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472A - 절수샤워기 - Google Patents

절수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472A
KR20150026472A KR20130105375A KR20130105375A KR20150026472A KR 20150026472 A KR20150026472 A KR 20150026472A KR 20130105375 A KR20130105375 A KR 20130105375A KR 20130105375 A KR20130105375 A KR 20130105375A KR 20150026472 A KR20150026472 A KR 20150026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nozzle
handle
gap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6052B1 (ko
Inventor
성기종
Original Assignee
성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종 filed Critical 성기종
Priority to KR1020130105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0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는 샤워호스에 결합되는 절수 샤워기에 있어서, 샤워호스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어 통과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통과한 물을 분사하는 헤드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토출구 측에 배치되고,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부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절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절수모듈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과 소정의 갭을 형성하며 밀착하여 결합하는 제2 노즐 및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갭을 통해 유입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절수샤워기{SHOWER APPARATUS FOR SAVING WATER}
본 발명은 절수샤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샤워기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절감시키는 절수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샤워기는 손잡이 후방의 호스연결구에 수도관과 연결된 배수호스가 연결되고 손잡이 전방에는 샤워 헤드가 일체 형성되고, 샤워 헤드에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샤워기는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했다가 분사공을 통해 물을 토출한다.
그러나 종래의 샤워기는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만큼 분사공을 통해 물이 토출되기 때문에, 물을 절약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밸브를 조작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032272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밸브조작이 필요없이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절수샤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샤워호스에 결합되는 절수 샤워기에 있어서, 샤워호스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어 통과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통과한 물을 분사하는 헤드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토출구 측에 배치되고,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부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절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절수모듈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과 소정의 갭을 형성하며 밀착하여 결합하는 제2 노즐 및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갭을 통해 유입시키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수 샤워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이 결합하면서 접촉하게 되는 제1 노즐의 접촉면과 제2 노즐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갭을 형성시키는 갭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의 결합시 상기 갭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제1 노즐과 제2 노즐은 상기 필터의 토출구측에서 상기 헤드부측으로 진행될수록 물이 유동되는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제1 노즐과 제2 노즐의 배치부위 근처에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끝 부분에 구비되어 물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물이 절수모듈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벤츄리효과를 통해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샤워기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여 분사되는 물의 양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샤워기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면서도 내부의 물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는 벤츄리효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이 없이도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샤워기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는 수도관에 형성된 수압에 의해 샤워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 사워기의 I-I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2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의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필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 사워기의 I-I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는 샤워호스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어 통과하는 손잡이부(20), 손잡이부(20)를 통과한 물을 분사하는 헤드부(10)로 구성되고, 손잡이부(20) 내부에는 필터(30)가 설치되고, 필터(30)의 토출구 측에는 샤워호스에서 공급되는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차(일명,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손잡이부(20)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절수모듈(40)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 샤워기는 일반적인 샤워기의 형상으로, 손잡이부(20)의 일측에 물을 분사시키는 헤드부(10)가 형성되고, 타측에 샤워호스와 연결되는 연결부(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샤워호스는 종래의 샤워호스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나사결합을 통해 연결부(22)와 결합할 수 있다.
절수모듈(40)은 입수되는 물의 유동에 따른 압력차, 즉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손잡이부(20)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부(20)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제1 노즐(60)과 제2 노즐(70) 및 손잡이부(20) 측면을 관통(21)하여 설치되는 체크밸브(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노즐(60)과 제2 노즐(70)은 물이 입수되는 부분이 토출되는 부분보다 단면이 작아지도록, 즉 손잡이부(20) 측에서 헤드부(10) 측으로 진행될수록 물이 유동 되는 단면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양끝이 개방된 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노즐(50)과 제2 노즐(60)은 소정의 갭(41)을 형성하면서 상호 밀착 결합하여 압력차에 의한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50)는 손잡이부(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21)에 삽입 설치되는 탄성부재(51)(예를 들면 스프링)와 탄성부재(51) 끝 부분에 구비되어 물이 새어나지 않도록 위한 패킹 부재(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공(21)은 제1 노즐(60)과 제2 노즐(70) 사이에 형성되는 갭(41)의 주변에 배치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하 제1 노즐과 제2 노즐에 대한 좀 더 상세한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제1 노즐(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의 공급구(61a)가 토출구(61b)보다 단면이 작아지도록, 즉 손잡이부(20) 측에서 헤드부(10) 측으로 진행될수록 물이 유동되는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노즐(60)은 제2 노즐(70)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결합부(62a)와, 결합부(62a)와 연결되어 헤드(10)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62b)로 형성된다. 결합부(62a)는 전체적인 형상으로 콘 형태로 형성되고, 연장부(62b)는 제2 노즐(70)을 통과한 물의 토출 방향을 안내한다.
제1 노즐(60)에는 하측에 물이 공급되는 공급구(61a)가 형성되고 상측에 물이 토출되는 토출구(61b)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노즐(70)의 결합 시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64)에 갭돌기(65)를 구비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갭(4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2 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하측 사시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제2 노즐(70)은 제1 노즐(60)과 마찬가지로 물의 공급구(71a)가 토출구(71b)보다 단면이 작아지도록, 즉 손잡이부(20) 측에서 헤드부(10) 측으로 진행될수록 물이 유동되는 단면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2 노즐(70)은 제1 노즐(60)에 밀착 결합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갭(41)이 형성되도록 제1 노즐(60)과의 접촉면(74)에 갭돌기(75)가 형성될 수 있다.
갭(41)은 제1 노즐(60)과 제2 노즐(70) 사이에만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노즐(60)의 하단 접촉면(64)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의 갭돌기(65)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노즐(70)의 측부 접촉면(74)에 복수의 갭돌기(75)가 형성되어 있지만, 제1 노즐이나 제2 노즐 중 어느 노즐의 접촉면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돌기나 홈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손잡이부(20) 측면에 구비된 관통공(2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노즐(60)과 제2 노즐(70) 사이의 갭(41)을 통해 흡입되어, 제1 노즐(60)과 제2 노즐(70) 사이의 공간(42)을 통과하여 샤워기 내부에 혼입되게 된다.
이하 절수모듈(40)을 통해 샤워기의 손잡이(20) 내부로 공기가 혼입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의 동작도이다.
샤워호스를 통해 손잡이(20) 내부로 물이 입수하여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물이 절수모듈(40)에 공급되면, 제 2 노즐(70)을 통과하면서 벤츄리효과로 인해 유동되는 물의 유속 및 압력이 변화된다. 여기서 단면적의 변화에 따른 유속 및 압력의 변화는 벤츄리효과에 관한 것이어서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기술내용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물이 제 2 노즐(70)을 통과하여 제 1 노즐(60)로 유입되면, 제1, 2 노즐(60)(70)의 사이 공간(42)과 외부와의 압력차이로 인해, 외부 공기가 손잡이부(20)에 형성된 관통공(21)을 통해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1 노즐(60), 제2 노즐(70) 사이에 형성된 갭(41)을 통과해서 사이공간(42)으로 흡입된다.
이때, 체크밸브(50)가 동작하면서 손잡이(20) 내부의 물이 관통공(21)을 통해서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한다. 즉, 압력차이로 인해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순간 관통공(21)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51)이 수축되어 패킹부재(52)와 함께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체크밸브(50)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는 흡입하면서도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흡입한 외부 공기는 제1 노즐(60)과 제2 노즐(70)을 통과한 물과 섞여 샤워기의 헤드부(10) 내부에 공급되면서 버블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부(10) 내부로 물과 공기가 함께 유입되면서 물의 양이 줄어들고, 줄어든 물의 양에 비례하여 토출구(11)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도 절감될 뿐만 아니라 절수모듈(40)을 통해 생성된 버블은 필터(3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필터(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는 벤츄리 효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차로 인해 별도의 동력이 없이도 지속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샤워기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샤워기는 수도관에 형성된 수압에 의해 손잡이부(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즉, 수압이 높은 지역에서는 압력차가 크게 발생되어 손잡이부(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지고,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는 압력차가 작게 발생되어 손잡이부(2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지는바,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마이크로 필터(31)를 구비하여 녹슬고 노후화된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각종 찌꺼기나 녹을 제거할 수 있고, 필터(30) 내부를 향균볼(32)이나 염소제거볼(33) 등으로 채워서 항균효과나 염소제과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필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수샤워기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30)는 마이크로 필터(31)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내부를 향균볼(32)이나 염소제거볼(33) 등으로 채워서 목적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헤드부, 11 토출구
20 손잡이부, 21 관통공, 22 연결부
30 필터, 31 마이크로 필터 32 항균볼 33 염소제거볼
40 절수모듈, 41 갭, 42 사이공간
50 체크벨브, 51 탄성부재, 52 패킹부재
60 제1 노즐, 61a 공급구, 61b 토출구, 62a 결합부, 62b 연장부,64 접촉면, 65 갭돌기
70 제2 노즐, 71a 공급구, 71b 토출구, 74 접촉면, 75 갭돌기

Claims (6)

  1. 샤워호스에 결합되는 절수 샤워기에 있어서,
    샤워호스를 통과한 물이 유입되어 통과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를 통과한 물을 분사하는 헤드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토출구 측에 배치되고,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부 내부로 외부 공기를 흡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절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절수모듈은
    상기 손잡이부 내부에 삽입되는 제1 노즐;
    상기 제1 노즐과 소정의 갭을 형성하며 밀착하여 결합하는 제2 노즐; 및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물의 유입에 따른 압력차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상기 갭을 통해 유입시키도록 구성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샤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이 결합하면서 접촉하게 되는 제1 노즐의 접촉면과 제2 노즐의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상기 갭을 형성하기 위한 갭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샤워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과 상기 제2 노즐의 결합시 상기 갭 및 상기 손잡이부 내부를 연통시키는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샤워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과 제2 노즐은 상기 필터의 토출구측에서 상기 헤드부측으로 진행될수록 물이 유동되는 단면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샤워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공 내부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끝 부분에 구비되어 물의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샤워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 샤워기.
KR1020130105375A 2013-09-03 2013-09-03 절수샤워기 KR101536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75A KR101536052B1 (ko) 2013-09-03 2013-09-03 절수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375A KR101536052B1 (ko) 2013-09-03 2013-09-03 절수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72A true KR20150026472A (ko) 2015-03-11
KR101536052B1 KR101536052B1 (ko) 2015-07-13

Family

ID=53022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375A KR101536052B1 (ko) 2013-09-03 2013-09-03 절수샤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705A (ko) * 2018-10-25 2020-05-07 김태형 샤워기 헤드용 필터 카트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280B1 (ko) 2022-04-12 2024-01-10 (주)김군기획 급수량 조절 및 개폐 기능을 가지는 절수 샤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6486A (ko) * 2011-05-12 2012-11-21 시앤케이전자(주) 원활한 토출기능과 필터기능이 구비된 샤워기헤드
JP5285794B1 (ja) 2012-06-08 2013-09-11 株式会社 Mtg シャワーヘッド
KR101298922B1 (ko) * 2013-04-29 2013-08-22 이근원 버블 효과가 극대화된 다기능 샤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705A (ko) * 2018-10-25 2020-05-07 김태형 샤워기 헤드용 필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052B1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0345B1 (ko) 연장살수관이 구비된 공기압을 이용한 절수용 샤워기
EP3334534B1 (en) Fluidic faucet spray face and spray generation method
KR20100113958A (ko) 샤워 헤드
KR101166975B1 (ko) 마이크로 버블 샤워기
KR101581391B1 (ko) 벤츄리 구조를 이용한 샤워기 노즐
US11007543B2 (en) Shower head with inner core
KR101536052B1 (ko) 절수샤워기
CA2664035A1 (en) Nozzle for use with a pressure washer
KR101534934B1 (ko) 자동차의 이중 스프레이 노즐 장치
KR20160072457A (ko) 혼합유체 분사 노즐
JP2012152470A (ja) シャワー吐水装置
CN105377710A (zh) 发泡剂分配器以及带发泡剂分配器的容器
JP6082724B2 (ja) スプレーノズルおよび該スプレーノズルを備えた加湿器
JP4915962B2 (ja) マイクロバブル洗浄ノズル
CN212041049U (zh) 一种厨房花洒
CN211463545U (zh) 出水装置
CN209810450U (zh) 一种同时具有两种出水造型的出水装置
CN113117911A (zh) 一种雾化喷头
KR101307186B1 (ko) 샤워헤드
JP2010220704A (ja) シャワーヘッド
CN207750294U (zh) 一种高压水泵的低损耗吸液喷射系统
KR20140060988A (ko) 절수샤워기
CN214864477U (zh) 一种加湿微雾喷嘴
WO2017107213A1 (zh) 出水单元、喷头以及花洒
CN210681165U (zh) 连接装置、喷洒系统及农用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