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417A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417A
KR20150025417A KR20130103154A KR20130103154A KR20150025417A KR 20150025417 A KR20150025417 A KR 20150025417A KR 20130103154 A KR20130103154 A KR 20130103154A KR 20130103154 A KR20130103154 A KR 20130103154A KR 20150025417 A KR20150025417 A KR 2015002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tack
emitting layer
green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117B1 (ko
Inventor
김신한
김화경
최홍석
한미영
오혜민
김태식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117B1/ko
Priority to CN201410283092.9A priority patent/CN104425736B/zh
Priority to EP14179930.4A priority patent/EP2846372B1/en
Priority to US14/465,299 priority patent/US9786861B2/en
Publication of KR2015002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발광층을 적용하여 발광 효율 및 색 시야각을 향상시키고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하 생성층과, 적어도 3개의 스택(40)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택 중 제 1 스택에는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제 2 스택에는 530 ~ 5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며, 제 3 스택에는 590 ~ 620nm 파장대의 발광층과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백색 유기 발광 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발광층을 적용하여 발광 효율 및 색 시야각을 향상시키고 낮은 소비전력으로 구동 가능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영상 표시 장치는 정보 통신 시대의 핵심 기술로 더 얇고 더 가볍고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고성능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음극선관(CRT)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 장치로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을 제어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는 2개의 전극 사이에 얇은 발광층을 구비하여 발광하는 자발광 소자로서, 종이와 같이 박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는 양극 전극(anode), 정공 주입층(Hole Transport Layer;HTL), 정공 수송층(Hole Injection Layer;HIL), 발광층, 전자 수송층(Electron Injection Layer;EIL), 전자 주입층(Electron Transport Layer;ETL), 음극 전극(cathode)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보다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층 구조(2 스택(stack) 이상)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즉, 스택별로 1개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2-3개의 스택을 구성하여 백색 발광 소자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백색 발광 소자는 백색 파장의 빛을 낼 수 있으나, 각 발광층에서 낼 수 있는 효율의 한계치로 인하여, 패널로 적용 시 휘도 및 소비전력에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다.
또한, 각 스택에 3개의 발광층을 구비하여 백색 스펙트럼을 구현하고 이를 2 스택 또는 3 스택으로 구성하기도 하였으나, 역시 패널로 적용 시 휘도 및 소비전력에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2 스택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2 스택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의 3 스택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과 캐소드 전극(2) 사이에, 제 1 스택(3), 전하 생성층(5) 및 제 2 스택(4)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 1 스택(3)은 정공 수송층(3a) 및 제 1 발광층(3b)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택(4)은 제 2 발광층(4a)과 전자 수송층(4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발광층(3b)는 청색(B) 발광층이고, 제 2 발광층(4a)은 엘로우-그린(Yellow-Green, YG) 발광층이다.
또한,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과 캐소드 전극(2) 사이에, 제 1 스택(3), 전하 생성층(5) 및 제 2 스택(4)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스택(3)은 정공 수송층(3a)과 3개의 발광층(3c)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택(4)은 3개의 발광층(4c)과 전자 수송층(4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3개의 발광층(3c, 4c)는 청색(B), 녹색(G) 및 적색(R) 발광층을 구비한다.
또한,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과 캐소드 전극(2) 사이에, 제 1 스택(3), 제 1 전하 생성층(5), 제 2 스택(4), 제 2 전하생성층(6) 및 제 3 스택(7)이 적층된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스택(3)의 발광층(3c)은 청색 발광층이고, 상기 제 2 스택(4)의 발광층은 녹색 발광층이고, 제 3 스택의 발광층(7b)은 적색 발광층이다.
상기에서 상기 각 전하 생성층은 스택들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을 조절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비슷한 특성을 갖지만, 도 1의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가 도 3의 종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비해 층수가 줄어들고 전체 두께가 줄어들어 구동 전압은 낮지만 상대적으로 2 피크(Peak)를 사용하여 3 피크(Peak)를 커버해야 하므로, 백색 파장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나, 각 발광층에서 낼 수 있는 효율의 한계치로 인하여, 패널로 적용 시 휘도 및 소비전력에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으며, 각 층 및 상응 두께로 인한 광 경로에 의해 색 시야각이 패널 적용 시 한계점이 있었다.
상기 도 2와 같은 종래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1개의 스택 자체에서의 효율이나 수명이 낮으며 스택을 적층한다 해도 색 시야각이 매우 나쁘며 컬러 쉬프트(Color shift)도 많은 소자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발광층을 적용하여 발광 효율 및 색 시야각을 향상시키고 낮은 소비전력의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하 생성층과, 적어도 3개의 스택(40)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택 중 제 1 스택에는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제 2 스택에는 530 ~ 5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며, 제 3 스택에는 590 ~ 620nm 파장대의 발광층과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함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택에는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들중 적어도 2개의 발광층은 서로 다른 스펙스럼(spectrum)을 갖고, 상기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들의 색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황록색(Yellow-Green, YG), 녹황색(Green-Yellow), 주황색(Orange), 보라색(Violet)의 인광/형광 발광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택중 상기 제 1 전극에 가장 인접한 스택의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색온도는 5500K 내지 13000K를 갖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제 1 스택, 제 1 전하 생성층, 제 2 스택, 제 2 전하생성층 및 제 3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택에는 청색 영역의 발광층 1개만 구비되고, 상기 제 2 스택(41)에는 옐로우-그린(Yellow-Green) 영역 발광층 1개만 구비되며, 상기 제 3 스택(42)에는 적색 영역과 청색 영역의 2개의 발광층이 구비됨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스택에는 녹색 영역 발광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색(B) 영역과 녹색(G) 영역 사이의 거리(a)가 녹색(G) 영역과 적색(R) 영역 사이의 거리(b)보다 크거나 같음(b≤a)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옐로우-그린(Yellow-Green) 영역 발광층의 반치폭의 범위는 75nm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다양한 발광층을 적용하므로, 구동 전압을 하강시키고, 패널의 정면 대비 60도에서 측정되는 색 좌표 변화에 대한 수치인 색 시야각이 개선되며, 또한, 여러 가지 동영상을 구동할 때 얻어지는 평균 휘도(패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2 스택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2 스택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3 스택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계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
도 7은 비교 예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그래프
도 8은 비교 예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택의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 발광층의 PL 중심 피크를 -10nm, -20nm, +10nm, +20nm 이동 했을 때의 스팩트럼
도 10은 도 9에 따른 실험 결과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역의 패널 효율을 나타낸 스팩트럼 및 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택의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의 반치폭을 -10nm, -20nm, +10nm, +20nm로 조정 했을 때의 스팩트럼
도 12는 도 11에 따른 실험 결과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역의 패널 효율을 나타낸 스팩트럼 및 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이 높은 스팩트럼을 기준으로 파장 간의 거리를 도시한 그래프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 계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0)과 캐소드 전극(20)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하 생성층(30)과, 적어도 3개의 스택(4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즉, 적어도 3개의 스택 중 제 1 스택에는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제 2 스택에는 530 ~ 5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제 3 스택에는 590 ~ 620nm 파장대의 발광층과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한다.
그리고, 발광층은 4개 내지 14개를 구비하고, 상기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들중 적어도 2개의 발광층은 서로 다른 스펙스럼(spectrum)을 갖고, 상기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들의 색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황록색(Yellow-Green, YG), 녹황색(Green-Yellow), 주황색(Orange), 보라색(Violet)의 인광/형광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10)에 가장 인접한 스택의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색온도는 5500K 내지 13000K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0)과 캐소드 전극(20) 사이에 제 1 스택(40), 제 1 전하 생성층(30), 제 2 스택(41), 제 2 전하생성층(31) 및 제 3 스택(4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10)은 ITO(Indum Tin Oxide; 이하,ITO) 또는 IZO(Indum Zinc Oxide; 이하,IZO)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소드 전극(20)은 반사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반사성 금속 재질로는 알루미늄(Al), 금(Au), 몰리브덴(MO), 크롬(Cr), 구리(Cu), LiF 등으로 형성되거나, 알루미늄과 LiF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CGL)(30)(31)은 스택들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전하 생성층(30, 31) 각각은 아래쪽의 스택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아래쪽 스택으로 전자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는 N 타입 유기층과 윗쪽 스택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윗쪽 스택으로 정공을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는 P 타입 유기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스택(40)에는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택(41)에는 530 ~ 570nm 파장대의 발광층 2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스택(42)에는 590 ~ 620nm 파장대의 발광층과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한다.
즉, 현재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는 수명은 형광 청색에서 구현되나, 형광 청색은 이론적 발광 효율 한계치가 약 13% 정도여서 고성능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구현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 제 1 스택에는 청색 영역 발광층 1개만 구비된다.
상기 제 2 스택(41)에는 옐로우-그린(Yellow-Green) 영역 발광층 1개만 구비된다.
상기 제 3 스택(42)에는 적색 영역 발광층과 청색 영역 발광층 2개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용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구현할 때에는 색 온도가 높을수록 고객들의 선호도가 높다. 따라서, 청색 영역의 발광층 1개를 더 추가하여 색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광학 캐비티(Cavity)는 적색과 청색 영역에서의 캐비티가 두께적으로 이웃하는 경우가 많아 상기와 같이 적색과 청색의 발광층을 인접시키는 것이 소자 구성에 용이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 전극(10)과 캐소드 전극(20) 사이에 제 1 스택(40), 제 1 전하 생성층(30), 제 2 스택(41), 제 2 전하생성층(31) 및 제 3 스택(4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10)은 ITO(Indum Tin Oxide; 이하,ITO) 또는 IZO(Indum Zinc Oxide; 이하,IZO) 등으로 형성되고, 상기 캐소드 전극(20)은 반사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반사성 금속 재질로는 알루미늄(Al), 금(Au), 몰리브덴(MO), 크롬(Cr), 구리(Cu), LiF 등으로 형성되거나, 알루미늄과 LiF 합금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하 생성층(Charge Generation Layer;CGL)(30)(31)은 스택들 사이에 형성되어 각 스택들 간의 전하 균형 조절을 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및 제 2 전하 생성층(30, 31) 각각은 아래쪽의 스택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아래쪽 스택으로 전자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는 N 타입 유기층과 윗쪽 스택과 인접하게 형성되고 윗쪽 스택으로 정공을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는 P 타입 유기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스택(40)에는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스택(41)에는 530 ~ 570nm 파장대의 발광층 2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스택(42)에는 590 ~ 620nm 파장대의 발광층과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한다.
즉, 현재 제품으로 적용될 수 있는 수명은 형광 청색에서 구현되나, 형광 청색은 이론적 발광 효율 한계치가 약 13% 정도여서 고성능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구현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 제 1 스택에는 청색 영역 발광층 1개만 구비된다.
상기 제 2 스택(41)에는 녹색 영역의 발광층 2개를 구비한다. 녹색 영역은 그린(Green)과 옐로우-그린(Yellow-Green)으로 나뉘게 되는데, 각 영역의 발광층 2개를 사용하여 녹색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자 두께에 따른 그린(Green) 효율의 민감성을 옐로우-그린(Yellow-Green) 파장의 발광층을 추가해 줌으로써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 3 스택(42)에는 적색 영역 발광층과 청색 영역 발광층 2개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용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구현할 때에는 색 온도가 높을수록 고객들의 선호도가 높다. 따라서, 청색 영역의 발광층 1개를 더 추가하여 색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광학 캐비티(Cavity)는 적색과 청색 영역에서의 캐비티가 두께적으로 이웃하는 경우가 많아 상기와 같이 적색과 청색의 발광층을 인접시키는 것이 소자 구성에 용이하다.
상기 제 2 스택(41)에 그린(Green) 영역 발광층과 옐로우-그린(Yellow-Green) 영역 발광층 2개를 사용하므로, 상기 제 3 스택에서 적색 영역의 발광층이 청색 영역의 발광층과 함께 사용됨으로써 본래 홀로 쓰이는 경우보다 효율이 낮아질 수 있는데, 상기 옐로우-그린 영역 발광층의 적색 영역 효율을 상승 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있어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스택(40)은 상기 애노드 전극(10)에 인접한 부분에 정공 주입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3 스택(42)은 상기 캐소드 전극(20)에 인접한 부분에 전자 주입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택의 발광층 상하에는 전자 수송층 및 정공 수송층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비교 예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그래프이고, 도 8은 비교 예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표이다.
상기 비교 예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같이, 애노드 전극(10)과 캐소드 전극(20) 사이에 제 1 스택(40), 제 1 전하 생성층(30), 제 2 스택(41), 제 2 전하생성층(31) 및 제 3 스택(42)을 구비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 1 스택(40)에는 청색 영역 발광층 1개만 구비되고, 상기 제 2 스택(41)에는 옐로우-그린(Yellow-Green) 영역의 발광층 1개를 구성하고, 상기 제 3 스택(42)에는 적색 영역의 발광층 1개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패널에 적용했을 경우, 비교 예에 비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구동 전압(Voled, 패널에 백색 구동 시 인가되는 전압)이 하강한다.
또한, 비교 예에 비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색 시야각(패널의 정면 대비 60도에서 측정되는 색 좌표 변화에 대한 수치)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 예에 비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패널 효율(여러 가지 동영상을 구동할 때 얻어지는 평균 휘도에 대한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패널에 적용하였을 경우, 단위 화소의 구조는 R, G, B, W로 구성되는 4개의 서브-픽셀(Sub-pixel)로 구성될 수도 있고, R, G, B로 구성되는 3개의 서브-픽셀(Sub-pixel)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은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3 스택 3피크 (3 stack 3 peak)구조에서, 일반적인 제 2 스택의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 발광층의 PL(Photoluminescence) 파장의 중심 피크는 556nm이고 반치폭(FWHM: full width at half maximum; 파장의 전체 높이에서 중간 지점의 폭)은 88nm이다. 이러한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 발광층의 PL의 중심 피크를 이동하거나 반치폭을 조정하면 패널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택의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 발광층의 PL 중심 피크를 -10nm, -20nm, +10nm, +20nm 이동 했을 때의 스팩트럼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실험 결과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역의 패널 효율을 나타낸 스팩트럼 및 표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 발광층의 PL 중심 피크를 단파장 쪽(-10nm, -20nm)으로 이동하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색(R) 영역이 부족하여 기준을 만족하기 어렵고, 반대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 발광층의 PL 중심 피크를 장파장 쪽(+10nm, +20nm)으로 이동시키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녹색(G) 영역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준을 만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 발광층의 PL 중심 피크는 540 ~ 570nm으로 지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스택의 인광 옐로우-그린(Yellow-Green)의 반치폭을 -10nm, -20nm, +10nm, +20nm로 조정 했을 때의 스팩트럼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실험 결과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영역의 패널 효율을 나타낸 스팩트럼 및 표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치폭을 조정한 경우,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치폭을 늘려 갈수록 좋을 결과를 얻었다. 즉, 기준 이하의 반치폭을 가진 PL에서의 결과는 전체적인 효율 감소로 인해 목표를 만족시키기 힘든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반치폭의 범위를 75nm이상으로 지정함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효율이 높은 스팩트럼을 기준으로 파장 간의 거리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색(B) 영역과 녹색(G) 영역 사이의 거리(a)가 녹색(G) 영역과 적색(R) 영역 사이의 거리(b)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b≤a) 전체적인 효율이 최적화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애노드 전극 20: 캐소드 전극
30, 31: 전하 생성층 40: 제 1 스택
41: 제 2 스택 42: 제 3 스택

Claims (8)

  1.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적어도 2개의 전하 생성층과, 적어도 3개의 스택(40)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택 중 제 1 스택에는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제 2 스택에는 530 ~ 5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하며, 제 3 스택에는 590 ~ 620nm 파장대의 발광층과 440 ~ 470nm 파장대의 발광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택에는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들중 적어도 2개의 발광층은 서로 다른 스펙스럼(spectrum)을 갖고, 상기 4개 내지 14개의 발광층들의 색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황록색(Yellow-Green, YG), 녹황색(Green-Yellow), 주황색(Orange), 보라색(Violet)의 인광/형광 발광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3개의 스택중 상기 제 1 전극에 가장 인접한 스택의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색온도는 5500K 내지 13000K를 갖음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5.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제 1 스택, 제 1 전하 생성층, 제 2 스택, 제 2 전하생성층 및 제 3 스택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스택에는 청색 영역의 발광층 1개만 구비되고, 상기 제 2 스택(41)에는 옐로우-그린(Yellow-Green) 영역 발광층 1개만 구비되며, 상기 제 3 스택(42)에는 적색 영역과 청색 영역의 2개의 발광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택에는 녹색 영역 발광층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B) 영역과 녹색(G) 영역 사이의 거리(a)가 녹색(G) 영역과 적색(R) 영역 사이의 거리(b)보다 크거나 같음(b≤a)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옐로우-그린(Yellow-Green) 영역 발광층의 반치폭의 범위는 75nm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130103154A 2013-08-29 2013-08-2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81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54A KR102081117B1 (ko) 2013-08-29 2013-08-2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CN201410283092.9A CN104425736B (zh) 2013-08-29 2014-06-23 白色有机发光装置
EP14179930.4A EP2846372B1 (en) 2013-08-29 2014-08-05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14/465,299 US9786861B2 (en) 2013-08-29 2014-08-21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54A KR102081117B1 (ko) 2013-08-29 2013-08-2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417A true KR20150025417A (ko) 2015-03-10
KR102081117B1 KR102081117B1 (ko) 2020-02-25

Family

ID=5082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154A KR102081117B1 (ko) 2013-08-29 2013-08-2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86861B2 (ko)
EP (1) EP2846372B1 (ko)
KR (1) KR102081117B1 (ko)
CN (1) CN10442573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0468B2 (en) 2016-09-27 2018-07-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90048843A (ko) * 2017-10-31 2019-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50362B1 (en) 2014-05-26 2021-03-24 LG Display Co., Ltd.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224743B1 (ko) 2014-10-21 2021-03-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신이 가능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859529B2 (en) * 2014-11-13 2018-01-0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6022014B2 (ja) * 2015-03-02 2016-11-09 Lumiotec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照明装置
KR102377466B1 (ko) * 2015-10-29 2022-03-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531775A (zh) * 2016-12-30 2017-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基板及其显示装置与制备方法
CN109103214B (zh) 2017-06-20 2020-11-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3287369A (zh) * 2019-01-15 2021-08-20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显示设备、显示设备的制造方法以及电子仪器
US10826010B1 (en) 2019-06-20 2020-11-03 Sharp Kabushiki Kaisha High-efficiency QLED structures
US10930888B2 (en) 2019-07-22 2021-02-23 Sharp Kabushiki Kaisha High-efficiency QLED structures
US11316135B2 (en) 2019-07-22 2022-04-26 Sharp Kabushiki Kaisha High-efficiency QLED structures
CN115295596B (zh) * 2022-08-19 2023-05-09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531A (ko) * 2008-09-16 2011-06-30 글로벌 오엘이디 테크놀러지 엘엘씨 높은 색 온도의 탠덤 백색 oled
JP2012227118A (ja) * 2011-04-04 2012-11-15 Rohm Co Ltd 有機el装置
KR20130073808A (ko) * 2011-12-23 201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30883A2 (en) * 2005-06-01 2006-12-0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Fluorescent filtered electrophosphorescence
US7579773B2 (en) * 2006-06-05 2009-08-2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ith a phosphor-sensitized fluorescent emission layer
KR101316752B1 (ko) * 2007-05-31 2013-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발광소자
US8603642B2 (en) * 2009-05-13 2013-12-10 Global Oled Technology Llc Internal connector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JP5624932B2 (ja) * 2011-04-14 2014-1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発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光源装置
US10079349B2 (en) * 2011-05-27 2018-09-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KR101429924B1 (ko) * 2011-12-08 2014-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탠덤형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1535824B1 (ko) * 2011-12-16 2015-07-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081605B1 (ko) * 2013-07-31 2020-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전계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531A (ko) * 2008-09-16 2011-06-30 글로벌 오엘이디 테크놀러지 엘엘씨 높은 색 온도의 탠덤 백색 oled
JP2012227118A (ja) * 2011-04-04 2012-11-15 Rohm Co Ltd 有機el装置
KR20130073808A (ko) * 2011-12-23 2013-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0468B2 (en) 2016-09-27 2018-07-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90048843A (ko) * 2017-10-31 2019-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6372A1 (en) 2015-03-11
CN104425736B (zh) 2017-07-14
KR102081117B1 (ko) 2020-02-25
US20150060812A1 (en) 2015-03-05
CN104425736A (zh) 2015-03-18
US9786861B2 (en) 2017-10-10
EP2846372B1 (en)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11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277563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US983129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41781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130426B1 (ko) 신규한 oled 디스플레이 구축
JP5687883B2 (ja) 有機発光装置
US101579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3687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including multiple hole injection layers
KR20120077301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59601B1 (ko) 유기 발광 장치
WO2014185032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20170092898A1 (en) Light emitting element
US892798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WO2013179668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KR10181642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80166644A1 (en) Tandem typ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0893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077016A (ko) 백색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076255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CN112820762B (zh) Oled显示器
KR101808550B1 (ko) 조명용 백색 oled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hu* et al. 18.5: Efficient tandem white OLED devices for medical display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