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895A - Horizontal blind - Google Patents

Horizontal bli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895A
KR20150024895A KR20157001365A KR20157001365A KR20150024895A KR 20150024895 A KR20150024895 A KR 20150024895A KR 20157001365 A KR20157001365 A KR 20157001365A KR 20157001365 A KR20157001365 A KR 20157001365A KR 20150024895 A KR20150024895 A KR 2015002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edge portion
slats
lifting
co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13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88185B1 (en
Inventor
카즈토 야마기시
타다시 오카무라
요시유키 하다노
Original Assignee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872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02489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치카와 블라인드 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2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8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4Details of 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tapes and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7Details of tilting bars and thei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 E06B9/30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with coaxial tilting bar and raising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횡형 블라인드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2)에 다수단의 슬랫 (3, 4)을 지지하고, 복수개의 승강 코드(11~13)를 슬랫 (3, 4)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하시키고,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래더 코드(2)를 통하여 슬랫 (3, 4)을 회동 조작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승강 코드(11~13)를 승강시켜 슬랫 (3, 4)을 승강 조작 가능하게 한다. 승강 코드 (11, 13)를 래더 코드(2)의 횡사 (6a, 6b) 사이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코드 (11, 13)와 인접되는 슬랫(3)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에만 절결부 (3a)를 설치한 한쪽 절결단(7단째 이하)과, 승강 코드(11~13)를 횡사 (6a, 6b) 사이에 삽입하지 않고, 슬랫(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 및 후방측 가장자리부에 절결부 (4a, 4b)를 설치한 양쪽 절결단(최상단으로부터 5단째)를 구비한다.The horizontal blinds support slats 3 and 4 of multiple means in a plurality of ladder cords 2 and allow a plurality of lift cords 11 to 13 to be respectively placed forward and rearward of the slats 3 and 4, The slats 3 and 4 can be pivoted through the ladder cord 2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and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slats 3 and 4 can be lifted and lowered.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of the ladder cord 2 and only the rear side edge portion of the slat 3 adjacent to the lifting cords 11 and 13 Side edge portion and the rear-side edge portion of the slat 4 without inserting the lift cords 11 to 13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Fifth step from the uppermost end) provided with the cutouts 4a and 4b.

Description

횡형 블라인드{HORIZONTAL BLIND}Horizontal blinds {HORIZONTAL BLIND}

본 발명은, 헤드 박스로부터 래더 코드를 통하여 다수단의 슬랫을 매달려 지지하는 횡형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blind for holding a slat of multiple means suspended from a headbox via a ladder cord.

횡형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에 다수단의 슬랫이 지지되고, 헤드 박스내에 배설되는 래더 코드 매달기 장치를 조작 장치로 조작하는 것으로써, 래더 코드를 통하여 각 슬랫을 동위상(同位相)으로 회동 조작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bli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dder cord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adder cords suspended from the head box, and a ladder cord suspending device arranged in the head box is operated by an operating device, And can be rotated in phase (in phase).

또한, 래더 코드의 하단에는 하부 레일이 장착 되고, 그 하부 레일에는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는 승강 코드의 하단이 장착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헤드 박스내의 승강 장치로 승강 코드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써, 하부 레일을 승강시켜 슬랫을 승강시킬 수 있다. A lower rail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ladder cord, and a lower end of the lifting cord received from the head box is mounted on the lower rail. Then, by operating the operating device,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is lifted and lowered by the lifting device in the head box, so that the lower rails can be lifted and lowered to lift the slat.

이러한 횡형 블라인드의 1종류로서, 복수개의 승강 코드를 슬랫에 삽입하지 않고, 슬랫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하시켜, 하부 레일을 승강 가능하게 한다. As one type of such a horizontal blind, a plurality of lift cords are provid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slats, respectively, without being inserted into the slats so that the lower rails can be raised and lowered.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각 슬랫에 승강 코드 삽입공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삽입공으로부터 빛이 누설되지 않는다.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lift cord insertion hole in each slat, so that light does not leak from the insertion hole.

특허문헌1에는, 승강 코드를 슬랫에 삽입하지 않는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교차된 래더 코드의 횡사 사이에 슬랫을 삽입하고, 슬랫의 전후 방향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절결부를 횡사의 교차부에 결합시켜, 래더 코드에 대한 슬랫의 펄럭임이나 길이 방향에서의 엇갈림(이하, 횡방향 변위)을 방지하도록 한 횡형 블라인드가 공개되어 있다.Patent Literature 1 discloses a horizontal blind in which a lift code is not inserted into a slat, a slat is inserted between crossed ladder cords, and a notch formed at a front edge portion of the slat is joined to a crossed portion of a cross , A horizontal blind is disclosed which prevents flapping of the slats relative to the ladder cord or displac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ereinafter, lateral displacement).

일본 실용신안공고 평7-6477호.Japanese Utility Model Bulletin 7-6477.

그러나, 상기와 같은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승강 코드를 안내하기 위하여, 래더 코드 경사(종사)에 루프 형상의 고리를 설치하고, 고리에 승강 코드를 삽입할 필요가 있었다. 고리에 통과시킬 경우, 횡쏠림 규제 효과가 약하고, 래더 코드에 다수의 고리가 보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래더 코드에 고리를 설치하지 않는 블라인드에 비해 미관이 뒤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horizontal blind, in order to guide the lift cod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oop-shaped hook at the ladder code inclination (engagement) and inserting the lift code into the loop. When passing through a loop,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lateral displacement is weak and a large number of loops are visible in the ladder cord, so that the aesthetics of the ladder cord are generally inferior to blinds in which the loop is not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은, 정폐(正閉) 회동시에도 역폐(逆閉) 회동시에도 슬랫의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미관이 양호한 횡형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blind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horizontal slipping of the slats even in a closed closure cycle and also having a good appearanc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에 복수단(複數段)의 슬랫을 지지하고, 상기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는 복수개의 승강 코드를 상기 슬랫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하시키고,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더 코드를 통하여 슬랫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코드를 승강시켜 상기 슬랫을 승강 가능하게 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슬랫은, 전후 방향의 한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부와, 전후 방향의 기타측에 위치하는 제2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슬랫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에만 절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 코드를 상기 래더 코드 횡사 사이에 삽입하는 동시에, 이 승강 코드와 상기 절결부를 인접되게 설치한 한쪽 절결단과, 상기 승강 코드를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하지 않고, 상기 슬랫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 및 상기 제2가장자리부에 절결부를 설치한 두개 절결단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a plurality of ladder cord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adder cords supported by a head box are supported, and a plurality of lift cords received from the head box are respectively receiv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slats In which the slat is capable of being pivoted through the ladder cor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he lifting cord is lifted so that the slat can be lifted and lowered. In the horizontal blind, And a first edge portion and a second edge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herein a cut-out portion is provided only in the first edge portion of the slat, and the lift code is inserted between the ladder- A lift-off cord and one cut-away portion provided adjacently to the cut-out portion; And a cut-away portion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at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of the slat.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1에 기재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양쪽 절결단을, 최상단으로부터 복수단으로 설치하였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in the horizontal blin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oth cut edges are provided in plural stages from the uppermost stage.

청구항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1 또는 2에 기재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슬랫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는, 후방측(後方側) 가장자리부이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n the horizontal blin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rst edge portion of the slat is a rear edge portion.

청구항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1 내지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부의 상기 절결부와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상기 절결부를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형성하였다. 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rizontal blin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the cutout por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cutout portion of the second edge portion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 Respectively.

청구항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4에 기재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래더 코드의 각 단의 횡사를 복수개의 횡사로 이루어지는 1조의 횡사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횡사가 서로 교차된 교차부가 형성되게 설치하고, 상기 각 절결부가 각각 상기 교차부와 대향되게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하였다.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rizontal blind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ing of each end of the ladder cord is constituted by a pair of transverse yar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verse yarns, , And the slats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yarns so that the cutouts face each other at the intersection.

청구항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4에 기재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래더 코드의 각 단의 횡사를 복수개의 횡사로 이루어지는 1조의 횡사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횡사가 서로 교차된 교차부가 형성되게끔 설치하고,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된 삽입 부위와,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위에 얹어진 상승 부위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orizontal blind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each end of the ladder cord is constituted by a pair of transverse yarn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verse yarns, And the slat has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and a rising portion on which the slat is placed on the transverse stitch.

청구항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에 복수단의 슬랫을 지지하고, 상기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는 복수개의 승강 코드를 상기 슬랫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하시키고,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더 코드를 통하여 슬랫을 회동 조작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코드를 승강시켜 상기 슬랫을 승강 조작 가능하게 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래더 코드의 각 단의 횡사를 복수개의 횡사로 이루어지는 1조의 횡사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횡사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가 형성되게끔 설치하고, 상기 슬랫은, 전후 방향의 한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부와, 전후 방향의 기타측에 위치하는 제2가장자리부를 기지고, 상기 횡형 블라인드가, 상기 슬랫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에 절결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절결부와 길이 방향에 다른 위치의 상기 제2가장자리부에도 절결부를 설치하고, 각 절결부가 각각 상기 교차부와 대향되게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된 양쪽 절결단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ages of slats are supported on a plurality of ladder cords supported by a head box, and a plurality of lift cords received from the head box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lats, respectively,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slat is enabled so that the horizontal crossing of each of the stages of the ladder cord can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transverse yarns And a plurality of transverse section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is formed so as to form an intersection section. The slat includes a first edge section located on one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edge section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front- And the lateral blind is provided with a cutout portion at the first edge portion of the slat And a cut-out por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edge portion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ut-ou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ach cut-out portion is formed so as to face both the cut-outs inserted between the cross-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하면, 정폐 회동시에도 역폐 회동시에도 슬랫의 횡 쏠림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미관이 양호한 횡형 블라인드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rizontal slipping of the slats even in counterclockwise rotation,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horizontal blind with a good appearance.

도1은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횡형 블라인드의 요점부 사시도이다.
도2는 (a)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 박스의 모식도이다. (b) 최상단으로부터 5단째까지의 슬랫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c) 6단째의 슬랫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d) 7단째 이하의 슬랫 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e) 각 승강 권취축 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3은 (a) 및 (b)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횡형 블라인드의 모식 일부 측면도이다.
도4는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의 정면도이다.
도5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의 정면도이다.
도6은 (a)~(d)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 슬랫 및 승강 코드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7은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 슬랫 및 승강 코드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8은 (a) 및 (b)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부 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측면도이다.
도9는 (a)~(d) 정폐 회동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e)~(h) 역폐 회동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0은 (a)~(d) 정전폐(正全閉) 회동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1은 (a) ~ (d) 역전폐(逆全閉) 회동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2는 (a) 및 (b)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역폐 회동시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13은 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폐회동(閉回動)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14는 (a) 다른 예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 슬랫 및 승강 코드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b) 다른 예에 있어서의 역폐 회동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c)는 (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15는 다른 예에 있어서의 역폐 회동시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16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의 정면도이다.
도17은 (a) 다른 예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의 정면도이다. (b) 다른 예에 있어서의 래더 코드와 슬랫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c) 다른 예에 있어서의 역폐 회동시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18은 (a)~(d) 다른 예에 있어서의 정전폐 회동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19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횡형 블라인드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20은 다른 예에 있어서의 횡형 블라인드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horizontal blind in one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head box in (a) one embodiment. (b) is a plan view showing a slat or the like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fifth stage. (c) a sixth stage slat and the like. (d) a slat or the like of a seventh or lower stage. (e) each lift-up and take-off shaft and the like.
3 is a parti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lateral blinds in (a) and (b) one embodiment.
4 is a front view of a ladder code in one embodiment.
Fig.51 is a front view of a ladder code in one embodiment;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ladder cord, the slat, and the lift code in the embodiments (a) to (d).
7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y state of a ladder cord, a slat, and a lifting cord in one embodiment.
Fig. 8 is a partial side view for explaining (a) and (b) the lower rail in one embodiment. Fig.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ates during (a) - (d) full-closed rotation. (e) to (h).
10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at the time of (a) - (d) rotation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positive full closing).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at the time of (a) to (d) rotation of the reversely closed (reverse fully closed).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sided closed-circulation system in (a) and (b).
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losed rotating (closed) rotation in one embodiment.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an assembly state of a ladder cord, a slat, and a lifting cord in another example; (b)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at the time of the closed and closed rotation in another example. (c)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Fig. 1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t the time of a closed / closed rotation in another example.
16 is a front view of a ladder code in another example.
17 is a front view of the ladder code in (a) another example. (b)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ladder code and the slat in another example; (c)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t the time of counterclockwise rotation in another example.
Fig. 18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state at the time of electrostatic charge and recirculation in another example (a) to (d).
19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type of the horizontal blind in another example.
2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type of the horizontal blind in another example.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1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및 도2에 나타내는 횡형 블라인드는, 헤드 박스(1)로부터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래더 코드(2)가 동일한 간격으로 수하되고, 상기 래더 코드(2)에 다수단의 슬랫(3, 4)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헤드 박스(1)로부터는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승강 코드(11~13)가 수하되어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lateral blinds shown in Figs. 1 and 2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ive in this embodiment) ladder codes 2 are receive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head box 1, (3, 4) are supported. Further, a plurality of (three in this embodiment) elevation cords 11 to 13 are received from the head box 1.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박스(1)에는, 승강 코드(11~13)를 권취할 수 있는 승강 권취축(14a~14c)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래더 코드(2)를 권취할 수 있는 래더 권취축(1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a), the head box 1 is provided with lifting and winding shafts 14a to 14c capable of winding up the lifting cords 11 to 13 to be rotatable and a ladder cord 2 Is rotatably supported by a ladder-winding shaft 15 that can be wound around the ladder.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더 권취축(15)(도2(a))의 외주에는 틸트 스프링(15a)이 권취되고, 그 틸트 스프링(15a)의 각 단부(15b)에는, 래더 코드(2)의 한쌍의 경사(5a, 5b)의 각 상단부가 각각 계지(係止)되어 있다. 한편, 도3(a) 및 도3(b)에서, 래더 권취축(15)은, 승강 권취축(14a)의 지면 안쪽측에 있기 때문에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다. 한쌍의 경사(5a, 5b)는, 헤드 박스(1)에 설치된 전후 한쌍의 래더 도출구(1a)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수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더 권취축(15)이 (도면 중, 시계 회전 방향) 회동 되면, 한쪽 방향의 경사(5a)는 래더 권취축(15)(틸트 스프링(15a))에 권취되고, 다른 쪽의 경사(5b)는 래더 권취축(15)(래더 도출구(1a))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래더 권취축(15)은, 조작 장치(16)(도2(a)를 참조)의 조작에 의해 모두 (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가 동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고, 래더 코드(2)를 통하여 슬랫(3)을 개회동(開回動) 상태나 정폐 회동상태나 역폐 회동상태로 회동 조작할 수 있다. 3A and 3B, a tilt spring 15a is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ladder winding shaft 15 (Fig. 2 (a)), and the angle of the tilt spring 15a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pair of warp yarns 5a and 5b of the ladder cord 2 are engaged with the end portions 15b. 3 (a) and 3 (b), the ladder winding shaft 15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ecause it is on the inner side of the ground of the lifting and winding shaft 14a. A pair of warp yarns 5a and 5b are downwardly received through a pair of front and rear ladder outlets 1a provided in the head box 1. 3 (b), for example, when the ladder winding shaft 15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figure), the warp yarns 5a in one direction are wound around the ladder winding shaft 15, (Tilt spring 15a), and the other inclined yarn 5b is led out from the ladder winding shaft 15 (ladder lead-in hole 1a). All of the ladder winding shafts 15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five in this embodiment)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6 (see Fig. 2 (a)),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slat 3 in the open rotation state, the closed rotation state or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state.

도2(a) 및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권취축(14a~14c)에는, 각각 승강 코드(11~13)의 상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승강 코드(11~13)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박스(1)에 설치된 전후 한쌍의 래더 도출구(1a)의 더욱 전후 방향 외측에 설치된 한쌍의 승강 도출구(1b)의 임의의 한쪽을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수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권취축(14a~14c)이 회동 되면, 승강 코드(11~13)는 승강 권취축(14a~14c)에 나선 형상으로 권취되고, 혹은, 승강 코드(11~13)는 승강 권취축(14a~14c) (승강 도출구(1b))으로부터 도출된다. As shown in Figs. 2 (a) and 2 (e), the upper ends of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fixed to the lifting shafts 14a to 14c, respectively. As shown in Figs. 3 (a) and 3 (b), the elevator cords 11 to 13 are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ladder outlets 1a provided on the head box 1, Descending through hole 1b of the lower case 1b. When the lifting shafts 14a to 14c are rotated,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spirally wound on the lifting shafts 14a to 14c, or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lifted up and down by the lifting / (Elevating / lowering opening 1b).

도1및 도2(a)~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랫(3, 4)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승강 코드(11, 13)는 슬랫(3, 4)의 후방측에 수하되고, 슬랫(3, 4)의 길이 방향 중앙에 위치되는 승강 코드(12)는 슬랫(3)의 전방측(前方側)에 수하된다. 한편, 후방측은 실외측, 전방측은 실내측으로 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a) to 2 (e), in this embodiment, the lifting cords 11 and 13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s 3 and 4 are slats 3 and 4 And the lifting cord 12 located at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slats 3 and 4 is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slats 3. [ On the other hand, the rear side is the outdoor side and the front side is the indoor side.

그리고, 상기 승강 코드(11~13) 중, 승강 코드(11, 13)의 승강 권취축(14a, 14c)에 권취되는 권취 방향과, 승강 코드(12)의 승강 권취축(14b)에 권취되는 권취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된다.  The winding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re wound around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s 14a and 14c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cords 12 that are wound on the lifting and lowering shaft 14b of the lifting cords 12 The winding directions are opposite to each other.

상술하면, 도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장치(16)의 조작에 의해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모터가 구동되면, 샤프트(17)와 승강 권취축(14a, 14c)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동시에, 기어부(18)를 통하여 회전력이 역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으로써, 샤프트(17)에 대하여 회전(공전) 가능하게 된 승강 권취축(14b)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성으로 된다. 따라서, 모든 승강 코드(11~13)는, 동기되어 승강 권취축(14a~14c)에 권취되거나, 혹은, 동기되어 승강 권취축(14a~14c) (승강 도출구(1b))으로부터 도출된다. 2 (a), when the motor not shown in the drawing is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6, the shaft 17 and the lifting and winding shafts 14a and 14c are integrally rotated Up shaft 14b which can rotate (revolve) with respect to the shaft 17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gear portion 18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fore, all of the lift codes 11 to 13 are synchronously wound on the lift-up / take-up shafts 14a to 14c or are derived from the lift-up / take-up shafts 14a to 14c (lift-up / dropout port 1b) synchronously.

래더 코드(2)의 하단부에는, 도8(a) 및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레일(19)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하부 레일(19)은,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면 폭방향, 즉 전후 방향의 양단 하부에 상기 래더 코드(2)의 경사(5a, 5b)가 각각 고정되고, 폭 방향의 양단 상부가 윗쪽을 향할 만큼 폭 방향 내측에 와곡된 완곡부(19a)로 된다. 구체적으로, 하부 레일(19)의 하부 레일의 형재(形材)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은 중공에서 가로로 긴 대략 정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하부 레일의 형재는,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19b)의 길이(상기 전후 방향에 따른 길이)L1은 하변(19c)의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고, 외주는 상변(19b),하변(19c)과 함께 완만한 곡선으로 형성되고, 하변(19c)으로부터 상변(19b)을 향하여 일어선 벽을 곡선으로서 상변(19b)의 외주의 곡면과 연결되게끔 형성한다. 또한, 하변(19c)의 전후 단연에 외측에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편(19d)을 전후에 설치하는 것으로써 테이프 홀더(19e) (도8(a) 참조)를 결합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변(19b)의 중앙부의 두께L3은, 하변(19c)의 두께L4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랫(3)의 후방측에서 실외측으로 수하된 승강 코드(11, 13)의 하단부는, 하부 레일(19)의 후방측의 하부에 고정되고, 슬랫(3, 4)의 전방측에서 실내측에 수하된 승강 코드(12)의 하단부는, 하부 레일(19)의 전방측의 하부에 고정된다. 한편, 도8(a)에서는, 후방측의 승강 코드(11)의 하단부가, 하부 레일(19)의 후방측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면으로 설명한다. A lower rail 19 is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ladder cord 2, as shown in Figs. 8 (a) and 8 (b). Specifically, in the lower rail 19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rp yarns 5a and 5b of the ladder cord 2 are fixed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at 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ccentric portion 19a curv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faces upward.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b), the shape of the lower rail of the lower rail 19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long in the hollow. As shown in Fig. 8 (b), the shape of the lower rail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uch that the length L1 of the upper side 19b (the length along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L2 of the lower side 19c, Is formed in a gentle curve along with the upper side 19b and the lower side 19c and formed so that the wall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19c toward the upper side 19b is connecte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ide 19b as a curved line . The tape holder 19e (see Fig. 8 (a)) can be engaged by providing protruding pieces 19d protruding outward o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side 19c. The thickness L3 of the central part of the upper side 19b is formed thicker than the thickness L4 of the lower side 19c. The lower ends of the lifting cords 11 and 13 received on the rear side of the slats 3 ar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rails 19,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cord 12 received on the lower rail 19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rail 19. [ 8 (a), a state in which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ift code 11 on the rear side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rail 1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더 코드(2)는 경사(5a, 5b) 사이에 상기 다수단의 슬랫(3, 4)을 지지하기 위한 횡사(6a, 6b)가 2개씩 복수단 설치된다. 2개의 횡사(6a, 6b)가 1조의 횡사를 구성한다. 4, the ladder cord 2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verse yarns 6a and 6b for supporting the slats 3 and 4 of the multiple means between the warp yarns 5a and 5b . The two transpositions 6a and 6b constitute a set of transposition.

각 횡사(6a, 6b)는, 중간부에서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7)가 형성되게끔, 경사(5a, 5b)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둔 위치에 형성된다. 즉, 한쪽의 경사(5a)에서는 횡사(6b)가 횡사(6a)보다 아래쪽으로 형성되고, 다른쪽의 경사(5b)에서는 횡사(6a)가 횡사(6b)보다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 조작 장치(16)의 조작에 의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5a)가 아랫쪽으로 이동되고, 경사(5b)가 윗쪽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횡사(6a)가 약간 느슨해지지만, 횡사(6b)는 연신된 상태, 즉 텐션이 걸린 상태로 된다. The transverse yarns 6a and 6b ar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rp yarns 5a and 5b so as to form crossing portions 7 which intersect with each other at the intermediate portion. That is, the transverse stitch 6b is formed below the transverse stitch 6a in one slope 5a and the transverse stitch 6a is formed below the transverse streak 6b in the other slope 5b.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tilt 5a is moved downward and the tilt 5b is moved upward as shown in Fig. 5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device 16, the crossing 6a ) Is slightly loosened, but the transverse yarn 6b is in a stretched state, that is, in a tensioned state.

슬랫(3, 4)은, 알루미늄의 박판(얇은 판자)으로 측쪽, 즉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면 윗쪽이 돌출된 완곡 형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종류의 슬랫(3, 4)이 이용되고 있다. 각 슬랫(3, 4)은, 전후 방향의 한측, 즉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방측 가장자리부 (제1가장자리부)와, 전후 방향의 한측, 즉 후방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가장자리부 (제2가장자리부)를 가진다. 7단째 이하의 슬랫(3)은,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코드(11, 13)와 인접되는 후방측 가장자리부에만 절결부(3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최상단으로부터 6단째까지의 슬랫(4)은, 도2(b) 및 도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코드(11, 13)와 인접되는 후방측 가장자리부에 절결부(4a)가 설치되는 동시에, 승강 코드(12)와 인접되는 전방측 가장자리부에도 절결부(4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2(b)에는, 최상단으로부터 5단째까지의 슬랫(4)이, 도2(c)에는, 6단째의 슬랫(4)이, 도2(d)에는, 7단째 이하의 슬랫(3)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The slats 3 and 4 are formed by a thin plate of aluminum (thin plate) in a curved shape protruding laterally, that is,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wo kinds of slats 3 and 4 are used. Each of the slats 3 and 4 has a rear side edge portion (first edge portion)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a rear side, and a front side edge portion positioned on the one side in the front- Edge portion). 2 (d), the slat 3 of the seventh or lower stage is provided with a notch 3a only in the rear side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elevation cords 11, 13.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s. 2 (b) and 2 (c), the slats 4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sixth stage are provided with cutouts 4a And a cutout portion 4b is also provided on the front side edge portion adjacent to the lift cord 12. On the other hand, FIG. 2 (b) shows the slat 4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fifth stage, FIG. 2 (c) shows the slat 4 at the sixth stage, 3 are shown respectively.

그리고, 각 절결부(3a, 4a, 4b)가 설치된 부위에서는, 도1, 도6 (a) (b) 및 도6(d)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절결부(3a, 4a, 4b)가 각각 상기 교차부(7)와 대향되게끔 각 슬랫(3, 4)이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부위를 삽입 부위라고 한다. 또한, 각 절결부(3a, 4a)가 설치되지 않은 부위에서는, 도1 및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슬랫(3, 4)이 횡사(6a, 6b)위에 얹어 배치된다. 이 배치 부위를 상승 부위라고 한다. 한편, 래더 코드(2)에 따라 승강 코드(11~13)가 존재하지 않은 래더 코드(2)의 각 단에서는, 모든 슬랫(3, 4)이 횡사(6a, 6b)위에 얹어져 상기 상승 부위로 된다. 승강 코드(11~13)가 존재하지 않는 래더 코드(2)란, 본 실시예에서는 단부로부터 2번째와 4번째의 래더 코드(2)에 있어서, 단독 래더 코드 부분 Z에 해당된다. As shown in Figs. 1, 6 (a), 6 (b) and 6 (d) and 7, at the portion where the notches 3a, 4a, 4b are provided, 4b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6b so that the slats 3, 4 are opposed to the intersecting portions 7, respectively. This site is called the insertion site. As shown in Figs. 1 and 6 (c), the slats 3 and 4 are placed o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at the portions where the notches 3a and 4a are not provided. This arrangement part is called a rising part. On the other hand, in each stage of the ladder cord 2 in which the elevator cords 11-13 do not exist in accordance with the ladder code 2, all the slats 3, 4 are placed on the transversals 6a, 6b, . The ladder code 2 in which the elevation codes 11 to 13 are not present corresponds to the single ladder code portion Z in the second and fourth ladder codes 2 from the end in this embodiment.

상기 승강 코드(11, 13)는, 도1, 도6(a)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단째 이하에서,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의 승강 코드(11, 13)는, 6단째 이하에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랫(3, 4) 사이에 상기 교차부(7)가 개재되게끔 횡사(6a, 6b) 시이에 삽입된다. 6단째 이하에서는, 교차부(7)보다 후방측의 횡사(6a, 6b) 사이에 승강 코드(11, 13)를 삽입하고, 상기 교차부(7)보다 전방측의 횡사(6a, 6b) 사이에 슬랫(3, 4)을 삽입한다. The lift cords 11 and 13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at the sixth or lower level as shown in Figs. 1, 6A and 7. More specifically, the elevating cords 11 and 13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arranged such that the crossing portions 7 are interposed between the slats 3 and 4, as shown in Fig. 7, 6a, 6b). The elevation cords 11 and 13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on the rear sid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7 an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on the front sid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7 The slats 3 and 4 are inserted into the slats 3 and 4, respectively.

또한, 승강 코드(11, 13)는, 도1, 및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으로부터 5단째까지에서,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되지 않고, 경사(5a)에 따라 배치된다. 여기에서, 승강 코드(11, 13)에 따른 경사(5a)에는 2단 걸러 (최상단(1단째)과 2단째의 사이, 및, 3단째와 4단째의 사이) 링 부재R가 관통되게끔 각각 설치된다. 게다가, 이것들의 링 부재R에 승강 코드(11, 13)가 관통되게 설치하는 것으로, 경사(5a)와의 거리를 일정 이하로 되게끔 유지한다. 한편, 최상단(1단째)과 2단째의 사이의 링 부재R는, 3단째와 4단째 사이의 링 부재R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폐회동(閉回動)시에 승강 코드(11, 13)는 6단째의 횡사(6a, 6b)에 삽입될 때까지 조금씩 경사(5a)에 근접하게 안내된다 (도3을 참조).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링 부재R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6 (b), the lift cords 11 and 13 are not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at the uppermost stage to the fifth stage, Respectively. Here, in the inclination 5a according to the lift cords 11 and 13, the two-stage filter (between the uppermost stag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and between the third stage and the fourth stage)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elevation cords 11 and 13 are provid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ing members R are passed through these ring members R,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inclination 5a is kept constant. On the other hand, the ring member R between the uppermost stag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is formed to b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ring member R between the third stage and the fourth stage, and the lifting cords 11, Is guided slightly closer to the inclination 5a until it is inserted into the sixth step transverse yarn 6a, 6b (see Fig. 3). The ring member 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resin material.

상기 승강 코드(12)는, 도1, 및 도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6단째 이하에서 2단 걸러, 즉, 6단째, 9단째, 12단째에서,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된다. 한편, 6단째에서, 승강 코드(12)에 있어서도, 승강 코드(11, 13)와 마찬가지로, 슬랫(4) 사이에 상기 교차부(7)가 개재되게끔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된다. 6단째에서는, 교차부(7)보다 전방측의 횡사(6a, 6b) 사이에 승강 코드(12)를 삽입하고, 상기 교차부(7)보다 후방측의 횡사(6a, 6b) 사이에 슬랫(4)을 삽입한다. 또한, 7단째 이하, 즉, 9단째, 12단째에서는, 교차부(7)보다 전방측의 횡사(6a, 6b) 사이에 승강 코드(12)를 삽입하고, 상기 교차부(7)보다 후방측의 횡사(6a, 6b) 사이에는 슬랫(4)을 삽입하지 않는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코드(11, 13)에 따른 위치의 6단째가 제1삽입 부위를 구성하고, 승강 코드(12)에 따른 위치의 6단째가 제2삽입 부위를 구성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6 (c), the up / down cord 12 is provided between the transverse yarns 6a and 6b at the sixth and tier stages, that is, at the sixth, ninth, . On the other hand, in the sixth stage, in the elevation cord 12, as in the elevation cords 11 and 13, it is inserted between the crossings 6a and 6b such that the intersection 7 is interposed between the slats 4 . The elevation cord 12 is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reaks 6a and 6b on the front sid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7 in the sixth stage and the elevation cord 12 is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reaks 6a and 6b on the rear side of the intersection portion 7, 4) is inserted. The elevation cord 12 is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on the front side of the intersection 7 in the seventh and lower steps, that is, the ninth and twelfth stages, The slats 4 are not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xth position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 cords 11 and 13 constitutes the first insertion site, and the sixth position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 code 12 constitutes the second insertion site.

또한, 승강 코드(12)는, 도1, 및 도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으로부터 5단째까지에서,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되지 않고, 경사(5b)에 따라 배치된다. 여기에서, 승강 코드(12)에 따른 경사(5b)에는 2단 걸러, 즉 최상단(1단째)과 2단째 사이, 및, 3단째와 4단째 사이에 링 부재R가 관통되게끔 각각 설치된다. 게다가, 상기 링 부재R에 승강 코드(12)를 관통되게 설치하는 것으로써, 경사(5b)와의 거리를 일정 이하로 되게끔 유지한다. 한편, 승강 코드(12)가 관통되는 링 부재R도, 최상단(1단째)과 2단째 사이의 링 부재R가, 3단째와 4단째 사이의 링 부재R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폐회동시에 승강 코드(12)는, 6단째의 횡사(6a, 6b)에 삽입될 때 까지 조금씩 경사(5b)에 인접하게 안내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6 (d), the lift code 12 is not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als 6a and 6b at the uppermost stage to the fifth stage, do. Here, the inclined yarn 5b according to the lift code 12 is provided so that the ring members R penetrate through two stages, that is, between the uppermost stag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and between the third stage and the fourth stage. In addition, the lifting cord 12 is provided in the ring member R so as to penetrate the ring member R,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inclination 5b is kept constant. On the other hand, also in the ring member R in which the lifting cord 12 penetrates, the ring member R between the uppermost stage (first stage) and the second stage is formed larger in diameter than the ring member R between the third stage and the fourth stage, The cord 12 is guided slightly adjacent to the inclination 5b until it is inserted into the sixth step transverse yarn 6a, 6b.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횡형 블라인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horizontal blin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차폐성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function of the shielding property will be described.

조작 장치(16)의 조작에 의해, 도9(a)~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의 경사(5a)가 아랫쪽으로 이동하고, 전방측의 경사(5b)가 윗쪽으로 이동하는 정폐 회동시에는, 횡사(6a)가 약간 느슨해지고, 횡사(6b)는 연신된 상태, 즉 텐션이 걸려진 상태로 된다. 9 (a) to 9 (c), the inclination 5a on the rear side is moved downward and the inclination 5b on the front side is moved upward At the time of the fully closed circulating movement, the transverse warp 6a is slightly loosened and the transverse warp 6b is in the stretched state, that is, the tensioned state.

이 때,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상부측 (최상단으로부터 5단째까지)에서는, 도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4)의 절결부(4a)에 횡사(6a)가 들어가고, 슬랫(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하단 가장자리부)가 아래쪽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슬랫(4)의 일어나는 정도가 커진다. At this time, at the upper side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fifth stage) of the lowered portions of the lift cords 11 and 13, the notched portion 4a of the slat 4 is provided with a transverse 6a And the rear side edge portion (low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falls downward, so that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slat 4 is increased.

또한 이 때,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하부측 (6단째 이하)에서도,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3, 4)의 절결부(3a, 4a)에 횡사(6a)가 들어가고, 슬랫(3, 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하단 가장자리부)가 아래쪽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슬랫(3, 4)의 일어나는 정도가 커진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b), the cutouts 3a and 4a of the slats 3 and 4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the rear edge portion (lower edge portion) of the slats 3, 4 falls downward, so that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slats 3, 4 is increased.

또한 이 때,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상부측, 즉 최상단으로부터 6단째까지에서,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사(6b)가 슬랫(4)의 절결부(4b)를 지지하기 때문에, 슬랫(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는 하강된 위치에 있고, 슬랫(4)의 일어나는 정도가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조금 작아지지만,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쓰러짐에 의해 최상단으로부터 6단째까지의 차폐성은 저하되지 않는다. 9 (c), the transverse stitch 6b is formed in the notch portion 4b of the slat 4 at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 cord 12,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in the lowered position and the degree of the occurrence of the slat 4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 cords 11 and 13 The shielding property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sixth stage is not lowered due to collapse of the receiving portions of the elevating cords 11 and 13. [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하부측 (7단째 이하)이나, 상기 단독 래더 코드 부분Z의 각 단의 부위에서는, 예를 들면, 도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된(텐션이 걸려지다) 상태의 횡사(6b)위에서, 슬랫(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밀려서,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높아진다. As shown in Fig. 9 (d), at the lower side (the seventh row or lower) of the lowered portion of the lift code 12 or at each stage of the single ladder code portion Z, (Upp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formed on the transverse streak 6b in the state of being caught by the slant 4, so that the shielding property is enhanced at the same portion.

그리고, 전체적으로는,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상부측 (최상단으로부터 6단째까지)에서 차폐성이 저하되는 요소가 있지만 길이 방향의 다른 부위에서 보완되기 때문에, 전체의 차폐성은 높아지고 양호해진다. As a whole, although there is an element whose shielding property is lowered from the upper side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sixth highest stage) of the lowered portion of the lifting cord 12, the shielding property of the whole is improved because it is compensated at other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조작 장치(16)의 조작에 의하여, 도9(e)~도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의 경사(5a)가 윗쪽으로 이동하고, 전방측의 경사(5b)가 아랫쪽으로 이동하는 역폐 회동시에는, 횡사(6b)가 약간 느슨해지고, 횡사(6a)는 연신된 상태, 즉 텐션이 걸려진 상태로 된다. 9 (e) to 9 (g), the inclination 5a on the rear side is moved upward and the inclination 5b on the front side is moved upwar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6. [ The reverse warp 6b is slightly loosened and the horizontal warp 6a is in the extended state, that is, the tensioned state.

이 때,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상부측, 즉 최상단으로부터 5단째까지에서는, 도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사(6a)가 슬랫(4)의 절결부(4a)를 지지하기 때문에, 슬랫(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는 하강된 위치에 있고, 슬랫(4)의 일어나는 정도가 다소 작아져,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저하되는 추세가 보인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e), the transverse yarn 6a is cut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 cords 11, 13, The rear side edge portion (upp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in the lowered position, and the degree of the occurrence of the slat 4 becomes somewhat smaller, and the shielding property tends to decrease at the same portion.

또한 이 때,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하부측, 즉 6단째 이하 도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사(6a)가 슬랫(3, 4)의 절결부(3a, 4a)를 지지하기 때문에, 슬랫(3, 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은 하강된 위치에 있고, 슬랫(3, 4)의 일어나는 정도가 다소 작아지고,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저하되는 추세가 보인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f) on the lower side, that is,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ed portion of the lift cords 11, 13, the transverse yarn 6a is cut off from the notches 3a, The upper side edge portion of the slats 3 and 4 is in the lowered position and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slats 3 and 4 is somewhat smaller and the shielding property is lowered in the same portion .

그러나,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상부측, 즉 최상단으로부터 6단째까지에서는, 도9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4)의 절결부(4b)에 횡사(6b)가 들어가고, 슬랫(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하단 가장자리부)이 아래쪽으로 떨어지기고 때문에, 슬랫(4)의 일어나 정도가 커져서, 차폐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However, as shown in Fig. 9 (g), the transverse stitch 6b enters the notch portion 4b of the slat 4 at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 cord 12, , The front side edge portion (low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falls downward, so that the degree of the occurrence of the slat 4 is increased, so that the shielding property is not lowered.

또한 이 때,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하부측, 즉 7단째 이하나, 상기 단독 래더 코드 부분Z의 각 단의 부위에서는, 도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신된 상태, 즉 텐션이 걸려진 상태의 횡사(6a) 위에서, 슬랫(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밀려져서,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에서의 역전폐에 있어서의 쓰러지는 각도의 저하 경향을 보완하여 고차폐 상태를 유지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h), at the lower side, that is, at the lower side, that is, at the seventh stage or les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 cord 12 and at each stage of the single ladder code portion Z, (Upp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raised on the transverse yarn 6a in the tensioned state, so that the shielding property of the same portion is increased. The high shielding state is maintained by compensating for the tendency of the collapsing angle in the reversed lag at the underwater portion to be lowered.

그리고, 전체적으로,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에서는 역전폐에서 차폐성이 저하되는 요소가 있지만 길이 방향의 다른 부위에서 보완되기 때문에, 전체적 차폐성이 높고 양호하다. On the whole, there is an element whose shielding property is lowered in the reverse winding at the portion where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re carried, but it is complemented at other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overall shielding property is high.

또한,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상기 도9(a) 및 도9(b)에 내보이는 상태(정폐 회동시)에서는, 슬랫(4)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횡사(6b)에 의해 도9(a) 및 도9(b)에서 왼쪽 방향(슬랫(4)의 앞방향)으로 가압하는것으로써, 슬랫(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이 일어나도록 유지된다. 따라서,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높아진다. 더욱이, 6단이하 (도9(b)를 참조)에서는 승강 코드(11, 13)가 슬랫(3, 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와 경사(5a)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첫 동작이 좋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더 높아진다. 9 (a) and Fig. 9 (b) shown in Fig. 9 (b), the center portion of the slat 4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6b, The front side edge portion (upp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maintained to be raised by pressing in the leftward direction (forward direction of the slat 4) in Figs. 9 (a) and 9 (b) Therefore, the shielding property is increased at the same site. Further, in the six or less stages (see Fig. 9 (b)), since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re positioned between the rear side edge portions of the slats 3 and 4 and the warp yarns 5a, the first operation is improved. Therefore, the shielding property is higher at the same site.

또한,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상기 도9 (g)에 나타내는 상태(역폐 회동시)에서는, 슬랫(4)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횡사(6a)에 의해 도9(g)에서 오른쪽 방향, 즉 슬랫(4)의 뒤쪽 방향으로 가압되는것으로써, 슬랫(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가 동작되게끔 유지된다. 따라서,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높아진다. 9 (g) of Fig. 9 (g), the central portion of the slat 4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is shifted to the right in Fig. 9 (g) by the transverse warp 6a, The rear side edge portion (upper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maintained to be operated. Therefore, the shielding property is increased at the same site.

더욱이,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6단째의 정전폐 회동시에서는, 도10(a) 및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코드(12) 및 경사(5b)가 슬랫(4)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일어나는 정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승강 코드(1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차폐성이 향상된다. 10 (a) and 10 (b), the lifting cord 12 and the warp yarn 5b are wound on the slat (not shown) 4) is increa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lifting cord 12 is raised. Therefore, the shielding performance is improved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fting cord 12 does not exist).

또한,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6단째 이하의 정전폐 회동시에서는, 도10(c) 및 도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3, 4)과 경사(5a) 사이에 승강 코드(11, 13)가 개재하기 때문에 차폐성이 향상된다. 10 (c) and 10 (d), the slats 3, 4 and the slopes 5a (5a, 5b) Shielding property is improved because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re interposed.

또한,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6단째의 역전폐 회동시에서는, 도11(a) 및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4)과 경사(5b) 사이에 승강 코드(12)가 개재하여도 차폐성이 향상된다. 11 (a) and Fig. 10 (b), the lift code 5 is provided between the slat 4 and the slope 5b at the sixth- The shielding property is improved even when the insulating film 12 is interposed.

또한,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6단째 이하의 역전폐 회동시에서는, 도11(c) 및 도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코드(11, 13) 및 경사(5a)가 슬랫(3, 4)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일어나는 정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승강 코드(11, 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차폐성이 향상된다.
As shown in Figs. 11 (c) and 11 (d), the lift cords 11 and 13 and the slope (inclination) of the lift cords 11 and 13 5a are 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upper edge portions of the slats 3, 4 is increased, so that the shielding propert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elevation cords 11, 13 are not present.

다음에 슬랫(3, 4)의 래더 코드(2)에 대한 길이 방향의 이동, 즉 횡쏠림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action of the slats (3, 4) with respect to the ladder cord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lateral displacement will be described.

예를 들면, 슬랫(3, 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절결부(3a, 4a)가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정폐 회동시에서는, 상기 절결부(3a, 4a)에 래더 코드(2), 특히 횡사(6a)가 결합하기 때문에 슬랫(3, 4)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For example, the ladder cord 2, especially the transverse stitches (not shown), are provided on the cutouts 3a and 4a at the time of closing and rotating the cutouts 3a and 4a of the rear side edges of the slats 3 and 4, 6a of the slats 3, 4 are engaged,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slats 3, 4 is prevented.

또한, 슬랫(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의 절결부(4b)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역폐 회동시에서는, 상부측, 즉 최상단으로부터 6단째까지에서는, 상기 절결부(4b)에 래더 코드(2), 특히 횡사(6b)가 결합되기 때문에 슬랫(4)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When the notch 4b of the front side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moved downwardly, the ladder cord 2, the ladder cord 2, In particular, since the transverse yarn 6b is engaged, lateral displacement of the slat 4 is prevented.

또한, 상기 역폐 회동시, 하부측, 즉 7단째 이하에서는, 횡사(6a, 6b) 사이에 승강 코드(11, 13)가 삽입되기 때문에, 후방측 가장자리부(상단 가장자리부)의 절결부(3a)에 래더 코드(2)에 더하여 승강 코드(11, 13)가 결합되어 슬랫(3)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Since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at the lower side, that is, at the lower side, that is, at the lower side,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re combined with the ladder cord 2 to prevent the slat 3 from being sideways.

구체적으로, 슬랫(3)이 도12 (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 즉 오른쪽 방향으로 횡쏠림이 발생하려고 하면, 승강 코드(11)가 삽입되어 승강 코드(11)와 결합된 횡사(6a)에 횡사(6b)가 결합되고, 상기 횡사(6b)가 절결부(3a)의 왼쪽 가장자리부분에 결합되기 때문에 슬랫(3)의 오른쪽 방향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Specifically, when the slat 3 tends to cause lateral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2 (a), that is, toward the right, the lift code 11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transverse yarn 6a combined with the lift code 11, And the transverse yarn 6b is engaged with the left edge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3a so that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lat 3 in the rightward direction is prevented.

또한 반대로, 슬랫(3)이 도12(b)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 즉 왼쪽 방향으로 횡쏠림 발생하려고 하면, 승강 코드(11)와 결합된 횡사(6b)가 절결부(3a)의 오른쪽 가장자리부분에 결합되기 때문에 슬랫(3)의 왼쪽 방향으로 횡쏠림이 방지된다. Conversely, when the slat 3 attempts to cause lateral displac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2B, that is, in the leftward direction, the transverse yarn 6b coupled with the lift code 11 is positioned at the right edge portion of the cutout portion 3a So that lateral displacement of the slat 3 in the left direction is prevented.

또한, 상기와 같이 슬랫(3, 4)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의 절결부(3a, 4a)가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정폐 회동시에서는, 슬랫(3, 4)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횡사(6b)에 의해 도9(a) 및 도9(b)에서 왼쪽 방향, 즉 슬랫(4)의 앞방향으로 가압됨으로 하여, 그 자세가 안정하게 유지되고, 슬랫(3, 4)의 횡쏠림이 더 방지된다. The center of the slats 3 and 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s shifted to the horizontal line 6b at the time of the closing and turning operation in which the notches 3a and 4a of the rear side edge portions of the slats 3 and 4 are disposed downward, 9 (a) and 9 (b), the posture thereof is stably maintained, and lateral loads of the slats 3, 4 are further prevented by being pressed in the left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lats 4 .

또한, 상기와 같이 슬랫(4)의 전방측(前方側) 가장자리부의 절결부(4b)가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역폐 회동시에서는, 슬랫(4)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가 횡사(6a)에 의해 도9(f)에서 오른쪽 방향, 즉 슬랫(4)의 후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그 자세가 안정하게 유지되고, 슬랫(4)의 횡쏠림이 더 방지된다. In the case of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in which the notch 4b of the front side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disposed downwar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lat 4 in the front- 9 (f), that is, in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slat 4, the posture thereof is stably maintained,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of the slat 4 is further prevented.

다음에, 상기 실시의 형태의 특징적인 효과를 이하에 기재한다. Next,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abov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1) 한쪽 절결단(切欠段)(7단째 이하)에서는, 상기 절결부(3a)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정폐 회동시에서는, 상기 절결부(3a)에 래더 코드(2), 특히 횡사(6a)가 결합되는것으로써 슬랫(3)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절결부(3a)가 윗쪽으로 이동되는 역폐 회동시에 있어서도, 상기 절결부(3a)에 래더 코드(2), 특히 횡사(6a)에 더하여 승강 코드(11, 13)가 작용하기 때문에 슬랫(3)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1) The ladder cord 2, especially the transverse yarn 6a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cutout portion 3a at the notch step (the seventh or lower) when the cutout portion 3a is moved downward, So that lateral displacement of the slat 3 is prevented. Since the elevating cords 11 and 13 act in addition to the ladder cord 2, particularly the transverse yarn 6a, on the notched portion 3a even when the cut-off portion 3a is moved upward, (3) is prevented.

또한, 양쪽 절결단(최상단으로부터 5단째)에서는, 승강 코드(11, 13)가 따르는 래더 코드(2)는 정전폐에서 절결부(3a, 4a)와 결합하고, 승강 코드(12)가 따르는 래더 코드(2)는 역전폐에서 절결부(4b)와 결합한다. 따라서, 정폐 회동시에 있어서도 역폐 회동시에 있어서도 슬랫(4)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한편, 6단째도 동일하지만, 승강 코드(11~13)가 삽입되어고 있어 확실하게 횡쏠림이 방지된다. The ladder cord 2 along with the lift cords 11 and 13 is engaged with the cutouts 3a and 4a in the electrostatic discharge at both cut edges The cord 2 engages the notch 4b in the reversing coil. Therefore, even in the closed and closed cycles, the slat 4 is prevented from being sideways. On the other hand, the sixth stage is also the same, but the elevation cords 11 to 13 are inserted, and the lateral displacement is reliably prevented.

또한, 상기 한쪽 절결단(7단째 이하)에서는, 슬랫(3)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에만 절결부(3a)가 설치되기 때문에, 미관상에서 양호한 동시에, 빛의 누설이 저감되어 차폐성이 높아지고, 또한 역전폐에서도 횡쏠림이 방지된다. In addition, since the notched portion 3a is provided only at the rear side edge portion of the slat 3 at the one-side cutting edge (the seventh or lower edge), the appearance is good in appearance, light leakage is reduced and shielding property is improved, Lateral drift is also prevented in the lungs.

(2) 상단의 6단에서는, 각 절결부(3a, 4a, 4b)가 각각 교차부(7)와 대향되게 슬랫(3, 4)이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각 절결부(3a, 4a, 4b)가 각각 교차부(7)와 대향되어, 승강 코드(11~13)의 배치 등에 관계 없이 개회동시에 있어서도 정폐 회동시에 있어서도 역폐 회동시에 있어서도 슬랫(3, 4)의 펄럭임이나 횡쏠림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6단째에 있어서는, 복수의 래더 코드(2)의 적어도 1열에서 교차된 횡사(6a, 6b)의 앞쪽 삼각(前三角)에 슬랫(4)을 삽입하고, 적어도 1열에서 동일한 슬랫(4)을 뒤쪽 삼각(後三角)에 삽입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삼각에 삽입되는 것에 비하여 치우침이 적어진다. 또한, 절결부(4a, 4b)가 설치되어 있지만 승강 코드(11~13)를 개재시키는것으로써 차폐성이 향상된다. Since the slats 3 and 4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so that the notches 3a, 4a and 4b are opposed to the intersecting portions 7 respectively at the sixth stage of the upper stage 2, The flaps 3a and 4a and 4b are opposed to the intersecting portions 7 so that fluttering of the slats 3 and 4 can be carried out even at the time of opening and closing regardless of whether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open or closed, And lateral displacement can be prevented well. In the sixth stage, the slats 4 are inserted into the front triangles (front triangles) of the crosses 6a and 6b intersected by at least one row of the plurality of ladder codes 2, Is inserted into the rear triangle (rear triangle), the degree of bias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triangle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triangles. In addition, although the cutouts 4a and 4b are provided, the shielding property is improved by interposing the lift cables 11 to 13 therebetween.

(3) 승강 코드(11~13)는, 헤드 박스(1)로부터의 도출 위치, 즉 승강 도출구(1b)의 헤드 박스(1)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일정하고,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단에서는 승강 코드(11~13)를 래더 코드(2)의 경사(5a, 5b)보다 외측에 배치 할 필요가 있지만,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단에 있어서도 슬랫(4)의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단(본 실시 형태에서는 5단째)에서는 승강 코드(11~13)를 래더 코드(2)의 경사(5a, 5b)보다 외측에 배치 해야 되는 제약을 만족시키면서 슬랫(3, 4)의 횡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우에서부터 소정의 단의 경사(5a, 5b)에 직경이 큰 링 부재R, 또한 소정의 단 아래의 경사(5a, 5b)에 직경이 작은 링 부재R를 설치하기 때문에, 직경이 작은 링 부재R의 소정의 단의 더 아래쪽에 설치된 슬랫(4)을 지지하는 래더 코드(2)의 횡사(6a, 6b) 사이에 승강 코드(11~13)를 서서히 슬랫(4)의 전후 방향 중앙 방향을 향하게 안내할 수 있다. (3) The elevating cords 11 to 13 are arranged such that the leading position from the head box 1, that is, the posi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ead box 1 of the elevation leading opening 1b is constant, It is necessary to dispose the lift cords 11 to 13 on the outer side of the warp yarns 5a and 5b of the ladder cord 2 but prevent the slat 4 from being sideways from the upper end to the predetermined end. In other words, in the predetermined stage (the fifth stage in the present embodiment) from the uppermost stage,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opes 5a and 5b of the ladder cord 2, 3, 4) can be prevented. Furthermore, since the ring member R having a large diameter is provided at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5a, 5b from the right side, and the ring member R having a small diameter is provided at the inclination 5a, 5b below the predetermined step,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gradually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enter of the slat 4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of the ladder cord 2 supporting the slat 4 provided below the predetermined end of the member R As shown in FIG.

(4) 절결부(3a)가 슬랫(3)의 후방측 가장자리부에만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절결부(3a)가 설치된 슬랫(3)에서는, 전방측 가장자리부에 절결부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고, 전방측, 즉 실내측에서 관찰하는 미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피코(picot)를 통하게 하는 방식에 비하여 간결한 디자인으로 된다. (4) Since the notched portion 3a is provided only on the rear side edge portion of the slat 3, in the slat 3 provided with the notched portion 3a, there is no cutout portion in the front side edge portion And the aesthetics observed on the front side, that is, on the indoor sid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a simpler design is achiev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passing through a picot.

(5) 횡사(6a, 6b)는, 전폐(全閉) 각도 근방에서, 정폐 회동시에서도 역폐 회동시에서도 1개의 횡사는 연신된 상태, 즉 텐션이 걸려진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슬랫(3, 4)이 횡사(6a, 6b)위에 얹어져 배치된 상승 부위에서는, 연신된 상태, 즉 텐션이 걸려진 상태의 횡사(6a) (6b)위에서, 슬랫(3, 4)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일어나는 방향, 즉 전폐 각도 근방에서는 블라인드 전후 방향 슬랫 표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동일한 부위에서는 차폐성이 높아진다. (5)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are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that is, in a state of being tensioned, even in the vicinity of the fully closed angle, and in the closed-circulating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The slats 3 and 4 are placed on the transverse yarn 6a and 6b in the stretched state, that is, in the tensioned state, at the rising position where the slats 3 and 4 are placed on the transverse yarns 6a and 6b,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blind, in other words, in the vicinity of the full closing angle, is push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lat surface side in the blind front and rear direction.

또한, 슬랫(3, 4)이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된 삽입 부위에서는, 상기와 같이, 정폐 회동시 및 역폐 회동시에, 슬랫(3, 4)의 상단 가장자리부가 하강한 위치에 와서, 슬랫(3, 4)의 일어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다소 작아지고, 동일한 부위에서 차폐성이 저하되는 요소가 있다. 그러나, 길이 방향의 다른 부위, 즉 상기 상승 부위에서 보완되기 때문에, 전체적 차폐성을 높게 양호하게 할 수 있다. At the insertion site where the slats 3 and 4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the top edge of the slats 3 and 4 is lowered at the time of fully closed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as described above ,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slats (3, 4) becomes relatively small, and the shielding property is lowered at the same site. However, since it is complemented at anoth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at the rising portion, the overall shielding property can be improved to a high degree.

(6) 상기 상승 부위가 각 단에 적어도 1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 단의 차폐성을 높고 양호하게 할 수 있다. (6) Since the rising portions are provided at at least one position at each end,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each end can be enhanced and improved.

(7) 슬랫(3, 4)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응되는 부위가 상기 삽입 부위로 되기 때문에, 슬랫(3, 4)의 길이 방향 단부가 바람 등으로 쉽게 펄럭이지 않는다. (7) Since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slats (3, 4) serve as the insertion portions,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slats (3, 4) do not easily flap by wind or the like.

(8) 승강 코드(11~13)가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된 승강 코드 삽입 부위에서는, 도10(a)~도10(d) 및 도11(a)~도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코드(11~13)에 의해, 차폐성이 향상된다. (8) At the elevation cord inserting portion where the elevation cords 11 to 13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yarns 6a and 6b, as shown in Figs. 10 (a) to 10 (d) The shielding property is improved by the elevation codes 11 to 13 as shown in Fig.

(9) 하부 레일(19)은, 그 폭방향 양단 상부가 윗쪽을 향할 만큼 폭방향 내측에 완곡된 완곡부(19a), 즉 하변(19c)으로부터 상변(19b)를 향하여서 일어나는 곡선 형상의 벽으로 되기 때문에, 폐회동시, 예를 들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폐 회동시에 한쪽의 경사(5a)가 완곡부(19a)에 따르는 것으로, 폭방향 양단 상부가 네모진 것에 비하여 하부 레일(19)의 일어나는 정도가 커지고, 동일한 부위에서의 차폐성이 높아진다. (9) The lower rail 19 has an eccentric portion 19a which is curved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such that the both upper end portions in the width direction thereof are directed upward, that is, a curved wall 19a rising from the lower side 19c toward the upper side 19b The one inclined yarn 5a follows the eccentric portion 19a in the closed circulation state as shown in Fig. 13, for example, so that the widthwis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clined yarn 5a,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protrusion 19 increases, and the shielding property at the same site increases.

상기 실시 형태는, 아래와 같이 변경되어도 좋다. The above embodiment may be modified as follows.

상기 실시 형태에서, 한쪽의 경사(5a)에서는 횡사(6b)가 횡사(6a)보다 아래쪽으로 형성되고, 다른쪽의 경사(5b)에서는 횡사(6a)가 횡사(6b)보다 아래쪽으로 형성됨으로 하여 교차부(7)가 형성된 횡사(6a, 6b)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횡사의 구성을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1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5a, 5b)에 대하여 횡사(21a, 21b)를 평행하게 설치하고, 그것들 횡사(21a, 21b)의 중간부에서 서로의 상하 관계를 반대로 하여 한쌍의 교차부(22)를 형성하고, 그 중간부에 있어서의 횡사(21a, 21b) 사이에 슬랫(3)(4)을 삽입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폐 회동시에 있어서, 횡형 블라인드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승강 코드(12)와 대응되는 부위의 상부측, 즉 최상단으로부터 6단째까지에서는, 승강 코드(12)의 배치에 관계없이 경사(5b)보다 외측에 배치되어도, 절결부(4b)에 래더 코드(2), 특히 교차부(22)가 결합되기 때문에 슬랫(4)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The transverse stitch 6b is formed below the transverse stitch 6a in one slope 5a and the transverse stitch 6a is formed below the transverse stitch 6b in the other slope 5b Th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in which the intersecting portions 7 are formed are not limited thereto but the transverse stitch structure may be chang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a), the transverse yarns 21a and 21b are provided parallel to the warp yarns 5a and 5b, and the vertical yarns 21a and 21b The slats 3 and 4 may b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yarns 21a and 21b in the intermediate portion. In this way,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b), at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lind in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ft code 12, And particularly the intersection portion 22 is engaged with the cutout portion 4b even when the slant 4 is disposed outside the slant 5b irrespective of the arrangement of the lift cord 12, .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관찰할 때 횡사(31a~31d)가 교차되지 않게 승강 코드(11, 13)와 슬랫(3)(4)을 공통 공간에 삽입하고, 1개의 슬랫(3)(4)의 왼쪽에서 평면으로 관찰할 때 오른쪽에 오는 횡사(31b)는 왼쪽에 오는 횡사(31a)보다 경사(5a)의 아래쪽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1개의 슬랫(3)(4)의 오른쪽에서 평면으로 관찰할 때 오른쪽에 오는 횡사(31c)는 왼쪽에 오는 횡사(31d)보다 경사(5a)의 윗 쪽에 형성될 수 있다.The lift cables 11 and 13 and the slats 3 and 4 are inserted into the common space so that the transverse yarns 31a to 31d do not intersect when viewed from the plane, The horizontal line 31b on the right side when viewed from the left side of the slant 4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ant 5a than the horizontal slant 31a on the left side, The horizontal line 31c to the right when view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slope 5a can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lope 5a than the horizontal line 31d on the left side.

본 예에서는, 예를 들면, 슬랫(3)이 좌우 방향의 어느쪽에 횡방으로 쏠리려고 하여도, 임의의 길이 방향 단부에서, 승강 코드(11, 13)와 결합된 횡사(31b, 31d)의 임의의 하나가 절결부(3a)의 가장자리부분에 결합되어 슬랫(3)의 좌우 방향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In this example, arbitrary of the transverse yarns 31b and 31d combined with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t arbitrary longitudinal direction ends, for example, even if the slat 3 tries to sidewise in the lateral direction, One end of the slit 3 is engaged with the edge of the notch 3a to prevent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lat 3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단의 횡사(6a, 6b)를 2개로 구성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3개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wo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at each end are configu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ree or more transverse stitches 6a and 6b may be used.

예를 들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에 4개의 횡사(41a~41d)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도 좋다. 이 예에서는, 한쪽의 경사(5a)에서는, 위로부터 횡사(41a~41d)가 순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다른쪽의 경사(5b)에서는 위로부터 횡사(41c, 41d, 41a, 41b)가 순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랫(3)은, 상기 절결부(3a) (도16 중 도시되지 않음)가 횡사(41a)와 횡사(41d)의 교차부(42)와 대향되게끔, 교차부(42)와 경사(5b)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좋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four transverse strikes 41a to 41d may be provided at each end. In this example, in one slope 5a, transverse streaks 41a to 41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order from the top, and in the other slope 5b, transverse streaks 41c, 41d, 41a and 41b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is order. The slat 3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ut portion 3a (not shown in Fig. 16) faces the intersection 42 of the transverse 41a and transverse 41d, (5b).

예를 들면, 도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에 3개의 횡사(6a, 6b, 51)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예에서는, 횡사(51)가 경사(5b)로부터 경사(5a)까지의 2/3정도의 사이에서 횡사(6b)에 나선 형상으로 묶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코드(11)(13)는, 횡사(6b)와 횡사(51)가 묶어지지 않는(경사(5a) 측) 부분과의 사이에 삽입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7 (a), three transverse stitches 6a, 6b and 51 may be provided at each end. In this example, the transverse yarn 51 is spirally wound around the transverse yarn 6b about 2/3 from the warp yarn 5b to the warp yarn 5a. The elevation cords 11 and 13 are inserted between a portion where the transverse warp 6b and the transverse yarn 51 are not bundled (side of the warp 5a).

이 예에서, 슬랫(3)은, 도17(b) 및 도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사(6a, 6b)의 교차부 및 횡사(6a, 51)의 교차부보다도 경사(5b)측 (전방측)에서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된다. 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s. 17 (b) and 17 (c), the slat 3 is inclined at an intersection of the crosses 6a and 6b and at an intersection of the crosses 6a and 51 (Front side) to the transverse yarns 6a and 6b.

이렇게 하여도, 도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폐 회동시에도, 승강 코드(11)와 결합된 횡사(6b, 51)가 절결부(3a)의 가장자리부분에 결합하여 슬랫(3)의 좌우 방향의 횡쏠림이 방지된다. 17 (c), the reverse warp yarns 6b, 51 combined with the lifting cords 11 are engaged with the edge portions of the cutout portions 3a to form the slats 3, Lateral displacement in the lateral direction is prevented.

도18(a) 및 도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코드(12)의 수하 부위의 6단째에 있어서, 평면으로 관찰할 때 횡사(6a, 6b)가 교차되지 않게 승강 코드(12)와 슬랫(4)을 공통 공간에 삽입하여도 좋고, 이 정전폐 회동시에도, 승강 코드(12) 및 경사(5b)가 슬랫(4)의 상단 가장자리부를 일어나는 정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승강 코드(12)가 없을 경우보다도 차폐성이 향상된다. As shown in Figs. 18 (a) and 18 (b), when the elevation cord 12 (see Fig. 18 And the lifting cord 12 and the inclined yarn 5b are press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gree of occurrence of the upper end edge portion of the slat 4 is increased , The shielding property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ft code 12 is not provided.

또한, 도18(c) 및 도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코드(11, 13)의 수하 부위의 6단째 이하에 있어서, 평면으로 관찰할 때 횡사(6a, 6b)가 교차되지 않게 승강 코드(11, 13)와 슬랫(3)(4)을 공통 공간에 삽입하여도 좋고, 상기 정전폐 회동시에도, 슬랫(3, 4)과 경사(5a) 사이에 승강 코드(11, 13)가 개재되기 때문에 차폐성이 향상된다. As shown in Figs. 18 (c) and 18 (d), the horizontal lines 6a and 6b are not crossed when viewed in a plan view at the sixth level or below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lift cords 11 and 13 The lifting cords 11 and 13 and the slats 3 and 4 may be inserted into the common space and the lift cords 11 and 13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lats 3 and 4 and the slopes 5a, 13) are interposed between them, shielding properties are improved.

또한, 물론, 역전폐 회동시에도, 동일하게 차폐성이 향상된다. In addition, of course, the shielding property is likewise improved in the reverse rotation closing cycl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 코드(11~13)를 승강 권취축(14a~14c)으로 권취하는 타입의 횡형 블라인드로 구체화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19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드 이퀄라이저(61)를 손으로 잡아당겨 승강 코드(11~13)를 윗쪽으로 이동시키는 타입의 횡형 블라인드로 구체화 하여도 좋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vertical blinds of the typ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cords 11 to 13 are wound up by the lifting and winding shafts 14a to 14c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re embodied. However,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horizontal blinds may be embodied as a horizontal blind type in which the lifting cords 11 to 13 are moved upward by pulling the cord equalizer 61 by hand.

이러한 타입의 횡형 블라인드로 구체화 하여도, 상기 실시 형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Even when this type of horizontal blind is embodied,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obtained.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승강 코드(11~13)가 횡사(6a, 6b) 사이에 삽입되지 않고, 슬랫(4)의 전방측 가장자리부 및 후방측 가장자리부에 절결부(4a, 4b)가 설치되는 양쪽 절결단이, 최상단으로부터 5단째까지 설치되었지만, 양쪽 절결단이 설치되는 단은, 래더 코드 폭, 승강 도출구(1b)의 전후 방향의 폭에 의해 적당하게 다른 단개수로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최상단으로부터 4단째까지나, 최상단으로부터 7단째까지 양쪽 절결단을 설치하여도 좋다.The lift cords 11 to 13 are not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als 6a and 6b and the notches 4a and 4b are provided in the front side edge portion and the rear side edge portion of the slat 4 Although the step of cutting both ends is provided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fifth stage, the step provided with both cut edges may be changed to a different number of stages suitably depending on the ladder code width and the wid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elevation lead 1b. For example,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be provided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fourth stage and from the uppermost stage to the seventh stage.

1 : 헤드 박스
2 : 래더 코드
3,4 : 슬랫
3a,4a,5a : 절결부
6a,6b,21a,21b,31a~31d,41a~41d,51 : 횡사
7,22,42 : 교차부
11~13 : 승강코드
16 : 조작 장치
1: Head box
2: Ladder code
3,4: Slats
3a, 4a, 5a:
6a, 6b, 21a, 21b, 31a to 31d, 41a to 41d, 51:
7, 22,
11 to 13: Lift code
16: Operation device

Claims (7)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에 복수단의 슬랫을 지지하고, 상기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는 복수개의 승강 코드를 상기 슬랫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하하고,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더 코드를 통하여 슬랫을 회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코드를 승강시켜서 상기 슬랫을 승강 가능하게 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슬랫은, 전후 방향의 한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부와, 전후 방향의 다른측에 위치하는 제2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슬랫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에만 절결부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 코드를 상기 래더 코드 횡사 사이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코드가 상기 절결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한쪽 절결단과,
상기 승강 코드를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하지 않고, 상기 슬랫의 전후 방향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 및 상기 제2가장자리부에 절결부를 설치한 양쪽 절결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블라인드.
A plurality of stages of slats ar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adder cords suspended from the head box, a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cords received from the head box are respectively receiv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slats, And a lifting / lowering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lifting / lowering cradle,
The slat has a first edge portion located on one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edge portion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back-and-forth direction,
A stepped portion is provided only at the first edge portion of the slat, the lift cord is inserted between the ladder cord transverse stitches, and the lift cord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utout portion,
Wherein the lift cords are not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and both cutouts are provided at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second edge portion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lat,
And a horizontal bli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절결단을, 최상단으로부터 복수단으로 걸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블라인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h side edges are provid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most end to the plural stage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는, 후방측 가장자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블라인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edge portion of the slat is a rear edge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부의 상기 절결부와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상기 절결부를 상기 슬랫의 길이 방향의 다른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블라인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utout portion of the first edge portion and the cutout portion of the second edge portion are form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 코드의 각 단의 횡사를 복수개의 횡사로 이루어지는 1조의 횡사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횡사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가 형성되게 설치하고,
상기 각 절결부가 각각 상기 교차부와 대향되게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블라인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ossing of each end of the ladder cords is constituted by a set of crosses made up of a plurality of crosses and an intersection where the crosses cross each other is formed,
And the slats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reaks so that the cutouts face the intersecting portion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 코드의 각 단의 횡사를 복수개의 횡사로 이루어지는 1조의 횡사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횡사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가 형성되게 설치하고,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한 삽입 부위와,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위에 얹어진 상승 부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블라인드.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rossing of each end of the ladder cords is constituted by a set of crosses made up of a plurality of crosses and an intersection where the crosses cross each other is formed,
An insertion portion in which the slat is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itches, and a rising portion on which the slat is placed on the horizontal stitch.
헤드 박스로부터 매달려 지지되는 복수개의 래더 코드에 복수단의 슬랫을 지지하고, 상기 헤드 박스로부터 수하되는 복수개의 승강 코드를 상기 슬랫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수하하고,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래더 코드를 개재하여 슬랫을 회동 조작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승강 코드를 승강시켜 상기 슬랫을 승강 조작 가능하게 한 횡형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래더 코드의 각 단의 횡사를 복수개의 횡사로 이루어지는 1조의 횡사로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횡사가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가 형성되게 설치하고,
상기 슬랫은, 전후 방향의 한측에 위치하는 제1가장자리부와, 전후 방향의 다른 측에 위치하는 제2가장자리부를 가지고,
상기 횡형 블라인드가, 상기 슬랫의 상기 제1가장자리부에 절결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절결부와 길이 방향에 다른 위치의 상기 제2가장자리부에도 절결부를 설치하고, 각 절결부가 각각 상기 교차부와 대향되게 상기 슬랫을 상기 횡사 사이에 삽입한 양쪽 절결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형 블라인드.
A plurality of stages of slats are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adder cords suspended from the head box, a plurality of lifting and lowering cords received from the head box are respectively received in front of and behind the slats, And a lifting /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 lowering cradle, so that the lifting /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
Wherein the crossing of each end of the ladder cords is constituted by a set of crosses made up of a plurality of crosses and an intersection where the crosses cross each other is formed,
The slat has a first edge portion located on one sid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cond edge portion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in the back-and-forth direction,
Wherein the horizontal blind is provided with a cutout at the first edge portion of the slat and a cutout portion at the second edge portion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cutout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of the cut-away ends of the slats are inserted between the transverse stubs so as to face the portion of the horizontal blind.
KR1020157001365A 2012-06-20 2013-06-18 Horizontal blind KR10208818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9253 2012-06-20
JP2012139253 2012-06-20
PCT/JP2013/066764 WO2013191186A1 (en) 2012-06-20 2013-06-18 Horizontal bli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895A true KR20150024895A (en) 2015-03-09
KR102088185B1 KR102088185B1 (en) 2020-03-12

Family

ID=4948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1365A KR102088185B1 (en) 2012-06-20 2013-06-18 Horizontal blind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6309891B2 (en)
KR (1) KR102088185B1 (en)
CN (1) CN104379863B (en)
IT (1) ITTO20130498A1 (en)
TW (1) TWI567287B (en)
WO (1) WO201319118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4848B2 (en) * 2013-05-15 2018-05-30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Horizontal blind
TW201634804A (en) * 2015-01-23 2016-10-01 Tachikawa Blind Mfg Horizontal blind
CN108884091B (en) 2016-03-10 2021-04-13 日产化学株式会社 Condensed heterocyclic compound and pest control agent
CN111911060A (en) * 2019-05-10 2020-11-10 立川窗饰工业株式会社 Horizontal shutter
JP7274959B2 (en) * 2019-06-28 2023-05-17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horizontal blin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876A (en) * 1991-12-26 1993-07-20 Tachikawa Blind Mfg Co Ltd Horizontal blind and ladder cord therefor
JPH0932441A (en) * 1995-07-25 1997-02-04 Tachikawa Kiko Kk Horizontal blind
JP2011252265A (en) * 2010-05-07 2011-12-15 Nichibei Co Ltd Horizontal blin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0396Y2 (en) * 1986-05-08 1992-09-22
JPH076477Y2 (en) * 1989-10-28 1995-02-15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Horizontal blinds
JPH088233Y2 (en) * 1990-07-10 1996-03-06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Assembly structure of slats in horizontal blinds
JPH0882175A (en) * 1994-09-08 1996-03-26 Nisso Kenzai Kk Directional blind
DE29701748U1 (en) * 1996-02-08 1997-05-15 Hunter Douglas International louvre
US5727613A (en) * 1996-11-12 1998-03-17 Judkins; Ren Ladder for venetian type blinds
JP2002227560A (en) * 2001-01-31 2002-08-14 Tachikawa Blind Mfg Co Ltd Rudder cord adjusting device for horizontal blind
TW200942679A (en) * 2007-12-28 2009-10-16 Masao Ishizuka Blind
JP5504480B2 (en) * 2010-06-24 2014-05-28 株式会社ニチベイ Horizontal blin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9876A (en) * 1991-12-26 1993-07-20 Tachikawa Blind Mfg Co Ltd Horizontal blind and ladder cord therefor
JPH0932441A (en) * 1995-07-25 1997-02-04 Tachikawa Kiko Kk Horizontal blind
JP2011252265A (en) * 2010-05-07 2011-12-15 Nichibei Co Ltd Horizontal blin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실용신안공고 평7-6477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191186A1 (en) 2016-05-26
CN104379863A (en) 2015-02-25
ITTO20130498A1 (en) 2013-12-21
JP6309891B2 (en) 2018-04-11
CN104379863B (en) 2016-06-15
TWI567287B (en) 2017-01-21
WO2013191186A1 (en) 2013-12-27
JP6431226B2 (en) 2018-11-28
KR102088185B1 (en) 2020-03-12
TW201402932A (en) 2014-01-16
JP2018087493A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895A (en) Horizontal blind
CN102971479B (en) Sun curtain for architectural openings
US9249619B2 (en) Window covering
US6105652A (en) Venetian type blind having separately tilting slat sections
JP6408115B2 (en) Horizontal blind
JP6196021B2 (en) Horizontal blind
JP5975835B2 (en) Horizontal blind
AU2015200302A1 (en) Window Blind
JP2014218827A (en) Horizontal blind
JP6550382B2 (en) Horizontal blind
JP2016033323A (en) Horizontal-type blind
JP6598456B2 (en) Horizontal blind
JP2007120253A (en) Slat angle adjusting device of horizontal blind
JP6514513B2 (en) Horizontal blind
JP6339321B2 (en) Horizontal blinds and horizontal blind slats
JP6480251B2 (en) blind
KR101208010B1 (en) blind
JP6577538B2 (en) Horizontal blinds and bottom rails for horizontal blinds
US20230332461A1 (en) Venetian blind
JP2020176503A (en) Horizontal blind
JP2018119399A (en) Horizontal blind and slat for horizontal blind
JP2016211212A (en)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