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366A -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처리된 부직 직물 및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처리된 부직 직물 및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366A
KR20150023366A KR20147034658A KR20147034658A KR20150023366A KR 20150023366 A KR20150023366 A KR 20150023366A KR 20147034658 A KR20147034658 A KR 20147034658A KR 20147034658 A KR20147034658 A KR 20147034658A KR 20150023366 A KR20150023366 A KR 2015002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nonwoven fabric
functional
trea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린 엠. 로카포르트
사미르 에프. 나기어
클리포드 에이. 밀로우
마나시 차반
어시쉬 타네자
시몬 브라이트
데이비드 씨. 안토누치오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스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2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352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to soften the feel of or improve the "hand" of the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을 제공한다. 처리된 부직 직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또한 제공한다. 처리된 부직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처리된 부직 직물 및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 {TREATED NON-WOVEN FABRIC COMPRISING FUNCTIONAL ADDITIVE AND A METHOD OF PREPARING A TREATED NON-WOVEN FABRIC}
이어지는 배경기술의 논의에서, 특정한 구조 및/또는 방법을 참조한다. 그러나, 하기 참조는 이들 구조 및/또는 방법이 선행 기술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허용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출원인은 이러한 구조 및/또는 방법이 선행 기술로서 인증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는 권리를 명확하게 갖는다.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부직 직물 또는 부직 물질을 포함하는 제품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품은 흡수제 제품, 예컨대 기저귀, 성인 실금 패드 또는 브리프, 여성 위생 제품 (예를 들어, 생리대), 붕대 등을 포함한다. 개인 관리용 및 가정용 와이프(wipe)는 또한 전형적으로 부직 직물으로 이루어진다. 부직 직물과 장기간 피부 접촉하는 것은 예를 들어 부직 직물과 접촉함에 의한 자극으로 인해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부직 표면을 포함하는 제품, 예컨대 와이프, 기저귀, 성인 실금 제품, 및 여성 위생 제품을 위한 당업계에서의 충족되지 않은 진행중인 요구가 존재하며, 여기서 부직 표면은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다. 본원은 이러한 요구를 해결한다.
하기 요약은 광범위한 개요가 아니다. 이는 다양한 실시양태의 주요한 또는 중요한 요소를 확인하거나 그의 범위를 서술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을 제공한다. 처리된 부직 직물은 촉각 특성을 개선하기에 적합한 양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을 포함한다. 또한, 피부와 접촉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부직 제품을 제공하며, 여기서 제품은 피부와 접촉하는 부직 직물을 포함한다. 부직 직물은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이다. 예시적인 부직 제품은 기저귀, 성인 실금 제품, 여성 위생 제품 및 와이프이다.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방법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성 표면 개질 조성물과 부직 직물의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접촉된 표면을 건조시켜 처리된 부직 직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면을 접촉시키는 것은 분무, 브러싱, 회전, 침지, 또는 표면 개질 조성물을 부직 직물 표면에 적용하는 다른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A, 첨가제 B, 첨가제 C, 첨가제 D, 첨가제 E, 첨가제 F, 첨가제 G, 첨가제 H (각각 표 1의 칼럼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음), 첨가제 G와 F의 블렌드 ("첨가제 BA"), 첨가제 F와 B의 블렌드 ("첨가제 BB") 및 첨가제 F와 H의 블렌드 ("첨가제 B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부직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이다. 예시적인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락티드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기능성 첨가제는 실질적으로 부직 직물의 표면 상에 및 임의로는 부직 직물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공극에 존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은 기능성 첨가제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함침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A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07 내지 약 0.054 g의 첨가제 A, 또는 ii) 약 0.05 내지 약 0.040 중량%의 첨가제 A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B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95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B, 또는 ii) 약 0.7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B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C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68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C, 또는 ii) 약 0.5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C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D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81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D, 또는 ii) 약 0.6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D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E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81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E, 또는 ii) 약 0.6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E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F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203 내지 약 0.324 g의 첨가제 F, 또는 ii) 약 1.5 내지 약 2.4 중량%의 첨가제 F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G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3513 내지 약 0.378 g의 첨가제 G, 또는 ii) 약 2.6 내지 약 2.84 중량%의 첨가제 G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H이고, 부직 직물은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230 내지 약 0.270 g의 첨가제 H, 또는 ii) 약 1.7 내지 약 2.0 중량%의 첨가제 H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블렌드 BA이며, 여기서 첨가제 G 대 첨가제 F의 비는 약 1:1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블렌드 BB이며, 여기서 첨가제 F 대 첨가제 B의 비는 약 10:3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부직 직물 상의 기능성 첨가제는 블렌드 BC이며, 여기서 첨가제 F 대 첨가제 H의 비는 약 1:1이다.
다양한 조성물 및 방법을 예시하기 위해, 도면에서 특정한 실시양태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조성물 및 그의 사용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양태의 정확한 배열 및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은 감각 평가 (부드러움/매끈함)와 관련하여 대조군 (비처리된 부직 직물 샘플)에 대한 일련의 처리된 부직 직물 샘플의 쌍의 비교를 도시하는 차트이다. 처리를 위해 사용한 제품은 해당 데이터 옆에 열거하였다. 부직 직물 샘플에 대한 제품의 중량%는 괄호에 나타내었다. 패널리스트 (n=3)에게 각각의 시험 샘플을 -1 내지 1로 평가하도록 요청하였고, 0은 대조군과 유사한 것이었고, -1은 대조군에 대해 매우 불량한 것이었으며, +1은 대조군에 대해 매우 우수한 것이었고, -0.5 및 +0.5는 각각 대조군에 대해 다소 불량한 것과 다소 우수한 것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검정 부호: 윌콕슨(Wilcoxon) 시험; P-값 ≥ 0.1. 흰 부호: 제로 값에 대한 90% 신뢰 하한 (l.c.b.) > 0.66667.
대상의 개시된 방법 및 조성물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예상되는 바와 같이, 한 측면에서 본원의 실시양태는 그에 개시된 구성성분 및/또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의 실시양태는 그에 개시된 구성성분 및/또는 단계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원의 실시양태는 그에 개시된 구성성분 및/또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부직 직물 및 부직 직물을 갖는 제품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 존재한다. 본원에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 처리된 부직 직물을 포함하는 제품, 및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정의>
본원에서 사용되는 다음의 용어는 각각 본 영역에서 그와 관련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단수형은 그의 하나 또는 하나 초과 (즉, 하나 이상)의 문법적인 목적어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로서, "요소"는 하나의 요소 또는 하나 초과의 요소를 의미한다.
용어 "약"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고, 그것이 사용되는 문맥에 따라 어느 정도로 다양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약"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직물"은 일반적으로 2차원적 특성을 갖는 물질, 즉 물질의 길이 및 너비가 두께보다 매우 큰 물질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직물의 표면은 일반적으로 길이 및 너비 치수에 의해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직" 직물 또는 물질은 직조에 의해 인터로크되지 않은 섬유를 인터로크하여 회합된 직물 또는 물질을 지칭한다. 부직 직물은 전형적으로 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가소성 수지의 섬유는 부직 직물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 화학적 및/또는 열적 방법에 의해 회합될 수 있다. 부직 직물 또는 부직 물질을 제조하는 예시적인 방법은 멜트블로잉, 스핀본딩, 에어레잉 및 스펀레이스 공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직 제품"은 부직 표면을 포함하는 제품을 지칭한다. 제품은 부직 직물/부직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제품은 부직 표면, 예를 들어 제품의 외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의 부직 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부직 제품은 기저귀, 성인 실금 제품, 여성 위생 제품, 및 와이프, 예컨대 아기 와이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기능성 첨가제"는 부직 직물/부직 물질에 첨가, 코팅, 분무, 브러싱 및/또는 달리 적용되는 경우, 부직 직물/부직 물질의 새로운 특성에 기여하고, 그의 기존의 바람직한 특성을 개선하고/거나 그의 기존의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감소시키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의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표면 개질 조성물"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거나 그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표면 개질 조성물로 처리된" 표면은 표면 개질 조성물이 표면에 첨가, 코팅, 분무, 브러싱 및/또는 달리 적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처리된 부직 제품"은 부직 표면이 표면 개질 조성물로 처리된 부직 제품을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촉각 특성"은 접촉에 의해 감지되는 특성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촉각 특성은 부드러움 및 매끈함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처리된 부직 제품의 "개선된 촉각 특성"은 처리되지 않은 해당 부직 제품에 대해 보다 우수하게 평가된 촉각 특성을 지칭한다. 개선하는 것은 새로운 특성을 도입시키는 것, 비처리된 부직 직물/부직 물질의 기존의 바람직한 특성을 개선하는 것, 및/또는 그의 기존의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다. 평가는 정성적이거나 정량적일 수 있다.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촉각 특성의 평가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인 방법이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범위 사이에서 임의의 및 모든 정수 또는 분수가 본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상세한 설명>
본원에서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을 제공한다. 또한 처리된 부직 제품을 제공한다. 처리된 부직 제품은 부직 직물 표면을 포함하는 부직 제품을 포함하며, 여기서 부직 직물 표면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한다. 기능성 첨가제는 코팅으로서 단지 표면 상에만 실질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임의로는, 표면 코팅은 또한 표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공극 내에서 부분적으로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별법으로, 부직 직물은 기능성 첨가제로 함침될 수 있고, 따라서 표면 상의 기능성 첨가제 이외에 부직 직물의 두께 내에 더 큰 깊이에 대해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함침은 부직 직물의 두께에 걸쳐 부분적이거나 완전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부직 표면을 접촉시키는"의 어구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들 실시양태 모두를 포함한다.
기능성 첨가제는 전체 부직 2차원 표면에 걸쳐 실질적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부직 2차원 표면의 단지 일부에 걸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직 표면의 단지 일부가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제품에서, 기능성 첨가제는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부직 표면의 일부 상에서만 및/또는 그 내에서만 실질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부직 직물은 2차원 표면의 한면 또는 양면 상에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직 직물의 2차원 표면이 모두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우, 첨가제는 양 표면 상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표 1에는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발견된 기능성 첨가제 A 내지 H가 열거되어 있고, 첨가제의 구성성분의 기재내용이 제공되어 있다. 첨가제 A로서 예시적인 제품은 상표명 코스미디어(COSMEDIA)® SP (바스프 코포레이션(BASF Corporation)) 하에 시판된다. 첨가제 B로서 예시적인 제품은 상표명 코스미디어® 트리플(Triple) C (바스프 코포레이션) 하에 시판된다. 첨가제 C로서 예시적인 제품은 상표명 레오케어(RHEOCARE)® HSP-1180 (바스프 코포레이션) 하에 시판된다. 첨가제 D로서 예시적인 제품은 상표명 살케어(SALCARE)® SC96 (바스프 코포레이션) 하에 시판된다. 첨가제 E로서 예시적인 분산액 제품은 상표명 티노비스(TINOVIS)® CD (바스프 코포레이션) 하에 시판된다. 첨가제 F로서 예시적인 제품은 상표명 레임소프트(LAMESOFT) ® TM 벤츠(BENZ) (바스프 코포레이션) 하에 시판된다. 첨가제 G로서 예시적인 제품은 상표명 플랜타실(PLANTASIL)® 마이크로(Micro) (바스프 코포레이션) 하에 시판된다. 첨가제 H로서 예시적인 제품은 어드밴스드 모이스쳐 컴플렉스(Advanced Moisture Complex) W (바스프 코포레이션)의 명칭 하에 시판된다. 이들은 예시적인 상업적인 제품이고, 각각의 제품의 화학적 기재내용이 표 1에 또한 포함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기능성 첨가제는 표면 개질 조성물의 형태로 부직 직물에 첨가, 분무, 코팅, 브러싱 및/또는 달리 적용될 수 있다. 표면 개질 조성물은 기능성 첨가제 및 물로 이루어지거나, 추가의 상용성 구성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상용성 구성성분"은 부직 직물에 표면 개질 조성물을 적용하는데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능성 첨가제에 의해 기여된 개선된 촉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성성분이다. 표면 개질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수성이거나, 소수성 또는 유성 구성성분, 예컨대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개질 조성물은 약 0.05 중량% 내지 약 2.0 중량% 또는 약 0.1 중량% 내지 약 1.0 중량%의 범위의 양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 개질 조성물 중 각각의 첨가제에 대한 예시적인 중량% 범위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면 개질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수성이다. 수용성인 기능성 첨가제에 대해, 표면 개질 조성물은 간단한 혼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수불용성인 기능성 첨가제에 대해, 표면 개질 조성물은, 예를 들어 에멀젼을 제조하기에 충분한 가열수 및 블렌딩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3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 조성물은 개선된 촉각 특성을 수득하기에 적합한 생성된 처리된 부직 직물 중의 첨가제의 양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부직 표면에 적용된다. 각각의 기능성 첨가제에 대한 처리된 부직 직물에 적합한 양의 예시적인 범위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적합한 양은 건조 비처리된 부직 직물의 중량에 대한 기능성 첨가제의 중량%로 제공된다. 별법으로, 적합한 양이 부직 직물의 표면적에 대한 기능성 첨가제의 중량%로 또한 제공된다. 각각의 첨가제에 대한 예시적인 적합한 양이 열거되어 있다.
Figure pct00004
특정한 개별 첨가제의 블렌드가 또한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블렌드는 두 첨가제를 3:10 내지 10:3의 비로 포함할 수 있다. 비는 1:1일 수 있다. 표 4에 나타낸 개별 첨가제의 블렌드가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첨가제로서 유용하다. 표 4는 또한 표면 개질 조성물 중 개별 첨가제의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인 중량%, 촉각 특성을 개선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인 양을 포함한다.
Figure pct00005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을 또한 제공한다. 간략히, 개시된 방법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 조성물과 부직 직물을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원의 다른 부분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부직 직물 표면을 접촉시키는 것은 표면 코팅; 표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공극 내로의 침투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 부직 직물의 두께 내로의 부분적 함침; 및 부직 직물의 두께를 통한 완전한 함침을 초래할 수 있다. 통상의 당업자의 기술 내에서 목적하는 실시양태를 수득하기 위한 접촉을 조절한다. 기능성 첨가제를 당업계에서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부직 직물에 첨가할 수 있다. 통상의 방법은 분무, 브러싱, 침지, 회전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능성 첨가제는 부직 직물의 제조 동안, 예컨대 에어-레잉된 선 또는 스펀레이스 선 상에서 부직 직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별법으로, 기능성 첨가제는 제조된 후, 또는 제조 동안 및 제조 후 모두에 부직 직물에 첨가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제품의 제조 후 부직 표면을 갖는 제조된 제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별법으로, 부직 직물은 부직 제품의 제조 이전, 또는 부직 제품의 제조 동안, 또는 부직 제품의 제조 이전, 제조 동안 및 제조 이후의 임의의 조합에 표면 개질 조성물로 처리될 수 있다.
부직 직물을 위한 예시적인 가소성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및 폴리아미드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이 예시적인 폴리올레핀이다. 폴리락티드가 예시적인 폴리에스테르이다. 나일론이 예시적인 폴리아미드이다.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부직 직물을 포함하는 표면을 갖는 임의의 제품은 본원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제품은 와이프, 예컨대 가정용 와이프, 개인 관리용 와이프, 및 산업적 와이프이다. 또 다른 예시적인 부직 제품은 기저귀이다. 전형적인 기저귀의 코어는 아기와 접촉하는 상부시트, 흡수제 코어, 및 샘(leakage) 방지를 제공하도록 의도된 후면시트로 구성된다. 상부시트는 부직 직물,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부직 직물 또는 폴리에틸렌 부직 직물일 수 있다. 아기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상부시트의 표면은 촉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 조성물로 처리될 수 있다. 임의로는, 후면시트가 또한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표면 개질 조성물로 처리될 수 있다. 기능성 첨가제는 상부시트 상의 것과 동일한 것이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다. 개선된 촉각 특성은 아기의 편안함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다 부드럽고/부드럽거나 보다 매끈한 표면은 피부 자극 및 다른 불편한 느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제품, 조성물 및 사용 방법을 하기 실험 실시예를 참조하여 추가로 상세히 기재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된 것이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제한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의 제품, 조성물 및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으로 결코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보다는 본원에 제공된 교시의 결과로서 명백해지는 임의의 및 모든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후보 선택: 실험을 위해 21개의 상업적인 제품을 부직 제품을 위한 가능한 기능성 첨가제로서 선택하였다. 21개의 조성물 (표 5에 나타냄)을 모발 및 피부 적용을 위한 조성물에서 개선된 감각/촉각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조성물의 공업적 측면 및 특징을 기초로 하는 후보로서 확인하였다. 이들 21개의 조성물을 확인하는데 있어서 고려되는 변수는 조성물 성분, 성분의 비, 전하 밀도 및 분자량을 포함하였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후보 제품은 하기 절차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후보 시험 용액 제조: 각각의 제품의 수용해도를 시험하였다. 이어서, 용액 또는 분산액 (하기 "시험 용액")을 각각의 후보 조성물에 대해 수중에서 제조하였다. 수용성 후보에 대해, 교반 막대를 갖는 교반 플레이트 상에서 시험 용액을 5 분 동안 혼합하였다. 수불용성 또는 부분적으로 수불용성인 후보에 대해, 시험 용액을 가열수 (~60℃)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균질기 (쿠진아트(Cuisinart)® 핸드 블렌더 모델 CSB-76)로 20 초 동안 블렌딩하여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분산액이 20 초 후에 완전히 혼합되지 않는 경우 추가의 블렌드 시간을 추가하였다. 대부분의 후보에 대해, 제조된 시험 용액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100 ml의 물 또는 1% 용액을 수득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에서 제조된 1% 용액이었다. 그러나, 일부 후보에 대해, 1% 시험 용액의 점도가 미세한 분무를 가능하게 하기에는 너무 높았기 때문에 시험 용액은 감소된 백분율의 후보 제품을 가졌다. 후보 제품의 물리적 상태 및 용해도 및 제조된 시험 용액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09
후보 시험 샘플 제조: 시험 용액의 제조 직후, 다음과 같이 예시적인 부직 직물의 4 인치 x 8 인치 샘플의 친수성 단면 상에 시험 용액을 분무시킴으로써 로딩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예시적인 부직 직물을 아브골 리미티드(AVGOL Ltd)에 의해 제조하였다. 부직 직물은 하기 사양을 가졌다: 중량: 제곱 미터 당 13.5 그램 (gsm); 너비: 20.00 cm; 길이: 11,500 rmt; 롤 면적: 2,300.00 sqmt; 고객 물품 번호: 2005433; PR 일자: 05/01/2010; 로트 번호 23/10; 및 샤프트 번호 1 롤 번호 3\13. 부직 물질을 종이 절단기를 사용하여 4 인치 x 8 인치 조각으로 절단하였다. 각각의 부직 직물의 조각의 초기 중량 ("초기 직물 샘플 중량")을 측정하고, 기록하였다.
부직 직물 샘플의 각각의 측면 상에 작은 액적의 물을 피펫팅함으로써 각각의 부직 직물 샘플을 친수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일단 부직 직물 샘플에 대해 친수성 단면을 측정한 후, 부직 직물 샘플을 결합제 클립을 사용하여 매달고, 샘플의 친수성 단면이 분무기의 방향으로 접하도록 배향시켰다. 시험 용액을 파셰 페인터의 에어브러시(Paasche Painter's Airbrush)를 사용하여 샘플의 친수성 단면 상에 분무하였다. 이어서, 분무된 샘플을 칭량하여 습윤 샘플 중량을 수득하였다. 각각의 시험 용액에 대해 두 복제물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습윤 샘플 중량은 0.09 내지 1.2 그램 범위였다. 시험 용액 및 부직 직물 샘플의 총 중량 대 건조 부직 직물 샘플의 중량의 로딩비는 제조된 모든 샘플에 대해 3 대 4로 유지하였다.
습윤 처리된 부직 샘플을 시계 접시 상에서 밤새 공기 건조시켰다. 일단 건조되면, 각각의 처리된 샘플의 최종 건조 중량을 취하였다. 각각의 건조된 처리된 샘플을 폐쇄 비닐 ZIPLOC 봉지에 두었다. 부직 직물 샘플에 적용된 시험 제품의 양을 제품의 중량%로서 기록하였다:
Figure pct00010
감각 데이터 수집: 처리된 부직 직물 샘플의 감각 감지 평가를 패널 (3 또는 4명의 개인)에 의해 수행하였다. 감각 평가는 비처리된 부직 직물과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평가는 아래팔 안쪽 상에서 수행하였다. 아래팔 안쪽은 팔의 손바닥 측면 상의 손목과 팔꿈치 사이의 피부 영역이며, 이러한 피부 영역은 매우 민감하다. 아래팔 안쪽을 비처리된 또는 처리된 부직 직물과 원형으로 문질러 접촉시켰다. 패널리스트가 처리된 부직 직물과 비처리된 부직 직물을 시각적으로 구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패널리스트가 샘플을 평가하는 동안 그것들을 보지 않게 하였다. 패널리스트가 평가하도록 요청한 감각 특성은 매끈함/부드러움이었다. 패널리스트에게 각각의 시험 샘플을 -1 내지 1로 평가하도록 요청하였으며, 0은 대조군과 유사한 것이었고, -1은 대조군에 대해 매우 불량한 것이었으며, +1은 대조군에 대해 매우 우수한 것이었고, -0.5 및 +0.5는 각각 대조군에 대해 다소 불량한 것과 다소 우수한 것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시험을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통계: 감각 데이터를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변수에 대한 중앙값뿐만 아니라 각각의 변수에 대한 개별 값의 변형을 측정하기 위해 중앙값으로부터의 평균 절대 편차를 계산하였다. 쌍으로 계산한 것의 통계적 유의성을 계산하기 위해, 윌콕슨 시험을 수행하였다.
21개의 후보 제품에 대한 부직 샘플에 대한 제품의 중량% 데이터 및 감각 데이터를 표 7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표 7에서의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을 도면의 차트에 도시하였다. 차트에서, 부호의 위치는 중앙값을 나타낸다. 중앙값으로부터의 평균 절대 편차는 중앙값으로부터의 가중 편차로 변환시켰고, 이는 이동선의 형태로 차트에 나타내었다.
데이터는 대부분의 후보 제품이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을 개선하지 않거나 비처리된 부직 직물에 비해 더 악화된 촉각 특성을 생성하였음을 나타낸다. 모든 후보 제품이 어느 정도는 모발 및 피부 적용에서 촉각 특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공지된 그의 기능때문에 선택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는 놀라웠다.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이 개선된 후보는 다음과 같았다: C1 (코스미디어® SP), C2 (코스미디어® 트리플 C), C5 (레오케어® HSP-1180), C6 (살케어® SC96), C7 (티노비스® CD), C10 (레임소프트® TM 벤츠), 및 C20 (어드밴스드 모이스쳐 컴플렉스 W). 후보 C13 (플랜타실® 마이크로)에 대한 중앙값 스코어가 0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가중 편차는 이러한 조성물이 또한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일부 경우에서, 촉각 특성에 있어서의 개선이 시험된 제품의 두 중량% 중 단지 하나에서만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코스미디어® SP는 0.18 중량%에서, 코스미디어® 트리플 C는 0.81 중량%에서, 티노비스® CD는 0.77 중량%에서, 레임소프트® TM 벤츠는 2.1 중량%에서, 플랜타실® 마이크로는 2.66 중량%에서 그리고 어드밴스드 모이스쳐 컴플렉스 W는 1.88 중량%에서 부드러움/매끈함이 개선되었다. 레오케어® HSP-1180은 0.66 중량% 및 0.73 중량%에서 촉각 특성을 개선시켰고, 살케어® SC96은 0.94 중량% 및 0.82 중량%에서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을 개선시켰다.
후보 제품의 부분 집합의 일련의 블렌드를 또한 제조하였다. 교반 막대 및 교반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간단히 혼합시킴으로써 블렌드의 시험 용액을 제조하였다. 표 8에 나타낸 각각의 시험 용액 블렌드에 대해, 제1 후보 제품을 수중에서 혼합하고, 이어서 최종 블렌드에서 각각의 목적하는 중량%를 수득하기 위해 제2 제품을 첨가하였다. 예를 들어, 수중에서 후보 C13을 혼합시키고, 이어서 0.5 중량% C13 및 0.5 중량% C10으로 이루어진 시험 용액 블렌드를 수득하기에 적절한 양으로 후보 C10을 첨가함으로써 블렌드 B1을 제조하였다. 블렌드의 요약 및 제조된 처리된 부직 직물 샘플에 관한 데이터를 표 8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일련의 시험 용액 블렌드로 처리된 부직 직물 샘플을 제조하고, 2명의 개별 패널에 의해 시험하였다. 블렌드에 대한 감각 데이터를 표 9에 요약하였다.
Figure pct00015
데이터는 단지 3개의 블렌드만이 부직 직물의 촉각 특성을 개선하였음을 나타낸다. 3개의 블렌드는 B1, B2 및 B5였다. 이들 3개의 블렌드는 모두 후보 C13 (레임소프트® TM 벤츠)을 포함하였다.
후보 제품 및 블렌드 중 일부의 처리된 부직 직물 샘플의 추가의 복제물을 2명의 추가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시험하기 위해 제조하였다. 후보 제품은 다음과 같았다: C2, C6, C7, C10, C13, 및 C20. 블렌드는 B1, B2, 및 B5였다. 1 내지 5의 등급을 사용하여 감각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여기서 5가 가장 쾌적한 것이었다. 2명의 패널리스트에게 촉각 특성뿐만 아니라 기저귀를 위해 전형적으로 시험되는 다른 성능 변수에 대해 샘플을 평가하도록 요청하였다. 처리된 부직 샘플의 소수성/친수성을 또한 부직 시트 상의 화학적 코팅에 대한 탈이온수 방울 침투 시험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n=3 방울). 간략히, 탈이온수의 방울을 샘플 표면 상의 약 1 cm 높이로부터 떨어뜨렸다. 물방울이 부직 샘플 표면 상에서 10 초 초과 동안 남아있는 경우, 표면이 소수성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물방울이 부직 샘플 표면 상에서 3 초 미만 동안 남아있는 경우, 표면이 친수성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방울이 부직 표면 상에서 3 초 초과 및 10 초 미만 동안 남아있는 경우, 이는 애매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물 표면 장력은 실온에서 약 72 dyne/cm이다. 데이터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6
2명의 패널리스트는 모두 첨가제 C2로 처리된 부직 직물 샘플이 평가된 9개의 샘플 중 월등하게 최상의 느낌이었다고 논평하였다.
본원에서 인용된 각각의 및 모든 특허, 특허 출원, 및 공보의 개시내용은 모든 목적을 위해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제품,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사용 방법을 특정한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개시하였으나, 기재된 제품 및 방법의 순수한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양태 및 변형이 당업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모든 이러한 실시양태 및 상응하는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4)

  1. 촉각 특성을 개선하기에 적합한 양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A, 첨가제 B, 첨가제 C, 첨가제 D, 첨가제 E, 첨가제 F, 첨가제 G, 첨가제 H (각각 표 1의 칼럼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음), 첨가제 G와 F의 블렌드 ("첨가제 BA"), 첨가제 F와 B의 블렌드 ("첨가제 BB") 및 첨가제 F와 H의 블렌드 ("첨가제 B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부직 직물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처리된 부직 직물.
  3. 제2항에 있어서, 부직 직물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인 처리된 부직 직물.
  4. 제2항에 있어서, 부직 직물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락티드인 처리된 부직 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실질적으로 직물의 표면 상에 및 임의로는 직물의 표면 상에 존재하는 공극에 존재하는 것인 처리된 부직 직물.
  6. 제1항에 있어서, 직물이 기능성 첨가제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함침된 것인 처리된 부직 직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A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07 내지 약 0.054 g의 첨가제 A, 또는 ii) 약 0.05 내지 약 0.040 중량%의 첨가제 A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B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95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B, 또는 ii) 약 0.7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B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C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68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C, 또는 ii) 약 0.5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C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D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81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D, 또는 ii) 약 0.6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D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E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081 내지 약 0.135 g의 첨가제 E, 또는 ii) 약 0.60 내지 약 1.0 중량%의 첨가제 E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F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203 내지 약 0.324 g의 첨가제 F, 또는 ii) 약 1.5 내지 약 2.4 중량%의 첨가제 F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G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3513 내지 약 0.378 g의 첨가제 G, 또는 ii) 약 2.6 내지 약 2.84 중량%의 첨가제 G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제 H이고, i) 부직 직물의 제곱 미터 당 약 0.230 내지 약 0.270 g의 첨가제 H, 또는 ii) 약 1.7 내지 약 2.0 중량%의 첨가제 H (비처리된 건조 직물 중량에 대해)를 포함하는 부직 직물.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블렌드 BA이고, 여기서 첨가제 G 대 첨가제 F의 비가 약 1:1인 부직 직물.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블렌드 BB이고, 여기서 첨가제 F 대 첨가제 B의 비가 약 10:3인 부직 직물.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성 첨가제가 블렌드 BC이고, 여기서 첨가제 F 대 첨가제 H의 비가 약 1:1인 부직 직물.
  18. 피부와 접촉하는 부직 직물을 포함하며, 여기서 부직 직물은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처리된 부직 직물인, 피부와 접촉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부직 제품.
  19. 제18항에 있어서, 기저귀, 성인 실금 제품, 여성 위생 제품 및 와이프(wip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직 제품.
  20. 부직 직물의 표면을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성 표면 개질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접촉된 표면을 건조시켜 처리된 부직 직물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기능성 첨가제는 첨가제 A, 첨가제 B, 첨가제 C, 첨가제 D, 첨가제 E, 첨가제 F, 첨가제 G 및 첨가제 H (각각 표 1의 칼럼 2 및 3에 기재된 바와 같음), 첨가제 G와 F의 블렌드 ("첨가제 BA"), 첨가제 F와 B의 블렌드 ("첨가제 BB") 및 첨가제 F와 H의 블렌드 ("첨가제 B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처리된 부직 직물은 촉각 특성을 개선하기에 적합한 양의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개선된 촉각 특성을 갖는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부직 직물의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가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수성 표면 개질 조성물을 상기 표면에 분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부직 직물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소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부직 직물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부직 직물이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고,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락티드인 방법.
KR20147034658A 2012-06-14 2013-06-13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처리된 부직 직물 및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 KR201500233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59879P 2012-06-14 2012-06-14
US61/659,879 2012-06-14
PCT/US2013/045671 WO2013188674A1 (en) 2012-06-14 2013-06-13 Treated non-woven fabric comprising functional additive and a method of preparing a treated non-woven fabr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366A true KR20150023366A (ko) 2015-03-05

Family

ID=4975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4658A KR20150023366A (ko) 2012-06-14 2013-06-13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처리된 부직 직물 및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37710A1 (ko)
EP (1) EP2861794A4 (ko)
JP (1) JP2015525310A (ko)
KR (1) KR20150023366A (ko)
CN (1) CN104364438A (ko)
BR (1) BR112014031136A2 (ko)
WO (1) WO2013188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325703T3 (da) 2016-08-02 2019-10-28 Fitesa Germany Gmbh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ikke-vævede polymælkesyrestoffer
US11441251B2 (en) 2016-08-16 2022-09-13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s comprising polylactic acid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toughness
CN114409729B (zh) * 2021-11-11 2023-06-20 南京财经大学 一种菜籽肽及其在制备药物纳米载体方面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552A (en) * 1992-08-26 1994-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US6080686A (en) * 1993-01-19 2000-06-27 Th. Goldschmidt Ag Soft cellulosic nonwovens and a method for softening nonwovens
CN2244567Y (zh) * 1995-10-20 1997-01-08 袁作启 气相防锈无纺布
US5770531A (en) * 1996-04-29 1998-06-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chanical and internal softening for nonwoven web
GB9712690D0 (en) * 1997-06-18 1997-08-20 Scimat Ltd Non-woven fabric treatment
US6239047B1 (en) * 1999-02-19 2001-05-29 Polymer Group, Inc. Wettable soft polyolefin fibers and fabric
US20030077962A1 (en) * 1999-08-24 2003-04-24 Krzysik Duane Gerard Absorbent tissues providing skin barrier enhancement
WO2001018303A1 (en) * 1999-09-10 2001-03-15 Nano-Tex, Llc Durable finishes for textiles
US7018945B2 (en) * 2002-07-02 2006-03-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fibers and nonwoven substrates
US20040005457A1 (en) * 2002-07-03 2004-01-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of improving the softness of fibers and nonwoven webs and fibers and nonwoven webs having improved softness
US20040118530A1 (en) * 2002-12-19 2004-06-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products having a patterned indicia
BRPI0407875A (pt) * 2003-03-12 2006-03-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ção polimérica, artigo médico, método de uso de uma composição polimérica, método de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polimérica, e, curativo de ferimento
US20100189755A1 (en) * 2004-08-18 2010-07-29 Cognis Ip Management Gmbh Dryer Sheets and a Method for Treating Skin
CN101103071B (zh) * 2005-01-18 2010-11-10 东邦化学工业株式会社 生物降解性聚酯系树脂组合物
CN1776064A (zh) * 2005-11-23 2006-05-24 周永斌 一种亲水硫化无纺布的生产方法
DE102005060733A1 (de) * 2005-12-16 2007-06-28 Cognis Ip Management Gmbh Reinigungstücher
CN100491630C (zh) * 2005-12-31 2009-05-27 戴建荣 木棉纤维在非织造无纺布领域的制造方法及应用
WO2008052624A1 (en) * 2006-10-30 2008-05-08 Ahlstrom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oft, resistant and bulky nonwoven and nonwoven thus obtained
EP2206489A1 (de) * 2009-01-08 2010-07-14 Cognis IP Management GmbH Fließfähige Emulsionskonzentrate
FR2948285B1 (fr) * 2009-07-27 2011-09-23 Soc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Emulsion huile-dans-eau a proprietes sensorielles ameliore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1794A4 (en) 2016-06-15
WO2013188674A1 (en) 2013-12-19
EP2861794A1 (en) 2015-04-22
CN104364438A (zh) 2015-02-18
JP2015525310A (ja) 2015-09-03
BR112014031136A2 (pt) 2017-06-27
US20130337710A1 (en)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77107B2 (ja) 不織布におけるセルロースアセテート繊維
US6632385B2 (en) Condrapable hydrophobic nonwoven web and method of making same
JP5599544B2 (ja) 少なくとも1つの吸収シートを含む美容用及び/または皮膚科用のパーソナルケア及び/またはクレンジング吸収製品
JPH02169774A (ja) 耐久親水性繊維
JP2017529368A (ja) 安定したローション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ウェットワイプ
CN104903509A (zh) 用于聚烯烃纤维永久亲水化的组合物和其用途
KR20150023366A (ko) 기능성 첨가제를 포함하는 처리된 부직 직물 및 처리된 부직 직물의 제조 방법
US11090407B2 (en) Thermoplastic polymeric materials with heat activatable compositions
US10017898B2 (en) Use of a surfactant composition for the hydrophilic finishing of textile fibers and textile products manufactured therefrom
DE102014119334A1 (de) Zusammensetzung zur permanent-hydrophilen Ausrüstung von Textilfasern und Textilerzeugnissen
JP6959933B2 (ja) 高バリア不織布
CN108348364A (zh) 吸收性物品
DE102014119332A1 (de) Zusammensetzung zur permanent-hydrophilen Ausrüstung von Textilfasern und Textilerzeugnissen
KR100958605B1 (ko) 투수성 부여제 및 그 부여제가 부착된 섬유
JP6871363B2 (ja) pH制御トップシートを有する吸収性用品
EP2863785B1 (en) Binder for flushable nonwoven fabric
KR102055430B1 (ko) 친수성 유도제 조성물, 이것으로 개질된 부직포 및 위생용품
CN109642387A (zh) 吸水性物品用纤维处理剂、纤维、无纺布和吸水性物品
JPS60215870A (ja) 衛生材料用不織布の表面改質剤
KR101103005B1 (ko) 녹색홍합을 함유하는 기능성 폴리올레핀계 단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서멀본드 부직포
JP2022136194A (ja) 吸収性物品用不織布、吸収性物品用トップシート、およびそれを含む吸収性物品
EP2987905A1 (de) Mittel zur hydrophilen beschichtung von flächengebilden aus hydrophoben thermoplastischen materialien und verwendung des mitt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