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391A -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391A
KR20150024391A KR1020157000399A KR20157000399A KR20150024391A KR 20150024391 A KR20150024391 A KR 20150024391A KR 1020157000399 A KR1020157000399 A KR 1020157000399A KR 20157000399 A KR20157000399 A KR 20157000399A KR 20150024391 A KR20150024391 A KR 20150024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unit
home
security bracelet
electronic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메르 쉐흐터
데이비드 슈바
메이어 지그만
아이도 로젠펠드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24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1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respassing over a fixed physical boundary, e.g. the end of a gard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6Threshold set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8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adding new units to the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94Display details on parent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27System arrangements with a plurality of child un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9Signalling of the alarm condition to a substation whose identity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relaying alarm signals in order to extend communication r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신규하며 개선된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관련 설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홈 유닛이 설치되었을 때 자동 위치 확인이 가능한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자동 위치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홈 유닛에 대한 지능형 출입허용구역 설정이 가능한 홈 유닛 및 이러한 출입허용구역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유닛과 중앙 감시 시스템 사이의 자동 통신을 이용하는 간소화된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설치 방법{ELECTRONIC MONITORING HOME UNIT AND INSTALLATION METHODS}
본 발명은 전자 감시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자택과 같은 특정 위치에서의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전자 감시 홈 유닛의 설치에 관한 것이다.
많은 카운티(counties), 주(states) 및 국가에서, 출소한 범죄자 및 다른 감시 대상자를 전자 감시하는 것은 가석방, 가택연금 또는 다른 이유로 감시되는 개인들을 추적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자 감시 홈 유닛은 많은 감시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자택 또는 감시 대상자와 관련되는 다른 감시 장소에 설치된다. 홈 유닛은 흔히 라디오 주파수(RF) 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통신을 통해 감시 대상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보안 브레이슬렛(security bracelet) 또는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감시 대상자가 홈 유닛의 정해진 거리 내, 즉, 출입허용구역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다. 전자 감시 홈 유닛은 감시 대상자의 자택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경찰관 또는 다른 설치 기술자에 의해 설치되도록 설계된다. 설치 과정은 번거롭고 긴 시간이 걸리며, 중앙 감시 시스템의 대표자와의 빈번한 전화 통신을 요구한다.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관련 설치 방법을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관련 설치 방법에 대한 다양한 개선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홈 유닛이 설치되었을 때 자동적 위치 확인이 가능한 홈 유닛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홈 유닛이 올바른 위치에 설치되었는지를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가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감시 대상자가 스스로 홈 유닛을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홈 유닛에 대한 지능적이며 자동적인 출입허용구역 설정이 가능한 홈 유닛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가 자택 감시 위치를 테스트하여 적합한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결정할 필요가 없게 한다. 본 발명은 홈 유닛과 중앙 감시 시스템 사이의 자동 통신을 이용하여 간소화된(streamlined) 설치 방법으로 제공함으로써, 홈 유닛을 설치하려는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가 중앙 감시 시스템의 대표자와 긴 시간의 전화 통화를 할 필요가 없게 한다. 이들 장점 각각은 기존 디바이스 또는 유닛 및 방법보다 현저한 개선점을 제공한다. 언급된 유닛 및 방법은 이하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은 전자 감시 홈 유닛의 위치 확인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보안 브레이슬렛을 제공하는 단계와,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홈 유닛은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보안 브레이슬렛을 홈 유닛에 연결하는 단계(binding)와, 통신 모듈이 전자 감시 홈 유닛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작동되면 홈 유닛이 설치되었다는 확인을 전송하는데, 이 확인은 홈 유닛의 위치 및 홈 유닛과 무선 통신하는 보안 브레이슬렛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동 위치 확인 기능을 갖는 전자 감시 홈 유닛을 더 포함한다. 홈 유닛은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데, 이 통신 모듈은 보안 브레이슬렛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홈 유닛이 작동되면, 통신 모듈은 중앙 감시 시스템에 설치 확인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확인은 홈 유닛의 위치 및 홈 유닛과 RF 통신하는 보안 브레이슬렛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자 감시 홈 유닛에 대한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이 홈 유닛은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이 프로세서는 자택 출입허용구역에 대한 사전 결정된 최대 허용 범위로 프로그래밍된다. 이어서, 이 방법은 홈 유닛을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하는 단계와, 홈 유닛에 의해, 홈 유닛으로부터 감시 대상자가 착용한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택 출입허용구역을 자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전자 감시 홈 유닛을 포함한다. 이 홈 유닛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데, 통신 모듈은 보안 브레이슬렛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자택 출입허용구역에 대한 사전 결정된 최대 허용 범위로 프로그래밍된다. 홈 유닛은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되며, 홈 유닛은 홈 유닛으로부터 감시 대상자가 착용한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 홈 유닛은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조절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은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원격으로 설치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감시 대상자에 대한 감시 장소에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홈 유닛은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보안 브레이슬렛은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그 후, 이 방법은 보안 브레이슬렛을 감시 대상자의 수족에 채우는 단계와, 홈 유닛을 감시 장소 내의 원하는 위치에 물리적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무선 통신을 통해 보안 브레이슬렛을 홈 유닛에 연결하는 단계를 요구한다. 홈 유닛은 중앙 감시 시스템과 자동적으로 통신하여 홈 유닛의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는 설치 완료를 확인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본 개시물 및 그것의 이점에 대한 더 완전한 이해를 위해, 이제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1은 보안 브레이슬렛 및 홈 유닛을 포함하는 예시적 전자 감시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예시적 전자 감시 홈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다양한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갖는 예시적 전자 감시 홈 유닛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전자 감시 홈 유닛에 대한 위치 확인을 위한 예시적 워크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전자 감시 홈 유닛에 대한 범위 설정을 위한 예시적 워크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간소화된 전자 감시 홈 유닛 설치를 위한 예시적 워크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들은 반드시 축척대로 된 것은 아니다. 도면에 사용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대체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러나, 주어진 도면에서 하나의 구성소자를 지칭하는 도면 부호의 사용은 동일한 번호로 표기된 다른 도면에서의 구성소자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보안 브레이슬렛(12) 및 홈 유닛(20)을 포함하는 예시적 전자 감시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있다. 전자 감시 시스템(10)은, 자택 또는 감시 장소에서 감시 대상자(19)의 완전한 감시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인터페이싱하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보안 브레이슬렛(12)은 감시 대상자에 의해 착용된다. 이는, 감시 대상자(19)의 발목, 팔목 또는 다른 부위에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 브레이슬렛(12)은, 감시 대상자(19)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목적으로 감시 대상자(19)가 착용 또는 소지하는 임의의 적합한 보안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브레이슬렛(12)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홈 유닛과의 무선 통신을 촉진하며,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감시 시스템(18)과의 통신을 촉진한다. 통신 모듈은 RF 송수신기 및/또는 무선 근거리망(WLAN) 또는 셀룰러 통신과 같은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안 브레이슬렛(12)은 위성(16) 통신에 기초하는 위치파악 기능 또는 다른 유형의 위치파악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파악 기능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셀룰러 삼각측량(cellular triangulation), 및 특정 무선 네트워크와 IP 어드레스로의 접속에 기초하는 위치파악 기능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전자 감시 홈 유닛(20)은 자택, 근무지 또는 감시 대상자(19)가 상당한 시간을 보내거나 규칙적인 시간을 보내는 다른 위치와 같은 고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홈 유닛(20)은 프로세서(21) 및 통신 모듈(22)을 포함하는데, 통상적으로 이들은 모두 홈 유닛(20)의 하우징 또는 상자(encasement) 내에 수용된다. 프로세서(21)는 기본적인 프로세싱, 컴퓨팅, 제어 및 저장 기능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22)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위치파악 기능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와 같은 위성(16) 기반 위치파악 기능, 셀룰러 삼각측량(cellular triangulation), 및 특정 무선 네트워크와 IP 어드레스로의 접속에 기초하는 위치파악 기능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기능은 홈 유닛이 중앙 감시 시스템(18) 및 보안 브레이슬렛(12)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무선 통신 기능은 본 명세서를 읽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임의의 적합한 통신 기능일 수 있으며, RF 송수신기 및/또는 무선 근거리망(WLAN) 또는 셀룰러 통신과 같은 기타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홈 유닛(20)의 통신 모듈은, 전화선 또는 이더넷을 구현하는 근거리망(LAN) 포트와 같은 유선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자 감시 홈 유닛(20)상의 디스플레이(23)는 홈 유닛(20)으로 하여금 감시 대상자(19) 또는 홈 유닛(20)의 기능을 설치 또는 확인하는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와 정보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중앙 감시 시스템(18)은 컴퓨팅, 프로세싱, 저장 및 기타 기능을 포함하여 홈 유닛(20) 및 보안 브레이슬렛(12)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으며, 홈 유닛(20) 또는 보안 브레이슬렛(12)보다 장기간 동안 위치, 상태 및 기타 관련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중앙 감시 시스템(18)은 감시 대상자(19)의 위치를 감시하기 위해 운영자가 중앙 감시 시스템(18)에 로그할 수 있게 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지거나, 감시 대상자(19)의 위치에 관한 보고를 수행하거나, 홈 유닛(20)의 디스플레이(23)상에 표시될 통보를 송신하거나, 중앙 감시 시스템(18)을 관리하고 대화(interact)할 수 있다.
홈 유닛(20), 중앙 감시 시스템(18) 및 보안 브레이슬렛(12)은 함께 동작하여 감시 대상자(19)에 대한 감시 환경을 생성한다. 보안 브레이슬렛(12)은 RF 통신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의 통신을 통해 홈 유닛(20)과 정기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홈 유닛(20)의 출입허용구역 내에 감시 대상자(19)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보안 브레이슬렛(12)과 홈 유닛(20) 사이의 정기적 통신은 5초당 1회 내지 1분당 1회 등과 같이 순환 기반으로(recurring basis) 수행될 수 있다. 홈 유닛(20)이 사전 설정된 시간, 가령, 1분, 5분 또는 임의의 적합한 다른 시간 동안 보안 브레이슬렛(12)의 존재를 검출하지 못하면, 홈 유닛(20)은 중앙 감시 시스템(18)과 통신하여 홈 유닛(20)이 위반을 검출하였다고 이 시스템에 통보한다. 이 통신은 위반이 검출된 즉시 수행되거나 스케줄에 따라, 가령, 1일 1회 수행될 수 있다. 위반을 통보 받으면, 중앙 감시 시스템(18) 또는 중앙 감시 시스템(18)에 위치한 사람은 어떤 적합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데, 가령, 감시 대상자(19)의 감독관에게 위반을 통보하거나, 기술적 장애가 있었는지 감시 대상자(19)에게 자동적으로 전화하여 묻거나, 이메일, SMS 메시지, 팩스, 호출(page) 또는 다른 형태의 경고(alert) 또는 통보를 감시 대상자(19)와 관련되는 개인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보안 브레이슬렛(12)은, 보안 브레이슬렛(12)이 홈 유닛(20)과 통신하지 않거나 홈 유닛(20)에 대한 출입허용구역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중앙 감시 시스템(18)에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는, 감시 대상자(19)가 일하러 가거나, 심부름을 가거나, 감시 장소로부터 멀어지는 다른 활동 또는 동작을 수행할 때 그들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게 한다.
도 2는 예시적 전자 감시 홈 유닛(20)을 도시하고 있다. 홈 유닛(20) 프로세서(21), 통신 모듈(22), 디스플레이(23), 유저 인터페이스(24), 스피커(25) 및 송수화기(2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는 기본 프로세싱, 컴퓨팅, 제어 및 저장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는 홈 유닛(20)의 출입허용구역 범위 내에 특정 감시 대상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예상될 때에 관한 규칙을 저장할 수 있다. 이 특정 정보는 중앙 감시 시스템에 의해 프로세서(21)로 전송될 수 있으며, 감독관의 요청에 근거하여 규칙이 변경될 때 업데이트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다수의 감시 대상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될(bound) 수 있다. 반대로, 하나의 보안 브레이슬렛이 다수의 홈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는 한 명의 감시 대상자가 상이한 시각에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것이 예상될 때의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보안 브레이슬렛이 감시 대상자의 자택에 위치하는 홈 유닛(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의 홈 유닛(20)은 감시 대상자의 근무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보안 브레이슬렛이 그 홈 유닛에도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특정 보안 브레이슬렛과 관련하여, 출입허용구역에 대한 사전 결정된 최대 허용 범위 및 조절된 출입허용구역 범위, 또는 출입허용구역 범위 스케줄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는 보안 브레이슬렛과 홈 유닛(20) 사이의 검출된 거리를 저장할 수 있다. 홈 유닛(20)과 보안 브레이슬렛 사이의 실제 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는데, 이는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출입허용구역 범위는 시간대(time of day)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감시 대상자가 수면 중일 것으로 예상되는 야간에는, 출입허용구역 범위는 감시 대상자가 주로 침실 또는 자택의 다른 위치에 존재할 것이라는 예상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홈 유닛(20) 또는 보안 브레이슬렛이 중앙 감시 시스템에 경고를 보내기 전에 보안 브레이슬렛이 출입허용구역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 허용되는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중앙 감시 시스템은 경고를 수신하면 다양한 통신 방법을 통해 제 3 자에게 경고를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2)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모두 포함한다. 위치파악 기능은 GNSS, GPS와 같은 위성(16) 기반 위치파악 기능, 셀룰러 삼각측량, 및 특정 무선 네트워크와 IP 어드레스로의 접속에 기초하는 위치파악 기능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기능은 RF 송수신기, 무선 근거리망(WLAN) 또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읽는 당업자에게 다른 통신 기술이 자명할 것이다. 또한, 홈 유닛(20)의 통신 모듈은, 전화선 또는 이더넷을 구현하는 근거리망(LAN) 포트와 같은 유선 통신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22)은 이중 통신으로 설계되어, 한 형태의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고장나면, 제 2 형태의 통신을 통해 메시지가 동시에 전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LED, LCD, 또는 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설치 설명, 설치가 완료되었지의 확인, 감시 대상자에 관한 신원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와, 중앙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홈 유닛(20)으로 전송되는, 중앙 감시 시스템에 전화하라는 감시 대상자에 대한 경고 또는 지시와, 감시 대상자가 출입허용구역 외부에서 허용된 시간을 초과하였으며 중앙 감시 시스템에 이를 통보하였다는 경고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는 기술자가 홈 유닛(21)을 점검하는 것을 돕기 위한 기술자 모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는 작동 시 최초의 구성 모드에 존재할 수 있으며, 설치 완료에 관한 설명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청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4)는 감시 대상자 또는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가 홈 유닛(20)과 대화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감시 장소에 홈 유닛을 설치할 때, 감시 대상자 또는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액티브" 버튼을 눌러서 설치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는 감시 대상자가 착용한 보안 브레이슬렛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보안 브레이슬렛을 홈 유닛(20)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24)는 또한 스피커(25)를 포함한다. 스피커는 설치 설명과 같은 청각적 지시사항을 감시 대상자 또는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에게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송수화기(26)는 감시 대상자가 감시 장소 또는 출입허용구역 내에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대상자가 미리 결정된 또는 사전 설정된 허용 시간을 초과하는 시간 길이 동안 출입허용구역 외부에 존재하면, 중앙 감시 시스템은 자동적으로 홈 유닛에 전화를 걸고, 감시 대상자는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앙 감시 시스템은 감시 대상자를 무작위로 호출하여, 홈 유닛 또는 보안 브레이슬렛에 대한 부정 변경(tamper)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감독관은 홈 유닛을 통해 감시 대상자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갖는 예시적 전자 감시 홈 유닛(20)을 도시하고 있다. 감시 장소(30)는 자택, 근무지 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감시 장소일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감시 장소(30)는 다수의 감시 대상자가 시간을 보내는 시설일 수 있으며, 따라서 홈 유닛(20)은 다수의 보안 브레이슬렛(12)에 연결되어 그 위치를 감시할 수 있다. 여러 출입허용구역 범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출입허용구역 범위(36)는 디폴트 최대 허용 범위이며, 따라서 홈 유닛(20)이 처음 설치될 때 감시 대상자에 대한 디폴트 출입허용구역 범위이다. 이 도면에서, 감시 대상자는 감시 장소(30)의 건물 내에 머물도록 배치될 수 있다. 출입허용구역(36)이 감시 장소(30)의 건물 외곽보다 크기 때문에, 감시 대상자가 주로 건물 내에 머무는 경우, 홈 유닛(20)은 보안 브레이슬렛(12)과 홈 유닛(20) 사이의 거리 패턴이 출입허용구역(36)에 의해 허용되는 거리 보다 짧다고 검출할 것이다. 이 패턴에 기초하여, 홈 유닛(20)은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보다 작은 범위, 가령, 출입허용구역(34)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출입허용구역(32)은 이 감시 장소(30)에서의 정확한 감시를 위해 지나치게 제한적일 것이다. 그러나, 감시 대상자가 홈 유닛(20)과 동일한 공간에서 수면 중인 경우, 출입허용구역(32)은 특정 시간대, 가령, 감시 대상자가 수면 중일 것으로 예상되는 야간 시간 동안에 사용될 수 있다. 출입허용구역(32, 34 및 36)은 예시적인 출입허용구역이다. 실제 디폴트 최대 허용 범위는 도시된 것보다 훨씬 클 수 있으며, 출입허용구역은 프로세서(21)에 의해 계산되는 임의의 특정 값이거나, 프로세서(21) 내에 저장되는 임의의 존재 값이거나, 중앙 감시 시스템으로부터 프로세서(21)에 의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출입허용구역이 2차원적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장소 내에서 외곽 및 높이를 감시하는 홈 유닛으로부터 전방향적으로 방사한다(radiate).
도 4는 전자 감시 홈 유닛에 대한 위치 확인을 위한 예시적 워크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위치 확인 프로세스는, 홈 유닛으로 하여금 홈 유닛의 설치 및 작동 시에 올바른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이 프로세스는 감시 대상자가 홈 유닛을 스스로 설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단계(40)는 보안 브레이슬렛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감시 대상자가 감옥으로부터 출소하여 전자 감시로 전환하는 감시 기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보안 브레이슬렛이 감시 대상자에게, 통상적으로 감시 대상자의 팔목 또는 발목에 채워질 수 있다. 많은 이러한 보안 브레이슬렛은 또한 감시 대상자가 보안 브레이슬렛을 제거하려고 시도했는지를 검출하는 부정 변경 검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단계(42)는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홈 유닛은 전술한 프로세서,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설치를 위해 홈 유닛을 제공할 때, 홈 유닛은 설치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 기초하여 목적 위치로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목적 위치는 GPS 좌표, 주소 또는 임의의 다른 실행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단계(44)는 보안 브레이슬렛과 전자 홈 감시 유닛을 전자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단계(44)는 프로세스의 임의의 시점에 수행될 수 있다. 연결하는 단계는, 보안 브레이슬렛을 하나 또는 다수의 전자 감시 홈 유닛에 연관시키거나 지정한다. 연결 프로세스는 홈 유닛을 보안 브레이슬렛에 관한 식별 정보로 프로그래밍하거나 보안 브레이슬렛을 홈 유닛에 관한 식별 정보로 프로그래밍하거나, 이들 모두를 포함한다. 이는, 홈 유닛으로 하여금 올바른 보안 브레이슬렛과 통신하고 있으며 적합한 개인을 감시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단계(44)는, 다수의 보안 브레이슬렛을 하나의 홈 유닛에 연결하거나 다수의 홈 유닛을 하나의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44)는, 홈 유닛과 보안 브레이슬렛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개시하여, 홈 유닛이 보안 브레이슬렛이 홈 유닛의 최대 허용 범위 내에 머무르는지를 감시한다. 홈 유닛의 작동 이전에 프로세서에 저장된 최대 허용 범위는, 감시 대상자가 홈 유닛을 설치하는 도중에는 이를 소지하기 마련이므로, 상당히 작을 수 있다.
단계(46)는 홈 유닛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홈 유닛은 위치파악 기능을 포함하며, 켜지거나 적합한 지시가 주어지면 자신의 위치를 검출하기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위치파악 기능은 홈 유닛으로 하여금 자신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감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단계(48)는 홈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감시 대상자가 감시 장소에 도착하여 홈 유닛을 설치함으로써 수행되거나,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홈 유닛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버튼을 눌러야 하거나, 보안적 이유로 홈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해 패스 코드를 입력하거나 기타 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단계(49)는 홈 유닛이 설치되었다는 확인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확인은 중앙 감시 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으며, 홈 유닛의 설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홈 유닛의 현재 위치 또는 가장 최근에 검출된 위치에 근거하여 알려진다. 또한, 이 확인은 홈 유닛과 무선 통신하는 보안 브레이슬렛으로부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홈 유닛이 사전 결정된 시간 내에 확인을 전송하지 않으면, 알람이 작동된다. 알람 작동은 중앙 감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설치된 홈 유닛의 위치가 프로그래밍된 목적 위치의 사전 결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홈 유닛은 알람을 트리거링한다. 일부 실시형태는, 보안 브레이슬렛이 제 2의 확인을 중앙 보안 시스템으로 송신하여 2개의 유닛이 올바르게 동작하고 구성되는지를 보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전자 감시 홈 유닛에 대한 범위 설정을 위한 예시적 워크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50)는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홈 유닛은,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세서,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유닛의 프로세서는 보안 브레이슬렛에 대한 최초 출입허용구역으로서 역할하는 디폴트 최대 허용 범위로 프로그래밍된다.
단계(52)는 보안 브레이슬렛과 전자 홈 감시 유닛을 전자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연결 프로세스는 홈 유닛을 보안 브레이슬렛에 관한 식별 정보로 프로그래밍하는 것, 보안 브레이슬렛을 홈 유닛에 관한 식별 정보로 프로그래밍하는 것,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홈 유닛으로 하여금 홈 유닛이 올바른 보안 브레이슬렛과 통신하고 있으며 적합한 개인을 감시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단계(52)는, 다수의 보안 브레이슬렛을 하나의 홈 유닛에 연결하거나 다수의 홈 유닛을 하나의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52)는, 홈 유닛과 보안 브레이슬렛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여, 보안 브레이슬렛이 홈 유닛의 최대 허용 범위 내에 머무르는지를 홈 유닛이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4)는, 보안 브레이슬렛과 전자 감시 홈 유닛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홈 유닛은 다양한 방법 및 요인을 사용하여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홈 유닛은 다른 중계 안테나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다른 안테나는 보안 브레이슬렛의 존재를 검출하고 정보를 홈 유닛에 중계한다. 보안 브레이슬렛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근접도 검출 기반 방법은 보안 브레이슬렛이 다른 안테나 중 어느 것에 가장 가까운지를 식별하는 것과, 이 정보를 홈 유닛에 중계하여 홈 유닛에 대한 보안 브레이슬렛의 근사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것에 의존한다.
단계(54)에서, 보안 브레이슬렛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도달 시각(Time of arrival; TOA)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TOA 방안에서, 응답을 요청하는 신호가 보안 브레이슬렛으로 송신된다. 홈 유닛으로부터의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는 홈 유닛이 응답하는 데 걸리는 시간에 근거하여 계산될 수 있다. 위치파악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액세스 포인트가 보안 브레이슬렛을 트리거링할 수 있으며, 여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정보가 삼각측량에 사용되어 보안 브레이슬렛에 대한 보다 정확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도달 각(Angle of arrival; AOA)은, 단계(54)에서 요구되는 보안 브레이슬렛과 전자 감시 홈 유닛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기 위한 다른 방법을 제공한다. AOA도 다수의 안테나에 의존하며, 한 쌍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는 가장 강한 신호의 교차점에 따라 보안 브레이슬렛의 위치를 추정한다.
최종적으로, 수신된 신호 강도 표시자(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은 홈 유닛 이외의 더 이상의 안테나를 반드시 요구하지는 않는다.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신호가 강할수록 보안 브레이슬렛이 홈 유닛에 가깝다는 것을 이용하여, 홈 유닛은 보안 브레이슬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강도에 근거하여 홈 유닛으로부터의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를 추정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최대 허용 범위는 미터 단위의 거리가 아닌 dBm 단위의 수신된 신호의 강도로 표시될 수 있다. 단계(56)는, 보안 브레이슬렛이 홈 유닛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는 거리에 대한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절된 출입허용구역 범위는 홈 유닛에 의해 기록된 거리에 근거하여, 홈 유닛은 특정 감시 장소에 대해 실제로 필요한 거리를 효과적으로 학습한다. 학습 기간 동안, 감시 대상자가 자택 또는 감시 장소를 돌아다님에 따라, 홈 유닛은 시간대 및 예상되는 이동에 기초하여 통행금지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출입허용구역은 다양한 센서에 의해 특정 스케줄에 따라 훨씬 상세히 결정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여러 예는 감시 대상자가 수면하는 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광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모션 센서가 홈 유닛이 고요할 때, 따라서, 감시 대상자가 수면 중일 가능성이 높다는 표시를 제공한다. 침실의 습도 디바이스는 습도가 증가된 시간 동안에 감시 대상자가 욕실에 있다고 홈 유닛이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온도 또는 자외선(UV) 센서는, 감지된 UVA 지수(UVA terms) 또는 온도 변화와 함께, 감시 대상자가 실내에서 외부로 나갈 때의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감시 대상자가 실내에 있는지 또는 외부에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그 후, 출입허용구역 범위가 조절되어 실제 요구되는 범위에 보다 가깝게 맞춰지며, 보다 정확한 홈 감시를 제공한다. 출입허용구역 범위가 조절될 수 있어서, 시간대 별로 상이한 출입허용구역 범위가 존재한다. 또한, 감시 대상자의 행동이 변함에 따라, 이 범위는 그 변하는 행동에 기초하여 재조절될 수 있다. 불규칙적인 형태를 갖는 감시 지역에서는, 홈 유닛에 추가하여 중계 안테나 또는 리피터가 감시 장소에 추가될 수 있으며, 전체 장소에 대한 적절한 감시 커버리지가 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도 6은 간소화된 전자 감시 홈 유닛 설치를 위한 예시적 워크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현재 기술보다 현저한 개선점을 제공하는데, 이 개선점은 이하의 "예" 단락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이 레벨 상에서, 이 방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60)는 보안 브레이슬렛을 제공하는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단계는, 감시 대상자가 감옥으로부터 출소하여 전자 감시로 전환되는 감시기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보안 브레이슬렛이 감시 대상자에게, 통상적으로 감시 대상자의 팔목 또는 발목에 채워진다. 많은 이러한 보안 브레이슬렛은 또한 감시 대상자가 보안 브레이슬렛을 제거하려고 시도했는지를 검출하는 부정 변경 검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는 감시 장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단계(62)는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홈 유닛은 전술한 프로세서,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유닛은 감시 장소에 제공될 수 있다.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을 감시 장소에 제공하기 이전에, 이들을 서로 연관시키고 감시 대상자와 이들을 연관시키기 위한 정보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유닛은 감시하고 있는 보안 브레이슬렛에 관련되는 정보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보안 브레이슬렛 및 홈 유닛은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보안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 암호화를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단계(64)는 감시 대상자에게 브레이슬렛을 채우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안 브레이슬렛은 통상적으로 감시 대상자의 팔목 또는 발목에 채워지며, 다양한 부정 변경 센서(tamper sensor)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65)는 감시 장소의 원하는 위치에 홈 유닛을 물리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는 홈 유닛을 벽 또는 가구에 장착하고 전원 또는 지상 전화선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6)는 보안 브레이슬렛과 전자 홈 감시 유닛을 전자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 연결 프로세스는 홈 유닛과 보안 브레이슬렛 사이의 통신을 개시하여, 보안 브레이슬렛이 홈 유닛의 최대 허용 범위 내에 머무르는지를 홈 유닛이 감시한다.
단계(68)는, 설치가 완료된 후의 홈 유닛과 중앙 감시 시스템과의 자동적 통신을 나타낸다. 홈 유닛은 중앙 감시 시스템과 자동적으로 통신하여 홈 유닛의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한다. 이 통신은, 홈 유닛을 전원에 연결하거나, 홈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을 누르거나 코드를 입력하거나, 설치의 수동 부분이 완료되었다는 어떤 표시를 홈 유닛이 수신함으로써 트리거링될 수 있다.
단계(69)에서, 홈 유닛의 디스플레이는 설치가 완료되었다는 확인을 표시한다. 이 확인은, 감시 대상자에 관한 신원 정보이거나, 감시 대상자가 출입허용구역 내에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었다는 확인이거나, 기타 확인 정보일 수 있다. 홈 유닛과 중앙 감시 시스템 사이에서 정보를 자동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향상된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설치 프로세스가 실질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된다.
[예]
비교예 1은 현재 기술 수준에 따른 전자 감시 홈 유닛의 수동 설치 및 출입허용구역 범위 설정 절차를 설명한다.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은 패키지화되어 범죄자의 거주지로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에 의해 전달된다. 감시 장소에 홈 유닛을 제공하기 전에, 홈 유닛은 이러한 정보를 중앙 감시 시스템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통해, 또는 홈 유닛의 프로세서에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보안 브레이슬렛에 전자적으로 상관된다.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은 도착 후에 패키지로부터 제거되고 기능을 검사한다.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범죄자의 거주지 또는 감시 장소의 배치를 확인한다. 전원 출력 및 통신 소켓에 가까운 중심 위치가 선택되며, 전자 감시 홈 유닛은 전원 및 통신 소스에 접속된다. 통신 소켓은 전화 잭(RJ45) 또는 이더넷 접속일 수 있다. 전화 소켓이 사용되는 경우,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수동 리셋 디바이스 버튼을 누름으로써 보안 브레이슬렛이 작동된다. 교정 시퀀스가 초기화되고, 완료되면 보안 브레이슬렛이 감시 대상자의 발목에 물리적으로 부착된다.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 모두에 전원이 공급되고 통신이 활성화되면,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중앙 감시 시스템에 전화를 걸어 전자 감시 홈 유닛으로부터 수동으로 정보를 다운로드하라고 요청한다. 이 전화 통화는 전자 감시 홈 유닛을 통해 개시되거나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의 개인 전화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 그 후,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감시 센터로부터 수동 다운로드가 성공하였다는 확인 전화가 오기를 기다려야 한다.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이 시스템이 기능한다는 확인을 몇 분 내지 몇 시간 동안 기다려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찰관은 설치 확인을 수신하기까지 20분 내지 30분을 기다린다. 전자 감시 홈 유닛의 범위 추정은 짧은 범위, 중간 범위, 긴 범위 또는 최대 범위의 4개의 설정 중 하나로 범위로 설정할지를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가 감시 센터에 전화하여 문의함으로써 수행되고, 선택 후에 범위 테스트를 시작한다.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보안 브레이슬렛으로부터 신호 전송이 수신된다는 청각적 피드백을 전자 홈 감시 유닛으로부터 들으면서 범죄자를 거주지 주변 및 다른 사전 결정된 구역으로 안내한다. 테스트가 성공하면, 감시 센터로 전화를 걸어 범위 테스트를 종료하라고 요청한다. 거주지 내에서 보안 브레이슬렛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아서 범위 테스트가 성공하지 못한 경우, 감시 센터에 다시 전화를 걸어서 다른 설정으로 범위를 넓히라고 요청하고, 테스트를 다시 수행한다.
실험예 2는 비교예 1에서 설명된 현재 기술 수준과의 비교를 위한, 전자 감시 홈 유닛의 자동 설치 및 출입허용구역 범위 설정 절차를 설명한다.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은 패키지화되어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에 의해 범죄자의 거주지로 전달될 것이다.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은 도착 후에 패키지로부터 제거되고 기능을 검사할 것이다.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범죄자의 거주지 또는 감시 장소의 배치를 확인할 것이다. 전원 출력 및 통신 소켓에 가까운 중심 위치가 선택될 것이며, 전자 감시 홈 유닛은 전원 및 통신 소스에 접속될 것이다. 통신 소켓은 전화 잭(RJ45) 또는 이더넷 접속일 수 있다. 전화 소켓이 사용되는 경우, 접속을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수동 리셋 디바이스 버튼을 누름으로써 보안 브레이슬렛이 작동될 수 있다. 그 후, 교정 시퀀스가 초기화되고, 완료되면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가 범죄자의 발목에 보안 브레이슬렛을 부착할 것이다. 셀룰러 수신을 통해, 보안 브레이슬렛은 전자 감시 홈 유닛에 연결될 것이며, 식별 번호 및 범죄자 성명이 감시 센터로 전송된다. 이와 달리,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홈 유닛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이용 가능한 모든 검출된 브레이슬렛을 보기 위한 옵션을 선택하고, 이로부터 감시를 요구하는 특정 보안 브레이슬렛을 선택할 것이다. 다운로드가 성공하면, 전자 감시 홈 유닛 위치 및 보안 브레이슬렛 정보는 감시 센터로 자동적으로 전송된다. 경찰관 또는 설치 기술자는 떠나기 전에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작동시키고 전자 감시 홈 유닛에 대한 자동 조절 범위 설정을 최대로 설정할 것이다. 범죄자가 그 거주지 또는 감시 장소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범위는 이동 및 패턴에 따라 업데이트될 것이다. 설정이 저장되고 셀룰러 통신을 통해 감시 센터에 자동적으로 전송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형태 및 세부 사항에서 변화가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27)

  1. 전자 감시 홈 유닛의 위치 확인 방법으로서,
    보안 브레이슬렛(security bracelet)을 제공하는 단계와,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을 상기 홈 유닛에 연결하는 단계(binding)와,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전자 감시 홈 유닛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작동 시, 상기 홈 유닛이 설치되었다는 확인을 상기 통신 모듈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확인은 상기 홈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 기능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기반 위치파악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 기능은 셀룰러 삼각 측량(cellular triangulation)을 포함하는
    위치 확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이 사전 결정된 시간 내에 확인을 전송하지 않으면, 알람이 작동되는
    위치 확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은 다수의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되는
    위치 확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보안 브레이슬렛이 다수의 홈 유닛에 연결되는
    위치 확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이 작동되면,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에 의해 제2의 확인이 송신되는
    위치 확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은 중앙 감시 시스템으로 송신되는
    위치 확인 방법.
  9. 자동 위치 확인 기능을 갖는 전자 감시 홈 유닛으로서,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 - 상기 통신 모듈은 보안 브레이슬렛과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됨 - 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홈 유닛이 작동되면, 상기 통신 모듈은 설치 확인을 중앙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확인은 상기 홈 유닛의 위치를 포함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 기능은 GNSS 기반 위치파악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파악 기능은 셀룰러 삼각 측량을 포함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설치 설명(installation instructions)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13. 제9항에 있어서,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청각적 설치 설명을 제공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15. 제9항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홈 유닛의 위치가 프로그래밍된 목적 위치의 사전 결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홈 유닛은 알람을 트리거링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16. 전자 감시 홈 유닛에 대한 출입허용구역(inclusion zone)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홈 유닛은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출입허용구역에 대한 사전 결정된 최대 허용 범위로 프로그래밍됨 - 와,
    상기 홈 유닛을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홈 유닛에 의해, 상기 홈 유닛으로부터의 감시 대상자가 착용한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출입허용구역 범위 설정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는,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출입허용구역 범위 설정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은 시간대(time of day)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변경하는
    출입허용구역 범위 설정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은,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이 사전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출입허용구역 범위 외부에 존재한다고 검출되면, 중앙 감시 시스템에 경고(alert)를 전송하는
    출입허용구역 범위 설정 방법.
  20. 자택 출입허용구역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감시 홈 유닛으로서,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 - 상기 통신 모듈은 보안 브레이슬렛과 통신하도록 구성됨 - 과,
    디스플레이와,
    자택 출입허용구역에 대한 사전 결정된 최대 허용 범위로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홈 유닛은 보안 브레이슬렛에 연결되며, 상기 홈 유닛은 상기 홈 유닛으로부터의 감시 대상자가 착용한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홈 유닛은 상기 검출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조절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는,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강도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의 거리는, 도달 시각(time of arrival; TOA) 또는 도달 각(angle of arrival; AOA)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은 시간대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허용구역 범위를 조절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은,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이 사전 결정된 시간 동안 상기 출입허용구역 범위 외부에 존재한다고 검출되면, 중앙 감시 시스템에 경고(alert)를 전송하는
    전자 감시 홈 유닛.
  25. 전자 감시 홈 유닛을 원격으로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감시 대상자에 대한 감시 장소에 홈 유닛 및 보안 브레이슬렛을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홈 유닛은 프로세서와, 위치파악 기능 및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은 무선 통신 기능을 포함함 - 와,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을 상기 감시 대상자의 수족(limb)에 채우는 단계와,
    상기 감시 장소 내의 원하는 위치에 상기 홈 유닛을 물리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을 상기 홈 유닛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작동 시, 상기 홈 유닛은 중앙 감시 시스템과 자동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홈 유닛의 설치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설치 완료를 확인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원격 설치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슬렛을 상기 감시 대상자의 수족에 채우기 전에, 상기 보안 브레이슬렛은 상기 감시 대상자를 식별하는 정보로 프로그래밍되는
    원격 설치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유닛은 위치파악 기능을 더 포함하고, 설치 시, 상기 홈 유닛은 상기 중앙 감시 시스템에 자신의 위치를 통신하는
    원격 설치 방법.
KR1020157000399A 2012-06-08 2013-03-12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설치 방법 KR20150024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92,060 US9324223B2 (en) 2012-06-08 2012-06-08 Electronic monitoring home unit and installation methods
US13/492,060 2012-06-08
PCT/US2013/030479 WO2013184195A1 (en) 2012-06-08 2013-03-12 Electronic monitoring home unit and installation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391A true KR20150024391A (ko) 2015-03-06

Family

ID=4804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399A KR20150024391A (ko) 2012-06-08 2013-03-12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324223B2 (ko)
EP (1) EP2859541B1 (ko)
KR (1) KR20150024391A (ko)
AU (2) AU2013272281B2 (ko)
BR (1) BR112014030660A2 (ko)
CA (1) CA2875495A1 (ko)
ES (1) ES2742858T3 (ko)
IL (1) IL236043A0 (ko)
WO (1) WO2013184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8462B (zh) 2009-05-19 2014-03-19 澳大利亚生物资源公司 一种温度敏感的猪肺炎支原体疫苗株及其应用
US9324223B2 (en) 2012-06-08 2016-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nic monitoring home unit and installation methods
KR101267809B1 (ko) * 2012-09-17 2013-05-31 이건수 전자발찌조회통지방법
GB201301112D0 (en) * 2013-01-22 2013-03-06 Buddi Ltd Blind spot verification
US9721445B2 (en) * 2014-06-06 2017-08-01 Vivint, Inc. Child monitoring bracelet/anklet
US11151856B2 (en) * 2016-11-29 2021-10-19 Jerry M. Miniard Distributed security system using position tracking
GB2561216A (en) * 2017-04-05 2018-10-10 Flowscape Ab Signal strength positioning
US10223553B2 (en) * 2017-05-30 2019-03-05 Apple Inc. Wireless device security system
US20190142722A1 (en) 2017-11-10 2019-05-1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moting or inducing hair growth
US10769932B2 (en) 2018-01-01 2020-09-08 Bi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mi-autonomous individual monitoring
EP3531387B1 (en) * 2018-02-27 2020-12-02 Upstreem SA An electronic bracelet and an offender monitoring system
US10893383B2 (en) 2019-05-06 2021-01-12 Bi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system equipment diagnosis
US20200367802A1 (en) 2019-05-22 2020-11-26 Bi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airment Detection Using Historical Data
CN110264664A (zh) * 2019-06-05 2019-09-20 中山安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监控的方法和设备
US11395104B2 (en) * 2019-10-01 2022-07-19 CheckUps Corp. Electronic monitoring and reporting system for discharging judicial obligations
US11037431B1 (en) * 2020-04-30 2021-06-15 Michael Andrew Collier Proximity safet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029A (en) * 1996-07-08 1999-02-09 Harris Corporation Remote mobil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8466795B2 (en) * 1997-01-21 2013-06-18 Pragmatus Mobile LLC Personal security and tracking system
US6130620A (en) 1997-08-11 2000-10-10 Electronic Monitoring Systems, Inc. Remote monitoring system
US6844816B1 (en) * 1999-10-05 2005-01-18 Bi Incorporated Authentication techniques in a monitoring system
US6686838B1 (en) * 2000-09-06 2004-02-03 Xanbo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utomatic registration of devices
FI20025059A (fi) * 2002-12-05 2004-06-06 Nokia Corp Menetelmä, järjestelmä ja laite oleskelualueen valvomiseksi
US6998985B2 (en) * 2003-03-05 2006-02-14 Dmatek, Ltd. Monitoring and tracking network
US7480511B2 (en) * 2003-09-19 2009-01-20 Trimble Naviga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virtual reference station data
US7221267B2 (en) * 2003-12-03 2007-05-22 Decarta Inc. User interface to aid system installation
US8589174B2 (en) 2003-12-16 2013-11-19 Adventium Enterprises Activity monitoring
EP1728222A4 (en) * 2004-12-14 2007-10-24 Spectrum Tracking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 SERVICES FOR FINDING AN INSTRUMENT
US7330122B2 (en) 2005-08-10 2008-02-12 Remotemdx, Inc. Remote tracking and communication device
US20080021731A1 (en) * 2005-12-09 2008-01-24 Valence Broadband,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atient support exiting and initiating response
US8848655B2 (en) * 2007-06-21 2014-09-30 Ubeeairwalk,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user equipment handoff from a macrocellular network to an IP-femtocell network
US20090273438A1 (en) 2008-05-01 2009-11-05 Delphi Technologies, Inc. Remote monitoring, interrogation and control apparatus for stationary and mobile systems
US8145444B1 (en) 2007-11-30 2012-03-27 Intellectual Assets Llc Asset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self-calibrating fault detection
US8269627B2 (en) * 2007-11-30 2012-09-18 Andersen Corpor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a fenestration unit
US20090289844A1 (en) * 2008-05-23 2009-11-26 White Bear Technologies Position monitoring system
US8116724B2 (en) * 2009-05-11 2012-02-14 Vocare, Inc. System containing location-based personal emergency response device
US8169328B2 (en) * 2009-06-09 2012-05-01 Lojack Operating Company, Lp Proximity monitoring and locating system
US8570168B2 (en) * 2009-10-08 2013-10-29 Bringrr Systems, Llc System, method and device to interrogate for the presence of objects
KR20130042586A (ko) 2010-10-15 2013-04-26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자동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US8803735B2 (en) * 2010-11-19 2014-08-12 Agjunction Llc Portable base station network for local differential GNSS corrections
EP3457723B1 (en) * 2012-01-08 2020-04-15 ImagiStar LLC System and method for item self-assessment as being extant or displaced
US9324223B2 (en) 2012-06-08 2016-04-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nic monitoring home unit and installation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22520B2 (en) 2018-03-20
US9324223B2 (en) 2016-04-26
AU2013272281A1 (en) 2015-01-15
US20160232772A1 (en) 2016-08-11
AU2016202440B2 (en) 2016-12-01
EP2859541B1 (en) 2019-06-12
BR112014030660A2 (pt) 2017-06-27
AU2016202440A1 (en) 2016-05-12
CA2875495A1 (en) 2013-12-12
IL236043A0 (en) 2015-01-29
EP2859541A1 (en) 2015-04-15
WO2013184195A1 (en) 2013-12-12
ES2742858T3 (es) 2020-02-17
US20130328678A1 (en) 2013-12-12
AU2013272281B2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391A (ko) 전자 감시 홈 유닛 및 설치 방법
EP2606370B1 (en) Active positioning system
US82328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dividuals using a beacon and intelligent remote tracking device
CA3093004C (en) Hazardous condition detector with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US9799185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mobile asset tracking
US10559383B2 (en) Employee visit verification system
CN101663593B (zh) 远程可激活的定位系统和方法
WO2007069890A1 (en) System for providing a warning signal when a movable body is present in a predetermined non-allowable zone
US10699810B2 (en) Employee visit verification system
CA2717866C (en)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dividuals using a beacon and intelligent remote tracking device
JP2019191856A (ja) 警備システム及び警備方法
CA2774382C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asset tracking
GB2523683A (en) Personal location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US20230165464A1 (en) Medical device alarm method and system
KR20070077758A (ko) 지그비를 이용한 비상 송수신시스템
EP1796053A1 (en) System for providing a warning signal when a movable organism is present in a predetermined non-allowable zone
GB2495849A (en) Wellness alarm apparatus detecting inactivity of a person
KR101526459B1 (ko) 위험대상 착용용 이동전자기기, 상기 이동전자기기를 포함하는 위험대상 접근 통지 시스템 및 위험대상 접근 통지방법
KR20210068276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노인 요양환자 관리 시스템
JP2021508402A (ja) クラウドベースの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12004650A (ja) 位置接近警報システム
JP2016153974A (ja) 監視システム
KR20150003027U (ko)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