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500A -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500A
KR20150027500A KR20130105929A KR20130105929A KR20150027500A KR 20150027500 A KR20150027500 A KR 20150027500A KR 20130105929 A KR20130105929 A KR 20130105929A KR 20130105929 A KR20130105929 A KR 20130105929A KR 20150027500 A KR20150027500 A KR 2015002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piece
pressing
electrode tab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210B1 (ko
Inventor
김지우
추성춘
김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30105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2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9Work-clamping means for pressing workpieces against a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소재가 용접된 전극탭을 가지는 전지셀이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구비되고, 선단이 상기 지그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로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탭에 용접된 연결소재를 상기 지그부재와 함께 하강시켜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지그장치{Ji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연결소재와 전극탭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셀)는 외장의 종류, 구조 등에 따라 파우치형, 캔형, 각형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셀 어셈블리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젤리-롤형(권취형), 스택형, 스택-폴딩형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61354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우치 케이스(20) 및 전극조립체(30)를 포함한다.
전극조립체(30)는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분리막으로 구성된 단위 셀이 반복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전극판의 표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전극 활물질이 코팅되어 있으며, 인접하는 단위셀 사이에는 각 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분리막이 개재된다.
또한, 전극조립체(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에 제1 전극탭(31)이, 상기 제2 전극판에 제2 전극탭(3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탭(31)(32)에는 보호회로모듈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소재(40)가 각각 용접되어 결합된다(도 2 참조).
여기서 제1 및 제2 전극탭(31)(32)과 연결소재(40)는 용접불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검사를 실시한다.
즉, 제1 및 제2 전극탭(31)(32)과 연결소재(40)의 용접상태 검사방법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제1 및 제2 전극탭(31)(32)의 사이에 긴 막대(50)의 일단을 삽입한 상태로 긴 막대(50)의 타단을 누른다. 이때 연결소재(40)는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그러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긴 막대(50)의 타단이 제2 전극탭(32)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일단이 제1 전극탭(31)의 하면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이때 제1 전극탭(31)과 연결소재(40)의 용접 상태가 정상일 경우 제1 전극탭(31)과 연결소재(40)는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용접 상태가 불량일 경우 전1 전극탭(31)과 연결소재(40)는 분리되면서 용접 불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용접 상태 검사방법은 긴 막대를 사용함에 따라 전극탭에 자국이 발생하거나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더욱이 매번 긴 막대를 누르는 강도의 차이가 달라짐에 따라 품질 보증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6135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강도로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한편, 전극탭의 손상을 방지하고, 용접상태의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지그장치를 포함하며, 이에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간편하게 검사하는 한편, 전극탭의 훼손을 방지하고, 품질을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소재가 용접된 전극탭을 가지는 전지셀이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구비되고, 선단이 상기 지그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로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탭에 용접된 연결소재를 상기 지그부재와 함께 하강시켜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소재의 상측에서 상기 연결소재를 눌러 상기 지그부재와 함께 하강시키는 누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설치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상면에 구비되고 선단이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편은 상기 삽입편의 상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삽입편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편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폭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편의 저면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부재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에는 가이드부를 감싸는 형태로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지그부재의 상호 대응하는 일단에는 상기 지그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누름부재가 회전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그부재의 상면 양 측부에는 상기 전지셀의 양 측부를 각각 탄성 지지하여 고정하는 탄성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그부재의 상면 전단에는 상기 연결소재의 전면이 지지되는 지지편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더욱이 검사시간을 단축하여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전극탭의 훼손을 방지하며, 동일한 강도로 검사하기에 품질 보증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상태 검사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은 지그장치에 이차전지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지그장치의 작동 후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이 정상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지그장치의 작동 후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이 불량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로 연결소재를 하부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전극탭과 연결소재가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면서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이차전지(10)는 종래기술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 케이스(20) 및 전극조립체(30)를 포함하며, 전극조립체(30)는 제1 및 제2 전극판과, 제1 및 제2 전극판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전극판에는 제1 전극탭(31)이, 제2 전극판에는 제2 전극탭(32)이 구비되고, 제1 및 제2 전극탭(31)(32)에는 보호회로모듈(미도시)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소재(40)가 각각 용접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이차전지는 종래기술에서 자세히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극탭(31)(32)과 연결소재(40)의 용접상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를 이용하여 검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0), 고정부재(100)의 상부에 고정부재(100)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연결소재(40)가 용접된 전극탭(31)(32)을 가지는 전지셀(10)이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부재(200), 고정부재(100)의 상면에 구비되고 선단이 지그부재(200)를 관통하여 전극탭(31)(32)의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가압부재(30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1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면 일측에는 고정부재(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0)의 바닥면에는 고정부재(100)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고정홀(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면의 모서리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2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지셀(10)이 배치되는 것으로, 고정부재(100)와 유사한 사각판 형태를 가지며, 상면 일측에는 삽입홈(110)과 대응되게 지지부재(200)의 폭방향으로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의 모서리에는 가이드홈(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10)에는 가이드부(220)를 감싸는 형태로 스프링(22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220)를 통해 지지부재(200)는 고정부재(100)를 향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더욱이 지지부재(200)와 고정부재(100) 사이에 스프링(221)를 구비함으로써 지지부재(2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상면 일측단에는 지지부재(200)의 상면에 배치된 전지셀(10)의 전극탭에 용접된 연결소재(40)가 지지되도록 지지편(2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편(230)은 지지부재(200)의 상면 전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즉, 지지편(230)은 연결소재(40)가 지지됨에 따라 전지셀(10)의 상단 위치를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지지편(230)의 높이는 연결소재(40)의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지지편(230)은 연결소재(40)를 지지할 시 걸려서 지지될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편(230)은 지지부재(200)에 상면 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지지편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이차전지의 길이가 클 경우, 누름부에 지지되도록 연결소재의 위치 변경이 더 필요할 경우 및 가압부재가 전극탭의 저면에 위치하지 않아 전극탭의 위치 변경이 더 필요할 경우 지지편(230)을 제거하거나 작은 크기의 지지편으로 교환 설치하여 이차전지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를 더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200)의 상면 양측부에는 지지부재(200)에 배치된 전지셀(10)의 양측면를 각각 지지하는 지그편(24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지그편(240)은 지지부재(200)의 측부에 구비되는 고정부(241)와, 전지셀(10)의 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지셀(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그부(242)와, 고정부(241)와 지그부(242) 사이에 구비되고 지그부(242)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43)을 포함한다.
이에, 지그편(240)은 지그부재(200)에 배치된 전지셀(10)의 측부를 지지하여 고정하는 한편, 전지셀(10)을 지그부재(200)에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편(230)과 지그편(240)을 통해 동일한 제품의 전지셀(10)이라면 별도의 조정작업 없이도 지지부재의 상면에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가압부재(300)는 도 5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00)의 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삽입편(310)과, 삽입편(3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선단이 지지부재(200)의 관통홀(210)을 통해 전지셀(10)의 전극탭(31)(32) 저면을 각각 지지하는 가압편(320)을 포함한다.
즉, 가압부재(300)는 가압편(320)이 전극탭(31)(32)의 저면을 지지하는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소재(40)를 누르면, 전극탭(31)(32)은 그대로 고정된 상태로 연결소재(40)가 지지부재(200)를 따라 하강하는데, 이때 전극탭(31)(32)과 연결소재(40)의 용접상태가 불량일 경우 전극탭(31)(32)과 연결소재(40)는 분리되고, 용접상태가 정상일 경우 전극탭(31)(32)과 연결소재(40)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가압편(320)은 삽입편(310)의 상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삽입편(310)의 내부에는 가압편(320)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33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편(320)은 삽입편(310)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되, 탄성편(33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전극탭(31)(32)의 저면을 지지하며, 이에 탄성편(330)의 탄성력 보다 낮은 강도가 가압편(320)에 작용할 경우 탄성편(330)에 의해 가압편(320)이 상향된 상태로 전극탭(31)(32)을 지지하는 한편, 탄성편(330)의 탄성력보다 높은 강도가 가압편(320)에 작용할 경우 가압편(320)이 삽입편(310) 내부로 하강하면서 전극탭(31)(32)의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가압부재(300)의 삽입편(310)은 삽입홈(110) 내에서 고정부재(100)의 폭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00)는 삽입편(310)을 삽입홈(11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는 한편, 삽입홈(110)에 삽입된 삽입편(310)은 삽입홈(110)에 대응되는 고정부재(100)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홀(120)을 관통하여 삽입편(310)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340)에 의해 고정된다.
다시 말해, 삽입편(310)의 저면에 결합된 고정볼트(340)의 결합력을 일부 풀 경우 삽입편(310)을 삽입홈(110)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가압편(320)이 전극탭(31)(32) 저면에 지지하도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고정볼트(340)를 완전히 조여서 삽입편(310)에 결합할 경우 삽입편(310)이 삽입홈(110)에 고정되면서 삽입편(31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결합 위치를 가지는 전극탭(31)(32)이 결합된 전지셀(10)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극탭(31)(32)을 각각 가압하도록 두 개의 가압부재(300)를 구비하였으나, 적용되는 장소 및 전지셀에 따라 한 개의 가압부재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탭(31)(32)을 동시에 가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300)를 고정부재(100)에 삽입하여 설치되게 구비하였으나, 적용되는 장소 및 전지셀에 따라 가압부재(300)를 고정부재(100)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연결소재(40)의 상측에서 연결소재(40)를 눌러 지그부재(200)와 함께 하강시키는 누름부재(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누름부재(400)는 도 4를 참조하면, 전지셀(10)이 덮이게 지지부재(200)의 상면에 구비되고, 전단에는 연결소재(40)의 상면에 지지되는 누름부(410)가 구비된다.
즉, 누름부재(400)를 누르면, 누름부(410)가 연결소재(40)를 가압함에 따라 연결소재(40)와 함께 지지부재(200)가 고정부재(100)를 향해 하강하며, 이에 연결소재(40)를 보다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누를 수 있고, 용접 검사 시 외부로부터 전지셀(10)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누름부재(400)와 지그부재(200)의 상호 대응하는 일단에는 지그부재(200)를 중심으로 누름부재(400)가 회전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힌지부는 도 5를 참조하면, 누름부재(400)와 지그부재(200)의 상호 대응하는 일단 중 누름부재(400)의 후단 측면에 힌지돌기(420)가 형성되고, 지그부재(200)의 후단 측면에 힌지돌기(4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홈(231)이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누름부재(400)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지그부재(200)의 상면에 전지셀(10)을 배치한다. 이때 전지셀(10)에 용접된 연결소재(40)는 지지편(230)에 지지되게 위치시키고, 전지셀(10)의 양 측면은 지그편(240)에 각각 지지되게 위치시켜서 전지셀(10)을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전지셀(10)이 덮이게 누름부재(400)를 회전시키며, 이에 누름부재(400)의 누름부(410)는 연결소재(40)의 상면에 지지된다.
한편, 지지부재(200)에 배치된 전지셀(10)의 전극탭(31)(32)의 저면에 고정부재(100)에 삽입된 가압부재(300)가 위치하지 않을 경우 가압부재(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00)의 고정볼트(340)를 일부 풀어서 삽입편(310)의 고정을 해제한 다음, 삽입편(310)을 삽입홈(110) 내에서 이동시켜 가압부(320)가 전극탭(31)(32)의 저면을 지지하게 조절한다. 그런 다음 고정볼트(340)를 완전히 조여서 삽입편(310)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전지셀(10)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400)를 누른다. 그러면 누름부(410)의 가압에 의해 연결소재(40)와 함께 지지부재(200)가 하강하며, 이때 지지부재(200)는 가이드부(220)가 가이드홈(130)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직으로 하강한다.
이때, 연결소재(40)는 하강하지만, 전지셀(10)의 전극탭(31)(32)은 가압부재(300)의 지지에 의해 현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연결소재(40)와 전극탭(31)(32)은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한편, 가압부재(300)의 스프링(330) 탄성력보다 큰 압력이 가압부(320)에 가해질 경우 가압부재(300)의 가압편(320)이 전극탭(31)(32)에 지지된 상태로 하강하여 전극탭(31)(32)의 변형을 방지한다.
여기서, 연결소재(40)와 전극탭(31)(32)의 용접 상태가 정상일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재(40)와 전극탭(31)(32)이 접촉된 상태로 함께 하강하며, 이에 연결소재(40)와 전극탭(31)(32)은 용접 상태가 정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연결소재(40)와 전극탭(31)(32)의 용접 상태가 불량일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재(40)와 전극탭(31)(32)이 분리되면서 연결소재(40)만 하강하게 되며, 이에 연결소재(40)와 전극탭(31)(32)은 용접 상태가 불량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는 전지셀을 배치한 다음,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전지셀(10)의 전극탭(31)(32)과 연결소재(40)의 용접상태를 검사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전극탭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욱이 용접 상태에 대한 품질보증이 이루어져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100: 고정부재
200: 지지부재
300: 가압부재
400: 누름부재

Claims (11)

  1.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로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상기 고정부재를 향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소재가 용접된 전극탭을 가지는 전지셀이 상면에 배치되는 지그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구비되고, 선단이 상기 지그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로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극탭에 용접된 연결소재를 상기 지그부재와 함께 하강시켜 전극탭과 연결소재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재의 상측에서 상기 연결소재를 눌러 상기 지그부재와 함께 하강시키는 누름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설치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상면에 구비되고 선단이 상기 전극탭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편은 상기 삽입편의 상면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삽입편의 내부에는 상기 가압편이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고정부재의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재의 폭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삽입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편은 상기 고정홀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편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면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그부재의 저면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가이드부를 감싸는 형태로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와 상기 지그부재의 상호 대응하는 일단에는 상기 지그부재를 중심으로 상기 누름부재가 회전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재의 상면 양 측부에는 상기 전지셀의 양 측부를 각각 탄성 지지하여 고정하는 지그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부재의 상면 전단에는 상기 연결소재의 전면이 지지되는 지지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KR1020130105929A 2013-09-04 2013-09-04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KR10157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29A KR101571210B1 (ko) 2013-09-04 2013-09-04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929A KR101571210B1 (ko) 2013-09-04 2013-09-04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500A true KR20150027500A (ko) 2015-03-12
KR101571210B1 KR101571210B1 (ko) 2015-11-23

Family

ID=5302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929A KR101571210B1 (ko) 2013-09-04 2013-09-04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21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620A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 장치 및 이러한 배터리 셀 가압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배터리 셀
CN107398632A (zh) * 2017-08-10 2017-11-28 东莞阿李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极耳焊接装置
KR101875489B1 (ko) 2018-03-23 2018-08-02 윤홍익 냉방 시스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551146A (zh) * 2017-09-25 2019-04-02 河北银隆新能源有限公司 一种方形电池盖板与外壳的预焊接夹具
KR102049509B1 (ko) * 2019-02-26 2019-11-27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각형 이차전지의 극판 적층 방법 및 장치
KR102099950B1 (ko) * 2019-01-28 2020-04-10 주식회사 성산암데코 케이스 클램프 장치
CN111354920A (zh) * 2020-03-23 2020-06-30 苏州万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正负极极耳连片压实装置
KR102304208B1 (ko) * 2020-04-02 2021-09-24 주식회사 엠플러스 스톱핑 수단을 이용한 이차전지 패키징 시스템의 파우치 벤딩 가이드 장치 및 파우치 벤딩 방법
CN117564595A (zh) * 2024-01-16 2024-02-20 深圳市汇鼎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堆叠挤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787B1 (ko) 2017-01-11 2020-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레이저 용접용 지그 어셈블리
KR102320112B1 (ko) * 2017-07-26 2021-11-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결합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정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6874A (ja) 2009-11-13 2011-06-02 Panasonic Corp 半導体チップの強度測定方法および半導体チップの強度測定装置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620A (ko) * 2016-01-25 2017-08-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가압 장치 및 이러한 배터리 셀 가압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배터리 셀
CN107398632A (zh) * 2017-08-10 2017-11-28 东莞阿李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极耳焊接装置
CN109551146A (zh) * 2017-09-25 2019-04-02 河北银隆新能源有限公司 一种方形电池盖板与外壳的预焊接夹具
KR101875489B1 (ko) 2018-03-23 2018-08-02 윤홍익 냉방 시스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99950B1 (ko) * 2019-01-28 2020-04-10 주식회사 성산암데코 케이스 클램프 장치
KR102049509B1 (ko) * 2019-02-26 2019-11-27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각형 이차전지의 극판 적층 방법 및 장치
CN111354920A (zh) * 2020-03-23 2020-06-30 苏州万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正负极极耳连片压实装置
CN111354920B (zh) * 2020-03-23 2021-06-01 苏州万祥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正负极极耳连片压实装置
KR102304208B1 (ko) * 2020-04-02 2021-09-24 주식회사 엠플러스 스톱핑 수단을 이용한 이차전지 패키징 시스템의 파우치 벤딩 가이드 장치 및 파우치 벤딩 방법
WO2021201338A1 (ko) * 2020-04-02 2021-10-07 주식회사 엠플러스 스톱핑 수단을 이용한 이차전지 패키징 시스템의 파우치 벤딩 가이드 장치 및 파우치 벤딩 방법
CN117564595A (zh) * 2024-01-16 2024-02-20 深圳市汇鼎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堆叠挤压装置
CN117564595B (zh) * 2024-01-16 2024-04-05 深圳市汇鼎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储能电池堆叠挤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210B1 (ko) 201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210B1 (ko) 이차전지용 지그장치
KR101750597B1 (ko) 레이저 용접장치
US9694449B2 (en) Welding jig for secondary battery
KR101610680B1 (ko) 이차전지의 전극탭 용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극조립체
KR101587322B1 (ko) 전극조립체용 사행보정장치
KR20200017825A (ko) 이차전지 충방전 장치
KR101810659B1 (ko)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전극단자 용접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용접 방법
US20180301765A1 (en) Battery of modular construction having improved safety properties
KR101635253B1 (ko) 전지용 스팟용접기
US10516144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CN110740835A (zh) 包括激光束阻挡台座的激光焊接设备
KR20160128745A (ko) 연료전지 스택 체결장치 및 그 체결방법
KR101790639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 또는 테스트용 이차전지 고정 지그
US20180294465A1 (en) Battery pack
US9461280B2 (en) Battery coupling method and battery coupling device
KR101509206B1 (ko) 그립퍼의 교체가 용이한 전지 충방전용 지그
JP2015065069A (ja) 充放電装置
US1010340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JP2013206689A (ja) 二次電池の拘束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拘束方法
JP2013218966A (ja) 二次電池の拘束装置および二次電池の拘束方法
WO2020218222A1 (ja) 支持プレートおよび電圧検出線モジュール
US20150090048A1 (en) Test jig
KR101750484B1 (ko) 전지셀에 대한 클래드의 용접 상태 검사 장치
KR20150098833A (ko) 용접지그
KR101678810B1 (ko) 용접봉 정렬용 홀을 포함하고 있는 지그를 구비한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