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85B1 -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85B1
KR101716885B1 KR1020130124705A KR20130124705A KR101716885B1 KR 101716885 B1 KR101716885 B1 KR 101716885B1 KR 1020130124705 A KR1020130124705 A KR 1020130124705A KR 20130124705 A KR20130124705 A KR 20130124705A KR 101716885 B1 KR101716885 B1 KR 101716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onnector
communication terminal
di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244A (ko
Inventor
박정민
허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2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85B1/ko
Priority to PCT/KR2014/009844 priority patent/WO2015057030A1/ko
Priority to US14/767,680 priority patent/US9800072B2/en
Priority to EP14853961.2A priority patent/EP2988190B1/en
Priority to JP2016524491A priority patent/JP6284063B2/ja
Priority to CN201480029026.7A priority patent/CN105229553B/zh
Publication of KR2015004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47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8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eparate charge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Power Sour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직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통신단말기로서,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를 가진 제어부;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출력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출력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입력포트 사이에 상기 제1 커넥터에서 상기 입력포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1 다이오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출력포트 사이에 상기 출력포트에서 상기 제1 커넥터에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2 다이오드;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출력포트 사이에 상기 출력포트에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1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입력포트 사이에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상기 입력포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2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NETWORK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CONFIGURE THE DAISY-CHAIN NETWORK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INPUT CONNECTOR AND THE OUTPUT CONNECTOR}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기차량(EV, Electric Vehicle)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상기 전기 차량 등에 적용되는 배터리 팩은 고출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단위 셀(cell)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 어셈블리를 직렬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 셀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본적 구조에 더하여, 상기 배터리 팩은 모터 등의 구동부하에 대한 전력 공급 제어, 전류 또는 전압 등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의 추정 등을 위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이차전지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근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배터리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배터리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배터리 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모듈 구조의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BMS를 사용하여 모든 배터리 셀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있는 각각의 배터리 모듈마다 BMS를 장착하고 BMS들 중 어느 하나를 마스터 BMS로 지정하고, 나머지 BMS들을 슬레이브 BMS로 지정한 후,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에 의해 각 배터리 모듈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슬레이브 BMS는 평상시에 슬립(sleep)상태에서 대기하다가, 마스터 BMS의 제어 신호에 의해 기동을 개시한다. 제어 신호는 여러 가지 통신망으로 전송이 가능한데, 일반적으로는 직렬 통신망이 주로 사용된다. 직렬 통신망은 통신 구조를 구현하기가 쉽고, 신호의 전송 특성이 우수하고, 기존의 통신선로 등을 활용할 수 있어서 비용절감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직렬 통신망은 신호를 수신한 리시버(receiver) 측이 트랜스미터(transmitter)가 되어 자신과 연결된 인접하는 다른 리시버에게 릴레이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 방식을 가진다. 따라서, BMS 사이에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커넥터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입력 커넥터가 구분되어 상호간에 연결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통신단말기에 해당하는 컴퓨터 시스템(10, 20 및 30)이 통신망을 구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통신망을 구성을 위해 각 컴퓨터 시스템(10, 20 및 30)에 포함된 입력부(16, 26 및 36)와 출력부(18, 28 및 38)는 명확하게 구분되어 입력부-출력부가 상호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직렬 통신망을 구성할 때, 입력부-출력부의 커넥터의 모양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을 경우 작업자가 혼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 커넥터와 출력부 커넥터의 모양을 달리하여 별도로 제작할 경우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직렬 통신망을 구성할 때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가 유연하게 연동될 수 있는 통신단말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직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통신단말기로서,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를 가진 제어부;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출력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커넥터; 상기 입력포트 및 상기 출력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커넥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입력포트 사이에 상기 제1 커넥터에서 상기 입력포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1 다이오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출력포트 사이에 상기 출력포트에서 상기 제1 커넥터에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2 다이오드;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출력포트 사이에 상기 출력포트에서 상기 제2 커넥터에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1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입력포트 사이에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상기 입력포트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2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포트는 슬립상태의 제어부를 기동시키는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포트는 슬립상태의 다른 제어부를 기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렬 통신망은 데이지 체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이차전지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한다. 상기 이차전지의 전기적 특성값은 이차전지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복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일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 배터리 모듈마다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부하는 전기 구동 수단 또는 휴대용 기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 달리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해 외부와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입력 및 출력의 구분이 없다. 즉, 2개의 커넥터 중 위치와 순서에 상관없이 전선을 연결하여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작업자가 입력 커넥터와 출력 커넥터를 구별할 필요가 없어 통신망을 구축하는 작업이 용이해 진다. 따라서, 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통신망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제1 커넥터(101), 제2 커넥터(102), 제1-1 다이오드(111), 제1-2 다이오드(112), 제2-1 다이오드(121), 제2-2 다이오드(122)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직렬 통신망(400)을 통해 다른 통신단말기 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101) 및 제2 커넥터(102)는 직렬 통신망(400)을 구성하기 위한 연결단자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입력포트(131) 및 출력포트(1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30)는 평상시 슬립(sleep)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부로부터 웨이크-업(wake-up) 신호가 수신되면 기동을 개시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포트(131)는 슬립상태의 제어부(130)를 기동시키는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출력포트(132)는 슬립상태의 다른 제어부를 기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를 기동시키는 신호는 외부로부터 상기 제1 커넥터(101) 또는 제2 커넥터(102)를 통해서 수신된다. 또한, 다른 제어부(130)를 기동시키는 신호는 상기 제1 커넥터(101) 또는 제2 커넥터(102)를 통해서 송신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커넥터(101)는 상기 입력포트(131) 및 상기 출력포트(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102)는 상기 입력포트(131) 및 상기 출력포트(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해 외부와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입력 및 출력의 구분이 없다. 즉, 2개의 커넥터(101, 102) 중 위치와 순서에 상관없이 전선을 연결하여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130)의 입력포트(131) 및 출력포트(132)에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어 연결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입출력 구분이 없는 상기 제1 커넥터(101) 및 상기 제2 커넥터(102)와 달리 입출력 구분이 있는 상기 입력포트(131) 및 상기 출력포트(1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1 다이오드(111), 제1-2 다이오드(112), 제2-1 다이오드(121) 및 제2-2 다이오드(122)가 제1 커넥터(101)/제2 커넥터(102)와 입력포트(131)/출력포트(13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1 다이오드(111)는 상기 제1 커넥터(101)와 상기 입력포트(131) 사이에 상기 제1 커넥터(101)에서 상기 입력포트(13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2 다이오드(112)는 상기 제1 커넥터(101)와 상기 출력포트(132) 사이에 상기 출력포트(132)에서 상기 제1 커넥터(101)에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1 다이오드(121)는 상기 제2 커넥터(102)와 상기 출력포트(132) 사이에 상기 출력포트(132)에서 상기 제2 커넥터(102)에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2 다이오드(122)는 상기 제2 커넥터(102)와 상기 입력포트(131) 사이에 상기 제2 커넥터(102)에서 상기 입력포트(131)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통신단말기(100)가 직렬 통신망(400)을 통해서 연결된 예시를 통해 입출력 신호가 어떻게 수신되고 출력되는지 살펴보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통신단말기(10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통신단말기(100)가 배터리 팩(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편의상 위쪽에 도시된 통신단말기를 제1 통신단말기(100-1), 아래쪽에 도시된 통신단말기를 제2 통신단말기(100-2)라고 명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배터리 팩(200)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 외에 필요에 따라 추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만 도시하겠다. 따라서, 도 3의 통신단말기(100-1 및 100-2)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 이해하면 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130)는 이차전지 셀(211)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차전지 셀(211)의 전기적 특성값은 이차전지 셀(211)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을 의미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30)는 각 이차전지 셀(211)의 전압 또는 전류를 포함한 전기적 특성값 측정 외에 이차전지 셀(211)의 충방전 제어, 전압의 평활화(equalization) 제어, SOC(State Of Charge)의 추정 등을 포함하여 당업자 수준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지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술한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기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200)은 복수개의 이차전지 셀(2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 팩(200)은 하나 이상의 이차전지 셀(211)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차전지 셀(21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각각의 이차전지 셀(211)은 재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또는 방전 전압을 고려해야 하는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팩(200)에 포함되는 이차전지 셀(211)의 개수는 요구되는 출력 전압 또는 충방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차전지 셀(211)의 종류, 출력전압, 충전용량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는 상기 이차전지 셀(211)들이 모두 직렬로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 이차전지 셀(211)의 연결 방법에 따라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이차전지 셀(211)은 일정한 개수가 집합되어 배터리 모듈(210)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모듈(210)마다 각각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에 의해 각 배터리 모듈(210)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슬립(sleep)상태에서 대기하다가, 마스터 또는 외부 장치(3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기동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100)는 직렬 통신망(400)을 구성하여 기동을 제어하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렬 통신망(400)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이다. 데이지 체인이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버스(bus) 결선 방식을 의미한다. 데이지 체인은 단순한 버스 연결과는 다르게 체인 내에 속한 하나의 장치가 다른 장치에게 신호를 릴레이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호 전송 방식을 지원한다. 데이지 체인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 장치(300)에서 상기 제어부(130)를 기동시키는 신호가 제1 통신단말기(100-1)의 제1 커넥터(101)로 수신되고 있다(①). 상기 제1 커넥터(101)에 수신된 신호는 제1-1 다이오드(111)를 통과해서 상기 제어부(130)의 입력포트(131)로 입력된다(②). 반면, 상기 제1 커넥터(101)에 수신된 신호는 제1-2 다이오드(112)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어부(130)의 출력포트(132)에는 전달되지 않는다(③).
상기 제1 통신단말기(100-1)에 포함된 제어부(130)가 기동되기 시작하면 제2 통신단말기(100-2)에 포함된 제어부(130)를 기동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한다(④). 상기 신호는 제2-1 다이오드(121)를 통과해서 제1 통신단말기(100-1)의 제2 커넥터(102)로 출력된다(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통신단말기(100-1)의 제2 커넥터(102)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1 통신단말기(100-1)와 달리, 제2 통신단말기(100-2)의 제2 커넥터(102)에 입력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 통신단말기(100-2)의 제2 커넥터(102)에 수신된 신호는 제2-2 다이오드(122)를 통과해서 상기 제어부(130)의 입력포트(131)로 입력된다(⑥). 반면, 상기 제2 통신단말기(100-2)의 제2 커넥터(102)에 수신된 신호는 제2-1 다이오드(121)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제어부(130)의 출력포트(132)에는 전달되지 않는다(⑦).
상기 제2 통신단말기(100-2)에 포함된 제어부(130)가 기동되기 시작하면 제3통신단말기(미도시)에 포함된 제어부(미도시)를 기동시킬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한다(⑧). 상기 신호는 제1-2 다이오드(112)를 통과해서 제2 통신단말기(100-2)의 제1 커넥터(101)로 출력된다(⑨).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상기 배터리 팩(200)과 배터리 팩(2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예로는 전기차(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전기 자전거(E-Bike), 전동 공구(Power tool),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무정전 전원 장치(UPS),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 휴대용 비디오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부하의 일예로는 배터리 팩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배터리 팩이 공급하는 전력을 각종 회로 부품이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회로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대한 각 구성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통신단말기
101 : 제1 커넥터
102 : 제2 커넥터
111 : 제1-1 다이오드
112 : 제1-2 다이오드
121 : 제2-1 다이오드
122 : 제2-2 다이오드
130 : 제어부
131 : 입력포트
132 : 출력포트
200 : 배터리 팩
210 : 배터리 모듈
211 : 이차전지 셀
300 : 외부 장치
400 : 직렬 통신망

Claims (10)

  1. 직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제1 노드에 연결되는 기동신호 수신용 입력포트 및 제2 노드에 연결되는 기동신호 전송용 출력포트를 가진 마이크로프로세서;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제4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커넥터;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3 노드에 입력되는 기동 신호를 상기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1-1 다이오드;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상기 제3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동신호 전송용 출력포트로부터 상기 제2 노드에 입력되는 기동 신호를 상기 제3 노드로 전달하는 제1-2 다이오드;
    상기 제2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상기 제4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동신호 전송용 출력포트로부터 상기 제2 노드에 입력되는 기동 신호를 상기 제4 노드로 전달하는 제2-1 다이오드; 및
    상기 제4 노드에 연결되는 애노드 및 상기 제1 노드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4 노드에 입력되는 기동 신호를 상기 제1 노드로 전달하는 제2-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슬립 상태에서 상기 제1 노드를 통해 상기 기동신호 수신용 입력포트에 기동 신호가 수신되면 기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기동신호 수신용 입력포트에 수신된 기동 신호에 의해 기동을 개시한 후, 슬립상태의 다른 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동시키기 위한 기동 신호를 상기 기동신호 전송용 출력포트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통신망은 데이지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이차전지의 전기적 특성값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전지의 전기적 특성값은 이차전지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
  7. 제5항 또는 제6항에 따른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복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 배터리 모듈마다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7항에 따른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전기 구동 수단 또는 휴대용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
KR1020130124705A 2013-10-18 2013-10-18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KR101716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705A KR101716885B1 (ko) 2013-10-18 2013-10-18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PCT/KR2014/009844 WO2015057030A1 (ko) 2013-10-18 2014-10-20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US14/767,680 US9800072B2 (en) 2013-10-18 2014-10-20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structing daisy chain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distinction between input connector and output connector
EP14853961.2A EP2988190B1 (en) 2013-10-18 2014-10-20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structing daisy chain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distinction between input connector and output connector
JP2016524491A JP6284063B2 (ja) 2013-10-18 2014-10-20 入力コネクタと出力コネクタとを区分せずデイジーチェーン通信網を構成できる通信端末機
CN201480029026.7A CN105229553B (zh) 2013-10-18 2014-10-20 用于在输入连接器和输出连接器之间不加以区分的情况下构造菊花链通信网络的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705A KR101716885B1 (ko) 2013-10-18 2013-10-18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44A KR20150045244A (ko) 2015-04-28
KR101716885B1 true KR101716885B1 (ko) 2017-03-27

Family

ID=5282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705A KR101716885B1 (ko) 2013-10-18 2013-10-18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00072B2 (ko)
EP (1) EP2988190B1 (ko)
JP (1) JP6284063B2 (ko)
KR (1) KR101716885B1 (ko)
CN (1) CN105229553B (ko)
WO (1) WO2015057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7169756A1 (ja) * 2016-03-29 2019-02-0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駆動方法、並びにスレーブ素子
CN107783726B (zh) * 2016-08-31 2019-11-12 华为技术有限公司 存储系统和存储系统中传输信号的方法
DE102019214167A1 (de) * 2019-09-18 2021-03-18 Robert Bosch Gmbh Batterie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atteriesystems und Kraftfahrzeug
DE102019135399A1 (de) * 2019-12-20 2021-06-24 Audi Ag Fahrzeug mit einer durch eine Überwachungseinrichtung überwachten Traktionsbatterie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r Traktionsbatteri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718Y1 (ko) 2005-04-16 2005-07-14 주식회사 케이피시스텍 범용성을 위하여 무극성 처리된 자동차용 지능형 스마트릴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634Y1 (ko) * 1993-09-15 1996-08-03 이현조 신체착용식 체력단련구
KR100773087B1 (ko) * 2006-01-26 2007-11-02 한국과학기술원 데이지 체인 형태의 연결방식을 갖는 모듈형 웨어러블컴퓨터 장치
US8994276B2 (en) * 2006-03-28 2015-03-31 Wireless Environment, Llc Grid shifting system for a lighting circuit
US8519566B2 (en) * 2006-03-28 2013-08-27 Wireless Environment, Llc Remote switch sensing in lighting devices
KR20080003979U (ko) * 2007-03-15 2008-09-19 한수만 차량용 무극성 엘이디 램프
BRPI1012165A2 (pt) * 2009-05-19 2019-04-02 Maxout Renewables, Inc. aparelhos para balancear saída de potência e de colheita de potência.
CN102577074B (zh) * 2009-09-30 2015-03-04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功率转换系统
KR101189885B1 (ko) * 2010-10-19 2012-10-1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전원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차량 및 축전 장치
JP2012222991A (ja) * 2011-04-11 2012-11-12 Funai Electric Co Ltd 電源回路
WO2012165771A2 (ko) * 2011-05-31 2012-12-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듈화된 bms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5718731B2 (ja) * 2011-05-31 2015-05-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圧監視システム及び電圧監視モジュール
KR101300109B1 (ko) * 2011-05-31 2013-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모듈화된 bms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26895A (ja) * 2011-07-22 2013-02-04 Hitachi Cable Ltd アンテナ制御システム及びアンテナモデム
KR101561885B1 (ko) * 2011-11-25 2015-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bms에 대한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540086B1 (ko) * 2012-01-19 2015-07-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bms 기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718Y1 (ko) 2005-04-16 2005-07-14 주식회사 케이피시스텍 범용성을 위하여 무극성 처리된 자동차용 지능형 스마트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57030A1 (ko) 2015-04-23
JP6284063B2 (ja) 2018-02-28
EP2988190A4 (en) 2017-01-11
EP2988190A1 (en) 2016-02-24
CN105229553B (zh) 2018-09-21
JP2017505468A (ja) 2017-02-16
US20150372524A1 (en) 2015-12-24
US9800072B2 (en) 2017-10-24
EP2988190B1 (en) 2019-08-07
KR20150045244A (ko) 2015-04-28
CN105229553A (zh)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36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identifier to multi-BMS
KR101473385B1 (ko) 전력 저장 장치, 이를 이용한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의 구성 방법
KR101596487B1 (ko) 적은 수의 절연소자를 사용하여 2차 보호 신호 및 진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540086B1 (ko) 멀티 bms 기동 시스템 및 방법
KR101632350B1 (ko) 멀티 bms에 대한 통신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KR101716885B1 (ko) 입력 커넥터 및 출력 커넥터의 구분 없이 데이지 체인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
KR101583374B1 (ko) 주파수 변조를 이용하여 식별자를 설정하는 배터리 관리 유닛 및 방법
KR101613230B1 (ko) 통신라인에 고장 발생 시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유선통신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선통신시스템
KR20150043842A (ko) 전원 안전 차단 기능을 가진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15970A (ko) 신호라인이 고전압 또는 접지 단락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48005A (ko) 적은 수의 절연소자를 사용하여 2차 보호 신호 및 진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150048006A (ko) 적은 수의 절연소자를 사용하여 2차 보호 신호 및 진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150048007A (ko) 적은 수의 절연소자를 사용하여 2차 보호 신호 및 진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150048008A (ko) 적은 수의 절연소자를 사용하여 2차 보호 신호 및 진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20150007052A (ko) 통신라인에 고장 발생 시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