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095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095A
KR20150029095A KR20130107812A KR20130107812A KR20150029095A KR 20150029095 A KR20150029095 A KR 20150029095A KR 20130107812 A KR20130107812 A KR 20130107812A KR 20130107812 A KR20130107812 A KR 20130107812A KR 20150029095 A KR20150029095 A KR 2015002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 emitting
disposed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5919B1 (ko
Inventor
임동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7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59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5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5Details of bases or housings, i.e. the parts between the light-generating element and the end caps;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base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된 부재; 및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부재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확산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부와 연결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배광각을 넓힐 수 있고, 눈부심을 줄일 수 있으며, 발광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재래식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 형태는 배광각을 넓힐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눈부심을 줄일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사용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된 부재; 및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부재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확산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부와 연결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배광각을 넓힐 수 있고, 눈부심을 줄일 수 있으며, 발광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사용하면, 렌즈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배광각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눈부심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되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으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일 단에서 커버부(100)의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부(100)의 제1 변형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부(100)의 제2 변형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으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일 단에서 커버부(100)의 내부를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커버부(100), 광원부(200), 부재(300), 전원 제공부(400) 및 캡부(500a, 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속이 빈 통 형상일 수 있다. 통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 형상은 타원통 또는 다각통일 수도 있다.
커버부(100)는 단면이 일정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부(100)가 원통 형상인 경우,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종래의 재래식 형광등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종래의 재래식 형광등을 대체할 수 있다.
커버부(100) 내부에 광원부(300)가 배치되어, 광원부(300)에서 방출되는 광이 커버부(1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커버부(100) 내부에 부재(300)가 배치된다. 커버부(100)의 내부에 부재(300)가 배치되면, 부재(300)에 의해 두 개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 광원부(200)가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에 전원 제공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00)의 양 단부, 즉 일 단부와 타 단부 각각은 캡부(500a, 500b)와 결합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내면과 외면을 갖는다.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이 커버부(100)의 내면과 외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커버부(100)는 확산 패턴(110)을 가질 수 있다. 확산 패턴(110)은 커버부(100)의 내면의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확산 패턴(110)은 커버부(100)의 내면에서 광원부(200) 상에 배치된 일 부분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확산 패턴(110)는 커버부(100)의 내면에서 위로 볼록한 곡면일 수도 있고, 적어도 둘 이상의 평면들로 구성된 다각면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확산 패턴(110)에 의해, 광원부(2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넓게 확산될 수 있어 커버부(100)의 배광각이 넓혀질 수 있다.
커버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30a, 130b)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0a, 130b)은 커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자로 커버부(100)의 내면에서 위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130a, 130b)는 두 개의 제1 돌출부(130a)과 두 개의 제2 돌출부(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30a)과 제2 돌출부(130b) 사이에 부재(300)의 일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돌출부(130a)과 제2 돌출부(130b) 사이에 부재(300)의 제1 고정부(330)와 제2 고정부(350)가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제1 돌출부(130a)과 두 개의 제2 돌출부(130b)에 의해, 부재(300)의 양 단부는 커버부(100) 내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100)는 광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50)는 커버부(100)의 내면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광학부(150)는 커버부(100)와 동일한 재질로서 일체일 수도 있고, 커버부(100)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접착제나 기타 다른 접착 수단으로 커버부(100)의 내면에 연결된 것일 수 있다.
광학부(150)는 연장부(151)와 확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51)는 커버부(100)의 내면에서 기판(210)의 상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151)는 커버부(100)의 내면에서 기판(210)의 상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1)는 커버부(100)의 내면에서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30)측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151)는 확산부(153)를 발광 소자(230) 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확산부(153)는 연장부(151)의 끝단에 연결되고,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소자(230)의 수직 방향 상에 확산부(153)가 배치되고, 확산부(153)의 수직 방향 상에 연장부(151)가 배치된다.
확산부(153)는 발광 소자(230) 상에 발광 소자(23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발광 소자(230)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확산부(153)는 커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 소자(230)들을 둘러싸기 위해, 반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확산부(153)는 복수의 발광 소자(2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한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 소자(230)에서 방출된 광은 확산부(153)에서 굴절되어 커버부(100)의 내면으로 입사되므로, 커버부(100)에서 방출되는 광은 확산부(153)가 없을 경우보다 배광각이 더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확산부(153)에 의해, 복수의 발광 소자(230)에서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므로, 복수의 발광 소자(230)의 스팟(spot)이 제거될 수 있어 사용자의 눈부심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확산부(153)에 의해,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3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광 소자(230)가 0.3W 급의 발광 다이오드(LED)이고, 확산부(153)가 없을 경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중 인접한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이 대략 20mm 보다 크면,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어져 암부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확산부(153)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상에 배치되면, 인접한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이 20mm 보다 커지더라도 암부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확산부(153)에 의해, 인접하는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을 더 넓힐 수 있으므로, 하나의 광원부(200)에 사용되는 발광 소자(23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200)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발광 소자(230)가 0.3W 급의 발광 다이오드(LED)인 경우에, 인접한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은 최대 30mm 이내일 수 있다. 인접한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 사이의 간격이 30mm를 초과하면, 확산부(153)가 존재하더라도 커버부(100)에 암부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확산부(153)에 의해, 광원부(200)는 렌즈(미도시)가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종래에는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확산시키기 위해 복수의 발광 소자(230)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렌즈를 형성하였지만,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확산부(153)에 의해 상기 렌즈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확산부(153)를 갖는 조명 장치는 광원부(200)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어, 전체 조명 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커버부(1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을 광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부(1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을 여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버부(1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을 여기시킬 수 있는 형광체를 가질 수 있다. 형광체는 커버부(10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커버부(1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형광체를 함유한 여기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층(미도시)은 커버부(100)와 광원부(200)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커버부(1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광을 확산할 수 있다. 커버부(100)는 내부에 확산제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부(1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빛 확산 기능을 갖는 확산 시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0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실리콘, PMMA 등과 같은 수지 재질일 수 있다.
광원부(200)는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부(200)는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된 부재(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기판(210) 및 발광 소자(2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체는 일반적인 기판보다는 두께가 얇은 절연 시트일 수도 있다.
기판(210)의 표면은 빛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이거나, 빛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기판(210)은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기판(210)은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로 연결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230)는 복수로 기판(210)의 일 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발광 소자(230)는 기판(210)의 상면에 일렬로 또는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일렬 또는 복수의 열로 배열된 발광 소자(230)들 상에 커버부(100)의 광학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발광 소자(230)들 상에 광학부(150)의 확산부(153)가 복수의 발광 소자(230)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소자(23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ing Emitting Diode) 칩(chip)이거나 자외선 광(Ultraviolet light)를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형(Lateral Type) 또는 수직형(Vertical Type)일 수 있고, 청색(Blue), 적색(Red), 황색(Yellow) 또는 녹색(Green)을 발산할 수 있다.
부재(300)는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된다. 부재(300)가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커버부(100) 내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하나의 공간에 광원부(200)가 배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에 전원 제공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부재(300)는 커버부(100)의 재질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재질일 수 있고, 커버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재(300)는 커버부(100)의 내부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부재(300)가 커버부(100) 내부에 끼워져 배치되면, 커버부(100)의 휨을 막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00)의 양 단에 결합된 캡부(500a, 500b)가 외부 고정물 또는 천장에 설치된 경우, 커버부(100)가 소정의 길이(600mm 또는 1200mm)를 가지면, 커버부(100)의 양 단 사이의 중앙 부분이 중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커버부(100)의 재질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부재(300)가 커버부(100) 내부에 끼워져 배치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한 커버부(100)의 중앙 부분의 휨을 막을 수 있다.
부재(300)는 광원부(20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방열할 수 있도록 방열 재질일 수 있다.
부재(300)는 베이스부(310), 제1 고정부(330) 및 제2 고정부(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310), 제1 고정부(330) 및 제2 고정부(35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고, 각각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베이스부(310)는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되며, 상면과 하면 및 복수의 측면을 갖는 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상면 상에 광원부(200)의 기판(210)이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310)의 하면 상에 전원 제공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배치된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과 맞닿아 부재(300)를 커버부(100) 내부에 고정시키거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310)의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00)의 내면이 원통면인 경우, 베이스부(310)의 측면은 상기 원통면에 대응되는 곡면일 수 있다.
제1 고정부(330)는 베이스부(310)의 상면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330)는 베이스부(310)의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위로 연장된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에서 커버부(100)의 내부 방향으로 굽은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1 고정부(330)의 상단부는 광원부(200)의 기판(210)의 양 단부 상에 각각 배치되고, 2개의 제1 고정부(330)의 하단부 사이에 광원부(200)의 기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30)의 상단부와 베이스부(310)의 상면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으로 기판(210)의 양 단부가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1 고정부(330)에 의해, 기판(210)은 부재(300) 상에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30)의 하단부의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과 맞닿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부(330)의 하단부의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330)의 하단부의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의 원통면과 대응되는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고정부(330)는 베이스부(310)를 커버부(100)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부(350)는 베이스부(310)의 하면 상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350)는 베이스부(310)의 하면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된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에서 커버부(100)의 내면 방향으로 굽은 상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2 고정부(350)의 사이에 전원 제공부(400)가 배치된다.
제2 고정부(350)의 하단부의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과 맞닿을 수 있다. 여기서, 제2 고정부(350)의 하단부의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350)의 하단부의 측면은 커버부(100)의 내면의 원통면과 대응되는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고정부(350)는 베이스부(310)를 커버부(100)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부(350)의 상단부는 체결홈(350h)을 가질 수 있다. 체결홈(350h)으로는 캡부(500a, 500b)에 결합된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리벳(rivet) 또는 볼트(bolt)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부(330)와 제2 고정부(350)는 커버부(100)의 제1 돌출부(130a)과 제2 돌출부(130b) 사이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전원 제공부(400)는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공부(400)는 부재(300)와 커버부(10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 제공부(400)는 광원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광원부(200)로 전원 신호를 제공한다. 전원 제공부(400)와 광원부(200)의 전기적 연결은 전선(wire)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제공부(400)는 광원부(200)를 구동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부품은 예를 들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장치, 광원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칩, 광원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캡부(500a, 500b)는 커버부(100)의 양 단에 각각 배치된다. 예를 들어, 캡부(500a, 500b)는 커버부(100)의 양 단에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 또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캡부(500a, 500b)는 커버부(100)의 양 단을 덮는 구조, 커버부(100)의 일 단부가 캡부(500a)에 삽입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캡부(500a, 500b)는 커버부(1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하여 커버부(100) 내부에 배치된 광원부(200), 부재(300) 및 전원 제공부(40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캡부(500a, 500b)는 제1 캡부(500a)와 제2 캡부(5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부(500a)와 제2 캡부(500b)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캡부(500a)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캡부(500a)는 캡(510) 및 핀(550)을 포함할 수 있다.
캡(510)은 커버부(100)의 양 단부를 커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510)은 기존의 재래식 형광등의 양 단부에 결합된 캡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캡(510)은 커버부(100)의 양 단부를 수납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핀(550)은 캡(510)에 배치되며, 기존의 재래식 형광등의 핀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핀(550)을 통해 외부 전원 신호가 전원 제공부(400)로 제공될 수 있다.
핀(550)의 개수는 종래의 재래식 형광등과 같이 2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핀(550)의 개수는 조명 장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부(100)의 제1 변형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제1 변형 형태에 따른 커버부(100’)는 광학부(150’)를 제외하고 도 3에 도시된 커버부(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광학부(1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광학부(150’)는 제1 연장부(151’a), 제2 연장부(151’b) 및 확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부(153’)는 도 3에 도시된 확산부(153)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발광 소자(230)들 상에 배치된다.
제1 연장부(151’a)와 제2 연장부(151’b)는 커버부(100’)의 내면에서 도 2에 도시된 기판(210)의 상면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제1 연장부(151’a)와 제2 연장부(151’b)는 확산부(153’)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 연장부(151’a)와 제2 연장부(151’b)는 확산부(153’)를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한다.
도 3에 도시된 광학부(150)와 대비하여 볼 때, 도 4에 도시된 광학부(150’)는 2개의 연장부(151’a, 151’b)를 포함하기 때문에, 확산부(153’)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커버부(100’)의 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광학부(150’)의 2개의 연장부(151’a, 151’b)가 도 2에 도시된 기판(210)의 상면과 예각을 이루기 때문에, 확산부(153’)의 최상단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연장부(151’a, 151’b)로 인해 생기게 되는 연장면 상에 추가로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광 추출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광 출사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부(100)의 제2 변형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2 변형 형태에 따른 커버부(100’’)는 광학부(150’’)를 제외하고 도 3에 도시된 커버부(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광학부(1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광학부(150’’)는 연장부(151’’) 및 확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51’’)는 상면과 하면을 갖고, 서로 마주보는 두 측면이 커버부(100’’)의 내면에 연결된 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연장부(151’’)는 도 2에 도시된 기판(210) 상에 기판(21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51’’)에 의해, 커버부(100’’)의 내부는 두 개의 공간으로 나뉠 수 있다.
연장부(151’’)의 하면에 확산부(153’’)이 배치된다. 따라서, 연장부(151’’)는 확산부(153’)를 도 2에 도시된 발광 소자(230) 상에 배치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광학부(150)와 대비하여 볼 때, 도 5에 도시된 광학부(150’’)는 판 형상의 연장부(151’’)를 포함하기 때문에, 확산부(153’’)를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커버부(100’’)의 휨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광학부(150’’)의 연장부(151’’)가 도 2에 도시된 기판(210)의 상면과 평행하기 때문에, 확산부(153’’)의 최상단부에서 방출되는 광의 손실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장부(151’’)에는 추가로 패턴(미도시)이 형성되어 광 추출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광 출사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부
200: 광원부
300: 부재
400: 전원 제공부
500a, 500b: 캡부

Claims (7)

  1. 커버부;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된 부재; 및
    상기 커버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부재 상에 배치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광학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확산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확산부와 연결된 연장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연장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서 상기 기판의 상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 조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연장부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커버부의 내면에서 상기 기판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된, 조명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연장부는, 상기 기판과 평행한 판 형상이고,
    상기 연장부의 두 측면은, 상기 커버부의 내면과 연결된, 조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광 추출 및 광 출사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패턴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확산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들을 둘러싸는 반 원통 형상을 갖는, 조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내면은,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는 확산 패턴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30107812A 2013-09-09 2013-09-09 조명 장치 KR10211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812A KR102115919B1 (ko) 2013-09-09 2013-09-09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812A KR102115919B1 (ko) 2013-09-09 2013-09-09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095A true KR20150029095A (ko) 2015-03-18
KR102115919B1 KR102115919B1 (ko) 2020-05-27

Family

ID=5302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812A KR102115919B1 (ko) 2013-09-09 2013-09-09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59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400U (ja) * 2009-02-27 2009-09-03 華能光電科技股▲ふん▼有限公司 Ledランプ
US20120020066A1 (en) * 2010-07-22 2012-01-2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d ligh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400B2 (ja) * 1993-12-07 2001-04-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メモリ及びセンス回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3400U (ja) * 2009-02-27 2009-09-03 華能光電科技股▲ふん▼有限公司 Ledランプ
US20120020066A1 (en) * 2010-07-22 2012-01-2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ed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5919B1 (ko)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5237B2 (en) Lighting module
JP6381951B2 (ja) 照明装置
US8529115B2 (en) Lighting module
KR20070054825A (ko) Led를 이용한 조명 장치
JP2009290181A (ja) 拡散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素子組立体
JP2009016087A (ja) 導光部材、該導光部材を用いた照明装置、及び導光方法
KR101370917B1 (ko) 조명 장치
EP3242074B1 (en) Lamp unit and vehicle lamp device using same
KR20150041317A (ko) 조명 장치
JP4841513B2 (ja) 照明装置
KR102400249B1 (ko)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182940A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KR102115919B1 (ko) 조명 장치
KR200455825Y1 (ko) 원형 엘이디(led) 평판 조명 장치
KR101167413B1 (ko) 조명장치
JP201304592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20150031699A (ko) 조명 장치
KR101800387B1 (ko) Led 등기구
JP2016225177A (ja) 直管形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JP2022083336A (ja) 構造体
KR101272690B1 (ko) 조명 모듈
KR101167416B1 (ko) 조명장치
KR101167421B1 (ko) 조명장치
WO2022139624A1 (ru) Плоский светодиодный осветитель с большой площадью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й поверхности
KR101272689B1 (ko) 조명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