634A (ja) * 2008-09-22 2010-04-0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システム
EP2457417A1 (en) * 2009-07-24 2012-05-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connecting grids of devices of networked control systems
KR101156342B1 (ko) 2009-08-03 201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id 설정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245279B1 (ko) * 2010-10-11 2013-03-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팩의 멀티 슬레이브에 대한 순차적 아이디 설정방법 및 시스템
JP5537468B2 (ja) * 2011-03-01 2014-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蓄電池制御システムおよび蓄電池制御方法
KR101561885B1 (ko) 2011-11-25 2015-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bms에 대한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79931A (ko) * 2012-01-03 2013-07-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배터리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3985A (ja) * 2001-05-29 2002-12-0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110003182A1 (en) * 2009-07-06 2011-01-06 Amperex Technology Limited Connection scheme for multiple battery cells
KR20130095424A (ko) * 2012-02-20 2013-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bms에 대한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505A (ko) * 2016-08-18 2018-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모듈 위치 식별장치 및 방법
US11038216B2 (en) 2017-07-06 2021-06-15 Lg Chem, Ltd. Wireless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2400A (ja) 2016-10-13
US9350176B2 (en) 2016-05-24
KR101632350B1 (ko) 2016-06-21
WO2015034262A1 (ko) 2015-03-12
EP2963767B1 (en) 2019-05-01
EP2963767A1 (en) 2016-01-06
CN105122581B (zh) 2018-07-20
US20160020622A1 (en) 2016-01-21
JP6124272B2 (ja) 2017-05-10
EP2963767A4 (en) 2016-10-26
CN105122581A (zh)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350B1 (ko)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473385B1 (ko) 전력 저장 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의 구성 방법
KR101539689B1 (ko) 멀티 bms에 대한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US89635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identifiers to multi-slave in battery pack
KR101398583B1 (ko) 모듈화된 bms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0086B1 (ko) 멀티 bms 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3885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보호 장치
KR101583374B1 (ko) 주파수 변조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설정하는 배터리 관리 유닛 및 방법
KR101716885B1 (ko)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KR101613230B1 (ko) 통신라인에 고장 발생 시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유선통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선통신시스템
KR101633834B1 (ko) 전원 안전 차단 기능을 가진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840102B1 (en) Bms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WO2015126225A1 (ko) 주파수 변조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설정하는 배터리 관리 유닛 및 방법
KR20150015970A (ko) 신호라인이 고전압 또는 접지 단락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1207B1 (ko) 이차 전지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관리 장치
KR20150007052A (ko) 통신라인에 고장 발생 시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