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719A -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719A
KR20150028719A KR20140111262A KR20140111262A KR20150028719A KR 20150028719 A KR20150028719 A KR 20150028719A KR 20140111262 A KR20140111262 A KR 20140111262A KR 20140111262 A KR20140111262 A KR 20140111262A KR 20150028719 A KR20150028719 A KR 2015002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guide portion
guide
helm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941B1 (ko
Inventor
미치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라이 헬멧
Publication of KR2015002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의 측부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저위치화와 면적의 감소를 도모한다.
모자체(A1)의 측부에 실드(1)를 개폐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실드(1)의 완전 폐쇄로부터 완전 개방에 걸치는 회동에 의한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지지 기구(B)가, 모자체(A1)측과 실드(1)측에 걸쳐 배치된 제 1 가이드부(2) 및 제 2 가이드부(3)를 가지고, 제 1 가이드부(2)는, 모자체(A1)측에 설치된 부동 안내부(20)와, 부동 안내부(20)에 걸어 맞춰지는 실드(1)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부(21)를 가지며, 한편, 제 2 가이드부(3)는, 실드(1)측에 설치된 가동 안내부(30)와, 가동 안내부(30)에 걸어 맞춰지는 모자체(A1)측에 설치된 지지 레일부(31)를 가지고 있고, 가이드 레일부(21)는, 모자체(A1)의 측부측, 또한 실드(1)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설정된 실드(1)의 가상 회동 중심(P)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실드(1)의 가상 회동 중심(P)에 의한 회동을 안내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 레일부(31)는, 가상 회동 중심(P)보다 하방에, 또한 실드(1)의 회동에 수반하는 가동 안내부(30)의 이동 범위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SHIELD SUPPORTING STRUCTURE IN 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헬멧의 실드의 지지 구조는, 풀 페이스 헬멧이나 오픈 페이스 헬멧의 전면 개방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실드의 좌우 단부측의 측부를, 모자체의 좌우 양측부에 대해서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지 구조에 있어서는, 주행 중의 풍절음의 저감을 위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실드, 커버 부재의 중합에 의한 두께가 모자체의 측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또한 지지 구조의 최외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표면이 모자체의 측부와 동일 면이 되도록, 모자체의 측부에 마련된 오목부에 수용된다.
상술한 오목부는, 모자체의 측부에 있어서의 지지 구조를 수용하는 부위를 패이게 함과 아울러, 이 모자체의 패임에 대응하도록, 모자체의 내측에 마련된 충격 흡수 라이너의 표면을 패이게 함으로써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이 오목부가 마련된 측부의 두께가, 헬멧에 있어서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되어 있다.
또, 상술한 지지축의 배치 부위인 관자놀이 부근은, 전도(轉倒) 시에 노면 등에 접촉하기 쉬워, 충격을 받는 부위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용하는 오목부는 그 상부에까지 미치지 않으면 안 되는 점과, 지지축을 구성하기 위하여 모자체 자체에도 구멍을 뚫을 필요가 있는 점에서 강도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이 오목부의 두께에 의한 헬멧의 강도의 저하를 막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모자체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보강하는 보강 수단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 수단에 있어서는, 헬멧의 중량 증가나 헬멧의 제조 코스트 증가를 피할 수 없다.
적어도, 헬멧의 측부에 있어서의 오목부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것, 이로써, 보강 수단을 마련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것, 보강 수단을 마련하는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헬멧의 경량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헬멧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는 것, 등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는, 이하의 구성을 적어도 구비하는 것이다.
모자체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실드를 구비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모자체의 측부에 상기 실드를 개폐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실드의 완전 폐쇄로부터 완전 개방에 걸치는 회동에 의한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지지 기구가, 상기 모자체측과 상기 실드측에 걸쳐 배치된 제 1 가이드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모자체측에 설치된 부동 안내부와, 상기 부동 안내부에 걸어 맞춰지는 상기 실드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부를 가지며,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실드측에 설치된 가동 안내부와, 상기 가동 안내부에 걸어 맞춰지는 상기 모자체측에 설치된 지지 레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모자체의 측부측, 또한 상기 실드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설정된 상기 실드의 가상 회동 중심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실드의 상기 가상 회동 중심에 의한 회동을 안내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레일부는, 상기 가상 회동 중심보다 하방에, 또한 상기 실드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가동 안내부의 이동 범위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실드의 지지 구조를 적용한 헬멧의 측면도이며, 실드의 완전 폐쇄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실드의 개폐 방향으로의 회동 도중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실드의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IV)-(IV)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 레일부를, 실드의 가상 회동 중심에 의한 회동을 안내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 레일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드의 회동 동작에 따라 가상 회동 중심을 이동시키도록, 가동 안내부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이드 레일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상 회동 중심의 이동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헬멧은, 착용자의 안면의 턱부를 제외한 부분이 노출되는 전면 개방부, 전면 개구부를 구비한 풀 페이스 헬멧, 착용자의 안면 전체가 노출되는 타입의 오픈 페이스 헬멧이 포함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자체는, 헬멧의 최외층을 구성하는 것이며, 강화 섬유재, 유리 섬유, 카본 섬유 등에, 열경화성 수지재, 에폭시 수지재, 페놀 수지재 등을 함침시킨 강화 섬유 수지재, FRP, CFRP 등 또는, 열가소성 수지재,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이용하여, 풀 페이스 헬멧 형상 및 오픈 페이스 헬멧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드는, 투명 또는 유색 투명, 또한 탄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재,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이용하여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면 개방부측을 전측 방향으로 함과 아울러, 이 전면 개방부와 대면하는 헬멧의 후두부측을 후측 방향으로 한다. 또, 이 전후 방향에 대해서 평면 방향에서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함과 아울러,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해서 연직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의 헬멧(A)의 실드(1)의 지지 구조를 도 1~도 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헬멧은, 풀 페이스 헬멧이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헬멧(A)은, 모자체(A1)와, 이 모자체(A1)의 내측면에 배치된 충격 흡수 라이너(도시하지 않음)와, 이 충격 흡수 라이너의 내측면 및 모자체(A1)의 내측에 배치된 쿠션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모자체(A1)의 외측의 좌우 양측부에 실드(1)가, 모자체(A1)의 전면 개방부(A2)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충격 흡수 라이너는,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는 소재(예를 들면, 발포 스티롤재), 혹은, 이 소재와 동등한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여, 모자체(A1)의 내측면과, 착용자의 두부(頭部)와의 공간을 채우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며, SNELL(스넬기념재단)이나 JIS(일본공업규격)에서 정하는 정수리부, 전두부, 후두부, 측두부의 보호 범위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실드(1)의 지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드(1)는, 모자체(A1)의 측부에 실드(1)를 개폐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이 실드(1)의 완전 폐쇄로부터 완전 개방에 걸치는 회동에 의한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지지 기구(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지 기구(B)는, 실드(1)에 있어서의 좌우의 피지지부(10)를 포함하여 그 전역이, 커버 부재(B1)에 의하여 가려져 있다.
실드(1)는, 지지 기구(B)로 안내되면서, 모자체(A1)의 측부측, 또한 실드(1)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가상 회동 중심(P)을 중심으로 하여, 모자체(A1)의 표면을 따르도록 개폐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피지지부(10)는, 실드(1)의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 피지지부(10)의 상단이 커버 부재(B1)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는 상하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상 회동 중심(P)은, 실드(1)의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실드(100)의 지지 구조에 의한 지지축(101)의 축심(102)과 동일한 위치에 설정되어, 실드(1)가 완전 개방 상태가 될 때에 가상 회동 중심(P)의 위치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가상 회동 중심(P)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실드(1)의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 실드(1)의 전방측의 상단이 모자체(A1)의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실드(1)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 1 가이드부(2)와 제 2 가이드부(3) 상의 부동 안내부(20)와 가동 안내부(30)의 지지 레일부(31)의 접점에 안내된 궤도를 따라, 대략 가상 회동 중심(P)을 중심으로 한 회동을 개시하여, 실드(1)의 상단은 모자체(A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개방하고, 완전 개방의 직전부터 완전 개방 상태에 걸쳐 모자체(A1)에 가까워진 상태에서 회동의 상한에 이른다.
가상 회동 중심(P)은, 모자체(A1)의 측부에 설정되는 가상의 것으로서, 종래와 같이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분에 이르는 베이스 플레이트(103)에 마련된 지지축(101)과 같이 물리적으로 마련된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하여, 이 가상 회동 중심(P)으로부터 지지 기구(B)의 상단 부근까지의 헬멧(A)에 오목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즉, 가상 회동 중심(P)이, 실드(1)의 완전 폐쇄 상태에 있어서 지지축(101)과 동축이 되는 위치에 설정되어, 실드(1)의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 지지축(101)보다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지지 기구(B) 및 피지지부(10), 및 커버 부재(B1)를 수용함과 아울러, 이들이 중합함으로써 두께를 흡수하여, 커버 부재(B1)의 표면과 모자체(A1)의 표면을 동일 면으로 하는 오목부(A3)의 면적을, 종래의 실드(100)의 지지 구조나 커버 부재(104) 등을 수용하는 오목부(105)의 면적에 비해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헬멧(A)의 오목부(A3)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특히, 가상 회동 중심(P) 부근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모자체(A1)의 오목부(A3)에 대응하는 부위를 보강하는, 충격 흡수 라이너의 발포 배율을 높이는, 충격 흡수 라이너를 보강하는 등의 보강 수단을 마련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보강 수단의 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헬멧(A)의 경량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헬멧(A)의 제조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이 가상 회동 중심(P)을 중심으로 하는 실드(1)의 회동을 안내?지지하는 지지 기구(B)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 기구(B)는, 모자체(A1)측과 실드(1)에 걸쳐 배치된 제 1 가이드부(2) 및 제 2 가이드부(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이드부(2)는, 모자체(A1)의 측부에 설치된 부동 안내부(20)와, 실드(1) 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부(21)로 구성되며, 이 가이드 레일부(21)가 부동 안내부(20)에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부동 안내부(20)는, 모자체(A1)의 측부에 장착된 베이스 플레이트(A4)에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축형상의 것이다.
베이스 플레이트(A4)에는, 제 1 가이드부(2)와 제 2 가이드부(3)보다 하방에 실드(1)의 착탈 기구(C)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착탈 기구(C)를 실드(1)의 완전 개방 상태에 있어서 조작함으로써, 실드(1)를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부(21)는, 실드(1)의 개폐 방향의 회동 궤적을 따르는 형상의 원호 형상으로 구멍이 뚫린 긴 구멍 형상의 것이며, 부동 안내부(20)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이 부동 안내부(20)에 지지되면서, 가이드 레일부(21)의 원호를 따르는 실드(1)의 개폐 방향으로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부(2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실드(1)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도 1 참조), 전방측의 단부가 부동 안내부(20)에 접촉함으로써, 실드(1)의 완전 폐쇄 상태 이상의 폐쇄 방향의 회동을 저지하고, 실드(1)가 완전 개방 상태일 때에(도 3 참조), 후방측의 단부가 부동 안내부(20)에 접촉함으로써, 실드(1)의 완전 개방 상태 이상의 개방 방향의 회동을 저지하는 길이이다.
제 2 가이드부(3)는, 실드(1)의 내측면(모자체(A1)와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가동 안내부(30)와, 모자체(A1)의 측부에 설치된 지지 레일부(31)로 구성되며, 가동 안내부(30)가 지지 레일부(31)에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가동 안내부(30)는, 실드(1)에 좌우 방향 내측(모자체(A1)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축 형상의 것이다.
지지 레일부(31)는, 부동 안내부(20)와 가이드 레일부(21)에 의한 실드(1)의 개폐 방향의 회동을 지지하는 형상의 원호 형상으로 마련된 긴 홈부(31A)와, 이 긴 홈부(31A)의 전단에 연속하여 마련된 경사부(31B)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레일부(31)에 가동 안내부(30)가 걸어 맞춰짐으로써, 이 가동 안내부(30)를 지지하면서, 가이드 레일부(21)의 원호를 따르는 실드(1)의 개폐 방향으로의 회동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제 2 가이드부(3)가, 가이드 레일부(21)의 원호를 따르는 실드(1)의 개폐 방향으로의 회동을 지지함으로써, 실드(1)의 개폐 시에 있어서의 회동 시에, 부동 안내부(20)를 축심으로 하는 실드(1)의 회동을 방지하여, 가상 회동 중심(P)을 중심으로 하는 실드(1)의 개폐 방향의 회동을 정상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지지 레일부(3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실드(1)가 완전 폐쇄 상태일 때에(도 1 참조), 긴 홈부(31A)의 후방측의 단부에 가동 안내부(30)가 접촉함으로써, 실드(1)의 완전 폐쇄 상태 이상의 폐쇄 방향의 회동을 저지하고, 실드(1)가 완전 개방 상태일 때에(도 3 참조), 경사부(31B)의 전방측의 단부에 가동 안내부(30)가 접촉함으로써, 실드(1)의 완전 개방 상태 이상의 개방 방향의 회동을 저지하는 길이이다.
긴 홈부(31A)는, 가상 회동 중심(P)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레일부(21) 및 지지 레일부(31)에 의하여, 실드(1)의 개폐 방향의 회동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경사부(31B)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31B)의 하향 경사 방향은, 실드(1)의 개방 방향의 회동 도중(도 2 참조)으로부터 실드(1)의 완전 개방 상태(도 3 참조)에 이르는 범위에 있어서, 실드(1)의 전방측의 상단이 모자체(A1)의 표면에 근접하는 이동을 따라 가동 안내부(30)를 이동시키는 방향이다.
상술에서는, 가이드 레일부(21)의 전부(전체 길이)가, 가상 회동 중심(P)의 이동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가이드 레일부(21)의 일부를 가상 회동 중심(P)의 이동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 상술에서는, 지지 레일부(31)의 전단측을, 실드(1)의 회동 동작에 따라 가상 회동 중심(P)을 이동시키도록, 가동 안내부(30)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하는 경사부(31B)로서 설정하고 있지만, 경사부(31B)를 구비하지 않고, 지지 레일부(31)의 전부, 즉 전체 길이를 실드(1)의 회동 동작에 따라 가상 회동 중심(P)을 이동시키면서 가동 안내부(30)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설정해도 된다.
또, 상술에서는, 긴 홈부(31A)의 형상을 원호 형상으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이 형상은, 실드(1)의 회동 동작에 따라 가상 회동 중심(P)을 이동시키면서 가동 안내부(30)를 안내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또, 상술에서는, 실드(1)의 개폐 방향의 회동에 있어서, 가상 회동 중심(P)이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실드(1)의 개폐 방향의 회동에 있어서, 가상 회동 중심(P)을 이동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제 1 가이드부(2) 및 제 2 가이드부(3)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실드(100)를 지지하는 지지축(101)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드(1)를 정상적으로 개폐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상의 지지 기구(B)에 의하면, 실드(1)의 회동 중심을 모자체(A1)의 측부에 설정된 가상 회동 중심(P)으로 하여, 이 가상 회동 중심(P)보다 하방에, 실드(1)의 개폐 방향의 회동을 안내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2) 및 제 2 가이드부(3)를 설치했으므로, 헬멧(A)의 측부에 있어서의 오목부(A3)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A4)에 착탈 기구(C)를 배치해도, 종래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103)에 비해서도 작은 베이스 플레이트(A4)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커버 부재(B1)의 면적도 종래의 것에 비해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커버 부재(B1)를 요인으로 하는 주행 중의 풍절음의 저감이 가능함과 아울러, 헬멧(A)의 경량화나 디자인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실드(1)는 기본적으로 부동 안내부(20)와 가동 안내부(30)의 2축으로 지지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회동 중심(P)을 정하여 일정한 원호를 그리도록 가이드 레일부(21)와 지지 레일부(31)를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이에 구애되지 않고, 가이드 레일부(21), 지지 레일부(31)는 자유로운 궤적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회동 중심(P)이 실드(1)의 회동에 따라 항상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또, 직선의 조합의 궤적이 되는 구성으로 해도 실드(1)의 개폐를 지지할 수 있다.
A:헬멧
A1:모자체
B:지지 기구
P:가상 회동 중심
1:실드
2:제 1 가이드부
3:제 2 가이드부
20:부동 안내부
21:가이드 레일부
30:가동 안내부
31:지지 레일부

Claims (4)

  1. 모자체의 전면 개방부를 개폐하는 실드를 구비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모자체의 측부에 상기 실드를 개폐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실드의 완전 폐쇄로부터 완전 개방에 걸치는 회동에 의한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지지 기구가, 상기 모자체측과 상기 실드측에 걸쳐 배치된 제 1 가이드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모자체측에 설치된 부동 안내부와, 상기 부동 안내부에 걸어 맞춰지는 상기 실드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부를 가지며, 한편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실드측에 설치된 가동 안내부와, 상기 가동 안내부에 걸어 맞춰지는 상기 모자체측에 설치된 지지 레일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는, 상기 모자체의 측부측, 또한 상기 실드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설정된 상기 실드의 가상 회동 중심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실드의 상기 가상 회동 중심에 의한 회동을 안내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레일부는, 상기 가상 회동 중심보다 하방에, 또한 상기 실드의 회동에 수반하는 상기 가동 안내부의 이동 범위에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레일부가, 상기 실드의 상기 가상 회동 중심에 의한 회동을 안내할 수 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레일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실드의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가상 회동 중심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가동 안내부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가상 회동 중심의 이동을 안내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KR1020140111262A 2013-08-28 2014-08-26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KR101838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7372 2013-08-28
JP2013177372A JP6173128B2 (ja) 2013-08-28 2013-08-28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719A true KR20150028719A (ko) 2015-03-16
KR101838941B1 KR101838941B1 (ko) 2018-03-15

Family

ID=51383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262A KR101838941B1 (ko) 2013-08-28 2014-08-26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059069A1 (ko)
EP (1) EP2842444B1 (ko)
JP (1) JP6173128B2 (ko)
KR (1) KR101838941B1 (ko)
CN (1) CN104413992B (ko)
HK (1) HK1207802A1 (ko)
PH (1) PH12014000245A1 (ko)
SG (1) SG10201405187UA (ko)
TW (1) TWI635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7532B2 (en) * 2014-10-10 2018-01-30 Charles J. Raiffeisen Body fan assembly
WO2016183652A1 (pt) * 2015-05-19 2016-11-24 Paranhos Torres Maurício Aperfeiçoamentos introduzidos em célula de proteção craniana
USD790759S1 (en) * 2015-06-26 2017-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amp holder attachment for headgear
CN108496016A (zh) * 2016-01-25 2018-09-04 富士通株式会社 铰链和电子设备
JP7168480B2 (ja) * 2019-02-08 2022-11-09 株式会社Shoei バイザーのロック機構及びヘルメット
JP7265935B2 (ja) * 2019-05-31 2023-04-2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
CN112568539B (zh) * 2020-12-11 2023-07-25 江阴市达菲玛汽配科技有限公司 一种下巴护罩与面罩关联转动的头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3985U (ko) * 1978-08-28 1980-03-05
FR2595921A1 (fr) * 1986-03-18 1987-09-25 Gpa Int Casque a ecran integrable dans sa coque
US4748696A (en) * 1986-05-16 1988-06-07 Foehl Artur Safety helmet
JPH026608A (ja) * 1988-06-17 1990-01-10 Honda Motor Co Ltd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装置
JP2668322B2 (ja) * 1993-07-19 1997-10-27 昭栄化工株式会社 乗車用ヘルメット
JP3891623B2 (ja) * 1996-12-17 2007-03-14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取付け機構
US6301721B1 (en) * 1999-03-12 2001-10-16 Michio Arai Shield fixing structure in helmet
EP1163859B1 (en) * 2000-06-12 2005-09-07 Manufacturas Tomás, S.A. A system to attach a transparent visor onto a helmet
JP3875650B2 (ja) * 2002-07-30 2007-01-31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フルフェースヘルメットにおけるマウスシャッタの支持構造
FR2886521B1 (fr) * 2005-06-03 2007-09-07 Cbm Distrib Entpr Unipersonnel Casque de protection a visiere mobile
KR100659171B1 (ko) *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 보호대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4000245A1 (en) 2016-03-07
HK1207802A1 (en) 2016-02-12
JP2015045108A (ja) 2015-03-12
CN104413992A (zh) 2015-03-18
TWI635815B (zh) 2018-09-21
KR101838941B1 (ko) 2018-03-15
SG10201405187UA (en) 2015-03-30
EP2842444B1 (en) 2017-05-17
CN104413992B (zh) 2018-08-07
US20150059069A1 (en) 2015-03-05
EP2842444A2 (en) 2015-03-04
TW201507648A (zh) 2015-03-01
JP6173128B2 (ja) 2017-08-02
EP2842444A3 (en) 201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941B1 (ko) 헬멧에 있어서의 실드의 지지 구조
KR101979209B1 (ko) 헬멧
EP2311336B1 (en) Open face helmet
KR102040534B1 (ko) 헬멧용 실드
JP7184986B2 (ja) ヘルメット
JP2019194373A (ja) ヘルメット
JP3506372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支持構造
KR102582371B1 (ko) 친가드 회동메커니즘
KR102461899B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EP2526801B1 (en) Safety helmet, particularly for motorcycle and/or motor racing, with a device for moving the sun visor
KR20150058047A (ko) 헬멧
KR102433223B1 (ko) 친가드 회동 메커니즘
JP6275055B2 (ja) ヘルメット
JP2015148026A (ja) ヘルメット用のシールド
KR20220124875A (ko) 헬멧용 회동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