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953A -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953A
KR20150027953A KR20130106403A KR20130106403A KR20150027953A KR 20150027953 A KR20150027953 A KR 20150027953A KR 20130106403 A KR20130106403 A KR 20130106403A KR 20130106403 A KR20130106403 A KR 20130106403A KR 20150027953 A KR20150027953 A KR 20150027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raw water
cover member
diaphragm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170B1 (ko
Inventor
신유진
김성진
최인용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17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필터 교체 시 유입되는 원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용이하게 필터 교체를 행할 수 있으며, 누수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내부에 원수공급라인에서 유입된 원수를 수처리하여 정수하는 정수필터가 구비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여 개폐되되 내면측에 가압부가 구비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원수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Description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cover member interworking security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 교체 시 유입되는 원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용이하게 필터 교체를 행할 수 있으며, 누수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장치는 유입된 물을 정화하는 장치로, 공장 등에서 오염된 산업 폐수를 정화하는 장치부터 가정에서 수돗물 등을 정화하는 정수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정수기는 본체의 내부에 각종 불순물이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복수개의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수돗물을 정수하여 공급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정수기는 본체의 일측에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는 유입부가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공급된 원수를 정수하는 복수개의 필터가 설치되어 본체 내부에 고정된 필터 홀더 등에 결합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 본체 일측에는 볼트 등으로 고정된 필터교체 도어가 구비되어, 상기 필터교체 도어를 열고 필터를 교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필터 교체 전에 상기 유입부에 연결된 수도 배관을 잠궈 외부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차단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때, 상기 수도 배관 밸브의 위치는 수도 배관이 설치된 장소에 따라 다르고, 싱크대 밑 등 눈에 잘 띄지 않는 곳에 배치되기 때문에 비전문가의 경우에는 이러한 밸브를 찾는 것이 힘들고, 필터를 교체할 때마다 밸브를 찾아 잠그는 차단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정수기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경우나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사전에 원수 차단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필터를 분리하게 되면 필터로 유입되는 물이 높은 수압으로 인해 사방으로 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사방으로 분출된 물은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하거나 정수기의 내부로 침투하여 각종 전자 부품을 손상을 유발하여 제품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된 안전상의 문제와 번거로움으로 인해 손쉽게 필터 교체를 행하지 못하고 전문적인 담당자 등을 고용하여 필터 교체를 행하고 있어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발생되고 있으며, 필터 교체 시기가 지연되어 오염된 물을 공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7807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 교체 시 유입되는 원수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용이하게 필터 교체를 행할 수 있으며, 누수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원수공급라인에서 유입된 원수를 수처리하여 정수하는 정수필터가 구비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여 개폐되되 내면측에 가압부가 구비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원수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원수차단장치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탄발지지되는 가압개폐수단과, 상기 가압개폐수단의 동작에 따라 내부를 밀폐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압개폐수단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이동되는 가압푸쉬부와, 상기 가압푸쉬부와 연동하여 동작됨에 따라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이동되는 작동핀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작동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푸쉬부의 하면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수차단장치에는 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입유로와 유출구에 연통되는 유출유로를 구획하는 격막이 구비되되, 상기 격막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은 상기 가압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수차단장치의 외측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는 상부바디부와 하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상부바디부와 상기 하부바디부의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고정되도록 외곽 테두리에 상기 격막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날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닫힘방향측으로 경사진 슬라이드면과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압개폐수단의 단부가 가압되도록 가압면이 구비된 가압돌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힌지연결되어 회동 개폐되고, 상기 가압개폐수단의 단부는 상기 가압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원수차단장치는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에 따라 가압이동되는 상기 가압개폐수단과 연동되어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필터 교체시 원수 누출로 인한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내부 부품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원수차단장치는 별도의 감지센서와 제어회로가 없이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시 수반되는 가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가압개폐수단을 기구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회로 오류로 인한 오작동 없이 신뢰성 있게 구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에서 원수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에서 원수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에서 원수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100)는 케이스부(10), 커버부재(20), 그리고 원수차단장치(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부(10)는 상기 수처리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에 수처리를 위한 기재들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에는 원수공급라인(1), 정수필터(150), 그리고 취수밸브(190) 등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원수공급라인(1)은 외부의 수도배관 등으로부터 공급된 원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10)의 외부로 연통된다. 이때, 상기 원수공급라인(1)에는 상기 원수차단장치(40)가 연결되되,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 상태에 따라 상기 원수공급라인(1)을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필터(150)는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되되, 유입된 원수를 수처리하도록 복수개가 순차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수처리라는 말은 원수에 포함된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을 제거하고 인체에 이로운 물질들을 첨가하는 과정을 말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수필터(150)는 원수 속에 포함된 찌꺼기를 제거하는 전처리필터(151), 유기화학물질이나 거북한 냄새, 맛을 제거하고 미네랄을 공급하는 활성탄 복합필터(152), 미세입자나 세균을 제거하는 나노포지티브필터(153)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수필터(150)에 의해 수처리된 원수는 취수밸브(190)로 유동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부(10)의 일측에는 상기 장착공간과 연통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사용자는 커버부재(20)를 개방하여 상기 장착공간에 구비된 상기 정수필터(150)를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에는 상기 커버부재(20)가 안착되는 안착면(11)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면(11)의 일측에는 커버감지홀(1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개구부(12)를 커버하여 개폐되되, 내면측에 가압부(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21)는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개구부(12)를 커버할 때 상기 커버감지홀(11a)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감지홀(11a)의 내측에는 상기 원수차단장치(40)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상기 커버부재(20)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압부(21)에 의해 가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원수공급라인(1)을 개폐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상기 가압부(21)의 가압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원수공급라인(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탄발지지되는 가압개폐수단(30)과,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동작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내부를 밀폐하는 다이어프램(4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는 상기 커버감지홀(11a)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이 상기 가압부(21)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푸쉬부(32)와 상기 가압푸쉬부(32)에 의해 연동되어 원수공급라인(1)을 개폐하는 작동핀(440)으로 각각 분리된 구성을 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은 일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이 일체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다이어프램(450)은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외주를 따라 밀착하여 실링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개구부(12)를 커버하는 닫힘 상태이면 상기 가압부(21)는 상기 커버감지홀(11a)로 노출된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가압 이동에 따라 원수공급라인(1)을 개방하고, 원수(w)는 상기 정수필터(150)로 유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개구부(12)를 개방하는 열림 상태이면 상기 가압부(21)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에서 이격되고,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은 탄성력에 의해 복원 이동되며 원수공급라인(1)을 차단한다.
이처럼, 상기 커버부재(20)가 상기 개구부(12)에서 분리되면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상기 원수공급라인(1)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연동되므로 상기 정수필터(150) 교체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원수(w) 누출을 방지할 수 있어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내부 부품의 침수를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상기 원수공급라인(1)이 첫번째 정수필터(151)로 연결되는 부분과 외부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된 부분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필터 수에 관계없이 원수 유입을 차단하므로 기존의 제품의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수차단장치(40)에는 원수(w)가 유입되도록 외부의 원수공급원에 연결되는 유입구(411) 및 상기 정수필터(150)로 원수(w)를 공급하도록 상기 원수공급라인(1)에 연결되는 유출구(4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411)는 유입유로(410a)와 연통되고, 상기 유출구(424)는 상기 유출유로(422)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입유로(410a) 및 상기 유출유로(422)는 격막(420a)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상기 격막(420a)에는 연통홀(4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421)은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이 가압되어 이동되면 상기 가압개폐수단(30)에 구비된 실링부재(44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원수차단장치(40)는 별도의 감지센서와 제어회로가 없이 상기 커버부재(20)의 개폐시 수반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이 기구적으로 승강되어 상기 연통홀(421)을 개폐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회로 오류로 인한 오작동 없이 신뢰성 있게 구동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실링부재(443)의 상면이 상기 연통홀(421)의 하면에 밀착하여 상기 연통홀(421)을 밀폐하는 구조를 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은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일측이 가압되어 상하이동됨에 따라 타측에 구비된 실링부재가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은 가압푸쉬부(32)와 작동핀(4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압푸쉬부(43)의 단부(31)는 상기 커버감지홀(11a)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21)의 가압에 의해 가압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핀(440)은 상기 가압푸쉬부(32)와 연동하여 동작됨에 따라 상기 원수공급라인(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탄성부재(415)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450)은 상기 가압푸쉬부(32)와 상기 작동핀(44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압푸쉬부(32)에 가해진 가압력을 상기 작동핀(440)으로 전달하고, 상기 탄성부재(415)에 의해 상기 작동핀(440)으로 가해진 복원력을 상기 가압푸쉬부(32)로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어프램(450)은 유연하게 변형되되, 상기 원수차단장치(40) 내에서 유동되는 원수(w)를 실링할 수 있도록 탄성적이고 밀폐력 있는 고무나 실리콘 등의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어프램(450)은 중심측이 상기 작동핀(440)의 상단을 커버하여 상기 작동핀(440)의 승강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외곽 테두리에 절곡 형성된 날개부(450b)는 원수차단장치 케이스 사이에 클램핑되어 내부를 밀폐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원수차단장치 케이스는 하부바디부(410), 중간바디부(420), 그리고 상부바디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바디부(410)는 원통형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원통형 몸체의 내측에는 상측이 개방된 중공으로 상기 유입유로(410a)가 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면 일측에는 상기 유입입로(410a)와 연통되는 상기 유입구(4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의 하면 타측에는 관통홀(414)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414)의 테두리에는 상측으로 지지관부(417)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414)에 삽입되는 상기 유출구(424)의 외주에는 밀폐오링(418)이 구비되어, 상기 유출구(424)의 외주와 상기 지지관부(417) 내주 사이를 실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몸체 내부의 중심측에는 상기 유입유로(410a)를 구획하여 상기 작동핀(440)이 배치되는 지지공간(416)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공간(416) 하측에는 탄성부재(415)의 하단이 지지되어 상기 작동핀(440)을 탄발지지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공간(416)은 원형격벽(413)으로 구획되어 상기 유입유로(410a)에 유입된 원수(w)가 상기 지지공간(416)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부재(415)의 부식을 예방하며, 상기 원수(w)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는 다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상측 및 하측 단차결합부(412a,412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간바디부(420)는 상기 유입유로(410a)의 상측을 커버하여 구획하는 격막(420a)과 상기 격막(420a)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유출구(4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중간바디부(420)는 상기 유출구(424)가 상기 관통홀(414)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바디부(41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격막(420a)의 중심측에는 연통홀(421)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421)의 테두리에는 상기 유출구(424)와 연통되는 유출유로(42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411)로 유입된 원수(w)는 상기 유입유로(410a)로 유동되되, 상기 연통홀(421)을 통과하여 상기 유출유로(422)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유출구(424)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421)에는 상기 작동핀(440)이 배치되며, 상기 작동핀(440)은 승강됨에 따라 상기 연통홀(421)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작동핀(440)은 외주면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지지안착면(442)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안착면(442)의 상측에는 실링부재(443)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안착면(442)의 하측에는 탄성부재(415)의 상단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핀(440)은 탄성부재(415)의 탄발력으로 상승되면 상기 실링부재(443)가 상기 연통홀(421)의 하측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연통홀(421)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중심측은 상기 작동핀(440)의 상측을 커버하여 실링하되,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외곽 테두리에 형성된 상기 날개부(450b)는 상기 격막(420a)의 테두리부(423)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450)은 상기 상부바디부(430)와 상기 하부바디부(410)의 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상부바디부(430)와 상기 하부바디부(4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450)은 상기 격막(420a)의 테두리부(423)를 감싼 상태로 상기 상부바디부(430) 및 상기 하부바디부(410)에 의해 클램핑되어 상기 중간바디부(420)를 가압 고정하며, 상기 날개부(450b)는 상기 격막(420a)의 테두리를 실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바디부(410)의 하측 단차결합부(412b)에는 상기 격막(420a)의 테두리부(423)를 감싼 상기 날개부(450b)가 배치되며, 상기 상부바디부(430)는 상측 단차결합부(412a)에 배치되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날개부(450b)를 클램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다이어프램(450)은 하나의 부품으로, 중심측은 상기 격막(420a)의 상측을 실링하되, 날개부(450b)는 상기 격막(420a)의 테두리부(423)를 감싸며, 상기 상부바디부(430) 및 상기 하부바디부(410) 사이에 클램핑되어 상기 원수차단장치 케이스의 결합부분을 실링하므로, 부품 수를 절감하여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스 조립시 상하에서 가압되어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효율적인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바디부(430)의 내측에는 상기 가압푸쉬부(32)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부(430)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푸쉬부(32)의 단부(31)가 노출되는 가압홀(431)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홀(431)은 상기 커버감지홀(11a)과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가압푸쉬부(32)의 단부(31)는 상기 가압홀(431) 및 상기 커버감지홀(11a)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바디부(430)의 내측에는 상기 가압푸쉬부(32)가 배치되어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유동공간(4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압푸쉬부(32)는 상면에 돌기가 돌설된 중공형 몸체로 구비되되,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단 테두리에서 외곽으로 연장된 하면부는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상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중심측에는 상기 작동핀의 상단부(44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용부(450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몸체의 내측에는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수용부(450a)가 삽입되는 끼움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작동핀(440)은 상기 수용부(450a)에 삽입되고, 상기 수용부(450a)가 상기 끼움부(33)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되어 상기 가압푸쉬부(32) 및 상기 작동핀(440)은 일체로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푸쉬부(32)의 가압 이동으로 상기 작동핀(440)이 연동되어 승강될 때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되어 상기 작동핀(44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상기 연통홀(421)의 차단과 개방이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바디부(430)의 테두리 내측에는 하측으로 돌설된 지지돌기(43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433)는 상기 다이어프램(450)이 상기 작동핀(440)의 승강으로 탄성 변형될 때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날개부(450b)의 내측 절곡부를 상기 중간바디부(420)의 상면으로 밀착시켜 지지하므로 상기 연통홀(421)을 통과한 원수(w)가 누출되고 않고 상기 유출구(424)로 유동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다이어프램(450)의 날개부(450b)는 상기 하부바디부(410) 및 상기 중간바디부(420)의 결합 테두리를 견고하게 실링할 수 있으며, 수용부(450a)는 상기 작동핀(440) 및 상기 가압푸쉬부(32) 사이에 개재되되, 가압 이동 및 탄성 이동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하여 변형되며 상기 연통홀(421) 상측을 커버하여 실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이 상기 커버부재(20)에 의해 가압이동되어 상기 원수차단장치(40)를 개폐하는 구동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0)는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21)는 가압돌출부로 구비되며, 상기 가압돌출부에는 상기 커버부재(20)의 닫힘방향측(A)으로 경사진 슬라이드면(21a)과 상기 슬라이드면(21a)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가 안착되어 가압되도록 가압면(21b)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는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어 상기 가압면에 안착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2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20)를 닫힘방향측(A)으로 슬라이드하여 닫을 때 상기 가압돌출부의 슬라이드면(21a)이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상기 커버부재(20)를 닫힘방향측(A)으로 이동시켜면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는 상기 슬라이드면(21a)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커버부재(20)를 완전히 닫게 되면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는 상기 가압면(21b)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개폐수단(30)는 하측으로 가압 이동되어 상기 연통홀(421)을 개방하여 상기 원수차단장치(40)의 유입구(411)에서 유출구(424)로 원수(w)가 유동될 수 있다.
반면,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열림방향측(B)으로 슬라이드하여 개방하면 상기 가압면(21b)은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에서 이탈하여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은 탄성부재(415)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통홀(421)을 차단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에서 원수차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20)가 상기 개구부(212)의 테두리에 힌지연결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 내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220)는 상기 개구부(212)의 테두리에 힌지연결되어 회동 개폐되고, 상기 가압부(221)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재(220)는 전방측이 상기 개구부(212)의 전방측 테두리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커버부재(220)의 후방측이 상기 개구부(212)의 후방측 테두리에서 이격되도록 회동되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221)는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개폐에 따라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돌출된 단부(31)를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가압부(221)는 상기 커버부재(220)의 내면측에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별도의 돌출 형태 없이도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220)는 상기 개구부(212)를 커버하도록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의 단부(31)를 가압하게 되며,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이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연통홀(421)은 개방되어 원수(w)가 유동될 수 있다.
반면,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재(220)가 상기 개구부(212)에서 이격되면, 상기 가압개폐수단(30)은 탄발지지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통홀(421)은 차단된다.
이에 따라, 필터 교체나 내부 부품 수리 등을 위해 상기 커버부재(220)를 개방할 때 수도배관 등의 원수공급원을 차단하는 별도의 사전 작업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원수차단장치(4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원수(w)가 차단되므로 원수 누출로 인한 누전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내부 부품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1: 원수공급라인
w: 원수 150: 정수필터
190: 취수밸브 10,210: 케이스부
11: 안착면 11a: 커버감지홀
12,212: 개구부 20,220: 커버부재
21,221: 가압부 30: 가압개폐수단
32: 가압푸쉬부 40: 원수차단장치
410: 하부바디부 410a: 유입유로
411: 유출구 412a: 상측 단차결합부
412b: 하측 단차결합부 420: 중간바디부
420a: 격막 421: 연통홀
422: 유출유로 424: 유출구
430: 상부바디부 431: 가압홀
440: 작동핀 450: 다이어프램
450a: 수용부 450b: 날개부

Claims (8)

  1. 내부에 원수공급라인에서 유입된 원수를 수처리하여 정수하는 정수필터가 구비되되,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케이스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여 개폐되되 내면측에 가압부가 구비된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원수차단장치를 포함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차단장치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탄발지지되는 가압개폐수단과,
    상기 가압개폐수단의 동작에 따라 내부를 밀폐하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개폐수단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이동되는 가압푸쉬부와,
    상기 가압푸쉬부와 연동하여 동작됨에 따라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이동되는 작동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작동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푸쉬부의 하면부는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면에 형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차단장치에는 유입구에 연통되는 유입유로와 유출구에 연통되는 유출유로를 구획하는 격막이 구비되되,
    상기 격막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은 상기 가압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차단장치의 외측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는 상부바디부와 하부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은 상기 상부바디부와 상기 하부바디부의 사이에서 클램핑되어 고정되도록 외곽 테두리에 상기 격막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날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폐되고,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닫힘방향측으로 경사진 슬라이드면과 상기 슬라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압개폐수단의 단부가 가압되도록 가압면이 구비된 가압돌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힌지연결되어 회동 개폐되고,
    상기 가압개폐수단의 단부는 상기 가압부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KR1020130106403A 2013-09-05 2013-09-05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KR10218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403A KR102189170B1 (ko) 2013-09-05 2013-09-05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403A KR102189170B1 (ko) 2013-09-05 2013-09-05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53A true KR20150027953A (ko) 2015-03-13
KR102189170B1 KR102189170B1 (ko) 2020-12-09

Family

ID=5302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403A KR102189170B1 (ko) 2013-09-05 2013-09-05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17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84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피코그램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60037713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피코그램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135265A (ko) * 2017-06-12 2018-12-20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90018961A (ko) * 2017-08-16 2019-02-2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200141268A (ko) * 2019-06-10 2020-12-18 주식회사 엔비엘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349275B1 (ko) * 2021-02-25 2022-01-10 주식회사 에이치앤엔코퍼레이션 정수기용 친환경 정수 필터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078B1 (ko) 1998-06-20 2001-01-15 서정주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3687734B2 (ja) * 2000-08-25 2005-08-24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手動並びに電磁式給水弁装置
KR200439241Y1 (ko) * 2007-02-02 2008-03-2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078B1 (ko) 1998-06-20 2001-01-15 서정주 정수기의 필터교환시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JP3687734B2 (ja) * 2000-08-25 2005-08-24 テクノエクセル株式会社 手動並びに電磁式給水弁装置
KR200439241Y1 (ko) * 2007-02-02 2008-03-28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184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피코그램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60037713A (ko) * 2014-09-29 2016-04-06 주식회사 피코그램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80135265A (ko) * 2017-06-12 2018-12-20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230073158A (ko) * 2017-06-12 2023-05-25 코웨이 주식회사 필터장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KR20190018961A (ko) * 2017-08-16 2019-02-2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KR20200141268A (ko) * 2019-06-10 2020-12-18 주식회사 엔비엘 커버 연동형 개폐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2349275B1 (ko) * 2021-02-25 2022-01-10 주식회사 에이치앤엔코퍼레이션 정수기용 친환경 정수 필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170B1 (ko)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7953A (ko)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KR101668804B1 (ko) 바이패스 기능을 갖는 정수필터용 커넥터
CA2896840C (en) Global backflow prevention assembly
EP2918198B1 (en) Coffee capsule mounting and removal structure
KR101706993B1 (ko) Asv가 내장되는 힌지를 구비하는 정수기
KR101075475B1 (ko) 바이패스 기능을 구비한 정수필터용 커넥터
KR101589625B1 (ko) 마그네틱 밸브를 이용한 직수형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코크
KR101366830B1 (ko) 필터 및 이의 조립체 구조
KR20140033266A (ko) 안전밸브장치
KR100825936B1 (ko) 콕크
PL1561504T3 (pl) Instalacja filtrująca przeznaczona dla cieczy
JP6080089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CN110454580B (zh) 一种可自动排出管内存水的水龙头
JP2013540232A (ja) フィルタデバイス
KR200360771Y1 (ko) 냉.온 정수기 코크
JP5153595B2 (ja) 湯水混合水栓
KR101901659B1 (ko) 관로 보수용 밀폐장치
KR101448049B1 (ko)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KR101719239B1 (ko) 배관 막힘 제거장치
KR200420822Y1 (ko) 콕크
KR101268065B1 (ko) 수처리기의 드레인장치
JP2006112092A (ja) フラッシュバルブの駆動装置
KR200372943Y1 (ko) 냉온수기
KR20170119647A (ko)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용 정수필터
KR20170119646A (ko) 정수필터가 위쪽 방향으로 교체되는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1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417

Effective date: 2020112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