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933A -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933A
KR20150028933A KR20130107499A KR20130107499A KR20150028933A KR 20150028933 A KR20150028933 A KR 20150028933A KR 20130107499 A KR20130107499 A KR 20130107499A KR 20130107499 A KR20130107499 A KR 20130107499A KR 20150028933 A KR20150028933 A KR 20150028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erver
image
still image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053B1 (ko
Inventor
주재형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0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감시 카메라들이 동영상들을 서버에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 영상을 포착한 후에 포착 일시의 정보와 함께 상기 정지 영상을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정지 영상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이전에 촬영되었던 동영상으로써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으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여준다.

Description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Surveillance system providing files of accident-related moving images to users}
본 발명은,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차량들에 부착되는 블랙 박스들은 교통 사고의 검증에 일조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차량들에 블랙 박스들이 부착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교통 사고 외의 다른 사고들은, 블랙 박스들에 의하여 검증되기 어렵다.
따라서, 교통 사고를 포함한 모든 사고들은, 블랙 박스들 및 감시 시스템 예를 들어, 전국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CCTV(Closed-Circuit Television)의 시스템에 의하여 검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인터넷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은 통상적인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 화면을 가리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구매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은, 다양하게 업로드(upload)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을 홈페이지에 표시하고, 어느 한 동영상 파일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하여 선택되면, 선택된 파일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사용자는 다운로드(download)된 동영상 파일을 실행하면서 관련 사고를 검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시스템에 의하면,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이 사고 당사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생성된 것들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첫째, 사고 당사자가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사고 당사자에 해당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도, 사고 당사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셋째, 사용자는, 사고 일시 및 장소를 정확히 기억하지 않으면, 수많은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2012-0012104호 공보 (출원인 : 김종대 외 3인, 발명의 명칭 : 녹화 영상물 거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사고 당사자가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 사고 당사자에 해당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도 사고 당사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 및 사용자가 사고 일시 및 장소를 정확히 기억하지 않으면 수많은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들이 동영상들을 서버에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 영상을 포착한 후에 포착 일시의 정보와 함께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정지 영상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이전에 촬영되었던 동영상으로써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으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여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이름은 상기 포착 일시의 정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의 홈페이지에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 각각의 대표 영상과 이름이 배열 및 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의 홈페이지에서 어느 한 대표 영상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하여 선택되면, 선택된 대표 영상에 상응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게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는 사람의 특정 자세의 영상이 촬영될 때에 발생된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는 특정 큐알(QR : Quick Response) 코드의 영상이 촬영될 때에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상기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 영상을 포착한 후에 포착 일시의 정보와 함께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정지 영상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이전에 촬영되었던 동영상으로써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으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여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은 상기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고 당사자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차후에 사고 당사자가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차후에 사고 당사자에 해당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도 사고 당사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상기 대표 영상에는 상기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고 당사자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고 당사자는, 차후에 자신의 영상이 들어 있는 대표 영상을 찾음에 따라,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사고 일시 및 장소를 정확히 기억하지 않으면 수많은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감시 카메라들 각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서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계 S305에 의하여 포착된 정지 영상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단계 S305에 의하여 포착된 정지 영상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단계 S401의 수행에 의하여, 서버의 홈페이지에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 각각의 대표 영상과 이름이 배열 및 표시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2에서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과 클라이언트 단말기들(T1001 내지 T1999)의 참조 부호들이 서로 대응되지만, 실제로 상호 대응되는 것이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은 통신망(24a)을 통하여 동영상들을 서버(22)에 전송한다. 여기에서,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정지 영상을 포착한 후에 포착 일시의 정보와 함께 상기 정지 영상을 서버(22)에 전송한다.
서버(22)는, 상기 정지 영상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이전에 촬영되었던 동영상으로써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또한, 서버(22)는, 통신망(24b)과 클라이언트 단말기들(T1001 내지 T1999)을 통하여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제공함에 있어서,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으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여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은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고 당사자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차후에 사고 당사자가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차후에 사고 당사자에 해당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도 사고 당사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둘째,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에는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고 당사자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고 당사자는, 차후에 자신의 영상이 들어 있는 대표 영상을 찾음에 따라,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사고 일시 및 장소를 정확히 기억하지 않으면 수많은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한편,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이름은 상기 정지 영상의 포착 일시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의 서버(22)의 홈페이지에서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 각각의 대표 영상과 이름이 배열 및 표시된다. 이 홈페이지에서 어느 한 대표 영상이 클라이언트 단말기(T1001 내지 T1999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선택되면, 선택된 대표 영상에 상응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클라이언트 단말기(T1001 내지 T1999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전송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대하여, 도 3 내지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여 도 2의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은 통신망(24a)을 통하여 동영상을 서버(22)에 전송한다(단계 S301). 여기에서,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었으면(단계 S303), 정지 영상을 포착한다(단계 S305).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에 의한 상기 특정 신호는 다음과 같이 발생된다.
첫째, 사람의 특정 자세의 영상이 촬영될 때에 발생된다(도 5 참조).
둘째, 특정 큐알(QR : Quick Response) 코드의 영상이 촬영될 때에 발생된다(도 6 참조).
추가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상기 특정 신호는, 사용자가 감시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과 연결된 제어 박스에서 특정 제어 스위치를 누를 때에 발생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305를 수행 한 적어도 한 감시 카메라(C1001 내지 C1999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포착 일시의 정보와 함께 상기 정지 영상을 서버(22)에 전송한다(단계 S307).
도 4는 도 2의 서버(2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4를 참조하여 서버(22)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버(22)는,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 각각의 대표 영상과 이름을 배열 및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401, 도 7 참조).
어느 한 감시 카메라(C1001 내지 C1999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의 정지 영상이 수신되었으면(단계 S402), 서버(22)는 아래의 단계들 S403 및 S404를 수행한다.
단계 S403에 있어서, 서버(22)는, 상기 정지 영상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이전에 촬영되었던 동영상으로써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여기에서, 파일 이름들 각각은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이 서버(22)에게 제공하는 포착 일시의 정보이다(도 3의 단계 S307 참조).
또한, 단계 S404에 있어서, 서버(22)는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으로서 홈페이지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홈페이지에서 어느 한 대표 영상이 클라이언트 단말기(T1001 내지 T1999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선택되면(단계 S405), 서버(22)는, 선택된 대표 영상에 상응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기(T1001 내지 T1999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전송한다(단계 S406).
도 5는 도 3의 단계 S305에 의하여 포착된 정지 영상(501)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501h는 사람의 영상을 가리킨다.
사고 당사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자세를 취했을 때에, 감시 카메라(C1001 내지 C1999 중에서 어느 하나)는 정지 영상(501)을 포착한다. 따라서, 포착되어 대표 영상으로 사용될 정지 영상(501)에는 사고 당사자의 영상(501h)이 포함된다.
도 6은 도 3의 단계 S305에 의하여 포착된 정지 영상(601)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6에서 참조 부호 601h는 사람의 영상을, 그리고 601s는 스마트폰의 영상을 각각 가리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사고 당사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 큐알(QR : Quick Response) 코드를 카메라(C1001 내지 C1999 중에서 어느 하나)방향으로 제시하면, 카메라(C1001 내지 C1999 중에서 어느 하나)는 특정 큐알(QR : Quick Response) 코드가 인식될 때에 정지 영상(601)을 포착한다.
따라서, 포착되어 대표 영상으로 사용될 정지 영상(601)에는 사고 당사자의 영상(601h)이 포함된다.
도 7은, 도 4의 단계 S401의 수행에 의하여, 서버(도 2의 22)의 홈페이지에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 각각의 대표 영상(701i 내지 715i)과 이름(701n 내지 715n)이 배열 및 표시됨을 보여준다. 도 7에서 참조 부호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 화면을 가리킨다.
도 2, 4 및 7을 참조하면, 서버(22)는, 자신의 홈페이지에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 각각의 대표 영상(701i 내지 715i)과 이름(701n 내지 715n)을 배열 및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401 참조). 여기에서, 파일 이름들(701n 내지 715n) 각각은 카메라들(C1001 내지 C1999) 각각이 서버(22)에게 제공하는 포착 일시의 정보이다(도 3의 단계 S307 참조).
또한, 홈페이지에서 어느 한 대표 영상이 클라이언트 단말기(T1001 내지 T1999 중에서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선택되면(단계 S405 참조), 서버(22)는, 선택된 대표 영상에 상응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클라이언트 단말기(T1001 내지 T1999 중에서 어느 하나)에게 전송한다(단계 S406 참조).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감시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 영상을 포착한 후에 포착 일시의 정보와 함께 상기 정지 영상을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서버는, 상기 정지 영상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이전에 촬영되었던 동영상으로써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으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여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
첫째,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은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고 당사자에 의하여 생성된다. 따라서, 차후에 사고 당사자가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차후에 사고 당사자에 해당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인 경우에도 사고 당사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둘째,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에는 특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사고 당사자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고 당사자는, 차후에 자신의 영상이 들어 있는 대표 영상을 찾음에 따라, 원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사고 일시 및 장소를 정확히 기억하지 않으면 수많은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감시 시스템 뿐만 아니라 별도의 동영상-파일 제공 시스템으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1 : 통상적인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 화면,
C1001 내지 C1999 : 감시 카메라들, 22 : 서버,
24a, 24b : 통신망,
T1001 내지 T1999 : 클라이언트 단말기들,
501 : 대표 영상의 일 예, 501h ; 사람의 영상,
601 : 대표 영상의 다른 예, 601h ; 사람의 영상,
601s : 스마트폰의 영상,
7 : 본 실시예에 의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의 목록 화면,
701i 내지 715i : 대표 영상들,
701n 내지 715n : 파일 이름들.

Claims (6)

  1. 감시 카메라들이 동영상들을 서버에 전송하는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들 각각은,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가 입력되면, 정지 영상을 포착한 후에 포착 일시의 정보와 함께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정지 영상이 수신된 시점을 기준으로 설정 시간 이전에 촬영되었던 동영상으로써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고,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대표 영상으로서 사용자들에게 보여주는,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의 이름은 상기 포착 일시의 정보를 포함한,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홈페이지에서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 각각의 대표 영상과 이름이 배열 및 표시되는, 감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홈페이지에서 어느 한 대표 영상이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의하여 선택되면, 선택된 대표 영상에 상응하는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게 전송되는, 감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는,
    사람의 특정 자세의 영상이 촬영될 때에 발생되는, 감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특정 신호는,
    특정 큐알(QR : Quick Response) 코드의 영상이 촬영될 때에 발생되는, 감시 시스템.
KR1020130107499A 2013-09-06 2013-09-06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 KR102033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499A KR102033053B1 (ko) 2013-09-06 2013-09-06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499A KR102033053B1 (ko) 2013-09-06 2013-09-06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728A Division KR102187203B1 (ko) 2019-10-01 2019-10-01 동영상 및 특정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정지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및 동영상 및 동영상과 관련된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933A true KR20150028933A (ko) 2015-03-17
KR102033053B1 KR102033053B1 (ko) 2019-10-16

Family

ID=5302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499A KR102033053B1 (ko) 2013-09-06 2013-09-06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106A (ko) * 2006-11-15 2008-05-20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실시간 차량 통합 정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2971A (ko) * 2009-05-14 2010-11-24 오재필 내비게이션을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12104A (ko) 2010-07-30 2012-02-09 김종대 녹화 영상물 거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4106A (ko) * 2006-11-15 2008-05-20 카시와야마 토요히테 실시간 차량 통합 정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22971A (ko) * 2009-05-14 2010-11-24 오재필 내비게이션을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12104A (ko) 2010-07-30 2012-02-09 김종대 녹화 영상물 거래 중계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053B1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1086B2 (ja) 映像監視方法、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端末
US8564710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 subject
CN102906810B (zh) 支持视觉受损的个体的扩增的现实全景
US915916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180030393A (ko) 가상 현실 뷰포트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9014606A1 (en) MOBILE TELEPHONE USED AS A BODY-BASED POLAR CAMERA OPERATING ON CELLULAR NETWORK
CN104704816A (zh) 从多个拍摄图像检测事件的设备和方法
CN106791703B (zh) 基于全景视图来监视场景的方法和系统
KR20170086203A (ko) 스포츠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1126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based real-time video display
US83790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service using image data
KR102187203B1 (ko) 동영상 및 특정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정지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및 동영상 및 동영상과 관련된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관리 서버
KR101950355B1 (ko)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
JP4875955B2 (ja) 画像アルバム作成装置及び方法、通信端末、並びに、画像収集装置
KR102225622B1 (ko) 동영상 및 특정 신호의 입력에 따른 정지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는 감시 카메라 및 동영상 및 동영상과 관련된 정지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관리 서버
KR20150028933A (ko) 사용자들에게 사고-관련 동영상 파일들을 제공하는 감시 시스템
JP2010056894A (ja) 映像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20321774A1 (en) Method for assisting the acquisition of media content at a scene
CN110087023B (zh) 视频图像发送装置、信息处理装置、系统、方法及介质
CN107548555A (zh) 影像监视方法和服务器以及影像监视系统
US201501067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or audio data
JP4851395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通信システム
JP201622580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合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52762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501921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